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868B1 -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 - Google Patents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868B1
KR101995868B1 KR1020180079913A KR20180079913A KR101995868B1 KR 101995868 B1 KR101995868 B1 KR 101995868B1 KR 1020180079913 A KR1020180079913 A KR 1020180079913A KR 20180079913 A KR20180079913 A KR 20180079913A KR 101995868 B1 KR101995868 B1 KR 101995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groove
bracelet
protrusio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수
Original Assignee
김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수 filed Critical 김선수
Priority to KR1020180079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3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with a storage compartment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팔목에 착용하여 위급한 상황시 수용된 알약을 인출하여 복용하도록 된 팔찌로서, 외주연에 결합나사부가 형성된 체결관이 상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관과 연통되게 제 1 수용홈이 상기 상면부에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체결나사부를 갖는 한쌍의 체결홈이 형성된 케이싱본체와, 상기 체결관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 1 수용홈을 밀폐시키는 덮개와, 상기 체결홈에 나사체결되는 체결돌부와 상기 체결돌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돌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연결공을 갖는 연결돌부로 구성된 연결유닛과, 상기 연결유닛들을 연결시키는 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제 2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관에는 외주연에 환형의 기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기밀홈에는 기밀링이 더 체결되어,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알약을 수용한 후 덮개로 밀폐시키고, 밴드를 마련하여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하도록 함으로서, 위급 상황시 사용자가 케이싱본체에 수용된 알약을 신속하게 인출하여 복용함으로서, 응급조치를 할 수 있어 자신의 생명을 지킬 수 있게 되고 시계유닛을 체결하여 시계의 기능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 { Bracelet with pill storage structure }
본 발명은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알약을 수용한 후 덮개로 밀폐시키고, 밴드를 마련하여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하도록 함으로서, 위급 상황시 사용자가 케이싱본체에 수용된 알약을 신속하게 인출하여 복용함으로서, 응급조치를 할 수 있어 자신의 생명을 지킬 수 있게 되고 시계유닛을 체결하여 시계의 기능도 제공하게 되는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장질환환자와 같이 몇 시간의 주기로 또는 응급상황발생시 알약을 복용하여야 하므로 알약 병을 항상 휴대하고 다니면서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약병에서 알약을 꺼내어 복용하였고, 알 약병은 주머니 또는 휴대용 가방에 휴대하였다. 그러나, 주머니에 넣어둔 알 약병은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의 건망증에 의해 분실의 우려가 있었으며, 알 약병을 분실하였을 경우 정해진 시간에 복용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소량의 알약 몇 개만을 넣고 다니는 것을 귀찮아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급격한 가승통증이나 호흡곤란이 발생하는 위급 상황시 복용할 약을 쉽게 찾지 못해 치료시간을 놓쳐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탈의 후 목욕이나 물 놀이중 위급 상황시 보관된 약을 찾기가 어려워 응급조치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용 가방에 보관할 경우에도 분실의 우려의 문제점은 언제나 있는 것이며, 보편적으로 휴대용 가방 속에는 다른 많은 물건들을 넣어 휴대하는 것으로 다른 물건에 섞여있는 알 약병을 찾아야하는 불편 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본인이 실용신안 선출원 제20-1999-0022711호 (1999.10.21)‘휴대용 알약케이스’와 같이 출원한 바가 있으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암나사를 형성하며, 바깥쪽에는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서 된 뚜껑과 수납부를 형성하고, 바깥쪽에 수나사를 형성하며, 받침편의 양쪽 단부에는 끼움공을 형성하여서 된 몸체와, 수매직테잎과 암매직테잎이 양단부에 구비된 밴드를 상기 몸체의 끼움공에 끼우고, 상기 뚜껑을 몸체에 체결하여서된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밴드는 2개로 나누어 두 개의 끼움공에 끼워 봉제하여 고정시키되 상기 밴드의 어느 한쪽에는 신축성이 좋은 고무밴드로 형성하는 것과, 상기 몸체의 받침부의 양단에는 시계줄밴드를 착용할 수 있도록 결속공을 뚫어 시중에서 판매되는 시계줄을 끼워 넣고 결속핀에 의해 결속하도록 하는 것과, 뚜껑을 몸체와 일체형으로 성형하되, 뚜껑 안쪽에는 환상요홈을 형성하고, 전면에는 걸림턱을 형성하며, 몸체와 뚜껑은 연결밴드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하고, 몸체의 상단부의 외주연에는 환상돌테를 형성하여 뚜껑을 닫았을 때에 상기 환상돌테가 상기 환상요홈에 끼워져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 제20-1999-0022711호 ‘휴대용 알약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알약케이스의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아 내부에 습기 또는 물기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한쌍의 밴드 연결부분을 메직밴드테입으로 형성하고, 메직밴드테입을 상호 연결하여 밴드들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게 되는데, 메직밴드테입의 접착력이 떨어져 분리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실용신안 제017410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알약을 수용한 후 덮개로 밀폐시키고, 밴드를 마련하여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하도록 함으로서, 위급 상황시 사용자가 케이싱본체에 수용된 알약을 신속하게 인출하여 복용함으로서, 응급조치를 할 수 있어 자신의 생명을 지킬 수 있게 되고 시계유닛을 체결하여 시계의 기능도 제공하게 되는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팔목에 착용하여 위급한 상황시 수용된 알약을 인출하여 복용하도록 된 팔찌로서, 외주연에 결합나사부가 형성된 체결관이 상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관과 연통되게 제 1 수용홈이 상기 상면부에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체결나사부를 갖는 한쌍의 체결홈이 형성된 케이싱본체와, 상기 체결관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 1 수용홈을 밀폐시키는 덮개와, 상기 체결홈에 나사체결되는 체결돌부와 상기 체결돌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돌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연결공을 갖는 연결돌부로 구성된 연결유닛과, 상기 연결유닛들을 연결시키는 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제 2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관에는 외주연에 환형의 기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기밀홈에는 기밀링이 더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의 일면에는 설치홈을 더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에는 시계유닛이 더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부에는 가압탄성관이 더 체결되어, 상기 케이싱본체의 외주연을 가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본체에는 상기 제 2 수용홈에 끼움되도록 인출캡과 상기 인출캡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용홈의 저면에 배치되는 환형의 인출패널로 이루어진 인출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인출부를 승강시키도록 승강실린더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에는 저면부에 상기 알약을 가압하여 고정시킴과 아울러 알약들이 상호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핀들이 더 형성되고, 알약들을 균일하게 분포시킴과 아울러 알약과 알약사이에 상기 탄성핀들이 배치되도록 진동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는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알약을 수용한 후 덮개로 밀폐시키고, 밴드를 마련하여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하도록 함으로서, 위급 상황시 사용자가 케이싱본체에 수용된 알약을 신속하게 인출하여 복용함으로서, 응급조치를 할 수 있어 자신의 생명을 지킬 수 있게 되고 시계유닛을 체결하여 시계의 기능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알약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있어, 케이싱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있어, 케이싱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있어, 케이싱본체에 알약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있어, 덮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있어, 연결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있어, 연결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팔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알약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있어, 케이싱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있어, 케이싱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있어, 케이싱본체에 알약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있어, 덮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있어, 연결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있어, 연결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팔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팔찌라 명명함)는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하여 위급한 상황시 수용된 알약(100)을 인출하여 복용하도록 된 팔찌(10)로서, 이에 이와같은 팔찌(10)는 케이싱본체(20)와 덮개(30)와 연결유닛(40)과 밴드(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본체(2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외주연에 결합나사부(211)가 형성된 체결관(21)이 상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관(21)과 연통되게 제 1 수용홈(22)이 상기 상면부에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내측면에 체결나사부(231)를 갖는 한쌍의 체결홈(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수용홈(22)의 바닥면에는 제 2 수용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수용홈(221)에는 상부에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밀폐커버를 더 억지끼움시켜, 이중으로 밀폐되도록 함으로서, 습기에 의해 알약(100)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관(21)에는 외주연에 환형의 기밀홈(2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기밀홈(212)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기밀링(213)이 더 체결되어, 상기 덮개(30)가 체결시 덮개(3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본체(20)의 외면에는 소켓홈을 더 형성하고, 상기 소켓홈에는 음이온이 방출되는 게르마늄블럭을 더 끼운 후 접착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덮개(3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관(21)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 1 수용홈(22)을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덮개(30)의 내주연에는 상기 체결관(21)의 결합나사부(211)에 나사체결되도록 나사부를 더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유닛(40)은 상기 체결홈(23)에 나사체결되는 체결돌부(41)와 상기 체결돌부(41)의 일면에 형성되는 목부(42)와 상기 목부(42)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돌부(43)와 상기 걸림돌부(43)의 일면에 형성되는 연결공(441)을 갖는 연결돌부(44)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50)는 상기 연결유닛(40)들을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밴드(50)는 양단부가 상기 연결유닛(40)의 연결공(441)에 핀체결되어 회전되며, 사용자의 팔목을 감싸면서 고정된다. 상기한 밴드(50)는 팔목에 착용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것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며,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덮개(30)의 일면에는 설치홈(31)을 더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31)에는 시계유닛(32)이 더 체결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 팔목시계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목부(42)에는 환형의 가압탄성관(45)이 더 체결되어, 상기 연결유닛(40)의 체결돌부(41)가 상기 체결홈(23)에 나사체결시 상기 걸림돌부(43)가 상기 가압탄성관(45)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탄성관(45)이 상기 케이싱본체(20)의 외주연을 가압되도록 함으로서, 탄성에 의해 상기 체결돌부(41)가 상기 체결홈(23)에서 빠지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목부(42)에는 상기 가압탄성관(45)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탄성관(45)과 상기 걸림돌부(43) 사이에 탄성스프링을 더 끼워, 상기 체결돌부(41)가 상기 체결홈(23)에서 빠지가나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10)는 사용자의 팔에 착용하게 되고 위급시 사용자가 케이싱본체(20)에서 덮개(30)를 분리한 후 케이싱본체(20)의 내부에 수용된 알약(100)을 꺼내 복용함으로서, 응급조치가 가능하게 하여 위급상황시 사용자의 생명을 지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10)는 팔찌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상시 팔목에 착용하고 생활할 수 있게 되며, 시계유닛(32)이 장착되어 시계로서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본체(20)에는 상기 제 2 수용홈에 끼움되도록 인출캡(241)과 상기 인출캡(241)의 상측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용홈(22)의 저면에 배치되는 환형의 인출패널(242)로 이루어진 인출부(24)가 더 마련되고, 상기 케이싱본체(20)의 내부에는 상기 인출부(24)를 승강시키도록 승강실린더(25)가 더 마련되어, 상기 승강실린더(25)의 구동에 의해 알약(100)이 배치된 상기 인출부(24)가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인출부(24)에서 알약(100)을 꺼낼 수 있어, 케이싱본체(20)를 바닥방향으로 뒤집어 자중에 의해 알약(100)을 인출시키지 않아도 되며, 손가락을 넣기 어려워 집게로 알약(100)을 꺼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인출캡(241)을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켜, 사용자가 상기 인출캡(241)의 하부를 가압하여 내부의 알약을 인출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인출패널(242)의 상면에 손잡이를 더 형성하여, 상기 인출부(24)를 외부로 빼낸 후 알약을 사용하거나 상기 인출캡의 하부를 가압하여 알약을 인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출캡(241)의 내주연에는 탄성을 갖는 지지핀들을 더 형성시켜, 상기 인출캡(241)에 수용된 알약(100)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30)에는 저면부에 탄성핀(33)을 형성하여 상기 알약(100)을 가압하여 고정시킴으로서, 알약이 제 1 수용홈(22) 및 제 2 수용홈(221)의 내측면과 마찰되거나 알약끼리 상호 마찰되어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알약(100)들 사이에 상기 덮개(30)에 형성되는 탄성핀(33)들이 배치되어 알약(100)들이 상호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알약(100)들을 균일하게 분포시킴과 아울러 알약과 알약(100)사이에 상기 탄성핀(33)들이 배치되도록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34)가 더 마련되어 진동기(34)의 진동이 상기 케이싱본체(20)에 형성전달되어 상호 맞닿게 배치되는 알약들이 떨어지게 되고, 탄성핀(33)들이 알약(100)들이 떨어진 사이공간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핀(22)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30)의 저면부에 도면상 상단부가 융착 또는 접착고정된다.
상기 덮개(30)의 저면부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탄성핀(33)들은 다른 탄성핀(33)들보다 길게 형성시켜, 상기 제 2 수용홈(221)에 배치되는 알약(100)을 가압하여 벽면에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핀(33)의 외면에는 상기 알약(100)들 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간격탄성핀들을 돌출되게 더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핀(33)은 하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하고, 단부에 곡선의 안내돌부를 더 형성시켜, 가압시 상기 알약(100)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고 알약(100)들 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팔찌 20 : 케이싱본체
30 : 덮개 40 : 연결유닛
50 : 밴드
21 : 체결관 211 : 결합나사부
212 : 기밀홈 213 : 기밀링
22 : 제 1 수용홈 221 : 제 2 수용홈
23 : 체결홈 231 : 체결나사부
24 : 인출부 241 : 인출캡
242 : 인출패널 25 : 승강실린더
31 : 설치홈 32 : 시계유닛
33 : 탄성핀 34 : 진동기
41 : 체결돌부 42 : 목부
43 : 걸림돌부 44 : 연결돌부
441 : 연결공 45 : 가압탄성관
100 : 알약

Claims (5)

  1. 팔목에 착용하여 위급한 상황시 수용된 알약을 인출하여 복용하도록 된 팔찌로서, 외주연에 결합나사부가 형성된 체결관이 상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관과 연통되게 제 1 수용홈이 상기 상면부에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체결나사부를 갖는 한쌍의 체결홈이 형성된 케이싱본체와, 상기 체결관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 1 수용홈을 밀폐시키는 덮개와, 상기 체결홈에 나사체결되는 체결돌부와 상기 체결돌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돌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연결공을 갖는 연결돌부로 구성된 연결유닛과, 상기 연결유닛들을 연결시키는 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제 2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관에는 외주연에 환형의 기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기밀홈에는 기밀링이 더 체결된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본체에는 상기 제 2 수용홈에 끼움되도록 인출캡과 상기 인출캡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용홈의 저면에 배치되는 환형의 인출패널로 이루어진 인출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인출부를 승강시키도록 승강실린더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일면에는 설치홈을 더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에는 시계유닛이 더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에는 가압탄성관이 더 체결되어, 상기 케이싱본체의 외주연을 가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저면부에 상기 알약을 가압하여 고정시킴과 아울러 알약들이 상호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핀들이 더 형성되고, 알약들을 균일하게 분포시킴과 아울러 알약과 알약사이에 상기 탄성핀들이 배치되도록 진동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
KR1020180079913A 2018-07-10 2018-07-10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 KR101995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913A KR101995868B1 (ko) 2018-07-10 2018-07-10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913A KR101995868B1 (ko) 2018-07-10 2018-07-10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868B1 true KR101995868B1 (ko) 2019-07-03

Family

ID=6725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913A KR101995868B1 (ko) 2018-07-10 2018-07-10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8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284A (ko) * 2019-08-20 2021-03-03 김선수 힌지개폐구조를 갖는 팔찌용 알약케이스
CN112674437A (zh) * 2020-12-28 2021-04-20 深圳市信德缘珠宝首饰有限公司 一种具有应急药盒的手镯
EP3827802A1 (de) * 2019-11-29 2021-06-02 Mina Odermatt Tragvorrichtung für medikament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4104B1 (ko) 1995-09-30 1999-05-15 토니헬샴 밀폐공간내의 소음제어를 위한 방사음압 측정방법 및 그 장치
KR200174104Y1 (ko) * 1999-10-21 2000-03-15 황인철 휴대용 알약 케이스
JP2000513336A (ja) * 1996-05-22 2000-10-10 ディバーシファイド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薬物の経皮送達のための組成物、方法及びデバイス
KR20120001333U (ko) * 2010-08-17 2012-02-27 남승호 목걸이 장식부재
US20130206801A1 (en) * 2012-02-09 2013-08-15 Grant Delgatty Portable elastic pill container
KR20160123735A (ko) * 2015-04-17 2016-10-26 주식회사 화인쥬얼리 물품보관이 가능한 목걸이
US9770088B1 (en) * 2017-01-03 2017-09-26 Tyrae K. Rivers Wearable medicine contain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4104B1 (ko) 1995-09-30 1999-05-15 토니헬샴 밀폐공간내의 소음제어를 위한 방사음압 측정방법 및 그 장치
JP2000513336A (ja) * 1996-05-22 2000-10-10 ディバーシファイド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薬物の経皮送達のための組成物、方法及びデバイス
KR200174104Y1 (ko) * 1999-10-21 2000-03-15 황인철 휴대용 알약 케이스
KR20120001333U (ko) * 2010-08-17 2012-02-27 남승호 목걸이 장식부재
US20130206801A1 (en) * 2012-02-09 2013-08-15 Grant Delgatty Portable elastic pill container
KR20160123735A (ko) * 2015-04-17 2016-10-26 주식회사 화인쥬얼리 물품보관이 가능한 목걸이
US9770088B1 (en) * 2017-01-03 2017-09-26 Tyrae K. Rivers Wearable medicine contai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284A (ko) * 2019-08-20 2021-03-03 김선수 힌지개폐구조를 갖는 팔찌용 알약케이스
KR102259594B1 (ko) * 2019-08-20 2021-06-01 김선수 힌지개폐구조를 갖는 팔찌용 알약케이스
EP3827802A1 (de) * 2019-11-29 2021-06-02 Mina Odermatt Tragvorrichtung für medikamente
CN112674437A (zh) * 2020-12-28 2021-04-20 深圳市信德缘珠宝首饰有限公司 一种具有应急药盒的手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868B1 (ko) 알약 수용구조를 갖는 팔찌
US20130206801A1 (en) Portable elastic pill container
US10835017B2 (en) Device for personalizing fragrance
US9629437B2 (en) Cosmetic container
US20140117060A1 (en) Wearable medical storage device
US7250040B2 (en) Arrangement at a stoma bag
CN105054919B (zh) 手表式电子血压计
WO2007083135B1 (en) Diabetic dispenser
KR101511953B1 (ko) 휴대용 탈착식 알약케이스
KR101944890B1 (ko) 밴드 공회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알약케이스
KR101569121B1 (ko) 심장박동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용 알약케이스
CN214967809U (zh) 一种急诊护理急救箱
CN204971257U (zh) 手表式电子血压计
CN212814801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便携手环
KR102259594B1 (ko) 힌지개폐구조를 갖는 팔찌용 알약케이스
KR200177769Y1 (ko) 휴대용 알약 케이스
KR200174104Y1 (ko) 휴대용 알약 케이스
CN209771097U (zh) 一种心内科用的康复带
CN205729606U (zh) 一种医用冰敷袋
KR102666110B1 (ko) 알약케이싱 탈착 구조를 갖는 손목밴드
CN214860517U (zh) 一种中医用背部涂药器
CN215025119U (zh) 心内科康复护理带
TWM477277U (zh) 藥品攜帶器
KR102476049B1 (ko) 의료용 튜브 고정장치
CN212037921U (zh) 一种新型眼药水滴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