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7992A -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 - Google Patents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7992A
KR20110137992A KR1020100058051A KR20100058051A KR20110137992A KR 20110137992 A KR20110137992 A KR 20110137992A KR 1020100058051 A KR1020100058051 A KR 1020100058051A KR 20100058051 A KR20100058051 A KR 20100058051A KR 20110137992 A KR20110137992 A KR 20110137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ront door
key
handle
safety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9223B1 (ko
Inventor
박정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8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22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38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pillar-less vehicles, i.e. vehicles where a front and a back door engage each other in the clos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6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linking the rods to other lock parts, e.g. to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론트 도어의 내측 상단에 마련되어 상단 스트라이커에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되는 상단 래치 유닛과; 상기 프론트 도어의 내측 하단에 마련되어 하단 스트라이커에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되는 하단 래치 유닛과; 상기 프론트 도어의 내측에 마련되며, 세이프티 노브와 키의 언락(unlock) 또는 락(lock) 모드에 따라 상기 상단 래치 유닛 및 상기 하단 래치 유닛이 상기 상단 스트라이커 및 상기 하단 스트라이커와 각각 걸림 해제 또는 걸림 유지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B-필라가 없어 차실의 개방 공간이 확대되므로 상품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세이프티 노브와 키의 언락(unlock) 또는 락(lock) 모드에 따라 상단 래치 유닛과 하단 래치 유닛이 동시에 컨드롤되어 프론트 도어가 원활히 개폐될 수 있다.

Description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LOCKING DEVICE OF FRONT DOOR FOR B-PILLARLESS VEHICLE}
본 발명은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B-필라(B-PILLAR 또는 CENTER PILLAR)가 없는 차량에서 프론트 도어를 원활히 개폐할 수 있는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차체 측부 구조는 리어 도어와 리어 윈드 쉴드 글라스 사이에 위치하여 후방 측부를 이루는 C-필라(리어 필라)와, 리어 도어와 프론트 도어 사이에 위치하여 중앙 측부를 이루는 B-필라(센터 필라)와, 프론트 도어와 프론트 윈드 쉴드 글라스 사이에 위치하여 전방 측부를 이루는 A-필라(프론트 필라)로 구성된다.
특히, B-필라는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한 강성을 고려하여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최근 일부 차량에는 차실의 개방 공간을 확대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B-필라를 삭제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B-필라가 없는 차량에서 프론트 도어의 개폐를 원활히 컨트롤할 수 있는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에 따라, 프론트 도어의 내측 상단에 마련되어 상단 스트라이커에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되는 상단 래치 유닛과; 상기 프론트 도어의 내측 하단에 마련되어 하단 스트라이커에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되는 하단 래치 유닛과; 상기 프론트 도어의 내측에 마련되며, 세이프티 노브와 키의 언락(unlock) 또는 락(lock) 모드에 따라 상기 상단 래치 유닛 및 상기 하단 래치 유닛이 상기 상단 스트라이커 및 상기 하단 스트라이커와 각각 걸림 해제 또는 걸림 유지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프론트 도어의 내측에 마운팅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제1 레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인사이드 핸들 및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결되어 상기 인사이드 핸들과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 레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핸들 레버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상기 핸들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1 레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상단 래치 유닛 및 상기 하단 래치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상단 래치 유닛 및 상기 하단 래치 유닛이 각각 상기 상단 스트라이커 및 상기 하단 스트라이커와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작동되는 릴리즈 레버와; 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언락(unlock) 모드인 경우 상기 핸들 레버 및 상기 릴리즈 레버가 서로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핸들 레버 및 상기 릴리즈 레버를 연결하고, 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락(lock) 모드인 경우 상기 핸들 레버 및 상기 릴리즈 레버가 서로 연동되지 않도록 상기 핸들 레버 및 상기 릴리즈 레버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속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단속부는 상기 릴리즈 레버에 형성된 슬롯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언락(unlock) 모드인 경우 상기 핸들 레버와 걸림 유지되고, 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락(lock) 모드인 경우 상기 슬롯을 따라 윗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핸들 레버와 걸림 해제되는 단속 부재와; 일단이 세이프티 노브의 신호를 받는 액츄에이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단속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장착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제2 레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단속 부재를 상기 슬롯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세이프티 노브 레버와; 일단이 키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키 로드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단속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장착되며, 키의 작동에 의해 제3 레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단속 부재를 상기 슬롯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키 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단속 부재는 상기 세이프티 노브 레버와 일체로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롯과 상기 키 레버에 형성된 곡선홈을 따라 안내되는 돌기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이프티 노브 레버에는 상기 세이프티 노브가 수동으로 언락(unlock) 또는 락(lock) 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세이프티 노브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세이프티 노브 케이블이 연결된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상단 래치 유닛은 프론트 도어의 내측에 캐치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단 스트라이커에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캐치와; 상기 릴리즈 레버와 상단 래치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단 작동 레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단 작동 레버와; 상기 상단 작동 레버 및 상기 캐치와 연동되어 상기 상단 작동 레버의 회전력이 상기 캐치에 전달되도록 폴축(PAWL SHAFT)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폴(PAWL)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B-필라가 없어 차실의 개방 공간이 확대되므로 상품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세이프티 노브와 키의 언락(unlock) 또는 락(lock) 모드에 따라 상단 래치 유닛과 하단 래치 유닛이 동시에 컨드롤되어 프론트 도어가 원활히 개폐될 수 있는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락킹 장치가 프론트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세이프티 노브 및 키가 언락(unlock) 모드인 경우 구동 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 및 도 3의 단속 부재에 의해 핸들 레버와 릴리즈 레버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2 및 도 3 상태에서 인사이드 핸들 또는 아웃사이드 핸들이 작동되는 경우 핸들 레버와 릴리즈 레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세이프티 노브가 락(lock) 모드인 경우 단속 부재가 슬롯을 따라 윗방향으로 이동되어 핸들 레버와 릴리즈 레버의 연결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은 도 1의 상단 래치 유닛이 상단 스트라이커에 걸림 유지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 및 도 11는 세이프티 노브 및 키가 언락(unlock) 모드인 경우 인사이드 핸들 또는 아웃사이드 핸들의 작동에 따라 상단 래치 유닛이 상단 스트라이커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하단 래치 유닛이 하단 스트라이커에 걸림 유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 및 도 15은 세이프티 노브 및 키가 언락(unlock) 모드인 경우 인사이드 핸들 또는 아웃사이드 핸들의 작동에 따라 하단 래치 유닛이 하단 스트라이커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락킹 장치는 B-필라가 없는 차량에 적용되어 프론트 도어의 상단 및 하단을 동시에 컨트롤함으로써, 승객이 프론트 도어를 원활히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락킹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도어(5)의 내측 상단에 마련된 상단 래치 유닛(10)과, 프론트 도어(5)의 내측 하단에 마련된 하단 래치 유닛(20)과, 프론트 도어(5)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단 래치 유닛(10)과 하단 래치 유닛(20)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50)으로 구성된다.
상단 래치 유닛(10)은 구동 유닛(50)의 구동에 의해 상단 스트라이커(15)에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되고, 하단 래치 유닛(20)은 구동 유닛(50)의 구동에 의해 상단 래치 유닛(10)과 동시에 작동하여 하단 스트라이커(16)에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된다.
이 때, 상단 래치 유닛(10)과 하단 래치 유닛(20)은 구동 유닛(50)에 의해 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언락(unlock) 모드인 경우에만 걸림 해제되고, 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락(lock) 모드인 경우에는 걸림 유지되도록 컨트롤됨으로써 승객의 안전이 보장된다. 한편, 상단 래치 유닛(10)과 하단 래치 유닛(20)은 프론트 도어(5)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프론트 도어(5)가 안정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먼저, 구동 유닛(5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겠다.
구동 유닛(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도어(5)의 내측에 마운팅되는 베이스 플레이트(51)와, 베이스 플레이트(51)의 일측에 장착된 핸들 레버(52)와, 베이스 플레이트(51)의 타측에 장착된 릴리즈 레버(53)와, 핸들 레버(52)와 릴리즈 레버(53)의 연결을 유지 또는 차단하기 위한 단속부로 구성된다.
핸들 레버(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51)의 일측에 제1 레버축(5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단이 인사이드 핸들과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52b)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단이 아웃사이드 핸들과 아웃사이드 핸들 로드(52c)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가 인사이드 핸들을 작동시키면 이와 연결되어 있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52b)이 핸들 레버(52)를 P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핸들 레버(52)가 제1 레버축(52a)을 중심으로 R 방향으로 회전되고,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핸들을 작동시키면 이와 연결되어 있던 아웃사이드 핸들 로드(52c)가 핸들 레버(52)를 Q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핸들 레버(52)가 제1 레버축(52a)을 중심으로 R 방향으로 회전된다.
릴리즈 레버(5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51)의 타측에 제1 레버축(5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단이 상단 래치 유닛(10)과 상단 래치 케이블(53b)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단이 하단 래치 유닛(20)과 하단 래치 케이블(53c)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릴리즈 레버(53)는 단속부의 작동에 의해 핸들 레버(52)와 연동하여 회전되기도 하고, 핸들 레버(52)와의 연결이 차단되어 핸들 레버(52)와 함께 회전되지 않기도 하다.
즉, 단속부의 후술할 단속 부재(55)가 도 2 및 도 3과 같이 슬롯(53a)의 아래 부분에 위치해 있는 경우(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언락(unlock) 모드인 경우) 핸들 레버(52)가 R 방향으로 회전되면(도 5 참조), 핸들 레버(52)가 단속 부재(55)를 R 방향으로 밀게 되고 그 결과 단속 부재(55)가 릴리즈 레버(53)를 S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도 6 참조). 한편, 단속부의 후술할 단속 부재(55)가 도 7 및 도 8과 같이 슬롯(53a)의 윗 부분에 위치해 있는 경우(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락(lock) 모드인 경우) 핸들 레버(52)가 R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단속 부재(55)에 힘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릴리즈 레버(53)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언락(unlock) 모드인 경우에는 핸들 레버(52)의 회전력이 릴리즈 레버(53)에 전달되어 릴리즈 레버(53)에 연결되어 있던 상단 래치 유닛(10) 및 하단 래치 유닛(20)이 각각 상단 스트라이커(15) 및 하단 스트라이커(16)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프론트 도어(5)가 개방될 수 있고, 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락(lock) 모드인 경우에는 핸들 레버(52)의 회전력이 릴리즈 레버(53)에 전달되지 않아 릴리즈 레버(53)가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상단 래치 유닛(10) 및 하단 래치 유닛(20)이 각각 상단 스트라이커(15) 및 하단 스트라이커(16)로부터 걸림 해제되지 않아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릴리즈 레버(53)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슬롯(53a)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슬롯(53a)에 단속부를 구성하는 후술할 단속 부재(5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단속부는 크게 슬롯(53a)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단속 부재(55)와, 세이프티 노브의 신호에 따라 단속 부재(55)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세이프티 노브 레버(56)와, 키의 신호에 따라 단속 부재(55)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키 레버(57)로 구성된다.
단속 부재(5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이프티 노브 레버(56)와 일체로 결합되는 몸체(55a)와, 몸체(55a)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슬롯(53a)과 키 레버(57)에 형성된 곡선홈(57c)을 따라 안내되는 돌기(55b)로 구성된다.
세이프티 노브 레버(56)는 베이스 플레이트(51)의 타측에 제2 레버축(56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일단이 세이프티 노브의 신호를 받는 액츄에이터(59)와 연결되고 타단이 단속 부재(55)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액츄에이터(59)는 세이프티 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세이프티 노브의 신호가 락(lock) 상태인 경우에는 단속 부재(55)를 도 8과 같이 윗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핸들 레버(52)와 릴리즈 레버(53)의 연결을 차단하고, 세이프티 노브의 신호가 언락(unlock) 상태인 경우에는 단속 부재(55)를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핸들 레버(52)와 릴리즈 레버(53)를 연결하여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 이를 위해, 세이프티 노브 레버(56)와 액츄에이터(59) 사이에는 액츄에이터 레버(5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액츄에이터(59)의 회전력이 액츄에이터 레버(58)를 통해 세이프티 노브 레버(56)로 전달되고, 그 결과 세이프티 노브 레버(56)가 T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이와 연결되어 있던 단속 부재(55)가 A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핸들 레버(52)와 릴리즈 레버(53)의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도 8 참조).
한편, 세이프티 노브 레버(56)에는 세이프티 노브가 수동으로 언락(unlock) 또는 락(lock) 모드로 작동될 때 세이프티 노브 레버(56)를 회전시키기 위한 세이프티 노브 케이블(56b)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가 세이프티 노브를 수동으로 언락(unlock) 모드로 작동시키면, 이와 연결되어 있던 세이프티 노브 케이블(56b)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방향으로 당겨져 세이프티 노브 레버(56)가 T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단속 부재(55)가 아래 방향으로 슬롯(53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또한, 세이프티 노브를 수동으로 락(lock) 모드로 작동시키면, 세이프티 노브 케이블(56b)과 세이프티 노브 레버(56)가 상기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단속 부재(55)가 윗 방향(A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키 레버(57)는 베이스 플레이트(51)의 일측에 제3 레버축(57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일단이 키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키 로드(57b)와 연결되고 타단이 단속 부재(55)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 키 레버(57)의 타단에는 단속 부재(55)의 돌기(55b)가 끼워져 안내되기 위한 곡선홈(57c)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키가 언락(lock) 모드인 경우 키 레버(57)는 도 2와 같은 상태인데, 키가 락(lock) 모드인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키 로드(57b)가 C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키 레버(57)가 제3 레버축(57a)을 중심으로 M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곡선홈(57c)에 끼워져 있던 단속 부재(55)의 돌기(55b)가 곡선홈(57c)을 따라 안내되면서 슬롯(53a)을 따라 윗 방향(A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여기서, 도 8는 세이프티 노브가 락(lock) 모드일 경우의 도면이면서, 키가 락(lock) 모드일 경우의 도면이기도 하다.
상단 래치 유닛(10)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도어(5)의 상단 내측에 장착되는 플레이트(11)와, 캐치축(1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단 스트라이커(15)와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되는 캐치(12)와, 릴리즈 레버(53)와 상단 래치 케이블(53b)로 연결된 상단 작동 레버(13)와, 캐치(12)와 상단 작동 레버(13)와 연동되며 폴축(pawl shaft, 14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폴(pawl, 14)로 구성된다.
캐치(12)는 플레이트(11)에 고정된 캐치축(12a)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일측에는 상단 스트라이커(15)와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되는 걸림홈(12c)이 형성되어 있다.
폴(14)은 캐치(12)의 하측에 배치되어 폴축(14a)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일측에는 캐치(12)의 캐치암(12b)과 접촉하는 제1 암(14b)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단 작동 레버(13)와 접촉하는 제2 암(14c)이 형성되어 있다.
상단 작동 레버(13)는 폴(14)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단 작동 레버축(13a)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구동 유닛(50)의 릴리즈 레버(53)에 일단이 연결된 상단 래치 케이블(53b)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상단 래치 유닛(10)의 작동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론트 도어(5)가 폐쇄된 경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12)의 걸림홈(12c)이 상단 스트라이커(15)에 걸림 유지되어 있다.
그 후, 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언락(unlock) 상태일 때, 사용자가 인사이드 핸들이나 아웃사이드 핸들을 작동시켜 릴리즈 레버(53)가 연동하여 회전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래치 케이블(53b)가 상단 작동 레버(13)를 아랫 방향으로 당겨 상단 작동 레버(13)가 폴(14)의 제2 암(14c)을 밀어 폴(14)이 폴축(14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캐치(12)는 도 11과 같이 캐치축(12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걸림홈(12c)이 상단 스트라이커(15)로부터 걸림 해제됨으로써 프론트 도어(5)가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락(lock) 상태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사이드 핸들이나 아웃사이드 핸들을 작동시키더라도 릴리즈 레버(53)가 핸들 레버(52)와 연동하여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도 9과 같이 캐치(12)가 상단 스트라이커(15)로부터 걸림 해제되지 않아 프론트 도어(5)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하단 래치 유닛(20)은,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도어(5)의 하단 내측에 장착되는 플레이트(21)와, 캐치축(2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단 스트라이커(16)와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되는 캐치(22)와, 릴리즈 레버(53)와 하단 래치 케이블(53c)로 연결된 제1 작동 레버(23)와, 제1 작동 레버(23)와 연동되는 제2 작동 레버(24)와, 제2 작동 레버(24)와 캐치(22) 사이에서 폴축(pawl shaft, 25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폴(pawl, 25)로 구성된다.
캐치(22)는 플레이트(21)의 일측에 고정된 캐치축(22a)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일측에는 하단 스트라이커(16)와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되는 걸림홈(22c)이 형성되어 있다.
폴(25)은 캐치(22)의 하측에 배치되어 폴축(25a)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일측에는 캐치(22)의 캐치암(22b)과 접촉하는 폴암(25b)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2 작동 레버(24)와 연결되는 연결 돌기(25c)가 플레이트(21)의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 작동 레버(23)는 플레이트(21)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1 작동 레버축(23a)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구동 유닛(50)의 릴리즈 레버(53)에 일단이 연결된 하단 래치 케이블(53c)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작동 레버(23)의 하단에는 후술할 제2 날개(24b)와 접촉되는 제1 날개(23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2 작동 레버(24)는 플레이트(21)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2 작동 레버축(24a)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일측에는 제1 날개(23b)와 접촉되는 제2 날개(24b)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폴(25)의 연결 돌기(25c)가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연결홈(24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하단 래치 유닛(20)의 작동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론트 도어(5)가 폐쇄된 경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22)의 걸림홈(22c)이 하단 스트라이커(16)에 걸림 유지되어 있다. 이 때, 도 13은 도 12 상태의 플레이트(21)의 타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 후, 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언락(unlock) 상태일 때, 사용자가 인사이드 핸들이나 아웃사이드 핸들을 작동시켜 릴리즈 레버(53)가 연동하여 회전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래치 케이블(53c)가 제1 작동 레버(23)를 당겨 제1 작동 레버(23)의 제1 날개(23b)가 제2 작동 레버(24)의 제2 날개(24b)를 밀어 올림으로써 제2 날개(24b)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제2 작동 레버(24)와 연결되어 있던 폴(25)이 도 15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폴암(25b)이 캐치(22)를 회전시켜 하단 스트라이커(16)가 캐치(22)의 걸림홈(22c)으로부터 걸림 해제됨으로써 프론트 도어(5)가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락(lock) 상태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사이드 핸들이나 아웃사이드 핸들을 작동시키더라도 릴리즈 레버(53)가 핸들 레버(52)와 연동하여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캐치(22)가 하단 스트라이커(16)로부터 걸림 해제되지 않아 프론트 도어(5)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B-필라가 없어 차실의 개방 공간이 확대되므로 상품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세이프티 노브와 키의 언락(unlock) 또는 락(lock) 모드에 따라 상단 래치 유닛(10)과 하단 래치 유닛(20)이 동시에 컨트롤되어 프론트 도어(5)가 원활히 개폐될 수 있다.
10 : 상단 래치 유닛 20 : 하단 래치 유닛
50 : 구동 유닛 51 : 베이스 플레이트
52 : 핸들 레버 53: 릴리즈 레버
55 : 단속 부재 56 : 세이프티 노브 레버
57 : 키 레버 58 : 액츄에이터 레버
59 : 액츄에이터

Claims (6)

  1. 프론트 도어의 내측 상단에 마련되어 상단 스트라이커에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되는 상단 래치 유닛과;
    상기 프론트 도어의 내측 하단에 마련되어 하단 스트라이커에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되는 하단 래치 유닛과;
    상기 프론트 도어의 내측에 마련되며, 세이프티 노브와 키의 언락(unlock) 또는 락(lock) 모드에 따라 상기 상단 래치 유닛 및 상기 하단 래치 유닛이 상기 상단 스트라이커 및 상기 하단 스트라이커와 각각 걸림 해제 또는 걸림 유지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프론트 도어의 내측에 마운팅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제1 레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인사이드 핸들 및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결되어 상기 인사이드 핸들과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 레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핸들 레버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상기 핸들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1 레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상단 래치 유닛 및 상기 하단 래치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상단 래치 유닛 및 상기 하단 래치 유닛이 각각 상기 상단 스트라이커 및 상기 하단 스트라이커와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작동되는 릴리즈 레버와;
    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언락(unlock) 모드인 경우 상기 핸들 레버 및 상기 릴리즈 레버가 서로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핸들 레버 및 상기 릴리즈 레버를 연결하고, 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락(lock) 모드인 경우 상기 핸들 레버 및 상기 릴리즈 레버가 서로 연동되지 않도록 상기 핸들 레버 및 상기 릴리즈 레버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상기 릴리즈 레버에 형성된 슬롯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언락(unlock) 모드인 경우 상기 핸들 레버와 걸림 유지되고, 세이프티 노브와 키가 락(lock) 모드인 경우 상기 슬롯을 따라 윗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핸들 레버와 걸림 해제되는 단속 부재와;
    일단이 세이프티 노브의 신호를 받는 액츄에이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단속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장착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제2 레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단속 부재를 상기 슬롯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세이프티 노브 레버와;
    일단이 키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키 로드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단속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장착되며, 키의 작동에 의해 제3 레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단속 부재를 상기 슬롯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키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속 부재는 상기 세이프티 노브 레버와 일체로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롯과 상기 키 레버에 형성된 곡선홈을 따라 안내되는 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노브 레버에는 상기 세이프티 노브가 수동으로 언락(unlock) 또는 락(lock) 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세이프티 노브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세이프티 노브 케이블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단 래치 유닛은
    프론트 도어의 내측에 캐치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단 스트라이커에 걸림 유지 또는 걸림 해제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캐치와;
    상기 릴리즈 레버와 상단 래치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단 작동 레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단 작동 레버와;
    상기 상단 작동 레버 및 상기 캐치와 연동되어 상기 상단 작동 레버의 회전력이 상기 캐치에 전달되도록 폴축(PAWL SHAFT)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폴(PAW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
KR1020100058051A 2010-06-18 2010-06-18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 KR101199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051A KR101199223B1 (ko) 2010-06-18 2010-06-18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051A KR101199223B1 (ko) 2010-06-18 2010-06-18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992A true KR20110137992A (ko) 2011-12-26
KR101199223B1 KR101199223B1 (ko) 2012-11-07

Family

ID=45504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051A KR101199223B1 (ko) 2010-06-18 2010-06-18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2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505B1 (ko) * 2012-10-08 2014-05-14 대동도어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
US20210237804A1 (en) * 2020-02-05 2021-08-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ood latch release system and method
CN115288533A (zh) * 2022-09-02 2022-11-0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车门锁系统和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4338B2 (en) 2018-03-26 2023-06-13 Magna Closures Inc. Automotive door latch with power opening feature
KR20200145971A (ko) 2019-06-21 2020-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의 개폐 순서 제약이 없는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8870B2 (ja) * 2007-07-27 2010-04-1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の中継操作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505B1 (ko) * 2012-10-08 2014-05-14 대동도어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
US20210237804A1 (en) * 2020-02-05 2021-08-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ood latch release system and method
US11801900B2 (en) * 2020-02-05 2023-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ood latch release system and method
CN115288533A (zh) * 2022-09-02 2022-11-0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车门锁系统和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9223B1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4945B2 (en) Door latch assembly for motor vehicles
KR101199223B1 (ko) B-필라리스 차량용 프론트 도어의 락킹 장치
KR10138275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KR20160049686A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JP2017193943A (ja) 車両用シンチングラッチ組立体
US9650816B2 (en) Vehicle sliding door locking system and latch assembly
KR10115430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US10745948B2 (en) Vehicular closure latch assembly having double pawl latch mechanism
US10597907B2 (en) Vehicle door operating device
US20070138813A1 (en) Hold-open lock structure of sliding door
CN112918228A (zh) 车门打开和关闭装置
JP6239277B2 (ja) スライディングドア用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KR100747227B1 (ko) 자동차의 도어아웃사이드 핸들
JP2009191591A (ja) ドアのロック装置
US20110304162A1 (en) Vehicle latch with pendulum stop on release lever
KR101273515B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 랫치 어셈블리
US8438784B1 (en) Automated vehicle cargo door opener
US20170342751A1 (en) Opening control device
JP7404016B2 (ja) ドアの開閉順序の制約がないロック装置{locking device without any restrictions on the opening and closing order of doors}
JP6837507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10137125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CN112840093B (zh) 车辆用车门的操作杆装置
JP2000291323A (ja) 引上げ開放式窓の構造
KR1026343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EP3299558B1 (en) Liftgate l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