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333U - 목걸이 장식부재 - Google Patents

목걸이 장식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333U
KR20120001333U KR2020100008557U KR20100008557U KR20120001333U KR 20120001333 U KR20120001333 U KR 20120001333U KR 2020100008557 U KR2020100008557 U KR 2020100008557U KR 20100008557 U KR20100008557 U KR 20100008557U KR 20120001333 U KR20120001333 U KR 201200013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decorative member
string
rotate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승호
Original Assignee
남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승호 filed Critical 남승호
Priority to KR2020100008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333U/ko
Publication of KR201200013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33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76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with the two ends of the strap or chain abutting each other or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se two en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신구중에 목걸이의 장식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장식부재의 일단을 회동이 가능하게 제작하여 암수로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는 장식부재 양끝단에 설치하여 목걸이줄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목걸이 장식부재에 관한것으로, 상기 목걸이 장식부재의 끝단에 줄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회동부가 목걸이줄 양끝단에 각각 설치연결되어 상기 개폐결합장치가 서로 연결결합되어 목걸이줄이 연결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동부는 회동구와 회동편으로 구성하여 목걸이 줄방향으로 기준으로 어느방향으로든지 360도 회전가능하게 구성하여 종래의 목걸이 장식부재가 단점인 줄의 꼬임상태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일끝단에만 회동이 가능하던 종래의 구조에서 양끝단에 회동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시나 착용후에도 줄의 꼬임현상이 거의 생기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몸에 상처가 생기 거나, 사용자의 옷에 엉키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목걸이 장식부재{Decorating element for necklace}
본 고안은 장신구중에 목걸이의 장식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장식부재의 일단을 회동이 가능하게 제작하여 암수로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는 장식부재 양끝단에 설치하여 목걸이줄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목걸이 장식부재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목걸이 장식부재는 일측에 삽입가능한 암구조와 삽입시키는 숫구조로 형성하고 있으며, 결착이 된 후에 빠지지 않도록 잠금장치 내지는 개폐결합장치를 통해 결합된 목걸이를 연결하고 있다.
종래의 목걸이줄의 장식부재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장치 내지는 개폐결합장치를 연결한 일측 끝단 목걸이줄이 줄방향으로 회동이 불가능하게 제작되어지거나 한쪽만이 회동이 가능하게 만들어져 사용자가 활동을 통해 몸의 움직임으로 인해 목걸이줄이 꼬이거나, 사용자 자신이 착용할때부터 꼬인 상태로 착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상술한 것처럼 잠금장치 내지는 개폐결합장치를 통해 결합된 목걸이는 사용자가 착용시부터 꼬인 상태로 착용하거나, 결합된 상태에서도 목걸이줄의 특성상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꼬이게 되어 잘못되는 경우 사용자의 몸에 상처를 주거나,사용자의 옷등에 목걸이줄이 엉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한쪽만이 장식부재가 회동이 가능한 경우에도 한쪽으로만 회동이 가능하기에 일정정도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심한 활동을 하거나 엉킨 상태에는 목걸이 줄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기에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목걸이 줄을 연결하는 양끝단에 사용되는 장식부재를 회동하게 하여 목걸이 줄의 꼬임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착용시에 몸에 상처가 생기거나 옷에 목걸이줄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목걸이 장식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예는 목걸이 장식부재의 끝단에 줄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회동부가 목걸이줄 양끝단에 각각 설치연결되어 개폐결합장치가 서로 연결결합되어 목걸이줄이 연결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회동구와 회동편으로 구성하여 목걸이 줄방향으로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든지 360도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 장식부재는 종래의 목걸이 장식부재가 단점인 줄의 꼬임상태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일끝단에만 회동이 가능하던 종래의 구조에서 양끝단에 회동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시나 착용후에도 줄의 꼬임현상이 거의 생기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몸에 상처가 생기거나, 사용자의 옷에 엉키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종래의 목걸이 장식부재의 나타내는 간략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 장식부재를 나타내는 간략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 장식부재를 일부절개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 장식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목걸이 장식부재는 회동되는 회동부를 목걸의 양끝단에 설치하여 목걸이의 꼬임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몸등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하며, 목걸이가 옷에 엉키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에 개폐결합장치(10)를 연결결합할수 있는 목걸이 장식부재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 장식부재의 끝단에 줄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회동부(20)가 목걸이줄 양끝단에 각각 설치연결되어 상기 개폐결합장치(10)가 서로 연결결합되어 목걸이줄이 연결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20)는 회동구(21)와 회동편(22)으로 구성하여 목걸이 줄방향으로 기준으로 어느방향으로든지 360도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개폐결합장치(10)는 목걸이줄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프링장치의 개폐구조 내지 회동에 의한 걸림구(11)와 걸림편(12)의 개폐구조를 가지며, 다른 형태의 개폐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걸림구(11)는 회동손잡이(13)와 회동힌지(14)로 구성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동결합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개폐결합장치(10)는 회동손잡이(13)를 회동시킴에 따라 회동힌지(14)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걸림구(11)의 걸고리(16)가 걸림편(12)에 결착되어 개폐를 한다.
상기 회동부(20)는 볼형상 숫구조의 회동구(21)와 홈형상 암구조의 회동편(22)으로 구성되어 결합시에 목걸이 줄방향으로 360도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로서, 17은 개폐결합장치의 개폐시에 걸고리가 걸림편에 결착된 후에 걸림편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고리 지지대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목걸이 줄을 형성하기 위하여 목걸이줄 방향으로 회동부(20)가 목걸이줄 양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결합장치(1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된다. 상기 목걸이줄 양끝단에는 360도 회전이 가능한 회동구와 회동구를 회동이 되도록 하는 회동편이 설치되어 어느방향으로든지 회동이 가능토록 된 것이다.
상기 개폐결합장치(10)의 회동손잡이(13)를 잡아당기거나 회동시켜 걸림구(11)의 걸고리(16)가 걸림편(12)에 걸리게 결착하여 목걸이줄을 형성한다. 이때, 회동손잡이(13)는 내부의 회동힌지(14)에 중심으로 회동하며, 회동과 동시에 결착되어진 걸림구(11)의 걸고리(16)는 내부 회동힌지(14)가 스프링(15)의 탄발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되면서 걸고리(16)와 대향되게 위치한 걸고리지지대(17)에 의해 지지되며 고정됨으로써 목걸이줄을 형성하게 된다.
위의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 장식부재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분야에 기술을 가진 자라면,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벗어남 없이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 장식부재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개폐결합장치 11 : 걸림구
12: 걸림편 13: 회동손잡이
14 : 회동힌지 15 : 스프링
16 : 걸고리 17 : 걸고리 지지대
20 : 회동부 21 : 회동구
22 : 회동편

Claims (2)

  1. 끝단에 개폐결합장치(10)를 연결결합할수 있는 목걸이 장식부재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 장식부재의 끝단에 줄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회동부(20)가 목걸이줄 양끝단에 각각 설치연결되어 상기 개폐결합장치(10)가 서로 연결결합되어 목걸이줄이 연결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장식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20)는 회동구(21)와 회동편(22)으로 구성하여 목걸이 줄방향으로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든지 360도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장식부재.
KR2020100008557U 2010-08-17 2010-08-17 목걸이 장식부재 KR201200013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557U KR20120001333U (ko) 2010-08-17 2010-08-17 목걸이 장식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557U KR20120001333U (ko) 2010-08-17 2010-08-17 목걸이 장식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33U true KR20120001333U (ko) 2012-02-27

Family

ID=4593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557U KR20120001333U (ko) 2010-08-17 2010-08-17 목걸이 장식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33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506A1 (ko) * 2016-06-02 2017-12-07 (주) 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꼬임 방지장치
KR101995868B1 (ko) * 2018-07-10 2019-07-03 김선수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506A1 (ko) * 2016-06-02 2017-12-07 (주) 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꼬임 방지장치
KR20170136701A (ko) * 2016-06-02 2017-12-12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꼬임 방지장치
KR101995868B1 (ko) * 2018-07-10 2019-07-03 김선수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800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100986185B1 (ko) 귀걸이
JP5492363B2 (ja) ハンガー
JP2007275203A (ja) 携帯電話用ストラップ保持具
KR20120001333U (ko) 목걸이 장식부재
WO2015054568A1 (en) Jewel shell clasp protector
EP3047763B1 (en) Curtain accessory
CN104430227A (zh) 双轴承绕线轮
JP5909300B2 (ja) カーテンアクセサリー
US20040216760A1 (en) Hair accessory
TWI249385B (en) Rotating pin clasp apparatus
KR101552706B1 (ko)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EP3462975B1 (en) Bead
KR200469878Y1 (ko) 집게 회전기능을 갖는 핀온릴
KR101173074B1 (ko) 장신구
KR102215087B1 (ko) 낚시대 받침장치
KR200324335Y1 (ko) 핀온릴의 회전방지 구조
TWM514524U (zh) 營釘結構
CN209376889U (zh) 一种新型双向首饰扣
CN210672355U (zh) 自动雨伞骨及包含该雨伞骨的雨伞
KR20010057175A (ko) 액세서리 체인의 고리장식
CN218184821U (zh) 一种具有旋转恒阻尼功能的控鱼器结构
CN108552688B (zh) 一种项链连接结构
CN206596740U (zh) 一种首饰链
KR102082209B1 (ko)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재활용 블록을 이용한 팔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