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337U -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337U
KR20120001337U KR2020100008562U KR20100008562U KR20120001337U KR 20120001337 U KR20120001337 U KR 20120001337U KR 2020100008562 U KR2020100008562 U KR 2020100008562U KR 20100008562 U KR20100008562 U KR 20100008562U KR 20120001337 U KR20120001337 U KR 201200013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ne
lens
lens socke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262Y1 (ko
Inventor
심석용
Original Assignee
심석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석용 filed Critical 심석용
Priority to KR2020100008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26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3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2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이 차선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차체 양측에 설치되어 제어부(100)에 의해 구동되는 차선유도체(200)가 구비된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선유도체(200)는 전원부(210)와, 상기 전원부(210)로 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며 렌즈소켓 고정볼(222)이 구비된 레이저발산부(220)와, 상기 레이저발산부(220)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렌즈소켓(230)으로 구성되되, 상기 렌즈소켓(230)은, 상기 렌즈소켓 고정볼(222)과 끼움되는 고정홈(236)이 형성된 하우징(232)과, 상기 하우징(232)의 정면에 체결되는 다수의 렌즈(234)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차량 주행시 차량에 설치된 레이저 빔에 의하여 전방을 포함한 사방에서 식별이 용이하게 함은 물론 도로의 차선을 따라 레이저가 발산되어 우천 또는 야간 운행시 운전자의 시야를 밝힘으로써 미연에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Vehicle safety travelling induction system}
본 고안은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시 차량에 설치된 레이저 빔에 의하여 전방을 포함한 사방에서 식별이 용이하게 함은 물론 도로의 차선을 따라 레이저가 발산되어 우천 또는 야간 운행시 운전자의 시야를 밝힘으로써 미연에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등화장치는,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에 위치토록 되는 대상물을 잘 보이게 하는 조명기능과 상대방의 차량이나 기타의 도로 이용자에게 자신의 주행상태를 표시하는 신호의 기능 및 차량의 전체외관 상태를 표시하는 표지의 기능을 수행하며, 조명용으로는 전조등, 안개등, 후진등, 실내등 계기등이 있으며, 표시용으로는 차폭등, 후미등, 번호판등이 있고, 신호용으로는 방향지시등, 제동등, 비상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종래의 등화장치는 빛이 분산되어 발산되는 점에 따라, 골목길의 코너등에서 물체에 가리게 되어 차량의 주행상태나 주행 방향이 표시되지 않고 사각지역에 위치하는 차량이나 보행자는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한 차량 접근여부를 쉽게 파악하기 힘들다.
또한, 과도한 서행이나 경적 등의 기타 신호를 발생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서, 이에 대한 불편함이 따르는 실정이여서 이에 대한 부주의로 인해 불필요한 차량 및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량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 주행시 차량이 건물이나 물체에 가려 보이지 않게 되는 골목길의 모퉁이나 교차로등의 사각 지역에서 차량의 주행상태를 표시토록 차량에 레이저 빔을 설치함으로써 차량 및 보행자의 식별력을 높여 미연에 안전사고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는 도로의 차선을 감지하여 레이저 빔을 발산하여 차량이 차선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는 차량이 차선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차체 양측에 설치되어 제어부(100)에 의해 구동되는 차선유도체(200)가 구비된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선유도체(200)는 전원부(210)와, 상기 전원부(210)로 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며 렌즈소켓 고정볼(222)이 구비된 레이저발산부(220)와, 상기 레이저발산부(220)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렌즈소켓(230)으로 구성되되, 상기 렌즈소켓(230)은, 상기 렌즈소켓 고정볼(222)과 끼움되는 고정홈(236)이 형성된 하우징(232)과, 상기 하우징(232)의 정면에 체결되는 다수의 렌즈(23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는 구비된 레이저 빔에 의하여 전방에 위치한 차량 및 차선의 식별력을 높여 미연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골목길 등의 사각지역에서 타 차량 및 보행자가 차량의 접근을 인지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 일 실시예로 나타낸 차량뿐만 아니라 원동기를 비롯한 2륜차량 등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의 측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구성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의 측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구성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일 실시 예로 도시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는 차량이 차선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차체 양측에 차선유도체(200)가 설치되고, 상기 차선유도체(200)는 차량 일측에 구비된 제어부(100)에 의해 구동되되,
여기서, 상기 차선유도체(200)는
전원부(210)와, 상기 전원부(210)로 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며 렌즈소켓 고정볼(222)이 구비된 레이저발산부(220)와, 상기 레이저발산부(220)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렌즈소켓(2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소켓(230)은
하우징(232)과, 상기 하우징(232)의 정면에 체결되는 다수의 렌즈(234)와, 상기 하우징(232)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소켓 고정볼(222)과 끼움되는 고정홈(23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선유도체(200)가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차체와 차선유도체(200)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되, 수동 또는 제어부(10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부재(240)와,
상기 차선유도체(200)의 전원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온/오프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치(25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234)는 상기 레이저발산부(220)로 부터 발산된 빛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다른 모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주변정보 및 주행정보를 센싱하는 감지수단(1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수단(110)은
빛의 밝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조도감지센서(112)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속도감응센서(114)와, 차선의 굴곡 및 기울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차선감지센서(11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의 조립과정 및 사용과정을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립과정은 당업자에 따라 변형 및 다양한 타 실시 예가 시행될 수 있다.
먼저, 차량의 양측 적당한 곳에 전원부(210)와, 렌즈소켓 고정볼(222)이 형성된 레이저발산부(220)와, 렌즈소켓(230)이 구비된 차선유도체(20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소켓(230)은 하우징(232)과, 상기 하우징(232)의 정면에 다수게 체결되는 렌즈(234)와, 상기 하우징(232)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소켓 고정볼(222)과 끼움되는 고정홈(23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234)는 상기 레이저발산부(220)로 부터 발산된 빛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켜 지면에 나타낼 수 있도록 각각의 다른 모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선유도체(200)의 저면에 각도조절부재(240)를 체결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240)는 제어부(10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되, 수동으로 운전자의 임의에 맞게 설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가 용이하게 온/오프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위치(250)를 설치한다.
또한, 차량의 주변정보 및 주행정보를 센싱하는 감지수단(110)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수단(110)은 빛의 밝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조도감지센서(112)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속도감응센서(114)와, 차선의 굴곡 및 기울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차선감지센서(116)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 되면 운전자가 차량 운행시 스위치(250)를 켜게되면 전원부(210)로 부터 전력이 각각의 구성에 공급되게 되고, 조도감지센서(112)를 비롯한 속도감응센서(114) 및 차선감지센서(116)가 센싱 값을 제어부(100)에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도감지센서(112)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00)가 차선유도체(200)의 레이저발산부(220)를 구동할지 여부를 판단한 후, 구동 시키게 되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응센서(114)의 신호에 의해 제어부(100)로 부터 레이저발산부(220)에서 발산되는 레이저 빔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높을수록 레이저 빔은 차량에서 먼곳을 비추고 차량의 속도가 낮을수록 차량과 가까운 곳을 비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이저 빔과 차간거리는 제어부(100)로 부터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차선유도체(200)의 저면에 체결되는 각도조절부재(240)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차선감지센서(116)가 제어부(100)로 차선의 굴곡 및 기울기의 센싱 값을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게 되고,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00)는 상기 각도조절부재(240)를 제어하여 상기 레이저발산부(220)로 부터 발산된 빛을 항시 차량의 양측에 위치한 차선을 비추게 한다.
그리고, 운전자에 따라 렌즈소켓(230)을 회전시켜 지면에 빚춰지는 레이저 빔의 형상을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소켓(230)은 힌지(도시생략) 구조로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레이저발산부(220)의 상면에 구비된 렌즈소켓 고정볼(222)과 상기 하우징(232)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236)이 삽,탈 가능하여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
이에 따라, 골목길 또는 사각지역에서 보행자 및 타 차량이 차량접근을 인지하기 용이함은 물론 야간 및 우천시에 차량 운행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써,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110 : 감지수단
112 : 조도감지센서 114 : 속도감응센서
116 : 차선감지센서 200 : 차선유도체
210 : 전원부 220 : 레이저발산부
222 : 렌즈소켓고정볼 230 : 렌즈소켓
232 : 하우징 234 : 렌즈
236 : 고정홈 240 : 각도조절부재
250 : 스위치

Claims (6)

  1. 차량이 차선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차체 양측에 설치되어 제어부(100)에 의해 구동되는 차선유도체(200)가 구비된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선유도체(200)는
    전원부(210)와, 상기 전원부(210)로 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며 렌즈소켓 고정볼(222)이 구비된 레이저발산부(220)와, 상기 레이저발산부(220)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렌즈소켓(230)으로 구성되되,
    상기 렌즈소켓(230)은,
    상기 렌즈소켓 고정볼(222)과 끼움되는 고정홈(236)이 형성된 하우징(232)과;
    상기 하우징(232)의 정면에 체결되는 다수의 렌즈(23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유도체(20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차체와 차선유도체(200)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되, 수동 또는 제어부(10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부재(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유도체(200)의 전원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온/오프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치(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234)는,
    상기 레이저발산부(220)로 부터 발산된 빛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다른 모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주변정보 및 주행정보를 센싱하는 감지수단(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110)은,
    빛의 밝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조도감지센서(112)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속도감응센서(114)와;
    차선의 굴곡 및 기울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차선감지센서(1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KR2020100008562U 2010-08-18 2010-08-18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KR200461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562U KR200461262Y1 (ko) 2010-08-18 2010-08-18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562U KR200461262Y1 (ko) 2010-08-18 2010-08-18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37U true KR20120001337U (ko) 2012-02-28
KR200461262Y1 KR200461262Y1 (ko) 2012-07-02

Family

ID=4593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562U KR200461262Y1 (ko) 2010-08-18 2010-08-18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2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439B1 (ko) * 2021-05-03 2022-03-08 주식회사 대성티엠씨 도로 터널의 조명 제어 장치
KR200496595Y1 (ko) * 2022-10-27 2023-03-15 주 흥 고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차량 간격 유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3333B2 (ja) * 2003-02-17 2007-12-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線検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439B1 (ko) * 2021-05-03 2022-03-08 주식회사 대성티엠씨 도로 터널의 조명 제어 장치
KR200496595Y1 (ko) * 2022-10-27 2023-03-15 주 흥 고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차량 간격 유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262Y1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833B1 (ko) 차량용 방향 지시등 및 그 제어 방법
US7710243B2 (en) Driver-assistance vehicle
TWI537157B (zh) 車用警示裝置及方法
US11498478B2 (en) Electric scooter lighting for improved conspicuity
JP6841020B2 (ja) ポジション照明装置および車両
KR101256041B1 (ko) 스쿨존에서의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JP2009032260A (ja) 歩行者保護装置
KR20200082970A (ko) 복합 신호등 장치
KR20200057865A (ko) 차량의 주행정보 전달 장치 및 방법
US10219570B2 (en) Flexible lighting apparatus with adhesive for mounting to helmet outer surface
JP2012062718A (ja) 有機el照明を用いた横断歩道
JP2006265989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200461262Y1 (ko)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KR20220100758A (ko) 킥보드 안전장치
KR101201879B1 (ko) 차량 검지센서에 의한 충돌예방시스템
WO2019140494A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ивающее безопасность велосипедиста в условиях слабой видимости с помощью проекции света на спину велосипедиста
KR20150055163A (ko) 표지판이 구비된 도로반사경
JP4419845B2 (ja) 照明システム
KR20130021509A (ko) 횡단보도 표지장치
RU116422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индикации движ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KR101842804B1 (ko) 자동 배광가변형 조명 및 제어 시스템
KR20210022794A (ko) 차량의 가이드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192107U (ja) 車両用警告装置
KR200281503Y1 (ko) 차량용 방향지시등
KR20060000456A (ko) 경고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