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706B1 -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 Google Patents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706B1
KR101552706B1 KR1020140032311A KR20140032311A KR101552706B1 KR 101552706 B1 KR101552706 B1 KR 101552706B1 KR 1020140032311 A KR1020140032311 A KR 1020140032311A KR 20140032311 A KR20140032311 A KR 20140032311A KR 101552706 B1 KR101552706 B1 KR 101552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outer casing
closing rod
safety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재황
Original Assignee
주재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황 filed Critical 주재황
Priority to KR1020140032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4Hooks with sliding clos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 등의 고처에서 사용자의 추락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안전그네, 안전벨트 등에 연결된 안전로프(A)가 체결되어 고정부재(B)에 결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1)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1)는 일측에 안전로프(A)가 체결되는 로프연결공(21a)을 갖는 로프체결구(21)가 형성되며 타측에 고정부재(B)가 내입되는 개구부(22)가 형성된 호형의 외부케이싱(2)을 구비하고, 외부케이싱(2)의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관통된 호형의 가이드공(23)을 따라서 원주방향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개폐로드(3)를 외부케이싱(2)과 탄력스프링(5)으로 탄력 지지되게 결합 구성하며, 개폐로드(3)의 선단부 외측에 형성된 걸림홈(31)에 걸림되어 개폐로드(3)의 임의 개방을 방지토록 외부케이싱(2)에 잠금수단(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그 구조가 단순하고 해제레버(44)와 작동편(32)을 당기는 간단한 작용만으로 개구부(22)를 개방시킬 수 있어서 제작 및 개폐작용이 용이하면서 작동신뢰도가 탁월하여 제조원가의 절감과 함께 사용상의 편의성 및 제품 호응도를 높일 수 있으며, 내구성을 일층 향상시켜서 안전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A safety connection ring for industry}
본 발명은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종 산업현장 등의 고처(高處)에서 작업을 행하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그네 또는 안전벨트를 비계 또는 특정 고정부재에 연결 고정할 시 사용되어 사용자의 추락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현장, 조선소 등의 각종 산업현장, 암벽이나 빙벽 등반 등의 레포츠현장, 외부면의 청소 및 보수공사를 행하는 건축물 또는 고층의 화재진압현장 등의 고처에서 사용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그네, 안전벨트 또는 안전조끼 등에 연결되는 안전로프가 일측의 로프연결공에 체결된 안전 연결고리의 타측 체결부는 고처에서 고정 설치된 비계를 이루는 파이프나 특정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그네 또는 안전벨트 등을 착용한 사용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안전 연결고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7년 제65864호(2007년 6월 25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고리본체의 일측에 걸림부재가 내입되는 개구를 형성하며, 고리본체의 개구에는 스톱핑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스톱핑수단은 고리본체의 하부에 제1축핀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스톱핑레버와 제2스톱핑레버에 안내 슬라이드 전개될 수 있도록 안내장공이 형성되어 제2축핀과 연결되는 제1스톱핑레버와 제1스톱핑레버 및 고리본체에 각각 제2축핀과 제3축핀으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되는 연결레버와 제1스톱핑레버를 상측으로 전개 복원시키기 위하여 탄력 설치되는 제1복원수단과 제3축에 결합되며 연결레버와 고리본체에 양 단부가 각각 탄력 설치되는 제2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2복원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고리본체의 하부의 제1축핀에 스톱핑수단이 회동되는 방식으로 구조가 복잡하면서 개폐작용이 어렵고, 걸림부재가 내입된 후 스톱핑수단에 의해서 고리본체의 개구가 차단되어 있을 시 스톱핑수단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서 스톱핑수단의 파손이 빈번하게 일어나며, 축핀의 잦은 파단 등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많아서 견고함이 떨어지므로 제품의 수명이 짧으며, 안전성이 떨어져서 산업용 등으로 사용 시 안전기준에 맞추기 위해서 고리본체나 스톱핑수단의 레버 등을 두꺼운 훅(hook) 형태의 주조품으로 성형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상기 기존의 안전 연결고리와 같은 기능을 갖는 기술로 카라비너(carabiner)가 있으며, 이러한 카라비너의 경우에도 산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안전성을 갖도록 하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09628호(2006년 2월 24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갈고리형상의 본체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회동되며 타단부에 걸림되는 로커를 설치하되, 로커를 본체의 개방부 개폐를 제어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1로커와 제1로커의 임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1로커의 외측에서 90도 회전 및 복원되도록 구성된 제2로커로 구성하여 제2로커를 회전시키지 않으면 제1로커가 본체 내측으로 회동되지 않는 2중 로커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래 카라비너의 경우에도 훅 형태의 주조품으로 성형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을 가지며, 개폐작용이 용이하지만 본체의 개방부에 설치된 로커쪽으로 강한 외력이 발생되면 이를 버티는 로커의 강도를 강하게 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품의 견고성과 안전성이 떨어지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KR 10-2007-0055154 A 2007. 6. 25. KR 20-0409628 Y1 2006. 2. 24.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 안전 연결고리 또는 카라비너에서 가장 취약하던 스톱핑수단이나 로커가 본체에서 내측으로 회동되던 구조에서 본체 기능의 외부케이싱에서 스토퍼나 로커 기능을 갖는 호형의 개폐로드를 구비하여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변형시키되, 상기 호형의 개폐로드의 폐쇄 시 개폐로드의 선단부에 걸림홈을 형성하면서 외부케이싱에 회동되게 설치된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외부케이싱의 개구부를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개폐로드와 개폐로드의 단부를 걸림 고정시키는 잠금수단에 의해서 개구부가 임의 개방되지 않도록 2중의 로킹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내구성 향상과 더불어 안전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으며, 개방 시 잠금수단은 방아쇠를 당기듯 당기면서 개폐로드는 외부케이싱의 외측면을 따라 당기기만 하면 되고 폐쇄 시 당기고 있던 잠금수단과 개폐로드를 놓으면 자동으로 폐쇄되므로 개폐작용이 극히 용이하면서 구조가 단순하여 작동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외부케이싱과 개폐로드를 주조가 아닌 철판을 절단 및 절곡하는 단조로 제작할 수 있어서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를 구성하되, 상기 본 발명의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는 후방으로 안전로프가 체결되는 로프연결공을 갖는 로프체결구가 구비되면서 전방으로 비계파이프 등의 고정정부재가 내입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호형의 외부케이싱과, 상기 호형의 외부케이싱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호형의 가이드공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일측에서 선단부가 개구부를 개폐시키도록 가이드공으로 후단부가 내입되어 외부케이싱의 호형 가이드공을 타고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 구성된 개폐로드와, 상기 개폐로드의 선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걸림홈과, 개폐로드의 걸림홈에 탈착되게 외부케이싱에 설치되어 외부케이싱의 가이드공을 타고 슬라이딩되는 개폐로드의 개구부 개폐를 제어하는 잠금수단과, 개폐로드 후방의 외부케이싱 내측에서 외부케이싱 내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편과 개폐로드의 후단에 양단이 탄력 지지되어 개폐로드를 슬라이딩시켜서 개구부가 폐쇄되게 구성된 탄력스프링과, 개폐로드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케이싱의 외측으로 절개 형성된 슬라이드작동장공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작동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수단을 해제시킨 후 작동편을 슬라이드작동장공을 따라 후방으로 당기면 탄력스프링에 탄력 지지되어 있던 개폐로드가 외부케이싱의 가이드공을 타고 슬라이딩되면서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수단은 외부케이싱 일측에 관통 결합되게 설치된 회동축 및 회동축에 자유 회전되게 설치된 회동구와, 회동구의 일측에서 연장된 위치에 형성되어 개폐로드의 걸림홈으로 내입 걸림되도록 구성된 걸림봉과, 회동구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외부케이싱의 외측에 절개 형성된 해제작동장공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해제레버와, 회동축이 관통되며 회동구와 외부케이싱에 각각 양단부가 탄력 지지되게 구성된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져서 평소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걸림봉이 개폐로드의 걸림홈에 내입되어 있다가 해제레버의 회동 시 회동구를 회동축에서 회동시켜서 개폐로드의 걸림홈에서 걸림봉을 이탈시켜서 개폐로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싱의 단부에 상하로 관통된 고정핀이 설치되며, 개폐로드의 외측에는 외부케이싱의 고정핀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개폐로드가 개구부를 폐쇄할 시 개구부 쪽의 개폐로드로 강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부케이싱에서 개폐로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프연결공을 갖는 로프체결구는 외부케이싱의 후방에 형성된 연결목부에 결합되면서 자유 회전되도록 연결목부의 단부에 연결목부보다 단면적이 넓은 이탈방지턱을 형성하여 이탈방지턱의 상부에 유격을 갖도록 결합되는 환형의 회전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싱과 개폐로드는 상하부 동일한 형상의 철판을 절단 및 절곡 등의 단조로 성형하여 상하로 마주보게 결합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는 호형의 외부케이싱 내부에서 탄력스프링에 의해서 탄력 지지되게 설치된 개폐로드가 외부케이싱의 가이드공을 따라서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외부케이싱의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종래 안전 연결고리 또는 카라비너에서 스톱핑수단 또는 로커가 갈고리 형태의 본체 내측으로 각운동으로 회동되던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은 호형의 외부케이싱 내부에 형성된 호형의 가이드공에서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개폐로드 및 개폐로드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홈과 대응 결합되어 개폐로드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는 잠금수단에 의해서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의 개폐구조를 2중으로 구성하여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잠금장치의 해제레버와 개폐로드의 작동편을 후방으로 당기는 간단한 작용만으로 개구부를 개방시키며 해제레버와 작동편을 놓으면 탄력스프링에 의해 개폐로드가 개구부를 폐쇄시키면서 잠금장치의 걸림봉이 개폐로드의 걸림홈에 결합되어 개폐로드의 임의 개방이 방지되므로 개폐작용이 극히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작동신뢰도를 월등히 높일 수 있으며, 그 구조가 단순하고 작동이 간단하며 외부케이싱이나 개폐로드 등의 주요 구성품을 단조 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어서 제조원가를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제품 호응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서 부가적으로 외부케이싱의 고정핀에 개폐로드의 걸림턱이 걸림되도록 하여 개폐로드가 외부케이싱에서 이탈 및 분리될 염려가 없는 등 내구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으며, 안전로프가 체결되는 로프연결공을 갖는 로프체결구를 외부케이싱에 자유 회전되게 설치하여 안전로프의 꼬임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개폐로드가 폐쇄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개폐로드가 개방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례를 보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로프체결구의 다른 실례를 보인 예시도
상기 도면들과 더불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이나 고층 건축물 등의 고처에서 사용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그네 또는 안전벨트 등에 연결된 안전로프(A)가 일측으로 체결되며 타측으로 비계파이프 등의 고정부재(B)가 내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1)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의 외부케이싱(2)과 외부케이싱(2)에서 슬라이드 개폐되는 개폐로드(3)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 발명에서 외부케이싱(2)은 후방으로 안전로프(A)가 체결되는 로프연결공(21a)을 갖는 로프체결구(21)가 돌출 형성되며, 일측으로 비계파이프 등의 고정부재(B)가 내입되도록 개구부(2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2)가 형성되게 호형으로 이루어진 외부케이싱(2)은 도 2의 분리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형의 원심(圓心)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되어 외부케이싱(2)의 양단부에서 개구부(22)로 개방된 가이드공(23)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서 개폐로드(3)는 호형 외부케이싱(2)의 일측에서 가이드공(23)으로 후단이 내입되어 선단부가 호형으로 돌출되며 외부케이싱(2)의 호형 가이드공(23)을 타고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구부(22)를 개폐시키도록 결합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개폐로드(3)의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개방되는 걸림홈(31)이 형성되어 개폐로드(3)가 슬라이드 인출되는 반대편 외부케이싱(2)의 가이드공(23)으로 걸림홈(31)이 형성된 개폐로드(3)의 선단이 내입되게 구성된다.
상기 걸림홈(31)이 내입된 외부케이싱(2) 일측에는 개폐로드(3)의 걸림홈(31)에 탈착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케이싱(2)의 가이드공(23)을 타고 슬라이딩되어 개구부(22)를 개폐하는 개폐로드(3)의 작동을 제어토록 잠금수단(4)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로드(3) 후방의 외부케이싱(2) 내측에는 외부케이싱(2) 내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편(51)과 개폐로드(3)의 후단에 양단이 탄력 지지되는 탄력스프링(5)이 구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로드(3)가 슬라이딩되게 하여 개구부(22)를 폐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개폐로드(3)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케이싱(2)의 외측으로 절개 형성된 슬라이드작동장공(24)으로 돌출되는 작동편(32)이 구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편(32)을 슬라이드작동장공(24)을 따라 당기면 개폐로드(3)가 슬라이딩되게 하여 개구부(22)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잠금수단(4)은 외부케이싱(2) 일측에 관통 결합되게 설치된 회동축(41)이 구비되며, 회동축(41)에 자유 회전되게 설치된 회동구(42)가 구비되며, 회동구(42)의 일측에서 연장된 위치에 형성되어 단부에 개폐로드(3)의 걸림홈(31)으로 내입 걸림되는 걸림봉(43)이 구비되며, 회동구(42)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외부케이싱(2)의 외측에 형성된 해제작동장공(25)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방아쇠와 같이 손가락으로 해제작동장공(25)을 따라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 해제레버(44)가 구비되며, 회동축(41)이 관통되며 회동구(42)와 외부케이싱(2)에 각각 양단부가 탄력 지지되게 구성된 토션스프링(45)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싱(2)의 단부에 상하로 관통된 고정핀(6)이 설치되며, 개폐로드(3)의 외측에는 외부케이싱(2)의 고정핀(6)에 걸림되는 걸림턱(7)이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개폐로드(3)가 개구부(22)를 폐쇄할 시 개구부(22) 쪽의 개폐로드(3)로 강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부케이싱(2)에서 개폐로드(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로프연결공(21a)을 갖는 로프체결구(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싱(2)의 후방에 형성된 연결목부(26)의 단부에 연결목부(26)보다 단면적이 넓은 이탈방지턱(27)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턱(27)의 내측에서 연결목부(26)와 유격을 갖도록 결합되는 환형의 회전체(8)가 구비되어 로프체결구(21)가 회전체(8)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로프체결구(21)가 외부케이싱(2)의 연결목부(26)에 결합되면서 자유 회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1)는 호형의 외부케이싱(2) 내측의 가이드공(23)을 타고 슬라이딩되는 호형의 개폐로드(3)에 의해서 비계파이프 등의 고정부재(B)가 결합되는 개구부(22)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되, 개폐로드(3)의 단부에 걸림홈(31)을 형성하면서 외부케이싱(2)에 회동되게 설치된 잠금수단(4)에 의해서 개폐로드(3)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2중의 로킹구조를 갖도록 한 것으로서, 이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서와 같이 탄력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서 개폐로드(3)가 개구부(22)를 폐쇄하면서 잠금수단(4)의 토션스프링(45) 탄성력에 의해서 개폐로드(3)의 걸림홈(31)에 걸림봉(43)이 결합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개구부(22)를 통해서 비계파이프 등의 고정부재(B)를 내입시키고자 할 시 사용자가 검지 등의 손가락으로 개폐로드(3)를 고정시키고 있는 잠금수단(4)의 해제레버(44)를 외부케이싱(2)의 해제작동장공(25)을 따라 당겨서 개폐로드(3)의 걸림홈(31)에 결합된 걸림봉(43)을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해서 외측으로 이탈시킨 다음, 사용자가 엄지 등의 다른 손가락 또는 다른 편 손의 손가락으로 개폐로드(3)의 작동편(32)을 외부케이싱(2)의 외측에 절개 형성된 슬라이드작동장공(24)을 따라 탄력스프링(5)의 탄성력보다 강하게 후방으로 당기면 개폐로드(3)가 외부케이싱(2)의 가이드공(23)을 타고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개구부(22)가 도 4에서와 같이 개방되는 것이며, 비계파이프 등의 고정부재(B)를 개구부(22)를 통해서 외부케이시의 내측으로 통과시킨 후 잡고 있던 잠금수단(4)의 해제레버(44)와 개폐로드(3)의 작동편(32)을 놓으면 개폐로드(3)는 후단의 탄력스프링(5)에 의해서 밀려서 외부케이싱(2)의 가이드공(23)을 타고 반대로 슬라이딩되어 도 3과 같이 개폐로드(3)의 선단부가 반대편 외부케이싱(2)으로 내입되어 개구부(22)를 폐쇄시키게 되며, 폐쇄된 개폐로드(3)의 걸림홈(31)으로 잠금수단(4)의 걸림봉(43)이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토션스프링(45)에 의해서 회동되어 결합되어 다시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외력에 의해서 혹여 개폐로드(3)의 작동편(32)이 후방으로 밀리더라도 잠금수단(4)에 의해서 개폐로드(3)의 선단부 걸림홈(31)이 고정되어 있어서 개구부(22)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으므로 작동이 간단하면서도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부재(B)에 결합된 본 발명의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1)는 외부케이싱(2)의 후방에 형성된 로프체결구(21)의 로프연결공(21a)에 고처에서 작업을 행하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던 안전그네 또는 안전벨트 등에 연결된 안전로프(A)가 체결되어 있으므로 고처에서 실수로 떨어지게 되면 고정부재(B)에 매달리게 되어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례인 외부케이싱(2)의 고정핀(6)과 이에 걸림되는 개폐로드(3)의 걸림턱(7)에 의해서 개폐로드(3)가 외부케이싱(2)에서 이탈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안전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으면서, 상기와 같이 안전로프(A)가 체결되는 로프체결구(21)를 외부케이싱(2) 후방의 연결목부(26)에 자유 회전되게 할 수 있어서 연결고리(1)를 고정부재(B)에 결합한 후 사용자가 활동을 많이 하더라도 로프체결구(21)가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자유 회전되어 안전로프(A)가 꼬이지 않으므로 활동성과 편의성을 극대화시켠서 안전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안전 연결고리(1)는 상술한 바에서와 같이 그 구성이 간단하면서 상기 외부케이싱(2)과 개폐로드(3) 등의 구성부재를 주조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외부케이싱(2)과 개폐로드(3)를 상하 분할 구성하여 모두 철판을 절단 및 절곡 등의 단조성형으로 제작한 후 결합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주조성형으로만 이루어지던 종래 안전 연결고리나 카라비너 등에 비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 원재료를 절감시킬 수 있어서 이로 인한 제조원가의 절감효과를 더욱 크게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주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안전로프 B:고정부재
1:연결고리 2:외부케이싱
21:로프체결구 21a:로프연결공
22:개구부 23:가이드공
24:슬라이드작동장공 25:해제작동장공
26:연결목부 27:이탈방지턱
3:개폐로드 31:걸림홈
32:작동편 4:잠금수단
41:회동축 42:회동구
43:걸림봉 44:해제레버
45:토션스프링 5:탄력스프링
51:고정편 6:고정핀
7:걸림턱 8:회전체

Claims (4)

  1. 일측으로 안전로프(A)가 체결되도록 로프연결공(21a)을 갖는 로프체결구(21)가 구비되며, 다른 일측으로 고정부재(B)가 내입되는 개구부(22)가 형성된 호형의 외부케이싱(2)과,
    외부케이싱(2)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호형의 가이드공(23)과,
    외부케이싱(2)의 일측에서 선단부가 개구부(22)를 개폐시키도록 가이드공(23)으로 후단부가 내입되어 외부케이싱(2)의 호형 가이드공(23)을 타고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 구성된 개폐로드(3)와,
    개폐로드(3)의 선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걸림홈(31)과,
    개폐로드(3)의 걸림홈(31)에 탈착되어 외부케이싱(2)에서 슬라이딩되는 개폐로드(3)의 개구부(22) 개폐를 제어토록 외부케이싱(2)에 설치된 잠금수단(4)과,
    개폐로드(3) 후방의 외부케이싱(2) 내측에서 외부케이싱(2) 내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편(51)과 개폐로드(3)의 후단에 양단이 탄력 지지되어 개폐로드(3)가 개구부(22)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된 탄력스프링(5)과,
    개폐로드(3)의 외측에 외부케이싱(2)의 외측으로 절개 형성된 슬라이드작동장공(24)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후방으로 당기면 개폐로드(3)가 개구부(22)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 작동편(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4)은,
    외부케이싱(2) 일측에 관통 결합되게 설치된 회동축(41)과,
    회동축(41)에 자유 회전되게 설치된 회동구(42)와,
    회동구(42)의 일측에서 연장된 위치에 형성되어 개폐로드(3)의 걸림홈(31)으로 내입 걸림되도록 구성된 걸림봉(43)과,
    회동구(42)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외부케이싱(2)의 외측에 절개 형성된 해제작동장공(25)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해제레버(44)와,
    회동축(41)이 관통되며 회동구(42)와 외부케이싱(2)에 각각 양단부가 탄력 지지되게 구성된 토션스프링(45)으로 이루어져서, 토션스프링(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걸림봉(43)이 개폐로드(3)의 걸림홈(31)에 내입되며 해제레버(44)의 회동 시 회동구(42)를 회동축(41)에서 회동시켜서 개폐로드(3)의 걸림홈(31)에서 걸림봉(43)이 이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케이싱(2)의 단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설치된 고정핀(6)과,
    개폐로드(3)의 외측에 외부케이싱(2)의 고정핀(6)으로 걸림되도록 형성된 걸림턱(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케이싱(2)의 후방으로 로프체결구(21)가 연결 형성된 연결목부(26)의 단부에 연결목부(26)보다 단면적이 넓게 형성된 이탈방지턱(27)과,
    이탈방지턱(27)의 내측에 연결목부(26)와 유격을 갖도록 결합 구성되며, 로프체결구(21)가 일체로 형성된 환형의 회전체(8)를 더 구비하여 로프체결구(21)가 자유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KR1020140032311A 2014-03-19 2014-03-19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KR101552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311A KR101552706B1 (ko) 2014-03-19 2014-03-19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311A KR101552706B1 (ko) 2014-03-19 2014-03-19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706B1 true KR101552706B1 (ko) 2015-09-11

Family

ID=54248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311A KR101552706B1 (ko) 2014-03-19 2014-03-19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7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148Y1 (ko) * 2017-04-27 2017-12-04 배영식 대상물 회전 걸이구
CN110304535A (zh) * 2019-07-09 2019-10-08 浙江冠林机械有限公司 用于起重设备的电动葫芦防脱钩
KR20220166134A (ko) * 2021-06-09 2022-12-16 한국중부발전(주) 고소작업용 안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5096A1 (en) 2011-07-29 2013-01-31 Ralloc Co., Ltd. Snap hook for animal leas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5096A1 (en) 2011-07-29 2013-01-31 Ralloc Co., Ltd. Snap hook for animal leash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148Y1 (ko) * 2017-04-27 2017-12-04 배영식 대상물 회전 걸이구
CN110304535A (zh) * 2019-07-09 2019-10-08 浙江冠林机械有限公司 用于起重设备的电动葫芦防脱钩
KR20220166134A (ko) * 2021-06-09 2022-12-16 한국중부발전(주) 고소작업용 안전장치
KR102654293B1 (ko) * 2021-06-09 2024-04-04 한국중부발전(주) 고소작업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706B1 (ko)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US9091295B1 (en) Safety hook
US8776437B2 (en) Casement window operator with folding handle
JP5997397B1 (ja) 安全フック
US20100206017A1 (en) Safety handcuffs designed to facilitate the handcuffing of an individual
US20130000354A1 (en) Item of jewelry
US20170114824A1 (en) Rebar snap hook
US10981283B1 (en) Double-sided ball slide knife blade locking mechanism
KR101220114B1 (ko) 자전거용 잠금장치
US20220250885A1 (en) Snatch Block with Slide-Open Spring-Biased Cheek, Dual-Plunger Lock Release, and Integral Swivel Stud
CN111225581A (zh) 保护带连接件
RU2012158002A (ru) Переставной ручной инструмент
EP1596941B1 (en) Safety devices
CA2856495C (en) Combined fashion accessory and key
KR101552708B1 (ko)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
CA2686428C (en) Snap hook
JP3189229U (ja) 工具落下防止索具の止め具
TWI673087B (zh) 登山鉤結構
JP6161507B2 (ja) 安全帯用フック
EP0396295A2 (en) Pliers or nippers with compound pivot axes
EP2858526A1 (en) Closing device, particularly for jewels and the like
JP7134433B2 (ja) 安全帯用フック
TWI651063B (zh) 滑套式安全鉤結構
JP3242660U (ja) 高所作業用安全ベルトの安全掛け金
US279477A (en) Snap-h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