KR20120060358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60358A KR20120060358A KR1020100121821A KR20100121821A KR20120060358A KR 20120060358 A KR20120060358 A KR 20120060358A KR 1020100121821 A KR1020100121821 A KR 1020100121821A KR 20100121821 A KR20100121821 A KR 20100121821A KR 20120060358 A KR20120060358 A KR 201200603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ation information
- mobile terminal
- external device
- command
- lock fun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06F21/445—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by mutual authentication, e.g. between devices or progra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04M1/72463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by limiting the access to the user interface, e.g. locking a touch-screen or a keypa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상호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 모듈; 외부 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제 1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위치 정보 모듈을 통하여 제 1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제 2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위치 정보와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그에 따른 제 1 거리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제 2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적어도 일부 명령을 제한하는 상호 잠금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상호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들이 등장함에 따라 사용자가 여러 종류의 단말기를 소유하는 경우가 흔해졌고, 단말기의 저장 기능이 강화됨과 동시에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단말기에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보안 기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보안을 위해 단말기 별로 암호를 입력하는 잠금 기능 사용하지만 코드의 암기 및 입력이 불편하고,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안성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보다 안전한 보안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상호간에 기능 잠금을 설정하고, 상호간에 교환되는 정보를 통하여 기능 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 모듈; 외부 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제 1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위치 정보 모듈을 통하여 제 1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제 2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위치 정보와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그에 따른 제 1 거리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제 2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적어도 일부 명령을 제한하는 상호 잠금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제 1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위치 정보 모듈을 통하여 제 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장치의 제 2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위치 정보와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 1 거리 차이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거리 차이 값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제 2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적어도 일부 명령을 제한하는 상호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이동 단말기의 상호 잠금 방식은 GPS를 통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나, 외부 장치에서 상호 잠금 설정을 위해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잠금이 설정되고, 다시 그와 동일/유사한 신호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에는 특정 패턴의 흔들림/진동 입력 또는 패스워드 입력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외부 장치를 이용한 상호 잠금 방식을 통하여 보다 강력한 보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상호 잠금 방법이 수행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기반의 상호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상호 잠금 기능의 해제가 수행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기반의 상호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 락 기능의 설정 및 해제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설정 기능의 설정 및 해제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외부 장치에서 부가 잠금 기능을 포함한 상호 잠금 기능의 설정이 수행되는 동작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외부 장치에서 부가 잠금 기능을 포함한 상호 잠금 기능의 해제가 수행되는 동작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의 진동 패턴을 이용한 상호 잠금 기능 설정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의 진동 패턴을 이용한 상호 잠금 기능 해제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상호 잠금 방법이 수행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기반의 상호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상호 잠금 기능의 해제가 수행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기반의 상호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 락 기능의 설정 및 해제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설정 기능의 설정 및 해제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외부 장치에서 부가 잠금 기능을 포함한 상호 잠금 기능의 설정이 수행되는 동작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외부 장치에서 부가 잠금 기능을 포함한 상호 잠금 기능의 해제가 수행되는 동작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의 진동 패턴을 이용한 상호 잠금 기능 설정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의 진동 패턴을 이용한 상호 잠금 기능 해제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기구 설명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전면 터치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라 불릴 수 있다.
도 3은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가상 키패드(151c)가 출력된다. 가상 키패드(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가상 키패드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가리키거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 또는 손가락 형태의 그래픽은 포인터(pointer) 또는 커서(cursor)로 호칭된다. 그러나, 포인터의 경우 터치 조작 등을 위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커서라 칭하고,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터치, 근접터치, 제스쳐(gesture)를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 수단을 포인터라 칭한다.
최근,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들이 등장함에 따라 사용자가 여러 종류의 단말기를 소유하는 경우가 흔해졌고, 단말기의 저장 기능이 강화됨과 동시에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단말기에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보안 기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한 일반적인 보안 기능은, 보안 기능 설정 또는 해제를 위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을 해당 기기를 통하여 수행되며, 보안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제한된 사용자 명령만이 수행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동작의 일례로는 비밀 번호나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숫자로 입력하거나 특정 궤적의 패턴을 드래그입력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잠금 기능은 코드의 암기 및 입력이 불편하고,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안성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둘 이상의 상호 통신 가능한 기기를 사용하여 상호간의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호 잠금 방식은, 하나의 장치에 잠금 기능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때 다른 장치가 그를 위한 열쇠가 되는 방식이다. 즉, 제 1 장치에 잠금 기능이 설정되기 위해서는, 제 1 장치가 제 2 장치에 잠금 기능을 위한 정보를 요구하고, 그에 대한 제 2 장치의 적합한 정보 제공이 있는 경우 1 장치에 잠금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호 잠금 방식으로 잠금 기능이 설정된 제 1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제 2 장치로부터 잠금 상태 해제를 위한 적합한 정보를 제공받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이동 단말기(100)"가 잠금 기능이 설정될 장치가 되며, "외부 장치"는 이동 단말기(100)에 잠금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열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외부 장치는 이동 단말기(100)와 동일 장치일 수도 있고, 상이한 장치일 수도 있으나, 잠금 기능에 관련된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모듈 및 이동 단말기와 잠금 기능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은 반드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상호 잠금 방식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를 이용한 상호 잠금 방식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한 상호 잠금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외부 장치가 이동 단말기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경우 및/또는 기 설정된 상대적 위치를 만족하는 경우에만 이동 단말기의 잠금 기능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형태로 수행된다. 이때, 이동 단말기와 외부장치의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 모듈(115), 즉, GPS 장치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는 위치 정보 모듈을 반드시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상호 잠금 방법이 수행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소정의 아이콘 선택 또는 메뉴 조작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의 상호 잠금 설정 메뉴가 실행될 수 있다(S401).
그에 따라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검색하고, 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S402).
이때,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이 사용되거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3G/4G 데이터망 통신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SMS/MMS와 같은 메시지 서비스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정보는 GPS 데이터 포맷인 NMEA가 이용될 수 있다.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18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거리 차이 및/또는 상대적 위치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호 잠금 기능의 설정 가능 여부를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403).
이때, 사용자는 부가 잠금 기능의 추가 설정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S404).
부가 잠금 기능이란, 거리 차이만이 아니라 특정 좌표에서만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되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지오 락(Geo-Lock) 기능 또는 출력부(150)를 통한 출력 형태를 변경하는 오프셋 설정 기능 등을 포함한다. 지오 락 기능 및 오프셋 설정 기능은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부가 잠금 기능을 설정하면(S405), 제어부(180)는 거리 차이 값에 부가 잠금 기능을 포함하여 상호 잠금 상태를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거리 차이 값에만 기반한 상호 잠금 상태를 설정한다(S406).
이후, 이동 단말기가 분실되더라도 외부 장치와 기 설정된 거리를 벗어난 경우 상호 잠금이 해제될 수 없으므로 위치에 기반한 강력한 잠금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 분실시 소지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보다 용이하게 분실된 이동 단말기를 찾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절차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으로 표시되는 형태의 일례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기반의 상호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표시되는 대기 화면에서 상호 잠금 기능 설정을 위한 아이콘(510)이 표시된다.
이때, 도 5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아이콘(510)을 선택하면 도 5의 (c)와 같이 지도 화면(520)이 표시된다. 지도 화면에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 모듈(115)을 통해 획득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530)와 외부 장치의 위치(540)가 표시된다.
상호 잠금 기능 설정을 위한 조건이,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의 거리 차이가 지도 상의 그리드 1개 이내인 경우라고 가정하면, 도 5의 (c)에 나타난 상황은 상호 잠금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한다. 그에 따라, 상호 잠금 기능 설정을 위한 아이콘(510)은 상호 잠금 기능 설정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형태(511)로 바뀔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도 5의 (d)와 같이 아이콘(511)을 일방향으로 드래그함에 따라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될 수 있으며, 도 5의 (e)와 같이 아이콘(511)은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됨을 나타내는 형태(513)로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상호 잠금 방법에서, 상호 잠금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는 상황은 대기화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이콘 형태 및 드래그 방법 또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호 잠금 기능 해제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상호 잠금 기능의 해제가 수행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소정의 아이콘 또는 메뉴 조작을 통하여 상호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절차로 진입할 수 있다(S601).
그에 따라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상호 잠금 기능의 설정에 관여한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S602).
이때,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이 사용되거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3G/4G 데이터망 통신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SMS/MMS와 같은 메시지 서비스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정보는 GPS 데이터 포맷인 NMEA가 이용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18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거리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호 잠금 기능의 해제 가능 여부를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603).
해제가 가능한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호 잠금 기능이 해제될 수 있다(S604).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절차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으로 표시되는 형태의 일례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기반의 상호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먼저 도 7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표시되는 대기 화면에서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됨을 나타내는 아이콘(710)이 표시된다.
이때, 도 7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아이콘(710)을 일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도 7의 (c)와 같이 지도 화면(720)이 표시된다. 지도 화면에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 모듈(115)을 통해 획득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730)와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된 외부 장치의 위치(740)가 표시된다.
상호 잠금 기능 설정을 위한 거리 차이가 지도 상의 그리드(grid) 1개라고 가정하면, 도 7의 (c)에 나타난 상황은 상호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한다. 그에 따라,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됨을 나타내는 아이콘(710)은 상호 잠금 기능 해제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형태(711)로 바뀔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도 7의 (d)와 같이 아이콘(711)을 일방향으로 드래그함에 따라 상호 잠금 기능이 해제될 수 있으며, 도 7의 (e)와 같이 상호 잠금 기능이 성공적으로 해제됨을 알리는 메시지(750)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도 7의 (f)와 같이 메인 메뉴, 바탕화면 또는 잠금 기능을 설정하기 전 마지막으로 표시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부가 잠금 기능의 일례인 지오 락(Geo-Lock) 기능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 락 기능의 설정 및 해제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도 8에서 상호 잠금 기능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이동 단말기와 외부장치의 거리 조건은 만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도 8의 (a)를 참조하면, 지오 락 기능은 도 5의 (c)와 같은 상황에서 지오 락 아이콘(810)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지오 락 아이콘이 설정되면,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부(160)에는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되는 시점의 이동 단말기의 좌표가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됨을 나타내는 아이콘(840)을 드래그하여 상호 잠금 기능의 해제를 시도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거리 차이 조건 뿐만 아니라 잠금 기능을 설정한 당시의 위치와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동일하거나 일정 범위 이내인지 여부까지 비교한다. 그에 따라, 도 8의 (b)와 같이 거리 차이 조건은 만족되지만 잠금 기능을 설정한 당시의 위치와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상이한 경우 잠금 해제가 수행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실패 메시지(830)를 출력한다.
만일, 도 8의 (c)와 같이 잠금 기능을 설정한 당시의 위치와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동일하거나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잠금 기능이 해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상으로 상호 잠금 기능이 성공적으로 해제됨을 나타내는 성공 메시지(835)가 출력될 수 있으며, 이후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도 8의 (d)와 같이 메인 메뉴, 바탕화면 또는 잠금 기능을 설정하기 전 마지막으로 표시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부가 잠금 기능의 다른 일례인 오프셋 설정 기능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설정 기능의 설정 및 해제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먼저 도 9의 (a)를 참조하면, 도 5의 (c)와 같이 지도(920) 상에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930) 및 외부장치의 위치(940)가 나타나 있으며, 상호 잠금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거리 차이 및/또는 상대적 위치가 지도 상의 그리드 1개라고 가정할 때, 상호 잠금 조건이 만족된다. 이때, 도 9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임의로 외부 장치의 위치(940)를 원래 지점으로부터 상이하도록 임의의 거리(즉, 오프셋)만큼 이동 시킨다.
이는 외부 장치의 실제 위치와 관계 없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외부 장치가 표시되는 위치만을 변경하기 위한 절차이다. 즉, 실제로는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가 그리드 1개 이내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부 상으로는 서로 다른 그리드에 위치하는 것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이후 도 9의 (c)와 같이 사용자가 상호 잠금 기능 설정을 위한 아이콘(910)을 일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도 9의 (d)와 같이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되고 디스플레이부 상으로 잠금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의 아이콘(910) 드래그를 통해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되면서 오프셋 값은 외부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호 잠금 기능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실제로 상호 잠금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거리를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 상으로 표시되는 지도 상(940)에는 도 8의 (e)와 같이 오프셋 값이 적용되어 이동 단말기(930)의 위치와 외부 장치의 위치(940) 차이가 1그리드를 넘는 것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오프셋을 설정함을 이유로 실제와 다른 위치 관계로 표시됨을 알기 때문에 아이콘(910)을 드래그하여 상호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 상(920)으로 표시되는 외부 장치의 위치는, 이동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에 오프셋을 적용한 위치에 대응될 수도 있고, 외부 장치가 오프셋 값을 적용하여 전송한 위치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의 (f)와 같이 외부 장치를 움직여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지도(920) 상으로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사이의 거리가 1그리드 이내를 만들더라도 상호 잠금 상태는 해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부가 잠금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외부 장치와 이동 단말기 상호간의 동작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외부 장치에서 부가 잠금 기능을 포함한 상호 잠금 기능의 설정이 수행되는 동작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호 잠금 기능 설정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위치 정보 모듈(GPS)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획득된다(S1010).
만일, 사용자가 지오 락 기능을 설정한 경우 현재 위치 값이 지오 락 데이터 베이스(GeoLock DB)에 저장된다(S1020).
이후 락 제어부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외부 장치로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며, 사용자의 오프셋 설정이 있는 경우, 오프셋 값을 함께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S1030).
외부 장치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요청한 위치 정보를 GPS로 획득하여 GPS를 제어하는 GPS 서비스(GPS service)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오프셋 정보까지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경우 오프셋 정보는 외부 장치의 오프셋 데이터 베이스(Offset DB)에 저장된다.
이동 단말기의 GPS 서비스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해석하여 UI 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104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외부 장치에서 부가 잠금 기능을 포함한 상호 잠금 기능의 해제가 수행되는 동작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호 잠금 기능 해제를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락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외부 장치로 외부 장치의 위치를 요청한다(1110).
이동 단말기의 요청을 수신한 외부 장치는 GPS를 통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오프셋 정보가 상호 잠금 기능 설정시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경우, 외부 장치는 오프셋 정보가 적용된 위치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1120).
이후 이동 단말기는 외부 장치의 (오프셋 적용된) 위치 정보와 GPS를 통해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호 잠금 기능의 해제 여부를 락(Lock) 알고리즘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지오 락 기능이 설정된 경우, 락 알고리즘은 상호 잠금 기능 설정 당시의 위치 정보까지 이용하게 된다(1130).
이때, 락 알고리즘 구현의 일례로 아래 표 1과 같은 Boolean 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도 10 및 도 11에서 지오 락 데이터 베이스는 별도의 모듈로 존재할 수 있고, 메모리부(16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GPS 서비스, 락 제어부 및 락 알고리즘은 별도의 모듈로 존재할 수도 있고, 제어부(180)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호 잠금 기능을 설정/해제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와 외부 장치 사이의 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호 잠금 기능을 설정하고 해제하기 위한 조건 정보로 위치 정보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이하 설명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장치의 특정 동작을 통한 상호 잠금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외부 장치에 가해지는 진동 패턴을 이용한 상호 잠금 방식을 설명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의 진동 패턴을 이용한 상호 잠금 기능 설정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도 12a의 (a)를 참조하면, 상호 잠금 기능을 이동 단말기에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으로 표시되는 상호 잠금 설정 아이콘(1210)을 선택한다.
그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상호 잠금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외부 장치를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검색한다.
검색 결과, 검색된 외부장치들은 도 12a의 (b)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으로 아이콘 형태(1220, 1230)로 표시될 수 있으며, 검색된 외부 장치에는 연결 감도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특정 외부 장치(1200)에 대응되는 아이콘(1220)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선택된 외부 장치(1200)로 락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선택된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1290)에는 승락 여부를 선택받기 위한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선택된 외부 장치(1200)에서 상호 락 기능의 설정을 수락하는 경우, 도 12a의 (c)와 같이 선택된 외부 장치(1200)에 특정 패턴의 진동이 가해지고, 기해진 진동 패턴은 소정 포맷의 키 데이터(key data)로 이동 단말기에 전달된다. 그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진동 패턴을 통해 락이 설정됨을 알리는 메시지(1240)가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외부 장치는 자신에 가해지는 진동/흔들림/가속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 센서(G sensor)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이 구비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도 12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호 잠금 해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의 진동 패턴을 이용한 상호 잠금 기능 해제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이동 단말기에 설정된 상호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으로 표시되는 상호 잠금 해제 아이콘(1210)을 선택한다.
그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상호 잠금 기능을 해제할 수 있는 외부 장치를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검색한다.
검색 결과, 검색된 외부장치들은 도 12b의 (b)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으로 아이콘 형태(1220, 1230)로 표시될 수 있으며, 검색된 외부 장치에는 연결 감도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특정 외부 장치(1200)에 대응되는 아이콘(1220)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선택된 외부 장치(1200)로 락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선택된 외부 장치(1200)는 진동 패턴을 입력받을 준비를 하게 되며, 도 12b의 (c)와 같이 진동 패턴이 입력되면 이를 소정 포맷의 키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선택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키 데이터가 상호 잠금 설정시 수신된 키 데이터와 동일한 경우 상호 잠금 기능을 해제한다. 그에 따라, 이후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도 12b의 (d)와 같이 메인 메뉴, 바탕화면 또는 잠금 기능을 설정하기 전 마지막으로 표시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진동 패턴을 이용한 잠금 방식은 외부 장치에 입력되는 다른 정보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패턴 대신 외부 장치 상으로 문자 및/또는 숫자 등으로 구성되는 패스워드로 이동 단말기의 상호 잠금이 설정되고,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된 패스워드와 동일한 값이 전송되는 경우에만 상호 잠금이 해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2)
- 상호 잠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 모듈;
외부 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제 1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위치 정보 모듈을 통하여 제 1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제 2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위치 정보와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그에 따른 제 1 거리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제 2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적어도 일부 명령을 제한하는 상호 잠금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정보는 상기 제 1 명령이 입력될 때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제 2 위치 정보는 상기 제 1 명령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의 요청이 있을 때의 상기 외부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명령이 입력되기 전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제 5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체로 터치스크린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2 위치 정보는 소정의 시각효과가 각각 부여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서로 구분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명령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따른 제 1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지도 상에 상기 제 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2 위치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다른 시각효과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지도상에서 상기 제 2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여된 시각효과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제 1 터치 입력으로 오프셋 값에 해당하는 만큼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오프셋 값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 정보의 요청 및 수신은,
근거리 통신, 3G/4G 데이터 통신 및 메시지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상호 잠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 모듈;
외부 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적어도 일부 명령을 제한하는 상기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상호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제 3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위치 정보 모듈을 통하여 제 3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외부 장치의 제 4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 4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 3 위치 정보와 상기 제 4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그에 따른 제 2 거리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제 4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상호 잠금 기능이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위치 정보는 상기 제 3 명령이 입력될 때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제 4 위치 정보는 상기 제 3 명령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의 요청이 있을 때의 상기 외부 장치의 현재 위치를 나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될 때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위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될 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제 5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 3 명령이 입력된 후 상기 제 3 위치 정보와 상기 저장된 제 1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그에 따른 제 3 거리 차이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제 4 명령을 통해 상기 상호 잠금 기능이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체로 터치스크린을 구성하고,
상기 제 3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4 위치 정보는 소정의 시각효과가 각각 부여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서로 구분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명령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 상기 제 3 위치 정보에 따른 제 2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지도 상에 상기 제 3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3 위치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다른 시각효과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될 때의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인 제 2 위치 정보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제 1 터치 입력으로 오프셋 값에 해당하는 만큼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오프셋 값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위치 정보는 상기 제 3 명령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의 요청이 있을 때의 상기 외부 장치의 현재 위치에 상기 오프셋 값이 적용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4 위치 정보에서 상기 오프셋 값을 적용 해제한 값과 상기 제 3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2 거리 차이를 계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위치 정보의 요청 및 수신은,
근거리 통신, 3G/4G 데이터 통신 및 메시지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제 1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위치 정보 모듈을 통하여 제 1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장치의 제 2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위치 정보와 상기 제 1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 1 거리 차이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거리 차이 값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제 2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적어도 일부 명령을 제한하는 상호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적어도 일부 명령을 제한하는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상호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제 3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위치 정보 모듈을 통하여 제 3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장치의 제 4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3 위치 정보와 상기 제 4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 2 거리 차이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거리 차이 값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제 4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상호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되는 단계는,
제 5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되는 때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명령이 입력된 후 상기 제 3 위치 정보와 상기 제 1 위치 정보에 따른 제 3 거리 차이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만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체로 터치스크린을 구성하고,
상기 제 3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4 위치 정보는 소정의 시각효과가 각각 부여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서로 구분되도록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중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적어도 일부 명령을 제한하는 상호 잠금 기능 설정을 상기 특정 외부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특정 외부 장치로부터 잠금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잠금 신호에 따라 상기 상호 잠금 기능이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적어도 일부 명령을 제한하는 상호 잠금 기능이 특정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잠금 신호에 따라 설정되는 단계;
상기 특정 외부 장치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잠금 해제 신호가 상기 잠금 신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한 경우, 상기 상호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1821A KR101788048B1 (ko) | 2010-12-02 | 2010-12-02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US13/291,425 US8731584B2 (en) | 2010-12-02 | 2011-11-08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
EP11189796.3A EP2461552B1 (en) | 2010-12-02 | 2011-11-18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
CN201110392384.2A CN102546928B (zh) | 2010-12-02 | 2011-12-01 | 移动终端及控制移动终端的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1821A KR101788048B1 (ko) | 2010-12-02 | 2010-12-02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0358A true KR20120060358A (ko) | 2012-06-12 |
KR101788048B1 KR101788048B1 (ko) | 2017-10-19 |
Family
ID=4503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1821A KR101788048B1 (ko) | 2010-12-02 | 2010-12-02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731584B2 (ko) |
EP (1) | EP2461552B1 (ko) |
KR (1) | KR101788048B1 (ko) |
CN (1) | CN102546928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00930A (ko) * | 2012-06-26 | 2014-01-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46599B2 (ja) * | 2011-11-11 | 2015-07-08 | 株式会社東芝 | 無線通信装置 |
US9154901B2 (en) | 2011-12-03 | 2015-10-06 | Location Labs, Inc. | System and method for disabling and enabling mobile device functional components |
US8812994B2 (en) * | 2011-12-29 | 2014-08-19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restricted interaction with a user interface |
US9292195B2 (en) | 2011-12-29 | 2016-03-22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implementing restricted interactions for applications |
US9094534B2 (en) | 2011-12-29 | 2015-07-28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implementing restricted interactions with a user interface |
US9372978B2 (en) | 2012-01-20 | 2016-06-21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an application in a locked device |
JP6164800B2 (ja) * | 2012-04-20 | 2017-07-19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US9489531B2 (en) | 2012-05-13 | 2016-11-08 | Location Labs, Inc.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electronic devices |
US8781500B1 (en) * | 2012-09-12 | 2014-07-15 | Google Inc. | Proprietor-controlled location-based setting of notification policies |
US8983435B2 (en) | 2012-10-08 | 2015-03-17 | Wavemarket, Inc.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lert based on user location |
KR101885655B1 (ko) * | 2012-10-29 | 2018-09-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US9196134B2 (en) | 2012-10-31 | 2015-11-24 | Immersion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surface features on a user interface with haptic effects |
US9591452B2 (en) * | 2012-11-28 | 2017-03-07 | Location Labs, Inc. |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mobile device applications and functional components |
US10560324B2 (en) | 2013-03-15 | 2020-02-11 | Location Labs, Inc. |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user device control |
US9521521B2 (en) | 2013-09-25 | 2016-12-13 | Gamesys Ltd.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geolocation platform mechanics |
US10148805B2 (en) | 2014-05-30 | 2018-12-04 | Location Labs, Inc. |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control delegation |
US9696806B2 (en) | 2014-07-02 | 2017-07-04 | Immersion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output electrostatic haptic effects |
US9661126B2 (en) | 2014-07-11 | 2017-05-23 | Location Labs, Inc. | Driving distraction reduction system and method |
CN104216588A (zh) * | 2014-08-26 | 2014-12-17 |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终端 |
WO2016131183A1 (zh) * | 2015-02-16 | 2016-08-25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获取目标物位置信息的方法、装置及系统 |
EP3076645A1 (en) * | 2015-04-03 | 2016-10-05 | Thomson Licensing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ecurity mechanism on a mobile device |
WO2017095775A1 (en) * | 2015-12-03 | 2017-06-08 | Carrier Corporation | Authentication system with motion parameters |
WO2017131248A1 (ko) * | 2016-01-27 | 2017-08-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N106211055A (zh) * | 2016-06-22 | 2016-12-07 |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位置服务系统、方法及终端 |
US10261586B2 (en) | 2016-10-11 | 2019-04-16 | Immersion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lectrostatic haptic effects via a wearable or handheld device |
CN107644265B (zh) * | 2017-09-29 | 2024-02-06 | 汉海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 共享物品的预约方法、装置、系统及服务器 |
CN108830051A (zh) * | 2018-04-27 | 2018-11-16 | 出门问问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设备锁屏的解锁方法及装置 |
CN111385730B (zh) * | 2018-12-27 | 2022-08-05 | 北斗天地股份有限公司 | 定位终端控制方法及服务器 |
US11847174B2 (en) * | 2019-04-10 | 2023-12-19 | Open Text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geo-locked documents |
CN115989287B (zh) | 2020-08-20 | 2024-06-18 | Ppgssc株式会社 | 无溶剂涂料组合物 |
US11697301B2 (en) * | 2020-11-10 | 2023-07-11 | Baysoft LLC | Remotely programmable wearable device |
US11960615B2 (en) | 2021-06-06 | 2024-04-16 | Apple Inc. |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user profile management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898445B2 (en) | 2000-09-07 | 2005-05-24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Politeness zon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
ATE385382T1 (de) * | 2003-04-29 | 2008-02-15 |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 Mobiles gerät mit ferngesteuerter verriegelungs- und kontrollfunktion |
US7310534B2 (en) | 2003-12-16 | 2007-12-18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Location status indicator for mobile phones |
CN1671227A (zh) * | 2004-03-17 | 2005-09-21 | 北京天地宽科技有限公司 | 一种手机安全通信的方法及系统 |
JP2007318441A (ja) * | 2006-05-25 | 2007-12-06 | Toshiba Corp | 通信端末装置 |
JP2008092294A (ja) * | 2006-10-02 | 2008-04-17 | Ntt Docomo Inc |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移動体端末装置のロック方法 |
CN101155212A (zh) * | 2006-09-30 | 2008-04-02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限制移动终端使用的方法 |
CN101083816B (zh) * | 2007-07-30 | 2012-04-18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无线终端及其和用户识别卡互锁及解锁的方法 |
US20090160778A1 (en) * | 2007-12-19 | 2009-06-25 | Nokia Corporation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using variable numbers of tactile inputs |
US8099526B2 (en) * | 2008-01-22 | 2012-01-17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nd disabling a lock mode by squeezing or pinching the side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wards one another |
US8588814B2 (en) | 2008-02-05 | 2013-11-19 | Madhavi Jayanthi | Client in mobile device for sending and receiving navigational coordinates and notifications |
CN101657038A (zh) | 2008-08-22 | 2010-02-24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电子装置功能限制系统及方法 |
CN101720072B (zh) * | 2009-12-10 | 2013-05-29 | 候万春 | 一种实现手机反盗的系统和方法 |
KR101667715B1 (ko) * | 2010-06-08 | 2016-10-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
-
2010
- 2010-12-02 KR KR1020100121821A patent/KR10178804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11-08 US US13/291,425 patent/US873158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11-18 EP EP11189796.3A patent/EP2461552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1-12-01 CN CN201110392384.2A patent/CN10254692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00930A (ko) * | 2012-06-26 | 2014-01-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61552A1 (en) | 2012-06-06 |
US20120142379A1 (en) | 2012-06-07 |
US8731584B2 (en) | 2014-05-20 |
CN102546928A (zh) | 2012-07-04 |
EP2461552B1 (en) | 2019-05-22 |
KR101788048B1 (ko) | 2017-10-19 |
CN102546928B (zh) | 2015-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8048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788051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51135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068564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1013143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00062378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
KR20100083054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2004699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00128489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00053093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명력 입력 방법 | |
KR2011003706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882266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10067894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40137189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10116383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퀵 액세스 동작 제어 방법 | |
KR20110123380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20006672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00083055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00042107A (ko) |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표시정보 제어방법 | |
KR20110131910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513040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10084624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통화 제어 방법 | |
KR20100041933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맵 제공 방법 | |
KR102019116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582152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