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742A - 팬츠형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팬츠형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742A
KR20110139742A KR1020117024515A KR20117024515A KR20110139742A KR 20110139742 A KR20110139742 A KR 20110139742A KR 1020117024515 A KR1020117024515 A KR 1020117024515A KR 20117024515 A KR20117024515 A KR 20117024515A KR 20110139742 A KR20110139742 A KR 20110139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back side
seal
side seal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사사키
타카유키 사토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71026A external-priority patent/JP52385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71025A external-priority patent/JP523856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9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61F13/49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characterized by the s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29C65/08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using a rotary sonotrode or a rotary anvil
    • B29C65/08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using a rotary sonotrode or a rotary anvil using both a rotary sonotrode and a rotary anv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1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formed by a single dot or dash or by several dots or dashes, i.e. spot joining or 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or being in the form of tessellations
    • B29C66/23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or being in the form of tessellation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i.e. the joint being formed by several parallel joint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1Joining the articles to thems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 B29C66/7392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both parts being 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1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 B29C66/81415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bevelled
    • B29C66/81419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bevelled and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27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ridge, e.g. for making a weakening line; comprising a single 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3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cavity, e.g. a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33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toothed, i.e. comprising several teeth or pins, or being patter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33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toothed, i.e. comprising several teeth or pins, or being patterned
    • B29C66/81435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toothed, i.e. comprising several teeth or pins, or being patterned comprising several parallel ridges, e.g. for cri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51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drums, bands, belts or chains; Flying jaws
    • B29C66/83511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drums, bands, belts or chains; Flying jaws 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51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drums, bands, belts or chains; Flying jaws
    • B29C66/83511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drums, bands, belts or chains; Flying jaws 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or drums
    • B29C66/83513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drums, bands, belts or chains; Flying jaws 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or drums cooperating 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or drums and moving in a clos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4Dielectric heating, e.g. high-frequency welding, i.e. radio frequency welding of plastic materials having dielectric properties, e.g. PV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9Textile or other fibrous material made from plastics
    • B29C66/7294Non woven mats, e.g. f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71Underwear
    • B29L2031/4878Diapers, napkins

Abstract

배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6a)와 등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6b)의 중합부(7)를 융착하여 형성된 한쌍의 사이드 실부(8)를 가지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이다. 상기 중합부(7)는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에, 시트의 적층매수가 다른 영역(72, 73)보다 많은 허리 단부영역(71)을 가진다. 허리 단부영역(71)에 있어서의 배측부 및 등측부 각각의 시트의 적층 구조가, 배측부 및 등측부 각각의 중합부들 사이로도 연장되어 있다. 사이드 실부(8)는 허리 단부영역(71)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영역(8a1)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피부측 단부(8e)에서의 융착부(81)의 합계길이가, 그보다 아래쪽 영역(72, 73)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영역(8a2, 8a3)에서의 동 합계길이보다 작다.

Description

팬츠형 흡수성 물품{UNDERWEAR-TYPE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등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액 보유성 흡수체를 구비하고, 배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등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서로 포갠 중합부를 융착하여 형성된 한쌍의 사이드 실(side seal)부를 가지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또한 다양한 목적에서, 사이드 실부에 형성하는 융착부의 형성 패턴을 연구한 것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종래,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액 보유성 흡수체를 구비하고, 배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등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서로 포갠 중합부를 융착하여 형성된 한쌍의 사이드 실부를 가지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또한 다양한 목적에서, 사이드 실부에 형성하는 융착부의 형성 패턴을 연구한 것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은, 양호한 장착감이나 감촉을 유지하면서 양호한 피트성을 발휘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허리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부 및 다리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사이드 실부의 융착부를, 상기 사이드 실부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비(非)용착부를 가지는 간헐 접합부로 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안하였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앞 부분의 심 패널(seam panel)과 등 부분의 심 패널을 접합함으로써 허리 개구부와 2개의 다리 개구부를 형성한, 예를 들면 기저귀인 의류가 기재되어 있고, 특허문헌 2에는 그러한 의류의 심 패널끼리를, 다수의 접합부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스터를, 복수개 마련하여 접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접합부의 강도가 충분하고, 감촉이 뛰어나며, 떼어냄성도 뛰어난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사이드 실부가, 실질적으로 배측부측의 면 및 등측부측의 면의 양면에서 눌려서 접합되어 있는 강(强)접합부, 실질적으로 배측부측의 면 및 등측부측의 면 중 어느 한 면에서 눌려서 접합되어 있는 약(弱)접합부, 및 실질적으로 배측부측의 면 및 등측부측의 면 중 어느 면으로부터도 눌려 있지 않은 비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하였다(특허문헌 3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0-137287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2-369842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1-120595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사이드 실부의 폭방향의 피부측 단부에 형성된 융착부가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위화감을 주거나, 기저귀를 입거나 입힐 때에 융착부가 허리둘레나 손, 다리 등의 피부를 자극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착용자의 허리둘레는 둘레길이가 길고, 또 그 둘레길이가 자세의 변화나 호흡에 따라 변동되기 때문에, 허리둘레에 접촉하는 부분의 쿠션성이나 부드러움은 장착감에 큰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의류는 허리둘레의 부드러움이나 감촉에 대한 배려가 불충분하고, 또한 앞 부분의 심 패널의 외(내)면에 등 부분의 심 패널의 내(외)면을 포개어 양쪽 패널을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설비가 복잡하다.
또한 특허문헌 3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기저귀를 입거나 입힐 때 혹은 착용중에, 허리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부를 위쪽에서 혹은 옆쪽(피부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누르는 힘이 가해졌을 때에, 강접합부가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거나 착용자나 간병인 등의 피부를 자극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드 실부에 의한 위화감이나 피부에 대한 자극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허리둘레의 쿠션성 내지 감촉이 양호하며 장착감이 뛰어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등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서로 포갠 중합부를 융착하여 형성된 한쌍의 사이드 실부를 가지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중합부는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에, 시트의 적층매수가 상기 중합부에서의 다른 영역보다 많은 허리 단부영역을 가지고 있고, 상기 중합부의 허리 단부영역에서의 배측부 및 등측부 각각의 시트의 적층 구조가, 배측부의 중합부들 사이 및 등측부의 중합부들 사이로도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드 실부는, 상기 허리 단부영역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seal)영역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사이드 실부 피부측 단부에서의 융착부의 합계길이가, 상기 허리 단부영역보다 아래쪽 영역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영역에서의 동(同) 합계길이보다 작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등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서로 포갠 중합부를 융착하여 형성된 한쌍의 사이드 실부를 가지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사이드 실부는 배측부측의 면에서 눌려서 형성된 배측 실 패턴과, 등측부측의 면에서 눌려서 형성된 등측 실 패턴이 다르고, 상기 배측 또는 등측 실 패턴은 상기 사이드 실부의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영역에서의 실 패턴이 상기 사이드 실부의 다른 영역과 다르며, 상기 사이드 실부는 상기 단부영역에서의 융착 강도가 상기 다른 영역에서의 융착 강도보다 낮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드 실부에 의한 위화감이나 피부에 대한 자극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허리둘레의 쿠션성 내지 감촉이 양호하며 장착감이 뛰어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신장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개 신장상태란, 사이드 실부를 떼어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전개상태로 하고, 그 전개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각 부의 탄성부재를 신장시켜서 설계 치수(탄성부재의 영향을 일절 배제한 상태에서 평면형상으로 펼쳤을 때의 치수와 동일)가 될 때까지 펼친 상태를 말한다.
도 3(a)는 도 2의 Y1-Y1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의 Y2-Y2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 3(c)는 사이드 실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실부의 확대 평면도(도 3(c) 상당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실부의 확대 평면도(도 3(c) 상당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드 실부를 형성하는 엠보싱 롤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실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실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실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10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도 3(a)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1(b)는 도 10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도 3(b)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2(a)는 도 10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드 실부에 있어서의 배측 실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낸 배측 실 패턴을 형성하는 실 롤의 볼록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12(c)는 도 10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드 실부에 있어서의 등측 실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d)는 도 12(c)에 나타낸 등측 실 패턴을 형성하는 실 롤의 볼록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12(e)는 도 10에 나타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드 실부에 형성되는 강접합부 및 약접합부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e)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사이드 실부를 형성하는 실 롤의 가압부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의 배측 또는 등측 실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b)는 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의 등측 또는 배측 실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5(c)는 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드 실부에 형성되는 강접합부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의 배측 또는 등측 실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b)는 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의 등측 또는 등측 실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c)는 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드 실부에 형성되는 강접합부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이하 '기저귀(1)'라고도 함)는 배측부(A)의 양측 가장자리부(6a, 6a)와 등측부(B)의 양측 가장자리부(6b, 6b)를 서로 포갠 중합부(7, 7)를 융착하여 형성된 한쌍의 사이드 실부(8, 8)를 가지고 있다. 중합부(7, 7)는 각각, 배측부(A)의 피부 접촉면측의 면과 등측부(B)의 피부 접촉면측의 면을 합장(合掌)형상으로 포개어 이루어지며, 각각,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세로방향(상하방향)과 동일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배측부(A)는 기저귀(1) 장착시에 장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부위이고, 등측부(B)는 장착자의 등측에 배치되는 부위이며, 가랑이부(C)는 장착자의 가랑이부에 배치되는 부위이다.
일회용 기저귀(1)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배측부(A)에서 가랑이부(C)를 지나 등측부(B)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CL)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로 도 1 및 도 2의 좌측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우측 구성도 좌우 대칭인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이하, 기저귀(1)의 길이방향(기저귀(1)를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전개해서 신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중심선(CL)과 평행한 방향)을 'Y방향'이라고도 한다.
중합부(7)는 허리 개구부(WO)측의 단부에, 시트의 적층매수가 상기 중합부(7)에서의 다른 영역(72, 73)보다 많은 허리 단부영역(71)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합부(7)의 허리 단부영역(71)에서의 배측부(A) 및 등측부(B) 각각의 시트의 적층 구조가, 배측부(A)의 중합부들 사이(71a) 및 등측부(B)의 중합부들 사이(71b)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실부(8)는 허리 단부영역(71)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영역(8a1)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사이드 실부 피부측 단부(8e)에서의 융착부(81)의 합계길이가, 상기 허리 단부영역(71)보다 아래쪽 영역(72, 73)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영역(8a2, 8a3)에서의 동 합계길이보다 작다[도 3(c) 참조].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기술한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2)와, 액 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이면 시트(3)와, 양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는 흡수체(4)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5), 및 흡수성 본체(5)의 이면 시트측(비피부 접촉면측)에 위치하여 상기 흡수성 본체(5)를 고정하고 있는 외포재(6)를 구비하고 있다.
기저귀(1)는 배측부(A)의 양측 가장자리부(6a, 6a)와 등측부(B)의 양측 가장자리부(6b, 6b)를 서로 포갠 중합부(7, 7)를 융착하여 한쌍의 사이드 실부(8, 8)를 형성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허리 개구부(WO) 및 한쌍의 다리 개구부(LO, LO)를 가지는 팬츠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외포재(6)는 흡수성 본체(5)의 둘레가장자리부의 외측 전역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고, 기저귀의 외면을 이루는 외층 시트(61)와, 외층 시트(61)의 내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내층 시트(62)와, 외층 시트(61) 및 내층 시트(62)가, 각각 흡수성 본체(5)의 길이방향(Y방향)의 단부보다 외측 부분에 있어서 내층 시트(62)측으로 접혀서 생긴 접힘부(61a, 61b 및 62a, 62b)를 가지고 있다.
기저귀(1)에 있어서 외포재(6)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양측 가장자리가, 길이방향(Y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각각 안쪽을 향해 볼록한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길이방향 중앙부가 잘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외포재(6)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의 외면을 이루는 외층 시트(61)와, 외층 시트(61)의 내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내층 시트(62)와, 양 시트(61, 62) 사이에 배치 고정된, 복수개의 허리 탄성부재(63), 복수개의 다리 탄성부재(64) 및 복수개의 몸통둘레부 탄성부재(65)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허리 탄성부재(63)는 배측부(A) 및 등측부(B) 각각의 허리 개구부(WO)의 둘레가장자리부에 마련되어 있다. 각 몸통둘레부 탄성부재(63)는 신장상태에서 기저귀(1)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 고정되어 있다. 기저귀(1)의 폭방향은 착용시 착용자의 허리둘레 내지 몸통둘레의 둘레방향과 동일방향이다. 이하, 기저귀(1)의 폭방향(기저귀(1)를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전개해서 신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중심선(CL)과 수직인 방향)을 'X방향'이라고도 한다.
복수개의 다리 탄성부재(6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개구부(LO)의 둘레가장자리부에 마련되어 있고, 각 다리 탄성부재(64)는 신장상태에서 다리 개구부(LO)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 고정되어 있다.
복수개의 몸통둘레부 탄성부재(6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부(A) 및 등측부(B) 각각에 있어서, 허리 탄성부재(63)의 배치 부위와 가랑이부(C)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몸통둘레부 탄성부재(65)는 상기 중심선(CL)의 좌우 양측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각각 기저귀(1)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 고정되어 있다.
기저귀(1)의 외층 시트(61)를 구성하는 시트재는 배측부(A) 및 등측부(B)에 있어서, 도 2,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층 시트(61)와 내층 시트(62)에 의해 허리 탄성부재(63)를 끼워서 고정한 부위보다 더 길이방향(Y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며, 그 연장된 부분이, 허리 개구부(WO)의 둘레가장자리끝(We)에서, 내층 시트(62)측으로 접혀서 접힘부(61a, 61b)를 형성하고 있다.
접힘부(61a)는 도 2 및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Y방향)의 끝가장자리(61a1)가, 흡수성 본체(5)의 길이방향(Y방향)의 배측부(A)측의 끝가장자리보다도 가랑이부(C)쪽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접힘부(61b)도 도 2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Y방향)의 끝가장자리(61b1)가, 흡수성 본체(5)의 길이방향(Y방향)의 등측부(B)측의 끝가장자리보다도 가랑이부(C)쪽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기저귀(1)의 내층 시트(62)를 구성하는 시트재는 배측부(A) 및 등측부(B)에 있어서, 도 2,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층 시트(61)와 내층 시트(62)에 의해 허리 탄성부재(63)를 끼워서 고정한 부위보다도 더 길이방향(Y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며, 그 연장된 부분이, 허리 개구부(WO)의 둘레가장자리끝(We)에서, 외층 시트(61)와 일체적으로 내층 시트(62)측으로 접혀서 접힘부(62a, 62b)를 형성하고 있다.
접힘부(62a)는 도 2 및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Y방향)의 끝가장자리(62a1)가, 허리 개구부(WO)의 둘레가장자리끝(We)과, 흡수성 본체(5)의 배측부(A)측의 끝가장자리 사이의 중앙부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접힘부(62b)도 도 2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Y방향)의 끝가장자리(62b1)가, 허리 개구부(WO)의 둘레가장자리끝(We)과, 흡수성 본체(5)의 등측부(B)측의 끝가장자리 사이의 중앙부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힘부(62a, 62b)의 길이방향(Y방향)의 길이는 접힘부(61a, 61b)의 길이방향(Y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배측부(A) 및 등측부(B) 각각의 폭방향의 중앙부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층 시트(62)와, 외층 시트(61)의 접힘부(61a) 사이에, 흡수성 본체(5)의 길이방향(Y방향)의 단부가 끼여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배측부(A) 및 등측부(B) 각각의 폭방향의 전체 폭에 걸쳐서 접힘부(62a, 62b)의 길이방향(Y방향)의 길이는 동일(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기저귀(1)에 있어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부(A)의 측가장자리부(6a)는 길이방향(Y방향)으로 외층 시트(61), 내층 시트(62), 접힘부(61a) 및 접힘부(62a)가 적층된 시트의 적층매수가 4장인 영역(6a1)과, 외층 시트(61), 내층 시트(62) 및 접힘부(61a)가 적층된 시트의 적층매수가 3장인 영역(6a2)과, 외층 시트(61) 및 내층 시트(62)가 적층된 시트의 적층매수가 2장인 영역(6a3)을 가지고 있다. 배측부(B)의 측가장자리부(6b)도 마찬가지이며,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Y방향)으로 외층 시트(61), 내층 시트(62), 접힘부(61b) 및 접힘부(62b)가 적층된 시트의 적층매수가 4장인 영역(6b1)과, 외층 시트(61), 내층 시트(62) 및 접힘부(61b)가 적층된 시트의 적층매수가 3장인 영역(6b2)과, 외층 시트(61) 및 내층 시트(62)가 적층된 시트의 적층매수가 2장인 영역(6b3)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측가장자리부(6a)와 측가장자리부(6b)를 포갠 중합부(7)는 영역(6a1)과 영역(6b1)을 포갠 시트의 적층매수가 8장인 영역(71)과, 영역(6a2)과 영역(6b2)을 포갠 시트의 적층매수가 6장인 영역(72)과, 영역(6a3)과 영역(6b3)을 포갠 시트의 적층매수가 4장인 영역(73)을 가지고 있다. 기저귀(1)에서는 상기 영역(71)이 허리 개구부(WO)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영역(71)이, 중합부(7)에 있어서의 다른 영역(72, 73)보다 시트의 적층매수가 많은 허리 단부영역(71)이 되어 있다.
또한 기저귀(1)에서는 중합부(7)의 허리 단부영역(71)에서의 배측부(A) 및 등측부(B) 각각의 시트의 적층 구조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부(A)의 중합부들 사이(71a) 및 등측부(B)의 중합부들 사이(71b)로도 연장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합부(7)의 허리 단부영역(71)을 형성하는 배측부(A)의 측가장자리부(6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층 시트(61), 내층 시트(62), 접힘부(61a) 및 접힘부(62a)가 적층된 4층 구조[도 3(a)의 영역(6a1) 참조]를 가지며, 이 점은 중심선(CL)의 양측의 측가장자리부(6a, 6a)에 있어서 공통이지만, 그것에 더하여 배측부(A)의 측가장자리부(6a, 6a) 사이에 위치하는, 중합부(7)를 형성하지 않는 부분(71a)에도, 시트의 적층상태가 상기 측가장자리부(6a, 6a)와 동일한 영역이 연속해서 존재하고 있다.
중합부(7)의 허리 단부영역(71)을 형성하는 등측부(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등측부(B)의 측가장자리부(6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층 시트(61), 내층 시트(62), 접힘부(61b) 및 접힘부(62b)가 적층된 4층 구조[도 3(b)의 영역(6b1) 참조]를 가지며, 이 점은 중심선(CL)의 양측의 측가장자리부(6b, 6b)에 있어서 공통이지만, 그것에 더하여 등측부(B)의 측가장자리부(6b, 6b) 사이에 위치하는, 중합부(7)를 형성하지 않는 부분(71b)에도, 시트의 적층상태가 상기 측가장자리부(6b, 6b)와 동일한 영역이 연속해서 존재하고 있다.
시트의 적층상태가 동일하다는 것은 시트간의 접합상태를 문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중합부에서 배측부(A)를 구성하고 있는 시트 또는 중합부에서 등측부(B)를 구성하고 있는 시트가, 배측부(A) 또는 등측부(B)의 폭방향 안쪽으로 연장되고, 그 시트들이 중합부에서의 배측부(A) 또는 등측부(B)의 시트의 적층매수와 동일 개수 포개져 있으면 된다.
또한 배측부(A) 및 등측부(B)의 폭방향(X방향)의 일부에 적층상태가 다른 부분이 있어도 되는데, 배측부(A) 및 등측부(B) 각각의 폭방향의 중합부간의 거리를 100%로 했을 때에,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 중합부에 있어서의 각 측가장자리부와 같은 적층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측부(A) 및 등측부(B) 각각의 폭방향(X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중합부와 흡수성 본체의 측가장자리부(측가장자리부의 길이방향의 연장선을 포함함) 사이의 영역이, 각 측가장자리부와 같은 적층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흡수성 본체(5) 내지 상기 본체(5)를 구성하는 시트재를 제외하면, 중합부(7)의 길이방향(Y방향)의 전역(71~73)에 대하여, 동일한 적층 구조가 배측부(A) 및 등측부(B)의 전체 폭에 걸쳐서 연속해서 존재하고 있다.
시트의 적층매수가 다른 영역(72, 73)보다 많은 허리 단부영역(71)은 허리 개구부(WO)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양호한 쿠션성 내지 감촉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사이드 실부(8)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방향(Y방향)의 길이(L1)가 3~3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2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mm이다.
또한 외층 시트(61)를 구성하는 시트재 및 내층 시트(62)를 구성하는 시트재는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와 같이, 양자를 포갠 상태로 허리 개구부(WO)의 둘레가장자리끝(We)에서 일체적으로 접혀 있는 것이, 허리 개구부(WO)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양호한 쿠션성 내지 감촉을 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허리부 탄성부재(63)를 필요에 따라서 허리 개구부(WO)의 둘레가장자리끝(We)과 거의 같은 위치에 배치하기가 용이하다는 이점도 있다.
나아가 단부영역에서는 그 양호한 감촉, 쿠션성의 관점에서 가능한 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영역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양은 0~1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서는 외층 시트, 내층 시트를 탄성체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에서 히트 실, 초음파 실 등, 열에 의해 부분적으로 융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기저귀(1)의 사이드 실부(8)는 중합부(7)를 융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에서의 사이드 실부(8)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적층매수가 8장인 허리 단부영역(71)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영역(8a1)과, 시트의 적층매수가 6장인 영역(72)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영역(8a2)과, 시트의 적층매수가 4장인 영역(73)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영역(8a3)을 가지고 있다. 실영역(8a1), 실영역(8a2) 및 실영역(8a3)에는 각각, 폭방향(X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융착부(81)가 형성되어 있다.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영역(8a1)에서의 융착부(81)의 폭(d)은 실영역(8a2) 및 실영역(8a3)에서의 융착부(81)의 폭과 같지만, 실영역(8a1)의 융착부(81)의 피치(P)는 실영역(8a2) 및 실영역(8a3)에서의 융착부(81)의 피치(P')보다 넓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상기의 패턴으로 융착부(81)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실영역(8a1)은 길이방향(Y방향)의 단위길이당, 사이드 실부 피부측 단부(8e)에서의 융착부(81)의 합계길이(D1)가, 실영역(8a2, 8a3)에서의 동 합계길이(D2, D3)보다 작게 되어 있다(D1<D2, D1<D3).
여기서 사이드 실부 피부측 단부(8e)란, 사이드 실부(8)의 폭방향(기저귀(1)에서는 상기 기저귀(1)의 폭방향과 같은 X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실부(8)의 양 단부 중,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단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사이드 실부(8)의 X방향의 양 단부 중 상기 중심선(CL)에 가까운 쪽의 단부이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사이드 실부(8)와 같이, 융착부(81)의 사이드 실부 길이방향(Y방향)의 길이가, 사이드 실부(8)의 폭방향(X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다를 경우, 착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측(도 4의 우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길이방향(X방향)의 길이(d)를 합계길이(D1~D3)의 산출에 이용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사이드 실부(8)와 같이, 사이드 실부(8)의 피부측 단부(8e)에 단부가 도달하는 융착부(81)와, 사이드 실부(8)의 피부측 단부(8e)에 단부가 도달하지 않는 융착부(81a)를 가질 경우, 융착부(81a)는 사이드 실부 피부측 단부(8e)에 있어서의 길이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취급하여, 피부측 단부(8e)에 도달하는 융착부(81)의 길이(d)만 이용해서 합계길이(D1~D3)를 산출한다.
실영역(8a1)(허리 단부영역(71)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영역)에 있어서의, 사이드 실부 피부측 단부(8e)에 있어서의 융착부(81)의 상기 합계길이(D1)[사이드 실부의 길이방향(Y방향)의 단위길이당 합계길이)]는, 허리 개구부(WO)의 둘레가장자리끝(We)에서부터 아래쪽으로 10mm까지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융착부(81)의 길이방향(Y방향)의 길이(d)를 측정하고, 그 융착부(81)들의 길이(d)의 합계를 상기 10mm로 나누어서 구한다. 단, 허리 개구부(WO)의 둘레가장자리끝(We)에서부터 허리 단부영역(71)의 하단까지의 거리(L1)가 10mm에 미치지 않을 경우에는, 허리 개구부(WO)의 둘레가장자리끝(We)에서부터 거리(L1)까지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융착부(81)의 길이방향(Y방향)의 길이(d)를 합계하여, 그 합계길이를 상기 L1로 나누어서 구한다.
실영역(8a2, 8a3)(허리 단부영역(71)보다 아래쪽 영역(72, 73)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영역)에서의 동 합계길이, 즉, 사이드 실부 피부측 단부(8e)에서의 융착부(81)의 합계길이(D2, D3)[사이드 실부의 길이방향(Y방향)의 단위길이당 합계길이)]는, 허리 단부영역(7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길이 10mm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각각의 융착부(81)의 길이방향(Y방향)의 길이(d)를 측정하고, 그 융착부(81)들의 길이(d)의 합계를 상기 10mm로 나누어서 구한다. 이 길이 10mm의 범위를 취하는 방법은 실영역(8a2, 8a3)에 존재하는, 길이방향(Y방향)에 서로 인접한 2개의 융착부(18)들 사이의 중앙위치를 상단으로 하고, 거기서부터 아래쪽으로 10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쪽은 다리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이다.
기저귀(1)에 있어서 실영역(8a2) 및 실영역(8a3)에는 융착부(81)가 동일한 양태로 형성되어 있고, 실영역(8a2)에서의 상기 합계길이(D2)와, 실영역(8a3)에서의 상기 합계길이(D3)가 같지만, 실영역(8a2)의 상기 합계길이(D2)가 실영역(8a3)의 상기 합계길이(D3)보다 커도 되고 그 반대여도 된다. 단, 실영역(8a1)의 상기 합계길이(D1)는 적어도 실영역(8a1)에 인접해서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실영역(8a2)의 상기 합계길이(D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합계길이(D1)는 상기 합계길이(D2) 및 상기 합계길이(D3)의 각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실영역(8a1) 및 그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실영역(실영역(8a2 및 8a3))에서의 융착부(81)의 길이(d)는 0.2~3mm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영역(8a1)에서의 융착부의 길이(d)는 실영역(8a1)보다 아래쪽 영역(8a2, 8a3)에서의 융착부의 길이(d)에 대한 비(전자/후자)가 0.5~1.5, 특히 0.7~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영역(8a1)에서의 융착부(81)간의 피치(P)(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융착부 각각의 중앙위치간의 거리)는 0.5~4.0mm, 특히 0.7~3.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영역(8a2, 8a3)에서의 융착부(81)간의 동(同) 피치(P')는 1~5mm, 특히 1.5~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영역(8a1)에서의 피치는 실영역(8a1)보다 아래쪽 영역(8a2, 8a3)에서의 피치(P')에 대한 비(전자/후자)가 1~4, 특히 2.0~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실부(8)의 융착방법으로서는 히트 엠보싱, 초음파 엠보싱, 고주파 엠보싱 등이 이용되며, 기저귀(1)에서는 사이드 실부(8)의 형성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초음파 엠보싱 롤(80a, 80b)이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c)에 나타내는 사이드 실부(8)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볼록부(80)를 구비한 엠보싱 롤(80a)과, 표면이 평평한 플랫 롤(80b) 사이에, 띠형상의 기저귀(1)의 연속체를 통과시키고, 측가장자리부(6a)와 측가장자리부(6b)를 포갠 중합부(7)의 위치에서, 볼록부(80) 및 플랫 롤(80b)에 의해 엠보싱함으로써 사이드 실부(8)를 형성한다. 볼록부(80)는 띠형상의 기저귀(1)의 연속체의 흐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과, 도 3(c)에 나타내는 사이드 실부(8)의 길이방향(Y방향)이 대응하도록, 흐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실영역(8a1), 실영역(8a2) 및 실영역(8a3) 각각의 융착부(81)에 대응하는 소(小)볼록부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하나의 사이드 실부(8)를 한 번의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실부(8)에 있어서의 융착부(81)는 볼록부(80)의 소볼록부에 의해 엠보싱된 부분이며, 그로 인해 배측부(A)의 측가장자리부와 등측부(B)의 측가장자리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이 융착된 부분이다. 융착부(81)는 통상 엠보싱 처리에 의해 필름화되어 있으며, 사이드 실부(8)에 있어서, 배측부(A) 또는 등측부(B)측에서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가장 깊게 되어 있다. 사이드 실부(8)의 폭은 X방향의 거리가 최대인 융착부의 폭이다. 한편, 사이드 실부(8)가 몸통둘레부 탄성부재(63) 등에 의해 폭방향(X방향) 등으로 수축해 있을 경우에는 신장한 상태로 융착부(81)의 길이방향의 길이(d)를 측정한다.
사이드 실부(8)는 허리 단부영역(71)에서의 융착 강도가, 허리 단부영역(7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72, 73)의 융착 강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허리 단부영역(71)에서의 융착 강도는 실영역(8a1)의 융착 강도이며, 실영역(8a1)의 융착 강도가, 실영역(8a2)의 융착 강도 및 실영역(8a3)의 융착 강도의 어느 것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실부(8)의 융착 강도는 높을수록 착용자의 피부에 딱딱함을 느끼게 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허리 단부영역(71)에서의 융착 강도를 그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72, 73)의 융착 강도보다 낮게 함으로써, 배 둘레의 둘레길이의 변동이 커, 착용시 위화감을 가장 느끼기 쉬운 허리 단부영역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허리 단부영역(71)에서의 융착 강도는 0.3~3N/5mm, 특히 0.3~4.0N/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허리 단부영역(7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72, 73)의 융착 강도는 2~6N/5mm, 특히 2.5~5.0N/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자와 후자의 비(전자/후자)는 0.2~0.9, 특히 0.3~0.6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착 강도의 측정방법>
기저귀(1)에서 사이드 실부(8)를 기저귀(1)의 길이방향(Y방향)을 따라 잘라낸다. 이 절단시에는 배측부(A) 및 등측부(B) 각각에 있어서의, 사이드 실부(8)로부터 중심선(CL)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30mm 정도 포함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잘라낸 사이드 실부(8)를 실영역(8a1), 실영역(8a2) 및 실영역(8a3)의 부분에서 폭방향(X방향)으로 잘라, 길이방향(Y방향)의 실부(8)의 길이가 각각 5mm인, 실영역(8a1)의 샘플, 실영역(8a2)의 샘플 및 실영역(8a3)의 샘플을 얻는다.
각 영역의 실 강도를 인장 시험기[상품명 오토그래프 AGS50A(주) 시마즈세이사쿠쇼 제품]로 측정한다. 이 측정시에는 각 샘플에 있어서의, 사이드 실부(8)로부터 중심선(CL)측에 위치하고 있던 배측부에 유래하는 부분과 등측부에 유래하는 부분을 각각 척에 끼워 180도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긴다(T자 박리).
그때 인장속도(척간 거리의 확대속도) 300mm/min로 측정을 실시하여 최대 강도를 구한다. 측정은 n=5회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그 영역의 융착 강도로 한다. 한편, 각 영역의 실부의 길이가 5mm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5mm에 가까운 최대의 폭에서 측정을 실시하고 5mm의 폭으로 환산함으로써 융착 강도를 구한다.
샘플의 사이드 실부(8)를 박리시킬 때의 박리의 진행방향은 사이드 실부(8)의 폭방향과 동일방향(X방향)이지만, 도 4, 5와 같이 박리의 진행방향을 따라 박리 강도가 변화될 경우, 박리 강도가 0.1N에 도달한 시점을 측정 개시점으로 하고, 측정 개시로부터 척간이 5mm 이동한 시점에서 측정을 종료하여, 그때의 최대 강도를 그 샘플의 융착 강도로 한다.
흡수성 본체(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2), 액 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이면 시트(3) 및 양 시트(2, 3) 사이에 개재된 액 보유성의 흡수체(4)를 가지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세로로 길다. 흡수성 본체(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포재(6)의 등측부(B)에서 배측부(A)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5)의 길이방향(Y방향) 양 단부는 외포재(6)의 길이방향(Y방향) 양 단부보다 길이방향(Y방향) 안쪽으로 후퇴한 위치에 있다. 흡수성 본체(5)는 접착제, 히트 실, 초음파 실 등에 의한 접합법에 의해 외포재(6)의 내층 시트(62)에 접합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5)의 길이방향(Y방향) 양 측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저항성 또는 발수성의 소재이면서 통기성의 소재로 구성된 측방 커프스(51, 51)가 마련되어 있다. 각 측방 커프스(51)의 자유 단부 근방에는 측방 커프스 형성용 탄성부재(52)가 길이방향(Y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배치 고정되어 있다. 측방 커프스(51)는 기저귀 장착시에 자유 단부측이 기립하여, 흡수성 본체(5)의 폭방향(X방향)으로의 배설물의 유출을 저지할 수 있다. 측방 커프스(51) 형성용 시트는 흡수성 본체(5)의 폭방향(X방향) 외측의 소정폭 부분이, 비피부 접촉면측에 말려들어가서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기저귀(1)는 종래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와 마찬가지로 해서 착용할 수 있다.
기저귀(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허리 개구부(WO)측의 단부에, 시트의 적층매수가 다른 영역(72, 73)보다 많은 허리 단부영역(71)을 가지고 있고, 허리 단부영역(71)에서의 배측부 및 등측부 각각의 시트의 적층 구조가, 배측부의 중합부들 사이(71a) 및 등측부의 중합부(71b)들 사이로도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허리 둘레 주위 전체에 접촉하는 부분의 쿠션성 내지 감촉이 양호하다.
착용시에 있어서, 특히 유아의 허리 단부영역에 상당하는 부위는 기저귀가 접촉되는 다른 부위와 비교해서 둘레길이가 크고, 또한 서기/앉기와 같은 동작 및 식사 전후에 그 둘레길이의 변화도 크기 때문에, 기저귀 자체의 부드러움의 영향을 가장 받기 쉬운 영역이어서, 그 영역이 부드러운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허리 단부영역은 간병인(어머니 등)이 기저귀를 입힐 때 손을 넣어서 펼치는 부위이기도 하기 때문에, 그 영역이 부드러운 것은 착용자뿐만 아니라 간병인의 피부에 대한 영향(감촉)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일반적으로 중합부(7)를 형성하는 부재수가 많아지면 융착 수지량이 그에 수반되어 증가하기 때문에, 그 부분을 강고하게 융착하여 열에 의한 수지화가 이루어지면 그 부분에서의 딱딱함이 증대하여, 기저귀(1)를 입히려고 허리 개구부를 펼쳤을 때나 장착시에 그 딱딱해진 부분이 허리둘레나 손, 다리 등의 피부에 닿아 자극을 줄 우려가 있다.
기저귀(1)에서는 허리 단부영역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영역(71)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사이드 실부 피부측 단부(8e)에서의 융착부(81)의 합계길이(D1)가, 상기 허리 단부영역(71)보다 아래쪽 영역(72, 73)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영역에서의 동 합계길이(D2, D3)보다 짧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허리 단부영역(71)에 어느 정도의 융착 강도를 유지하면서, 사이드 실부(8)의 딱딱해진 부분이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장착시나 장착중에 사이드 실부가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거나, 착용자나 간병인의 피부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01)(이하 '기저귀(101)'라고도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01)에 대해서는 주로 제1실시형태의 기저귀(1)와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점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상술한 기저귀(1)에 관한 설명이 적용된다.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01)는 상술한 기저귀(1)와 마찬가지로, 배측부(A)의 양측 가장자리부(6a, 6a)와 등측부(B)의 양측 가장자리부(6b, 6b)를 서로 포갠 중합부(7, 7)를 융착하여 형성된 한쌍의 사이드 실부(108, 108)를 가지고 있다.
또한 기저귀(101)에서도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부(A)의 측가장자리부(6a)는 길이방향(Y방향)으로 외층 시트(61), 내층 시트(62), 접힘부(61a) 및 접힘부(62a)가 적층된 시트의 적층매수가 4장인 영역(6a1)과, 외층 시트(61), 내층 시트(62) 및 접힘부(61a)가 적층된 시트의 적층매수가 3장인 영역(6a2)과, 외층 시트(61) 및 내층 시트(62)가 적층된 시트의 적층매수가 2장인 영역(6a3)을 가지고 있다. 배측부(B)의 측가장자리부(6b)도 마찬가지이며,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Y방향)으로 외층 시트(61), 내층 시트(62), 접힘부(61b) 및 접힘부(62b)가 적층된 시트의 적층매수가 4장인 영역(6b1)과, 외층 시트(61), 내층 시트(62) 및 접힘부(61b)가 적층된 시트의 적층매수가 3장인 영역(6b2)과, 외층 시트(61) 및 내층 시트(62)가 적층된 시트의 적층매수가 2장인 영역(6b3)을 가지고 있다.
기저귀(101)에서의 중합부(7)는 영역(6a1)과 영역(6b1)을 포갠 시트의 적층매수가 8장인 영역(71)과, 영역(6a2)과 영역(6b2)을 포갠 시트의 적층매수가 6장인 영역(72)과, 영역(6a3)과 영역(6b3)을 포갠 시트의 적층매수가 4장인 영역(73)을 가지고 있다.
기저귀(101)의 사이드 실부(108)는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중합부(7)를 융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01)에서의 중합부(7)의 융착은 모두 볼록부를 가지는 2개의 실 롤 사이에서 상기 중합부(7)를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기저귀(101)에서의 사이드 실부(108)는 배측부(A)측의 면에, 도 12(a)에 나타내는 배측 실 패턴(8a)을 가지고, 등측부(B)측의 면에, 도 12(c)에 나타내는 등측 실 패턴(8b)을 가지고 있다. 도 12(a)와 도 12(c)의 대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배측 실 패턴(8a)과 등측 실 패턴(8b)은 다르다.
배측 실 패턴(8a)은 도 12(a)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실부(108)의 폭방향(X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가로로 긴 오목부(83, 84)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가로로 긴 오목부(83, 84)는 사이드 실부(108)의 길이방향(Y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등측 실 패턴(8b)은 도 12(c)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실부(108)의 길이방향(Y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세로로 긴 오목부(85)로 이루어진다. 2개의 세로로 긴 오목부(85)는 폭방향(X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모두 사이드 실부(108)의 폭방향의 양 단부, 특히 피부측 단부(8e)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사이드 실부의 피부측 단부(8e)란, 사이드 실부(108)의 폭방향(기저귀(101)에서는 상기 기저귀(101)의 폭방향과 같은 X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실부(108)의 양 단부 중,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단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사이드 실부(108)의 X방향의 양 단부 중, 기저귀의 길이방향(배측부(A)에서 가랑이부(C)를 지나 등측부(B)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CL)에 가까운 쪽의 단부이다.
또한 기저귀(101)에서의 배측 실 패턴(8a)은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실부(108)의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영역(181)에서의 실 패턴이, 상기 사이드 실부(108)의 그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다른 영역(182)과는 다르다. 단부영역(181)에서의 실 패턴이, 사이드 실부(108)의 다른 영역(182)과는 다르다는 표현에는, 단부영역(181)에서의 가로로 긴 오목부(83, 84)의 배치 피치나 길이방향의 길이가 다른 영역(182)과 다른 경우 외에, 상기 다른 영역(182)에는 가로로 긴 오목부(84)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단부영역(181)에는, 배측부(A)측에서의 가압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가 하나도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포함된다.
한편, 기저귀(101)에서의 등측 실 패턴(8b)은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허리 개구부(WO)측의 단부영역(181)에서의 실 패턴과, 상기 사이드 실부(108)의 다른 영역(182)에서의 실 패턴이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세로로 긴 오목부(85)가, 단부영역(181)에서부터 다른 영역(182)에 걸쳐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실부(108)의 융착방법으로서는 히트 엠보싱, 초음파 엠보싱, 고주파 엠보싱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기저귀(101)에서는 사이드 실부(108)의 형성에, 도 14에 나타내는 한쌍의 초음파 엠보싱 롤(실 롤)(180a, 180b)이 이용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엠보싱 롤(180a)의 둘레면에 마련된 블록의 선단부에는 2개의 볼록부(80a')가, 각각 롤의 축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볼록부(80a')의 선단부에는 상술한 가로로 긴 오목부(83, 84)에 대응하는 형상의 소볼록부(83', 84')[도 12(b) 참조]가, 도 12(a)에 나타내는 배측 실 패턴(8a)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소볼록부(83', 84')는 각각 롤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엠보싱 롤(180a, 180b) 각각의 축길이방향은 사이드 실부(108)의 길이방향[도 12(a), 도 12(c) 및 도 12(d) 각각의 상하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엠보싱 롤(180b)의 둘레면에 마련된 블록의 선단부에도 2개의 볼록부(80b')가, 각각 롤의 축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볼록부(80b')의 선단부에는 상술한 세로로 긴 오목부(85)에 대응하는 형상의 소볼록부(85')[도 12(d) 참조]가, 도 12(c)에 나타내는 등측 실 패턴(8b)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롤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줄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엠보싱 롤(180a)의 2개의 볼록부(80a')와, 엠보싱 롤(180b)의 2개의 볼록부(80b')는 띠형상의 기저귀(1)의 연속체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기저귀의 측가장자리부를 동시에 엠보싱 가공하는 것이며, 2개의 기저귀의 서로 근접하는 측가장자리부에 사이드 실부가 형성된 후에, 기저귀의 연속체는 그 2개의 사이드 실부 사이에서 절단되어 각각의 기저귀로 분리된다.
기저귀의 연속체에 있어서의, 배측부의 측가장자리부(6a)와 등측부의 측가장자리부(6b)를 포갠 중합부(7)에 대응하는 부분을 양쪽 엠보싱 롤(180a, 180b) 사이에서 가압하면, 엠보싱 롤(180a)의 소볼록부(83', 84')에 의해 가압된 부분은 상술한 가로로 긴 오목부(83 및 84)가 되는 동시에, 사이드 실부(108)에는 실질적으로 배측부(A)측의 면측에서만 가압되어 측가장자리부(6a)와 측가장자리부(6b) 사이가 약하게 접합된 약접합부(91)가 형성된다[도 12(e) 및 도 13 참조].
또한 엠보싱 롤(180b)의 소볼록부(85')에 의해 가압된 부분은 상술한 세로로 긴 오목부(85)가 되는 동시에, 사이드 실부(108)에는 실질적으로 등측부(B)측의 면측에서만 가압되어 측가장자리부(6a)와 측가장자리부(6b) 사이가 약하게 접합된 약접합부(92)가 형성된다[도 12(e) 및 도 13 참조].
한편, 엠보싱 롤(180a)의 소볼록부(83' 또는 84')와, 엠보싱 롤(180b)의 소볼록부(85')에 의해, 배측부(A)측의 면 및 등측부(B)측의 면의 양 면측에서 가압된 부분은 측가장자리부(6a)와 측가장자리부(6b) 사이가 강하게 접합된 강접합부(93)가 된다. 강접합부(93)는 통상 엠보싱 처리에 의해 시트의 수지 성분이 용융 고화되어 필름화되어 있다. 한편, 약접합부(91, 92)는 약한 융착이나, 섬유끼리의 얽힘 등에 의해 약하게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측부(A)측의 면 및 등측부(B)측의 면의 양 면측에서 가압된 부분(강접합부(93))은 배측 실 패턴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배측 실 패턴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중합부(7)에 있어서의, 어느 소볼록부(83~85)에 의해서도 가압되지 않는 부분은 실질적으로 접합되어 있지 않거나 약접합부보다 약하게 접합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01)에서는 사이드 실부(108)에서의 배측 실 패턴(8a)과 등측 실 패턴(8b)을 다르게 하기 때문에, 양쪽 실 패턴의 포개짐부에 생기는 강접합부(93)가 사이드 실부(108)의 면방향으로 분산된 상태로 생긴다. 그 때문에, 사이드 실부(108)가 의도치 않게 박리되는 일이 없는 접합 강도를 강접합부(93)로 확보하면서, 사이드 실부(108) 전체가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01)에 있어서는, 배측 실 패턴(8a)에 있어서의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영역(181)에서의 실 패턴을, 상기 사이드 실부(108)의 다른 영역(182)과는 다르게 하기 때문에, 기저귀(101)를 입거나 입힐 때 혹은 착용중에, 허리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부를 위쪽에서 혹은 옆쪽(피부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누르는 힘이 가해졌을 때라도 사이드 실부의 융착부(특히 강접합부(93))가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거나, 착용자나 간병인 등의 피부를 자극하거나 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01)에 있어서는, 허리 개구부(WO)측의 단부영역(181)에 형성되는 가로로 긴 오목부(83)의 피치(P11)를, 다른 영역(182)에 형성되는 가로로 긴 오목부(84)의 피치(P12)보다 크게 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단부영역(181)에 있어서의 융착 강도를 다른 영역(182)에서의 융착 강도보다 낮게 하고 있다.
사이드 실부(108)의 융착 강도는 높을수록 착용자의 피부에 딱딱함을 느끼게 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허리 개구부(WO)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영역(181)에서의 융착 강도를, 그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영역(182)에서의 융착 강도보다 낮게 함으로써, 기저귀(101)를 입거나 입힐 때 혹은 착용중에, 사이드 실부의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영역이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거나, 착용자나 간병인 등의 피부를 자극하거나 하는 것이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영역(181)에서의 융착 강도는 0.3~3N/5mm, 특히 0.3~4.0N/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다른 영역(182)의 융착 강도는 2~6N/5mm, 특히 2.5~5.0N/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영역(181)의 융착 강도와 다른 영역(182)의 융착 강도의 비(전자/후자)는 0.2~0.9, 특히 0.3~0.6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착 강도의 측정방법>
기저귀(101)에서 사이드 실부(108)를 기저귀(101)의 길이방향(Y방향)을 따라 잘라낸다. 이 절단시에는 배측부(A) 및 등측부(B) 각각에 있어서의, 사이드 실부(108)로부터 중심선(CL)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30mm 정도 포함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잘라낸 사이드 실부(108)를, 단부영역(181) 및 다른 영역(182)의 부분에서 폭방향(X방향)으로 잘라, 길이방향(Y방향)의 실부(108)의 길이가 각각 5mm인, 실영역(181)의 샘플 및 실영역(182)의 샘플을 얻는다.
각 영역의 실 강도를 인장 시험기[상품명 오토그래프 AGS50A(주) 시마즈세이사쿠쇼 제품]로 측정한다. 이 측정시에는 각 샘플에 있어서의, 사이드 실부(108)로부터 중심선(CL)측에 위치하고 있던 배측부에 유래하는 부분과 등측부에 유래하는 부분을 각각 척에 끼워 180도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긴다(T자 박리).
그때, 인장속도(척간 거리의 확대속도) 300mm/min로 측정을 실시하여 최대 강도를 구한다. 측정은 n=5회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그 영역의 융착 강도로 한다. 한편, 각 영역의 실부의 길이가 5mm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5mm에 가까운 최대의 폭에서 측정을 실시하고 5mm의 폭으로 환산함으로써 융착 강도를 구한다. 샘플의 사이드 실부(108)를 박리시킬 때의 박리의 진행방향은 사이드 실부(108)의 폭방향과 동일방향(X방향)이다.
또한 기저귀(101)에서는 배측 실 패턴(8a)과 등측 실 패턴(8b)의 포개짐부를 사이드 실부(108)의 피부측 단부(8e)에 존재시키지 않음으로써, 상술한 강접합부(93)가 피부측 단부(8e)에 존재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이드 실부(108)의 딱딱해진 강접합부(93)가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장착시나 장착중에 사이드 실부가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거나, 착용자나 간병인의 피부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기저귀(101)에서의 배측 실 패턴(8a)에 있어서는, 단부영역(181)에 있어서의 가로로 긴 오목부(83)는 사이드 실부(8)의 길이방향(X방향)의 길이(d1)(이하, 길이(d1)라고 함)가 일정하고, 그 가로로 긴 오목부(83)들이 동 길이방향(Y방향)으로 일정한 피치(P11)로 배치되어 있다. 다른 영역(182)에 있어서의 가로로 긴 오목부(84)도 사이드 실부(8)의 길이방향(X방향)의 길이(d1)가 일정하고, 그 가로로 긴 오목부(84)들이 동 길이방향(Y방향)으로 일정한 피치(P12)로 배치되어 있다.
가로로 긴 오목부(83, 84)의 길이(d')는 0.3~3.5mm, 특히 0.5~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로 긴 오목부(83)의 길이(d')와 가로로 긴 오목부(84)의 길이(d')의 비(전자/후자)는 0.2~0.8, 특히 0.3~0.5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로 긴 오목부(83)의 배치 피치(P11)는 0.5~3.0mm, 특히 1.0~2.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로로 긴 오목부(84)의 배치 피치(P12)는 1.0~5.0mm, 특히 2.0~4.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치 피치(P11)와 배치 피치(P12)의 비(P11/P12)는 0.1~3.0, 특히 0.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측 실 패턴(8b)의 세로로 긴 오목부(85)는 사이드 실부의 폭방향의 양 끝(가로로 긴 오목부(83, 84)의 X방향의 양 끝과 같음)에서부터의 이간거리가 1.0mm 이상, 특히 2.0~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측 실 패턴(8a)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영역(182)과는 실 패턴이 다른 영역(단부영역(181)에 위치하는 부분)은 사이드 실부(108)의 허리 개구부(WO)측의 단부에 유연한 영역을 형성하고, 허리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부를 위쪽에서 혹은 옆쪽(피부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누르는 힘이 가해졌을 때에, 강접합부가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거나, 착용자나 간병인 등의 피부를 자극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사이드 실부(108)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방향(Y방향)의 길이(L11)가 3~3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2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mm이다.
또한 배측 실 패턴(8a)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영역(182)과는 실 패턴이 다른 영역(단부영역(181)에 위치하는 부분)은 영역(6a1)과 영역(6b1)을 포갠 시트의 적층매수가 최대인 영역(71)에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중합부(7)를 형성하는 부재수가 많아지면 융착 수지량이 그에 수반되어 증가하기 때문에, 그 부분을 강고하게 융착하여 열에 의한 수지화가 이루어지면, 그 부분에서의 딱딱함이 증대된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01)에서는 시트의 적층매수가 최대인 부분의 사이드 실부(8)에 있어서의, 배측 실 패턴(8a)의 실 패턴을, 그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의 실 패턴과는 다르게 해서 실링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의 적층매수가 많은 것에 따른 허리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부의 쿠션성이나 감촉을 양호하게 하면서, 사이드 실부에 의한 위화감이나 피부에 대한 자극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시트의 적층매수가 최대인 부분(71)은 허리 개구부(WO)측의 끝가장자리(We)에서 하단(62a1, 62b1의 위치)까지의 거리(L1')가 3~3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2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mm이다.
착용시에 있어서 특히 유아의 허리 단부영역에 상당하는 부위는 기저귀가 접촉되는 다른 부위와 비교해서 둘레길이가 크고, 또한 서기/앉기와 같은 동작 및 식사 전후에 그 둘레길이의 변화도 크기 때문에, 기저귀 자체의 부드러움의 영향을 가장 받기 쉬운 영역이어서 그 영역이 부드러운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허리 단부영역은 간병인(어머니 등)이 기저귀를 입힐 때 손을 넣어서 펼치는 부위이기도 하기 때문에, 그 영역이 부드러운 것은 착용자뿐만 아니라 간병인의 피부에 대한 영향(감촉)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단부영역에서는 그 양호한 감촉, 쿠션성의 관점에서 가능한 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영역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양은 0~1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서는 외층 시트, 내층 시트를 탄성체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에서 히트 실, 초음파 실 등, 열에 의해 부분적으로 융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01)에 있어서 사이드 실부(108)의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영역(181)은, 제1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허리 단부영역(71)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영역(8a1)에 상당한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실부(108)의, 단부영역(18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다른 영역(182)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실(8)의 실영역(8a2, 8a3)에 상당한다. 제1실시형태의 기저귀(1)에서의 사이드 실부(8)를,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01)의 사이드 실부(108)나 후술하는 도 15(c) 또는 도 16(c)에 나타내는 사이드 실부(108)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배측 실 패턴 및 등측 실 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하고, 그 배측 및/또는 등측 실 패턴으로서, 실영역(8a1)(단부영역(181))과 다른 실영역(8a2, 8a3)(영역(182))에서 실 패턴이 다른 것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사이드 실부(8)를,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01)의 사이드 실부(108)와 마찬가지로, 실영역(8a1)에서의 융착 강도가 다른 영역(8a2, 8a3)에서의 융착 강도보다 낮은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01)의 중합부(7)나 사이드 실부(108)의 다른 구성을, 제2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중합부(7)나 사이드 실부(8)의 구성에 추가해서 구비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기저귀(1, 108)의 형성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합부(7)를 구성하는 시트형상의 부재의 융착 성분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범용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비용적으로도 바람직한데, 중합부(7)를 구성하는 부재의 융착 성분끼리 동일 계열의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1, 108)에 있어서 중합부(7)를 구성하는 부재는 외층 시트(61)(접힘부(61a)를 포함함) 및 내층 시트(62)(접힘부(62a)를 포함함)이다. 따라서, 외층 시트(61) 및 내층 시트(62)가 서로 동일 계열의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층 시트(61) 및 내층 시트(62)를 구성하는 융착 성분이 폴리프로필렌의 동일 계열의 성분이라는 것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단체의 호모 PP 섬유로만 형성된 부직포 시트, 소량의 에틸렌 등이 프로필렌 연쇄 중에 랜덤하게 포함된 랜덤 PP 섬유로만 형성된 부직포 시트, 호모 PP 수지 또는 랜덤 PP 수지를 50% 이상 포함하지만, 호모 PP 수지 또는 랜덤 PP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를 혼합한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시트, 호모 PP 섬유 또는 랜덤 PP 섬유를 50% 이상 포함하지만, 호모 PP 섬유 또는 랜덤 PP 섬유 이외의 섬유(예를 들면 레이온 섬유, 코튼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를 혼면(混綿)한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외층 시트(61) 및 내층 시트(62)를 구성하는 융착 성분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동일 계열의 성분이라는 것은, 폴리프로필렌의 동일 계열의 성분과 마찬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과 동일 계열의 성분이라는 것은, 코어부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이고 시스부가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 코어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이고 시스부가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를 혼면한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시트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폴리에스테르와 동일 계열의 성분이라는 것은, 코어부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이고 시스부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를 혼면한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시트 등이 바람직하다. 중합부(7)를 구성하는 부재의 융착 성분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동일 계열의 성분이면, 융착 성분의 상용성이 좋고 융착 강도가 양호하기 때문에 보다 저온으로 융착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으로 엠보싱 처리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엠보싱 처리된 부분 이외의 부분이 경화되지 않아, 사이드 실부 전체가 부드러워져 감촉이 향상된다.
중합부(7)의 허리 단부영역(71)을 구성하는 시트, 즉 기저귀(1)에서는 외층 시트(61)(접힘부(61a)를 포함함) 및 내층 시트(62)(접힘부(62a)를 포함함)는 그 전부가 부직포인 것이 부드러움,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부(7)의 허리 단부영역(71)을 구성하는 시트의 합계 평량, 즉 기저귀(1)에서는 외층 시트(61) 및 그 접힘부(61a)의 합계 평량(외층 시트(61)의 평량×2)과, 내층 시트(62) 및 그 접힘부(62a)의 합계 평량(내층 시트(62)의 평량×2)의 합계가 쿠션성 내지 감촉 향상의 관점에서 120g/㎡ 이상인 것, 특히 13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계 평량의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비용의 관점에서는 200g/㎡ 이하, 특히 18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101)에서는 외층 시트(61)(접힘부(61a)를 포함함) 및 내층 시트(62)(접힘부(62a)를 포함함)는 그 전부가 부직포인 것이 부드러움, 및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 실(108)의 단부영역(181)을 구성하는 시트의 합계 평량, 즉 기저귀(101)에서는 외층 시트(61) 및 그 접힘부(61a)의 합계 평량(외층 시트(61)의 평량×2)과, 내층 시트(62) 및 그 접힘부(62a)의 합계 평량(내층 시트(62)의 평량×2)의 합계는 쿠션성 내지 감촉 향상의 관점에서 120g/㎡ 이상인 것, 특히 13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계 평량의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비용의 관점에서는 200g/㎡ 이하, 특히 18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량의 측정방법>
내층 시트(62), 외층 시트(61)를 각 30mm×30mm의 크기로 재단하여, 하나의 기저귀로부터 합계 면적이 각 900㎟인 측정편을 채취하고, 이 측정편의 중량을 최소 표시 1mg의 전자 천칭을 이용해서 측정하여 평량으로 환산함으로써 구한다. 평량의 값은 n=5의 기저귀에서 측정편을 채취한 평균값이다. 한편, 내층 시트(62) 및 외층 시트(61)의 각 측정편은 사이드 실부(8, 108) 이외의 부분에서 채취한다. 30mm×30mm 크기의 측정편을 채취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큰 면적이 되도록 샘플링하고, 그 면적으로부터 평량을 환산한다. 내층 시트 및 외층 시트가 핫멜트 등의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 용매로 접착제를 씻어낸 후 충분히 건조하여 중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표면 시트(2), 이면 시트(3), 흡수체(4), 측방 커프스(51) 형성용 시트로서는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종래 이용되는 것 등을 특별한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시트(2)로서는 액 투과성 부직포나, 개공(開孔) 필름, 이들의 적층체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면 시트(3)로서는 수지 필름이나 수지 필름과 부직포의 적층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4)로서는 펄프 등의 섬유재료의 섬유 집합체 또는 이것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담지시킨 것을, 티슈나 투수성(透水性)의 부직포 등의 피복재로 싸서 이루어지는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측방 커프스(51) 형성용 시트로서는 신축성 필름, 부직포, 직물 또는 그들의 적층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측방 커프스 형성용 탄성부재(52), 허리 탄성부재(63), 다리 탄성부재(64), 몸통둘레부 탄성부재(65)로서는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종래 이용되는 것 등을 특별한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연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산에틸-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재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형태인 기저귀(1, 108)에 대하여 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상술한 기저귀(1, 108)에 전혀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허리 단부영역(71)을 융착하여 형성된 실영역(8a1)에서의 융착부(81)의 피치(P)를, 실영역(8a2, 8a3)(허리 단부영역(71)보다 아래쪽 영역(72, 73)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영역)에서의 피치(P')와 동일하게 하는 한편, 실영역(8a1)에서의 융착부(81)의 길이방향(Y방향)의 길이(d)를, 실영역(8a2, 8a3)에서의 융착부(81)의 길이방향(Y방향)의 길이(d')보다 짧게 함으로써, 실영역(8a1)에서의 융착부(81)의 상기 합계길이(D1)를 실영역(8a2, 8a3)에서의 상기 합계길이(D2, D3)보다 짧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영역(8a1) 및 그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실영역(실영역(8a2 및 8a3))에서의 융착부(81)의 피치(P, P')는 0.5~5.0mm, 특히 1~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영역(8a1)에서의 융착부의 길이(d)는, 실영역(8a1)보다 아래쪽 영역(8a2, 8a3)에서의 융착부의 길이(d')에 대한 비(전자/후자)가 0.2~0.8, 특히 0.4~0.7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실부(8)에 형성하는 융착부(81)는 사이드 실부(8)의 폭방향(X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경사방향은 도 8과는 반대방향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실부(8)에 형성하는 융착부는 사이드 실부(8)의 폭방향(X방향)으로 연장되는 융착부(81)와, 사이드 실부(8)의 길이방향(Y방향)으로 연장되는 융착부(82)가, 융착부(82)가 사이드 실부(8)의 폭방향의 단부에 존재하지 않도록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허리 단부영역(71)에서의 융착부(81)의 상기 합계길이(D1)를, 허리 단부영역(7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영역(72, 73)에서의 융착부(81)의 상기 합계길이(D2, D3)보다 짧게 함으로써, 기저귀(1)에서의 것과 동일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상술한 기저귀(1)에 있어서는, 배측부(A) 및 등측부(B) 각각의 허리 개구부(WO)의 둘레가장자리끝(We)에서 외층 시트(61) 및 내층 시트(62)의 양자가 접혀 있어, 허리 단부영역(71)은 합계 8장의 시트 적층 구조를 가지고 있었지만, 외층 시트(61) 및 내층 시트(62) 중 어느 한쪽만을 접어, 합계 6장의 시트 적층 구조를 가지는 허리 단부영역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허리 단부영역(71)의 아래쪽에, 시트의 적층매수가 6장인 영역(72) 및 시트의 적층매수가 4장인 영역(73)을 형성하는 대신, 허리 단부영역(71)의 아래쪽에, 시트의 적층매수가 6장인 영역(72)만, 또는 시트의 적층매수가 4장인 영역(73)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기저귀(1)에 있어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층 시트(61) 및 내층 시트(62)는 배측부(A)와 등측부(B)에 있어서 대칭적으로 접어서 접힘부(61a, 61b 또는 62a, 62b)를 형성하고 있지만, 배측부(A) 및 등측부(B)에 있어서 접는 시트가 달라도 되고, 접힘부의 길이가 달라도 된다.
사이드 실부(8)가 1회의 엠보싱에 의해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사이드 실부(8)가, 실영역(8a1)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구비한 엠보싱 롤, 실영역(8a2)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구비한 엠보싱 롤, 및 실영역(8a3)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구비한 엠보싱 롤의 3회의 엠보싱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기저귀(101)에서는, 배측부(A)측의 면에 형성되는 배측 실 패턴이 도 12(a)에 나타내는 가로로 긴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실 패턴이고, 등측부(B)측의 면에 형성되는 등측 실 패턴이 도 12(c)에 나타내는 세로로 긴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실 패턴이었지만, 등측부(B)측의 면에 형성되는 등측 실 패턴을 도 12(a)에 나타내는 패턴으로 하고, 배측부(A)측의 면에 형성되는 배측 실 패턴을 도 12(c)에 나타내는 패턴으로 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배측 실 패턴 및 등측 실 패턴 중 한쪽을 도 15(a)에 나타내는 가로로 긴 오목부(83, 84)로 이루어지는 실 패턴으로 하고, 배측 실 패턴 및 등측 실 패턴 중 다른쪽을 도 15(b)에 나타내는 홈형상 경사 오목부(86)로 이루어지는 실 패턴으로 할 수도 있다. 이들 실 패턴의 조합에 따르면 도 15(c)에 나타내는 사이드 실부(8)가 형성되는데, 상기 사이드 실부(108)에 있어서도 강접합부(93)가 사이드 실부의 면방향으로 분산되어 있는 동시에,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영역(181)에 있어서의 강접합부(93)의 개수나 면적이 다른 영역(182)보다 적고, 단부영역(181)의 융착 강도가 다른 영역(182)의 융착 강도보다 낮다. 도 15(c)에 나타내는 사이드 실부에 의해서도, 허리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부의 쿠션성이나 감촉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사이드 실부에 의한 위화감이나 피부에 대한 자극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측 실 패턴 및 등측 실 패턴 중 한쪽을 도 16(a)에 나타내는 홈형상 경사 오목부(87)로 이루어지는 실 패턴으로 하고, 배측 실 패턴 및 등측 실 패턴 중 다른쪽을 도 16(b)에 나타내는 홈형상 경사 오목부(88)로 이루어지는 실 패턴으로 할 수도 있다. 이들 실 패턴의 조합에 따르면 도 16(c)에 나타내는 사이드 실부(8)가 형성되는데, 상기 사이드 실부(108)에 있어서도 강접합부(93)가 사이드 실부의 면방향으로 분산되어 있는 동시에,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영역(181)에 있어서의 강접합부(93)의 개수나 면적이 다른 영역(182)보다 적고, 단부영역(181)의 융착 강도가 다른 영역(182)의 융착 강도보다 낮다. 도 16(c)에 나타내는 사이드 실부에 의해서도, 허리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부의 쿠션성이나 감촉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사이드 실부에 의한 위화감이나 피부에 대한 자극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영역(181)에 형성하는 홈형상 경사 오목부나 가로로 긴 오목부의 폭(W1)과, 다른 영역(182)에 형성하는 홈형상 경사 오목부나 가로로 긴 오목부의 폭(W2)을 다르게 할 경우, 폭(W1)과 폭(W2)의 비(W1/W2)는 예를 들면 0.2~0.8로 할 수 있고, 0.3~0.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5(b), 도 16(a) 및 도 16(b) 중의 폭(W1)은 각각 상술한 기저귀(101)의 가로로 긴 오목부(83)의 상기 길이(d')의 바람직한 치수와 같은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기저귀(101)에 있어서는, 배측부(A) 및 등측부(B) 각각의 허리 개구부(WO)의 둘레가장자리끝(We)에서, 외층 시트(61) 및 내층 시트(62)의 양자가 접혀 있었지만, 외층 시트(61) 및 내층 시트(62) 중 어느 한쪽만 접혀 있어도 된다.
또한 단부영역(181)의 아래쪽에, 단부영역(181)과는 실 패턴이 다른 하나의 영역(182)을 마련하는 대신에, 단부영역(181)의 아래쪽에, 단부영역(181)과는 실 패턴이 다른 2 이상의 영역(182)을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단부영역(181)의 융착 강도를 최대로 한다.
또한 상술한 기저귀(101)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층 시트(61) 및 내층 시트(62)는 배측부(A)와 등측부(B)에 있어서 대칭적으로 접혀 접힘부(61a, 61b 또는 62a, 62b)를 형성하고 있지만, 배측부(A) 및 등측부(B)에 있어서, 접는 시트가 달라도 되고, 접힘부의 길이가 달라도 된다.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외에, 팬츠형(쇼츠형도 포함함) 생리용 냅킨 등의 다른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상술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설명 생략 부분 및 하나의 실시형태만이 가지는 요건은 각각 다른 실시형태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의 요건은 적절히, 실시형태 사이에서 서로 치환 가능하다.
본 발명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사이드 실부에 의한 위화감이나 피부에 대한 자극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허리둘레의 쿠션성 내지 감촉이 양호하며 장착감이 뛰어나다.

Claims (7)

  1. 배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등측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서로 포갠 중합부를 융착하여 형성된 한쌍의 사이드 실(side seal)부를 가지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중합부는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에, 시트의 적층매수가, 상기 중합부에서의 다른 영역보다 많은 허리 단부영역을 가지고 있고,
    상기 중합부의 허리 단부영역에서의 배측부 및 등측부 각각의 시트의 적층 구조가, 배측부의 중합부들 사이 및 등측부의 중합부들 사이로도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드 실부는 상기 허리 단부영역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영역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단위길이당, 사이드 실부 피부측 단부에서의 융착부의 합계길이가, 상기 허리 단부영역보다 아래쪽 영역이 융착되어 형성된 실영역에서의 동(同) 합계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 및 흡수체를 가지는 세로로 긴 흡수성 본체, 및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접촉면측에 위치하여 상기 흡수성 본체를 고정하고 있는 외포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외포재는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외면을 이루는 외층 시트와, 상기 외층 시트의 내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내층 시트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중합부는 상기 외포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시트 및/또는 상기 내층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의 단부보다 외측에 있어서 상기 내층 시트측으로 접힌 접힘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허리 단부영역은 상기 중합부에 있어서의, 상기 외층 시트의 접힘부 및/또는 상기 내층 시트의 접힘부를 포함하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부는 상기 허리 단부영역에서의 융착 강도가, 상기 허리 단부영역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의 융착 강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부는 배측부측의 면에서 눌려서 형성된 배측 실 패턴과, 등측부측의 면에서 눌려서 형성된 등측 실 패턴을 가지며, 배측 실 패턴과 등측 실 패턴이 다르고,
    상기 배측 또는 등측 실 패턴은 상기 사이드 실부의 허리 개구부측의 단부영역에서의 실 패턴이 상기 사이드 실부의 다른 영역과 다르며,
    상기 사이드 실부는 상기 단부영역에서의 융착 강도가, 상기 다른 영역에서의 융착 강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 실 패턴과 상기 등측 실 패턴의 포개짐부가, 상기 사이드 실부의 피부측 단부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 또는 등측 실 패턴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영역과는 실 패턴이 다른 영역은, 상기 중합부 중에서 가장 시트의 적층매수가 많은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KR1020117024515A 2009-03-23 2010-03-19 팬츠형 흡수성 물품 KR201101397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71026A JP5238568B2 (ja) 2009-03-23 2009-03-23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JP-P-2009-071025 2009-03-23
JPJP-P-2009-071026 2009-03-23
JP2009071025A JP5238567B2 (ja) 2009-03-23 2009-03-23 パンツ型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742A true KR20110139742A (ko) 2011-12-29

Family

ID=4278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515A KR20110139742A (ko) 2009-03-23 2010-03-19 팬츠형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412354A4 (ko)
KR (1) KR20110139742A (ko)
CN (1) CN102325513B (ko)
EA (1) EA020614B1 (ko)
MY (1) MY152455A (ko)
SG (1) SG174270A1 (ko)
TW (1) TW201043205A (ko)
WO (1) WO201011020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247A (ko) * 2015-04-01 2017-12-01 오리존 울트라소닉스, 엘엘씨 탄성 부직포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20180012752A (ko) * 2015-05-27 2018-02-06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착용 물품
JP2019118684A (ja) * 2018-01-09 2019-07-22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おむ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47744B1 (en) * 2008-11-14 2014-10-15 Kao Corporation Pull-on absorbent article
JP5438139B2 (ja) * 2012-01-20 2014-03-12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360327B1 (ja) * 2013-06-03 2013-12-0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ES2894897T3 (es) 2016-09-30 2022-02-16 Dukane Ias Llc Aparato para fabricar un material elástico no tejido
BR112019022646B1 (pt) 2017-05-31 2023-12-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go absorvente
RU2763484C2 (ru) 2017-05-31 2021-12-29 Кимберли-Кларк Ворлдвайд, Инк. Замкнутые по бокам впитывающие изделия, раскрывающиеся спереди или сзади
WO2018222455A1 (en) 2017-05-31 2018-12-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ront or rear opening closed-sided absorbent articles
JP6462772B2 (ja) * 2017-06-05 2019-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82399B1 (ja) * 2017-06-16 2018-08-29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807887B2 (ja) * 2018-03-28 2021-01-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141285B2 (ja) * 2018-09-11 2022-09-22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BR112021018567A2 (pt) 2019-03-22 2021-11-30 Dukane Ias Llc Aparelho para fabricação de um material elástico não tramad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0207Y2 (ja) * 1993-12-10 1998-09-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H1052458A (ja) * 1996-08-12 1998-02-24 Oji Paper Co Ltd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JP3625000B2 (ja) * 1996-11-15 2005-03-02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H10290818A (ja) * 1997-04-21 1998-11-04 Oji Paper Co Ltd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JP4073155B2 (ja) * 1999-08-18 2008-04-0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3024383A (ja) * 2001-07-13 2003-01-28 Oji Paper Co Ltd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3783584B2 (ja) * 2001-07-13 2006-06-07 王子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5211179A (ja) * 2004-01-28 2005-08-11 Oji Nepia Kk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AU2004326231A1 (en) * 2004-12-29 2006-07-06 Sca Hygiene Products Ab Pant type absorbent article
CA2624252C (en) * 2005-09-29 2012-06-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ide seam for disposable garment
JP4490405B2 (ja) * 2006-09-29 2010-06-23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747071B2 (ja) * 2006-10-19 2011-08-10 王子ネピア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WO2008079061A1 (en) * 2006-12-22 2008-07-03 Sca Hygiene Products Ab A pant-type absorbent article and a method for producing pant-type absorbent articles
JP5156353B2 (ja) * 2007-11-30 2013-03-06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247A (ko) * 2015-04-01 2017-12-01 오리존 울트라소닉스, 엘엘씨 탄성 부직포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20180012752A (ko) * 2015-05-27 2018-02-06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착용 물품
JP2019118684A (ja) * 2018-01-09 2019-07-22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0203A1 (ja) 2010-09-30
MY152455A (en) 2014-09-25
CN102325513A (zh) 2012-01-18
SG174270A1 (en) 2011-10-28
TW201043205A (en) 2010-12-16
EP2412354A1 (en) 2012-02-01
EA201171135A1 (ru) 2012-03-30
CN102325513B (zh) 2014-08-13
EA020614B1 (ru) 2014-12-30
EP2412354A4 (en)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9742A (ko) 팬츠형 흡수성 물품
JP5846963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5238568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4522469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029026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KR20170131423A (ko) 흡수성 물품의 신축 구조, 및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
JP5238567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425937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ための外側カバー
TW201143736A (en) Underpants 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5674345B2 (ja) 使い捨ての着用物品
JP2015171503A5 (ko)
JP2011156341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WO2010055767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KR20180099740A (ko)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JP6163534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448513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TWI759334B (zh) 用後即棄式穿著用物品
JP2010119577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7315350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5848066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CN218484757U (zh) 短裤型卫生巾、短裤型卫生巾的包装体及独立包装体
JP6317143B2 (ja) 吸収性物品
JP5721419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17144311A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806846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