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627U - 액체 혹은 겔용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혹은 겔용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627U
KR20120000627U KR2020100007515U KR20100007515U KR20120000627U KR 20120000627 U KR20120000627 U KR 20120000627U KR 2020100007515 U KR2020100007515 U KR 2020100007515U KR 20100007515 U KR20100007515 U KR 20100007515U KR 20120000627 U KR20120000627 U KR 201200006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oule
case
liquid
ge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6221Y1 (ko
Inventor
최헌정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7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22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6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6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2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9Ampo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27Tear-lines for separating a package into individual packa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앰플형으로 포장된 액체 혹은 겔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하면서도, 용기 자체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면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방된 일면에 대향하는 면은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보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부는 보관 시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개구에 삽입되며, 사용 시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가지부 및 복수의 앰플이 장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액체 혹은 겔을 보관하는 보관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체 혹은 겔용 보관용기{container for liquid or gel}
본 고안은 액체 혹은 겔을 보관하는 보관 용기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액상 혹은 겔상의 화장품류를 보관하는 보관 용기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액상 혹은 겔상의 화장품을 보관하는 보관용기로 케이스 내부에 액상 혹은 겔상의 화장품을 충전하여 디스펜서 혹은 개구를 통하여 일정량을 토출하여 사용하는 보관 용기가 알려져 있다. 다르게는, 일정량의 혹은 1회 사용분량의 액상 혹은 겔상의 화장품을 젤라틴에 혹은 실리콘 앰플에 충전하여, 사용시 젤라틴 혹은 실리콘 앰플을 파괴하여 내부의 화장품을 사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개별 포장의 경우 하나의 박스형 케이스 혹은 원통형 케이스에 다수의 앰플이 들어있어서 사용시 케이스를 열어서 앰플을 꺼내야 하며, 남아있는 앰플의 수를 파악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앰플형으로 포장된 액체 혹은 겔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하면서도, 용기 자체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앰플을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앰플의 배치가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앰플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가 하나의 장식물로서 활용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이스와 케이스에 장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에는 앰플이 장착되는 장착 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앰플은 상기 장착 수단에 결합하는 장착부와 내부에 용체 혹은 겔을 수용하는 수용부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받침부로부터 앰플을 뽑아 앰플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액체 혹은 겔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이 때, 보관 용기의 일면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방된 일면에 대향하는 면은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보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부는 보관 시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개구에 삽입되며, 사용 시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가지부 및 복수의 앰플이 장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액체 혹은 겔을 보관하는 보관 용기를 제공한다.
다르게는, 본 고안은 일면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방된 일면에 대향하는 면의 내면 및 외면에는 각각 홈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보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부는 보관 시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케이스 내면의 상기 홈에 삽입되며, 사용 시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의 상기 홈에 삽입되는 가지부 및 복수의 앰플이 장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에는 커버가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받침부는 평탄부와 고깔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탄부와 고깔부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에 상기 복수의 앰플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앰플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평탄부와 고깔부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상기 복수의 앰플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앰플에서 상기 받침부의 홈에 삽입되는 부분은 보강부재가 삽입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앰플은 블레스터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앰플은 외력에 의하여 다른 부분보다 쉽게 뜯어지는 절단 가이드부를 포함하거나,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개구에 상기 가지부가 삽입될 때, 상기 가지부의 삽입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보관부에는 상기 복수의 앰플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보관 용기의 앰플에는 화장품이 충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앰플형으로 포장된 액체 혹은 겔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하면서도, 용기 자체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앰플을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앰플의 배치가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앰플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가 하나의 장식물로서 활용될 수 있게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보관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 은 본 고안의 보관 용기가 운반 혹은 저장시에 있을 때의 보관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보관 용기가 사용 상태에 있을 때의 보관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받침부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a) 및 단면도(b)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받침부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a) 및 단면도(b)이다.
도 6 은 본 고안의 앰플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a) 및 단면도(b)이다.
도 7 은 본 고안의 앰플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a) 및 단면도(b)이다.
도 8 은 본 고안의 앰플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a) 및 단면도(b)이다.
도 9 는 본 고안의 앰플의 제 4 실시예의 사시도(a) 및 단면도(b)이다.
도 10 은 본 고안의 받침부의 변형례의 사시도(a) 및 단면도(b)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본 고안에서 앰플은 유리, 플라스틱, 실리콘, 젤라틴 등으로 형성되어 안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밀폐 용기를 의미한다, 본 고안에서 앰플은 그 내부에는 화장품, 혹은 약품과 같은 액상 혹은 겔상의 물질이 충전된다.
도 1 에는 본 고안의 보관 용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서 보이듯이, 본 고안의 보관 용기(1)는 케이스(10) 및 케이스(10) 하면의 커버(15)가 배치되어 있으며, 케이스(10)의 상면에는 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 상면의 개구(12)에는 보관부(20)가 삽입되며, 보관부(20)에는 앰플(30)이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보관부(20)에 장착되어 있는 앰플(30)을 뽑아서 사용할 수 있으며, 앰플(30)은 보관부(20)에 꽃 형상등 다양한 형상으로 정렬되어 배치된다. 도 1 에서는 앰플(30)은 보관부(20)에 장미꽃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 에는 본 고안의 보관용기가 보관 혹은 운반 시에, 보관부(20)가 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2 에서 보이듯이, 케이스(10)의 내부에 보관부(20)가 배치된다. 본 고안의 케이스(10)의 일면은 커버(15)에 의해서 막혀 있으며, 케이스(10)과 커버(15)사이의 면(14)에 도포된 접착제로 커버(15)는 케이스(10)에 부착된다. 다르게는, 면(14)에 별도의 기구를 형성하여, 커버(15)와 케이스(10)를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케이스(10)에 커버(15)가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보관부(20)는 가지부(21)와 받침부(22)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지부(21)는 케이스(10)의 개구(12)에 케이스(10) 내부에서부터 삽입된다. 케이스(10)의 내면(13)은 보관부(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개구(12)까지 연장되어 있다.
보관부(20)의 가지부(21)는 받침부(22)에서 단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며, 그에 따라서, 보관부(20)의 가지부(21)는 개구(12)에 삽입되더라도 가지부(21)가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 3 에는 본 고안의 보관 용기가 사용 시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서 보이듯이, 보관부(20)의 가지부(21)가 케이스(10)의 개구(12)에 케이스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보관부(20)의 가지부(21)는 단부에서부터 받침부(22)로 갈수록 직경이 커져서, 보관부(20)는 케이스(10)에 일정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커버(15)는 사용할 때, 제거될 수도 있지만, 도 3 과 같이, 케이스(10)의 면(14)에 재접착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3 에서는 케이스(10)에 개구(12)가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개구(12) 대신에 홈을 형성하여 개구(12)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이 개구(12) 대신에 홈을 형성하는 경우, 케이스(10)의 내부 및 외부에 각각 홈이 하나씩 형성된다.
도 4(a) 및 (b) 에는 본 고안의 보관부(20)의 받침부(22)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b) 에서 보이듯이, 받침부(22)는 평탄부(24)와 고깔부(23)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탄부(24)와 고깔부(23)에는 다수의 앰플(30)을 배치하기 위한 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평탄부(24)와 고깔부(23)는 앰플(30)의 배치를 위한 것이므로, 본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는 평탄부(24)와 고깔부(23)가 아닌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b)에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듯에, 돌기(26)는 짧은 길이와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및 (b) 에는 본 고안의 보관부(20)의 받침부(22)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 및 (b) 에서 보이듯이, 받침부(22)는 평탄부(24)와 고깔부(23)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탄부(24)와 고깔부(23)에는 다수의 앰플(30)을 배치하기 위한 홈(25)이 형성되어 있다. 평탄부(24)와 고깔부(23)는 앰플(30)의 배치를 위한 것이므로, 본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는 평탄부(24)와 고깔부(23)가 아닌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b)에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듯에, 홈(25)은 짧은 길이와 작은 직경을 원기둥형상으로 파여 있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 에는 본 고안의 앰플(30)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에 도시된 본 고안의 앰플(30)의 제 1 실시예는 보관부(20)의 받침부(22)의 돌기(26)에 장착되는 장착부(31)와 액체 혹은 겔을 수용하고 있는 수용부(32)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장착부(31)에는 받침부(22)의 돌기(26)가 삽입될 수 있으며, 받침부(22)의 돌기(26)에 고정되는 홈(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부(32)에는 액체 혹은 겔(35)이 수용되어 있다(도 6(b) 참고).
수용부(32)에서 장착부(31) 측에 절단 가이드부(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절단 가이드부(34)는 외력이 앰플(30)에 가해지는 경우에, 다른 부분에 비하여 쉽고, 우선적으로 찢어질 수 있도록, 수용부(32)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제조되거나, 미리 흔적을 세겨두어서 파괴를 유도한다.
앰플(30)은 보관부(20)의 받침부(22)로부터 장탈된 후 수용부(32)의 절단 가이드부(34)가 절단되며, 절단 가이드부(34)가 절단됨에 따라서, 앰플(30) 내부의 액체 혹은 겔(35)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 에는 본 고안의 앰플(30)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 및 (b) 에서 보이듯이, 제 2 실시예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보관부(20)의 받침부(22)의 홈(25)에 장착되는 장착부(31)와 액체 혹은 겔을 수용하고 있는 수용부(32)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장착부(31)는 받침부(22)의 홈(25)에 삽입되어, 앰플(30)이 받침부(22)에 고정될 수 있다.
장착부(31)에는 받침부(22)의 홈에 삽입될 때, 필요에 따라 앰플(30)의 원형상의 유지를 보조하거나, 앰플(30)의 장착부(31)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형물(36)이 삽입된 채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용부(32)에서 장착부(31) 측에 절단 가이드부(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절단 가이드부(34)는 외력이 앰플(30)에 가해지는 경우에, 다른 부분에 비하여 쉽고, 우선적으로 찢어질 수 있도록, 수용부(32)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제조되거나, 미리 흔적을 세겨두어서 파괴를 유도한다.
도 8(a) 내지 (c) 에는 본 고안의 앰플(30)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 내지 (c) 의 제 3 실시예도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장착부(31)와 수용부(32)로 구분될 수 있으며, 장착부(31)는 받침부(22)에 홈(25)이 형성된 경우에는 돌기 형식으로(도 8(b) 참고), 받침부(22)에 돌기(26)가 형성된 경우에는 홈(33)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도 8(c) 참고).
도 8(b) 에서와 같이, 장착부(31)가 돌기 형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장착부(31)에는 받침부(22)의 홈에 삽입될 때, 필요에 따라 앰플(30)의 원형상의 유지를 보조하는 보형물(36)이 삽입된 채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에서, 수용부(30)의 액체 혹은 겔은 블레스터 방식에 의하여 앰플(30)로부터 외부로 나올 수 있다. 즉, 수용부(32)는 절곡부(37a)와 꺽임 파손부(37b)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사용시 수용부(32)에 외력이 가해짐으로 인하여, 절곡부(37a)로 앰플(30)이 꺽이게 되며, 이렇게 앰플(30)이 꺽어지는 경우, 꺽임 파손부(37b)가 파손되어 앰플(30) 내부의 액체 혹은 겔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앰플(30)은 수지제 혹은 젤라틴 등 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외력에에 따라서, 앰플(30)의 형상이 변형되며, 그에 따라서, 앰플(30) 내부의 액체 혹은 겔(35)이 꺽임 파손부(37b)를 통하여 흘러나올 수 있게 된다.
도 9(a) 및 (b) 에는 본 고안의 앰플의 제 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 4 실시예에서 앰플(30)은 상부 부재(38a)와 하부 부재(38b)로 이루어지며, 상부 부재(38a)와 하부 부재(38b)는 연결부(38c)를 통하여 연결된다. 연결부는 상부 부재(38a)와 하부 부재(38b)의 내측으로 형성된다.
상부 부재(38a)와 하부 부재(38b)의 내측에는 공간부(3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부(39)에는 액체 혹은 겔(35)가 충전될 수 있다. 이 때, 액체 혹은 겔(35)은 포장되어서 공간부(39)에 충전되어 앰플(30)이 2중 포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부재(37a) 와 하부 부재(37b)는 서로에 대한 대향면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접혔을 때, 장착부(31)는 받침부(22)의 홈(25)에 삽입되는 돌기 형상을 가진다.
도 10(a) 및 (b) 에는 본 고안의 받침부(22)의 변형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a) 및 (b) 에서 보이듯이, 본 고안의 받침부(22)에는 앰플(30)이 장착된 상태에서 앰플을 지지하는 지지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8)는 앰플(30)이 장착된 상태에서 앰플(30)이 변형되는 것을 막을 뿐만 아니라, 앰플(30)이 사용됨에 따라서, 받침부(22)의 형상이 망가짐, 즉, 초기의 앰플(30)의 배치로 인하여 형성된 형상이 사라짐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한다.
도 10(a) 및 (b)에서는 돌기(26)를 가지는 받침부(22)를 도시하고 있으나, 홈(25)을 가지는 받침부(22)에서 지지부(28)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보관부(20)를 수용할 수 있으며, 개구(12)가 케이스(10)를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케이스(10) 내부 및 외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부(20)는 보관 용기가 운반 혹은 포장 상태에서 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보관부(20)의 앰플(30)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사용시에는 케이스(10)가 보관부(20)의 받침대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며, 이는 보관부(20)에 배치된 앰플(30)이 외부로 항시 노출될 수 있게하여, 사용자의 앰플(30)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앰플(30)의 배치에 따라서, 케이스(10), 보관부(20) 및 앰플(30)이 하나의 장식물과 같은 역할도 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종래의 케이스(10)만이 장식물과 같은 역할을 하던 것에 비하여, 보관 용기가 가질 수 있는 형상의 다양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앰플(30)은 사용 시에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남아있는 앰플(30)의 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서, 물품의 재구입시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1: 보관 용기 10: 케이스
12: 개구 13: 내면
15: 커버 20: 보관부
21: 가지부 22: 받침부
23: 고깔부 24: 평탄부
25: 홈 26: 돌기
28: 지지부 30: 앰플
31: 장착부 32: 수용부
33: 홈 34: 절단 가이드부
36: 보형물 37a: 절곡부
37b: 꺽임 파손부 38a: 상부 부재
38b: 하부 부재 38c: 연결부
39: 공간부

Claims (14)

  1. 케이스와 케이스에 장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에는 앰플이 장착되는 장착 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앰플은 상기 장착 수단에 결합하는 장착부와 내부에 용체 혹은 겔을 수용하는 수용부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받침부로부터 앰플을 뽑아 앰플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액체 혹은 겔 보관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서 일면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일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부는 보관 시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개구에 삽입되며, 사용 시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가지부와 함께 보관부로 형성되는 액체 혹은 겔 보관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서 일면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간을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일면에 대향하는 면의 내면 및 외면에는 각각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부는 보관 시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케이스 내면의 상기 홈에 삽입되며, 사용 시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의 상기 홈에 삽입되는 가지부 와 함께 보관부로 형성되는 액체 혹은 겔 보관용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에는 커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혹은 겔 보관용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평탄부와 고깔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탄부와 고깔부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에 상기 복수의 앰플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혹은 겔 보관용기.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평탄부와 고깔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탄부와 고깔부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상기 복수의 앰플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혹은 겔 보관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은 블레스터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혹은 겔 보관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은 외력에 의하여 다른 부분보다 쉽게 뜯어지는 절단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혹은 겔 보관용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혹은 겔 보관용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에서 상기 받침부의 홈에 삽입되는 부분은 보강부재가 삽입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혹은 겔 보관용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개구에 상기 가지부가 삽입될 때, 상기 가지부의 삽입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혹은 겔 보관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은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혹은 겔 보관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복수의 앰플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혹은 겔 보관용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에는 화장품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혹은 겔 보관용기.
KR2020100007515U 2010-07-16 2010-07-16 액체 혹은 겔용 보관용기 KR200476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515U KR200476221Y1 (ko) 2010-07-16 2010-07-16 액체 혹은 겔용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515U KR200476221Y1 (ko) 2010-07-16 2010-07-16 액체 혹은 겔용 보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627U true KR20120000627U (ko) 2012-01-30
KR200476221Y1 KR200476221Y1 (ko) 2015-02-23

Family

ID=4584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515U KR200476221Y1 (ko) 2010-07-16 2010-07-16 액체 혹은 겔용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2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9244A (ko) * 2010-09-16 2012-03-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지지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6635B1 (fr) 2002-10-30 2005-07-01 D Lab Conditionnement a usage unique pour une dose de produit
KR200449170Y1 (ko) * 2008-04-16 2010-06-23 (주)아모레퍼시픽 일회용 화장품용기 보관함
JP3144017U (ja) * 2008-06-02 2008-08-14 プロモツール株式会社 香りテスタ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9244A (ko) * 2010-09-16 2012-03-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221Y1 (ko)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4710B2 (en) Container for a plurality of disposable applicators comprising a reservoir for a substance to be applied
ATE340741T1 (de) Schaustellungsbehälter für mindestens zwei gegenstände
US8100261B2 (en) Dental floss package
KR200475107Y1 (ko) 택배박스
KR20120000627U (ko) 액체 혹은 겔용 보관용기
JP5303637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一時保存用パック
JP5876674B2 (ja) 展示パッケージ、付け爪をパッケージ及び展示するための装置、及び付け爪をパッケージ及び展示するための方法
ES2436440T3 (es) Envase de presentación de uñas artificiales
ES2269904T3 (es) Caja plegable para la presentacion de un objeto y troquel para su fabricacion.
JP5745281B2 (ja) 詰替用液体袋を用いた液体取出装置及び詰替用液体袋の装填方法
KR20100008261U (ko) 세트 화장품용기 보관 케이스 어셈블리
KR20130002327U (ko) 콘택트렌즈 용기용 원터치식 블리스터 패키지
KR200356847Y1 (ko) 화장품 용기
KR200250999Y1 (ko) 전시 가능한 포장 상자
KR100992454B1 (ko) 브리스터 패키지
JP4246616B2 (ja) 物品包装容器
JP6185760B2 (ja) 薬剤揮散装置収容体、及び薬剤揮散装置の陳列方法
JP3224232U (ja) 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20190077790A (ko) 리필용 용기
ES2211840T3 (es) Capuchon de proteccion para botes de aerosol.
KR920001413Y1 (ko) 고형물 포장케이스
JP2000142791A (ja) 把手部付き容器における添付物品の保持構造及び添付物品の保持シート
KR200345902Y1 (ko) 선물 포장용 박스
JP2023003948A (ja) 包装体
KR20190001922U (ko) 배송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