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751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751A
KR20110139751A KR1020117024759A KR20117024759A KR20110139751A KR 20110139751 A KR20110139751 A KR 20110139751A KR 1020117024759 A KR1020117024759 A KR 1020117024759A KR 20117024759 A KR20117024759 A KR 20117024759A KR 20110139751 A KR20110139751 A KR 20110139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portions
region
bent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야 니시타니
토시히사 하야시
미나코 사기사카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9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의 표면에,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 1 굴곡부 및 제 2 굴곡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굴곡부는, 상기 접촉영역이 포함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흡수체의 폭방향 양측부보다 내측 영역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앙선에 대칭으로 한 쌍이 배치되어,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 2 굴곡부는, 상기 접촉영역이 포함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제 1 굴곡부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내측 영역에 한 쌍이 배치되어,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 1 굴곡부 및 상기 제 2 굴곡부는, 상기 접촉영역이 포함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외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흡수성 물품.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와 흡수성 물품 간의 피트(fit)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 시트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서는, 홈의 형상이,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외측을 향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홈의 오목형상 부분이 착용자의 대퇴부 형상에 맞추어지는 동시에, 착용자의 대퇴부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을 좁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에 의해, 흡수체의 중앙부가 착용자의 배설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흡수성 물품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홈의 형상이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외측을 향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수체의 중앙부가 착용자의 배설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도록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의 형상을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홈의 오목형상 부분의 가장 폭방향 내측에 있는 정점(頂點) 부근까지 폭방향 내측을 향해 밀고들어갈 정도의 변위가 필요하다.
따라서, 착용자의 체형이나, 흡수성 물품이 장착되는 속옷의 형상 등에 따라서는, 흡수체의 중앙부를 배설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들어올림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상태, 즉, 대퇴부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는, 흡수체의 흡수면 중앙부가 잘록해지기 때문에, 흡수면적이 감소되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2-238948호(제 3 페이지, 도 1, 도 3)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표면 시트와, 액체를 투과시키지 않는 액불투과성(液不透過性)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한다. 흡수성 물품은, 상기 착용자의 배설부와 상기 표면 시트가 접촉하는 접촉영역에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제 1 굴곡부와, 제 2 굴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굴곡부는, 상기 접촉영역이 포함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흡수체의 폭방향의 양측부보다 내측 영역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앙선에 대칭으로 한 쌍이 배치되어,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 2 굴곡부는, 상기 접촉영역이 포함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제 1 굴곡부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의 내측 영역에 한 쌍이 배치되어,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 1 굴곡부 및 상기 제 2 굴곡부는, 상기 접촉영역이 포함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외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의 F1-F1´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굴곡부를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장착시의 형상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사이즈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사이즈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사이즈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을 참조하면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은, 예컨대 생리대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전방영역(F)과 중앙영역(M)과 후방영역(R)을 가진다. 전방영역(F)은, 착용자의 복부측 피부표면에 접촉한다. 중앙영역(M)은, 착용자의 질구(膣口) 주변의 피부표면에 접촉한다. 후방영역(R)은, 착용자의 엉덩이측 피부표면에 접촉한다.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표면 시트(10)와, 액체를 투과시키지 않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20)와, 흡수체(30)를 가진다. 흡수체(30)는,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흡수체(30)는, 도 1에서 파선으로 표시된다. 흡수체(30)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분에 배치된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흡수성 물품(1)의 길이방향(L)에 직교하는 흡수체(30)의 폭방향(W) 외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시트(41, 42)를 구비한다. 흡수성 물품(1)은, 누설방지부(이하, '개더(gathers)'라 함)(51, 52)와, 날개(wing)부(61, 62)를 구비한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표면 시트(10)와 흡수체(30) 사이에 세컨드(second) 시트(11)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1)의 길이방향의 사이즈는, 100∼500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150∼420mm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폭방향의 사이즈는, 30∼200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40∼180mm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10)는, 이면 시트(20)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표면 시트(10)의 길이방향 단부의 형상은, 이면 시트(20)의 길이방향 단부의 형상과 거의 동일하다. 표면 시트(10)는, 적어도 흡수체(30)의 표면을 덮는다.
표면 시트(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10)는 부직포이다. 표면 시트(10)의 소재는, 직포, 유공(有孔) 플라스틱 시트 등, 액체를 투과시키는 구조의 시트형상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직포나 부직포의 소재로서는, 천연섬유나 화학섬유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천연섬유의 예로서는, 분쇄 펄프, 코튼(cotton) 등의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화학섬유의 예로서는, 레이온, 피브릴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半合成) 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섬유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단섬유(單纖維),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그래프트중합(graft polymerization)하여 이루어진 섬유, 코어-클래드(core-clad)구조 등의 복합섬유를 들 수 있다.
부직포의 웹포밍(web forming)방법으로서는, 건식(카드법, 스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에어레이드(Air Laid)법 등) 및 습식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건식법과 습식법 중, 복수의 방법을 조합시켜도 좋다. 또한, 서멀 본딩, 니들 펀칭, 케미컬 본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부직포를 작성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수류교락법(水流交絡法)에 의해 시트형상으로 형성한 스펀레이스를 표면 시트(10)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부직포의 상층측에 요철(凹凸)을 형성한 부직포, 또는 웹(web) 형성시에 에어(air)를 맞게 함으로써 부직포에 평량(坪量) 편차를 갖게 한 요철부직포를 표면 시트(10)로 이용할 수도 있다. 표면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체액이 표면 시트(10)를 투과하기 전에 표면 시트(10)의 표면을 따라 확산되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이면 시트(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면 시트(20)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체로 한 필름, 통기성 수지필름, 스펀본드, 또는 스펀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 수지필름이 접합된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20)는, 착용시에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을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하며, 평량(단위면적당 무게)이 15∼30g/㎡의 범위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흡수체(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흡수체(30)는, 친수성 섬유, 펄프를 포함한다. 친수성 섬유의 예로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 레이온, 피브릴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입자형상 폴리머, 섬유형상 폴리머,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섬유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저(低)가격과 흡수체의 성형용이성을 고려하면, 분쇄 펄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섬유에 고분자 흡수체를 혼합한 것을 흡수체(30)로서 사용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 고분자 흡수체는, 흡수성, 흡습성이 있는 아크릴산나트륨 공중합체 등의 입상(粒狀) 폴리머이다. 흡수체(30)는, 친수성 섬유 또는 분체(粉體)를 에어레이드법에 의해 시트형상으로 성형한 에어레이드 시트여도 좋다. 흡수체(30)로서, 에어레이드 시트를 사용할 경우, 에어레이드 시트의 두께는, 0.3∼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레이드 시트의 예로서는, 섬유와 입자형상 폴리머를 바인더 등에 의해 시트물로 성형한 것을 들 수 있다. 참고로, 입자형상 폴리머는, 에어레이드 시트에 있어서, 층상(層狀)으로 분산되어 있어도 좋고, 두께 방향으로 치우쳐 있어도 좋다.
흡수체(30)에는, 착용 중의 형태붕괴나 비틀림 방지, 또는 두께를 조정하기 위해, 엠보싱이 적당히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체(30)에 대한 엠보싱은, 패터닝된 엠보스 롤(emboss roll)과 플랫 롤(flat roll) 사이에, 흡수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엠보스 롤의 패턴은, 격자형상·도트형상·물결형상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두께 조정이 용이한 격자형상 패턴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시트(41, 42)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이드 시트(41, 42)는, 표면 시트(10)와 동일한 재료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단, 사이드 시트(41, 42)를 타고 넘어 흡수성 물품(1) 외측으로 생리혈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수성(疏水性) 또는 발수성(撥水性)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스펀본드 부직포나 SMS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사이드 시트(41, 42)는, 피부와의 접촉면을 구성한다. 이 때문에, 피부에 대한 마찰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에어 스루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시트(41, 42)는, 표면 시트(10)의 양측에 배치된다. 사이드 시트(41)는, 흡수체(30)의 사이드 가장자리의 일부 및 날개(61)를 덮는다. 사이드 시트(41)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는, 거의 직선이며, 표면 시트(10)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와 겹쳐진다. 사이드 시트(41)의 길이방향의 타측 단부는, 이면 시트(20)의 외주의 일부 및 날개(61)의 형상과 일치한다. 사이드 시트(42)는, 흡수체(30)의 사이드 가장자리의 일부 및 날개부(62)를 덮는다. 사이드 시트(42)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는, 거의 직선이며, 표면 시트(10)의 길이방향의 타측 단부와 겹쳐진다. 사이드 시트(42)의 길이방향의 타측 단부는, 이면 시트(20)의 외주의 일부 및 날개부(62)의 형상과 일치한다.
개더(51, 52)는, 신축성을 가지는 부재로서, 고무(80)를 가진다(도 1에서는 도시가 생략됨, 도 2 참조). 개더(51, 52)는, 흡수체(30)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다. 개더(51, 52)에는, 고무(80)가 신장된 상태로, 흡수성 물품(1)의 길이방향(L)을 따라 배치된다. 개더(51)는, 접합부(51f, 51r)에 있어서 표면 시트(10)에 접합되어 있다. 개더(52)는, 접합부(52f, 52r)에 있어서 표면 시트(10)에 접합되어 있다.
개더(51)의 접합부(51f, 51r)보다, 흡수성 물품(1)의 길이방향(L) 내측은, 표면 시트(10)와 접합되어 있지 않다. 개더(51)는, 표면 시트(10)에 접합되지 않는 자유부분의 단부(51ff, 51rf)를 가진다. 개더(51)의 접합부(52f, 52r)보다, 흡수성 물품(1)의 길이방향(L) 내측은, 표면 시트(10)와 접합되어 있지 않다. 개더(52)는, 표면 시트(10)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자유부분의 단부(52ff, 52rf)를 가진다.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표면 시트(10), 사이드 시트(41, 42), 이면 시트(20), 및 흡수체(30)는 서로 접합된다. 표면 시트(10), 사이드 시트(41, 42), 및 이면 시트(20)의 둘레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흡수체(30)가 내부에 시일(seal)되어 있다. 표면 시트(10)와 이면 시트(20) 간의 접합방법으로서는, 히트 엠보싱 가공, 초음파, 또는 핫멜트(hotmelt)형 접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면 시트(20)에 있어서, 팬티(shorts)와 접촉되는 표면에는, 이면 시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재(70)가 라인(line)형상으로 도포된다(도 1에는 도시가 생략됨, 도 2 참조). 접착재(70)는, 이면 시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라인으로 도포된다. 날개부(61) 및 날개부(62)에 있어서, 팬티와 접촉되는 표면에도 역시, 접착재가 도포된다. 사용전의 상태에서는, 접착재(70)에, 점착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호 시트(미도시)가 접착되어 있다. 보호 시트는, 사용시에 착용자에 의해 박리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10)의 표면에, 흡수성 물품(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굴곡부(101, 102), 제 2 굴곡부(201, 202)가 형성된다.
제 1 굴곡부(101)는, 흡수성 물품(1)을 상방에서 보았을 때, 흡수체(30)의 폭방향 양측부(31, 32)보다 내측의 영역으로서 흡수성 물품(1)의 중앙선(CL)에 대칭으로 한 쌍이 배치된다. 제 1 굴곡부(101, 102)는, 착용자의 배설부와 표면 시트(10)가 접촉하는 접촉영역(S)이 포함되는 중앙영역(M)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 외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제 1 굴곡부(101, 102)는, 착용자의 배설부와 표면 시트(10)가 접촉하는 접촉영역(S)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 1 굴곡부(101, 102)는 표면 시트(10)에 형성되는 홈이다.
제 2 굴곡부(201, 202)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방향(L)을 따라 형성된다. 제 2 굴곡부(201, 202)는, 제 1 굴곡부(101, 102)보다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 내측의 영역에 한 쌍이 배치된다. 제 2 굴곡부(201, 202)는, 착용자의 배설부와 표면 시트(10)가 접촉하는 접촉영역(S)이 포함되는 중앙영역(M)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 외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제 2 굴곡부(201, 202)는, 착용자의 배설부와 표면 시트(10)가 접촉하는 접촉영역(S)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 2 굴곡부(201, 202)는 표면 시트(10)에 형성되는 홈이다.
제 1 굴곡부(101, 102)는, 중앙광폭부(101a, 102a)를 가진다. 중앙광폭부(101a, 102a)에서는, 제 1 굴곡부(101, 102)의 상호간의 간격(W0)이 가장 넓다.
제 1 굴곡부(101, 102)는, 중앙광폭부(101a, 102a)보다 전방에 전방협폭부(101b, 102b)를 가진다. 전방협폭부(101b, 102b)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제 1 굴곡부(101, 102)의 상호간의 간격(W1)이 중앙광폭부(101a, 102a)보다 좁다. 즉, W0>W1 이다.
제 1 굴곡부(101, 102)는, 중앙광폭부(101a, 102a)보다 후방에 후방협폭부(101c, 102c)를 가진다. 후방협폭부(101c, 102c)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제 1 굴곡부(101, 102)의 상호간의 간격(W2)이 중앙광폭부(101a, 102a)보다 좁다. 즉, W0>W2 이다.
여기서, 중앙광폭부(101a, 102a)의 간격(W0)은, 20∼6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W0)이 20mm이하이면, 중앙영역(M)에 있어서의 흡수량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60mm를 넘으면, 장착자의 평균적인 고간(股間)간격을 초과하므로,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준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흡수성 물품(1)의 F1-F1´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흡수성 물품(1)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단면이다. 도 2에서, 흡수성 물품(1)의 날개부(61, 62)는, 이면 시트(20)측으로 되접어 꺽여 있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더(51, 52)에는, 고무(80)가 배치되어 있다.
착용자의 배설부와 표면 시트(10)가 접촉하는 접촉영역(S)에 대응하는 흡수체(30)의 평량은, 도 2에 나타낸 영역(S1)(제 1 굴곡부(101)와 제 2 굴곡부(201)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흡수체의 평량보다 많다. 마찬가지로, 영역(S2)(제 1 굴곡부(102)과 제 2 굴곡부(202)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흡수체의 평량보다 많다. 예컨대, 접촉영역(S)에 대응하는 흡수체(30)의 평량은, 500g/㎡이며, 영역(S1)에 존재하는 흡수체의 평량(영역(S2)에 존재하는 흡수체의 평량)은, 200g/㎡이다. 이에 따라, 흡수성 물품(1)의 접촉영역(S)에 대응하는 부분의 강성을 영역(S1, S2)에서의 강성보다 높게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는, 압착(壓搾)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도 3은, 제 1 굴곡부(101)의 확대도이다. 제 1 굴곡부(101)는, 착용자의 배설부와 표면 시트(10)가 접촉하는 접촉영역(S)에서의 흡수성 물품(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굴곡부(101)는, 표면 시트(10)에 형성되는 홈이다. 홈의 바닥부에, 압착가공에 의해 흡수체(30)의 밀도가 높아진 고압착영역(WH)과, 고압착영역(WH)보다 밀도가 낮은 저압착영역(WL)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저압착영역(WL)은 격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굴곡부(101)를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흡수체끼리는, 저압착영역(WL)에 의해 연결된다. 제 1 굴곡부(101)의 바닥부의 폭(W)은, 0.5mm∼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0.5mm이하이면, 바닥부의 강성을 확보할 수 없어, 바닥부가 절단되는 경우가 있다. 5mm를 초과하면, 폭방향의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장착시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준다. 제 1 굴곡부(102)와, 제 2 굴곡부(201, 202)도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흡수성 물품(1)에서는, 제 1 굴곡부(101)와 제 1 굴곡부(102)의 중앙광폭부(101a, 102a)가, 상방에서 보았을 때,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W)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중앙광폭부(101a, 102a)에는, 착용자의 대퇴부(H)가 접촉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는, 착용자의 배설부와 표면 시트(10)가 접촉하는 접촉영역(S)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은,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에서 꺽여 구부러지기 쉽다.
여기서,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를 형성하는 부분의 흡수체(30)의 평량은, 압착가공 전의 상태에서, 100g/㎡∼450g/㎡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를 포함하는 흡수체(30)의 강성치(剛性値)는 500mg∼2500mg(걸리(Gurley) 강성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강성치가 500mg이하이면, 흡수성 물품(1)이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을 받았을 경우에,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의 바닥부의 강성을 확보할 수 없어, 바닥부가 구부러지거나 비틀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이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을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전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흡수성 물품을 변형시키는 작용」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강성치가 2500mg을 초과하면 착용자의 몸에 대한 추종성이 저하되는 동시에,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기 쉬워진다.
흡수성 물품(1)이 폭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F)을 받았을 때, 흡수성 물품(1)은,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에서 두께가 얇게 형성된 부분(홈의 바닥부)이 힌지의 역할을 하여 이면 시트(20)측으로 접혀 구부러진다. 제 1 굴곡부(101)와 제 2 굴곡부(201) 사이의 영역(S1) 및 제 1 굴곡부(101)와 제 2 굴곡부(202) 사이의 영역(S2)은, 흡수성 물품(1)의 이면 시트(30)측으로 들어가, 중앙영역(M)을 착용자의 피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과 착용자 간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의 표면 시트(10)에 있어서의 체액 흡수면은, 폭방향(W) 외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의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를 구비하기 때문에, 사용시에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 내측을 향해 힘이 가해지더라도, 흡수체(30)의 양측부(31, 32)가 좁아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의 중앙영역(M)에서, 충분한 흡수면적이 확보된다는 이점도 가진다.
이하에서는, 흡수성 물품을 변형시키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굴곡부(101, 102)의 바닥부는, 압착됨으로써 강성이 높아져 있기 때문에, 중앙광폭부(101a, 102a)에 폭방향 내측을 향해 가해진 힘은, 흡수체(30)를 피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동시에, 제 1 굴곡부(101, 102)를 따라 전파된다. 그 결과, 전방협폭부(101b, 102b)의 간격(W1) 및 후방협폭부(101c, 102c)의 간격(W2)을 눌러 단축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폭방향 내측을 향해 가해진 힘은, 전방협폭부(101b, 102b)의 간격(W1) 및 후방협폭부(101c, 102c)의 간격(W2)으로 집중된다. 이때, 폭방향 내측을 향해 가해진 힘은, 접촉영역(S)을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융기시킨다. 또한, 중앙광폭부(101a, 102a)에 폭방향 내측을 향해 가해진 힘(F)은, 전방영역(F) 및 후방영역(R)을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 외측으로 확장시킨다. 전방영역(F) 및 후방영역(R)은, 이러한 힘을 받으면서 피부측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끌어올려진다. 이 때문에, 전방영역(F) 및 후방영역(R)은, 폭방향의 넓이를 확보하면서 컵(cup)형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접촉영역(S)이 착용자의 배설부에 의해 밀착되는 동시에, 전방영역(F) 및 후방영역(R)으로 흘러나온 체액을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제 1 굴곡부(101, 102)의 단부(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전방협폭부(101b, 102b), 후방협폭부(101c, 102c))가 중앙광폭부(101a, 102a)보다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시에, 표면 시트(10)의 흡수면을 넘어, 도 2에 나타낸 제 1 굴곡부(101), 제 2 굴곡부(202), 영역(S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체액이 침입한 경우라도, 제 1 굴곡부(101, 102)로 인도되어 흡수체(30)측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의 전방영역(F), 후방영역(R)으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의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에는, 압착가공에 의해, 고압착영역(WH)과 저압착영역(WL)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압착영역(WL)은, 제 1 굴곡부를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흡수체(30)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의 바닥부에 저압착영역(WL)이 형성됨으로써 흡수체(30)가 분단되지 않기 때문에, 흡수용량을 손상시킬 일이 없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은, 흡수성 물품(1)과 착용자 간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체액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4를 참조하면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흡수성 물품(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낸 흡수성 물품(2)은, 도 1에 나타낸 제 1 굴곡부(101, 102)가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전방영역(F), 후방영역(R)에, 주(主) 횡단 굴곡부(111f, 111r)가 형성된다. 주 횡단 굴곡부(111f, 111r)는, 착용자의 배설부와 표면 시트(10)가 접촉하는 접촉영역(S)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 횡단 굴곡부(111f, 111r)는 표면 시트(10)에 형성되는 홈이다. 주 횡단 굴곡부(111f), 주 횡단 굴곡부(111r)는,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와 마찬가지로, 압착가공에 의해, 고압착영역(WH)과 저압착영역(WL)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압착영역(WL)은 격자형상으로 형성된다.
흡수성 물품(2)의 경우, 제 1 굴곡부(101, 102)는, 흡수성 물품(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굴곡부(201, 202)의 단부보다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굴곡부(101, 102)는, 중앙광폭부(101a, 102a)를 가진다. 중앙광폭부(101a, 102a)에서는, 제 1 굴곡부(101, 102) 상호간의 간격(W0)이 가장 넓다.
제 1 굴곡부(101, 102)는, 중앙광폭부(101a, 102a)보다 전방에 전방협폭부(101b, 102b)를 가진다. 전방협폭부(101b, 102b)에서는, 흡수성 물품(2)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제 1 굴곡부(101, 102) 상호간의 간격(W1)이 중앙광폭부(101a, 102a)보다 좁다. 즉, W0>W1 이다.
제 1 굴곡부(101, 102)는, 중앙광폭부(101a, 102a)보다 후방에 후방협폭부(101c, 102c)를 가진다. 후방협폭부(101c, 102c)에서는, 흡수성 물품(2)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제 1 굴곡부(101, 102) 상호간의 간격(W2)이 중앙광폭부(101a, 102a)보다 좁다. 즉, W0>W2 이다.
제 1 굴곡부(101, 102)는, 전방협폭부(101b, 102b)보다 더욱 전방에 전방광폭부(101d, 102d)를 가진다. 전방광폭부(101d, 102d)에서는, 흡수성 물품(2)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제 1 굴곡부(101, 102) 상호간의 간격(W3)이 전방협폭부(101b, 102b)보다 넓다. 즉, W3>W1 이다.
제 1 굴곡부(101, 102)는, 후방협폭부(101c, 102c)보다 후방에 후방광폭부(101e, 102e)를 가진다. 후방광폭부(101e, 102e)에서는, 흡수성 물품(2)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제 1 굴곡부(101, 102) 상호간의 간격(W4)이 후방협폭부(101c, 102c)보다 넓다. 즉, W4>W2 이다.
여기서, 중앙광폭부(101a, 102a)의 간격(W0)은, 20∼6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W0)이 20mm이하이면, 중앙영역(M)에 있어서의 흡수량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60mm를 넘으면, 장착자의 평균적인 고간간격을 초과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준다.
흡수성 물품(2)은, 전방광폭부(101d, 102d) 사이에 흡수성 물품(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주 횡단 굴곡부(111f)를 가진다. 주 횡단 굴곡부(111f)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주 횡단 굴곡부(111f)의 폭방향의 양단부는, 제 1 굴곡부(101, 102)의 전방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2)은, 후방광폭부(101e, 102e) 사이에 흡수성 물품(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주 횡단 굴곡부(111r)를 가진다. 주 횡단 굴곡부(111r)는, 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주 횡단 굴곡부(111r)의 폭방향의 양단부는, 제 1 굴곡부(101, 102)의 후방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개더(51)의 자유부분의 단부(51ff)와, 개더(52)의 자유부분의 단부(52ff)를 잇는 가상선(FL)과, 한 쌍의 제 1 굴곡부(101, 102)는 교차한다.
개더(51)의 자유부분의 단부(51rf)와, 개더(52)의 자유부분의 단부(52rf)를 잇는 가상선(RL)과, 한 쌍의 제 1 굴곡부(101, 102)는 교차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2)의 장착시의 형상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흡수성 물품(2)에서는, 제 1 굴곡부(101)와 제 1 굴곡부(102)의 중앙광폭부(101a, 102a)가, 상방에서 보았을 때, 흡수성 물품(2)의 폭방향(W)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수성 물품(2)의 중앙광폭부(101a, 102a)에, 착용자의 대퇴부(H)가 접촉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는, 착용자의 배설부와 표면 시트(10)가 접촉하는 접촉영역(S)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은,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에 있어서 꺽여 구부러지기 쉽다.
흡수성 물품(1)이 폭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F)을 받았을 때, 흡수성 물품(1)은,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에서 두께가 얇게 형성된 부분(홈의 바닥부)이 힌지의 역할을 하여 이면 시트(20)측으로 접혀 구부러진다. 제 1 굴곡부(101)와 제 2 굴곡부(201) 사이의 영역(S1) 및 제 1 굴곡부(101)와 제 2 굴곡부(202) 사이의 영역(S2)은, 흡수성 물품(1)의 이면 시트(30)측으로 들어가, 중앙영역(M)을 착용자의 피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과 착용자 간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굴곡부(101, 102)의 바닥부는, 압착됨으로써 강성이 높아져 있기 때문에, 중앙광폭부(101a, 102a)에 폭방향 내측을 향해 가해진 힘(F)은, 흡수체(30)를 피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동시에, 제 1 굴곡부(101, 102)를 따라 전파된다. 그 결과, 전방협폭부(101b, 102b)의 간격(W1) 및 후방협폭부(101c, 102c)의 간격(W2)을 눌러 단축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폭방향 내측을 향해 가해진 힘(F)은, 전방협폭부(101b, 102b)의 간격(W1) 및 후방협폭부(101c, 102c)의 간격(W2)으로 집중된다. 이때, 폭방향 내측을 향해 가해진 힘은, 접촉영역(S)을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융기시킨다. 또한, 중앙광폭부(101a, 102a)에 폭방향 내측을 향해 가해진 힘(F)은, 전방광폭부(101d, 102d), 후방광폭부(101e, 102e)로 전파되어, 전방영역(F) 및 후방영역(R)을 흡수성 물품(2)의 폭방향 외측으로 확장시킨다. 전방영역(F) 및 후방영역(R)은, 이러한 힘을 받으면서 피부측에 근접하는 방향(D1, D2)으로 끌어올려진다. 이 때문에, 전방영역(F) 및 후방영역(R)은, 폭방향의 넓이를 확보하면서 컵형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접촉영역(S)이 착용자의 배설부에 의해 밀착되는 동시에, 전방영역(F) 및 후방영역(R)으로 흘러나온 체액을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다.
흡수성 물품(2)에서는, 주 횡단 굴곡부(111f, 111r)를 구비함으로써, 길이방향의 강성이 약화되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2)의 폭방향 내측을 향해 압축되는 힘(F)이 가해졌을 때, 전방광폭부(101d, 102d) 및 후방광폭부(101e, 102e)가 피부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겨지기 쉬워져, 컵형상으로 변형되기 쉬워진다.
또한, 흡수성 물품(2)의 표면 시트(10)에 있어서의 체액의 흡수면은, 폭방향(W) 외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의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사용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2)의 폭방향 내측을 향해 힘(F)이 가해지더라도, 흡수성 물품(2)이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를 따라 굴곡됨으로써, 전방광폭부(101d, 102d), 후방광폭부(101e, 102e)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30)의 일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생기거나, 길이방향으로 접혀 구부러지는 일이 없다. 즉, 흡수체(30)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수체(30)의 양측부(31, 32)가 좁혀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2)의 중앙영역(M)에 있어서, 충분한 흡수면적이 확보된다는 이점도 가진다.
또한, 흡수성 물품(2)은, 전방협폭부(101b, 102b), 후방협폭부(101c, 102c)가 중앙광폭부(101a, 102a)보다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시에, 표면 시트(10)의 흡수면을 넘어, 도 2에 나타낸 제 1 굴곡부(101), 제 2 굴곡부(202), 영역(S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체액이 침입한 경우라도, 제 1 굴곡부(101, 102)로 인도되어 흡수체(30)측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2)의 전방영역(F) 및 후방영역(R)으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2)의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에는, 압착가공에 의해, 고압착영역(WH)과 저압착영역(WL)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압착영역(WL)은 흡수체 제 1 굴곡부를 사이에 두고 대치되는 흡수체(30)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저압착영역(WL)에 의해 흡수체(30)가 분단되지 않기 때문에, 흡수용량을 손상시킬 일이 없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2)은, 흡수성 물품(2)과 착용자 간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체액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6을 참조하면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3)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흡수성 물품(1, 2)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낸 흡수성 물품(3)은, 도 1에 나타낸 제 1 굴곡부(101, 102)가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전방영역(F), 후방영역(R)에, 주 횡단 굴곡부(111f, 111r)가 형성된다. 또한, 부(副) 횡단 굴곡부(112f, 112r)가 형성된다. 부 횡단 굴곡부(112f, 112r)는, 착용자의 배설부와 표면 시트(10)가 접촉하는 접촉영역(S)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 횡단 굴곡부(112f, 112r)는 표면 시트(10)에 형성되는 홈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부 횡단 굴곡부(112f, 112r)는,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와 마찬가지로, 압착가공에 의해, 고압착영역(WH)과 저압착영역(WL)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압착영역(WL)은 격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3)은, 표면 시트(10)의 표면에, 흡수성 물품(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굴곡부(101, 102), 제 2 굴곡부(201, 202)가 형성된다. 중앙광폭부(101a, 102a), 전방협폭부(101b, 102), 후방협폭부(101c, 102c), 후방광폭부(101e, 102e)에 있어서의 제 1 굴곡부(101, 102) 상호 간의 간격은,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흡수성 물품(3)은, 부 횡단 굴곡부(112f, 112r)를 가진다. 부 횡단 굴곡부(112f)는, 주 횡단 굴곡부(111f)보다 중앙영역(M)측에 형성된다. 부 횡단 굴곡부(112f)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된다. 부 횡단 굴곡부(112r)는, 주 횡단 굴곡부(111r)보다 중앙영역(M)측에 형성된다. 부 횡단 굴곡부(112r)는, 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된다.
개더(51)의 자유부분의 단부(51ff)와, 개더(52)의 자유부분의 단부(52ff)를 잇는 가상선(FL)과, 한 쌍의 제 1 굴곡부(101, 102)는 교차한다. 또한, 가상선(FL)은, 부 횡단 굴곡부(112f)와 교차한다.
개더(51)의 자유부분의 단부(51rf)와, 개더(52)의 자유부분의 단부(52rf)를 잇는 가상선(RL)과, 한 쌍의 제 1 굴곡부(101, 102)는 교차한다. 또한, 가상선(RL)은, 부 횡단 굴곡부(112r)와 교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3)에서는, 주 횡단 굴곡부(111f, 111r) 및 부 횡단 굴곡부(112f, 112r)를 구비함으로써, 길이방향의 강성(剛性)이 약화되는 부분이 증가하므로, 길이방향으로 구부러지기가 한층 용이해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3)의 폭방향 내측을 향해 압축되는 힘(F)에 의해, 전방광폭부(101d, 102d) 및 후방광폭부(101e, 102e)가 피부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겨지기가 한층 쉬워져, 컵형상으로의 변형이 촉진된다.
또한, 흡수성 물품(3)의 표면 시트(10)에 있어서의 체액의 흡수면은, 폭방향(W) 외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의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를 구비하므로, 사용시에 흡수성 물품(3)의 폭방향 내측을 향해 힘(F)이 가해지더라도, 흡수체(30)의 양측부(31, 32)가 좁아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3)의 중앙영역(M)에 있어서, 충분한 흡수면적이 확보된다는 이점도 가진다.
또한, 흡수성 물품(3)은, 전방협폭부(101b, 102b), 후방협폭부(101c, 101c)가 중앙광폭부(101a, 102a)보다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시에, 표면 시트(10)의 흡수면을 넘어, 도 2에 나타낸 제 1 굴곡부(101), 제 2 굴곡부(202), 영역(S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체액이 침입한 경우라도, 제 1 굴곡부(101, 102)로 인도되어 흡수체(30)측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3)의 전방영역(F) 및 후방영역(R)으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3)의 제 1 굴곡부(101, 102) 및 제 2 굴곡부(201, 202)에는, 압착가공에 의해, 고압착영역(WH)과 저압착영역(WL)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압착영역(WL)은 흡수체 제 1 굴곡부를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흡수체(30)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저압착영역(WL)에 의해 흡수체(30)가 분단되지 않기 때문에, 흡수용량을 손상시킬 일이 없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3)은, 흡수성 물품(3)과 착용자 간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체액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제 4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하였으나, 이러한 개시내용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상기의 개시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의 대체실시의 형태, 실시예 및 운용기술이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의 예로서 생리대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시형태는, 소위 팬티라이너, 실금용품(실금 패드라 함)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흡수성 물품은, 상술한 도 1에 개시된 평면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 부분의 형상, 및 팬티의 형상에 적합한 형상이면 된다. 흡수성 물품의 평면형상은, 직사각형, 타원형, 표주박형 등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굴곡부(101, 102), 제 2 굴곡부(201, 202), 주 횡단 굴곡부(111f, 111r), 및 부 횡단 굴곡부(112f, 112r)는, 압착가공에 의해, 흡수체(30)의 밀도가 높아진 고압착영역(WH)과, 고압착영역(WH)보다 밀도가 낮은 저압착영역(WL)이 격자형상으로 형성된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 1 굴곡부(101, 102), 제 2 굴곡부(201, 202), 주 횡단 굴곡부(111f, 111r), 및 부 횡단 굴곡부(112f, 112r)에 압착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은, 격자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트형상, 물결형상, 사선형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저압착영역과 고압착영역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 혹은 폭방향의 강성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흡수성 물품보다 흡수체(30)의 평량이 많은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는, 저압착영역이 사다리형상(사선형상)으로 형성되는(즉,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저압착영역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타입으로 함으로써, 길이방향의 강성이 높아지기 쉬운 흡수성 물품의 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은 여러 가지의 실시형태 등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관련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 제2009-096525호(2009년 4월 10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배설부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어, 체액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Claims (8)

  1.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표면 시트와, 액체를 투과시키지 않는 액불투과성(液不透過性)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배설부와 상기 표면 시트가 접촉하는 접촉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제 1 굴곡부와, 제 2 굴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굴곡부는,
    상기 접촉영역이 포함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흡수체의 폭방향 양측부보다 내측 영역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중앙선에 대칭으로 한 쌍이 배치되어,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굴곡부는,
    상기 접촉영역이 포함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제 1 굴곡부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내측 영역에 한 쌍이 배치되어,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굴곡부 및 상기 제 2 굴곡부는, 상기 접촉영역이 포함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 외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흡수성 물품.
  2.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굴곡부는,
    한 쌍의 제 1 굴곡부 간의 간격이 가장 넓은 중앙광폭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사용상태에서 상기 광폭부보다 전방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 1 굴곡부 간의 간격이 상기 광폭부보다 좁은 전방협폭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사용상태에서 상기 광폭부보다 후방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 1 굴곡부 간의 간격이 상기 광폭부보다 좁은 후방협폭부와,
    상기 전방협폭부보다 전방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 1 굴곡부 간의 간격이 상기 전방협폭부보다 넓은 전방광폭부와,
    상기 후방협폭부보다 후방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 1 굴곡부 간의 간격이 상기 후방협폭부보다 넓은 후방광폭부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광폭부 사이, 또는 상기 후방광폭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주 횡단 굴곡부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 횡단 굴곡부보다 상기 중앙영역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 횡단 굴곡부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흡수체의 양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이 배치되어, 상기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누설방지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방향에 평행하며 한 쌍의 상기 누설방지부의 상기 표면 시트와의 접합부를 제외한 자유부분의 단부끼리를 연결한 가상선과,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제 1 굴곡부가 교차하고 있고,
    상기 가상선은, 상기 주 횡단 굴곡부 또는 상기 부 횡단 굴곡부와 교차하는 흡수성 물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흡수체의 평량은, 상기 제 1 굴곡부와 상기 제 2 굴곡부 사이에 존재하는 흡수체의 평량보다 많은 흡수성 물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굴곡부 및 상기 제 2 굴곡부는, 압착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
  8. 제 7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굴곡부는,
    상기 압착가공에 의해 흡수체의 밀도가 높아진 고압착영역과, 상기 고압착영역보다 밀도가 낮은 저압착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1 굴곡부를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흡수체끼리는, 상기 저압착영역에 의해 연결되는 흡수성 물품.
KR1020117024759A 2009-04-10 2010-04-07 흡수성 물품 KR201101397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96525 2009-04-10
JP2009096525A JP5602382B2 (ja) 2009-04-10 2009-04-10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751A true KR20110139751A (ko) 2011-12-29

Family

ID=4293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759A KR20110139751A (ko) 2009-04-10 2010-04-07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29626B2 (ko)
EP (1) EP2417950A4 (ko)
JP (1) JP5602382B2 (ko)
KR (1) KR20110139751A (ko)
CN (1) CN102387766A (ko)
SG (1) SG175101A1 (ko)
WO (1) WO20101170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13236B1 (en) 2003-02-12 2013-07-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an Absorbent Article
ATE473717T1 (de) 2003-02-12 2010-07-15 Procter & Gamble Saugfähiger kern für einen saugfähigen artikel
CA2868589C (en) 2007-06-18 2016-11-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and method
DE112008000011B4 (de) 2007-06-18 2013-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inwegabsorptionsartikel und dessen Verwendung
CA2722538C (en) 2008-04-29 2014-08-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an absorbent core with strain resistant core cover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JP2012085800A (ja) * 2010-10-19 2012-05-10 Kao Corp 吸収性物品
JP5684046B2 (ja) * 2011-05-20 2015-03-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39009B2 (ja) 2011-06-10 2018-06-0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の吸収性構造体
BR112013031707B1 (pt) 2011-06-10 2020-1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raldas descartáveis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EP2532332B2 (en) 2011-06-10 2017-10-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reduced attachment between absorbent core and backsheet
US9974699B2 (en) 2011-06-10 2018-05-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MX2013014588A (es) 2011-06-10 2014-01-24 Procter & Gamble Estructura absorbente para articulos absorbentes.
EP2532328B1 (en) 2011-06-10 2014-02-2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EP2815732B1 (en) * 2012-02-14 2016-09-14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provided with novel leg gathers
JP2013215388A (ja) * 2012-04-09 2013-10-24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
JP5670960B2 (ja) * 2012-06-11 2015-02-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01984B2 (ja) * 2012-10-01 2016-10-0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BR112015010854B1 (pt) 2012-11-13 2021-08-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go absorvente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EP2740452B1 (en) 2012-12-10 2021-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EP2740449B1 (en) 2012-12-10 2019-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EP2813201B1 (en) 2013-06-14 2017-11-0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core forming channels when wet
US9789011B2 (en) 2013-08-27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MX2016003391A (es) 2013-09-16 2016-06-24 Procter & Gamble Articulos absorbentes con canales y señales.
EP2851048B1 (en) 2013-09-19 2018-09-0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PL2886092T3 (pl) 2013-12-19 2017-03-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Wkłady chłonne z obszarami tworzącymi kanały i zgrzewami osłony c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US10271997B2 (en) 2014-04-08 2019-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substrates having zonal treatments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JP5972945B2 (ja) * 2014-09-30 2016-08-1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8542601A (zh) * 2014-12-26 2018-09-1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一次性尿布
WO2016149251A1 (en) 2015-03-16 2016-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s
GB2554228B (en) 2015-03-16 2021-08-04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strength
EP3294248B1 (en) 2015-05-12 2020-12-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ore-to-backsheet adhesive
CN107683126A (zh) 2015-05-29 2018-02-09 宝洁公司 具有槽和润湿指示标记的吸收制品
JP6333223B2 (ja) * 2015-09-07 2018-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JP7263189B2 (ja) * 2019-09-19 2023-04-2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45221U (en) * 1997-05-06 2003-08-01 Kao Corp Absorbent article
JP3801449B2 (ja) 2001-02-20 2006-07-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180865B2 (ja) 2002-09-09 2008-11-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可撓軸を備えた吸収性物品
US7686790B2 (en) * 2003-03-04 2010-03-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linear, undulating perimeter embossing in an absorbent article
KR100899045B1 (ko) 2004-11-30 2009-05-25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흡수용품
KR101198546B1 (ko) * 2005-05-20 2012-11-06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다수의 마이크로 엠보싱으로 구성된 매크로 엠보싱을구비한 뭉침 및 샘방지기능과 심미적 효과가 증대된 흡수제품
WO2006130646A1 (en) * 2005-06-02 2006-1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traverse reinforcing element
JP4619253B2 (ja) * 2005-09-29 2011-01-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953618B2 (ja) * 2005-11-02 2012-06-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80189B2 (ja) * 2006-10-06 2012-11-21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5123579B2 (ja) * 2007-06-22 2013-01-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9096525A (ja) 2007-10-18 2009-05-07 Nissei Kagaku Kk 食品容器
JP5258379B2 (ja) * 2008-05-15 2013-08-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503867B2 (ja) 2008-12-15 2014-05-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292083B2 (ja) * 2008-12-15 2013-09-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87766A (zh) 2012-03-21
US20120095425A1 (en) 2012-04-19
SG175101A1 (en) 2011-11-28
EP2417950A1 (en) 2012-02-15
EP2417950A4 (en) 2013-04-10
JP2010246614A (ja) 2010-11-04
US9029626B2 (en) 2015-05-12
WO2010117015A1 (ja) 2010-10-14
JP5602382B2 (ja)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9751A (ko) 흡수성 물품
JP4390445B2 (ja) 縦長の吸収性物品
JP5264270B2 (ja) 吸収性物品
JP4953618B2 (ja) 吸収性物品
JP5305812B2 (ja) 吸収性物品
JP4180865B2 (ja) 可撓軸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5317685B2 (ja) 吸収性物品
JP5294837B2 (ja) 吸収性物品
US8998871B2 (en) Absorbent article with compressed channel portions
EP1917939A1 (en) Absorptive article
JP2004181084A (ja) 縦長の圧縮溝を備えた吸収性物品
WO2006059588A1 (ja) 吸収性物品
TWI668001B (zh) Absorbent article
KR20180016489A (ko) 흡수성 물품
JP5380268B2 (ja) 生理用ナプキン
KR20180023946A (ko) 흡수성 물품
JP2018061688A (ja) 吸収性物品
JP6937596B2 (ja) 吸収性物品
WO2024053228A1 (ja) 生理用吸収性物品
WO2023120694A1 (ja) 吸収性物品
WO2019202742A1 (ja) 吸収性物品
JP5099759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WO2020095953A1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