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452U - 휴대용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452U
KR20120001452U KR2020100008746U KR20100008746U KR20120001452U KR 20120001452 U KR20120001452 U KR 20120001452U KR 2020100008746 U KR2020100008746 U KR 2020100008746U KR 20100008746 U KR20100008746 U KR 20100008746U KR 20120001452 U KR20120001452 U KR 201200014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ver
covers
portable storage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주
이소리
Original Assignee
이형주
이소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주, 이소리 filed Critical 이형주
Priority to KR2020100008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452U/ko
Publication of KR20120001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45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342Central part of the lid
    • B65D2543/00398Reinforcing ribs in the central part of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77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수납용기는 길이 방향의 면 경계가 이음된 한 쌍의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는 상호 대응되게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한 쌍의 커버가 결합 되면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도록 하고, 한 쌍의 커버가 맞닿는 둘레면에는 돌기와 구멍을 각각 형성시켜 끼움 결합으로 한 쌍의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수납용기{THE STORING CASE}
본 고안은 휴대용 수납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무독성 실리콘 재질로 적용하여 연질에 의해 자유형상으로의 변화가 가능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져나 통근 통학시에 도시락를 휴대하는 경우가 전반적으로 다시 늘어나는 경향이 있지만, 도시락을 이용하고자 사람들에게 있어 이용을 주저하게 하는 것이 운반용기의 결코 작지 않은 부피문제일 것이다.
이러한 부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식용기와 수저통이 일체로 된 도시락용기가 시중에 널리 유통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를 사용하여 부피를 줄였다고 해도 식수통은 별도로 휴대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무슨 이유인지 모르지만 대개의 식수통은 원통형또는 용기일부에 구면이 포함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어, 가방이나 백에 넣고 휴대하기에 적당하지 않고 사용자가 휴대를 기피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보온용기 경우에는 물통과 음식용기가 같이 수납되는 제품이 나와있지만, 이것 역시 수저통은 별도로 휴대해야 하므로 이용자측에서 봤을 때 반드리 편리하다고만 할 수 없다.
그리고, 대부분의 음식용기는 외형이 직사각형이고, 음식이 눌려질 염려가 적은 수평용기가 일반적이므로 음식용기 자체의 휴대에는 별 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는데, 부수적인 수저통과 식수용기의 휴대측면에서의 개선이 좀더 이루어지면 도시락 이용자들로서는 이용에 있어 도움이 많이 된다.
이러한 휴대용 수저통은 결합용기(1)는, 직육면체의 수저통(2) 및 식수통(3)과, 상기 수저통(2)과 식수통(3)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그 일측부에 각각 형성된 결합수단(4)과, 상기 수저통(2)과 식수통(3)의 결합양상이 직육면체인 것으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5는 스톱바이고, 6은 홈이며, 7은 주입구이다.
이하, 본 고안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작용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용기(1)의 결합수단(4)을 슬라이드식으로하여 식수통(3) 저부에 스톱바(5)를 형성하고, 수저통(2)으로부터 식수통(3)이 불리되도록하여 식수통(3)이 수저통(2)의 뚜껑역할을 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수저통(2)과 식수통(3)을 결합지점을 제각기 두곳으로 함으로서 재결합시킬 경우에 수저통(2)의 결합면에 식수통(3)의 결합면을 대충 맞대어서 끼워도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수저통(2)과 식수통(3)의 표면에 각각 홈(6)을 형성하여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수저통(2)의 결합면은 개방되어 있어 식수통(3)과 분리하였을 때 수저통(2)이 개방되도록 하였으나, 수저통(2)에 별도의 개폐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저통(2)에 있어서, 수저와 젓가락을 수저통(2) 전용으로하여 수저와 젓가락이 수납될 홈을 수저통(2) 내부에 형성할 경우에는 운반도중 수저와 젓가락이 부딪히는 소리가 나지않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수통(3)의 주입구(7)를 식수통(3)상부사면에 형성한 것으로 나타냈지만, 주입구(7)의 크기나 위치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식수통(3)의 측부 또는 상부에 수평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식수통(3)의 용량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수납용기를 무독성 실리콘 재질로 적용하여 연질에 의해 자유형상으로의 변화가 가능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휴대용 수납용기는 길이 방향의 면 경계가 이음된 한 쌍의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는 상호 대응되게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한 쌍의 커버가 결합 되면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도록 하고, 한 쌍의 커버가 맞닿는 둘레면에는 돌기와 구멍을 각각 형성시켜 끼움 결합으로 한 쌍의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열림커버 및 받치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림커버의 둘레면에는 구멍을 형성시키고, 상기 받침커버의 둘레면에는 돌기를 형성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무독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커버의 내부공간 면에는 보강 리브를 길이방향으로 순차되게 형성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커버가 맞닿는 면 중앙에 요홈을 각각 형성시켜 한 쌍의 커버가 일체로 조합되면 상기 요홈이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하여 손쉽게 커버의 개방을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돌기는 상부에 걸림턱을 형성시키고 상기 구멍에는 단턱을 형성시켜 상기 돌기와 구멍의 결합시 걸림턱 하단이 구멍을 관통하여 단턱에 걸림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의 휴대용 수납용기는 무독성 실리콘 재질로 적용하여 수축률을 보장받는 연질의 재질에 의해 수납용기의 자유 형상으로 변화가 가능하고,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용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용 수납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용 수납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휴대용 수납용기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휴대용 수납용기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a,b는 본 고안의 휴대용 수납용기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
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용 수납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용 수납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휴대용 수납용기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휴대용 수납용기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a,b는 본 고안의 휴대용 수납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7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휴대용 수납용기는 길이 방향의 면 경계가 이음된 한 쌍의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는 상호 대응되게 개구된 내부공간 115이 형성되어 한 쌍의 커버가 결합 되면 밀폐된 내부공간 115을 갖도록 하고, 한 쌍의 커버가 맞닿는 둘레면에는 돌기 111와 구멍 121을 각각 형성시켜 끼움 결합으로 한 쌍의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용 수납용기는 한 쌍의 커버가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철될 경우 내부공간 115이 하나의 공간으로 합쳐지면서 외부로 부터 격리된 내부공간 115을 갖는다.
특히, 상기 커버는 열림커버 120 및 받치커버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림커버 120는 둘레면에 구멍 121을 형성시키고, 상기 받침커버 110의 둘레면에는 돌기 111를 형성시키도록 한다.
한 쌍의 커버가 접철되면 상기 구멍 121에 돌기 111가 억지 끼움 결합으로 접철된 상태의 커버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를 가능하도록 상기 돌기 111는 상부에 걸림턱 112을 형성시키고 상기 구멍 121에는 단턱 122을 형성시켜 상기 돌기 111와 구멍 121의 결합시 걸림턱 112 하단이 구멍 121을 관통하여 단턱 122에 걸림되도록 한다.
이렇게 끼움 결합으로 접철시킨 한 쌍의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버의 내부공간 115 면에는 보강 리브를 길이방향으로 순차되게 형성시켜 평탄한 상태의 커버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커버가 맞닿는 면 중앙에 요홈을 각각 형성시켜 한 쌍의 커버가 일체로 조합되면 상기 요홈이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하여 손쉽게 커버의 개방을 가능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커버는 무독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독성 실리콘은 컴파운드형 실리콘 100 중량부에 탈크 10-20 중량부, 경탄 10-20 중량부, 은 및/또는 토루말린 1-20 중량부, 및 감광제, 감온제, 축광제 및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0.1-1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마련된 상기의 실리콘 컴파운드 혼합물를 이용하여 수납용기로 제작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상기 실리콘 컴파운드 혼합물을 경화제와 함께 금형 캐비티에 충진한 다음 170-180 ℃의 온도로 유지되는 숫금형을 캐비티에 삽입하여 성형한다.
이후, 상기 금형에서 가스를 뺀 다음 상기 금형에서 탈형된 용기를 고온에서 정치하는 단계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컴파운드형 실리콘은 가루 상태의 실리콘으로서, 가교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컴파운드형 실리콘은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컴파운드형 실리콘은 신에츠, 도시바, 다우코닝, 와카, 롱프랑등에서 생산되는 제품들을 경도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컴파운드형 실리콘은 사용되는 용기의 경도에 따라서 30°에서 80°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70°사이의 제품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용 수납용기는 내수성이 뛰어나 그 크기에 따라 등산용 수저 또는 수영복, 레저 활동에 의해 수분이 함유된 물품을 보관하기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10 : 휴대용 수납용기 100 : 커버
110 : 받침커버 111 : 돌기
112 : 걸림턱 115 : 내부공간
120 : 열림커버 121 : 구멍
122 : 단턱 125 : 보강리브
126 : 요홈

Claims (6)

  1. 길이 방향의 면 경계가 이음된 한 쌍의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는 상호 대응되게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한 쌍의 커버가 결합 되면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도록 하고,
    한 쌍의 커버가 맞닿는 둘레면에는 돌기와 구멍을 각각 형성시켜 끼움 결합으로 한 쌍의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납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열림커버 및 받치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림커버의 둘레면에는 구멍을 형성시키고, 상기 받침커버의 둘레면에는 돌기를 형성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납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무독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납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부공간 면에는 보강 리브를 길이방향으로 순차되게 형성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납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버가 맞닿는 면 중앙에 요홈을 각각 형성시켜 한 쌍의 커버가 일체로 조합되면 상기 요홈이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하여 손쉽게 커버의 개방을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납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부에 걸림턱을 형성시키고 상기 구멍에는 단턱을 형성시켜 상기 돌기와 구멍의 결합시 걸림턱 하단이 구멍을 관통하여 단턱에 걸림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납용기.
KR2020100008746U 2010-08-23 2010-08-23 휴대용 수납용기 KR201200014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746U KR20120001452U (ko) 2010-08-23 2010-08-23 휴대용 수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746U KR20120001452U (ko) 2010-08-23 2010-08-23 휴대용 수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52U true KR20120001452U (ko) 2012-03-05

Family

ID=4617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746U KR20120001452U (ko) 2010-08-23 2010-08-23 휴대용 수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45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47Y1 (ko) * 2015-05-20 2016-10-14 최영진 휴대용 수납 케이스
KR20200001143A (ko) * 2018-06-27 2020-01-06 박종성 용기제품 수납용 포장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47Y1 (ko) * 2015-05-20 2016-10-14 최영진 휴대용 수납 케이스
KR20200001143A (ko) * 2018-06-27 2020-01-06 박종성 용기제품 수납용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821B2 (en) Food container
KR20210008438A (ko) 멀티 용기 화장품 액세서리
KR101497815B1 (ko) 화장품 케이스
CN210842533U (zh) 折叠式纸杯
KR20120001452U (ko) 휴대용 수납용기
KR200475203Y1 (ko)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US1373156A (en) Messing equipment
US20150282653A1 (en) Beverage Container
USD518957S1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and lid
KR20120023926A (ko) 다용도 삼단 상자
WO2016047869A1 (ko) 신축이 가능한 보관주머니가 부착된 간이의자
JP2004167112A (ja) 箸で携帯枠に固定する段積み弁当箱セット
TWM543655U (zh) 具有提把的手搖杯
CN205457819U (zh) 一种组合杯
KR20170001723U (ko) 담뱃갑 커버
CN209252328U (zh) 可存放茶叶的双头保温杯
JP3176897U (ja) 折りたたんでコンパクトになる容器
CN107205535A (zh) 带有化妆品套件的瓶盖
KR20150068261A (ko) 막대사탕 보관 기능 및 휴대전화 간이 삼각대 기능을 구비한 막대
KR200449212Y1 (ko) 경구용 내용물 용기구조
JP3127399U (ja) 多機能式化粧品用容器
KR200475801Y1 (ko)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
KR102012590B1 (ko) 젓가락이 수납된 식품용기
JP3183850U (ja) 容器
KR20120006802U (ko) 손잡이가 두 개 구비된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