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704A - 손잡이를 갖는 병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손잡이를 갖는 병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704A
KR20110136704A KR1020110053531A KR20110053531A KR20110136704A KR 20110136704 A KR20110136704 A KR 20110136704A KR 1020110053531 A KR1020110053531 A KR 1020110053531A KR 20110053531 A KR20110053531 A KR 20110053531A KR 20110136704 A KR20110136704 A KR 20110136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handle
molding
neck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3597B1 (ko
Inventor
남중희
Original Assignee
남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중희 filed Critical 남중희
Publication of KR2011013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65D23/104Handles formed separately
    • B65D23/106Handles formed separately the gripping region of the handle extending between the neck and the base of the bottle or jar and being located in a radial plane comprising the axis of the bottle or j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18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several blow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21Inser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ype
    • B29C2049/2034Attachments, e.g. hooks to hold or hang the blown article
    • B29C2049/2039Handles, e.g. handles or grips on 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를 갖는 병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 성형을 통해 프리폼에 손잡이, 또는 손잡이가 연결되는 연결돌기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를 블로잉하여 제작되는 병몸체에 손잡이와 결합되는 연결돌기, 또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병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잡이를 갖는 병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bottl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ottles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손잡이를 갖는 병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 성형을 통해 프리폼에 손잡이, 또는 손잡이가 연결되는 연결돌기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를 블로잉하여 제작되는 병몸체에 손잡이와 결합되는 연결돌기, 또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병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병을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사출 중공성형(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법이 적용되는데, 이 사출 중공성형법은 프리폼(preform)이라 불리는 적당한 온도의 수지 파이프(시험관 형상)를 압출법이나 사출법에 의해 미리 성형하여, 이것을 블로잉 금형 내에 삽입한 후 그 안에 고압의 공기를 불어 넣어 팽창시키는 것으로, 통상 블로잉 성형이라 일컫어진다.
그리고, 종래 블로잉 성형을 통해 제조된 병은, 손잡이가 형성되지 아니한 관계로 추후 블라잉 성형을 통해 병몸체를 성형하고, 이 병몸체의 목부위에 손잡이의 고정링을 강제 압입하는 형태로 병몸체에 손잡이를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손잡이는 병몸체의 목부위에 압입을 통해 고정되는 관계로, 블로잉 성형과정에 병몸체의 형상이 불량해지면, 손잡이의 고정링과 병몸체의 목부위 사이의 안정된 결합상태가 형성되지 아니하여, 운반이나 사용과정 중에 손잡이가 병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과 손잡이는 상호 다른 재질로 제작되는 관계로, 추후 회수를 통한 재활용 과정 중에, 재질이 상호 다른 병과 이 병에 압입을 통해 고정된 손잡이를 별도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상기 병몸체와 손잡이는 강제 압입을 통해 결합된 관계로, 칼 등의 별도의 취구를 이용하여 손잡이를 절단하여야 하므로, 분리가 번거롭고 또 손잡이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 성형을 통해 프리폼에 손잡이, 또는 손잡이가 연결되는 연결돌기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를 블로잉하여 제작되는 병몸체에 손잡이와 결합되는 연결돌기, 또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병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갖는 병은,
목부위에 하나 이상의 연결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병몸체와; 연결돌기에 상단을 압입시켜 병몸체의 목부위에 고정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호 압입되는 연결돌기와 손잡이의 상단 사이에는 걸림턱과 이 걸림턱에 견착되는 탄성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탄성 견착구조가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돌기에 상단이 압입된 손잡이의 상단은 연결돌기에 탄성 견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병의 제조방법은,
병 성형홈과 보조 성형홈이 상호 연통하는 사출 성형부의 성형공간에 압출기가 용융물을 주입시켜, 목부위에 하나 이상의 손잡이, 또는 하나 이상의 연결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프리폼을 성형하는 사출 성형공정과;
상기 프리폼을 블로잉 성형부의 성형공간에 수용시킨 다음, 고압의 압축공기를 주입시켜, 목부위에 손잡이, 또는 손잡이가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병을 성형하는 블로잉 성형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병 제조장치는,
클램프를 갖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정각으로 배치되는 사출 성형부와 블로잉 성형부 및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병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부는, 병성형홈와 보조 성형홈이 상호 연통하는 성형공간을 가지며 상하 승강구조로 설치되는 하형과; 상기 하형의 상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하형의 병성형홈 내로 코어를 진입시켜 성형공간을 폐쇄하는 상형; 및 상기 성형공간 내로 용융물을 주입하는 압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병몸체에 하나 이상의 손잡이, 또는 손잡이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프리폼을 성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병의 목부위에 손잡이, 또는 손잡이가 연결되는 연결돌기를 형성한 병과,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 또는 손잡이를 연결하는 연결돌기를 프리폼의 성형과정에 성형하는 관계로, 손잡이, 또는 연결돌기는 향상된 형태 안정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병은, 종래 블로잉 성형된 병에 손잡이의 환형링을 압입시켜 고정하는 형태의 병에 대비하여 향상된 품질 안정성과 내구성을 갖게 되며, 또 프리폼에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하면 제품의 재활용 과정에 이들 병에서 손잡이를 분리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호 압입되는 손잡이의 상단과 연결돌기는 탄성 견착구조를 통해 안정되게 고정되고, 또 연결돌기와의 압입을 통해 고정된 손잡이의 상단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각각 지지편과 지지턱에 의해 지지되므로, 손잡이를 협지하여 병을 드는 과정에 병의 하중에 의해 손잡이와 연결돌기 사이의 결합상태가 해체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돌기를 통해 병의 일지점에 상단이 고정된 손잡이의 하단은, 병몸체에 형성된 견착홈에 견착하여 고정되어, 손잡이는 병에 2점 고정상태를 형성하므로, 병의 이동을 포함하는 사용과정 중에 손잡이가 휘거나, 고정부위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병 제조장치는 턴테이블 구조로 이루어져 병몸체에 연결돌기, 또는 손잡이가 형성된 병을 연속적이고 순차적인 제조할 수 있어, 향상된 생산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병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제조장치를 통한 병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병 제조방법, 및 장치를 통해 제작되는 프리폼과, 이를 통해 성형되는 병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3은 손잡이를 일체로 성형한 병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와 도 5는 목부위에 가이드를 형성하여 별도 제작된 손잡이를 조립하여 구성된 형태를 각각 보여주고 있으며,
도 6은 상기 도 4b와 도 5b의 'A'부분의 평면구조와, 정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손잡이를 갖는 병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병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제조장치를 통한 병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병 제조방법, 및 장치를 통해 제작되는 프리폼과, 이를 통해 성형되는 병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3은 손잡이를 일체로 성형한 병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와 도 5는 목부위에 가이드를 형성하여 별도 제작된 손잡이를 조립하여 구성된 형태를 각각 보여주고 있으며, 도 6은 상기 도 4b와 도 5b의 'A'부분의 평면구조와, 정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병 제조방법, 및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단계에서 프리폼(110, 110')을 성형한 다음, 블로잉 성형공정을 통해 프리폼(110)을 가압 팽창시킨 형태의 병(120, 120')을 성형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출 성형공정에서 프리폼을 성형함에 있어, 목부위(111)에 손잡이(113), 또는 손잡이(113')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돌기(112)를 프리폼(110, 110')에 일체로 형성하여, 추후 블로잉 성형공정을 마친 병(120, 120')의 목부위(111)에 손잡이(113)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 제작된 손잡이(113')가 조립을 통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병의 제조방법은, 기본적으로 병 성형홈(21a)과 보조 성형홈(21b)이 상호 연통하는 성형공간(S)을 갖는 사출 성형부(20)에, 압출기(23)가 용융물(P)을 주입시켜, 목부위(111)에 손잡이(113), 또는 별도 제작된 손잡이(113')가 연결되는 연결돌기(112)가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프리폼(110, 110')을 성형하는 사출 성형공정과;
상기 프리폼(110, 110')을 블로잉 성형부(30)의 블로잉 성형금형(31)을 구성하는 분할몸체(31a,31b)의 성형공간(S')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개방된 목부위(111)를 통해 고압의 압축공기를 주입시켜, 프리폼(110, 110')의 가압 팽창시키는 블로잉 성형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리폼(110)을 구성하는 용융물은,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로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널리 알려진 PET 수지가 채택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 등 다양한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가 채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조방법은 턴테이블(10)을 통해 정각 회전하면서 목부위(111)에 연결돌기(112), 또는 손잡이(113)가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프리폼(110, 110')을 성형하는 사출 성형공정과; 프리폼(110, 110')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여, 목부위(111)에 연결돌기(112), 또는 손잡이(113)가 일체로 형성된 병(120)을 성형하는 블로잉 성형공정; 및 상기 성형된 병(120)을 배출하는 배출공정을 순차 구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병 제조장치(1)를 통해 이룩될 수 있다.
상기 병 제조장치(1)는,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각 회전하는 턴테이블(10) 상에 목부위(111)에 손잡이(113), 또는 별도 제작된 연결돌기(112)가 일체로 형성된 프로폼(110, 110')을 성형하는 사출 성형부(20)와; 상기 프리폼(110, 110')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시켜 목부위(111)의 하부를 가압 팽창시킨 병(120, 120)을 성형하는 블로잉 성형부(30); 및 상기 블로잉 성형부(30)를 통해 성형된 병(120, 120')을 턴테이블(10)에서 배출하는 배출부(40)가 정각으로 배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턴테이블(10)에는 클램프(12)가 형성된 복수의 승강공(11)이 방사구조로 배치되어, 사출 성형부(20)에서 클램프(12)를 통해 목부위(111)가 협지된 상태의 프로폼(110, 110')이 성형되고, 이 프로폼(110, 110')은 턴테이블(10)의 정각 회전에 의해 블로잉 성형부(30)로 투입되어 목부위(111)의 하부가 가압 팽창되어진 병(120, 120')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블로잉 성형부(30)를 통한 프리폼(110)의 블로잉 성형공정에서는, 목부위(111), 및 이 목부위(111)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113), 또는 연결돌기(112)는 가압 팽창하지 아니하고, 목부위(111)의 하부만 가압 팽창된 형상의 병몸체를 갖는 병(20, 20')이 성형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출 성형부(20)를 개량하여,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부(20)를 통한 사출 성형공정을 통해 추후 블로잉 가공을 통해 병(120, 120')으로 성형되는 프로폼(110, 110')의 목부위(111)에, 손잡이(113) 또는 손잡이(113')가 결합되는 연결돌기(11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구현하는 사출 성형부(20)는, 도 1과 도 2a와 같이 병성형홈(21a)과 보조 성형홈(21b)이 상호 연통하는 성형공간(S)을 가지며 상하 승강구조로 설치되는 하형(21)과, 상기 하형(21)의 상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하강을 통해 상승된 하형의 병성형홈(21a) 내로 코어(22a)를 진입시켜 개방된 성형공간(S)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형(22); 및 상기 성형공간(S) 내로 용융물을 주입하는 압출기(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사출 성형부(20)의 성형공간(S)에 병 성형홈(21a)과 연통하는 보조 성형홈(21b)을 형성하면, 도 2b, 도 3a, 도 4a, 도 5a와 같이 병 성형홈(21a)에서 주입된 용융물(P)이 경화된 프리폼(110, 110')의 목부위(111)에, 보조 성형홈(21b)에서 주입된 용융물(P)이 경화된 연결돌기(112), 또는 손잡이(113)가 일체로 형성된 프리폼(110, 110')을 수득할 수 있다.
즉, 하형(21)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형(22)이 턴테이블(10)의 승강공(11)을 관통하여 개방된 성형공간(S)의 상부를 폐쇄한 다음, 압출기(23)가 용융된 용융물(P)을 병성형홈(21a)과 보조 성형홈(21b)으로 이루어진 하형(21)의 성형공간(S) 내로 주입하면, 성형공간(S)에는 목부위(111)에 연결돌기(112), 또는 손잡이(113)가 일체로 형성된 프리폼(110, 110')이 성형된다.
이때, 상기 병 성형홈(21a)에서 성형된 프리폼(110, 110')은 상형(22)에 형성된 코어(22a)의 진입에 의해 인서트 성형이 이루어진 관계로 상부가 개방된 중공구조를 이루고, 이 프리폼(110, 110')의 목부위(111)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돌기(112), 또는 손잡이(113)는 내부가 꽉찬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목부위(111)에 연결돌기(112), 또는 손잡이(113)가 일체로 형성한 프리폼(110, 11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턴테이블(10)의 승강공(11)에 형성된 클램프(12)를 통해 협지된 상태에서 턴테이블(10)의 정각 회전으로 블로잉 성형부(30)에 투입되어 병(120, 120')으로 블로잉 성형된다.
상기 블로잉 성형부(30)는, 도 1과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분할몸체(31)로 이루어져 상호 간의 조합을 통해 프리폼(110, 110') 보다 상대적으로 큰 성형공간(S')을 형성하는 블로잉 금형(31)과; 상기 블로잉 금형(31)의 성형공간(S')에 수용된 프리폼(110, 110')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부재(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블로잉 성형부(30)의 성형공간(S')에 수용된 프리폼(110, 110')은, 공기 주입부재(32)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목부위(111)의 하부가 블로잉 금형(31)에 형성된 성형공간(S')의 내부형상으로 팽창되어서, 목부위(111)에 손잡이(113) 또는 연결돌기(112)가 일체로 형성된 병(120, 120')으로 성형된다.
즉, 턴테이블(10)의 정각 회전에 의해 분리된 분할몸체(31a) 사이로 프로폼(110, 110')이 진입되면, 분할몸체(31a)는 상호 조합되어 프로폼(110, 110')을 수용하고, 이 상태에서 공기 주입부재(32)가 개방된 프로폼(110, 110')의 목부위(111)를 통해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면, 성형공간(S') 내에 수용된 프리폼(110, 110')은 성형공간(S')의 형상대로 가압 팽창하여 병(120, 120')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잉 성형부(30)에서 클램프(12)에 의해 목부위(111)가 협지된 상태로 성형된 병(120, 120')은, 클램프(12)를 통해 협지된 상태로 배출부(40)로 이동한 다음 자중 낙하하여 배출된다.
상기 클램프(12)는, 도 1과 도 2e 및 도 2f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램퍼 부재(12a, 12b)가 스프링(12c)의 탄발력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져, 승강공(11)을 관통하는 프리폼(110, 110')의 목부위(111), 또는 성형된 병(120, 120')의 목부위(111)를 협지하도록 구성된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40)에는 병(120, 120')의 목부위(111)를 협지한 클램퍼 부재(12a, 12b) 사이로 진입하여 클램퍼 부재(12a, 12b) 사이를 외측으로 벌리는 배출부재(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블로잉 성형부(30)에서 성형을 마친 병(120, 120')은 클램프(12)를 통해 목부위(111)가 협지된 상태로 배출부(40)로 이동하고, 배출부(40)에서는 배출부재(41)를 클램프 부재(12a, 12b) 사이로 진입시켜 클램프(12)를 통한 병(120)의 협지상태를 해체한다.
그리하여, 클램프(12)를 통해 목부위(111)가 협지된 상태로 배출부(40)로 이동한 병(120, 120')은, 클램퍼 부재(12a, 12b) 사이로 진입하는 배출부재(41)에 의해 협지상태가 해체되어 하부로 자중 낙하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병 제조장치(1)는, 목부위(111)에 연결돌기(112), 또는 손잡이(113)가 일체로 형성된 프리폼(110, 110')을 성형하는 사출성형 공정과, 이 프리폼(110, 110')을 가압 팽창시킨 병(120, 120')을 성형하는 블로잉 성형 공정, 및 상기 블로잉 성형이 완료된 병(120, 120')을 배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공정을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113)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병의(120) 목부위(111)에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손잡이의 형상이 복잡하여 사출 성형부(20)에서 탈형이 어려운 경우,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리폼(110)의 목부위(111)에 연결돌기(112)를 일체로 형성한 다음 이 연결돌기(112)에 별도 제작된 손잡이(113')를 연결하여 손잡이(113')를 갖는 병(120)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병몸체(120a)의 목부위(111)에 연결돌기(112)를 형성하고, 이 연결돌기(112)를 통해 별도 성형된 손잡이(113')를 병(120')의 목부위(111)에 고정함에 있어, 상기 연결돌기(112)와 손잡이(113') 사이의 간소화된 탄성 견착구조를 형성하여 손잡이(113')가 목부위(111)에 형성된 연결돌기(112)에 보다 간편하고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 견착구조는, 도 4a와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병몸체(120a)의 목부위(111)에 형성된 연결돌기(112)와 손잡이(113)의 상단(113a) 사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탄성 걸림편(113a)과, 이 탄성 걸림편(113a)을 견착하는 걸림턱(112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13')의 상단(113a)을 병몸체(120a)의 연결돌기(112)에 압입하면, 손잡이(113')의 상단(113a)은 도 6a와 같이 탄성 걸림편(113a)과 걸림턱(112a)의 견착에 의해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 견착구조는 별도의 취구 없이도 작업자는 간편하게 병몸체(120a)의 연결돌기(112)에 손잡이(113')를 조립할 수 있어서, 손잡이(113')의 조립에 따른 편리가 도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돌기(112)에 선형의 리브(112b)들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손잡이(113')의 상단(113a)과 연결된 연결돌기(112)의 휨 발생을 억제하는 한편, 상기 연결돌기(112)의 상부와 하부에 지지편(114)과 지지턱(122)을 각각 돌출되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 6b와 같이 상기 연결돌기(112)에 압입하여 고정된 손잡이(113') 상단(113a)은 지지편(114)에 의해 상부면이 지지되고, 지지턱(122)에 의해 하부면이 지지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손잡이(113')를 통해 병(120')을 거상하는 과정에 병(120')이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쳐지거나, 연결돌기(112)와 손잡이(113') 사이의 고정상태가 손상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114)은, 통상 사출 성형부에서 구현되는 사출 성형공정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지지턱(122)은 블로잉 성형부에서 구현되는 블로잉 성형공정을 통해 형성되므로, 제작에 따른 공정의 추가가 발생되지 아니한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로잉 성형공정에서 병몸체(120a)의 일지점에 손잡이(113)의 하단(113b)이 견착되는 견착홈(121)을 요입되게 형성하여,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병몸체(120a)의 목부위(111)에 상단(113a)을 고정한 손잡이(113')의 하단(113b)이 견착홈(121a)을 통해 병(120)의 일지점에 견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견착홈(121)은, 상기 지지턱(122)과 마찬가지로 블로잉 성형금형(31)에 형성된 성형공간(S')의 내벽 형상의 변경을 통해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113')의 상단과 하단이 연결돌기(112)와의 압입, 및 견착홈(121)를 통해 각각 고정되면, 손잡이(113)를 파지하여 병(120, 120')을 이동시키는 등 사용하는 과정에 손잡이(113)의 비틀림이나 힘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외력이 연결돌기(112) 및 견착홈(121)에 분산되므로, 연결돌기(112)와 손잡이(113) 사이에 형성된 조립구조가 파손되거나 해체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어, 보다 안정된 내구성을 겸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병을 구성하는 병에 하나의 연결돌기, 또는 손잡이를 형성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이들 연결돌기, 또는 손잡이를 복수 형성하여 복수의 손잡이를 갖는 병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원의 기술적 범주로 예정하고 있다.
1. 병 제조장치
10. 턴테이블 11. 승강공
12. 클램프 12a, 12b. 클램프 부재
12c. 스프링
20. 사출 성형부 21. 하형
S. 성형공간 21a. 병 성형홈
21b. 보조 성형홈 22. 상형
22a. 코어 23. 압출기
30. 블로잉 성형부 31. 블로잉 성형금형
31a, 31b. 분할금형 S'. 성형공간
33. 공기 주입부재
40. 배출부 41. 배출부재
110, 110'. 프리폼 111. 목부위
112. 연결돌기 112a. 걸림턱
112b. 선형의 리브
113, 113'. 손잡이 113a. 상단
113a-a. 탄성 걸림편 113b. 하단
114. 지지편
120, 120'. 병 120a. 병몸체
121. 견착홈
122. 지지턱 P. 용융물

Claims (11)

  1. 목부위에 하나 이상의 연결돌기가 형성된 병몸체와; 연결돌기에 상단을 압입시켜 병몸체의 목부위에 고정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호 압입되는 연결돌기와 손잡이의 상단 사이에는 걸림턱과 이 걸림턱에 견착되는 탄성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탄성 견착구조가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돌기에 상단이 압입된 손잡이의 상단은 연결돌기에 탄성 견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를 갖는 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의 상부에는 지지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연결돌기에 압입된 손잡이 상단의 상부면은 지지편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를 갖는 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의 하부에는 지지턱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연결돌기에 압입된 손잡이 상단의 하부면은 지지턱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를 갖는 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에는 선형의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를 갖는 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몸체에는 연결돌기에 상단을 고정시킨 손잡이의 하단이 견착되는 견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를 갖는 병.
  6. 병 성형홈과 보조 성형홈이 상호 연통하는 사출 성형부의 성형공간에 압출기가 용융물을 주입시켜, 목부위에 하나 이상의 손잡이, 또는 하나 이상의 연결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프리폼을 성형하는 사출 성형공정과;
    상기 프리폼을 블로잉 성형부의 성형공간에 수용시킨 다음, 고압의 압축공기를 주입시켜, 목부위에 손잡이, 또는 손잡이가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병을 성형하는 블로잉 성형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위에 형성된 연결돌기와, 이 연결돌기에 압입되는 손잡이의 상단 사이에는 걸림턱과 이 걸림턱에 견착되는 탄성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탄성 견착구조가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돌기에 상단이 압입된 손잡이의 상단은 연결돌기에 탄성 견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 성형단계에서 병몸체에는 견착홈을 요입되게 형성하여, 이 견착홈에는 상부가 연결돌기를 통해 병몸체에 조립된 손잡이의 하단부가 견착되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단과 하단은 연결돌기의 조립과 견착홈과의 견착에 의해 이지점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공정에서 연결돌기의 상부에 지지편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연결돌기에 압입되는 손잡이 상단의 상부면이 지지편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병 제조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잉 성형단계에서 연결돌기의 하부에 지지턱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연결돌기에 압입되는 손잡이 상단의 하부면이 지지턱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병 제조방법.
  11. 클램프를 갖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정각으로 배치되는 사출 성형부와 블로잉 성형부 및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병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부는, 병성형홈와 보조 성형홈이 상호 연통하는 성형공간을 가지며 상하 승강구조로 설치되는 하형과; 상기 하형의 상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하형의 병성형홈 내로 코어를 진입시켜 성형공간을 폐쇄하는 상형; 및 상기 성형공간 내로 용융물을 주입하는 압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병몸체에 하나 이상의 손잡이, 또는 손잡이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프리폼을 성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제조장치.
KR1020110053531A 2010-06-14 2011-06-02 손잡이를 갖는 병 KR101273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5866 2010-06-14
KR1020100055866 2010-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704A true KR20110136704A (ko) 2011-12-21
KR101273597B1 KR101273597B1 (ko) 2013-06-11

Family

ID=4550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531A KR101273597B1 (ko) 2010-06-14 2011-06-02 손잡이를 갖는 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5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2582B2 (en) 2013-09-18 2015-09-15 Sung Kyu Park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synthetic resin vessel with integrated handle
KR101667207B1 (ko) * 2015-12-02 2016-10-18 (주)평안매직 Pet손잡이를 구비한 pet병 제조시스템
KR20200100916A (ko) 2019-02-19 2020-08-27 안희태 3상 교류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124Y1 (ko) * 1999-12-24 2000-05-15 한일프라콘주식회사 탄성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갖는 페트병
KR100650155B1 (ko) * 2003-12-19 2006-11-27 조자연 사출 중공성형법에 의한 손잡이부가 형성된 pet 병의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pet 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2582B2 (en) 2013-09-18 2015-09-15 Sung Kyu Park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synthetic resin vessel with integrated handle
KR101667207B1 (ko) * 2015-12-02 2016-10-18 (주)평안매직 Pet손잡이를 구비한 pet병 제조시스템
KR20200100916A (ko) 2019-02-19 2020-08-27 안희태 3상 교류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597B1 (ko)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48620A (zh) 用于成型设备的可收缩型芯组件
KR101273597B1 (ko) 손잡이를 갖는 병
US20060179784A1 (en) Integrally formed swivel hook
JP5088903B2 (ja) 後および前金型部分間のキャビティ内で成形されたレンズを取り外す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9990071518A (ko) 개선된 컨테이너.
US10737428B2 (en) Forming mold and injection mold
KR20000070509A (ko) 사출 연신 중공 성형법에 의해 제조되는 페인트 용기 등을 위한 확장개구형 용기
RU2239558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емкостей в виде тубы
US829316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mp shell
US20050048237A1 (en) PET bottle with integrated hand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96166B1 (ko) 광확산 폴리카보네이트용 브로아 타입의 사출금형과 사출방법
US20110020487A1 (en) Multi-cavity mold
JP2002036289A (ja) 中空状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30162B1 (ko) 조립식 용기를 위한 블로잉성형용 금형장치와 그에 따른 조립식 용기
JP5337577B2 (ja) 容器の製造方法及びブロー成形用金型
US7431577B2 (en) Di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re
KR101591952B1 (ko) 발포수지를 이용한 블로우 성형방법 및 그 장치
US10569923B2 (en) Wide mouth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0450744C (zh) 喷射成型的底切制品的模具及其制品
KR100778916B1 (ko) 합성수지 용기의 손잡이
JPH07148830A (ja) 吊具付き容器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101591447B1 (ko) 중공성형품의 사출 연신 중공성형방법
JPH0780920A (ja) 吊具付き容器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479182B1 (ko) 가스 저장용기 제조장치
CN116118067A (zh) 一种硫化内胆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