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662A -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학습 서버와,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학습 서버와,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662A
KR20110134662A KR1020100054365A KR20100054365A KR20110134662A KR 20110134662 A KR20110134662 A KR 20110134662A KR 1020100054365 A KR1020100054365 A KR 1020100054365A KR 20100054365 A KR20100054365 A KR 20100054365A KR 20110134662 A KR20110134662 A KR 20110134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earner
electronic pen
data
mathema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희
김귀현
이철훈
정윤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스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스터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스터디
Priority to KR1020100054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4662A/ko
Publication of KR20110134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학습 서버와,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지와 학습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전자학습지 형태의 수학학습지와, 이 수학학습지와 대응되게 동작하는 학습 도구로서의 전자펜을 이용하여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학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학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학습 서버와,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학습 서버와,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METHOD AND STUDY SERVER FOR PROVIDING MATHEMATICS STUDY SERVICE USING ELECTRONIC PEN, AND MATHEMATICS STUDY TOOL SYSTEM}
본 발명은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학습 서버와,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지와 학습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전자학습지 형태의 수학학습지와, 이 수학학습지와 대응되게 동작하는 학습 도구로서의 전자펜을 이용하여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학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학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학습 서버와,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나 단말기 기술의 급진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 학습 방식이나 온라인 학습 방식에 관계없이 종래 학습 방식에 있어서는, 여전히, 종이로 된 학습지를 서점에서 구매하거나 학습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아 종이로 출력하여 연필이나 펜 등의 필기도구로 학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 학습 방식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보고하거나, 학습시 궁금한 점이나 첨삭 받고자 하는 점이 있는 경우, 학습한 내용, 또는 질문할 내용이나 첨삭 받을 내용을 학습 사이트에 올리거나 해당 선생님 또는 해당 첨삭자에게 메일로 보내서 질문에 답변이나 첨삭을 받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학습 방식에서는, 학습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이나 문제, 또는 자주 틀리는 문제 등이 있으면, 별도의 학습 노트에 기재해두거나 워드 파일로 작성해두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종래 학습 방식에서는, 학습 보고, 질문하기, 첨삭받기 및 학습내용/문제 정리 등에 있어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 문제점은, 단순히 문자 형태로만 된 학습결과가 아니라, 숫자, 기호, 그래프, 또는 표 등의 복잡한 형태로 된 학습결과가 되는 수학학습에 있어서는, 학습 보고, 질문하기, 첨삭받기 및 학습내용/문제 정리 등에 있어서 불편한 문제점은 더욱더 커지게 된다.
또한, 종래 학습 방식에서는, 학습 내용에 대한 개념 강의나 문제 해설 강의를 듣거나 보기 위하여, 강의 시청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다운받아 설치해두고, 강의 파일을 해당 컴퓨터에 다운받아 설치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리하고 효율적인 수학학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지와 학습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전자학습지 형태의 수학학습지와, 이 수학학습지와 대응되게 동작하는 학습 도구로서의 전자펜을 포함하는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습자의 번거로운 추가 동작 없이도, 학습한 내용, 질문할 내용 및 첨삭 받을 내용을 수학학습지와 전자펜을 통해 편리하고 신속하게 전송해줌으로써,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 확인과, 질문 답변 및 첨삭 내용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따른 목적은, 강의 시청을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설치하기 위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검색하는 등의 추가 절차를 거칠 필요 없이, 수학학습지와 전자펜을 통해 편리하게 단말기나 전자펜에 자동 설치하여 단말기나 전자펜을 통해 강의 시청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특정 학습자의 식별정보로 식별되는 학습자용 전자펜의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수학학습지에 대응되는 학습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으로 송신하고,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의 학습타이머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수학학습지에 해당하는 학습타이머를 동작시켜 수학학습 시간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의 전송하기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에 의해 미리 생성된 문제풀이 데이터 및 질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며,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의 문항 등록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수학학습지에서 해당하는 문항 정보를 등록하는 학습 관리부; 상기 문제풀이 데이터, 상기 질문 데이터 및 상기 문항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첨삭자용 단말기로 송신한 이후, 상기 문제풀이 데이터, 상기 질문 데이터 및 상기 문항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상기 첨삭자용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첨삭자용 전자펜에 의해 생성된 학습평가 데이터 및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첨삭자용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고, 상기 학습평가 데이터 및 상기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과 통신 가능한 학습자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첨삭 관리부; 및 상기 수학학습지에 대한 학습지 식별정보, 상기 수학학습 시간 정보, 상기 문제풀이 데이터, 상기 질문 데이터, 상기 문항 정보, 상기 학습평가 데이터 및 상기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학습이력 데이터를 상기 특정 학습자의 식별정보와 연계시켜 저장하고, 상기 학습이력 데이터를 관리하는 학습이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 서버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학습 서버가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학습자의 식별정보로 식별되는 학습자용 전자펜의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수학학습지에 대응되는 학습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으로 송신하고,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의 학습타이머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수학학습지에 해당하는 학습타이머를 동작시켜 수학학습 시간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의 전송하기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에 의해 미리 생성된 문제풀이 데이터 및 질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며,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의 문항 등록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수학학습지에서 해당하는 문항 정보를 등록하는 학습 서비스 단계; 상기 문제풀이 데이터, 상기 질문 데이터 및 상기 문항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첨삭자용 단말기로 송신한 이후, 상기 문제풀이 데이터, 상기 질문 데이터 및 상기 문항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상기 첨삭자용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첨삭자용 전자펜에 의해 생성된 학습평가 데이터 및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첨삭자용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고, 상기 학습평가 데이터 및 상기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과 통신 가능한 학습자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첨삭 서비스 단계; 및 상기 수학학습지에 대한 학습지 식별정보, 상기 수학학습 시간 정보, 상기 문제풀이 데이터, 상기 질문 데이터, 상기 문항 정보, 상기 학습평가 데이터 및 상기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학습이력 데이터를 상기 특정 학습자의 식별정보와 연계시켜 저장하고, 상기 학습이력 데이터 관리하는 학습이력 관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도트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도트패턴에 근거하여 인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표시되며, 필기 가능한 문제풀이 영역 및 질문하기 영역 중 하나 이상의 필기 영역이 형성된 수학학습지; 및 상기 수학학습지에 형성된 도트패턴에 대한 도트패턴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수학학습지에 표시된 아이콘과 접촉되면 해당 아이콘을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도트패턴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필기 영역에서의 학습자 필기를 문자, 숫자, 기호, 그림, 그래프 및 표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하도록 해주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학습자용 전자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편리하고 효율적인 수학학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지와 학습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전자학습지 형태의 수학학습지와, 이 수학학습지와 대응되게 동작하는 학습 도구로서의 전자펜을 포함하는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자의 번거로운 추가 동작 없이도, 학습한 내용, 질문할 내용 및 첨삭 받을 내용을 수학학습지와 전자펜을 통해 편리하고 신속하게 전송해줌으로써,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 확인과, 질문 답변 및 첨삭 내용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강의 시청을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설치하기 위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검색하는 등의 추가 절차를 거칠 필요 없이, 수학학습지와 전자펜을 통해 편리하게 단말기나 전자펜에 자동 설치하여 단말기나 전자펜을 통해 강의 시청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수학학습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수학학습지의 학습지 표지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수학학습지의 첫 페이지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수학학습지의 마지막 페이지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 제공에 따른 학습자, 첨삭교사 및 사이버 튜터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학습자가 이용하는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100)과, 첨삭교사('첨삭자'라고도 함)가 이용하는 첨삭 도구 시스템(300)과,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100) 및 첨삭 도구 시스템(300)과 연결되는 학습 서버(200) 등을 포함한다.
먼저, 학습자가 이용하는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100)을 설명한다.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100)은, 수학을 학습하고자하는 학습자가 이용하는 시스템으로서, 학습교재이면서 학습도구로서의 기능을 하는 수학학습지(110) 및 학습자가 손으로 잡고 연필이나 펜처럼 사용하는 학습자용 전자펜(120)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수학학습지(110)는, 일반적인 종이로 된 학습지가 아니라, 학습자용 전자펜(120)에 의해 인식가능한 고유한 도트패턴(Dot Pattern)이 형성되고, 형성된 도트패턴에 근거하여 학습자용 전자펜(120)에 의해 인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는 전자학습지이다. 이러한 수학학습지(110)는, 학습자용 전자펜(120)으로 필기 가능한 문제풀이 영역 및 질문하기 영역 등 중 하나 이상의 필기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수학학습지(110)에 형성된 도트패턴에 대한 도트패턴 인식에 기반하여, 수학학습지(110)에 표시된 아이콘과 접촉되면 해당 아이콘을 인식하여 인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학습자용 전자펜(120)을 이용하여 수학학습지(110)의 필기 영역에 학습자 필기를 하는 경우, 학습자 전자펜(120)은, 수학학습지(110)에 형성된 도트패턴에 대한 도트패턴 인식에 기반하여, 수학학습지(110)의 필기 영역에서의 이러한 학습자 필기에 대하여, 학습자 필기를 문자, 숫자, 기호, 그림, 그래프 및 표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하도록 해주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필기 데이터는, 문제풀이 영역에서의 문제풀이 필기 데이터 및 질문하기 영역에서의 질문 필기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필기 데이터는, 학습자용 전자펜(120)이 필기 영역과 접촉되어 인식된 도트들의 위치정보(좌표값) 등의 도트패턴 정보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도트패턴 정보로부터 해석된 문자, 숫자, 기호, 그림, 그래프 및 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도트패턴 정보로부터 학습자 필기의 필기 궤적을 구하여 얻어진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수학학습지(110)에는 학습 서버(200)에 의해 고유한 학습지 식별정보가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학습지 식별정보가 부여된 수학학습지(110)에 대응되는 학습파일을 학습 서버(200)로부터 다운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학습파일은, 학습자용 전자펜(120)을 이용하여 수학학습지(110)를 학습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로서, 수학학습지(110)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개념듣기 데이터, 해설듣기 데이터, 정답 데이터 및 힌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수학학습 관련 데이터와, 학습자용 전자펜(120)에서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수학학습 관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와, 수학학습지(110)에 형성된 도트패턴이 학습자용 전자펜(120)에 의해 인식되는데 이용되는 도트패턴 데이터와, 수학학습지(110)에 표시된 아이콘이 학습자용 전자펜에 의해 인식되는데 이용되는 아이콘 인식 관련 데이터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학습자가 수학학습지(110)와 학습자 전자펜(120)을 이용한 수학학습을 할 때, 학습 관리, 첨삭 관리 및 학습이력 관리 등을 받기 위하여, 전술한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100)은, 유무선 기반의 인터넷 등을 통해 학습 서버(200)와 연결되어 수학학습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학습자용 단말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자용 단말기(130)는, 학습자용 전자펜(12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자용 단말기(130)는, 학습 서버(200)가 학습자용 전자펜(120)으로 제공하는 학습 파일을 중간에서 전달해줄 수 있고, 학습자용 전자펜(120)에서 생성된 필기 데이터(문제풀이 필기 데이터, 질문 필기 데이터) 등의 학습 보고 데이터를 학습 서버(200)로 전달하여 업로드시켜줄 수 있다. 또한, 학습 서버(200)에 등록된 첨삭 데이터를 수신하여 학습자용 전자펜(120)으로 전달해줄 수도 있다.
다음으로, 학습자에게 첨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첨삭자(첨삭교사)가 이용한 첨삭 도구 시스템(300)을 설명한다. 이러한 첨삭 도구 시스템(300)은, 기본적으로,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10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첨삭 도구 시스템(300)은, 유무선 기반의 인터넷 등을 통해 학습 서버(200)에 연결되어 해당 수학학습 사이트에 접속하여 학습자용 전자펜(120)에 의해 생성된 필기 데이터(문제풀이 필기 데이터, 질문 필기 데이터)를 학습 서버(200)로 전달받는 첨삭자용 단말기(330)와, 이러한 필기 데이터를 토대로 한 해당 필기가 학습자가 이용한 수학학습지(110)에 기재된 수학학습지(310)와, 첨삭자가 첨삭하는 필기 인식을 통해 첨삭 데이터나 학습평가 데이터 등을 생성하는 첨삭자용 전자펜(32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첨삭자용 전자펜(320)는 첨삭자가 사용한다는 점에서 학습자용 전자펜(120)과 다를 뿐, 그 기능과 특징은 동일하다.
또 다음으로, 학습 서버(200)는,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100) 및 첨삭 도구 시스템(300) 간의 연결성을 보장해주어, 학습자 및 첨삭자(첨삭교사)에게는 수학학습에 대한 학습 관리, 첨삭 관리 및 학습이력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이러한 학습 서버(200)는, 학습자 관리를 위한 학습자 정보(예: 학습자의 식별정보나 ID), 수학학습지(110)를 관리하기 위한 학습지 정보(예: 수학학습지(110)의 학습지 식별정보, 도트패턴 정보 등), 수학학습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나 애플리케이션 관리 등을 저장, 관리, 전송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서버(200)는, 해당 수학학습 서비스 사이트에 대한 모든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100), 학습 서버(200) 및 첨삭 도구 시스템(300) 이외에도, 학습자와 첨삭자 간의 중재 역할을 하고, 학습자로부터 학습상담요청을 받아 학습관리를 해주며, 첨삭자(첨삭교사)와 학습자의 학습이력 정보를 공유하는 사이버 튜터(Cyber Tutor)가 사용하는 사이버 튜터 단말기(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사이버 튜터 단말기(430)는, 해당 수학학습 서비스 사이트의 운영자나 해당 업무를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전술한 학습 서버(200)는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 전술한 수학학습지(110)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 서버(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 서버(200)는, 학습자가 수학학습지(110)로 수학학습을 할 수도 있도록 해주고 수학학습 관리 및 학습보고를 받는 학습 관리부(210)와, 학습자의 학습보고(문제풀이나 질문 등을 포함)에 대하여 첨삭자의 학습평가나 첨삭을 가능하게 해주고 학습평가나 첨삭한 데이터를 학습자에게 전달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첨삭 관리부(220)와, 학습자의 학습보고. 첨삭자의 첨삭 등을 토대로 학습자에 대한 학습이력 데이터를 생성 관리하고 첨삭자나 사이버튜터 간에 공유시켜 주는 학습이력 관리부(230)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학습 관리부(210)는, 특정 학습자의 식별정보로 식별되는 학습자용 전자펜(120)의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수학학습지(110)에 대응되는 학습파일을 데이터베이스(240)에서 추출하여 학습자용 전자펜(120)으로 송신하고, 학습자용 전자펜(120)의 '학습타이머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수학학습지(110)에 해당하는 학습타이머를 동작시켜 수학학습 시간 정보를 관리하며, 학습자용 전자펜(120)의 '전송하기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학습자용 전자펜(120)에 의해 미리 생성된 문제풀이 데이터(문제풀이 필기 데이터를 포함하고,문제풀이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음) 및 질문 데이터(질문 필기 데이터를 포함하고, 질문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음) 중 하나 이상을 학습자용 전자펜(120)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240)에 등록(저장)하며, 학습자용 전자펜(120)의 '문항 등록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수학학습지(110)에서 해당하는 문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40)에 등록(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첨삭 관리부(220)는, 학습 관리부(21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240)에 등록된 문제풀이 데이터, 질문 데이터 및 문항 정보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첨삭자용 단말기(330)로 송신한 이후, 문제풀이 데이터, 질문 데이터 및 문항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첨삭자용 단말기(330)와 통신 가능한 첨삭자용 전자펜(320)에 의해 생성된 학습평가 데이터 및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첨삭자용 전자펜(320)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240)에 등록하고, 데이터베이스(240)에 등록된 학습평가 데이터 및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학습자용 전자펜(120)과 통신 가능한 학습자용 단말기(13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학습이력 관리부(230)는, 수학학습지(110)에 대한 학습지 식별정보, 학습타이머의 동작에 따라 관리되는 수학학습 시간 정보(날짜, 시간 등)와, 학습자용 전자펜(120)에 의해 생성되어 수신된 문제풀이 데이터, 질문 데이터 및 문항 정보와, 첨삭자용 전자펜(320)에 의해 생성되어 수신된 학습평가 데이터 및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학습이력 데이터를 특정 학습자의 식별정보와 연계시켜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학습이력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학습 관리부(210)는, 학습자용 전자펜(120)에 의해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이 인식되었다는 것을 인지하면, 데이터베이스(240)에 미리 저장된 학습파일들 중에서, 해당 수학학습지(110)에 대응되는 학습파일을 추출하여 학습자용 단말기(130)를 통해 학습자용 전자펜(12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파일은 학습자용 전자펜(120)에 저장되고, 학습자용 단말기(130)에도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학습 관리부(21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240)에서 추출된 학습파일은, 수학학습지(110)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개념 및 문제풀이 등에 대한 강의 데이터(강의 보기 데이터 및 강의 듣기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 정답 데이터 및 힌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학학습 관련 데이터'와, 학습자용 전자펜(120)에서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수학학습 관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와, 수학학습지(110)에 형성된 도트패턴이 학습자용 전자펜(120)에 의해 인식되는데 이용되는 '도트패턴 데이터'와, 수학학습지(110)에 표시된 아이콘이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120)에 의해 인식되는데 이용되는 '아이콘 인식 관련 데이터'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아이콘 인식 관련 데이터는, 수학학습지(110)에 표시된 아이콘의 개수나 종류 등의 정보와, 이러한 아이콘과 도트패턴의 매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학습 관리부(210)는, 학습자용 전자펜(120)의 '강의 듣기 아이콘(개념듣기 아이콘, 해설듣기 아이콘 등)'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해당 강의 듣기 데이터를 학습자용 단말기(130)를 통해 학습자용 전자펜(120)으로 송신하여 학습자용 전자펜(120)에서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학습 관리부(210)는, 학습자용 전자펜(120)의 '강의 보기 아이콘(개념보기 아이콘, 해설보기 아이콘 등)'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해당 강의 보기 데이터가 학습자용 단말기(130)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학습 관리부(210)는,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수학학습지 리스트를 학습자용 단말기(130) 또는 학습자용 전자펜(120)으로 제공하고, 제공된 수학학습지 리스트 중 선택된 수학학습지(110)에 대한 파일을 데이터베이스(240)에서 추출하여 학습자용 단말기(130)로 제공해줄 수 있다. 이렇게 학습자용 단말기(130)로 제공된 수학학습지(110)에 대한 파일은 출력되어, 학습자가 수학학습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는 원하는 내용이나 단원의 수학학습지(110)를 골라서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학습 관리부(210)가, 학습자용 전자펜(120)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문제풀이 데이터 및 질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은, 수학학습지(110)에 형성된 문제풀이 영역 및 질문하기 영역 중 하나 이상의 필기 영역에서의 학습자 필기(학습자용 전자펜(120)이 필기영역에 접촉되어 움직이는 것을 의미함)를 문자, 숫자, 기호, 그림, 그래프 및 표 등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표현하도록 해주는 정보(예: 도트패턴 정보, 필기 궤적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풀이 데이터 및 질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은, 학습자가 학습자용 전자펜(120)을 이용하여 수학학습지(110)의 필기 영역에 학습자 필기를 하여, 학습자 전자펜(120)이 수학학습지(110)에 형성된 도트패턴에 대한 도트패턴 인식에 기반하여, 학습자 필기를 문자, 숫자, 기호, 그림, 그래프 및 표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하도록 해주는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데이터(문제풀이 필기 데이터, 질문 필기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기 데이터는, 학습자용 전자펜(120)이 필기 영역과 접촉되어 인식된 도트들의 위치정보(좌표값) 등의 도트패턴 정보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도트패턴 정보로부터 해석된 문자, 숫자, 기호, 그림, 그래프 및 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도트패턴 정보로부터 학습자 필기의 필기 궤적을 구하여 얻어진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학습이력 관리부(230)는, 첨삭자용 단말기(330)로부터 특정 학습자에 대한 학습이력 공유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특정 학습자에 대한 학습이력 데이터를 추출하여 첨삭자용 단말기(3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학습 서버(200)가 제공하는 수학학습 서비스에 대하여, 학습자, 첨삭자(첨삭교사) 및 사이버 튜터 간의 관계는, 도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학학습지(110)에 대한 예시 도면인 도 3,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수학학습지(110)와 이에 표시된 각종 아이콘에 대하여 알아본다.
도 3은 수학학습지(110)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학학습지(110)의 구성은, 학습지 표지(310)와, 실제 학습할 내용이 담긴 하나 이상의 페이지로 된 부분(320, 330)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학습지 표지(310)가 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학학습지(110)는 학습 서버(200)에서 부여된 고유한 학습지 식별정보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수학학습지(110)의 학습지 표지(310)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학학습지(110)의 학습지 표지(310)에는, 해당 단원이나 학습내용의 제목이 기재되어 있고, 고유한 도트패턴이 할당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지 표지(310)에는, 학습자용 전자펜(120)을 이용하여 수학학습지(110)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학습파일을 학습자용 전자펜(120)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400)이 표시되어 있다. 학습자가 학습자용 전자펜(120)을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400)에 접촉하게 되면,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접촉 부분에 형성된 도트패턴을 인식하고, 이러한 도트패턴 인식에 기반하여 해당 아이콘이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400)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이와 같이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400)이 인식되고 나면, 학습파일 다운받기 기능을 동작시켜, 연결된 학습자용 단말기(130)를 통해 학습 서버(200)로 학습파일 다운받기 요청을 하여 해당 학습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파일은, 학습자용 전자펜(120)을 이용하여 수학학습지(110)를 학습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로서, 수학학습지(110)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개념 및 문제풀이 등에 대한 강의 데이터(강의 보기 데이터 및 강의 듣기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 정답 데이터 및 힌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학학습 관련 데이터'와, 학습자용 전자펜(120)에서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수학학습 관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와, 수학학습지(110)에 형성된 도트패턴이 학습자용 전자펜(120)에 의해 인식되는데 이용되는 '도트패턴 데이터'와, 수학학습지(110)에 표시된 아이콘이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120)에 의해 인식되는데 이용되는 '아이콘 인식 관련 데이터'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아이콘 인식 관련 데이터는, 수학학습지(110)에 표시된 아이콘의 개수나 종류 등의 정보와, 이러한 아이콘과 도트패턴의 매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수학학습지(110)의 첫 페이지(320)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학학습지(110)의 첫 페이지(320)에는, 학습시간 관리를 위한 학습타이머 아이콘(500)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학습자가 학습자용 전자펜(120)을 학습타이머 아이콘(500)에 접촉하게 되면,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접촉 부분에 형성된 도트패턴을 인식하고, 이러한 도트패턴 인식에 기반하여 해당 아이콘이 학습타이머 아이콘(500)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이와 같이 학습타이머 아이콘(500)이 인식되고 나면, 학습타이머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 수행시, 학습자용 단말기(130)를 통해 학습 서버(200)로 학습타이머 동작 요청을 하고, 학습 서버(200)는 해당 학습타이머를 동작시켜, 학습시작시각을 기록하고 학습이 중지될 때까지 학습타이머를 모니터링하여 학습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수학학습지(110)의 첫 페이지(320)에는, 해당 단원이나 학습 내용에 해당하는 개념을 설명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이 개념 설명 부분에는, 학습자가 정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정답 확인 아이콘(511), 학습자가 해당 개념에 대한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해주는 개념 듣기 아이콘(512), 학습자가 해당 개념에 대한 강의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개념 보기 아이콘(513), 학습자가 해당 개념이나 개념 관련 문항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즐겨 찾기 아이콘(514) 등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학습자가 학습자용 전자펜(120)을 정답 확인 아이콘(511)에 접촉하게 되면,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접촉 부분에 형성된 도트패턴을 인식하고, 이러한 도트패턴 인식에 기반하여 해당 아이콘이 정답 확인 아이콘(511)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이와 같이 정답 확인 아이콘(511)이 인식되고 나면, 정답 확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기능 수행시,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400)을 통해 학습자용 전자펜(112)에 기 저장되어 있던 학습파일에 포함된 정답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정답 데이터를 학습자용 전자펜(112)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화면을 통해 표시해줄 수 있다.
학습자가 학습자용 전자펜(120)을 개념 듣기 아이콘(512)에 접촉하게 되면,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접촉 부분에 형성된 도트패턴을 인식하고, 이러한 도트패턴 인식에 기반하여 해당 아이콘이 개념 듣기 아이콘(512)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이와 같이 개념 듣기 아이콘(512)이 인식되고 나면, 개념 듣기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기능 수행시,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400)을 통해 학습자용 전자펜(112)에 기 저장되어 있던 학습파일에 포함된 개념 듣기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개념 듣기 데이터를 학습자용 전자펜(112)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학습자가 학습자용 전자펜(120)을 개념 보기 아이콘(513)에 접촉하게 되면,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접촉 부분에 형성된 도트패턴을 인식하고, 이러한 도트패턴 인식에 기반하여 해당 아이콘이 개념 보기 아이콘(513)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이와 같이 개념 보기 아이콘(513)이 인식되고 나면, 개념 보기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기능 수행시,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400)을 통해 학습자용 단말기(113)에 기 저장되어 있던 학습파일에 포함된 개념 보기 데이터가 학습자용 단말기(113)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하거나,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400)을 통해 학습자용 전자펜(112)에 기 저장되어 있던 학습파일에 포함된 개념 보기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습자용 단말기(113)로 유선이나 블루투스 등의 무선을 통해 송신하여 학습자용 단말기(113)에서 개념 보기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학습자가 학습자용 전자펜(120)을 문항 등록 아이콘 중 하나인 즐겨 찾기 아이콘(514)에 접촉하게 되면,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접촉 부분에 형성된 도트패턴을 인식하고, 이러한 도트패턴 인식에 기반하여 해당 아이콘이 즐겨 찾기 아이콘(514)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이와 같이 즐겨 찾기 아이콘(514)이 인식되고 나면, 해당 개념이나 개념 관련 문항을 등록하기 위한 즐겨찾기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기능 수행시, 학습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선택한 해당 개념이나 개념 관련 문항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용 전자펜(120)에 저장하거나, 학습자용 단말기(113)에 저장시키거나, 학습자용 단말기(113)를 통해 학습 서버(20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수학학습지(110)의 첫 페이지(320)에는, 해당 단원이나 학습 내용에 해당하는 개념과 관련된 문제와 이 문제를 학습자가 풀이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이 부분에는, 학습자가 정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정답 확인 아이콘(511), 학습자가 해당 개념에 대한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해주는 개념 듣기 아이콘(512), 학습자가 해당 개념에 대한 강의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개념 보기 아이콘(513), 학습자가 해당 개념이나 개념 관련 문항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즐겨 찾기 아이콘(514) 등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틀린 문제를 저장해둘 수 있는 문항 등록 아이콘 중 하나인 오답노트 아이콘(515) 및 문제 풀이시 힌트를 볼 수 있는 힌트보기 아이콘(516)이 더 있을 수 있다.
학습자가 학습자용 전자펜(120)을 문항 등록 아이콘 중 하나인 오답노트 아이콘(515)에 접촉하게 되면,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접촉 부분에 형성된 도트패턴을 인식하고, 이러한 도트패턴 인식에 기반하여 해당 아이콘이 오답노트 아이콘(515)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이와 같이 오답노트 아이콘(515)이 인식되고 나면, 해당 틀린 문항을 등록하기 위한 오답노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기능 수행시, 학습자가 틀린 문항(문제)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용 전자펜(120)에 저장하거나, 학습자용 단말기(113)에 저장시키거나, 학습자용 단말기(113)를 통해 학습 서버(200)에 저장시킬 수 있다.
학습자가 학습자용 전자펜(120)을 힌트보기 아이콘(516)에 접촉하게 되면,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접촉 부분에 형성된 도트패턴을 인식하고, 이러한 도트패턴 인식에 기반하여 해당 아이콘이 힌트보기 아이콘(516)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이와 같이 힌트보기 아이콘(516)이 인식되고 나면, 힌트보기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기능 수행시,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400)을 통해 학습자용 전자펜(112)에 기 저장되어 있던 학습파일에 포함된 힌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힌트 데이터를 학습자용 전자펜(112)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화면을 통해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수학학습지(110)의 첫 페이지(320)에는, 개념 강의나 문제 해설 강의를 녹화하거나 자신의 학습 과정을 녹화하도록 해주는 녹화 기능 아이콘(517)과, 개념 강의 및 문제 해설 강의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 조절 아이콘(518)과, 학습(또는 강의)을 잠시 멈출 수 있는 학습 멈춤 아이콘(519)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학습 멈춤 아이콘(519)이 학습자용 전자펜(112)에 의해 인식되면, 동작중인 학습타이머도 멈출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수학학습지(110)의 첫 페이지(320)와 같이, 나머지 페이지도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학학습지(110)는 개념 설명 부분이 없이 문제와 이 문제를 풀이할 수 있는 부분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수학학습지(110)의 첫 페이지(320)와 같이, 나머지 페이지도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마지막 페이지(330)에는, 질문하기 부분과, 전송하기 아이콘(600)이 더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학습자가 학습하면서 질문하고자 하는 문항이나 내용을 학습자용 전자펜(120)으로 필기하거나 체크하게 되면,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질문 필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질문 필기 데이터의 생성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바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학습자가 수학학습지(110)를 통해 모든 학습을 종료한 경우, 학습한 것에 대하여 학습보고를 하거나 학습한 내용, 문제 풀이 또는 질문 내용에 대하여 첨삭을 받고자 하는 경우, 학습자가 학습자용 전자펜(120)을 전송하기 아이콘(600)에 접촉하게 되면,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접촉 부분에 형성된 도트패턴을 인식하고, 이러한 도트패턴 인식에 기반하여 해당 아이콘이 전송하기 아이콘(600)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이와 같이 전송하기 아이콘(600)이 인식되고 나면, 학습보고 기능을 수행한다. 이 학습보고 기능 수행시, 학습자용 전자펜(120)은, 학습한 모든 결과(즉, 문제풀이 데이터, 질문 데이터 등)를 포함하는 학습 보고 데이터를 생성하여 학습자용 단말기(113)를 통해 학습 서버(200)에 업로드 시킨다.
그러면, 학습 서버(200)에 접속한 사이버 튜터 단말기(430)는, 학습 보고 데이터에 포함된 문제풀이 데이터 및 질문 데이터를 확인하여 학습이력 관리를 하고, 해당 문제풀이 데이터를 해당 첨삭자용 단말기(330)로 송신해줌으로써, 첨삭교사가 해당 문제풀이를 채점하는 등의 학습평가와, 학습자가 풀이한 문제풀이에 대하여 첨삭을 하여, 학습자용 전자펜(320)을 통해 학습평가 데이터나 첨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이버 튜터 단말기(430)는, 질문 데이터를 선별하여 해당 질문 데이터를 해당 첨삭자용 단말기(330)로 송신해줌으로써 해당 첨삭교사에게 알려줌으로써, 첨삭자는 첨삭자용 전자펜(320)을 통해, 학습자가 질문한 질문내용에 대한 첨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첨삭자용 전자펜(320)을 통해 생성된 학습평가 데이터 및 첨삭 데이터는, 첨삭자용 단말기(330)를 통해 학습 서버(200)로 업로드 되고, 사이버 튜터 단말기(430)에 의해 또는 학습자용 단말기(130)의 요청에 의해, 학습자용 단말기(130)로 송신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버(200)가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서버(200)가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학습 서비스 단계(S800), 첨삭 서비스 단계(S802), 학습이력 관리 단계(S804) 등을 포함한다.
학습 서비스 단계(S800)는, 특정 학습자의 식별정보로 식별되는 학습자용 전자펜(120)의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수학학습지(110)에 대응되는 학습파일을 추출하여 학습자용 전자펜(120)으로 송신하고, 학습자용 전자펜(120)의 학습타이머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수학학습지(110)에 해당하는 학습타이머를 동작시켜 수학학습 시간 정보를 관리하며, 학습자용 전자펜(120)의 전송하기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학습자용 전자펜(120)에 의해 미리 생성된 문제풀이 데이터 및 질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학습자용 전자펜(120)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며, 학습자용 전자펜(120)의 문항 등록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수학학습지(110)에서 해당하는 문항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이다.
첨삭 서비스 단계(S802)는, 문제풀이 데이터, 질문 데이터 및 문항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첨삭자용 단말기(330)로 송신한 이후, 문제풀이 데이터, 질문 데이터 및 문항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첨삭자용 단말기(330)와 통신 가능한 첨삭자용 전자펜(320)에 의해 생성된 학습평가 데이터 및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첨삭자용 전자펜(320)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고, 학습평가 데이터 및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학습자용 전자펜(120)과 통신 가능한 학습자용 단말기(13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학습이력 관리 단계(S804)는, 수학학습지(110)에 대한 학습지 식별정보, 수학학습 시간 정보, 문제풀이 데이터, 질문 데이터, 문항 정보, 학습평가 데이터 및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학습이력 데이터를 특정 학습자의 식별정보와 연계시켜 저장하고, 학습이력 데이터를 관리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학습 관리 단계(S800)에서, 학습 서버(200)가 학습자용 전자펜(120)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문제풀이 데이터 및 질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은, 수학학습지(110)에 형성된 문제풀이 영역 및 질문하기 영역 중 하나 이상의 필기 영역에서의 학습자 필기를 문자, 숫자, 기호, 그림, 그래프 및 표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하도록 해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편리하고 효율적인 수학학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지와 학습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전자학습지 형태의 수학학습지(110)와, 이 수학학습지(110)와 대응되게 동작하는 학습 도구로서의 전자펜(120)을 포함하는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100)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자의 번거로운 추가 동작 없이도, 학습한 내용, 질문할 내용 및 첨삭 받을 내용을 수학학습지(110)와 전자펜(120)을 통해 편리하고 신속하게 전송해줌으로써,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 확인과, 질문 답변 및 첨삭 내용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강의 시청을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설치하기 위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검색하는 등의 추가 절차를 거칠 필요 없이, 수학학습지(110)와 전자펜(120)을 통해 편리하게 단말기(130)나 전자펜(120)에 자동 설치하여 단말기(130)나 전자펜(120)을 통해 강의 시청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 110: 수학학습지
120: 학습자용 전자펜 130: 학습자용 단말기
200: 학습 서버 300: 첨삭 도구 시스템
320: 첨삭자용 전자펜 330: 첨삭자용 단말기
430: 사이버 튜터 단말기 210: 학습 관리부
220: 첨삭 관리부 230: 학습이력 관리부
240: 데이터베이스 310: 수학학습지의 학습지 표지
320: 수학학습지의 첫 페이지 320: 수학학습지의 마지막 페이지
400: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 500: 학습타이머 아이콘
511: 정답 확인 아이콘 512: 개념 듣기 아이콘
513: 개념 보기 아이콘 514: 즐겨 찾기 아이콘
515: 오답노트 아이콘 516: 힌트보기 아이콘
517: 녹화 기능 아이콘 518: 볼륨 조절아이콘
519: 학습 멈춤 아이콘 600: 전송하기 아이콘

Claims (12)

  1. 특정 학습자의 식별정보로 식별되는 학습자용 전자펜의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수학학습지에 대응되는 학습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으로 송신하고,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의 학습타이머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수학학습지에 해당하는 학습타이머를 동작시켜 수학학습 시간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의 전송하기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에 의해 미리 생성된 문제풀이 데이터 및 질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며,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의 문항 등록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수학학습지에서 해당하는 문항 정보를 등록하는 학습 관리부;
    상기 문제풀이 데이터, 상기 질문 데이터 및 상기 문항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첨삭자용 단말기로 송신한 이후, 상기 문제풀이 데이터, 상기 질문 데이터 및 상기 문항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상기 첨삭자용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첨삭자용 전자펜에 의해 생성된 학습평가 데이터 및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첨삭자용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고, 상기 학습평가 데이터 및 상기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과 통신 가능한 학습자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첨삭 관리부; 및
    상기 수학학습지에 대한 학습지 식별정보, 상기 수학학습 시간 정보, 상기 문제풀이 데이터, 상기 질문 데이터, 상기 문항 정보, 상기 학습평가 데이터 및 상기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학습이력 데이터를 상기 특정 학습자의 식별정보와 연계시켜 저장하고, 상기 학습이력 데이터를 관리하는 학습이력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관리부는,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에 의해 상기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이 인식되었다는 것을 인지하면, 미리 저장된 학습파일들 중에서, 상기 수학학습지에 대응되는 학습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으로 송신하되,
    상기 추출된 학습파일은,
    상기 수학학습지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강의 데이터, 정답 데이터 및 힌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학학습 관련 데이터와,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에서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수학학습 관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와, 상기 수학학습지에 형성된 도트패턴이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에 의해 인식되는데 이용되는 도트패턴 데이터와, 상기 수학학습지에 표시된 아이콘이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에 의해 인식되는데 이용되는 아이콘 인식 관련 데이터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 서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인식 관련 데이터는,
    상기 수학학습지에 표시된 아이콘의 개수나 종류에 대한 정보와, 상기 수학학습지에 표시된 아이콘과 도트패턴의 매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 서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관리부는,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의 강의 듣기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해당 강의 듣기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용 단말기를 통해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으로 송신하여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에서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의 강의 보기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해당 강의 보기 데이터가 상기 학습자용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 서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관리부는,
    저장된 수학학습지 리스트를 상기 학습자용 단말기 또는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으로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수학학습지 리스트 중 선택된 상기 수학학습지에 대한 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용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 서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관리부가,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상기 문제풀이 데이터 및 상기 질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수학학습지에 형성된 문제풀이 영역 및 질문하기 영역 중 하나 이상의 필기 영역에서의 학습자 필기를 문자, 숫자, 기호, 그림, 그래프 및 표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하도록 해주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 서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이력 관리부는,
    상기 첨삭자용 단말기로부터 학습이력 공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학습이력 데이터를 상기 첨삭자용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 서버.
  8. 학습 서버가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학습자의 식별정보로 식별되는 학습자용 전자펜의 학습파일 다운받기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수학학습지에 대응되는 학습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으로 송신하고,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의 학습타이머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수학학습지에 해당하는 학습타이머를 동작시켜 수학학습 시간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의 전송하기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에 의해 미리 생성된 문제풀이 데이터 및 질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며,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의 문항 등록 아이콘에 대한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수학학습지에서 해당하는 문항 정보를 등록하는 학습 서비스 단계;
    상기 문제풀이 데이터, 상기 질문 데이터 및 상기 문항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첨삭자용 단말기로 송신한 이후, 상기 문제풀이 데이터, 상기 질문 데이터 및 상기 문항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상기 첨삭자용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첨삭자용 전자펜에 의해 생성된 학습평가 데이터 및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첨삭자용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고, 상기 학습평가 데이터 및 상기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과 통신 가능한 학습자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첨삭 서비스 단계; 및
    상기 수학학습지에 대한 학습지 식별정보, 상기 수학학습 시간 정보, 상기 문제풀이 데이터, 상기 질문 데이터, 상기 문항 정보, 상기 학습평가 데이터 및 상기 첨삭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학습이력 데이터를 상기 특정 학습자의 식별정보와 연계시켜 저장하고, 상기 학습이력 데이터 관리하는 학습이력 관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관리 단계에서, 상기 학습 서버가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상기 문제풀이 데이터 및 상기 질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수학학습지에 형성된 문제풀이 영역 및 질문하기 영역 중 하나 이상의 필기 영역에서의 학습자 필기를 문자, 숫자, 기호, 그림, 그래프 및 표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하도록 해주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도트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도트패턴에 근거하여 인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표시되며, 필기 가능한 문제풀이 영역 및 질문하기 영역 중 하나 이상의 필기 영역이 형성된 수학학습지; 및
    상기 수학학습지에 형성된 도트패턴에 대한 도트패턴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수학학습지에 표시된 아이콘과 접촉되면 해당 아이콘을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도트패턴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필기 영역에서의 학습자 필기를 문자, 숫자, 기호, 그림, 그래프 및 표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하도록 해주는 필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학습자용 전자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학학습지에는 학습 서버에 의해 학습지 식별정보가 부여되고,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은, 상기 학습지 식별정보가 부여된 상기 수학학습지에 대응되는 학습파일을 상기 학습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데이터는,
    상기 문제풀이 영역에서의 문제풀이 필기 데이터 및 상기 질문하기 영역에서의 질문 필기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자용 전자펜이 상기 필기 영역과 접촉되어 인식된 도트들의 위치정보 등의 도트패턴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도트패턴 정보로부터 해석된 문자, 숫자, 기호, 그림, 그래프 및 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도트패턴 정보로부터 학습자 필기의 필기 궤적을 구하여 얻어진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
KR1020100054365A 2010-06-09 2010-06-09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학습 서버와,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 KR20110134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365A KR20110134662A (ko) 2010-06-09 2010-06-09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학습 서버와,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365A KR20110134662A (ko) 2010-06-09 2010-06-09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학습 서버와,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662A true KR20110134662A (ko) 2011-12-15

Family

ID=4550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365A KR20110134662A (ko) 2010-06-09 2010-06-09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학습 서버와,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466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681A1 (ko) * 2011-12-29 2013-07-04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네트워크상에서의 첨삭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
KR101515162B1 (ko) * 2014-03-12 2015-04-24 이명환 전자펜을 이용하는 정보 제공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WO2017090856A1 (ko) * 2015-11-26 2017-06-01 박철우 스마트 펜을 이용한 오답 노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1870507B1 (ko) * 2016-06-02 2018-06-22 황순신 오답노트를 제공하는 데이터 활용시스템
KR101956714B1 (ko) * 2018-06-12 2019-03-11 (주)아나키 정답체크 방법 및 시스템
KR102297708B1 (ko) * 2020-11-26 2021-09-03 (주)웅진씽크빅 필기 인식을 이용한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4660A (ko) * 2021-09-03 2023-03-10 유경학 학습자의 필기 궤적 정보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KR20230105793A (ko) 2022-01-05 2023-07-12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터디 스마트 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1343A (ja) * 1992-11-19 1994-06-07 Gakken Co Ltd 手書き入力タブレットを利用した添削指導システム
JP2004145408A (ja) * 2002-10-22 2004-05-20 Hitachi Ltd デジタルペンおよびデジタルペーパを利用した計算システム
JP2009199381A (ja) * 2008-02-22 2009-09-03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ペンによる記入進捗を管理する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10100769A (ko) * 2010-03-05 2011-09-15 주식회사 티스터디 전자펜, 이를 활용한 영자신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영자신문 학습 시스템
KR20110100770A (ko) * 2010-03-05 2011-09-15 주식회사 티스터디 전자학습지 및 전자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1343A (ja) * 1992-11-19 1994-06-07 Gakken Co Ltd 手書き入力タブレットを利用した添削指導システム
JP2004145408A (ja) * 2002-10-22 2004-05-20 Hitachi Ltd デジタルペンおよびデジタルペーパを利用した計算システム
JP2009199381A (ja) * 2008-02-22 2009-09-03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ペンによる記入進捗を管理する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10100769A (ko) * 2010-03-05 2011-09-15 주식회사 티스터디 전자펜, 이를 활용한 영자신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영자신문 학습 시스템
KR20110100770A (ko) * 2010-03-05 2011-09-15 주식회사 티스터디 전자학습지 및 전자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681A1 (ko) * 2011-12-29 2013-07-04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네트워크상에서의 첨삭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
JP2014529764A (ja) * 2011-12-29 2014-11-13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ディスカバリ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ネットワーク上における添削指導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ウェブサーバ
KR101515162B1 (ko) * 2014-03-12 2015-04-24 이명환 전자펜을 이용하는 정보 제공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WO2015137715A1 (ko) * 2014-03-12 2015-09-17 이명환 전자펜을 이용하는 정보 제공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WO2017090856A1 (ko) * 2015-11-26 2017-06-01 박철우 스마트 펜을 이용한 오답 노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1870507B1 (ko) * 2016-06-02 2018-06-22 황순신 오답노트를 제공하는 데이터 활용시스템
KR101956714B1 (ko) * 2018-06-12 2019-03-11 (주)아나키 정답체크 방법 및 시스템
KR102297708B1 (ko) * 2020-11-26 2021-09-03 (주)웅진씽크빅 필기 인식을 이용한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4660A (ko) * 2021-09-03 2023-03-10 유경학 학습자의 필기 궤적 정보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KR20230105793A (ko) 2022-01-05 2023-07-12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터디 스마트 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4662A (ko)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학습 서버와,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
Anderson et al. TPACK in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 decision making while integrating iPads into instruction
KR20110100770A (ko) 전자학습지 및 전자펜
Sage et al. Flip, slide, or swipe? Learning outcomes from paper, computer, and tablet flashcards
Ratliff Are college students prepared for a technology-rich learning environment
CN103957190A (zh) 一种在线教育互动的方法及客户端、服务器、系统
JP6668821B2 (ja) 教育支援装置、プログラム、及び、教育支援システム
KR101887407B1 (ko) 문제를 풀고 해당 문제의 해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체계적인 구축 방법
Adekola et al. Student transitions to blended learning: an institutional case study
TWI598855B (zh) 線上教學暨行動學習系統
CN103581135A (zh) 数字白板、客户端和网络端
KR20120004650A (ko)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6159157B2 (ja)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方法および学習支援プログラム
Balliammanda Perceptions of teachers on teaching and learning with mobile devices in higher education classrooms in Oman: A pilot study
KR20110099971A (ko) 학습자 필기가 가능한 동영상 강의 시스템
KR20170098617A (ko) 디지털펜과 클라우드서버를 이용한 수준별 맞춤형 교육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887409B1 (ko) 미세 oid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 및 그에 대응되는 전자문서 파일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축한 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콘텐츠 마켓 서비스 시스템
CN110349459A (zh) 用于数字化教学的智能终端及教学系统
KR20130113218A (ko) 전자노트 기능을 갖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Van Thienen et al. Smart study: pen and paper-based e-learning
CN111787127A (zh) 一种课堂信息传输方法及课堂信息传输系统
KR101024995B1 (ko) 페이지 인덱스를 이용한 반복 학습단말기의 운용방법
KR20170135771A (ko) 스마트 펜을 이용한 스마트 러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20120031190A (ko) 학습자 필기가 가능한 동영상 강의 시스템
Sinen A literature review on mobile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