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5797A - 회생 제동 및 유압 제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회생 제동 및 유압 제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5797A
KR20110135797A KR1020110037665A KR20110037665A KR20110135797A KR 20110135797 A KR20110135797 A KR 20110135797A KR 1020110037665 A KR1020110037665 A KR 1020110037665A KR 20110037665 A KR20110037665 A KR 20110037665A KR 20110135797 A KR20110135797 A KR 20110135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ydraulic
master cylinder
wheel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4653B1 (ko
Inventor
다니엘 디. 코트렐 브이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135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5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responsive to speed and another condition or to plural spee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1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by utilising wheel movement for accumulating energy, e.g. driving air compre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24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with additional mechanical or electromagnetic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58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 B60T13/585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comprising friction brakes and retarders
    • B60T13/586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comprising friction brakes and retarders the retarders being of the electr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60Regenerative braking
    • B60T2270/604Merging friction therewith; Adjusting their repart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을 제어하는 방법은, 회생 제동이 임계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디프레션에 따라 가변하는 회생 제동을 지시하는 단계와, 휠 서킷 내에서 가변하는 유압 제동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변하는 유압 제동을 지시하는 단계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의 유압이 제1 압력 및 제2 압력 사이에 있을 때, 마스터 실린더 서킷으로부터 ABS 밸브를 통한 휠 서킷으로의 유압의 전송을 방지하는 단계;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의 유압이 제2 압력 내지 제3 압력 사이에 있을 때, 마스터 실린더 서킷으로부터 ABS 밸브를 통한 휠 서킷으로의 유압의 전송을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단계; 및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의 유압이 제3 압력보다 클 때, 마스터 실린더 서킷으로부터 ABS 밸브를 통한 휠 서킷으로의 유압의 풀 전송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생 제동 및 유압 제동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AND HYDRAULIC BRAKING}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에서의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는 차량을 제동시키거나, 정지시키거나 또는 감속시키기 위하여 유압 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는 회생 제동을 통해 자동차를 감속시키도록 발전기 또는 전동기/발전기와 같은 전기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전기 기기는 운동 에너지를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는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그 다음, 에너지 저장 장치로부터의 전기 에너지는 자동차의 추진을 위하여 운동 에너지로 다시 변환되거나 자동차의 다른 기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유체가 채워지고 ABS(anti-lock brake system) 밸브에 의해 분리되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 및 휠 서킷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브레이크 시스템과 함께 사용가능하다. 또한, 하이브리드 브레이크 시스템은 마스터 실린더 서킷과 직접 연통하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본 방법은, 제동 요청(braking request)에 응답하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디프레션(depression)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디프레션은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에서 유체의 제1 압력 또는 압력 레벨에서 시작하는 유압을 생성한다.
본 방법은, 회생 제동이 임계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디프레션에 따라 가변하는 회생 제동을 지시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디프레션에 따라 가변하는 유압 제동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휠 서킷이 지시 휠 서킷 압력에 도달하도록 한다. 가변하는 유압 제동을 지시하는 단계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의 유체가 제1 압력과 제2 압력 사이에 있을 때 마스터 실린더 서킷으로부터 ABS 밸브를 통한 휠 서킷으로의 유압의 전송을 방지하는 단계;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의 유체가 제2 압력과 제3 압력 사이에 있을 때 마스터 실린더 서킷으로부터 ABS 밸브를 통한 휠 서킷으로의 유압의 전송을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단계; 및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의 유체가 제3 압력보다 더 클 때 마스터 실린더 서킷으로부터 ABS 밸브를 통한 휠 서킷으로의 유압의 풀(full) 전송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회생 제동이 사용 가능하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회생 제동이 사용 가능할 때, ABS 밸브에게 바이패스 상태를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이패스 상태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의 유체가 제1 압력보다 더 클 때 마스터 실린더 서킷으로부터 ABS 밸브를 통한 휠 서킷으로의 유압의 풀 전송을 허용하도록 가변하는 유압 제동을 지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실제 휠 서킷 압력을 모니터하는 단계와, 실제 휠 서킷 압력이 지시 휠 서킷 압력을 초과할 때 휠 서킷으로부터 유압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휠 서킷으로부터 유압을 배출하는 단계는 ABS 밸브를 통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 및 이점과,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고려될 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및 기타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하다.
도 1은 하이브리드 브레이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하이브리드 제동 동안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브레이크 시스템의 예시적인 특성에 대한 개략적인 하이브리드 제동 제어 차트 또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을 제어하는 알고리즘 또는 방법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 차트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략적인 플로우 차트의 다른 부분이다.
여러 도면을 통하여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도면을 참조하면, 도 1a에는 하이브리드 브레이크 시스템(10)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미도시)에 포함될 때, 브레이크 시스템(10)은 유압 제동(hydraulic braking)과 회생 제동(regenerative braking)을 모두 제어하고 혼합할 수 있으며, 이는 혼합 제동(blending braking)이라 할 수 있다.
브레이크 시스템(10)과 하이브리드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이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더 넓은 적용 가능성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그리고 한정적이지 않으면서, 건설 설비, 광산 설비 및 다른 중장비도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요소, 구조 및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위(above)", "아래(below)", "위로(upward)", "아래로(downward)" 등과 같은 용어는 도면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브레이크 시스템(10)은 제1 휠 서킷(wheel circuit)(16), 제2 휠 서킷(17), 제3 휠 서킷(18) 및 제4 휠 서킷(19)과 유체 연통하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휠 서킷(16, 17, 18, 19)(여기에서 휠 서킷(16 - 19)라 할 수 있다)은 자동차를 정지 또는 느리게 하기 위하여 유압 제동을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ABS(anti-lock brake) 밸브(21)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을 제1 휠 서킷(16)에 연결하고, 제2 ABS 밸브(22)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을 제2 휠 서킷(17)에 연결한다. 일반적으로 ABS 밸브는 제동하는 동안 로킹(locking) 및 스키딩(skidding)을 제한하는 시스템의 일부이다. 제3 ABS 밸브(23)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을 제3 휠 서킷(18)에 연결하고, 제4 ABS 밸브(24)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을 제4 휠 서킷(19)에 연결한다.
제1 내지 제4 ABS 밸브(21, 22, 23, 24)(여기에서 ABS 밸브(21 - 24)라 할 수 있다)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과 휠 서킷(16 - 19) 사이의 유압의 전송을 선택적으로 가변하도록 구성된다. ABS 밸브(21 - 24)는, 일반적으로, 3개의 상이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3 모드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압 제동의 가변량을 스케쥴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단 모드(blocking mode)인 제1 모드에서, ABS 밸브(21 - 24)는 유압의 전송을 완전히 제한하거나 차단한다. 계량 모드(metered mode)인 제2 모드에서, ABS 밸브(21 - 24)는 유압의 전송을 부분적으로 또는 비례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비계량 모드(un-metered mode)인 제3 모드에서, ABS 밸브(21 - 24)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에서의 압력이 휠 서킷(16 - 19)에서의 압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유압의 풀(full) 또는 직접적인 전송을 허용할 수 있다.
브레이크 시스템(10)의 일부 구성에서, ABS 밸브(21 - 24)는 제4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모드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과 ABS 밸브(21 - 24)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저압 흐름을 허용하는 균등화 모드(equalization mode)이다. ABS 밸브(21 - 24)가 균등화 모드를 갖도록 구성되지 않으면, ABS 밸브(21 - 24)는 매우 낮은 압력에서 (디폴트로서) 닫힐 수 있다.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조작자는 브레이크 페달(27)을 포함할 수 있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를 통해 제동을 요청한다.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는 마스터 실린더(28)를 통해 마스터 실린더 서킷(12)과 직접 연통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에서 유압을 직접 제어한다. 유사하게,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유압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에서 함 피드백으로서 감지된다. 이것은 "페달 감지(pedal feel)"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ABS 밸브(21 - 24)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과 휠 서킷(16 - 19) 사이에 전송되는 압력의 양을 제어한다.
진공 부스터 또는 파워 브레이크 보조 시스템과 같은 브레이크 부스터(미도시)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에 포함될 수 있어, 제동 요청 동안에 브레이크 페달(27)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 부스터는 마스터 실린더(28)로부터 브레이크 페달(27)로의 힘 피드백을 연통할 수 있지만, 운전자에 의해 감지되는 힘의 양을 감소시킬 것이다.
휠 서킷(16 - 19)은 각각 제1 휠 브레이크(31), 제2 휠 브레이크(32), 제3 휠 브레이크(33) 및 제4 휠 브레이크(34)와 직접 유체 연통한다. 제1 내지 제4 휠 브레이크(31, 32, 33, 34)(여기에서 휠 브레이크(31 - 34)라 할 수 있다)는 휠 브레이크(31 - 34)의 각각은 제1 휠(41), 제2 휠(42), 제3 휠(43) 및 제4 휠(44)(여기에서 휠(41 - 44)라 할 수 있다)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동차 휠과 연통할 수 있다. 브레이크 시스템(10)은 4개의 휠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휠을 갖는 자동차에 구현될 수 있다.
마스터 실린더(28) 내의 브레이크 유체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에 의해 가압된다. ABS 밸브(21 - 24)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과 휠 서킷(16 - 19) 사이에서 유압의 전송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고, 여기에서, 휠 브레이크(31 - 34)는 유압을 유압 제동력으로 변환한다. 휠 브레이크(31 - 34)에 전송되는 유압을 가변시킴으로써, 브레이크 시스템(10)은 자동차를 제동하는데 사용되는 유압 제동력을 가변시킨다.
브레이크 시스템(10)은 제1 휠 서킷(16) 및 휠 브레이크(31 - 34)의 각각과 연통하는 제1 ABS 밸브(21)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은 분리된 챔버 또는 마스터 실린더(28)의 절반과 연통하는 2개의 분리된 서킷으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은 제1 ABS 밸브(21) 및 제2 ABS 밸브(22) 모두와 연통하는 하나의 서킷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의 절반은 제1 휠 브레이크(31)(제1 ABS 밸브(21)를 통해) 및 제2 휠 브레이크(32)(제2 ABS 밸브(22)를 통해)와 연통한다. 이것은 마스터 실린더(28)의 한 챔버가 전륜(front wheel)과 연통하고 - 제1 및 제2 휠(41, 42) 또는 제3 및 제4 휠(43, 44)이 전륜이 될 수 있다 -, 다른 챔버가 후륜(rear wheel)과 연통하는 일반적인 스플리트(split)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이 대신에, 브레이크 시스템(10)은 마스터 실린더(28)의 한 챔버가 전륜 중 하나(제1 휠(41)과 같은)와 후륜 중 하나(제3 휠(43)과 같은)와 연통하고, 다른 챔버가 다른 전륜 및 다른 후륜과 연통하는 교차(cross) 스플리트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휠 브레이크(31 - 34)의 각각은 자동차에 유압 제동력을 가하기 위하여 휠 서킷(16 - 19) 중 하나로부터의 유압을 이용한다. 휠 브페이크(31 - 34)는 (예를 들어) 제1 휠 브레이크(31)가 제1 휠(41)과 제2 휠(42) 모두에 작용할 수 있도록 휠(41 - 44)과 1:1 비로 있을 필요는 없다.
브레이크 시스템(10)은 전기 발전기, 전기 전동기/발전기 또는 유사한 장치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36)로 회생 제동을 제공한다. 전기 기기(36)는 휠(41 - 44)의 적어도 하나와 파워 흐름이 연통한다. 한정이 아닌 예를 들어, 전기 기기(36)는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미도시) 또는 전방이나 후방의 축(axle)(미도시)과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기기(36)가 발전하도록 지시를 받을 때, 회생 제동이 발생하고 자동차는 유압 휠 브레이크(31 - 34)의 결합에 관계없이 제동을 받는다(느려지거나 가속도가 감소된다).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시스템(10)은 자동차의 동작 상태 및 운전자에 의한 제동 요청의 종류에 따라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을 모두 사용한다. 또한, 제동 요청은 자동 회피 시스템(automatic avoidance system) 또는 자동차 크루즈 제어 시스템(vehicle cruise control system)으로부터와 같이 자동차 운전자가 아닌 다른 곳에서부터 올 수 있다.
위치 센서(38)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의 위치를 모니터하고 그로부터 위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에 동작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압력 센서(39)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에 의해 유입된) 마스터 실린더(28)의 압력을 모니터하고 그로부터 압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마스터 실린더(28)와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신호와 압력 신호는 제동 요청을 나타낸다.
컨트롤러(40)는 위치 센서(38)와 압력 센서(39) 중 하나 또는 (브레이크 시스템(10)이 두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면) 모두와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0)는 전기 기기(36)와 연통하며, ABS 밸브(21 - 24)와 연통할 수 있다. 컨트롤러(40)는 회생 제동, 유압 제동 또는 이 모두를 스케쥴링하고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휠 브레이크(31 - 34)에서 유압의 레벨을 가변시키는 것을 지시함으로써, 컨트롤러(40)는 브레이크 시스템(10)에 의해 생성된 유압 제동력의 양을 가변시킨다. 컨트롤러(40)는 단독형(stand-alone) 컨트롤러, 자동차의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의 일부 또는 기능, 또는 하이브리드 제어 프로세서 또는 모듈(HCP(hybrid control processor) 또는 HCM(hybrid control mopdule))의 일부 또는 기능일 수 있다.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제동 또는 혼합 제동 동안 브레이크 시스템(10)의 스케쥴링 특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하이브리드 제동 제어 차트(100)가 도시된다. 차트(100)의 x-축(102) 상에서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에 의해 감지되는 힘-피드백 압력인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에서의 압력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x-축(102)을 따라 증가하는 압력값은 자동차 운전자에 의한 제동 요청이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값보다 더 중요한 것을 나타낸다.
차트(100)의 왼쪽 y-축(104) 상에서는 휠 서킷(16 - 19) 내에서의 유압인 유압 제동 압력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왼쪽 y-축(104)을 따라 증가하는 압력값은 휠 브레이크(31 - 34)에 전송되는 더 큰 압력을 나타낸다.
차트(100)의 오른쪽 y-축(106)에서는 사용가능한 전체 회생 제동력의 퍼센티지로서 표시되는 회생 제동 이용률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오른쪽 y-축(106)을 따라 증가하는 퍼센티지 값은 회생 제동 용량의 증가된 이용률을 나타낸다.
또한, 증가하는 회생 제동은, 자동차의 상대적으로 더 많은 운동 에너지가 추후 사용을 위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기 때문에, 연료 절약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회생 제동력(또는 토크)의 양은, 한정이 아닌 예를 들어, 자동차의 운전 속도 및 가속도, 전기 기기(36)의 상태, 배터리나 자동차의 다른 전기 저장 장치(미도시)의 상태, 및 주위(ambient) 상태에 기초하여 크게 변한다.
x-축(102), 왼쪽 y-축(104) 및 오른쪽 y-축(106)에서 그리고 차트(100)의 나머지 전체에 도시된 수치와 여기에서의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여기에서 설명된 브레이크 시스템(10) 및 방법에 대한 한정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오른쪽 y-축(106)(회생 제동 용량의 퍼센티지)에 대한 왼쪽 y-축(104)(유압 제동 압력)의 상대적인 값은 임의적인 것이며 이로부터 어떠한 직접적인 변환 또는 동치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차트(100)는 여러 개의 선택적인 제동 스케쥴을 도시한다. 계량 스케줄(110)은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으로부터 휠 서킷(16 - 19)으로의 유압의 풀(full) 전송을 도시한다. 비계량 스케쥴(110)에서 동작하는 동안,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의 압력(x-축(102)에 도시)은 휠 서킷(16 - 19)에서의 압력(왼쪽 y-축(104)에 도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비계량 스케쥴(110)은 ABS 밸브(21 - 24)를 통과하는 유압의 풀 전송을 허용하는 것 또는 ABS 밸브(21 - 24) 주위로의 바이패스 서킷 또는 경로(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음)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회생 스케쥴(112)은 최대 가용 회생 제동(오른쪽 y-축(106)에 도시)의 퍼센티지로서 회생 제동 이용률을 나타낸다. 회생 제동은 자동차의 상태와 운전자의 제동 요청에 기초하여 컨트롤러(40)에 의해 스케쥴링된다. 회생 제동 스케쥴(112)에 따른 움직임은 위치 센서(38) 또는 압력 센서(39)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측정되는 바에 따른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의 움직임과 일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생 스케쥴(112)은 본 예시적인 스케쥴에서 최대인 대략 100%인 임계 레벨(114)에 도달할 때까지 신속하게 회생 제동의 양을 증가시킨다. 이 대신에, 임계 레벨(114)은 최대 가용 제동의 (80 - 95%)와 같은 더 낮은 퍼센티지일 수 있거나, 또는 전기 기기(36)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의 양에 기초할 수 있다. 임계 레벨(114)에 도달한 후에, 전기 에너지로의 변환을 위하여 모든 가용 운동 에너지를 캡쳐하도록, 회생 스케쥴(112)은 회생 제동을 최대로 유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제동이 비계량 스케쥴(110)에서 동작하도록 지시되고, 회생 제동이 회생 스케쥴(112)에서 동작하도록 지시되면, 휠 브레이크(31 - 34)는 전기 기기(36)가 최대 회생 제동 용량에 도달하기 전에 자동차를 제동하기 시작할 것이다. 휠 브레이크(31 - 34)가 운동 에너지를 브레이크 시스템(10)에 의해 일반적으로 보상되지 않는 열로 변환함으로써 동작하기 때문에, 잠재적인 회생 제동 에너지는 휠 브레이크(31 - 34)에 의해 소산되는 열 에너지로 손실된다.
계량 유압 스케쥴(116)은 브레이크 시스템(10)이 유압 제동의 착수(onset)를 지연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자동차의 운동 에너지의 대다수는 휠 브레이크(31 - 34)가 운동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기 시작하기 전에 전기 기기(36)에 의해 회생 제동을 통해 캡쳐될 수 있다.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가 디프레스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됨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28)와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압력은 계량 유압 스케쥴(1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력(121)으로 증가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차트(100)에서, 제1 압력(121)은 대략 5 - 10 PSI(pound per square inch)일 수 있다. 제1 압력(121)에 도달하기 전에, ABS 밸브(21 - 24)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과 휠 서킷(16 - 19) 사이의 저압 유체의 전송을 자유롭게 허용하는 균등화 모드에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제1 압력(121) 이상에서,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압력에서의 추가적인 증가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에서의 압력이 제2 압력(122)에 도달할 때까지 ABS 밸브(21 - 24)에 의해 휠 서킷(16 - 19)으로 전송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차트(100)에서, 제2 압력(122)은 대략 100 PSI일 수 있다. 제1 압력(121)과 제2 압력(122) 사이에서, ABS 밸브(21 - 24)는 차단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
ABS 밸브(21 - 24)가 차단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계량 유압 스케쥴(1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에서의 증가하는 압력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에 피드백 힘을 제공한다. 이 피드백 힘은 회생 스케쥴(112)이 전기 기기(36)로 회생 제동을 증가시킴에 따라 전체 제동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운전자가 알게 한다. 페달 감지로 불리는 피드백 힘은 브레이크 시스템(10)이 비계량 스케줄(110)에 따라 동작하고 있거나 유압 제동만을 이용하고 있다면 운전자가 경험할 수 있는 피드백 힘에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전기 기기(36)를 이용한 회생 제동이 컨트롤러(40)에 의해 전자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전기 기기(36)에 의해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에 부여되는 반대하는 반력(reaction force)이 없다. 계량 유압 스케쥴(116)에 따른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에서의 증가하는 압력에 의해 제공되는 피드백 힘 없이는, 자동차가 제동하고 있다는 운전자에 대한 유일한 신호는 자동차 감속일 수 있다.
제동 요청이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에서의 압력을 제2 압력(122) 이상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ABS 밸브(21 - 24)는 계량 모드에서 동작하기 시작한다. 계량 유압 스케쥴(1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력(122)과 제3 압력(123) 사이에서, ABS 밸브(21 - 24)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으로부터 휠 서킷(16 - 19)으로의 유압의 전송을 부분적으로 제한한다. 계량 모드에 있는 동안,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에서의 증가하는 압력은 휠 서킷(16 - 19)으로 압력을 증가시키게 하지만, 제3 압력(123)에 도달할 때까지 풀 유압 제동은 허용되지 않는다.
브레이크 시스템(10)의 일부 구성에서 그리고 ABS 밸브(21 - 24)에 사용되는 특정 종류의 밸브에 따라, 제2 압력(122)은, 회생 제동 스케쥴(112)이 임계 레벨(114)에 도달할 때,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압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또는 이와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차트(1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제동은, 회생 제동이 최대에 도달하고 더 이상 추가적인 회생 제동력을 공급할 수 없는 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또는 압력값)에서 시작한다
브레이크 시스템(10)이 위치 센서(38)를 포함하면, 컨트롤러(40)는 운전자의 제동 요청을 만족하는데 필요한 회생 제동량을 평가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를 더 디프레스하면, 위치 센서(38)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의 이동에서의 증가를 신호로 보내고, 컨트롤러(40)는 회생 제동량에서의 증가를 지시할 것이다. 브레이크 시스템(10)이 압력 센서(39)를 포함하면, 컨트롤러(40)는 제동 요청에 의해 생성된 압력에 대한 평가된 동등물에 기초하여 필요한 회생 제동량을 판단할 것이다.
제3 압력(123)에 도달한 후에, ABS 밸브(21 - 24)는 비계량(또는 와이드 오픈(wide-open)) 모드에서 동작하고,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으로부터의 모든 유압은 휠 서킷(16 - 19)으로 전송되어 자동차를 유압식으로 제동하도록 휠 브레이크(31 - 34)에 의해 활용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차트(100)에서, 제3 압력(123)은 대략 400 - 450 PSI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제3 압력(123) 이상에서, 회생 제동과 유압 제동 모두로부터의 최대 결합 제동력은 자동차를 감속하는데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제어 스킴 및 제동 스케쥴의 구현례는 ABS 밸브(21 - 24)를 통해 - 또는 단지 하나의 밸브만이 사용된다면 제1 ABS 밸브(21)를 통해 - 발생한다. ABS 밸브(21 - 24)의 각각은 여러 개의 밸브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밸브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S 밸브(21 - 24)는 컨트롤러(40)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흐름 특성을 바꿀 수 있는 "스마트(smart)" 밸브일 수 있거나,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동작하는 "덤(dumb)" 밸브일 수 있거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제1 압력(121)과 제2 압력(122) 사이의 구간 동안, 회생 제동력은 (압력 센서(39)가 사용된다면) 압력과 함께 증가하도록, 또는 (위치 센서(38)가 사용된다면)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의 이동과 함께 증가하도록, 컨트롤러(40)에 의해 스케쥴링될 수 있다. 제2 압력(122)에 도달하면, ABS 밸브(21 - 24)는 개방되어 휠 서킷(16 - 19)으로, 그리고 각 휠에서의 휠 브레이크(31 - 34)로 유체를 보내기 시작할 것이다.
계량 유압 스케쥴(116)과 같은 유압 제동 스케쥴은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에 연통된 제동 요청의 함수로 고정될 수 있으며, 회생 제동의 사용 가능성에 관하여는 변하지 않을 수 있다. 회생 제동이 사용 가능하지 않거나 매우 제한된다면, 운전자는 자동차가 충분히 제동하고 있지 않다고 감지하고,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에서의 압력이 제2 압력(122)에 도달하여 유압 제동이 시작할 때까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를 더 디프레스할 수 있다.
컨트롤러(40)는 도 2에 도시된 계량 유압 스케쥴(116)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는 제1 유압 제동 스케쥴에 기초하여 ABS 밸브(21 - 24)의 부분적인 제한을 지시할 수 있다. 제1 유압 제동 스케쥴은, 컨트롤러(40)가 제동 요청이 제1 조건 세트를 만족할 때 제1 유압 제동 스케쥴을 선택하도록, 제동 요청의 모니터된 상태에 기초하여 얻어지거나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동 요청 동안의 회생 제동의 사용 가능성 및 품질은 제2 압력(122)과 제3 압력(123) 사이에서 유압 제동을 스케쥴링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0)와 ABS 밸브(21 - 24)는 제1 유압 제동 스케쥴과 상이한 제2 유압 제동 스케쥴에 기초하여 유압의 전송을 스케쥴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동 요청이 제1 조건 세트와 상이한 제2 조건 세트를 만족할 때 컨트롤러(40)가 제2 유압 제동 스케쥴을 선택하도록, 제2 유압 제동 스케쥴은 제동 요청의 모니터된 상태에 따라 얻어지거나 선택될 수 있다. 컨트롤러(40)는 특정의 모니터된 제동 상태에 기초하여 특정의 유압 제동 스케쥴을 결정하기 위하여 2-D 또는 3-D 룩업 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다.
회생 제동이 사용 가능하지 않다면, 컨트롤러(40)는 ABS 밸브(21 - 24)에 바이패스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바이패스 상태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제1 압력(121)보다 더 큰 임의의 유압에 대하여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으로부터 ABS 밸브(21 - 24)를 통한 휠 브레이크로의 유체의 풀 전송을 허용한다. ABS 밸브(21 - 24)를 와이드 오픈 상태로 배치하는 것은 브레이크 시스템(10)으로 편입되는 개별 부품 - 전용 바이패스 메카니즘, 바이패스 밸브, 또는 바이패스 채널과 같은 - 없이 바이패스 모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브레이크 시스템(10)의 동작 동안, 자동자 조작자는 처음에는 상대적으로 강한 양의 제동을 요청하고, 그 다음 상대적으로 낮은 양으로 제동 요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압력을 제2 압력(122)과 제3 압력(123) 사이로 증가시키고, 그 다음 제2 압력(122) 이하로 압력이 강하하도록 제동 요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동 요청이 감소할 때, 휠 서킷(16 - 19)에 대한 지시 압력도 감소한다.
그러나, ABS 밸브(21 - 24)는 일반적으로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으로부터 휠 서킷(16 - 19)으로의 흐름을 제한하지만, 압력이 반대 방향으로 흐르거나 감소하는 압력 하의 압력 스케쥴을 추종하도록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 특히 차단 모드 또는 계량 모드에 있는 동안. 그러므로, 휠 서킷(16 - 19) 내의 실제 압력은 감압 지시에 따라 감소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동 압력을 증가시키는 동안 사용되는 것과 같은 압력 라인을 추종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라 할 수 있으며,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휠 서킷(16 - 19) 내의 실제 압력이 계량 유압 스케쥴(116)이 아닌 비계량 스케쥴(110)을 추종한다. 휠 서킷(16 - 19) 내의 실제 압력이 지시된 값보다 더 큰 상태를 유지할 때 - 계량 유압 스케쥴(116)로 표시된 바와 같이 -, 회생 제동이 될 수도 있는 추가적인 유압 제동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시스템(10)은 효율이 감소한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압력이 제1 압력(121)과 제2 압력(122) 사이에 있을 때 발생한다.
ABS 밸브(21 - 24)는 히스테리시스를 극복하거나 중화하기 위하여 배출(bleed) 모드 또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컨트롤러(40)는 휠 서킷(16 - 19) 내의 실제 압력을 모니터하고, 모니터된 실제 압력을 지시 압력에 비교할 수 있다. 실제 압력이 지시 압력을 초과하면, ABS 밸브(21 - 24)는 배출 모드로 놓일 수 있다. ABS 밸브(21 - 24)는 정확한 압력이 획득될 때까지 휠 서킷(16 - 19)와 휠 브레이크(31 - 34)로부터 섬프(sump) 또는 저압 영역으로 유압을 배출하거나 방출하는 것을 개시할 것이다. ABS 밸브(21 - 24)로부터 배출된 브레이크 유체는 결국에는 섬프 또는 저장소(미도시)로 다시 펌프되어 마스터 실린더(28)와 브레이크 시스템(10)의 나머지를 통해 재순환된다.
도 3 및 4를 도 1 및 2와 함께 참조하면,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방법(200)이 도시된다. 방법(200)의 대부분은 도 1에 도시된 구조와 도 2에 도시된 제동 스케쥴에 대하여 예시되고 설명되지만, 다른 부품 및 제동 스케쥴이 본 방법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방법은 제동 요청에 응답하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를 작동시키거나 디프레스하는 단계 210에서 시작한다.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6)의 디프레션은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에서 유압 압력 - 제1 압력(121)에서 시작하는 - 을 생성한다. 단계 212에서, 디프레션은 위치 센서(38) 또는 압력 센서(39)와 같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며, 제동 요청을 나타내는 신호가 생성된다. 단계 212에서 생성된 신호는 반복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바뀔 수 있으며, 방법(200)은 루프를 돌거나 연속적일 수 있다.
단계 214에서, 방법(200)은 회생 제동이 사용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단계 214는, 예를 들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테스트하거나 또는 전기 기기(36)와 배터리의 온도에 기초하여 사용 가능성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4가 회생 제동이 사용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방법(200)은 유압 제동만을 위하여 단계 216으로 진행한다. 단계 218에서, 컨트롤러(40)는 ABS 밸브(21 - 24)의 바이패스 상태와 같은 바이패스 모드, 또는 바이패스 장치의 작동 중 하나를 지시한다.
단계 220에서, 방법(200)은 제동 신호가 제동 요청이 종료한 때에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0과 같아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동 요청 신호가 0과 같지 않다면, 방법은 단계 216으로 돌아가서 유압 제동만을 계속한다. 그러나, 신호가 0과 같아지면, 방법(200)은 단계 222로 진행하고 다른 제동 요청이 수신될 때까지 바이패스 제동을 종료한다.
단계 214가 회생 제동이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방법은 혼합 제동을 위한 단계 224로 진행하여, 단계 226에서 회생 제동을 지시하는 것과 단계 228에서 유압 제동을 지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230에서, 방법(200)은 - 위치 센서(38) 또는 압력 센서(39) 중 하나에 의해 측정된 바에 따라 - 제동 요청의 함수로서 회생 제동을 스케쥴링한다. 예를 들어, 단계 230에서, 컨트롤러(40)는 자동차의 운전 상태 및 제동 요청에 기초하여 도 2에 도시된 회생 스케쥴(112)이 적합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회생 제동력은 회생 제동이 임계 레벨(114)에 도달할 때까지 제동 요청 (및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단계 232에서, 방법(200)은 제동 신호가 제동 요청이 종료할 때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0과 같아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동 요청 신호가 0과 같지 않으면, 방법은 단계 230으로 돌아가서 회생 제동을 계속한다. 그러나, 신호가 0과 같아지면, 방법(200)은 단계 234로 진행하고 다른 제동 요청이 수신될 때까지 회생 제동을 종료한다.
단계 228에서 유압 제동을 지시한 후에, 방법(200)은 선택적인 단계 236으로 진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40)는 단계 230에서 스케쥴링된 회생 제동(회생 스케쥴(112)과 같은)을 이용하여, 유압 제동(계량 유압 스케쥴(116)과 같은)에 대하여 "P2"로서 방법(200)의 개략적인 플로우 차트에서 이름이 붙여진 제2 압력(122)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압 제동은 회생 제동이 임계 레벨(114)에 도달할 때까지 시작하지 않고, 휠 브레이크(31 - 34)가 결합되기 전에 전기 기기(36)에 의해 캡쳐된 에너지를 최대화할 수 있다. 이 대신에, 제2 압력(122)은 미리 정해진 값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룩업 테이블과 같은 다른 소스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단계 238에서, 방법(200)은 브레이크 시스템(10)을 위한 유압 제동을 스케쥴링한다. 링크(240)는 도 3에 도시된 방법(200)의 제1 부분을 도 4에 도시된 방법(200)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한다. 방법(200)은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압력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제동 요청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링크(240)로부터 이동한다.
단계 242 내지 252는, 일반적으로, 제동 요청의 크기를 (압력 신호, 위치 신호 또는 이 모두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과, 제동 요청의 크기에 기초하여 휠 브레이크(31 - 34)로의 흐름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242 내지 252는 반복적이고 루프를 도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일정하고 연속적인(analog) 방법으로 제동 요청의 상태를 연속적으로 모니터할 수 있다. 이 대신에, 단계 242 내지 260, 특히 판단 단계 242, 246, 250 및 254는,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도 2의 차트(100)에 도시된 계량 유압 스케쥴(116)은 방법(200)의 단계 242 내지 252 동안 설정된 ABS 밸브(21 - 24)의 상이한 동작 모드 또는 흐름 상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방법(200)과 브레이크 시스템(10)의 동작은 계량 유압 스케쥴(116)로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경로를 반드시 추종할 필요가 없다.
단계 242에서, 방법(200)은 "P"로 이름이 붙여진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압력이 방법(200)의 개략적인 플로우 차트에서 "P1"로 이름이 붙여진 제1 압력(121)과 제2 압력(122) 사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압력이 제1 압력(121)과 제2 압력(122) 사이에 있다면, 방법(200)은 단계 244로 진행하고, 유압이 마스터 실린더 서킷(12)과 휠 서킷(16 - 19) 사이에서 흐르거나 연통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은 제1 압력(121)과 제2 압력(122) 사이의 도 2의 차트(100)에 도시된 계량 유압 스케쥴(116)의 일부이다.
단계 242가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압력이 제1 압력(121)과 제2 압력(122) 사이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단계 246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압력이 제2 압력(122)과 방법(200)의 개략적인 플로우 차트에서 "P3"으로 이름이 붙여진 제3 압력(123) 사이에 있는지 판단한다.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압력이 제2 압력(122)과 제3 압력(123) 사이에 있다면, 방법(200)은 단계 248로 진행하고,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으로부터 ABS 밸브(21 - 24)를 통한 휠 서킷(16 - 19)으로의 유압의 전송을 부분적으로 제한한다. 이것은 제2 압력(122)과 제3 압력(123) 사이의 차트(100)에 도시된 계량 유압 스케쥴(116)의 일부이다.
단계 246이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압력이 제2 압력(122)과 제3 압력(123) 사이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단계 250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압력이 제3 압력(123)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마스터 실린더 서킷(12) 내의 압력이 제3 압력(123)보다 크다면, 방법(200)은 단계 252로 진행하고,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의 제3 압력(123)보다 더 큰 임의의 유압에 대하여 마스터 실린더 서킷(12)으로부터 ABS 밸브(21 - 24)를 통한 휠 서킷(16 - 19)으로의 유압의 풀 전송을 허용한다. 이것은 제3 압력(123)의 오른쪽으로 차트(100)에 도시된 계량 유압 스케쥴(116)의 일부이다.
단계 242 내지 252에서의 ABS 밸브(21 - 24)에 대하여 선택된 동작 모드에 관계없이, 방법(200)은 휠 서킷(16 - 19) 내의 실제 압력이 지시 압력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것이다. 단계 254에서, 방법(200)은 도 4에서 "WP_ACTUAL"로 이름이 붙여진 휠 서킷(16 - 19) 내의 실제 압력(또는 휠 브레이크 압력)을 "WP_CMD"로 이름이 붙여진 지시 압력과 비교한다.
실제 압력이 지시 압력보다 더 크면, 방법(200)은 단계(256)로 진행하고 ABS 밸브(21 - 24)의 배출 기능을 사용한다. 그러나, 실제 압력이 지시 압력보다 더 크지 않다면 - 일정하거나 증가하는 제동 요청 때문에 -, 방법은 배출 기능을 작동시키지 않고 단계 258로 계속한다.
단계 258에서, 방법(200)은 제동 신호가 제동 요청이 종료한 때에 발생하는 0과 같아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동 요청 신호가 0과 같지 않다면, 추가의 유압 제동이 필요하기 때문에 방법(200)은 단계 260으로 진행하고, 그 다음 단계 242로 돌아가서 단계 242 내지 260의 루프를 계속한다. 그러나, 신호가 0과 같다면, 추가의 제동이 필요 없기 때문에 방법(200)은 단계 262로 진행한다. 다른 제동 요청이 수신될 때까지 단계(262)는 유압 제동을 종료한다. 단계 234와 단계 262은 일반적으로 함께 일어나며 자동차와 브레이크 시스템(10)에 대한 모든 제동을 종료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을 보조적하고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특허청구범위의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최선의 형태와 다른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대체 설계 및 실시예가 존재한다.
10 하이브리드 브레이크 시스템
12 마스터 실린더 서킷
16 제1 휠 서킷
17 제2 휠 서킷
18 제3 휠 서킷
19 제4 휠 서킷
21 제1 ABS 밸브
22 제2 ABS 밸브
23 제3 ABS 밸브
24 제4 ABS 밸브
26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27 페달
31 제1 휠 브레이크
32 제2 휠 브레이크
33 제3 휠 브레이크
34 제4 휠 브레이크
36 전기 기기
38 위치 센서
39 압력 센서
41 제1 휠
42 제2 휠
43 제3 휠
44 제4 휠
46 바이패스 메카니즘

Claims (10)

  1. 유체가 채워지고 ABS(anti-lock brake system) 밸브에 의해 분리되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 및 휠 서킷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과 직접 연통하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유압 제동과 회생 제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동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디프레션을 허용하는 단계 - 상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디프레션은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에서 제1 압력에서 시작하는 유압을 생성함 -;
    회생 제동이 임계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디프레션에 따라 가변하는 상기 회생 제동을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휠 서킷이 지시 휠 서킷 압력에 도달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디프레션에 따라 가변하는 유압 제동을 지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하는 유압 제동을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의 유압이 상기 제1 압력 및 제2 압력 사이에 있을 때,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으로부터 상기 ABS 밸브를 통한 상기 휠 서킷으로의 유압의 전송을 방지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의 유압이 상기 제2 압력 및 제3 압력 사이에 있을 때,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으로부터 상기 ABS 밸브를 통한 상기 휠 서킷으로의 유압의 전송을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의 유압이 상기 제3 압력보다 클 때,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으로부터 상기 ABS 밸브를 통한 상기 휠 서킷으로의 유압의 풀 전송을 허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회생 제동이 사용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회생 제동이 사용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ABS 밸브에게 바이패스 상태를 지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 상태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의 유압이 상기 제1 압력보다 클 때,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으로부터 상기 ABS 밸브를 통한 상기 휠 서킷으로의 유압의 풀 전송을 허용하도록 가변하는 유압 제동을 지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브레이크 시스템은 상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 제어 방법은,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의 압력을 모니터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의 모니터된 압력으로부터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디프레션에 따라 가변하는 회생 제동을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의 상기 압력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실제 휠 서킷 압력을 모니터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휠 서킷 압력이 상기 지시 휠 서킷 압력을 초과할 때 상기 휠 서킷으로부터 유압을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휠 서킷으로부터 유압을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ABS 밸브를 통해 발생하는,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의 유압 배압(hydraulic back-pressure)으로 상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디프레션에 반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압 배압은 상기 ABS 밸브에 의해 생성되는,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회생 제동이 상기 임계 레벨에 도달할 때,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의 상기 제2 압력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 제어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브레이크 시스템은 상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 제어 방법은,
    상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위치를 모니터하는 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모니터된 위치로부터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디프레션에 따라 가변하는 상기 회생 제동을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 제어 방법.
  8. 유체가 채워지고 제1 ABS(anti-lock brake system) 밸브를 통해 제1 휠 브레이크와 유체 연통하고 제2 ABS 밸브를 통해 제2 휠 브레이크와 유체 연통하는 마스터 실린더 서킷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과 직접 연통하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유압 제동과 회생 제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동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디프레션을 허용하는 단계 - 상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디프레션은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에서 제1 압력에서 시작하는 유압을 생성함 -;
    회생 제동이 임계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디프레션에 따라 가변하는 회생 제동을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휠 브레이크가 제1 지시 휠 브레이크 압력에 도달하고 상기 제2 휠 브레이크가 제2 지시 휠 브레이크 압력에 도달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디프레션에 따라 가변하는 유압 제동을 지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하는 유압 제동을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의 유압이 상기 제1 압력 및 제2 압력 사이에 있을 때,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ABS 밸브를 통한 상기 제1 및 제2 휠 브레이크로의 유압의 전송을 방지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의 유압이 상기 제2 압력 및 제3 압력 사이에 있을 때,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ABS 밸브를 통한 상기 제1 및 제2 휠 브레이크로의 유압의 전송을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 내의 유압이 상기 제3 압력보다 클 때,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ABS 밸브를 통한 상기 제1 및 제2 휠 브레이크로의 유압의 풀 전송을 허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생 제동이 상기 임계 레벨에 도달할 때,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의 상기 제2 압력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 서킷의 압력을 모니터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휠 브레이크의 압력을 모니터하는 단계;
    상기 제1 휠 브레이크의 모니터된 압력이 상기 제1 지시 휠 브레이크 압력을 초과할 때 상기 제1 휠 브레이크로부터 유압을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휠 브레이크의 모니터된 압력이 상기 제2 지시 휠 브레이크 압력을 초과할 때 상기 제2 휠 브레이크로부터 유압을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휠 브레이크로부터 유압을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ABS 밸브를 통해 발생하고,
    상기 제2 휠 브레이크로부터 유압을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ABS 밸브를 통해 발생하는,
    유압 제동 및 회생 제동 제어 방법.
KR1020110037665A 2010-06-11 2011-04-22 회생 제동 및 유압 제동 제어 방법 KR101264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13,557 US7922265B1 (en) 2010-06-11 2010-06-11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and hydraulic braking
US12/813,557 2010-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797A true KR20110135797A (ko) 2011-12-19
KR101264653B1 KR101264653B1 (ko) 2013-05-16

Family

ID=4383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665A KR101264653B1 (ko) 2010-06-11 2011-04-22 회생 제동 및 유압 제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22265B1 (ko)
KR (1) KR101264653B1 (ko)
CN (1) CN102275581B (ko)
DE (1) DE1020111035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9304A1 (de) 2011-12-15 2013-06-20 Hyundai Motor Company Sonnenblende mit Dämpfervorricht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3422B1 (fr) * 2007-11-14 2010-05-14 Renault Sas Procede de controle du freinage recuperatif d'un vehicule comprenant au moins un moteur electrique
IT1392621B1 (it) * 2008-10-23 2012-03-16 Ferrari Spa Impianto frenante di un veicolo atto a comandare una frenata rigenerativa
US20110304198A1 (en) * 2010-06-11 2011-12-15 Cottrell V Daniel D Method for controlling regenerative and hydraulic braking
GB2492073B (en) 2011-06-17 2013-09-11 Protean Electric Ltd A brake system
US8855844B2 (en) * 2011-10-11 2014-10-07 Robert Bosch Gmbh System and method for optimal deceleration of a vehicle using regenerative braking
EP2591960A1 (fr) * 2011-11-10 2013-05-15 Thierry Zerbato Procede d'assistance electrique au freinage d'un vehicule et motorisation associee
JP2014061835A (ja) * 2012-09-24 2014-04-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ブレーキ制御装置
US20140183933A1 (en) * 2012-12-27 2014-07-03 Robert Bosch Gmbh Method of decelerating a vehicle with regenerative and friction braking
US9457777B2 (en) * 2014-07-16 2016-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regenerative braking during high friction coefficient braking
DE102014011598B3 (de) 2014-08-01 2015-11-19 Audi Ag Blendingfähiges Bremssystem
CN104477038B (zh) * 2014-12-31 2017-01-04 芜湖伯特利汽车安全系统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回馈制动系统及其回馈制动方法
EP3045334B1 (en) * 2015-01-16 2018-08-01 Alex Moens Conversion kit for converting a gasoline motor driven karting vehicle to an electric motor driven karting vehicle
JP6484828B2 (ja) * 2015-12-21 2019-03-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動車両の速度制御装置
CN109383467B (zh) * 2017-08-04 2021-02-26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混合制动控制方法、车辆及机器可读存储介质
US10800389B2 (en) 2018-08-31 2020-10-13 Robert Bosch Gmbh Haptic feedback for decoupled brake system
DE102018215134A1 (de) * 2018-09-06 2020-03-12 Audi Ag Bremsverfahren und -system für ein Elektrofahrzeug
DE102018215653A1 (de) * 2018-09-14 2020-03-19 Hyundai Motor Company Bremssystem zum Abbremsen eines Elektrofahrzeugs
DE102021108523A1 (de) 2021-04-06 2022-10-06 Audi Aktiengesellschaft Bremssystem für ein autonomes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8355A (en) * 1991-12-05 1994-06-0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Brake system in electric vehicle
JP4058932B2 (ja) * 2001-10-25 2008-03-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輌用制動制御装置
KR100534709B1 (ko) * 2003-12-30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06029353A2 (en) * 2004-09-09 2006-03-16 Kelsey-Hayes Company Vehicular system having regenerative brake control
JP4631477B2 (ja) * 2005-03-04 2011-02-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回生制動制御装置
CN100515821C (zh) * 2005-12-19 2009-07-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组合制动控制系统
JP2008222121A (ja) * 2007-03-14 2008-09-25 Toyota Motor Corp 車輌の制動装置
JP2009234490A (ja) 2008-03-27 2009-10-15 Toyota Motor Corp ブレーキ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制御方法
JP5125813B2 (ja) 2008-07-02 2013-01-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子制御液圧ブレーキ装置
JP5150410B2 (ja) 2008-08-25 2013-02-2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9304A1 (de) 2011-12-15 2013-06-20 Hyundai Motor Company Sonnenblende mit Dämpfer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653B1 (ko) 2013-05-16
CN102275581B (zh) 2014-02-26
US7922265B1 (en) 2011-04-12
CN102275581A (zh) 2011-12-14
DE102011103541A1 (de)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653B1 (ko) 회생 제동 및 유압 제동 제어 방법
KR20110135796A (ko) 회생 제동 및 유압 제동 제어 방법
US6122588A (en) Vehicle speed control with continuously variable braking torque
US7160225B2 (en) Method, device and use thereof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US65169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braking a towed conveyance
CN102892651B (zh) 制动装置
US8886375B2 (en)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CN107428324B (zh) 用于运行车辆的回收制动系统的方法以及用于车辆的回收制动系统的控制装置
US11427202B2 (en) Trailer brake control device, method and software for same, and trailer vehicle comprising same
US8112212B2 (en) Vehicle brake control based on learned vehicle mass
US10427685B2 (en) Vehicle capable of regenerative braking, and control method of a vehicle capable of regenerative braking
US8135530B2 (en) Vehicular contro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and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a program that implements the method
CN105584373B (zh) 用于确定再生制动量的方法
US10479211B2 (en) Regenerative brak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07029626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Brake System Of A Motor Vehicle
US20120303225A1 (en) Industrial vehicle
EP2789516B1 (en) Vehicle control device
US9637116B2 (en) Vehicle
JP2010531260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および/または4輪駆動車両の回生制動制御方法、および前記方法を使用する車両の機構
CN105492271A (zh) 车辆
US9545849B2 (en)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lift pedal regeneration
CN105339229A (zh) 用于运行机动车的控制系统和方法
CN106541933A (zh) 制动能量回收控制方法及系统
CN109606341B (zh) 一种多模机电混合制动解耦方法
US202301270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nge in speed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