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5636A - 유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유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5636A
KR20110135636A KR1020100055479A KR20100055479A KR20110135636A KR 20110135636 A KR20110135636 A KR 20110135636A KR 1020100055479 A KR1020100055479 A KR 1020100055479A KR 20100055479 A KR20100055479 A KR 20100055479A KR 20110135636 A KR20110135636 A KR 20110135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flange
flow
orific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4870B1 (ko
Inventor
최원석
유은정
정석현
최혜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5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87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6Guiding of the sl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유량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 제1 배관에 연결되는 제1 플랜지; 제2 배관에 연결되어 제1 플랜지에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 플랜지; 및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에 체결되는 조절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조절 플레이트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제1 유량 조절부와 제2 유량 조절부를 포함하고,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구들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유량 조절 장치 {FLOWING QUANTITY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유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의 유지 관리를 편리하게 하고 배관 구조를 단순하게 하는 유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사용하는 기기나,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에는 유량 조절 장치가 사용된다. 유량 조절 장치는 기기나 노즐에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에 설치되어, 기기나 노즐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한다.
일례를 들면, 유량 조절 장치는 2개의 배관에 연결되는 플랜지 및 이 플랜지들 사이에 설치되고 유량 조절용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유량 조절 장치는 오리피스의 개구량에 따라 설정된 유량을 조절한다. 유량 조절 장치는 오리피스 플레이트에 하나의 유량 조절용 오리피스를 구비하므로 기설정된 한 가지로만 유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배관을 유지 보수하거나 배관의 유체 흐름을 차단할 경우, 유량 조절 장치의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제거하고 플랜지들 사이에 블라인드 플랜지(blind flange)를 설치하여야 한다. 블라인드 플랜지는 오리피스를 구비하지 않는다.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제거하고 블라인드 플랜지를 설치하는 작업은 배관의 유지 관리를 번거롭게 한다. 이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배관에 별도의 밸브가 설치하여야 한다. 이는 배관 및 유량 조절 장치를 복잡하게 한다.
또한 조절 유량을 전환할 경우, 유량 조절 장치의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제거하고, 오리피스의 개구량이 다른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플랜지들 사이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는 배관의 유지 관리를 번거롭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관의 유지 관리를 편리하게 하고 배관 구조를 단순하게 하는 유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는, 제1 배관에 연결되는 제1 플랜지, 제2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플랜지에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에 체결되는 조절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제1 유량 조절부와 제2 유량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구들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유량 조절부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를 연결하는 슬롯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유량 조절부는,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 사이에서 유량을 차단하는 블라인드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량 조절부는, 오리피스의 개구량으로 유량을 조절하는 오리피스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량 조절부는,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 사이에서 제1 오리피스의 개구량으로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오리피스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량 조절부는, 상기 제1 오리피스의 개구량보다 작게 설정된 제2 오리피스의 개구량으로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오리피스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유량 조절부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를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도록, 상기 제1 유량 조절부 및 상기 제2 유량 조절부 중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 유량 조절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1 손잡이의 반대측 상기 제2 유량 조절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구는,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에 형성되는 관통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1 관통구와, 상기 제1 유량 조절부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를 연결하는 슬롯으로 형성되는 제2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구는, 상기 제1 유량 조절부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슬롯과 제2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개스킷, 및 상기 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개스킷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개스킷 및 상기 제2 개스킷의 최대 직경은 상기 관통구들의 최내곽에 의하여 설정되는 직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2 유량 조절부를 가지는 조절 플레이트의 관통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로 제1, 제2 플랜지에 조절 플레이트를 체결하며, 관통구 중 일부를 제1, 제2 유량 조절부를 연결하는 슬롯으로 형성하여, 제1, 제2 플랜지 사이에서 제1, 제2 유량 조절부를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체결하므로 배관의 유지 관리를 편리하게 하고 배관 구조를 단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량 조절 장치를 결합한 상태에서, 블라인드부의 작동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량 조절 장치를 결합한 상태에서, 오리피스부의 작동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유량 조절 장치를 결합한 상태에서, 제1 오리피스부의 작동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100)는 제1 배관(1)에 연결되는 제1 플랜지(10), 제2 배관(2)에 연결되는 제2 플랜지(20), 및 서로 마주하는 제1, 제2 플랜지(10, 20) 사이에 배치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 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제1 배관(1)은 유체 공급측(예를 들면, 펌프)(미도시)에 연결되고, 제2 배관(2)은 유체 사용측(예를 들면, 기기 또는 노즐)(미도시)에 연결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을 분명히 한다. 조절 플레이트(30)는 제1, 제2 플랜지(10, 2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 공급측에서 유체 사용측으로 공급되는 유체를 차단하거나,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량 조절은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실제로 조절하는 작용과, 유체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유체의 단속 작용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 조절 플레이트(30)는 유체 공급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며, 유체를 공급할 때, 기설정된 유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즉, 조절 플레이트(30)는 제1, 제2 플랜지(10, 20)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체결되는 제1 유량 조절부(31)와 제2 유량 조절부(32)를 일체로 형성한다.
제1 유량 조절부(31)는 블라인드부로 형성되어 제1, 제2 배관(1, 2) 사이에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즉 제1, 제2 플랜지(10, 20) 사이에 제1 유량 조절부(31)가 배치되면 유체의 흐름이 차단된다. 제2 유량 조절부(32)는 오리피스(321)의 개구량으로 유량을 조절하는 오리피스부로 형성되어, 제1, 제2 배관(1, 2) 사이에서 유량을 조절한다. 즉 제1, 제2 플랜지(10, 20) 사이에 제2 유량 조절부(32)가 배치되면 유체의 흐름이 형성되면서 또한 오리피스(321)의 개구량에 따라 유량이 조절된다.
즉, 조절 플레이트(30)는 제1, 제2 플랜지(10, 20)에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제1 유량 조절부(31)와 제2 유량 조절부(32)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유량 조절부(31)가 제1, 제2 플랜지(10, 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유량 조절부(32)가 제1, 제2 플랜지(10, 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유량 조절 장치를 결합한 상태에서, 블라인드부의 작동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제2 유량 조절부(31, 32) 중 제1 유량 조절부(31)가 제1, 제2 플랜지(10, 20) 사이에 배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경우, 제2 유량 조절부(32)는 제1, 제2 플랜지(10, 20) 밖에 위치한다.
도 4는 도 1의 유량 조절 장치를 결합한 상태에서, 오리피스부의 작동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반대로, 제1 유량 조절부(31)가 제1, 제2 플랜지(10, 20) 밖에 위치하는 경우, 제2 유량 조절부(32)가 제1, 제2 플랜지(10, 20) 사이에 배치되어 유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조절 플레이트(30)는 제1, 제2 유량 조절부(31, 32)를 양측에 구비하여 연결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제2 플랜지(10, 20)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체결부재(40)가 관통되는 관통구(11, 12)를 각각 구비한다. 예를 들면, 체결부재(40)는 볼트(41)와 너트(42)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플랜지(10, 20) 사이에 조절 플레이트(30)를 배치하고, 제1 플랜지(10)의 관통구(11) 측으로 삽입되는 볼트(41)를 제2 플랜지(20)의 관통구(12) 측에서 너트(42)와 체결함으로써, 제1, 제2 플랜지(10, 20) 사이에 조절 플레이트(30)가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조절 플레이트(30)는 관통구들(33)을 구비한다. 관통구들(33)은 제1 유량 조절부(31)와 제2 유량 조절부(32)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관통구들(33)은 제1, 제2 유량 조절부(31, 32)에서 제1, 제2 플랜지(10, 20)의 관통구(11, 12)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1 관통구(331)와, 제1 유량 조절부(31)와 제2 유량 조절부(32)를 연결하는 슬롯으로 형성되는 제2 관통구(332)를 포함한다.
제1, 제2 유량 조절부(31, 32)에서 제1 관통구(331)는 제1, 제2 플랜지(10, 20)의 관통구(11, 12)에 대응하고, 제2 관통구(332)는 제1, 제2 플랜지(10, 20)의 z축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관통구(11, 12)에 대응한다. 제2 관통구(332)는 볼트(41)와 너트(42)를 완전히 해체하지 않고 체결력을 해제한 상태로 제1, 제2 플랜지(10, 20) 사이에서 조절 플레이트(30)의 y축 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도 2 및 도 4 참조).
제2 관통구(332)는 제1, 제2 유량 조절부(31, 32)의 폭 방향(z축 방향) 일측에서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관통구(332)는 폭 방향(z축 방향) 양측에서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제2 슬롯(341, 342)을 포함한다.
제1, 제2 슬롯(341, 342)은 제1, 제2 유량 조절부(31,32) 각각에서 제1 관통구들(331) 중심선이 형성하는 원에 대응하여, z축 방향 최상단과 최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볼트(41)에 대응하는 반원을 형성하고 마주하는 반원을 y축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즉 제1, 제2 슬롯(341, 34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제2 관통구(332)에 체결된 볼트(41)와 너트(42)의 체결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제1, 제2 플랜지(10, 20) 사이에서 조절 플레이트(30)의 y축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조절 플레이트(30)의 제1, 제2 유량 조절부(31, 32)는 제1, 제2 플랜지(10, 20)의 직경 중심에 대하여 선회되지 않으므로 제1, 제2 플랜지(10, 20)에서 얼라인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조절 플레이트(30)는 제1 또는 제2 유량 조절부(31, 32)의 일측에 손잡이(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35)는 제1, 제2 플랜지(10, 20) 사이에서 조절 플레이트(30)의 이동시 공구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또한 편리한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손잡이(35)는 제1 유량 조절부(31)에 형성되는 제1 손잡이(351)와 제2 유량 조절부(32)에 형성되는 제2 손잡이(352)를 포함한다. 제1, 제2 손잡이(351, 352)는 제1, 제2 유량 조절부(31, 32)의 각 측에서 조절 플레이트(30)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므로 제1, 제2 배관(1, 2) 주위의 작업환경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1, 제2 플랜지(10, 20)와 조절 플레이트(30) 사이에 제1, 제2 개스킷(51, 52)이 각각 위치한다. 제1 개스킷(51)은 조절 플레이트(30)와 제1 플랜지(10) 사이에 배치되어 실링 작용하고, 제2 개스킷(52)은 조절 플레이트(30)와 제2 플랜지(20) 사이에 배치되어 실링 작용한다.
제1, 제2 개스킷(51, 52)의 최대 직경(D1)은 관통구들(11, 12) 및 제1 관통구(331)의 최내곽에 의하여 설정되는 직경(D2, D3)보다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제2 관통구(332)와 이에 대응하는 관통구들(11, 12)에 2개의 볼트(41)가 걸쳐 놓은 상태에서 제1, 제2 개스킷(51, 52)의 삽입 및 인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유량 조절 장치(100)는 제1, 제2 배관(1, 2)에 연결되는 제1, 제2 플랜지(10, 20) 사이에 조절 플레이트(30)의 제1, 제2 유량 조절부(31, 32)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거나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므로 배관의 유지 관리를 편리하게 하고, 배관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유사 내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유량 조절 장치를 결합한 상태에서, 제1 오리피스부의 작동 상태의 우측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200)에서, 제1 유량 조절부(231)는 제1 배관(1)과 제2 배관(2) 사이에서 제1 오리피스(61)의 개구량으로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오리피스부로 형성되고, 제2 유량 조절부(232)는 제1 오리피스(61)의 개구량보다 작게 설정된 제2 오리피스(62)의 개구량으로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오리피스부로 형성된다.
제2 실시예의 제2 유량 조절부(232)는 제2 오리피스(62)를 가지는 제2 오리피스부로 형성되므로 오리피스(321)를 가지는 제1 실시예의 제2 유량 조절부(32)에 대응된다.
제2 실시예의 제1 유량 조절부(231)는 제1 오리피스(61)를 가지는 오리피스부로 형성되므로 제2 유량 조절부(232)와 함께 다양한 유량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제2 실시예에서 조절 플레이트(230)는 유체를 차단하지 않고 유체를 공급할 때, 조절되는 유량을 2가지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2 실시예의 유량 조절 장치(100, 200)에서, 조절 플레이트(30, 230)의 제1, 제2 오리피스부와 블라이드부를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더 많은 종류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미도시). 이 경우, 조절 플레이트에서 제1, 제2 오리피스부 사이에 슬롯을 형성하고, 제2 오리피스부와 블라인드부 사이에도 슬롯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2 : 제1, 제2 배관 10, 20 : 제1, 제2 플랜지
11, 21 : 관통구 30, 230 : 조절 플레이트
31, 231 : 제1 유량 조절부 32, 232 : 제2 유량 조절부
33 : 관통구 35 : 손잡이
40 : 체결부재 41 : 볼트
42 : 너트 51, 52 : 제1, 제2 개스킷
61, 62 : 제1, 제2 오리피스 100, 200 : 유량 조절 장치
321 : 오리피스 331, 332 : 제1, 제2 관통구
341, 342 : 제1, 제2 슬롯 351, 352 : 제1, 제2 손잡이

Claims (8)

  1. 제1 배관에 연결되는 제1 플랜지;
    제2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플랜지에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에 체결되는 조절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제1 유량 조절부와 제2 유량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구들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유량 조절부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를 연결하는 슬롯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량 조절부는,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 사이에서 유량을 차단하는 블라인드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량 조절부는,
    오리피스의 개구량으로 유량을 조절하는 오리피스부로 형성되는 유량 조절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량 조절부는,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 사이에서 제1 오리피스의 개구량으로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오리피스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량 조절부는,
    상기 제1 오리피스의 개구량보다 작게 설정된 제2 오리피스의 개구량으로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오리피스부로 형성되는 유량 조절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유량 조절부 및 상기 제2 유량 조절부 중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유량 조절 장치.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는,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에 형성되는 관통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1 관통구와,
    상기 제1 유량 조절부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를 연결하는 슬롯으로 형성되는 제2 관통구를 포함하는 유량 조절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구는,
    상기 제1 유량 조절부와 상기 제2 유량 조절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슬롯과 제2 슬롯을 포함하는 유량 조절 장치.
  7.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에 있어서,
    상기 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개스킷 및
    상기 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유량 조절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스킷 및 상기 제2 개스킷의 최대 직경은 상기 관통구들의 최내곽에 의하여 설정되는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는 유량 조절 장치.
KR1020100055479A 2010-06-11 2010-06-11 유량 조절 장치 KR101284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479A KR101284870B1 (ko) 2010-06-11 2010-06-11 유량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479A KR101284870B1 (ko) 2010-06-11 2010-06-11 유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636A true KR20110135636A (ko) 2011-12-19
KR101284870B1 KR101284870B1 (ko) 2013-07-09

Family

ID=4550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479A KR101284870B1 (ko) 2010-06-11 2010-06-11 유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8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2224A (zh) * 2013-06-28 2013-09-25 无锡市伟丰印刷机械厂 一种石油管道输送用滑盖式闸板
CN103322223A (zh) * 2013-06-28 2013-09-25 无锡市伟丰印刷机械厂 一种新型石油管道插板
CN103322228A (zh) * 2013-06-28 2013-09-25 无锡市伟丰印刷机械厂 一种石油运输管道双面抗压闸板
KR20200079072A (ko) * 2018-12-24 2020-07-02 한국가스공사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3043B3 (de) * 2014-02-19 2015-03-05 Minimax Gmbh & Co. Kg Löschfluiddüsensystem, insbesondere Löschgasdüsensystem für stationäre Feuerlöschsysteme, sowie Löschfluiddüse und -blende für selbiges
KR101859081B1 (ko) * 2016-11-21 2018-05-17 (주)쿠첸 전기압력밥솥의 가변 압력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0388A (ja) * 1996-04-19 1997-10-28 Toshiba Corp 可変式流量制限オリフィスおよびこのオリフィスを用いた配管構造体
CA2276635A1 (en) * 1998-10-06 2000-04-06 Dover Corporation Sump stabilizer ba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2224A (zh) * 2013-06-28 2013-09-25 无锡市伟丰印刷机械厂 一种石油管道输送用滑盖式闸板
CN103322223A (zh) * 2013-06-28 2013-09-25 无锡市伟丰印刷机械厂 一种新型石油管道插板
CN103322228A (zh) * 2013-06-28 2013-09-25 无锡市伟丰印刷机械厂 一种石油运输管道双面抗压闸板
CN103322228B (zh) * 2013-06-28 2016-05-11 无锡市伟丰印刷机械厂 一种石油运输管道双面抗压闸板
KR20200079072A (ko) * 2018-12-24 2020-07-02 한국가스공사 가스저장탱크의 노즐부 차단밸브 분리 및 설치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분리 및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870B1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870B1 (ko) 유량 조절 장치
US8973615B2 (en) Fluid control device
US7857173B2 (en) Solenoid control valve with quick-connect fittings for mating with an adhesive control module assembly of a hot melt adhesive dispensing system
US8015991B2 (en) Manifold-type solenoid valve apparatus having stop valve
US7726333B2 (en) Fluid controller
EP0877170B1 (en) Couplings for fluid controllers
CN203670984U (zh) 具有内部通道的装置、致动器装置和设备
EP1873433A1 (en) Fluid control device
KR101674849B1 (ko) 유체 제어 장치
JP6242500B2 (ja) 絞りリングを有する、定置式消火システム用の消火流体ノズルシステム、並びに消火流体ノズルおよび消火流体ノズル用の絞りリング
KR101398195B1 (ko) 방식 전환 가능형 유체 이송제어용 개폐밸브
KR101231924B1 (ko) 분리형 공기구동식 밸브용 포지셔너장치
ATE386227T1 (de) Vorrichtung zum zuführen eines fluids für einen mechanismus mit hydraulischer steuerung
JP6486035B2 (ja) マニホールドバルブおよび流体制御装置
JP6175300B2 (ja) 流体制御装置用継手部材および流体制御装置
JP6518501B2 (ja) 流体制御装置用継手、流体制御装置用開閉弁および流体制御装置
RU2496042C2 (ru) Вентиль для парокомпрессионной установки
KR20150000330U (ko) 밸브 안전장치
CN218440673U (zh) 一种新型流体阀门
KR20160134897A (ko) 유압 방향전환 블록
KR200415444Y1 (ko)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
KR20120054788A (ko) 멀티홀 오리피스
KR200486163Y1 (ko) 건설기기용 메인 컨트롤밸브 어셈블리
BR112018004427B1 (pt) Dispositivo e método de resfriamento para o resfriamento secundário de um lingote
KR20130131765A (ko) 유출방향전환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