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444Y1 -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 - Google Patents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444Y1
KR200415444Y1 KR2020060004114U KR20060004114U KR200415444Y1 KR 200415444 Y1 KR200415444 Y1 KR 200415444Y1 KR 2020060004114 U KR2020060004114 U KR 2020060004114U KR 20060004114 U KR20060004114 U KR 20060004114U KR 200415444 Y1 KR200415444 Y1 KR 200415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gas supply
gas
valve housing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정
Original Assignee
이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정 filed Critical 이기정
Priority to KR2020060004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4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4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분기관과 단일체로 이루어진 개폐밸브를 통해 각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밸브 및 공급관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고, 공급관과 밸브의 연결부를 줄여 설치작업이 용이한 동시에 가스 누출에 의한 사고의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는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가스 공급원으로 연결되는 주관체(11) 및 이 주관체(11)에 소정 간격으로 연결된 복수의 분기관(12)을 구비한 가스 공급관(10)에 설치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10)의 각 분기관(12)에 연결되며 양측에 각각 유입구(111) 및 유출구(113)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111) 및 유출구(113)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연결시키는 복수의 유로(115)가 형성된 밸브하우징(110)과, 상기 밸브하우징(110)의 각 유로(115) 상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밸브체(140)와, 상기 밸브체(140)와 각각 연결되어 밸브하우징(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플런저(130)와, 전원 공급에 따라 각 플런저(130)를 왕복운동시켜 밸브하우징(110)의 각 유로가 각 밸브체(140)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150)를 포함하는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가 제공된다.
주관체, 분기관, 공급관, 밸브하우징, 유로

Description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 {Valve for regulating feed of fuel gas for gas burner}
도 1은 종래의 버너용 가스 공급관 및 공급 조절밸브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의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 가스공급 조절밸브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스 공급관 11 : 주관체
12 : 분기관 110 : 밸브하우징
111 : 유입구 113 : 유출구
115 : 유로 117 : 개구부
118 : 유출포트 119 : 유입포트
120 : 플런저가이드 130 : 플런저
150 : 솔레노이드 157 : 케이블
161 : 스프링 163 : 케이싱
본 고안은 복수의 분기관이 구비된 가스 공급관에 설치되는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분기관 별로 단일체로 이루어진 개폐밸브에 의해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밸브와 공급관의 설치공간이 적게 소요되고, 설치작업이 간단하며, 가스누출의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는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버너는 LPG, LNG 등과 같은 연료 가스를 연소시켜 난방이나 취사 등을 위한 열을 발생시키도록 된 것으로,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가스 버너의 형태에 따라 연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및 밸브도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는데, 도 1에는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스 공급관(10) 및 밸브(20, 2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관(10)은 가스 공급원으로 연결되는 주관체(11)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분기관(12, 12')이 연결되고, 각 분기관(12, 12')은 한 쌍씩 다시 합쳐져 각 쌍의 분기관(12, 12')을 통해 버너 별로 연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 분기관(12, 12')에 개폐식 솔레노이드 밸브(20, 20')가 설치되어 쌍을 이루는 양측 분기관(12, 12')에 설치된 두 밸브(20, 20')의 개폐에 따라 각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가스공급 조절구조는, 비록 가스 공급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는 없으나, 고가의 유량조절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저렴한 개폐밸브를 이용하여 가스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버너 별로 두 개씩의 분기관(12, 12') 및 밸브(20, 20')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우선 설치 공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가스 공급관(10)의 배관이 복잡하게 되어 주관체(11), 분기관(12, 12') 및 밸브(20, 20')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가 많은 만큼, 설치 작업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고 연결부의 가스 누출에 의한 사고발생의 우려도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분기관과 단일체로 이루어진 개폐밸브를 통해 각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밸브 및 공급관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고, 공급관과 밸브의 연결부를 줄여 설치작업이 용이한 동시에 가스 누출에 의한 사고의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는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가스 공급원으로 연결되는 주관체 및 이 주관체에 소정 간격으로 연결된 복수의 분기관을 구비한 가스 공급관에 설치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각 분기관에 연결되며 양측에 각각 유 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연결시키는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각 유로 상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와 각각 연결되어 밸브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플런저와, 전원 공급에 따라 각 플런저를 왕복운동시켜 밸브하우징의 각 유로가 각 밸브체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밸브하우징의 각 유로는 서로 다른 유량을 통과시킬 수 있는 규격으로 형성된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절밸브(100)는, 하나의 주관체(11)에 연결된 다수의 분기관(12)을 통해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도록 된 가스 공급관(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주관체(11)와 각 분기관(12)의 연결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밸브하우징(110)과, 이 밸브하우징(110)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한 쌍의 플런저(130) 및 솔레노이드(150)로 대략 구성된다.
상기 밸브하우징(110)의 양측에는 하나의 유입구(111)와 유출구(113)가 구비 되며, 상기 유입구(111) 부분은 주관체(11)에 구비된 다수의 연결니플(11a) 중 하나에, 상기 유출구(113) 부분은 각 버너로 연결되는 분기관(12)에 각각 너트에 의해 결합된다. 이 밸브하우징(110)의 양측에는 각각 상향 개방되고 암나사(117a)가 구비된 개구부(117)가 형성되고, 각 개구부(117)에 플런저가이드(120)가 나사 결합된다. 각 개구부(117)의 바닥 중앙부에는 유출구(113)와 연통된 유출포트(118)가 형성되고, 이 유출구(113)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유입구(111)와 연통된 유입포트(119)가 형성된다. 상기 플런저가이드(120)와 밸브하우징(110) 사이의 공간과 유입포트(119) 및 유출포트(118)를 통해 상기 유입구(111) 및 유출구(113)를 연통시키되 서로 다른 분리된 경로를 이루는 한 쌍의 유로(115)가 형성된다. 양측의 유로(115)는 서로 다른 유량을 통과시킬 수 있는 규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고려하여 상기 솔레노이드(150) 및 플런저(130)의 규격도 서로 다르게 선택되어질 수 있다.
상기 플런저가이드(120)는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의 하부에 숫나사(121)가 구비된 것으로, 그 내부에 상기 플런저(130)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플런저(130)는 하부에 밸브체(140)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측에 스프링(161)이 삽입되는 축방향 구멍(131)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16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유출포트(118)를 가로막도록 하향 지지된다. 각 플런저(130)의 외주면에는 원활한 승강동작을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통기홈(133)이 형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50)는 각 플런저가이드(120)의 외주면에 삽입결합된다. 이 솔레노이드(150)는 보빈(151)에 감겨진 코일(153) 및 그 외부를 감싸는 하우징 (155)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것으로, 상기 코일에 연결된 케이블(157)을 통해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플런저(130)를 상향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이 솔레노이드(150)의 외부를 감싸 보호하는 동시에 밸브하우징(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싱(163)이 상기 플런저가이드(120)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165)에 의해 결합된다. 부호 167은 상기 케이싱(163)이 밸브하우징(110)에 대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가스공급 조절밸브(100)는 양측 솔레노이드(150)의 전원공급에 따라 가스의 공급량을 네 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양측 솔레노이드(150) 모두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양측 플런저(130)가 스프링(161)에 의해 하강된 상태로 각 유출포트(118)를 막아 양측 유로(115)의 가스 흐름이 차단되고, 어느 한 솔레노이드(150)에 전원이 공급되어 해당 플런저(130)가 상승되면 해당 유출포트(118)를 통해 유로(115)가 개방되어 분기관(12)으로 가스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양측 유로(115)를 통한 유량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었으므로, 어느쪽 유로(115)가 개방되느냐에 따라 분기관(12)으로 공급되는 유량이 두 단계로 다르게 조절된다. 또한, 양측 솔레노이드(150) 모두에 전원이 공급되면 양측 유로(115)가 모두 개방되어 두 유로(115)의 유량의 합에 해당하는 최대치로 각 분기관(12)으로 공급되는 가스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절밸브(100)는 단일체로 이루어진 밸브를 각 분기관(12)에 연결 설치하여 각 분기관(12) 별로 개별적인 가스 공급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각 버너 별로 둘 이상의 분기관(12) 및 밸브가 설치되어야 했던 종래의 경우에 비해 설치공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한 분기관(12)의 수가 감소되는 만큼, 공급관(10)의 주관체(11)와 분기관(12) 및 밸브하우징(110)의 연결부도 줄어들게 되므로 설치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부를 통한 가스 누출의 위험도 경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밸브하우징(110)의 양측 유로(115)를 통해 서로 다른 유량으로 가스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두 유로(115)의 선택적 개폐에 의해 가스 공급량을 보다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밸브하우징(110)에 한 쌍의 유로(115)가 구비되어 한 쌍의 플런저(130) 및 솔레노이드(150)가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비용 대비 효율성을 고려하여 보다 많은 복수의 유로(115), 플런저(130) 및 솔레노이드(150) 등을 구비한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유로(115)의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통상의 플런저(130) 및 밸브체(140)에 의해 개폐 가능하되, 유입구(111)와 유출구(113)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연통시키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독립된 경로를 이루는 복수의 유로를 개폐시켜 밸브에 연결된 각 분기관 별로 가스 공급량을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분기관과 밸브의 소요 수량이 감소되어 설치공간이 절감되며, 관로 간의 연결부 및 관로와 밸브의 연결부가 줄어들어 설치작업이 간편해지고 연결부를 통한 가스 누출의 우려가 경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유로의 유량을 다르게 하여 각 유로의 선택적 개폐 및 그 조합에 의해 분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보다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가스 공급원으로 연결되는 주관체(11) 및 이 주관체(11)에 소정 간격으로 연결된 복수의 분기관(12)을 구비한 가스 공급관(10)에 설치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10)의 각 분기관(12)에 연결되며 양측에 각각 유입구(111) 및 유출구(113)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111) 및 유출구(113)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연결시키는 복수의 유로(115)가 형성된 밸브하우징(110)과, 상기 밸브하우징(110)의 각 유로(115) 상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밸브체(140)와, 상기 밸브체(140)와 각각 연결되어 밸브하우징(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플런저(130)와, 전원 공급에 따라 각 플런저(130)를 왕복운동시켜 밸브하우징(110)의 각 유로가 각 밸브체(140)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150)를 포함하는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110)의 각 유로(115)는 서로 다른 유량을 통과시킬 수 있는 규격으로 형성된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
KR2020060004114U 2006-02-14 2006-02-14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 KR200415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14U KR200415444Y1 (ko) 2006-02-14 2006-02-14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14U KR200415444Y1 (ko) 2006-02-14 2006-02-14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444Y1 true KR200415444Y1 (ko) 2006-05-03

Family

ID=4176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114U KR200415444Y1 (ko) 2006-02-14 2006-02-14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4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645B1 (ko) 2009-09-09 2011-04-12 주식회사 위드텍 샘플링 포트 클리닝 수단을 구비한 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645B1 (ko) 2009-09-09 2011-04-12 주식회사 위드텍 샘플링 포트 클리닝 수단을 구비한 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67104C (en) Poppet valve
RU2008135045A (ru) Регулятор давления с управляющей полостью
US9599232B2 (en) Single coil dual solenoid valve
JP4782711B2 (ja) 方向制御弁装置およびこの方向制御弁装置を複数備えた方向制御弁装置ブロック
KR101285748B1 (ko) 유수 제어기능을 갖는 전자석 밸브
KR20210115851A (ko) 솔레노이드 밸브
WO2013136914A1 (ja) 制御バルブ
KR102453016B1 (ko) 연소장치
RU2647949C2 (ru) Саморегулируемая заглушка клапана
KR200415444Y1 (ko) 버너용 가스공급 조절밸브
JP5848724B2 (ja) 過流防止機能付き弁装置
US20140151588A1 (en) Adjustable gas electromagnetic valve
ATE557223T1 (de) Auslassventil für ein löschsystem
KR101994110B1 (ko) 역압방지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컨트롤 밸브
RU2570485C2 (ru) Клап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US3062992A (en) Unitized fluid control valve
KR20080113891A (ko) 압축천연가스 레귤레이터
KR101994230B1 (ko) 연결기능을 갖는 가스레인지용 밸브
US3496951A (en) Convertible control manifold assembly
JP5685490B2 (ja) 複合弁
KR101669488B1 (ko) 스마트 복합밸브
KR20110092726A (ko) 밸브 조립체
KR102613978B1 (ko) 유량제어밸브
US10168054B2 (en) Control device for gas ovens
KR200347480Y1 (ko) 보일러시스템의 3방향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