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746A - Trpa1 조절자로서 이소티아졸로-피리미딘디온 유도체 - Google Patents

Trpa1 조절자로서 이소티아졸로-피리미딘디온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746A
KR20120001746A KR1020117023383A KR20117023383A KR20120001746A KR 20120001746 A KR20120001746 A KR 20120001746A KR 1020117023383 A KR1020117023383 A KR 1020117023383A KR 20117023383 A KR20117023383 A KR 20117023383A KR 20120001746 A KR20120001746 A KR 20120001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yl
dioxo
pyrimidin
acetamid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케에르티 쿠마르
아브라함 토마스
산제이 마갈
네엘리마 카이라트카르-조쉬
인드라닐 무코파디아이
Original Assignee
그렌마크 파머수티칼스 에스. 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렌마크 파머수티칼스 에스. 아. filed Critical 그렌마크 파머수티칼스 에스. 아.
Publication of KR20120001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74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nausea, cinetosis or vertigo; Antie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urine or of the urinary tract, e.g. urine acid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6Antimigrai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Abstract

본 발명은 TRPA(일과성 수용체 잠재 아군 A) 조절자로서 신규한 이소티아졸로[3,4-d] 피리미딘디온 및 이소티아졸로[5,4-d] 피리미딘디온 유도체에 대한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은 TRPA1(일과성 수용체 잠재 아군 A, 구성원 1)에 의해 조절되는 질병, 증상 및/또는 장애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데 유용하다. 본 명세서는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의 제조 공정, 이들의 합성에 사용되는 중간물,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및 TRPA1에 의해 조절되는 질병, 증상 및/또는 장애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114

(I)

Description

TRPA1 조절자로서 이소티아졸로-피리미딘디온 유도체 {ISOTHIAZOLO-PYRIMIDINEDIONE DERIVATIVES AS TRPA1 MODULATORS}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9년 3월 23일자로 출원된 인도 특허출원 제665/MUM/2009호 및 2009년 4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171,355호에 대해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모든 명세서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특허 출원은 일과성 수용체 잠재 안키린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ankyrin 1, TRPA1) 활성을 갖는 이소티아졸로[3,4-d]피리미딘디온 유도체 및 이소티아졸로[5,4-d]피리미딘디온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
일과성 수용체 잠재(transient receptor potential, TRP) 채널 또는 수용체는 통증 수용체이다. 이들은 일곱 가지 아군(subfamily)으로 분류된다: TRPC(정규, canonical), TRPV(바닐로이드, vanilloid), TRPM(멜라스타틴, melastatin), TRPP(폴리시스틴, polycystin), TRPML(뮤코리핀, mucolipin), TRPA(안키린, ANKTM1) 및 TRPN(NOMPC)군(family)이다. TRPC군은 서열의 기능적 유사성에 따라 4가지 아군 (i) TRPC1 (ii) TRPC2 (iii) TRPC3, TRPC6, TRPC7 및 (iv) TRPC4, TRPC5로 나눠질 수 있다. 현재 TRPV군은 6가지 구성원을 갖는다. TRPV5 및 TRPV6는 TRPV1, TRPV2, TRPV3 또는 TRPV4보다 서로 더 가깝게 연관되어 있다. TRPA1는 TRPV3와 가장 가깝게 연관되어 있고, 또한 TRPV5 및 TRPV6보다는 TRPV1 및 TRPV2와 더 가깝게 연관되어 있다. TRPM군은 8가지 구성원을 갖는다. 구성원은 다음을 포함한다: 초기 구성원 TPRM1(멜라스타틴 또는 LTRPC1), TRPM3(KIAA1616 또는 LTRPC3), TRPM7(TRP-PLIK, ChaK(1), LTRPC7), TRPM6(ChaK2), TRPM2(TRPC7 또는 LTRPC2), TRPM8(TRP-p8 또는 CMR1), TRPM5(MTR1 또는 LTRPC5) 그리고 TRPM4(FLJ20041 또는 LTRPC4). TRPML군은 TRPML1(뮤코리핀 1), TRPML2(뮤코리핀 2) 및 TRPML3(뮤코리핀 3)을 비롯한 뮤코리핀으로 구성된다. TRPP군은 두 그룹의 채널로 구성된다: 6개 막관통 도메인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그룹 및 11개 막관통 도메인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그룹. TRPP2(PKD2), TRPP3(PKD2L1), TRPP5(PKD2L2)는 모두 6개의 막관통 도메인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TRPP1(PKD1, PC1), PKD-REJ 및 PKD-1L1는 모두 11개의 막관통 도메인을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TRPA군의 유일한 포유류 구성원은 ANKTM1이다.
TRPA1는 침해수용성(nociceptive) 뉴런에서 발현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신경계의 침해수용성 뉴런은 말초의 손상을 감지하고 통증 신호를 전달한다. TRPA1는 막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형이량체(heterodimeric) 전압개폐 채널과 매우 유사하게 작동한다. TRPA1는 특정한 2차 구조를 갖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TRPA1의 N말단이 스프링 모양의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다수의 안키린 반복체와 연결된다. TRPA1는 저온(17℃에서 활성화됨), 자극적인 천연 화합물(예를 들어, 겨자, 계피 및 마늘) 및 환경 자극제를 비롯한 다양한 유해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다(MacPherson LJ et al, Nature , 2007, 445; 541-545). 유해 화합물은 시스테인의 공유결합성 변이를 통해 TRPA1 이온 채널을 활성화하여 공유결합적으로 연결된 부가물을 형성한다. 조직의 염증/손상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내생적인 분자가 TRPA1 수용체의 병리적 활성자임이 확인되었다. 이들은 염증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화 스트레스로 인해 생성되는 과산화 수소, 세포 내 지질 과산화 생성물인 알케닐 알데히드 4-HNE 및 염증/알러지 반응 과정에서 PGD2로부터 생산되는 사이클로펜테논 프로스타글란딘 15dPGJ2을 포함한다. TRPA1는 또한 말초 종말(peripheral terminal)의 조직 손상 과정에서 분비되는 브래디키닌(Bradykinin, BK)에 의해 수용체 의존적 방식으로 활성화된다
TRPA1와 다른 TRP 수용체간의 차이점은 TRPA1 리간드 결합이 몇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것으로 인해 생리적인 반응(가령, 통증)이 크게 연장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친전자체(electrophile)를 분리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길항제가 요구된다.
WO 2009/158719, WO 2009/002933, WO 2008/0949099, WO 2007/073505, WO 2004/055054 및 WO 2005/089206에서 통증 및 관련 증상의 치료를 위한 표적으로 TRP 채널이 기재된다.
급성 및 만성 통증 모두의 치료를 위한 더 나은 진통제의 발견 및 다양한 신경병증성 및 침해수용성 통증 상태의 치료제 개발을 위한 노력으로, TRPA1에 의해 조절되는 질병, 증상 및/또는 장애의 더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다음의 화학식(I)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관련된다:
Figure pct00001
(I)
여기서,
Y 및 Z는 황 또는 질소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단, Y 및 Z는 동시에 동일하지 않음;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하이드록실,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할로알킬,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아릴알킬, (CRxRy)nORx, CORx, COORx, CONRxRy, (CH2)nNRxRy, (CH2)nCHRxRy 및 (CH2)nNHCORx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3 는 수소,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알케닐, 할로알킬,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중에서 선택되고;
L 는 -(CRxRy)n-, -O-(CRxRy)n-, -C(O)-, -NRx-, -S(O)mNRx-, -NRx(CRxRy)n- 및 -S(O)mNRx(CRxRy)n 중에서 선택되는 링커이고;
U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 티아졸, 이소티아졸, 옥사졸, 이속사졸, 티아디아졸, 옥사디아졸, 피라졸, 이미다졸, 푸란, 티오펜, 피롤, 1,2,3-트리아졸 또는 1, 2, 4-트리아졸과 같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5원 헤테로사이클; 및 피리미딘, 피리딘 및 피리다진과 같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6원 헤테로사이클 중에서 선택되고;
V는 수소, 시아노, 니트로, -NRxRy, 할로겐, 하이드록실,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사이클로알케닐,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사이클로알킬알콕시, 아릴, 아릴알킬, 바이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릭 고리(ring) 및 헤테로사이클릴알킬, -C(O)ORx, -ORx, -C(O)NRxRy, -C(O)Rx, 및 -SO2NRxRy 중에서 선택되고; 또는 U 및 V 는 함께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치환된 3 내지 7원의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고리는 O, S 및 N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각 경우에 Rx Ry는 수소, 하이드록실, 할로겐,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아릴, 아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및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그리고
각 경우에 'm' 과 'n'은 0 내지 2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하기의 구체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예시된 특정 구체예에 청구범위를 제한하려 의도된 것이 아니다.
한 구체예에 따르면, 다음의 화학식(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2
(Ia)
여기서, R1, R2, U 및 V는 상기에 규정된 것과 같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R1 및 R2 이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 예를 들면 메틸인, 화학식(Ia)의 화합물이 특히 제공된다.
그리고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U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사이클, 바람직하게는 티아졸, 피라졸, 티아디아졸 또는 이속사졸이며, 치환기가 알킬, 할로겐,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또는 아릴인 화학식(Ia)의 화합물이 특히 제공된다.
그리고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V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 바람직하게는 페닐인 화학식(Ia)의 화합물이 특히 제공된다. 이 구체예에서 페닐 상의 치환기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알킬(예를 들면, 에틸, 터트 -부틸), 할로겐(예를 들면, F, Cl 또는 Br), 할로알킬(예를 들면, CF3), 할로알콕시(예를 들면, OCF3 또는 OCHF2) 및 사이클로알킬(예를 들면, 사이클로헥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그리고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음의 화학식(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3
(Ib)
여기서, R1, R2, U 및 V는 상기에 규정된 것과 같다.
그리고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R1 및 R2이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 예를 들면 메틸인 화학식(Ib)의 화합물이 특히 제공된다.
그리고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U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사이클, 바람직하게는 티아졸, 피라졸, 티아디아졸 또는 이속사졸이며, 치환기가 할로겐,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또는 아릴인 화학식(Ib)의 화합물이 특히 제공된다.
그리고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V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 바람직하게는 페닐인 화학식(Ib)의 화합물이 특히 제공된다. 이 구체예에서 페닐 상의 치환기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알킬(예를 들면, 에틸, 터트 -부틸), 할로겐(예를 들면, F, Cl 또는 Br), 할로알킬(예를 들면, CF3), 할로알콕시(예를 들면, OCF3 또는 OCHF2) 및 사이클로알킬(예를 들면, 사이클로헥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그리고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음의 화학식(Ic)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4
(Ic)
여기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및
R4, R5, R6, R7, R8 및 R9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실, 니트로, 아미노,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알콕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사이클로알킬알콕시, 아릴, 아릴알킬, 바이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및 헤테로사이클릴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그리고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R1 및 R2이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 예를 들면 메틸인 화학식(Ic)의 화합물이 특히 제공된다.
그리고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R4, R5, R6 및 R7가 알킬(예를 들면, 에틸, 터트-부틸), 할로겐(예를 들면, F, Cl 또는 Br), 할로알킬(예를 들면, CF3), 할로알콕시(예를 들면, OCF3 또는 OCHF2) 및 사이클로알킬(예를 들면, 사이클로헥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학식(Ic)의 화합물이 특히 제공된다.
그리고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R8 이 수소인 화학식(Ic)의 화합물이 특히 제공된다.
그리고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R9 이 수소인 화학식(Ic)의 화합물이 특히 제공된다.
그리고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음의 화학식(I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5
(Id)
여기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4, R5, R6, R7, R8 및 R9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실, 니트로, 아미노,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알콕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사이클로알킬알콕시, 아릴, 아릴알킬, 바이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및 헤테로사이클릴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그리고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R4, R5, R6 및 R7가 알킬(예를 들면, 에틸, 터트-부틸), 할로겐(예를 들면, F, Cl 또는 Br), 할로알킬(예를 들면, CF3), 할로알콕시(예를 들면, OCF3 또는 OCHF2) 및 사이클로알킬(예를 들면, 사이클로헥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학식(Id)의 화합물이 특히 제공된다.
그리고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R8이 수소인 화학식(Id)의 화합물이 특히 제공된다.
그리고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R9이 수소인 화학식(Id)의 화합물이 특히 제공된다.
화학식(I), (Ia), (Ib), (Ic) 및 (Id)의 화합물이 본 특허 출원에 기재된 것과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했을 때, TRPA1 활성과 관련하여 250nM 미만의, 바람직하게는, 100 nM 미만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nM 미만의 IC50을 갖는 것으로 특히 생각된다.
화학식(I), (Ia), (Ib), (Ic) 및 (Id)의 화합물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종류의 화학 구조로부터 생각될 수 있는 모든 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 그리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들을 구조적으로 포함한다는 사실이 이해되어야 한다.
TRPAl 조절자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의 TRP 동형에 대해 이 화합물이 다른 것들보다 더욱 선택적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 사용되었는데, 가령, 하나 이상의 TRPC6, TRPV5, TRPV6, TRPM8, TRPVl, TRPV2, TRPV4, 및/또는 TRPV3 보다 TRPAl 에 대해 2배, 5배, 10배,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20, 40, 50, 60, 70, 80, 또는 최소한 100- 또는 심지어 1000배 더욱 선택적이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특허 출원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최소한 하나의 화합물 및 최소한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가령,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액)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최소한 하나의 화합물을 치료적 유효량으로 포함한다. 본 특허 출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허용가능한 부형제(가령, 담체 또는 희석액)와 결합되거나 담체에 의해 희석되거나, 또는 캡슐, 소포(sachet), 종이 또는 다른 용기의 형태일 수 있는 담체 내에 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병용으로, 예를 들면, 활성 성분을 0.1 내지 99.5%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0%)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최적 투여량은 치료 조건, 투여 경로 및 환자의 나이, 몸무게 및 상태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의사의 재량일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은 TRPA1 수용체를 조절하는 데 유용하며, 여기서 조절은 다양한 질병 상태와 관련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TRPAl 조절자는 하나 이상의 소염제, 여드름치료제, 주름개선제, 흉터치유제, 건선치료제, 항(종양)증식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소독제, 편두통억제제, 각질용해제, 또는 체모성장억제제와 공동으로 투여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특허 출원은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이것을 필요로 하는 대상에 TRPA1 수용체의 억제를 불러올 수 있는 유효량으로 투여하여 대상에서 수용체를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
정의
용어 "할로겐" 또는 "할로"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포함한다.
용어 "알킬"은 오로지 탄소 및 수소 원자로 이루어지고, 불포화를 포함하지 않는, 1 내지 8개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사슬 라디칼을 가리키며, 이것은 분자의 나머지 부분과 단일 결합으로 연결되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1-메틸에틸 (이소프로필), n-부틸, n-펜틸 및 1,1-디메틸에틸(터트-부틸)이다. 용어 "C1 -6 알킬"은 1 내지 6개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사슬을 가리킨다. 다르게 지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알킬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으며, 치환되거나 미치환될 수 있다.
용어 "알케닐"은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가리키며, 이것은 2 내지 약 10개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사슬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테닐, 1-프로페닐, 2-프로페닐 (알릴), 이소-프로페닐, 2-메틸-1-프로페닐, 1-부테닐 및 2-부테닐이다. 다르게 지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알케닐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으며, 치환되거나 미치환될 수 있다.
용어 "알키닐"은 최소한 하나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가지며 2 내지 약 12개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사슬 하이드로카빌 라디칼(2 내지 약 10개 탄소 원자를 갖는 라디칼이 선호됨)을 가리키며, 예를 들면, 에티닐, 프로피닐 및 부티닐이다. 다르게 지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알키닐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으며, 치환되거나 미치환될 수 있다.
용어 "알콕시"는 핵심구조에 연결된 한 개의 산소 원자에 결합된,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된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가리킨다. 알콕시기의 예로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터트-부톡시, 펜톡시, 3-메틸 부톡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르게 지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알콕시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으며, 치환되거나 미치환될 수 있다.
용어 "할로알킬" 및 "할로알콕시"는 경우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킬 또는 알콕시를 의미하며, 여기서 알킬기 및 알콕시기는 위에서 규정된 것과 같다. 용어 "할로"는 본 명세서에서 F, Cl, Br 또는 I를 의미하는 용어 "할로겐"과 호환되어 사용된다. "할로알킬"의 예로 트리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펜타플루오로에틸, 펜타클로로에틸 4,4,4-트리플루오로부틸, 4,4-디플루오로사이클로헥실, 클로로메틸, 디클로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1-브로모에틸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할로알콕시"의 예로 플루오로메톡시, 디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톡시,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 펜타플루오로에톡시, 펜타클로로에톡시, 클로로메톡시, 디클로로메톡시, 트리클로로메톡시, 1-브로모에톡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르게 지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할로알킬" 및 "할로알콕시" 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으며, 치환되거나 미치환될 수 있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3 내지 약 12개 탄소 원자의 비-방향족 모노 또는 멀티사이클릭 고리 시스템을 나타내며, 가령,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및 사이클로헥실이다. 멀티사이클릭 사이클로알킬기의 예로 퍼하이드로나프틸, 아다만틸기 및 노보닐기, 가교된(bridged) 사이클릭기 또는 스피로바이사이클릭기, 가령, 스피로(4,4)논-2-일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르게 지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사이클로알킬기는 치환되거나 미치환될 수 있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알킬"은 알킬기에 직접 연결된 3 내지 약 8개 탄소 원자를 갖는 라디칼을 포함하는 사이클릭 고리를 가리킨다. 사이클로알킬알킬기는 주구조에 알킬기의 어떤 탄소 원자에서도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정한 구조를 생성한다. 이러한 기의 비제한적인 예로 사이클로프로필메틸, 사이클로부틸에틸 및 사이클로펜틸에틸이 포함된다. 다르게 지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사이클로알킬알킬기는 치환되거나 미치환될 수 있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알콕시"는 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알콕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여기서,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은 (넓은 범위의 양태 또는 적절한 양태에서) 위에서 규정된 것과 같다. 사이클로알킬알콕시기의 예로 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 1- 또는 2-사이클로프로필에톡시, 1-, 2- 또는 3- 사이클로프로필프로폭시, 1-, 2-, 3- 또는 4-사이클로프로필-부톡시, 사이클로부틸메톡시, 1- 또는 2- 사이클로부틸에톡시, 1-, 2- 또는 3- 사이클로부틸프로폭시, 1-, 2-, 3- 또는 4-사이클로부틸부톡시, 사이클로펜틸메톡시, 1- 또는 2-사이클로펜틸에톡시, 1-, 2- 또는 3- 사이클로펜틸프로폭시, 1-, 2-, 3- 또는 4- 사이클로펜틸부톡시, 사이클로헥실메톡시, 1- 또는 2-사이클로헥실에톡시 및 1-, 2- 또는 3- 사이클로헥실프로폭시가 포함된다. '사이클로알킬알콕시'는 바람직하게는 (C3 -6)사이클로알킬-(C1 -6)알콕시이다. 다르게 지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사이클로알킬알콕시기는 치환되거나 미치환될 수 있다.
용어 "사이클로알케닐"은 최소한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지며 3 내지 약 8개 탄소 원자를 갖는 라디칼을 포함하는 사이클릭 고리를 가리키며, 가령, 사이클로프로페닐, 사이클로부테닐 및 사이클로펜테닐이다. 다르게 지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사이클로알케닐기는 치환되거나 미치환될 수 있다.
용어 "아릴"은 하나, 두 개 또는 세 개의 고리를 포함하는 카보사이클릭 방향족 시스템을 의미하며, 이들 고리는 융합될 수 있다. 고리들이 융합되면, 고리 중 하나는 완전히 불포화되어야 하며 융합된 고리는 완전히 포화되거나, 부분적으로 불포화되거나 또는 완전히 불포화될 수 있다. 용어 "융합된"은 두 개의 인접한 원자를 1차 고리와 공통으로 가져(즉, 공유됨) 2차 고리가 존재하는 것(즉, 연결되거나 형성됨)을 의미한다. 용어 "융합된"은 용어"응축된"과 등가이다. 용어 "아릴"은 페닐, 나프틸,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 인단 및 바이페닐과 같은 방향족 라디칼을 포함한다. 다르게 지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아릴기는 치환되거나 미치환될 수 있다.
용어 "아릴알킬"은 위에서 규정한 것과 같은 알킬기에 직접 결합된, 위에서 규정한 것과 같은 아릴기, 가령, -CH2C6H5 또는 -C2H4C6H5이다. 다르게 지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아릴알킬기는 치환되거나 미치환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는 탄소 원자 및 질소, 인, 산소 및 황 중에서 선택되는 1 내지 5개 헤테로원자로 구성되는 안정한 3- 내지 15-원 고리 라디칼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이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라디칼은 모노사이클릭 고리, 바이사이클릭 고리 또는 트리사이클릭 고리 시스템일 수 있는데, 이들은 융합된, 가교된 또는 스피로고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라디칼의 질소, 인, 탄소, 산소 또는 황 원자는 선택적으로 다양한 산화 상태로 산화될 수 있다. 또한, 질소 원자는 선택적으로 4차화 될 수 있고; 고리 라디칼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포화될 수 있다(즉,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헤테로아릴). 이러한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라디칼의 예로, 아제티디닐, 아크리디닐, 벤조디옥소릴, 벤조디옥사닐, 벤조푸라닐, 카바졸릴, 신놀리닐, 디옥졸라닐, 인돌리지닐, 나프티리디닐, 퍼하이드로아제피닐, 페나지닐, 페노티아지닐, 페녹사지닐, 프탈라지닐, 피리딜, 프테리디닐, 퓨리닐, 퀴나졸리닐, 퀴녹사리닐, 퀴노리닐, 이소퀴노리닐, 테트라졸릴, 이미다졸릴,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2-옥소피페라지닐, 2-옥소피페리디닐, 2-옥소피롤리디닐, 2-옥소아제피닐, 아제피닐, 피롤릴, 4-피페리도닐, 피롤리디닐,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옥사졸릴, 옥사조리닐, 옥사조리디닐, 트리아졸릴, 인다닐, 이속사졸릴, 이소옥사조리디닐, 몰포리닐, 티아졸릴, 티아조리닐, 티아조리디닐, 이소티아졸릴, 퀴누클리디닐, 이소티아조리디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인도리닐, 이소인도리닐, 옥타하이드로인돌릴, 옥타하이드로이소인돌릴, 퀴노릴, 이소퀴노릴, 데카하이드로이소퀴노릴, 벤즈이미다졸릴, 티아디아졸릴, 벤조피라닐, 벤조티아졸릴, 벤조옥사졸릴, 푸릴, 테트라하이드로푸릴,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티에닐, 벤조티에닐, 티아몰포리닐, 티아몰포리닐기 설폭사이드, 티아몰포리닐기 술폰, 디옥사포스폴아닐, 옥사디아졸릴, 크로마닐 및 이소크로마닐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라디칼은 주구조에 어떤 헤테로 원자 또는 탄소 원자에서도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정한 구조를 생성한다. 다르게 지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는 치환되거나 미치환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은 위에서 규정된 것과 같은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라디칼을 가리킨다. 이 헤테로사이클릴 고리 라디칼 주구조에 어떤 헤테로 원자 또는 탄소 원자에서도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정한 구조를 생성한다. 다르게 지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헤테로사이클릴기는 치환되거나 미치환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알킬"은 알킬기에 직접 결합된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라디칼을 가리킨다. 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라디칼은 알킬기 주구조에 어떤 탄소 원자에서도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정한 구조를 생성한다. 다르게 지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헤테로사이클릴알킬기는 치환되거나 미치환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라디칼을 가리킨다. 이 헤테로아릴 고리 라디칼은 주구조에 어떤 헤테로원자 또는 탄소 원자에서도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정한 구조를 생성한다. 다르게 지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헤테로아릴기는 치환되거나 미치환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알킬"은 알킬기에 직접 결합된 헤테로아릴 고리 라디칼을 가리킨다. 이 헤테로아릴알킬 라디칼은 알킬기 주구조에 어떤 탄소 원자에서도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정한 구조를 생성한다. 다르게 지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헤테로아릴알킬기는 치환되거나 미치환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치환된"은 다음의 치환기 중 하나 이상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치환된 것을 가리킨다: 하이드록시, 할로겐, 카복실, 시아노, 니트로, 옥소(=O), 티오(=S),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할로알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콕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할로알콕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케닐,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키닐,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알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사이클로알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사이클로알케닐알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사이클로알케닐,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미노,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사이클릴알킬 고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알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구아니딘, -COORx', -C(O)Rx', -C(S)Rx', -C(O)NRx'Ry', -C(O)ONRx'Ry', -NRx'CONRy'Rz', -N(Rx')SORy', -N(Rx')SO2Ry', -(=N-N(Rx')Ry'), -NRx'C(O)ORy', -NRx'Ry', -NRx'C(O)Ry', -NRx'C(S)Ry', -NRx'C(S)NRy'Rz', -SONRx'Ry', -SO2NRx'Ry', -ORx', -ORx'C(O)NRy'Rz', -ORx'C(O)ORy', -OC(O)Rx', -OC(O)NRx'Ry', -Rx'NRy'C(O)Rz', -Rx'ORy', -Rx'C(O)ORy', -Rx'C(O)NRy'Rz', -Rx'C(O)Ry', -Rx'OC(O)Ry', -SRx', -SORx', -SO2Rx' 및 -ONO2, 여기서 Rx' , Ry' 및 Rz' 는 수소,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콕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케닐,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키닐,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알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사이클로알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사이클로알케닐,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미노,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알킬 고리,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알킬기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용어 상태, 장애 또는 증상의 "치료(treating 또는 treatment)"는 다음을 포함한다; (a) 아직 상태, 장애 또는 증상의 임상적 또는 준임상적 증상을 경험하거나 나타내지 않지만, 상태, 장애 또는 증상으로 고통받거나 상태, 장애 또는 증상을 겪을 수 있는 대상에서 진전되는 상태, 장애 또는 증상의 임상적 증상의 발생을 예방 또는 지연하는 것; (b) 상태, 장애 또는 증상을 억제하는 것, 즉, 질병 또는 이의 최소한 하나의 임상적 또는 준임상적 증상의 진전을 정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 또는 (c) 질병을 완화시키는 것, 즉 상태, 장애 또는 증상 또는 이의 최소한 하나의 임상적 또는 준임상적 증상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
용어 "대상"은 포유류(특히 인간) 및 다른동물을 포함하며, 가령, 가축(예를 들면, 개와 고양이를 비롯한 애완 동물) 및 가축이 아닌 동물(예를 들면 야생동물)이다.
"치료적 유효량"은 상태, 장애 또는 증상을 치료하려는 대상에 투여할 경우, 그러한 치료 효과를 드러내는 데 충분한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이 "치료적 유효량"은 화합물, 질병 및 이의 중증도 및 치료받는 대상의 연령, 체중, 신체 조건 및 반응도에 따라 달라진다.
본 특허 출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특허 출원의 부분을 형성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예로 유기 염기의 무기 염기염, 키랄염기의 염, 천연 아미노산의 염 및 비-천연 아미노산의 염으로부터 파생된 염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학식(I), (Ia), (Ib), (Ic) 및 (Id)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입체이성질체 형태 (가령,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거울상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입체이성질체 형태(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거울상이성질체를 포함)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다양한 입체이성질체 형태는 당해 분야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거나 또는 소정의 이성질체가 입체 특이적 또는 비대칭적 합성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의 호변이성체 형태 및 이의 혼합물이 또한 나타난다.
약제학적 조성물
본 특허 출원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최소한 하나의 화합물 및 최소한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가령,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액)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을 대상(가령, 인간)에서 TRPA1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포함한다. 화학식 (I), (Ia), (Ib), (Ic) 및 (Id)에 해당되는 화합물의 억제 활성은 아래에 제공된 검사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가령, 담체 또는 희석액)와 결합되거나 또는 담체에 의해 희석되거나, 또는 캡슐, 소포(sachet), 종이 또는 다른 용기의 형태일 수 있는 담체 내에 봉해질 수 있다.
이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 화합물은 담체와 혼합되거나, 또는 담체에 의해 희석되거나, 또는 캡슐, 소포, 종이 또는 다른 용기의 형태일 수 있는 담체 내에 봉해질 수 있다. 담체가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우에, 담체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물질일 수 있으며 활성 화합물에 대해 매체(vehicle), 부형제 또는 매질로 이용된다. 활성 화합물은 과립고체용기, 예를 들면 소포(sachet)에 흡착될 수 있다.
이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형태, 예를 들면, 캡슐, 타블렛, 에어로졸, 용액, 현탁액 또는 국부도포제품의 형태일 수 있다.
치료 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은 TRPA1의 억제를 통해 치료가능한 임의의 장애, 증상 또는 질병의 치료를 위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은 TRPA1 수용체로 매개된 또는 이와 관련된 다음의 질병, 증상 및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적절하다: 통증, 만성적 통증, 복합부위통증증후군, 신경성 동통, 수술후 통증, 류마티스 관절염 통증, 골관절염 통증, 허리 통증, 내장통, 암 통증, 통각과민, 신경통, 편두통, 신경병증, 약물치료-유발성 신경병증, 안점막-자극, 기관지-자극, 피부-자극(아토피 피부염), 동상(냉상), 경직증, 긴장증, 강직증, 파킨슨병, 당뇨성 신경병증, 좌골 신경통, HIV 관련 신경병증, 대상포진후신경통, 섬유근육통, 신경 손상, 국소빈혈, 신경퇴화, 뇌졸중, 뇌졸중 후 중추성 통증, 다발성 경화증, 호흡기 질환, 천식, 기침, COPD, 염증 질환, 역류성식도염, 위-식도 역류 질환(GERD),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대장 질환, 골반 과민성, 요실금, 방광염, 화상, 건선, 습진, 구토, 위 십이지장 궤양 및 소양증. TRPA1의 억제와 치료적 효과간의 관계는 가령, Story, G. M. et al. Cell , 2003, 112, 819-829; McMahon, S.B. and Wood, J. N., Cell , 2006, 124, 1123-1125; Voorhoeve, P. M. et al. Cell , 2006, 124, 1169-1181; Wissenbach, U, Niemeyer, B. A. and Flockerzi, V. Biology of the Cell , 2004, 96, 47-54 및 상기 문헌에 인용된 참고문헌에 예시된다.
통증은 급성이거나 만성일 수 있다. 급성 통증이 일반적으로 자한성(self-limiting)인 반면, 만성적 통증은 3개월 또는 더 길게 지속되며 환자의 성격에 중대한 변화를 줄 수 있다; 삶의 방식, 기능적인 능력 및 전반적인 삶의 질(K. M. Foley, Pain, in Cecil Textbook of Medicine; J. C. Bennett & F. Plum (eds.), 20th ed., 1996, 100-107). 통증의 전달은 어떤 횟수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자극에 의해 촉발될 수 있으며 이 유해 자극에 대한 반응을 매개하는 감각 뉴런은 "침해수용기(nociceptor)"라 불린다. 침해수용기는 화학적, 기계적, 열 및 양성자(pH<6) 형식을 비롯한 많은 다양한 유해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1차 감각 구심성(primary sensory afferent)(C 및 Aδ섬유) 뉴런이다. 침해수용기는 손상으로 고통받는 몸의 부분을 감지하고 반응하는 신경이다. 이들은 조직 자극, 임박한 손상, 또는 실제 손상에 대한 신호를 보낸다. 활성화되면, 이들은 통증 신호를 뇌에(말초 신경 및 척수 신경을 통해) 전달한다.
만성적 통증은 침해수용성 또는 신경병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침해수용성 통증은 조직 손상-유발 통증 및 관절염에 관련된 것과 같은 염증성 통증을 포함한다. 신경병성 통증은 말초 도는 중추 신경계의 감각 신경의 손상에 기인하며 이상 체감각 정보처리에 의해 지속된다. 이 통증은 전형적으로 한 부위에 국한되며, 지속적이고 때로는 쑤시거나 지끈거리는 성질을 갖는다. 내장 통증은 침해수용성 통증의 아형(subtype)으로 내부 장기와 연관된다. 이것은 대개 일시적이고 부위가 다발적이다. 침해수용성 통증은 보통 시한적이고, 이것은 조직 손상이 회복되면 통증이 전형적으로 사라짐을 의미한다(관절염은 독특한 예외로, 시한적이지 않다).
일반적인 제조 방법
일반식(I), (Ia), (Ib) 및 (Ic)의 화합물 및 특정 실시예를 비롯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도식 1-10에 도시된 반응 도식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산, 염기, 시약, 결합제, 용매 등이 언급된 하기의 도식에서, 다른 적절한 산, 염기, 시약, 결합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이 주지된다. 반응 조건, 예를 들면 온도, 반응 시간 또는 이들의 조합의 변형이 본 발명의 일부분으로 간주된다. 일반적인 반응 도식을 이용하여 얻어진 화합물은 충분한 순도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유기 화합물의 정제 방법, 예를 들면, 결정화, 또는 상이한 용매를 적절한 비율로 이용한 실리카겔 또는 알루미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의해 정제될 수 있다. 모든 가능한 입체이성질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일반식(I)의 이소티아졸로 피리미디닐 아세트아미드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접근법은 도식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Y, Z, R1, R2, R3, U, V 및 L 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규정된 것과 같다. 화학식(1)의 카복실산과 일반식(2)의 아민의 결합 반응은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EDCI)와 같은 적절한 결합제의 존재에서 적절한 염기 및 용매를 이용하여 화학식(3)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4)의 적절한 알킬화제를 사용한 화학식(3)의 화합물의 선택적인 N-알킬화는 염기 및 용매의 존재에서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도식 1
Figure pct00006
화학식( Ia )의 이소티아졸로[3,4- d ]피리미디닐 아세트아미드의 합성을 위한 한 접근법이 도식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며, 여기서 R 1 , R 2 , U 및 V 는 상기에 규정된 것과 같다. 6-아미노-1,3- 디알킬우라실 -5- 카보디티오에이트(6)는 적절한 염기의 존재에서 6-아미노-1,3- 디알킬우라실(5)과 카본 설파이드 및 디메틸 설페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며 이는 Kobayashi G. et al . Yakugaku Zasshi , 1979, 515-520에 보고된 바와 같다. 화학식(6)의 화합물은 Kobayashi G. et al . Yakugaku Zasshi, 1979, 989-992 및 Kobayashi, G. et . al . Heterocycles, 1979, 485-488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적절한 용매의 존재에서 아이오다인을 이용하여 산화적 고리화되며 3-메틸설파닐이소티아졸로[3,4-d]피리미딘디온(7)를 제공한다. 적절한 용매의 존재에서 옥손(oxone)을 이용한 메틸설파닐 이소티아졸(7)의 산화는 예상된 설폰 유도체(8)를 우수한 수율로 제공한다. 적절한 용매에서 수산화 나트륨과 같은 적절한 염기의 존재에서 설폰(8)과 디알킬 말로노에이트(9)의 반응은 화학식(10)(여기서 R은 알킬)의 디에스테르를 제공한다. 수산화 나트륨과 같은 적절한 염기를 이용한 디에스테르(10)의 탈알콕시카보닐화는 원하는 이소티아졸로[3,4-d]피리미디닐 에스테르(11)를 제공했다. 에스테르(11)는 수성 산으로 가수분해되어 화학식(12)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EDCI와 같은 적절한 결합제의 존재에서 화학식(12)의 카복실산은 일반식(2)의 아민과 결합되어 일반식(Ia)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도식 2
Figure pct00007
화학식(Ia)의 이소티아졸로[3,4-d]피리미디닐 아세트아미드의 합성을 위한 또 다른 접근법은 도식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중간물(8)의 메틸설포닐 기는 적절한 염기의 존재에서 화학식(13)(여기서 R은 알킬)의 활성 에스테르로 변위(displacement)되어 화학식(14)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14)는 적절한 염기 및 용매의 존재에서 탈알콕시카보닐화되어 일반식(Ia)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도식 3
Figure pct00008
화학식(Ia)의 이소티아졸로[3,4-d]피리미디닐 아세트아미드의 합성을 위한 한 대안적 접근법은 도식 4에 기재된 바와 같다. 화학식(15)의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화학식(5)의 6-아미노우라실로부터 보고된 절차에 따른 두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Hirota, K. et al . Tetrahedron , 1996, 52, 9971-9978). 적절한 용매에서 레드 테트라아세테이트(lead tetraacetate)를 이용한 화학식(15)의 화합물의 고리화는 화학식(16)의 융합된 이소티아졸 유도체를 제공하며, 이 유도체는 BF3-에테레이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닉 애시드에서 N-브로모석신이미드 또는 N-아이오도석신이미드를 이용하여 할로겐화되어 화학식(17)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이 전환은 George, O. L. et al . J. Am . Chem ., 2004, 126, 15770-15776에 보고된 절차를 따른 것이다. 할라이드(17)는 Kotha et al . Synlett 2005, 12, 1877-1890에 기재된 스즈키-미야우라 결합 반응과 유사한 절차를 이용하여 Pd(0)의 존재에서 화학식(18)의 알릴 보로닉 애시드와 스즈키-미야우라 결합 반응되어 상응하는 화학식(19)의 알릴 이소티아졸 유도체로 변환될 수 있다. 화학식(19)의 화합물은 문헌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말단의 올레핀이 산화적 분해되는 것을 이용하여 카복실산(12)으로 변환된다. 표준 아미드 결합 방법을 이용한 화학식(12)의 화합물과 일반식(2)의 아민의 결합은 일반식(Ia)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도식 4
Figure pct00009
화학식(Ib)의 이소티아졸로[5,4-d]피리미디닐 아세트아미드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접근법이 도식 5에 나타나며, 여기서 R1, R2, U 및 V는 상기에 규정된 바와 같다. 공지된 6-클로로-1,3-디메틸우라실(20)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1,3-디알킬바르비투릭 애시드로부터 보고된 절차에 따라 제조된다. 적절한 용매의 존재에서 6-클로로-1,3-디알킬우라실(20)과 소듐 하이드로설파이드 하이드레이트의 반응은 화학식(21)의 6-메르캅토-1,3-디알킬우라실을 제공한다(이것은 Itoh, T. et al . Chem. Pharma . Bull. 1981, 29 (4), 1039-1043에 보고된 절차와 유사하다). 6-메르캅토-1,3-디알킬우라실(21)은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 및 아세트산의 존재에서 말론산과 고리화되어 5-하이드록시티오피라노[2,3-d]피리미딘트리온(22)을 제공한다. 화학식(22)의 화합물은 적절한 용매에서 트리에틸아민 또는 소듐 알콕사이드와 같은 적절한 염기의 존재에서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이용한 포스너 반응(Posner reaction)을 거쳐 예상된 이소티아졸로[5,4-d]피리미디닐 아세틱 애시드(23)를 제공한다. (이것은 Posner, T. et al . Chem. Ber., 1913, 46, 3816 및 Giannella, M. et al . Phytochemistry 1971, 10, 539-544에 보고된 절차를 따른 것이다). 표준 아미드 결합 방법을 이용한 화학식(23)의 화합물과 일반식(2)의 개별적인 아민과의 결합 반응은 일반식(Ib)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이소티아졸로[5,4-d]피리미디닐 아세틱 애시드(23)는 또한 공지된 에스테르화 방법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에스테르(24)로 전환될 수 있다. (24)와 일반식(2)의 다양한 아민의 수산화 나트륨으로 매개된 결합 반응은 일반식(Ib)의 아미드를 제공한다.
도식 5
Figure pct00010
화학식(Ib)의 이소티아졸로[5,4-d]피리미디닐 아세트아미드의 합성을 위한 또 다른 접근법은 도식 6에 나타난 바와 같다. 합성은 쉽게 입수가능한 화학식(25)의 바르비투르산으로부터 시작된다. 공지된 화학식(26)의 6-클로로-5-포르밀우라실은 보고된 절차에 따라 제조된다(Singh, J. S. et al , Synthesis 1988, 342-344). 6-클로로-5-포르밀-1,3-디알킬우라실(26)은 메탄올에서 하이드록실아민과 반응한 뒤,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로 탈수화되어 화학식(27)의 6-클로로-5-시아노-1,3-디알킬우라실을 제공한다. 화학식(27)의 6-클로로-5-시아노-1,3-디알킬우라실은 소듐 하이드로설파이드 하이드레이트와 반응하여 6-메르캅토-5-시아노우라실 유도체(28)로 전환될 수 있다. 6-메르캅토-5-시아노 유도체(28)는 적절한 용매의 존재에서 클로라민을 이용하여 고리화되어 아미노이소티아졸(29)을 제공한다. 아미노이소티아졸(29)은 디아조화되고 이후 코퍼 할라이드(가령, 코퍼 브로마이드 또는 코퍼 아이오다이드)로 할라이드 치환되어 화학식(30)의 할라이드 유도체를 제공한다. 할라이드(30)는 도식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학식(18)의 알릴 보로닉 애시드 피나콜 에스테르와 스즈키-미야우라 결합 반응하여 화학식(31)의 알릴 이소티아졸로 변환될 수 있다. 적절한 용매에서 적절한 산화제를 이용하여 화학식(31)의 알릴 이소티아졸의 말단 이중 결합이 산화적 분해되어 화학식(23)의 이소티아졸로[5,4-d]피리미디닐아세틱 애시드로 전환될 수 있다. 표준 아미드 결합 방법을 이용한 화학식(23)의 화합물과 일반식(2)의 아민의 결합은 일반식(Ib)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도식 6
Figure pct00011
화학식( Ic )(여기서 R 1 , R 2 , R 4 , R 5 , R 6 , R 7 , R 8 R 9 는 상기에 규정된 바와 같음)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접근법이 도식 7에 도시된다. 적절한 용매에서(예를 들면, 톨루엔, 자일렌) 그리고 적절한 염기(예를 들면, 수산화 나트륨)를 이용하여 일반식(11)의 화합물과 화학식(37)의 적절한 아민이 직접 결합되어 일반식( Ic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일반식( Ic )의 화합물은 산성 조건 하에 (11)이 가수분해되어 카복실산(12)을 제공한 뒤, 적절한 용매 또는 용매의 혼합물에서 적절한 결합제[예를 들면, N -에틸- N ' -(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DCI ), 벤조트리아졸 -1- 일옥시트리스 (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BOP ])를 이용하여 일반식(37)의 아민과 결합되어 일반식( Ic )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두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도식 7
Figure pct00012
화학식( Id )(여기서 R 1 , R 2 , R 4 , R 5 , R 6 , R 7 , R 8 R 9 는 상기에 규정된 바와 같음)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접근법이 도식 8에 도시된다. 적절한 용매 또는 용매의 혼합물에서 적절한 결합제[예를 들면, N -에틸- N ' -(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 EDCI ), 벤조트리아졸 -1- 일옥시트리스 (디메틸아미노)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BOP ])를 이용하여 일반식(23)의 화합물과 화학식(37)의 적절한 아민이 직접 결합되어 일반식( Id )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일반식( Id )의 화합물은 또한 (23)이 에스테르화되어 상응하는 화학식(24)의 에스테르를 제공한 뒤, 적절한 용매에서(예를 들면, 톨루엔, 자일렌) 그리고 적절한 염기(예를 들면, 수산화 나트륨)를 이용하여 일반식(37)의 아민과 결합되어 일반식( Id )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두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도식 8
Figure pct00013
도식 9는 공지된 접근법을 이용하여 화학식(36)의 아세토페논으로부터 제조되는 화학식(37)(여기서 R4, R5, R6, R7, R8 및 R9는 본 명세서의 앞에서 규정된 바와 같음)의 2-아미노-4-아릴 티아졸의 합성을 도시한다. 특정 이치환 및 삼치환된 아세토페논은 상업적으로 입수불가능했으며 상응하는 화학식(32)의 벤조산 유도체로부터 세 단계로 제조되었다. 따라서, 화학식(32)의 애시드는 건조 디클로로메탄에서 촉매량의 DMF의 존재에서 옥살릴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화학식(33)의 상응하는 애시드 클로라이드로 전환되었다. 화학식(33)의 애시드 클로라이드는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적절한 염기의 존재에서 화학식(34)의 N,O-디메틸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처리되어 상응하는 화학식(35)의 와인랩(Weinreb) 아미드로 전환되었다. 화학식(35)의 와인랩 아미드에 메틸 마그네슘 아이오다이드가 첨가되어 화학식(36)의 아세토페논 유도체를 제공했다.
화학식(36)의 아세토페논 유도체의 화학식(37)의 2-아미노-4-치환된 아릴 티아졸로의 전환은 도식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두 가지 접근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첫 번째 경우에서 아세토페논은 상응하는 페나실 브로마이드로 전환되었고, 이는 다시 환류 조건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적절한 용매에서 티오우레아와 반응되었다. 대안적으로, 화학식(36)의 아세토페논 유도체는 환류 에탄올에서 티오우레아 및 아이오다인과 반응하여 한 단계로 2-아미노-4-아릴 티아졸(37)로 전환될 수 있다(Carroll, K. et al . J. Am . Chem . Soc., 1950, 3722 및 Naik, S. J.; Halkar, U. P., ARKIVOC , 2005, xiii, 141-149).
도식 9
Figure pct00014
3-아미노-1- 아릴피라졸이 도식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화학식(38)의 페닐하이드라진 유도체(여기서 R 4 , R 5 , R 6 , R 7 R 8 은 본 명세서의 앞에서 규정된 바와 같음)는 환류 에탄올에서 소듐 에톡사이드 또는 소듐 메톡사이드와 같은 적절한 염기의 존재에서 아크릴로니트릴과 반응하여 화학식(39)의 화합물인 디하이드로 유도체가 제공된다. 중간물(39)은 Duffin , G. F. et al , J. Chem . Soc ., 1954, 408-415에 보고된 바와 같이 N-브로모석신이미드로 산화되어 화학식(40)의 3-아미노-1-아릴피라졸 유도체를 제공한다.
도식 10
Figure pct00015
본 발명에 기재된 중간물 실시예는 하기에 기재된 절차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이들 중간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대안적 접근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음이 주지된다.
실험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워크업(work-up)은 괄호안에 나타낸 유기 및 수성 상 간의 반응 혼합물의 분배, 층의 분리 및 황산 나트륨을 이용한 유기층의 건조, 여과 및 용매의 증발을 포함한다. 정제(purification)는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기술에 의한 정제, 일반적으로 이동상으로서 적절한 극성을 갖는 에틸 아세테이트/페트롤륨 에테르 혼합물을 이용하는 정제를 포함한다. 상이한 용리 시스템의 사용이 괄호안에 나타난다. 다음의 약어가 본문에서 사용된다: DMSO-d 6: 헥사듀테로디메틸 설폭사이드;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M.P.: 녹는 점; J: Hz단위로 된 결합 상수; RT 또는 rt: 실온(22-26℃). Aq.: 수성; AcOEt: 에틸 아세테이트; equiv. 또는 eq.: 당량.
중간물
중간물 1
(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틱 애시드
Figure pct00016
단계 1: 메틸 6-아미노-1,3-디메틸-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5-카보디티오에이트: DMSO(488 ml)에 6-아미노-1,3-디메틸 우라실(50.0 g, 322.24 mmol)이 혼합된 용액에 8 N 소듐 하이드록사이드(96.6 ml) 및 카본 디설파이드(12.53 ml, 209.45 mmol)의 용액을 0℃에서 점적하여 첨가했다. 수득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거칠게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0-5℃로 냉각시키고 디메틸 설페이트(31 ml, 418 mmol)를 30분에 걸쳐 점적하여 첨가했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으로 가온하고 추가적으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이후 물(500 ml)로 희석시킨 뒤, 침전된 고형물을 여과하여 수집하여 황색 고형물인 생성물 30.2g을 제공했다; 1H NMR (300 MHz, CF3COOD) δ 2.73 (s, 3H), 3.51 (s, 3H), 3.62 (s, 3H).
단계 2 : 5,7-디메틸-3-(메틸설파닐)[1,2]티아졸로[3,4-d]피리미딘-4,6(5H,7H)-디온: 건조 DMSO(250 ml)에서 단계 1 중간물(15.0 g, 60.64 mmol) 및 아이오다인(15.39 g, 60.64 mmol)의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 3시간 동안 100℃로 가열했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200 ml)에 넣어 퀀칭(quenching)시킨 뒤, 분리되어 나온 고형물을 여과하고 소듐 티오설페이트(150 ml)의 포화용액, 물(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회백색 고형물 13.4g을 얻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2.67 (s, 3H), 3.18 (s, 3H), 3.40 (s, 3H).
단계 3: 5,7-디메틸-3-(메틸설포닐)[1,2]티아졸로[3,4-d]피리미딘-4,6(5H,7H)-디온: 아세토니트릴 및 물(1:1, 213.8 ml)의 혼합물에 단계 2 중간물( 13.0 g, 53.49 mmol)이 혼합된 용액에 옥손(98.5 g, 160.49 mmol)을 첨가하고 수득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시켰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얻어진 잔여물을 클로로포름(500 ml)에 용해시키고, 염수(brine)(150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켜 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12.6g을 제공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6 (s, 3H), 3.49 (s, 3H), 3.71 (s, 3H).
단계 4: 디에틸(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프로판디오에이트: 건조 DMSO(113 ml)에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3.6 g, 90.9 mmol)이 혼합된 현탁액에 디에틸말로노에이트(14.56 g, 90.9 mmol)를 실온에서 질소 대기하에 첨가했다. 수소 방출을 중단시킨 후, 단계 3 중간물(12.5 g, 45.45 mmol)을 첨가하고 2시간 동안 80℃로 가열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pH 5로 만들고 반응 혼합물을 찬물(300 ml)로 희석시켰다. 침전된 고형물을 여과로 수집하여 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13.9g을 제공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1.32 (t, J = 7.2 Hz, 6H), 3.40 (s, 3H), 3.64 (s, 3H), 4.24-4.37 (m, 4H), 6.05 (s, 1H).
단계 5: 에틸 (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테이트: 건조 에탄올(155 ml)에 단계 4 중간물(13.8 g, 38.8 mmol)을 혼합한 용액에 촉매량의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355 mg, 8.87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 48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과량의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여물을 얼음조(ice bath)에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물에 1 N HCl을 천천히 첨가하고 얻어진 고형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건조하여 황색 고형물인 생성물 9.1g을 제공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1.34 (t, J = 6.9 Hz, 3H), 3.40 (s, 3H), 3.63 (s, 3H), 4.30 (q, J = 6.9 Hz, 2H), 4.50 (s, 2H)
단계 6: (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틱 애시드: 표제 화합물이 상기 단계 5 중간물(9.0 g, 31.8 mmol), 6 N H2SO4(80 ml) 및 디옥산(80 ml)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황색 고형물인 생성물 5.8g을 제공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2 (s, 3H), 3.46 (s, 3H), 4.51 (s, 2H), 13.45 (br s, 1H).
중간물 2
(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틱 애시드
Figure pct00017
단계 1: 6-클로로-1,3-디메틸피리미딘-2,4(1H,3H)-디온: 물(10 ml)에 1,3-디메틸바르비투릭 애시드(20.0 g, 128.09 mmol)을 혼합한 용액에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80 ml)를 외부 냉각으로 천천히 첨가하고 반응물을 이후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얼음물(350 ml)로 퀀칭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클로로포름(2 x 200 ml)으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담갈색 고형물인 생성물 21.0g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3.33 (s, 3H), 3.57 (s, 3H), 5.94 (s, 1H).
단계 2: 6-메르캅토-1,3-디메틸피리미딘-2,4(1H,3H)-디온: 물(125 ml)에서 소듐 하이드로설파이드 하이드레이트(74.77 g, 1335.243 mmol)의 용액을 얼음물 수조에서 클로로포름(250 ml) 및 에탄올(636 ml)에 단계 1(50.0 g, 286.532 mmol)이 혼합된 용액에 점적하여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진공하에(in vacuo) 증발로 건조시켰다. 얻어진 잔여물을 물(100 ml)에 용해시키고 디클로로메탄(2 x 100 ml)으로 추출했다. 수성 층을 1 N HCl로 산성화했다. 침전된 고형물을 여과하고, 물(2 x 100 ml)로 세척한 뒤 건조시켜 담황색 고형물인 생성물 49.22g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3.33 (s, 3H), 3.74 (s, 3H), 4.17 (s, 2H).
단계 3: 5-하이드록시-1,3-디메틸-2H-티오피라노[2,3-d]피리미딘-2,4,7(1H,3H)-트리온: 단계 2 중간물(12.75 g, 74.127 mmol), 말론산(9.30 g, 88.953 mmol), 아세트산(7.41 ml) 및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16.8 ml)의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 2시간 동안 80℃로 가열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50 ml)로 퀀칭시켰다. 침전된 고형물을 여과하고, 물(2 x 50 ml)로 세척한 뒤 잘 건조시켜 갈색 고형물인 생성물 14.4g을 얻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8 (s, 3H), 3.48 (s, 3H), 5.73 (s, 1H), 13.76 (br s, 1H).
단계 4: (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이소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틱 애시드: 건조 메탄올(150 ml)에서 단계 3 중간물(14.4 g, 60.00 mmol), 하이드록실 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4.6 g, 210.00 mmol) 및 트리에틸아민(30.4 ml, 216.00 mmol)의 혼합물을 약 48시간 동안 질소 대기하에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증발로 건조시켜 얻어진 잔여물을 탄산수소나트륨의 포화 용액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시켰다. 수성상을 산성화한 후, 생성물을 클로로포름(3 x 100 ml)으로 추출했다. 조합된 유기 층을 건조시켜(Na2SO4) 농축시켰다. 얻어진 잔여물을 아세톤(20 ml)으로 트리터레이션(trituration)시켰다. 침전된 고형물을 여과로 수집하여 담황색 고형물인 생성물 2.58g을 얻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2 (s, 3H), 3.46 (s, 3H), 3.96 (s, 2H), 12.57 (br s, 1H).
중간물 3
에틸(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테이트
Figure pct00018
건조 에탄올(20.0 ml)에서 중간물 2(2.00 g, 7.835 mmol) 및 농축된 황산(0.5 ml)의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완전히 증발시키고 얻어진 잔여물을 물(50 ml)로 희석시켰다. 침전된 고형물을 여과하고, 물(3 x 50 ml)로 세척한 뒤 잘 건조시켜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1.75g을 제공했다; 1H NMR (300 MHz, CDCl3) δ 1.28 (t, J = 7.2 Hz, 3H), 3.39 (s, 3H), 3.56 (s, 3H), 4.12 (s, 2H), 4.21 (q, J = 6.9 Hz, 2H).
2-아미노-4-아릴 티아졸의 제조를 위한 일반 절차:
방법 1
0℃에서 빙초산(5 vol)에 섞인 아세토페논 유도체(1.0 equiv.)의 용액에 액상 브롬(1.0 equiv.)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뒤, 염수로 세척하여 Na2SO4로 건조시켰다. 농축으로 수득된 미정제 생성물을 건조 THF(10 vol)에 용해시키고 티오우레아(2.0 equiv.)를 첨가한 뒤 밤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소듐 티오설페이트 용액으로 세척한 뒤, 유기층을 1 N HCl로 처리하여 아민의 염을 형성시켰다. 침전된 염을 여과하여 수집했다. 이후 염을 NaHCO3의 포화 용액으로 처리하여 아민을 재생성시켰다.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2 x 50 ml)으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 추출물을 물과 염수로 세척했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고 2-아미노-4-아릴-티아졸 유도체를 제공했다.
방법 2
건조 에탄올 (5 vol)에 아세토페논 유도체(1.0 equiv.), 티오우레아(2.0 equiv.) 및 아이오다인(1.0 equiv.)을 섞은 용액을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시키고 층을 분리시켰다. 유기층을 소듐 티오설페이트 용액으로 세척하여 아이오다인을 제거했다.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1N HCl로 처리하고 침전된 염을 여과하여 수집했다. 앞서 제공된 방법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유리 아민을 재생성시켰다.
모든 2-아미노-4-아릴-티아졸 유도체는 적절한 아릴 알킬 케톤에서 시작하여 방법 1 또는 방법 2에 의해 제조된다. 선택된 중간물의 구조 정보 및 성질 데이터가 표 1에 제공된다.
선택된 2-아미노티아졸 중간물의 구조 세부사항 및 1H NMR 데이터
S N. 구조 분자식
(분자량)
1 H NMR ppm , 300 MHz )
1.
Figure pct00019
C 9 H 7 BrN 2 S
(255.14)
DMSO - d 6 : 7.61 (d, J = 8.1, 2H); 7.46 (d, J = 7.8, 2H); 6.70 (s, 1H); 4.99 ( br . s, 2H).
2.
Figure pct00020

C 9 H 7 ClN 2 S
(210.68)
DMSO - d 6 : 7.78 (d, J = 8.4, 2H); 7.39 (d, J = 7.8, 2H); 7.07 ( br . s, 2H); 7.05 (s, 1H).
3.
Figure pct00021
C 10 H 7 F 3 N 2 S
(244.24)
CDCl 3 : 8.12-8.06 (m, 1H); 7.91 (d, J = 6.9, 1H); 7.50-7.42 (m, 2H); 6.79 (s, 1H); 5.02 ( br . s, 2H).
4.
Figure pct00022
C 13 H 16 N 2 S
(232.35)
DMSO - d 6 : 1.28 (s, 9H), 6.89 (s, 1H), 7.01 ( br .s, 2H), 7.34 (d, J = 9.0 Hz , 2H), 7.67 (d, J = 8.1 Hz, 2H)
5.
Figure pct00023
C 11 H 12 N 2 S
(220.07)
CDCl 3 : 7.66 (d, J = 7.8, 2H); 7.20 (d, J = 7.5, 2H); 6.65 (s, 1H); 5.06 ( br . s, 2H); 2.65 (d, J = 7.5, 2H); 1.24 (t, J = 7.2, 3H).
6.
Figure pct00024
C 15 H 18 N 2 S
(258.38)
CDCl 3 : 7.65 (d, J = 7.8, 2H); 7.18 (d, J = 7.8, 2H); 6.63 (s, 1H); 5.12 ( br .s, 2H); 2.52-2.45 (m, 1H); 1.90-1.80 (m, 6H); 1.45-1.38 (m, 4H).
7.
Figure pct00025
C 13 H 16 N 2 S
(260.24)
CDCl 3 : 7.09 (s, 1H), 7.13 ( br .s, 2H), 7.35 (d, J = 8.4, 2H); 7.90 (d, J = 8.1, 2H).
8.
Figure pct00026
C 9 H 6 Cl 2 N 2 S
(245.13)
DMSO - d 6 : 7.80 (s, 2H); 7.46-7.40 (m, 1H); 7.31 (s, 1H); 7.17 ( br . s, 2H).
9.
Figure pct00027
C 9 H 6 Cl 2 N 2 S
(245.13)
CDCl 3 : 7.85 (s, 1H); 7.56 ( dd , J = 8.4, 2.1, 1H); 7.39 (d, J = 8.4, 1H); 6.72 (s, 1H); 5.01 ( br .s, 2H).
10.
Figure pct00028
C 9 H 6 F 2 N 2 S
(212.22)
CDCl 3 : 7.60-7.53 (m, 1H); 7.48-7.43 (m, 1H); 7.18-7.07 (m, 1H); 6.66 (s, 1H); 4.98 ( br . s, 2H).
11.
Figure pct00029
C 9 H 6 F 2 N 2 S
(212.22)
CDCl 3 : 5.04 ( br . s, 2H), 6.80-6.93 (m, 3H), 7.95-8.04 (m, 1H)
12.
Figure pct00030
C 10 H 6 F 4 N 2 S
(262.23)
DMSO - d 6 : 7.87-7.74 (m, 3H); 7.40 (s, 1H); 7.22 ( br . s, 2H).
13.
Figure pct00031
C 10 H 6 F 4 N 2 S
(262.23)
DMSO - d 6 : 7.20 ( br . s, 2H), 7.24 (s, 1H), 7.52 (t, J = 8.7 Hz , 1H), 8.13 (d, J = 6.0 Hz , 2H)
14.
Figure pct00032
C 10 H 6 F 4 N 2 S
(262.23)
CDCl 3 : 5.04 ( br s, 2H), 7.10 (s, 1H), 7.27 (t, J = 7.5 Hz , 1H), 7.51 (t, J = 6.9 Hz , 1H), 8.21-8.28 (m, 1H)
15.
Figure pct00033
C 10 H 6 F 4 N 2 S
(262.23)
CDCl 3 : 5.00 ( br s, 2H); 7.16 (s, 1H); 7.37 (d, J = 11.7, 1H); 7.44 (d, J = 8.4, 1H); 8.18 (t, J = 7.8, 1H).
16.
Figure pct00034
C 10 H 6 F 4 N 2 S
(262.23)
DMSO - d 6 : 7.23 ( br s, 2H); 7.41 (s, 1H); 7.55 (d, J = 9.0, 1H); 7.89 (d, J = 10.2, 1H); 7.99 (s, 2H).
17.
Figure pct00035
C 10 H 6 ClF 3 N 2 S
(278.68)
CDCl 3 : 5.05 ( br s, 2H), 6.78 (s, 1H), 7.46 (d, J = 8.1 Hz , 1H), 7.82 (d, J = 7.8 Hz , 1H), 8.08 (s, 1H)
18.
Figure pct00036
C 10 H 6 F 4 N 2 OS
(278.23)
DMSO - d 6 : 7.92-7.85 (m, 2H); 7.50 (t, J = 8.7, 1H); 7.18 ( br . s, 3H).
19.
Figure pct00037
C 10 H 6 F 4 N 2 OS
(278.23)
DMSO - d 6 : 7.87-7.80 (m, 1H); 7.73 (d, J = 8.7 Hz , 1H); 7.55 (d, J = 8.1 Hz , 1H); 7.24 (s, 1H); 7.18 (br.s, 2H).
20.
Figure pct00038
C 10 H 6 ClF 3 N 2 S
(278.68)
CDCl 3 : 8.08 (s, 1H); 7.82 (d, J = 7.8, 1H); 7.46 (d, J = 8.1, 1H); 6.78 (s, 1H); 5.05 ( br . s, 2H).
21.
Figure pct00039
C 10 H 6 ClF 3 N 2 OS
(294.68)
DMSO - d 6 : 7.19 ( br s, 2H), 7.57 (, J = 8.1 Hz , 1H), 7.86 (d, J = 8.1 Hz, 1H), 8.05 (s, 1H)
22.
Figure pct00040
C 10 H 6 ClF 3 N 2 OS
(294.68)
DMSO - d 6 : 7.22 ( br s, 2H), 7.28 (s, 1H), 7.68 (d, J = 8.4 Hz , 1H), 7.83-7.92 (m, 2H)
23.
Figure pct00041
C 10 H 6 ClF 3 N 2 S
(278.68)
DMSO - d 6 : 8.17 ( br s, 2H), 7.46 (s, 1H), 7.73 (s, 1H), 8.10 (s, 1H), 8.17 (s, 1H)
24.
Figure pct00042
C 10 H 6 F 4 N 2 OS
(278.23)
DMSO - d 6 : 7.20 ( br . s, 2H), 7.24 (t, J = 72.3 Hz , 1H), 7.48 (s, 1H), 7.65 (d, J = 9.0, 2H)
25.
Figure pct00043
C 10 H 5 F 5 N 2 S
(280.22)
DMSO - d 6 : 7.72 (d, J = 11.7, 2H); 7.52 (s, 1H); 7.29 ( br . s, 2H).
26.
Figure pct00044
C 10 H 5 F 5 N 2 S
(280.22)
DMSO - d 6 : 8.35-8.21 (m, 1H); 7.48-7.35 (m, 1H); 7.21 ( br . s, 2H); 7.05 (s, 1H).
27.
Figure pct00045
C 10 H 5 F 5 N 2 S
(280.22)
DMSO - d 6 : 7.24 (s, 1H), 7.28 (br. s, 2H), 7.65 (t, J = 7.2, 1H), 7.94 (t, J = 7.5, 1H).
28.
Figure pct00046
C10H6F4N2S
(262.23)
CDCl3: 8.36-8.29 (m, 1H); 7.73-7.65 (m, 1H); 7.58-7.50 (m, 1H); 7.26 (br.s, 2H); 7.13 (s, 1H)
29.
Figure pct00047
C10H6ClF3N2S
(278.68)
DMSO-d 6: 7.25 (br s, 2H), 7.43 (s, 1H), 7.84 (d, J = 8.4 Hz, 1H), 7.94 (d, J = 8.4 Hz, 1H), 8.09 (s, 1H)
30.
Figure pct00048
C9H5Cl2FN2S
(263.12)
CDCl3: 4.97 (br s, 2H), 7.19 (s, 1H), 7.44 (d, J = 6.9 Hz, 1H), 7.74 (d, J = 9.0 Hz, 1H)
31.
Figure pct00049
C10H7F3N2OS
(260.24)
DMSO-d6: 7.75-7.62 (m, 2H); 7.33 (t, J = 8.1, 1H); 7.23 (t, J = 73.2, 1H); 7.12 (br.s, 3H).
이와 더불어 수 개의 플루오로 치환된 2-아미노-4-아릴 티아졸이 적절한 플루오르화 벤조산 또는 플루오르화 아세토페논으로부터 출발하여 방법 1 또는 방법 2를 거친 후 도식 9에 기재된 접근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음이 또한 주지된다. 그러한 아미노티아졸 중간물의 일부 실시예가 표 2에 제공된다.
플루오로 치환된 2-아미노-4-아릴티아졸의 구조
S
번호
구조 명칭 분자식 (분자량)
1.
Figure pct00050
4-[(2,4- 디플루오로 -3-메틸) 페닐 ]-1,3-티아졸-2-아민 C 10 H 8 F 2 N 2 S 226.25
2.
Figure pct00051
4-[(2-플루오로-4-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 C10H9FN2S 208.26
3.
Figure pct00052
4-[(3-플루오로-4-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 C10H9FN2S 208.26
1-(4-브로모페닐)-1H-피라졸-3-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53
표제 화합물을 환류 에탄올 내의 소듐 에톡사이드와 같은 적절한 염기의 존재하에서 4-브로모페닐하이드라진과 아크릴로니트릴의 반응을 이용해 제조하고, 이후 N-브로모석신이미드로 산화시켰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81 (br s, 2H), 5.84 (s, 1H), 7.41 (d, J = 8.7 Hz, 2H), 7.47 (d, J = 8.7 Hz, 2H), 7.63 (s, 1H).
합성에 사용된 3-(4-클로로페닐)이속사졸-5-아민, 3-(4-클로로페닐)-1H-피라졸-5-아민 및 5-(4-브로모페닐)-1,3,4-티아디아졸-2-아민은 알드리치(Aldrich)에서 구매하였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적절한 아릴 아민과 중간물 1-3의 결합에 의해 합성되었다.
실시예
실시예의 제조를 위한 일반 절차
방법 A:
1,2-디클로로에탄에 카복실산 유도체(1.0 equiv.)가 혼합된 용액에 EDCI(1.2 equiv.), HOBt(0.3 equiv.)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1 equiv.)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0-15분 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적절한 아민(1.0 equiv.)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질소 대기하에 48시간 동안 교반시키거나 또는 환류 온도로 가열하면서 2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감압하에 용매를 증발시키고 얻어진 잔여물을 메탄올로 희석시키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시켰다. 분리되어 나온 고형물을 여과하여 수집했다. 고형 생성물을 이소프로판올 또는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를 이용해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더욱 제공했다.
방법 B:
건조 톨루엔에 적절한 티아졸 아민(1.2 equiv.)을 혼합한 용액에 수소화 나트륨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시켰다. 이소티아졸 아세틱 애시드 에스테르(1.0 equiv.)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가열하여 질소 대기하에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2N 염산을 첨가하여 pH 6.0로 산성화시켰다. 침전되어 나온 고형물을 여과하여 수집했다. 생성물을 결정화, 또는 메탄올 및 클로로포름의 혼합물을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더욱 정제했다.
실시예 1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N-{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54
표제 화합물이 환류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8 mL)에서 EDCI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0 mg, 0.940 mmol), HOBt(32 mg, 0.235 mmol) 및 DMAP(9.5 mg, 0.078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1(200 mg, 0.784 mmol)과 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191 mg, 0.784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A)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5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3 (s, 3H), 3.48 (s, 3H), 4.82 (s, 2H), 7.67-7.72 (m, 2H), 7.96 (s, 1H), 8.20-8.26 (m, 2H), 12.93 (br s, 1H); APCI-MS (m/z) 482.07 (M+H)+.
실시예 2
N-[4-(4-클로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55
표제 화합물이 환류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8 ml)에서 EDCI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0 mg, 0.940 mmol), HOBt(32 mg, 0.235 mmol) 및 DMAP(9.5 mg, 0.078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1(200 mg, 0.784 mmol)과 4-[4-클로로페닐]-1,3-티아졸-2-아민(165 mg, 0.784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A)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25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3 (s, 3H), 3.48 (s, 3H), 4.82 (s, 2H), 7.50 (d, J = 8.4, 2H), 7.76 (s, 1H), 7.93 (d, J = 8.4, 2H), 12.88 (br s, 1H); APCI-MS (m/z) 448.14 (M+H)+.
실시예 3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N-{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56
표제 화합물이 환류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8 ml)에서 EDCI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0 mg, 0.940 mmol), HOBt(32 mg, 0.235 mmol) 및 DMAP(9.5 mg, 0.078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1(200 mg, 0.784 mmol)과 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아민(218 mg, 0.784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A)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53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3 (s, 3H), 3.48 (s, 3H), 4.82 (s, 2H), 7.61 (t, J = 9.0 Hz, 1H), 7.88 (s, 1H), 8.00-8.06 (m, 2H), 12.91 (br s, 1H); APCI-MS (m/z) 516.07 (M+H)+.
실시예 4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N-{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57
표제 화합물이 환류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8.3 ml)에서 EDCI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0 mg, 0.940 mmol), HOBt(32 mg, 0.235 mmol) 및 DMAP(9.5 mg, 0.078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1(200 mg, 0.784 mmol)과 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205 mg, 0.784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A)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18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3 (s, 3H), 3.48 (s, 3H), 4.83 (s, 2H), 7.86-8.07 (m, 4H), 12.96 (br s, 1H); APCI-MS (m/z) 500.06 (M+H)+.
실시예 5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N-{4-[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58
표제 화합물이 실온에서 1,2-디클로로에탄(6 ml)에서 EDCI 하이드로클로라이드(131 mg, 0.687 mmol), HOBt(23 mg, 0.171 mmol) 및 DMAP(7 mg, 0.057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1(146 mg, 0.572 mmol)과 4-[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150 mg, 0.572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A)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31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3 (s, 3H), 3.48 (s, 3H), 4.83 (s, 2H), 7.57 (t, J = 8.1, 1H), 7.73-7.79 (m, 2H), 8.30-8.36 (m, 1H), 12.95 (br s, 1H); APCI-MS (m/z) 498.10 (M-H)-.
실시예 6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N-{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59
표제 화합물이 실온에서 1,2-디클로로에탄(8 ml)에서 EDCI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0 mg, 0.941 mmol), HOBt(31 mg, 0.235 mmol) 및 DMAP(9.5 mg, 0.0784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1(200 mg, 0.784 mmol)과 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218 mg, 0.784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A)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5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3 (s, 3H), 3.47 (s, 3H), 4.81 (s, 2H), 7.80-7.835 (m, 1H), 8.00 (s, 1H), 8.17-8.24 (m, 1H), 8.34 (s, 1H), 12.94 (br s, 1H); APCI-MS (m/z) 516.11 (M+H)+.
실시예 7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N-{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60
표제 화합물이 환류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6 ml)에서 EDCI 하이드로클로라이드(269 mg, 1.411 mmol), HOBt(47 mg, 0.352 mmol) 및 DMAP(14 mg, 0.117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1(300 mg, 1.176 mmol)과 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아민(326 mg, 1.17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A)에 따라 제조되어 담황색 고형물인 생성물 23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3 (s, 3H), 3.47 (s, 3H), 4.80 (s, 2H), 7.64 (t, J = 8.4, 1H), 7.84-8.05 (m, 3H), 12.90 (br s, 1H); APCI-MS (m/z) 516.14 (M+H)+.
실시예 8
N-[4-(3,4-디클로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61
표제 화합물이 환류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7.8 ml)에서 EDCI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0.4 mg, 0.941 mmol), HOBt(31 mg, 0.235 mmol) 및 DMAP(9.5 mg, 0.078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1(200 mg, 0.784 mmol)과 4-(3,4-디클로로페닐)-1,3-티아졸-2-아민(192 mg, 0.784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A)에 따라 제조되어 담황색 고형물인 생성물 23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3 (s, 3H), 3.47 (s, 3H), 4.81 (s, 2H), 7.70-7.75 (m, 1H), 7.86-7.92 (m, 2H), 8.10-8.16 (m, 1H), 12.88 (br s, 1H); APCI-MS (m/z) 482.13 (M+H)+.
실시예 9
N-{4-[2,4-디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62
표제 화합물이 환류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19 ml)에서 EDCI 하이드로클로라이드(451 mg, 2.352 mmol), HOBt(80 mg, 0.588 mmol) 및 DMAP(7 mg, 0.057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1(500 mg, 1.960 mmol)과 4-[2,4-디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548 mg, 1.960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A)에 따라 제조되어 담황색 고형물인 생성물 40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3 (s, 3H), 3.48 (s, 3H), 4.83 (s, 2H), 7.52 (t, J = 8.1, 1H), 7.71 (s, 1H), 8.25-8.40 (m, 1H), 12.94 (br s, 1H); APCI-MS (m/z) 518.04 (M+H)+.
실시예 10
N-{4-[3,5-디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63
표제 화합물이 환류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11 ml)에서 EDCI 하이드로클로라이드(270 mg, 1.411 mmol), HOBt(47 mg, 0.352 mmol) 및 DMAP(14.36 mg, 0.117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1(300 mg, 1.176 mmol)과 4-[3,5-디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329 mg, 1.177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A)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5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16 (s, 3H), 3.48 (s, 3H), 4.84 (s, 2H), 7.85, 7.89 (2s, 2H), 8.16 (s, 1H), 12.98 (br s, 1H); APCI-MS (m/z) 518.13 (M+H)+.
실시예 11
N-[1-(4-브로모페닐)-1H-피라졸-3-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64
표제 화합물이 환류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7.8 ml)에서 EDCI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0 mg, 0.940 mmol), HOBt(31 mg, 0.224 mmol) 및 DMAP(9.5 mg, 0.078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1(200 mg, 0.784 mmol)과 1-(4-브로모페닐)-1H-피라졸-3-아민(186 mg, 0.784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A)에 따라 제조되어 담황색 고형물인 생성물 13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4 (s, 3H), 3.47 (s, 3H), 4.71 (s, 2H), 6.83 (s, 1H), 7.65-7.77 (m, 4H), 8.48 (s, 1H), 11.38 (br s, 1H); APCI-MS (m/z) 475.20 (M)+.
실시예 12
N-[4-(4-클로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65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7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56 mg, 1.412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200 mg, 0.706 mmol)과 4-(4-클로로페닐)-1,3-티아졸-2-아민(178 mg, 0.847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84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8 (s, 3H), 4.24 (s, 2H), 7.50 (d, J = 8.4, 2H), 7.69 (s, 1H), 7.92 (d, J = 8.1, 2H), 12.58 (br s, 1H); APCI-MS (m/z) 448.12 (M+H)+.
실시예 13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66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5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56 mg, 1.062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200 mg, 0.706 mmol)과 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205 mg, 0.848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23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3.49 (s, 3H), 3.58 (s, 3H), 4.35 (s, 2H), 7.21 (s, 1H), 7.47-7.57 (m, 2H), 7.99 (d, J = 6.9, 1H), 8.11 (s, 1H), 10.57 (br s, 1H); APCI-MS (m/z) 482.13 (M+H)+.
실시예 14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67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3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25.2 mg, 0.630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90 mg, 0.318 mmol)과 4-[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아민(99 mg, 0.381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6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3.20 (s, 3H), 3.48 (s, 3H), 4.24 (s, 2H), 7.44 (d, J = 8.1 Hz, 2H), 7.71 (s, 1H), 8.02 (d, J = 8.7 Hz, 2H), 12.61 (br s, 1H); APCI-MS (m/z) 498.28 (M+H)+.
실시예 15
N-[4-(4-브로모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68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5.3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42.4 mg, 1.06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150 mg, 0.530 mmol)과 4-[4-브로모페닐]-1,3-티아졸-2-아민(162 mg, 0.63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5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8 (s, 3H), 4.24 (s, 2H), 7.64 (d, J = 8.4, 2H), 7.70 (s, 1H), 7.86 (d, J = 8.4, 2H), 12.59 (br s, 1H); APCI-MS (m/z) 490.04 (M-H)-.
실시예 16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4-터트 부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69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5.3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42.4 mg, 1.06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150 mg, 0.530 mmol)과 4-[4-터트 부틸페닐]-1,3-티아졸-2-아민(147 mg, 0.63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74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1.30 (s, 9H), 3.21 (s, 3H), 3.48 (s, 3H), 4.23 (s, 2H), 7.45 (d, J = 8.1 Hz, 2H), 7.54 (s, 1H), 7.82 (d, J = 8.4 Hz, 2H), 12.56 (br s, 1H); APCI-MS (m/z) 470.22 (M+H)+.
실시예 17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4-에틸 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70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5.3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42.4 mg, 1.06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150 mg, 0.530 mmol)과 4-[4-에틸페닐]-1,3-티아졸-2-아민(147 mg, 0.63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12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1.20 (t, J = 7.2, 3H), 2.62 (q, J = 7.2, 2H), 3.21 (s, 3H), 3.48 (s, 3H), 4.19 (s, 2H), 7.25 (d, J = 7.8, 2H), 7.43 (s, 1H), 7.80 (d, J = 8.4, 2H), 12.59 (br s, 1H); APCI-MS (m/z) 442.22 (M+H)+.
실시예 18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4-사이클로헥실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71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5.3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42.4 mg, 1.06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150 mg, 0.530 mmol)과 4-[4-사이클로헥실페닐]-1,3-티아졸-2-아민(147 mg, 0.63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15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1.15-1.60 (m, 6H), 1.65-1.83 (m, 5H), 3.20 (s, 3H), 3.48 (s, 3H), 4.23 (s, 2H), 7.28 (d, J = 8.4, 2H), 7.53 (s, 1H), 7.81 (d, J = 7.8, 2H), 12.54 (br s, 1H); APCI-MS (m/z) 496.24 (M+H)+.
실시예 19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72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7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56 mg, 1.413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200 mg, 0.706 mmol)과 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222 mg, 0.848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24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7 (s, 3H), 4.24 (s, 2H), 7.84-8.03 (m, 4H), 12.67 (br s, 1H); APCI-MS (m/z) 500.06 (M+H)+.
실시예 20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73
표제 화합물이 환류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7 ml)에서 EDCI 하이드로클로라이드(133 mg, 0.823 mmol), HOBt(27 mg, 0.205 mmol) 및 DMAP(8.38 mg, 0.068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2(175 mg, 0.686 mmol)과 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179 mg, 0.68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A)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16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7 (s, 3H), 4.23 (s, 2H), 7.62 (t, J = 9.0 Hz, 1H), 7.86 (s, 1H), 8.23-8.31 (m, 2H), 12.64 (br s, 1H); APCI-MS (m/z) 500.09 (M+H)+.
실시예 21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2-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74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6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42.3 mg, 1.060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150 mg, 0.530 mmol)과 4-(2-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166 mg, 0.83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8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8 (s, 3H), 4.25 (s, 2H), 7.69-7.78 (m, 2H), 7.82 (d, J = 11.7 Hz, 1H), 8.26 (t, J = 8.1 Hz, 1H), 12.68 (br s, 1H); APCI-MS (m/z) 500.01 (M+H)+.
실시예 22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75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6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56.0 mg, 1.41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200 mg, 0.706 mmol)과 4-(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221 mg, 0.847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5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8 (s, 3H), 4.24 (s, 2H), 7.66 (d, J = 8.1.7 Hz, 1H), 8.00-8.14 (m, 3H), 12.67 (br s, 1H); APCI-MS (m/z) 500.22 (M+H)+.
실시예 23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76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6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42.3 mg, 1.060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150 mg, 0.530 mmol)과 4-[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166 mg, 0.63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13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8 (s, 3H), 4.25 (s, 2H), 7.54 (t, J = 7.8 Hz, 1H), 7.68 (s, 1H), 7.78 (t, J = 6.9 Hz, 1H), 8.33 (t, J = 7.5 Hz, 1H), 12.67 (br s, 1H); APCI-MS (m/z) 500.09 (M+H)+.
실시예 24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77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7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56.5 mg, 1.413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200 mg, 0.706 mmol)과 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아민(235 mg, 0.848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105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7 (s, 3H), 4.23 (s, 2H), 7.60 (t, J = 9.0 Hz, 1H), 7.80 (s, 1H), 7.96-8.06 (m, 2H), 12.62 (br s, 1H); APCI-MS (m/z) 516.09 (M+H) +.
실시예 25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78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7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56.5 mg, 1.413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200 mg, 0.706 mmol)과 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아민(235 mg, 0.848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14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8 (s, 3H), 4.24 (s, 2H), 7.66 (t, J = 8.1 Hz, 1H), 7.83-7.89 (m, 2H), 7.98 (d, J = 11.7, 2H), 12.64 (br s, 1H); APCI-MS (m/z) 516.03 (M+H) +.
실시예 26
N-[4-(3,4-디클로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79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7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56.5 mg, 1.413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200 mg, 0.706 mmol)과 4-(3,4-디클로로페닐)-1,3-티아졸-2-아민(207 mg, 0.848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11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7 (s, 3H), 4.24 (s, 2H), 7.71 (d, J = 8.4 Hz, 1H), 7.84 (s, 1H), 7.89 (d, J = 8.4, 1H), 8.15 (s, 1H), 12.61 (br s, 1H); APCI-MS (m/z) 482.16 (M)+.
실시예 27
N-[4-(3,4-디플루오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80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7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56.5 mg, 1.413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200 mg, 0.706 mmol)과 4-(3,4-디플루오로페닐)-1,3-티아졸-2-아민(179 mg, 0.848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6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8 (s, 3H), 4.24 (s, 2H), 7.52 (q, J = 8.4 Hz, 1H), 7.59-7.87 (m, 2H), 7.88-7.97 (m, 1H), 12.59 (br s, 1H); APCI-MS (m/z) 450.06 (M+H)+.
실시예 28
N-[4-(2,4-디플루오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81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7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56.5 mg, 1.413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200 mg, 0.706 mmol)과 4-(2,4-디플루오로페닐)-1,3-티아졸-2-아민(179 mg, 0.848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18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1 (s, 3H), 3.48 (s, 3H), 4.12 (s, 2H), 7.11-7.36 (m, 3H), 8.06 (q, J = 8.7, 1H), 12.62 (br s, 1H); APCI-MS (m/z) 450.06 (M+H) +.
실시예 29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82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7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56.5 mg, 1.413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200 mg, 0.706 mmol)과 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236 mg, 0.848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16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7 (s, 3H), 4.24 (s, 2H), 7.81 (d, J = 8.4 Hz, 1H), 7.94 (s, 1H), 8.21 (d, J = 8.4 Hz, 1H), 8.35 (s, 1H), 12.67 (br s, 1H); APCI-MS (m/z) 516.22 (M+H) +.
실시예 30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83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7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56.5 mg, 1.413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200 mg, 0.706 mmol)과 4-(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아민(249 mg, 0.848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55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18 (s, 3H), 3.46 (s, 3H), 4.22 (s, 2H), 7.64 (d, J = 8.1 Hz, 1H), 7.85 (s, 1H), 7.97 (d, J = 9.3 Hz, 1H), 8.17 (s, 1H), 12.62 (br s, 1H); APCI-MS (m/z) 532.11 (M+H) +.
실시예 31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84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5.6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42.5 mg, 1.06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150 mg, 0.530 mmol)과 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아민(187 mg, 0.63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11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8 (s, 3H), 4.23 (s, 2H), 7.77 (t, J = 8.4 Hz, 1H), 7.86 (s, 1H), 7.97-8.05 (m, 2H), 12.63 (br s, 1H); APCI-MS (m/z) 532.15 (M+H) +.
실시예 32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85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5.3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42.0 mg, 1.06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150 mg, 0.530 mmol)과 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177 mg, 0.63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123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8 (s, 3H), 4.24 (s, 2H), 7.83 (s, 1H), 8.05 (s, 1H), 8.23 (s, 1H), 8.30 (s, 1H), 12.67 (br s, 1H); APCI-MS (m/z) 516.05(M+H)+.
실시예 33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86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5.3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42 mg, 1.06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150 mg, 0.530 mmol)과 4-(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166 mg, 0.63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9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1 (s, 3H), 3.48 (s, 3H), 4.24 (s, 2H), 7.60 (t, J = 8.7, 1H), 7.69 (s, 1H), 7.78 (s, 1H), 8.41 (d, J = 6.3, 1H), 12.69 (br s, 1H); APCI-MS (m/z) 500.06 (M+H)+.
실시예 34
N-[4-(3,5-디클로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87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5.3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42.5 mg, 1.06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150 mg, 0.530 mmol)과 4-(3,5-디클로로페닐)-1,3-티아졸-2-아민(155 mg, 0.63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17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8 (s, 3H), 4.24 (s, 2H), 7.57 (s, 1H), 7.92-7.97 (m, 3H), 12.62 (br s, 1H); APCI-MS (m/z) 480.13 (M-H) -.
실시예 35
N-{4-[4-(디플루오로메톡시)-3-플루오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88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5.3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26 mg, 0.530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100 mg, 0.353 mmol)과 4-[4-(디플루오로메톡시)-3-플루오로페닐]-1,3-티아졸-2-아민(110 mg, 0.423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7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8 (s, 3H), 4.24 (s, 2H), 7.29 (t, J = 72.9 Hz, 1H), 7.45 (t, J = 8.4 Hz, 1H), 7.73-7.93 (m, 3H), 12.60 (br s, 1H); APCI-MS (m/z) 498.23 (M+H) +.
실시예 36
N-{4-[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89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3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24 mg, 0.600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85 mg, 0.300 mmol)과 4-[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100 mg, 0.360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32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1 (s, 3H), 3.48 (s, 3H), 4.19 (s, 2H), 7.89-7.93 (m, 2H), 8.04 (d, J = 8.1 Hz, 1H), 8.20 (s, 1H), 12.59 (br s, 1H); APCI-MS (m/z) 516.12 (M+H)+.
실시예 37
N-{4-[2,4-디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90
표제 화합물이 실온에서 1,2-디클로로에탄(8.3 ml)에서 EDCI 하이드로클로라이드(160 mg, 0.834 mmol), HOBt(28 mg, 0.207 mmol) 및 DMAP(9 mg, 0.068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2(175 mg, 0.686 mmol)과 4-[2,4-디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192 mg, 0.68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A)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22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8 (s, 3H), 4.25 (s, 2H), 7.52 (t, J = 9.3 Hz, 1H), 7.64 (s, 1H), 8.29-8.37 (m, 1H), 12.65 (br s, 1H); APCI-MS (m/z) 516.07 (M-H) -.
실시예 38
N-{4-[3,5-디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91
표제 화합물이 환류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8 ml)에서 EDCI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0 mg, 0.941 mmol), HOBt(32 mg, 0.235 mmol) 및 DMAP(9.5 mg, 0.078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2(200 mg, 0.784 mmol)과 4-[3,5-디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220 mg, 0.784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A)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33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7 (s, 3H), 4.24 (s, 2H), 7.83 (s, 1H), 7.87 (s, 1H), 8.09 (s, 1H), 12.69 (br s, 1H); APCI-MS (m/z) 518.01 (M+H) +.
실시예 39
N-{4-[2,3-디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92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3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14.5 mg, 0.352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50 mg, 0.176 mmol)과 4-[2,3-디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아민(59 mg, 0.212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5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8 (s, 3H), 4.25 (s, 2H), 7.78 (t, J = 7.2 Hz, 1H), 7.82 (s, 1H), 8.02 (t, J = 7.5 Hz, 1H), 12.73 (br s, 1H); APCI-MS (m/z) 518.10 (M+H) +.
실시예 40
N-{4-[4-(디플루오로메톡시)-3,5-디플루오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이소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93
표제 화합물이 환류 온도에서 1,2-디클로로에탄(8 ml)에서 EDCI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0 mg, 0.941 mmol), HOBt(32 mg, 0.235 mmol) 및 DMAP(9.5 mg, 0.078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2(200 mg, 0.784 mmol)과 4-[4-(디플루오로메톡시)-3,5-디플루오로페닐]-1,3-티아졸-2-아민(216 mg, 0.784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A)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38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18 (s, 3H), 3.45 (s, 3H), 4.22 (s, 2H), 7.26 (t, J = 72.3 Hz, 1H), 7.76 (s, 1H), 7.79 (s, 1H), 7.87 (s, 1H), 12.62 (br s, 1H); APCI-MS (m/z) 516.05 (M+H)+.
실시예 41
N-[4-(2,4-디클로로-5-플루오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94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3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25 mg, 0.628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89 mg, 0.314 mmol)과 4-(2,4-디클로로-5-플루오로페닐)-1,3-티아졸-2-아민(100 mg, 0.377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41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1 (s, 3H), 3.48 (s, 3H), 4.23 (s, 2H), 7.76 (s, 1H), 7.85-7.95 (m, 2H), 12.63 (br s, 1H); APCI-MS (m/z) 499.99 (M) +.
실시예 42
N-[5-(4-브로모페닐)-1,3,4-티아디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95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5.3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42.4 mg, 1.06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150 mg, 0.530 mmol)과 5-(4-브로모페닐)-1,3,4-티아디아졸-2-아민(162 mg, 0.63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24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7 (s, 3H), 4.28 (s, 2H), 7.73 (t, J = 8.1 Hz, 1H), 7.87 (d, J = 8.7 Hz, 1H), 12.73 (br s, 1H); APCI-MS (m/z) 493.23 (M) +.
실시예 43
N-[3-(4-클로로페닐)-1H-피라졸-5-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96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5.3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31.8 mg, 0.79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150 mg, 0.530 mmol)과 3-(4-클로로페닐)-1H-피라졸-5-아민(123 mg, 0.63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6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16 (s, 3H), 3.47 (s, 3H), 4.11 (s, 2H), 6.82 (s, 1H), 7.49 (d, J = 8.1, 2H), 7.72 (d, J = 8.7, 2H), 10.75 (s, 1H), 12.92 (br s, 1H); APCI-MS (m/z) 431.08 (M) +.
실시예 44
N-[1-(4-브로모페닐)-1H-피라졸-3-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97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5.3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42.4 mg, 1.06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150 mg, 0.530 mmol)과 1-(4-브로모페닐)-1H-피라졸-3-아민(151 mg, 0.63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8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0 (s, 3H), 3.47 (s, 3H), 4.13 (s, 2H), 6.73 (s, 1H), 7.68 (d, J = 9.0, 2H), 7.74 (d, J = 9.0, 2H), 8.42 (s, 1H), 11.01 (br s, 1H); APCI-MS (m/z) 475.11 (M) +.
실시예 45
N-[3-(4-클로로페닐)-1,2-옥사졸-5-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98
표제 화합물이 건조 톨루엔(5.3 ml)에서 수산화 나트륨(미네랄 오일 중의 60%로 분산됨, 42.4 mg, 1.06 mmol)의 존재에서 중간물 3(150 mg, 0.530 mmol)과 3-(4-클로로페닐)이속사졸-5-아민(123 mg, 0.636 mmol)의 결합에 의한 일반 절차(방법 B)에 따라 제조되어 회백색 고형물인 생성물 80mg이 제공되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δ 3.21 (s, 3H), 3.48 (s, 3H), 4.19 (s, 2H), 6.69 (s, 1H), 7.56 (d, J = 8.4, 2H), 7.87 (d, J = 8.7, 2H), 12.10 (br s, 1H); APCI-MS (m/z) 432.30 (M+H) +.
방법 A 또는 B에 기재된 것과 같은 유사한 절차를 이용하여, 다중 플루오린 치환을 갖는 이소티아졸로피리미딘디온 아세트아미드(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음)의 추가적인 실시예가 이소티아졸로[5,4-d] 피리미딘디온 아세틱 애시드 또는 이소티아졸로[3,4-d]피리미딘디온 아세틱 애시드 또는 이의 에스테르와 표 2에서 선택된 적절한 플루오르화 2-아미노-4-아릴티아졸의 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플루오르화 푸로피리미딘디온 아세트아미드 유도체의 추가적인 실시예
S
번호
분자 구조 화학 명칭 분자식 분자량
1
Figure pct00099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2,4-디플루오로-3-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C19H15F2N5O3S2 463.49
2
Figure pct00100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2-플루오로-4-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C19H16FN5O3S2 445.50
3
Figure pct00101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3-플루오로-4-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C19H16FN5O3S2 445.50
4
Figure pct00102
N-{4-[2,4-디플루오로-3-메틸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C19H15F2N5O3S2 463.49
5
Figure pct00103
N-{4-[2-플루오로-4-메틸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C19H16FN5O3S2 445.50
6
Figure pct00104
N-{4-[3-플루오로-4-메틸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C19H16FN5O3S2 445.50
약리학적 활성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는 TRPA1 활성에 대해 (a) Toth, A. et al. Life Sciences, 2003, 73, 487-498. (b) McNamara C, R. et al, Proc . Natl . Acad . Sci . U.S.A., 2007, 104, 13525-13530에 기재된 변형된 절차에 따라 선별된다. 화합물의 선별은 다른 방법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절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45 칼슘 흡수 검사를 이용한 TRPA1 길항제에 대한 선별:
TRPA1 수용체 활성화의 억제를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 (AITC) 유발된 방사성 칼슘의 세포내 흡수의 억제로 측정하였다.
검사 화합물을 100% DMSO에 용해시켜 10 mM 저장용액(stock)을 제조하고 이후 0.1% BSA 및 1.8 mM CaCl2로 이루어진 단순 배지(plain medium)로 희석하여 원하는 농도를 얻었다. 반응에서 DMSO의 최종 농도는 0.5%(v/v)였다. 인간 TRPA1를 발현하는 CHO 세포를 10%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용액, 및 400 ㎍/ml의 G-418로 이루어진 F-12 DMEM 배지에서 배양했다. 쥐 TRPA1를 발현하는 CHO 세포를 10%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용액, 및 400 ㎍/ml의 지오신으로 이루어진 F-12 DMEM 배지에서 배양했다. 세포를 검사 24시간 전에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실험 당일에 웰당 ~ 50,000세포를 얻도록 했다. 세포를 검사 화합물로 10분간 처리한 뒤, 최종 농도 30 μM(인간 TRPA1에 대해) 및/또는 10 μM (쥐 TRPA1에 대해) 및 5 μCi/ml 45Ca+2로 이루어진 AITC를 3분 동안 첨가한다. 세포를 1% 트리톤 X-100, 0.1% 디옥시콜레이트 및 0.1% SDS를 함유하는 완충액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용해시켰다. 용해물에 액체 섬광체(scintillant)를 첨가한 후 Packard TopCount에서 용해물의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Toth et al, Life Sciences (2003) 73, 487-498; McNamara CR et al,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 (2007) 104, 13525-13530).
검사 길항제의 부재하에 얻어진 최대 반응의 %로 농도 반응 곡선을 도시하였다. 농도 반응 곡선으로부터 GraphPad PRISM software를 이용한 비선형 회귀 분석(non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IC50값을 계산할 수 있다.
제조된 화합물을 상기 검사 절차를 이용하여 검사한 후 얻어진 결과가 표 4에 제공된다. 1.0 μM 및 10.0 μM의 농도에서 억제 백분율이 선택된 실시예에 대해 세부 IC50(nM) 항목과 함께 표에 제공된다. 화합물의 IC50 (nM) 값은 표 4에 나타나며, 여기서 "A"는 50 nM 미만의 IC50값을, "B"는 50.01 내지 100.0 nM의 범위의 IC50값을, "C"는 100.0 nM를 초과하는 IC50값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시험관 내(in-vitro)선별 결과
실시예 인간 TRPA1 TRPA1
억제 백분율 IC 50
( nM )
억제 백분율 IC 50
( nM )
1.0 μM 10.0 μM 1.0 μM 10.0 μM
실시예 1 95.23 100 A 71.29 100 C
실시예 2 99.71 100 A 34.88 43.78 ---
실시예 3 95.54 99.5 A 68.51 98.26 C
실시예 4 99.76 99.99 A 72.22 100 ---
실시예 5 98.12 99.13 A 95.6 98.5 ---
실시예 6 99.29 99.64 A 97.34 99.34 C
실시예 7 100 99.48 A 79.39 100 C
실시예 9 98.4 98.06 A 94.74 94.14 ---
실시예 10 99.92 100 --- 35.23 68.40 ---
실시예 11 100 100 A 22.87 39.67 --
실시예 12 98.4 99.18 A 94.58 99.49 C
실시예 13 99.65 99.8 A 99.32 99.32 ---
실시예 19 99.73 100 A 99.49 99.27 A
실시예 20 99.64 99.77 A 99.65 100 A
실시예 21 99.47 99.99 A 100 100 A
실시예 22 100.00 100.00 A 98.34 100 ---
실시예 23 99.32 100 A 100 100 A
실시예 24 99.56 100 A 100 99.77 B
실시예 25 99.89 100 A 98.78 100.00 B
실시예 26 99.9 99.5 A 97.74 100.00 C
실시예 27 97.83 99.83 A 81.78 99.60 C
실시예 28 98.02 99.6 A 92.85 100.00 ---
실시예 29 98.07 99.63 A 100 100 A
실시예 30 95.59 99.71 A 100 99.31 B
실시예 31 99.15 99.20 --- 99.59 96.16 ---
실시예 32 99.20 99.40 --- 99.81 100 ---
실시예 37 98.33 99.33 A --- --- A
실시예 38 100 99.87 A 100 100 A
실시예 39 99.76 99.87 --- 96.54 95.79 ---
실시예 40 99.81 99.91 A 98.96 99.19 A

Claims (52)

  1.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Figure pct00105

    (I)
    여기서,
    Y 및 Z는 황 또는 질소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단, Y 및 Z는 동시에 동일하지 않음;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하이드록실,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할로알킬,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아릴알킬, (CRxRy)nORx, CORx, COORx, CONRxRy, (CH2)nNRxRy, (CH2)nCHRxRy 및 (CH2)nNHCORx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3는 수소,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알케닐, 할로알킬,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중에서 선택되고;
    L은 -(CRxRy)n-, -O-(CRxRy)n-, -C(O)-, -NRx-, -S(O)mNRx-, -NRx(CRxRy)n- 및 -S(O)mNRx(CRxRy)n 중에서 선택되는 링커이고;
    U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 티아졸, 이소티아졸, 옥사졸, 이속사졸, 티아디아졸, 옥사디아졸, 피라졸, 이미다졸, 푸란, 티오펜, 피롤, 1,2,3-트리아졸 또는 1, 2, 4-트리아졸과 같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5원 헤테로사이클; 및 피리미딘, 피리딘 또는 피리다진과 같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6원 헤테로사이클 중에서 선택되고;
    V는 수소, 시아노, 니트로, -NRxRy, 할로겐, 하이드록실,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사이클로알케닐,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사이클로알킬알콕시, 아릴, 아릴알킬, 바이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및 헤테로사이클릴알킬, -C(O)ORx, -ORx, -C(O)NRxRy, -C(O)Rx 및 -SO2NRxRy 중에서 선택되고; 또는 U 및 V는 함께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치환된 3 내지 7원의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고리는 O, S 및 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각 경우에 Rx Ry는 수소, 하이드록실, 할로겐,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아릴, 아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및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그리고
    각 경우에 'm' 과 'n'은 0 내지 2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됨.
  2. 제1항에 있어서, Y는 질소이고 Z는 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Y는 황이고 Z는 질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은 CH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및 R2은 (C1-C4)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C1-C4)알킬은 메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는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U는 헤테로아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9. 제8항에 있어서, 헤테로아릴은 티아졸, 이미다졸, 이속사졸, 피라졸, 티아디아졸 또는 피리미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V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아릴은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2. 다음의 화학식(Ia)을 가지는 제1항의 화합물:
    Figure pct00106

    (Ia)
  13. 제12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C1-C4)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4. 제13항에 있어서, (C1-C4)알킬은 메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U는 헤테로아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6. 제15항에 있어서, 헤테로아릴은 티아졸, 이미다졸, 이속사졸, 피라졸, 티아디아졸 또는 피리미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V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아릴은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9. 다음의 화학식(Ib)을 가지는 제1항의 화합물:
    Figure pct00107

    (Ib)
  20. 제19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C1-C4)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1. 제20항에 있어서, (C1-C4)알킬은 메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U는 헤테로아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3. 제22항에 있어서, 헤테로아릴은 티아졸, 이미다졸, 이속사졸, 피라졸, 티아디아졸 또는 피리미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V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5. 제24항에 있어서, 아릴은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6. 다음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Figure pct00108

    (Ic)
    여기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및
    R4, R5, R6, R7, R8 및 R9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실, 니트로, 아미노,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알콕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사이클로알킬알콕시, 아릴, 아릴알킬, 바이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및 헤테로사이클릴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됨.
  27. 제26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C1-C4)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8. 제27항에 있어서, (C1-C4)알킬은 메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 또는 R6는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0.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 또는 R6는 메틸, 에틸, 부틸, 사이클로헥실, 트리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톡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1. 제26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 또는 R7은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톡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2. 제26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 또는 R7은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3. 제26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8은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4. 제2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9는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5. 다음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Figure pct00109

    (Id)
    여기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4, R5, R6, R7, R8 및 R9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실, 니트로, 아미노,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알콕시,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사이클로알케닐, 사이클로알킬알콕시, 아릴, 아릴알킬, 바이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및 헤테로사이클릴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됨.
  36. 제35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C1-C4)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7. 제36항에 있어서, (C1-C4)알킬은 메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8.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 또는 R6는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9.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 또는 R6는 메틸, 에틸, 부틸, 사이클로헥실, 트리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톡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0. 제35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 또는 R7은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톡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1. 제35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 또는 R7은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2. 제35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8은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3. 제35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9는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4. 다음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N-{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N-[4-(4-클로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N-{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N-{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N-{4-[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N-{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N-{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N-[4-(3,4-디클로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N-{4-[2,4-디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N-{4-[3,5-디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및
    N-[1-(4-브로모페닐)-1H-피라졸-3-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45. 다음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N-[4-(4-클로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N-[4-(4-브로모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4-터트 부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4-에틸 부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4-사이클로헥실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2-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N-[4-(3,4-디클로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N-[4-(3,4-디플루오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N-[4-(2,4-디플루오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N-{4-[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N-[4-(3,5-디클로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N-{4-[4-(디플루오로메톡시)-3-플루오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N-{4-[3-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N-{4-[2,4-디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N-{4-[3,5-디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N-{4-[2,3-디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N-{4-[4-(디플루오로메톡시)-3,5-디플루오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이소티아졸로[3,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N-[4-(2,4-디클로로-5-플루오로페닐)-1,3-티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N-[5-(4-브로모페닐)-1,3,4-티아디아졸-2-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N-[3-(4-클로로페닐)-1H-피라졸-5-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N-[1-(4-브로모페닐)-1H-피라졸-3-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및
    N-[3-(4-클로로페닐)-1,2-옥사졸-5-일]-2-(5,7-디메틸-4,6-디옥소-4,5,6,7-테트라하이드로[1,2]티아졸로[5,4-d]피리미딘-3-일)아세트아미드.
  46. 다음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Figure pct00110
    Figure pct00111
    Figure pct00112
    Figure pct00113
  47. 제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담체, 희석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8. 제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TRPA1 기능과 연관된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TRPA1 기능과 연관된 질병 또는 증상의 징후는 통증, 만성적 통증, 복합부위 통증증후군, 신경성 동통, 수술후 통증, 류마티스 관절염 통증, 골관절염 통증, 허리 통증, 내장통, 암 통증, 통각과민, 신경통, 편두통, 신경병증, 당뇨성 신경병증, 좌골 신경통, HIV 관련 신경병증, 대상포진후신경통, 섬유근육통, 신경 손상, 국소빈혈, 신경퇴화, 뇌졸중, 뇌졸중 후 중추성 통증, 다발성 경화증, 호흡기 질환, 천식, 기침, COPD, 염증 질환, 역류성식도염, 위-식도 역류 질환(GERD),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대장 질환, 골반 과민성, 요실금, 방광염, 화상, 건선, 습진, 구토, 위 십이지장 궤양 및 소양증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증상의 징후는 만성적 통증과 연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49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증상의 징후는 신경성 동통과 연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49항에 있어서, 질병 또는 증상의 징후는 류마티스 관절염 통증 또는 골관절염 통증과 연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7023383A 2009-03-23 2010-03-22 Trpa1 조절자로서 이소티아졸로-피리미딘디온 유도체 KR201200017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665MU2009 2009-03-23
IN665/MUM/2009 2009-03-23
US17135509P 2009-04-21 2009-04-21
US61/171,355 2009-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746A true KR20120001746A (ko) 2012-01-04

Family

ID=4223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383A KR20120001746A (ko) 2009-03-23 2010-03-22 Trpa1 조절자로서 이소티아졸로-피리미딘디온 유도체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8575178B2 (ko)
EP (1) EP2411397B1 (ko)
JP (1) JP2012521405A (ko)
KR (1) KR20120001746A (ko)
CN (1) CN102395592A (ko)
AP (1) AP2011005888A0 (ko)
AU (1) AU2010227224A1 (ko)
BR (1) BRPI1009372A2 (ko)
CA (1) CA2756534A1 (ko)
DK (1) DK2411397T3 (ko)
EA (1) EA201190191A1 (ko)
ES (1) ES2424340T3 (ko)
HK (1) HK1166081A1 (ko)
IL (1) IL215179A0 (ko)
MX (1) MX2011009821A (ko)
PE (1) PE20120764A1 (ko)
PL (1) PL2411397T3 (ko)
PT (1) PT2411397E (ko)
SG (2) SG174403A1 (ko)
SI (1) SI2411397T1 (ko)
UA (1) UA107342C2 (ko)
WO (1) WO2010109328A1 (ko)
ZA (1) ZA2011076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56515T3 (es) 2009-03-23 2014-04-22 Glenmark Pharmaceuticals S.A. Derivados de pirimidindiona fusionados como moduladores de TRPA1
KR20110128898A (ko) 2009-03-23 2011-11-30 그렌마크 파머수티칼스 에스. 아. Trpa1 조절자로서 푸로피리미딘디온 유도체
CN103261201B (zh) 2010-12-20 2015-04-22 格兰马克药品股份有限公司 作为trpa1拮抗剂的2-氨基-4-芳基噻唑化合物
EP2520566A1 (en) 2011-05-06 2012-11-07 Orion Corporation New Pharmaceutical Compounds
WO2012172475A1 (en) 2011-06-13 2012-12-20 Glenmark Pharmaceuticals S.A. Treatment of respiratory disorders using trpa1 antagonists
WO2012176105A1 (en) 2011-06-22 2012-12-27 Glenmark Pharmaceuticals S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trpa1 antagonist and a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
WO2012176143A1 (en) 2011-06-22 2012-12-27 Glenmark Pharmaceuticals S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trpa1 antagonist and a beta-2 agonist
US20140148423A1 (en) 2011-07-25 2014-05-29 Glenmark Pharmaceuticals S.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trpa1 antagonist and a steroid
TWI640519B (zh) * 2011-11-29 2018-11-11 泰緯生命科技股份有限公司 Hec1活性調控因子及其調節方法
CA2857109A1 (en) * 2011-12-05 2013-06-13 Glenmark Pharmaceuticals S.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trpa1 antagonist and an anticholinergic agent
AU2013273118B2 (en) 2012-06-08 2015-11-05 Glenmark Pharmaceuticals S.A. Amides of 2-amino-4-arylthiazole compounds and their salts
AR092749A1 (es) 2012-10-01 2015-04-29 Orion Corp Compuestos farmaceuticos
KR20150082308A (ko) 2012-11-14 2015-07-15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이미다조피리딘 유도체
CN105307642A (zh) 2013-06-20 2016-02-03 格兰马克药品股份有限公司 包含trpa1拮抗剂的纳米颗粒制剂
CA2926389A1 (en) 2013-10-15 2015-04-23 Glenmark Pharmaceuticals S.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trpa1 antagonist and an analgesic agent
WO2015155306A1 (en) * 2014-04-11 2015-10-15 Almirall, S.A. New trpa1 antagonists
WO2016042501A1 (en) 2014-09-16 2016-03-24 Glenmark Pharmaceuticals S.A. Trpa1 antagonist for the treatment of pain associated to diabetic neuropathic pain
WO2017060488A1 (en) 2015-10-09 2017-04-13 Almirall, S.A. New trpa1 antagonists
WO2017064068A1 (en) 2015-10-14 2017-04-20 Almirall, S.A. New trpa1 antagonists
WO2018233648A1 (zh) * 2017-06-21 2018-12-27 南京明德新药研发股份有限公司 作为TLR8激动剂的异噻唑并[4,3-d]嘧啶-5,7-二胺衍生物
CN112794860B (zh) * 2021-03-24 2021-06-29 上海肇钰医药科技有限公司 噁唑嘧啶酮酰胺类化合物或其可药用盐,制备方法及用途
CN114656480B (zh) * 2022-04-27 2024-01-26 成都施贝康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噻吩并嘧啶类化合物、异构体或盐及其制备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48231A1 (de) * 1972-10-02 1974-04-11 Basf Ag 3-aminoisothiazolo eckige klammer auf 3,4-d eckige klammer zu pyrimidine
SE9701398D0 (sv) 1997-04-15 1997-04-15 Astra Pharma Prod Novel compounds
ES2193839B1 (es) 2001-06-22 2005-02-16 Almirall Prodesfarma, S.A. Nuevos derivados de 6-fenildihidropirrolpirimidindiona.
WO2004014916A1 (en) 2002-08-13 2004-02-19 Warner-Lambert Company Llc Pyrimidine fused bicyclic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US7465581B2 (en) 2002-12-18 2008-12-16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ANKTM1, a cold-activated TRP-like channel expressed in nociceptive neurons
SE0300119D0 (sv) * 2003-01-17 2003-01-17 Astrazeneca Ab Novel compounds
WO2005077959A1 (en) * 2004-02-11 2005-08-25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Pth agonists
US20070196866A1 (en) 2004-03-13 2007-08-23 Irm Llc Modulators of ion channel trpa1
EP1847541A4 (en) 2005-02-03 2009-12-30 Takeda Pharmaceutical CONDENSED PYRIMIDINE DERIVATIVE AND USE THEREOF
WO2007073505A2 (en) 2005-12-22 2007-06-28 Hydra Biosciences, Inc. Trpa1 inhibitors for treating pain
TW200800997A (en) 2006-03-22 2008-01-01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CL2008000252A1 (es) 2007-01-29 2008-03-14 Xenon Pharmaceuticals Inc Compuestos derivados de quinazolinona o pirimidinona;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comprende a dichos compuestos; y su uso para tratar enfermedades mediadas por los canales de calcio, tales como dolor, depresion, enfermedades cardiovasculares, respir
DK2170309T3 (en) * 2007-06-22 2017-01-09 Hydra Biosciences Inc Dioxo-2,6, -2,3-dihydro-1H-purine compounds useful in the treatment of diseases related to activity of TRPA1 channel
WO2009158719A2 (en) 2008-06-27 2009-12-30 Hydra Bioscien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isor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411397T3 (da) 2013-08-05
SG174403A1 (en) 2011-10-28
PL2411397T3 (pl) 2013-10-31
IL215179A0 (en) 2011-12-29
PT2411397E (pt) 2013-06-06
CN102395592A (zh) 2012-03-28
ZA201107646B (en) 2012-06-25
HK1166081A1 (en) 2012-10-19
UA107342C2 (en) 2014-12-25
EP2411397A1 (en) 2012-02-01
EP2411397B1 (en) 2013-05-29
MX2011009821A (es) 2012-01-25
EA201190191A1 (ru) 2012-11-30
WO2010109328A1 (en) 2010-09-30
ES2424340T3 (es) 2013-10-01
AP2011005888A0 (en) 2011-10-31
US8575178B2 (en) 2013-11-05
JP2012521405A (ja) 2012-09-13
AU2010227224A2 (en) 2011-10-27
CA2756534A1 (en) 2010-09-30
AU2010227224A1 (en) 2011-09-29
SI2411397T1 (sl) 2013-07-31
US20120010223A1 (en) 2012-01-12
PE20120764A1 (es) 2012-06-27
BRPI1009372A2 (pt) 2016-05-31
SG184766A1 (en)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1397B1 (en) Isothiazolo-pyrimidinedione derivatives as trpa1 modulators
JP5612070B2 (ja) Trpa1調節因子としてのチエノピリミジンジオン誘導体
US9000159B2 (en) Fused pyrimidine-dione derivatives as TRPA1 modulators
WO2010125469A1 (en) Pyrimidinedione-fused heterocyclic compounds as trpa1 modulators
US8623880B2 (en) Fused pyrimidine-dione derivatives as TRPA1 modulators
WO2011132017A1 (en) Pyrido[3,4-d]pyrimidinyl acetamide derivatives as trpa1 modul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