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650A -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650A
KR20120004650A KR1020100065253A KR20100065253A KR20120004650A KR 20120004650 A KR20120004650 A KR 20120004650A KR 1020100065253 A KR1020100065253 A KR 1020100065253A KR 20100065253 A KR20100065253 A KR 20100065253A KR 20120004650 A KR20120004650 A KR 20120004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
information
answer
learning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범
고용지
김동훈
배종필
신지수
안영진
이기연
조정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5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650A/ko
Publication of KR20120004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컨텐츠 재생을 통해 학습단말장치에서 학습하는 중 즉시 질문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불특정 대중이 아닌 해당 학습컨텐츠의 교사 또는 타 학습자로부터의 신뢰도 높은 답변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학습 시 질문에 대한 부담을 없애고 답변에 대한 신속성 및 신뢰도를 보장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는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은, 소정의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에 의한 질문이 입력되면, 학습단말장치가 상기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제공하고,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관리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가 상기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LEARN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컨텐츠 재생을 통해 학습단말장치에서 학습하는 중 즉시 질문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불특정 대중이 아닌 해당 학습컨텐츠의 교사 또는 타 학습자로부터의 신뢰도 높은 답변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학습 시 질문에 대한 부담을 없애고 답변에 대한 신속성 및 신뢰도를 보장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는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학습단말장치 및 학습단말장치의 구동 방법, 질문/답변서비스서버 및 질문/답변서비스서버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설 학원은 학생의 성적, 출석, 신상 등의 DB(Data Base)를 관리하고 교사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관리 시스템은 모든 관리의 전산화로 인해서 업무를 보다 빠르고 편하게 만들고, 학생 및 교사의 관리를 매우 편리하게 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학생들이 직접 학원에 방문하여 강의를 듣지 않고 학습 전용의 학습단말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강의 학습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수강하거나 또는 다운로드한 학습컨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학습하는 학습 시스템이 널리 이용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기존의 학습 시스템에서는, 학생 입장에서 학습 중 궁금한 것이 있지만 묻기가 부담스러워 그냥 넘어가거나 질문할 타이밍을 놓치는 경우가 많고, 질문을 하더라도 답변을 받는 과정이 오래 걸리거나 번거로워 학생입장에서는 질문을 꺼리게 되고 교사 입장에서는 답변을 적시에 제공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소정의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에 의한 질문이 입력되면, 학습단말장치가 상기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제공하고,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관리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가 상기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학습 시 질문에 대한 부담을 없애고 답변에 대한 신속성 및 신뢰도를 보장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학습컨텐츠를 재생하여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재생화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터치 입력을 통해 학습자에 의한 질문이 입력되면, 상기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생성하여 질문/답변서비스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질문정보 제공에 따라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로부터 회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학습단말장치 및 학습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학습 시 질문에 대한 부담을 없애고 답변에 대한 신속성 및 신뢰도를 보장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는 환경을 지원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저장/관리하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 및 질문/답변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학습 시 질문에 대한 부담을 없애고 답변에 대한 신속성 및 신뢰도를 보장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는 환경을 지원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은, 소정의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에 의한 질문이 입력되면 상기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제공하는 학습단말장치; 및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학습단말장치는, 재생되는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인지하는 터치인지부; 및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해 학습자에 의한 질문이 입력되면 상기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질문정보 제공에 따라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로부터 회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해 상기 재생되는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일 영역에서 기 설정된 질문작성입력이 인지되면 이에 따른 질문입력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질문입력창을 통해 학습자에 의해 입력되는 질문을 토대로 상기 질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문정보는,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식별정보, 상기 질문에 관련된 문제식별정보 또는 문장정보에 해당되는 질문관련정보, 상기 학습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질문에 따른 질문텍스트정보, 상기 학습자에 대응되는 학습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질문정보 제공에 따라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로부터 회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해 질문/답변 서비스 이용이 선택되면,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질문/답변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한 학습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학습자의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조회하거나 또는 상기 질문/답변이력정보에 포함되는 답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답변자를 우수답변자로 선택하거나 또는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을 열람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거나 또는 새로운 질문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는,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질문/답변정보관리부; 및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문/답변정보관리부는, 각 학습컨텐츠 별로, 해당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식별정보와 문제식별정보 또는 문장정보에 해당되는 질문관련정보와 질문텍스트정보와 답변정보와 답변한 학습자에 해당되는 학습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문/답변정보관리부는, 소정 학습단말장치가 상기 질문/답변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을 열람하고 이에 대한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답변 입력을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학습컨텐츠가 실시간 학습강의인 경우 상기 질문정보를 상기 학습강의를 제공하는 해당 교사의 교사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이에 상기 교사단말장치로부터 회신되는 교사 답변정보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질문정보를 상기 교사단말장치로 제공한 후 상기 학습강의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교사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교사 답변정보가 회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는 학습자 및 타 학습자에 의해 우수답변자로 선택되는 학습자 및 타 학습자에 의해 불량답변 신고된 학습자에 대응하여 기 정의된 포인트정책에 따라 해당되는 포인트를 부과하여, 각 학습자 별 포인트정보를 생성/관리하는 포인트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방법은, 소정의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에 의한 질문이 입력되면, 학습단말장치가 상기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관리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가 상기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가 상기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가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학습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학습컨텐츠를 재생하여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재생화면 디스플레이 단계;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터치 입력을 통해 학습자에 의한 질문이 입력되면, 상기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생성하여 질문/답변서비스서버로 제공하는 질문정보 제공단계; 및 상기 질문정보 제공에 따라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로부터 회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답변정보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문정보 제공단계는,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재생되는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일 영역에서 기 설정된 질문작성입력이 인지되면 이에 따른 질문입력창을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질문입력창을 통해 학습자에 의해 입력되는 질문을 토대로 상기 질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문정보는,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식별정보, 상기 질문에 관련된 문제식별정보 또는 문장정보에 해당되는 질문관련정보, 상기 학습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질문에 따른 질문텍스트정보, 상기 학습자에 대응되는 학습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 중에서, 터치 입력을 통해 어느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터치 입력을 통해 질문/답변 서비스 이용이 선택되면,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통한 학습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학습자의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조회하거나 또는 상기 질문/답변이력정보에 포함되는 답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답변자를 우수답변자로 선택하거나 또는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을 열람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거나 또는 새로운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상기 질문/답변 서비스를 이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은,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질문/답변정보 관리단계;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질문/답변정보 존재 여부 판단단계; 판단 결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답변 제공단계; 및 판단 결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질문 등록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문/답변정보 관리단계는, 각 학습컨텐츠 별로, 해당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식별정보와 문제식별정보 또는 문장정보에 해당되는 질문관련정보와 질문텍스트정보와 답변정보와 답변한 학습자에 해당되는 학습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문/답변정보 관리단계는, 소정 학습단말장치가 상기 질문/답변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을 열람하고 이에 대한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답변 입력을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학습컨텐츠가 실시간 학습강의인 경우 상기 질문정보를 상기 학습강의를 제공하는 해당 교사의 교사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이에 상기 교사단말장치로부터 회신되는 교사 답변정보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문정보를 상기 교사단말장치로 제공한 후 상기 학습강의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교사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교사 답변정보가 회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는 학습자 및 타 학습자에 의해 우수답변자로 선택되는 학습자 및 타 학습자에 의해 불량답변 신고된 학습자에 대응하여 기 정의된 포인트정책에 따라 해당되는 포인트를 부과하여, 각 학습자 별 포인트정보를 생성/관리하는 포인트 관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학습컨텐츠 재생을 통해 학습단말장치에서 학습하는 중 학습자가 간편한 터치 입력 방식을 통해 쉽고 빠르게 질문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관리되는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토대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즉각적으로 학습단말장치에 제공하고 더불어 교사 답변을 즉각적으로 학습단말장치에 제공함으로써, 학습 시 질문에 대한 부담을 없애고 답변에 대한 신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질문에 대응하여 정당한 답변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해당 질문을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등록하고, 더불어 답변 활동에 대한 포인트를 부과함으로써, 지속적인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 갱신 및 답변 유도를 통한 답변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은, 소정의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에 의한 질문이 입력되면 상기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제공하는 학습단말장치(100,200...)와,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관리하며, 학습단말장치(100,200...)로부터 상기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학습단말장치(100,200...)로 제공하고,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학습단말장치(100,200...)는, 학생 등의 학습자가 소지/조작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학습자 인증과정을 통해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 또는 별도의 학습관련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여 실시간 학습강의를 수강하거나, 또는 다운로드된 학습컨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재생하여 학습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리고, 학습단말장치(100,200...)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에 의한 질문이 입력되면,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회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 또는 교사 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학습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단말장치(100,200...)는, PC와 노트북과 PDA와 스마트폰단말과 이동전화단말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학습단말장치(100,200...) 중 학습단말장치1(100)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는,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는,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한다.
한편, 판단 결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는,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금번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학습단말장치1(100)를 언급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는, 재생되는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인지하는 터치인지부(120)와,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학습자에 의한 질문이 입력되면 상기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고, 상기 질문정보 제공에 따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부터 회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학습단말장치1(100)에서 재생되는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부이다.
여기서, 재생되는 학습컨텐츠는, 실시간으로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 또는 별도의 학습관련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학습강의에 대응되는 학습컨텐츠일 수 있고, 또는 미리 다운로드하여 학습단말장치1(100)에 저장된 학습컨텐츠일 수 있다.
터치인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인지하여 인지된 터치 입력을 장치제어부(130)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여 장치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장치제어부(130)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학습자에 의한 질문이 입력되면 상기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치제어부(130)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일 영역에서 기 설정된 질문작성입력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인지되면 이에 따른 질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질문입력창을 통해 학습자에 의해 입력되는 질문을 토대로 상기 질문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질문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일 영역에서 소정 문장에 밑줄을 긋기 후 소정 시간(예:2초)동안 길게 누르는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장치제어부(130)는 팝업 형태로 질문작성 의사를 묻는 메뉴항목을 제시하고 메뉴항목을 통해 질문하기가 선택되면, 이를 기 설정된 질문작성입력으로 인지한 장치제어부(130)는, 질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일 영역에서 소정 문제에 대응하여 질문하기에 해당되는 소정 문자(예:Q)가 쓰여지는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이를 기 설정된 질문작성입력으로 인지한 장치제어부(130)는, 질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일 영역에서 소정 문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질문하기 항목이 터치 입력되면, 이를 기 설정된 질문작성입력으로 인지한 장치제어부(130)는, 질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제어부(130)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에 오버랩 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질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제외한 디스플레이부(110) 상의 여백 영역에 질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기 설정된 비율로 축소하여 질문/답변을 위한 영역을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만들고, 질문/답변을 위한 영역에 질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제어부(130)는, 질문입력창을 통해 학습자에 의해 터치 입력되는 질문(예:질문텍스트)을 토대로 질문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질문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질문정보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식별정보(예:컨텐츠번호), 질문에 관련된 문제식별정보(예:문제번호) 또는 문장정보(예:밑줄 그어진 문장텍스트, 문장텍스트번호)에 해당되는 질문관련정보, 학습자에 의해 입력된 질문에 따른 질문텍스트정보, 학습자에 대응되는 학습자식별정보(예:학습자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장치제어부(130)는, 질문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함에 따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부터 회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어느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한다.
즉, 장치제어부(130)는, 질문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함에 따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부터 회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장치제어부(130)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에 오버랩 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제외한 디스플레이부(110) 상의 여백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는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축소하여 만들어진 디스플레이부(110) 상의 질문/답변을 위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장치제어부(130)는,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어느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 중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어느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선택(예:소정 시간(예:2초) 동안 길게 누름, 더블 터치 등)하는 터치 입력이 인지되면 장치제어부(130)는, 어떤 질문/답변정보가 선택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 중 질문/답변정보가 선택되지 않은 채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다음 페이지로 이동되면, 장치제어부(130)는, 어떠한 질문/답변정보도 선택되지 아니하였음을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제어부(130)는, 질문정보 제공에 따라 회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와 마찬가지로, 질문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함에 따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부터 교사 답변정보라 회신되면 회신된 교사 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역시, 장치제어부(130)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에 오버랩 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교사 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제외한 디스플레이부(110) 상의 여백 영역에 교사 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는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축소하여 만들어진 디스플레이부(110) 상의 질문/답변을 위한 영역에 교사 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장치제어부(130)는,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질문/답변 서비스 이용이 선택되면,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하여 터치인지부(120)를 통한 학습자의 요청에 따라 질문/답변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터치인지부(120)를 통한 학습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학습자의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조회하거나 또는 상기 질문/답변이력정보에 포함되는 답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답변자를 우수답변자로 선택하거나 또는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을 열람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거나 또는 새로운 질문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다.
즉, 장치제어부(130)는, 학습컨텐츠 재생 중인지 여부와 상관없이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학습자A가 질문/답변 서비스 이용을 선택함이 인지되면,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하여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질문/답변 서비스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장치제어부(130)는, 질문/답변 서비스 메뉴에서 질문/답변이력정보 조회가 터치 선택되면 이에 따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학습자A의 질문/답변이력정보를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또한, 장치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된 학습자A의 질문/답변이력정보에 포함된 답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답변자를 우수답변자로 선택하는 터치 입력이 인지되면, 선택된 우수답변자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여 우수답변자를 지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질문/답변이력정보는, 과거에 학습자A에 대응하여 등록된 질문들 및 각 질문에 대응하여 등록된 타 학습자(답변자)의 답변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장치제어부(130)는, 질문/답변 서비스 메뉴에서 타 학습자 질문게시물 열람하기가 선택되면 이에 따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타 학습자들의 질문게시물들을 포함한 질문게시물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질문게시물메뉴에서 특정 질문게시물에 대한 답변하기가 선택되면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터치 입력되는 답변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여 답변을 입력하도록 한다. 또한, 장치제어부(130)는, 질문/답변 서비스 메뉴에서 질문하기가 선택되면 이에 따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질문하기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질문하기메뉴에서 터치인지부(120)를 통해 터치 입력되는 질문등록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여 새로운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는,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질문/답변정보관리부(310)와,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소정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하고,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서버제어부(320)를 포함한다.
질문/답변정보관리부(310)는,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기능부이다.
즉, 질문/답변정보관리부(310)는, 각 학습컨텐츠 별로, 해당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식별정보(예:컨텐츠번호)와, 문제식별정보(예:문제번호) 또는 문장정보(예:밑줄 그어진 문장텍스트, 문장텍스트번호)에 해당되는 질문관련정보와 질문텍스트정보와, 답변정보와, 답변한 학습자에 해당되는 학습자식별정보(예:학습자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질문/답변정보관리부(310)는, 학습단말장치1(100)가 후술의 서버제어부(320)에 의해 제공되는 질문/답변 서비스에 접속하여,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을 열람하고 이에 대한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답변 입력을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320)는,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소정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서버제어부(320)는,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제공된 질문정보 내 컨텐츠식별정보(예:컨텐츠번호) 및 질문관련정보(예:문제번호 또는 밑줄 그어진 문장텍스트 또는 문장텍스트번호) 및 질문텍스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판단 결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서버제어부(320)는, 해당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한다. 이때, 서버제어부(320)는, 학습단말장치1(100)로 하여금 질문/답변정보를 토대로 답변정보 및 답변한 학습자에 해당되는 학습자식별정보(예:학습자ID)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320)는,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한 후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선택정보가 회신되면, 회신된 선택정보를 토대로 학습단말장치1(100)의 해당 학습자A의 후술할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업데이트/갱신할 수 있다.
즉, 서비스제어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한 후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선택정보가 회신되면, 회신된 선택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금번 질문정보 및 선택된 질문/답변정보를 매칭하여 학습자A의 후술할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업데이트/갱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어부(320)는, 금번 질문정보 및 선택된 질문/답변정보를 매칭하여 질문/답변정보관리부(310)에 저장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 서비스제어부(320)는, 회신된 선택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질문/답변정보가 없음을 인지하면 금번 질문정보를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금번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판단 결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서버제어부(320)는,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금번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한다.
더 나아가, 서버제어부(320)는,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학습컨텐츠가 실시간 학습강의인 경우 질문정보를 금번 학습강의를 제공하는 해당 교사의 교사단말장치(400)로 제공하고, 이에 교사단말장치(400)로부터 회신되는 교사 답변정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제어부(320)는,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학습단말장치1(100)에서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실시간 학습강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학습단말장치1(100)에서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실시간 학습강의인 경우, 서버제어부(320)는,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의 질문정보를 금번 학습강의를 제공하는 해당 교사의 교사단말장치(400)로 제공/전달할 수 있다.
이에, 교사단말장치(400)를 사용하고 있는 해당 교사는 학습단말장치1(100)에 대응되는 학습자A로부터의 질문을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이 교사단말장치(400)를 조작하여 이에 대한 답변을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서버제어부(320)는, 금번 질문정보 제공에 대응하여 교사단말장치(400)로부터 교사가 입력한 답변에 대응하는 교사 답변정보가 회신되면, 회신된 교사 답변정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제어부(320)는, 질문정보를 교사단말장치(400)로 제공한 후 금번 학습강의가 종료될 때까지, 즉 학습단말장치1(100)에서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교사단말장치(400)로부터 금번 질문정보 제공에 대응하는 교사 답변정보가 회신되지 않는 경우, 질문/답변 서비스에 금번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320)는,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질문/답변 서비스에 등록하는 동작과 더불어, 학습컨텐츠 재생 중인지 여부와 상관없이 접속된 학습단말장치1(100)로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제어부(320)는, 학습자가 자신의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질문/답변이력 조회 기능, 자신의 질문에 대한 답변자 중 우수 답변자를 선택하도록 하는 우수답변자 선택 기능,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을 열람하는 질문게시물 열람 기능,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는 답변 기능, 새로운 질문을 등록하기 위한 질문등록 기능을 포함하는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서비스제어부(320)는, 학습컨텐츠 재생 중인지 여부와 상관없이 접속된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질문/답변 서비스 이용이 요청되면, 질문/답변 서비스 메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교사단말장치(400) 역시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320)는,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질문/답변 서비스 메뉴를 통해 질문/답변이력정보 조회가 요청되면 이에 따라 해당 학습자A의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서비스제어부(320)는,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학습자A의 질문/답변이력정보에 포함된 답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답변자를 우수답변자로 선택함을 나타내는 우수답변자정보가 제공되면, 이를 토대로 해당 답변자(예:학습자B)의 우수답변자채택이력을 업데이트/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질문/답변이력정보는, 과거에 학습자A에 대응하여 등록된 질문들 및 각 질문에 대응하여 등록된 타 학습자(답변자)의 답변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제어부(320)는, 학습단말장치1(100) 또는 교사단말장치(400)로부터 질문/답변 서비스 메뉴를 통해 타 학습자 질문게시물 열람하기가 요청되면 이에 따라 타 학습자들의 질문게시물들을 포함한 질문게시물메뉴를 학습단말장치1(100) 또는 교사단말장치(400)로 제공한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320)는, 학습단말장치1(100) 또는 교사단말장치(400)로부터 질문게시물메뉴를 통해 특정 질문게시물(예:학습자C의 질문1)에 대한 답변정보가 제공되면, 이를 토대로 질문에 따른 해당 학습자C의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업데이트/갱신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제어부(320)는, 학습단말장치1(100) 또는 교사단말장치(400)로부터 제공된 질문게시물(예:학습자C의 질문1)에 대한 답변정보를 토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질문/답변정보관리부(310)에 저장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비스제어부(320)는,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질문/답변 서비스 메뉴를 통해 질문등록 기능이 요청되면 이에 따라 질문하기메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하고, 질문하기메뉴를 통해 질문등록정보가 제공되면 이에 따라 학습단말장치1(100)의 해당 학습자A에 대응하여 새로운 질문게시물을 등록하고, 해당 학습자A의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업데이트/갱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는, 포인트관리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인트관리부(330)는,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는 학습자 및 타 학습자에 의해 우수답변자로 선택되는 학습자 및 타 학습자에 의해 불량답변 신고된 학습자에 대응하여 기 정의된 포인트정책에 따라 해당되는 포인트를 부과하여, 각 학습자 별 포인트정보를 생성/관리한다.
예를 들면,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질문게시물메뉴를 통해 특정 질문게시물(예:학습자C의 질문1)에 대한 답변정보가 제공되면, 포인트관리부(330)는, 기 정의된 포인트정책에 따라 학습단말장치1(100)의 학습자A에 대응하여 답변입력에 따른 포인트5를 부과할 수 있다.
또한,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학습자A의 질문/답변이력정보에 포함된 답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답변자를 우수답변자로 선택함을 나타내는 우수답변자정보가 제공되면, 포인트관리부(330)는, 이를 토대로 해당 답변자(예:학습자B) 에 대응하여 우수답변자 채택에 따른 포인트10을 부과할 수 있다.
또한,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학습자A의 질문/답변이력정보에 포함된 답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답변자를 불량답변자로 선택함을 나타내는 불량답변신고정보가 제공되면, 포인트관리부(330)는, 이를 토대로 해당 답변자(예:학습자D) 에 대응하여 불량답변신고에 따른 포인트-10을 부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은, 학습컨텐츠 재생을 통해 학습단말장치에서 학습하는 중 학습자가 간편한 터치 입력 방식을 통해 쉽고 빠르게 질문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관리되는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토대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즉각적으로 학습단말장치에 제공하고 더불어 교사 답변을 즉각적으로 학습단말장치에 제공함으로써, 학습 시 질문에 대한 부담을 없애고 답변에 대한 신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은,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질문에 대응하여 정당한 답변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해당 질문을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등록하고, 더불어 답변 활동에 대한 포인트를 부과함으로써, 지속적인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 갱신 및 답변 유도를 통한 답변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단말장치1(100)에서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한다(S20). 학습단말장치1(100)는, 학생 등의 학습자가 소지/조작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학습자 인증과정을 통해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 또는 별도의 학습관련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여 실시간 학습강의를 수강하거나, 또는 다운로드된 학습컨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단말장치1(100)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에 의한 질문이 입력되면,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한다(S30).
한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는,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관리한다(S10).
그리고,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는,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이에, 판단 결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는, 상기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한다(S50). 이에 학습단말장치1(100)는 회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 또는 교사 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학습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한편, 판단 결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는,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금번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한다(S6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학습단말장치1(100)를 언급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컨텐츠를 재생하여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00).
재생되는 학습컨텐츠는, 실시간으로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 또는 별도의 학습관련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학습강의에 대응되는 학습컨텐츠일 수 있고, 또는 미리 다운로드하여 학습단말장치1(100)에 저장된 학습컨텐츠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학습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통해 질문이 입력되면 상기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터치 입력을 통해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일 영역에서 기 설정된 질문작성입력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인지한다(S110).
인지 결과 기 설정된 질문작성입력이 인가되는 것으로 인지되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이에 따른 질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질문입력창을 통해 학습자에 의해 입력되는 질문을 토대로 상기 질문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질문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일 영역에서 소정 문장에 밑줄을 긋기 후 소정 시간(예:2초)동안 길게 누르는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팝업 형태로 질문작성 의사를 묻는 메뉴항목을 제시하고 메뉴항목을 통해 질문하기가 선택되면, 이를 기 설정된 질문작성입력으로 인지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질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일 영역에서 소정 문제에 대응하여 질문하기에 해당되는 소정 문자(예:Q)가 쓰여지는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이를 기 설정된 질문작성입력으로 인지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질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일 영역에서 소정 문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질문하기 항목이 터치 입력되면, 이를 기 설정된 질문작성입력으로 인지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질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에 오버랩 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질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제외한 디스플레이부(110) 상의 여백 영역에 질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기 설정된 비율로 축소하여 질문/답변을 위한 영역을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만들고, 질문/답변을 위한 영역에 질문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질문입력창을 통해 학습자에 의해 터치 입력되는 질문(예:질문텍스트)을 토대로 질문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질문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질문정보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식별정보(예:컨텐츠번호), 질문에 관련된 문제식별정보(예:문제번호) 또는 문장정보(예:밑줄 그어진 문장텍스트, 문장텍스트번호)에 해당되는 질문관련정보, 학습자에 의해 입력된 질문에 따른 질문텍스트정보, 학습자에 대응되는 학습자식별정보(예:학습자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질문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함에 따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부터 질문/답변정보가 회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회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S140), 터치 입력을 통해 어느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한다(S150).
즉,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질문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함에 따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부터 회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에 오버랩 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제외한 디스플레이부(110) 상의 여백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는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축소하여 만들어진 디스플레이부(110) 상의 질문/답변을 위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터치 입력을 통해 어느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 중 어느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터치하여 선택(예:소정 시간(예:2초) 동안 길게 누름, 더블 터치 등)하는 터치 입력이 인지되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어떤 질문/답변정보가 선택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 중 질문/답변정보가 선택되지 않은 채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다음 페이지로 이동되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어떠한 질문/답변정보도 선택되지 아니하였음을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S130단계에서 질문/답변정보 회신 여부를 판단하면서 S120단계의 질문정보 제공에 따른 교사 답변정보 회신 여부 역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교사 답변정보가 회신되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회신된 교사 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역시,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에 오버랩 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교사 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제외한 디스플레이부(110) 상의 여백 영역에 교사 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는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축소하여 만들어진 디스플레이부(110) 상의 질문/답변을 위한 영역에 교사 답변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터치 입력을 통해 질문/답변 서비스 이용이 선택되는지 판단하여(S260), 선택되면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하여 터치 입력을 통한 학습자의 요청에 따라 질문/답변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S170), 터치 입력을 통한 학습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학습자의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조회하거나 또는 상기 질문/답변이력정보에 포함되는 답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답변자를 우수답변자로 선택하거나 또는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을 열람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거나 또는 새로운 질문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컨텐츠 재생 중인지 여부와 상관없이 터치 입력을 통해 학습자A가 질문/답변 서비스 이용을 선택함이 인지되면,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하여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질문/답변 서비스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질문/답변 서비스 메뉴에서 질문/답변이력정보 조회가 터치 선택되면 이에 따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학습자A의 질문/답변이력정보를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된 학습자A의 질문/답변이력정보에 포함된 답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답변자를 우수답변자로 선택하는 터치 입력이 인지되면, 선택된 우수답변자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여 우수답변자를 지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질문/답변이력정보는, 과거에 학습자A에 대응하여 등록된 질문들 및 각 질문에 대응하여 등록된 타 학습자(답변자)의 답변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질문/답변 서비스 메뉴에서 타 학습자 질문게시물 열람하기가 선택되면 이에 따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타 학습자들의 질문게시물들을 포함한 질문게시물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질문게시물메뉴에서 특정 질문게시물에 대한 답변하기가 선택되면 터치 입력을 통해 터치 입력되는 답변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여 답변을 입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질문/답변 서비스 메뉴에서 질문하기가 선택되면 이에 따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질문하기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질문하기메뉴에서 터치 입력을 통해 터치 입력되는 질문등록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여 새로운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저장/관리한다(S200).
즉,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각 학습컨텐츠 별로, 해당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식별정보(예:컨텐츠번호)와, 문제식별정보(예:문제번호) 또는 문장정보(예:밑줄 그어진 문장텍스트, 문장텍스트번호)에 해당되는 질문관련정보와 질문텍스트정보와, 답변정보와, 답변한 학습자에 해당되는 학습자식별정보(예:학습자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100)가 후술의 질문/답변 서비스에 접속하여,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을 열람하고 이에 대한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답변 입력을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소정 질문정보가 제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이에,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S230단계를 수행하기에 앞서,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학습컨텐츠가 실시간 학습강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S220).
이 경우, 실시간 학습강의이라고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질문정보를 금번 학습강의를 제공하는 해당 교사의 교사단말장치(400)로 제공하고, 이에 교사단말장치(400)로부터 회신되는 교사 답변정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학습단말장치1(100)에서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실시간 학습강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이에, 학습단말장치1(100)에서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실시간 학습강의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의 질문정보를 금번 학습강의를 제공하는 해당 교사의 교사단말장치(400)로 제공/전달할 수 있다(S225).
이에, 교사단말장치(400)를 사용하고 있는 해당 교사는 학습단말장치1(100)에 대응되는 학습자A로부터의 질문을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이 교사단말장치(400)를 조작하여 이에 대한 답변을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금번 질문정보 제공에 대응하여 교사단말장치(400)로부터 교사가 입력한 답변에 대응하는 교사 답변정보가 회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50), 회신되는 경우 회신된 교사 답변정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할 수 있다(S26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질문정보를 교사단말장치(400)로 제공한 후 S250단계를 통해 금번 학습강의가 종료될 때까지, 즉 학습단말장치1(100)에서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교사단말장치(400)로부터 금번 질문정보 제공에 대응하는 교사 답변정보가 회신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질문/답변 서비스에 금번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다(S265).
다시 S230단계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즉,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제공된 질문정보 내 컨텐츠식별정보(예:컨텐츠번호) 및 질문관련정보(예:문제번호 또는 밑줄 그어진 문장텍스트 또는 문장텍스트번호) 및 질문텍스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판단 결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해당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한다(S24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100)로 하여금 질문/답변정보를 토대로 답변정보 및 답변한 학습자에 해당되는 학습자식별정보(예:학습자ID)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한 후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선택정보가 회신되면, 회신된 선택정보를 토대로 학습단말장치1(100)의 해당 학습자A의 후술할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업데이트/갱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한 후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선택정보가 회신되면, 회신된 선택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70).
이에 회신된 선택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금번 질문정보 및 선택된 질문/답변정보를 매칭하여 학습자A의 후술할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업데이트/갱신할 수 있다(S27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금번 질문정보 및 선택된 질문/답변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S230단계의 판단 결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금번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한다(S28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질문/답변 서비스에 등록하는 동작과 더불어, 학습컨텐츠 재생 중인지 여부와 상관없이 접속된 학습단말장치1(100)로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자가 자신의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질문/답변이력 조회 기능, 자신의 질문에 대한 답변자 중 우수 답변자를 선택하도록 하는 우수답변자 선택 기능,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을 열람하는 질문게시물 열람 기능,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는 답변 기능, 새로운 질문을 등록하기 위한 질문등록 기능을 포함하는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한다(S29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컨텐츠 재생 중인지 여부와 상관없이 접속된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질문/답변 서비스 이용이 요청되면, 질문/답변 서비스 메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교사단말장치(400) 역시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질문/답변 서비스 메뉴를 통해 질문/답변이력정보 조회가 요청되면 이에 따라 해당 학습자A의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학습자A의 질문/답변이력정보에 포함된 답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답변자를 우수답변자로 선택함을 나타내는 우수답변자정보가 제공되면, 이를 토대로 해당 답변자(예:학습자B)의 우수답변자채택이력을 업데이트/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질문/답변이력정보는, 과거에 학습자A에 대응하여 등록된 질문들 및 각 질문에 대응하여 등록된 타 학습자(답변자)의 답변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100) 또는 교사단말장치(400)로부터 질문/답변 서비스 메뉴를 통해 타 학습자 질문게시물 열람하기가 요청되면 이에 따라 타 학습자들의 질문게시물들을 포함한 질문게시물메뉴를 학습단말장치1(100) 또는 교사단말장치(400)로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100) 또는 교사단말장치(400)로부터 질문게시물메뉴를 통해 특정 질문게시물(예:학습자C의 질문1)에 대한 답변정보가 제공되면, 이를 토대로 질문에 따른 해당 학습자C의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업데이트/갱신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100) 또는 교사단말장치(400)로부터 제공된 질문게시물(예:학습자C의 질문1)에 대한 답변정보를 토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기 저장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질문/답변 서비스 메뉴를 통해 질문등록 기능이 요청되면 이에 따라 질문하기메뉴를 학습단말장치1(100)로 제공하고, 질문하기메뉴를 통해 질문등록정보가 제공되면 이에 따라 학습단말장치1(100)의 해당 학습자A에 대응하여 새로운 질문게시물을 등록하고, 해당 학습자A의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업데이트/갱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각 학습자 별 포인트정보를 생성/관리할 수 있다(S300).
즉,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는 학습자 및 타 학습자에 의해 우수답변자로 선택되는 학습자 및 타 학습자에 의해 불량답변 신고된 학습자에 대응하여 기 정의된 포인트정책에 따라 해당되는 포인트를 부과하여, 학습자 별 포인트정보를 생성/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질문게시물메뉴를 통해 특정 질문게시물(예:학습자C의 질문1)에 대한 답변정보가 제공되면,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기 정의된 포인트정책에 따라 학습단말장치1(100)의 학습자A에 대응하여 답변입력에 따른 포인트5를 부과할 수 있다.
또한,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학습자A의 질문/답변이력정보에 포함된 답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답변자를 우수답변자로 선택함을 나타내는 우수답변자정보가 제공되면,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이를 토대로 해당 답변자(예:학습자B) 에 대응하여 우수답변자 채택에 따른 포인트10을 부과할 수 있다.
또한, 학습단말장치1(100)로부터 학습자A의 질문/답변이력정보에 포함된 답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답변자를 불량답변자로 선택함을 나타내는 불량답변신고정보가 제공되면, 본 발명에 따른 질문/답변서비스서버(300)의 동작 방법은, 이를 토대로 해당 답변자(예:학습자D)에 대응하여 불량답변신고에 따른 포인트-10을 부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방법은, 학습컨텐츠 재생을 통해 학습단말장치에서 학습하는 중 학습자가 간편한 터치 입력 방식을 통해 쉽고 빠르게 질문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관리되는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토대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즉각적으로 학습단말장치에 제공하고 더불어 교사 답변을 즉각적으로 학습단말장치에 제공함으로써, 학습 시 질문에 대한 부담을 없애고 답변에 대한 신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방법은,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질문에 대응하여 정당한 답변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해당 질문을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등록하고, 더불어 답변 활동에 대한 포인트를 부과함으로써, 지속적인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 갱신 및 답변 유도를 통한 답변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학습컨텐츠 재생을 통해 학습단말장치에서 학습하는 중 즉시 질문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불특정 대중이 아닌 해당 학습컨텐츠의 교사 또는 타 학습자로부터의 신뢰도 높은 답변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학습 시 질문에 대한 부담을 없애고 답변에 대한 신속성 및 신뢰도를 보장하는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할 경우, 학습자의 만족도 및 학습 효율, 동기 부연 및 성적 향상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학습단말장치 및 질문/답변서비스서버 및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0,200... : 학습단말장치
300 : 질문/답변서비스서버
400 : 교사단말장치

Claims (24)

  1. 소정의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에 의한 질문이 입력되면 상기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제공하는 학습단말장치; 및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2. 재생되는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인지하는 터치인지부; 및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해 학습자에 의한 질문이 입력되면 상기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질문/답변서비스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질문정보 제공에 따라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로부터 회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해 상기 재생되는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일 영역에서 기 설정된 질문작성입력이 인지되면 이에 따른 질문입력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질문입력창을 통해 학습자에 의해 입력되는 질문을 토대로 상기 질문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정보는,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식별정보, 상기 질문에 관련된 문제식별정보 또는 문장정보에 해당되는 질문관련정보, 상기 학습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질문에 따른 질문텍스트정보, 상기 학습자에 대응되는 학습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질문정보 제공에 따라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로부터 회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해 어느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해 질문/답변 서비스 이용이 선택되면,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질문/답변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터치인지부를 통한 학습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학습자의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조회하거나 또는 상기 질문/답변이력정보에 포함되는 답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답변자를 우수답변자로 선택하거나 또는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을 열람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거나 또는 새로운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장치.
  7.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질문/답변정보관리부; 및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답변정보관리부는,
    각 학습컨텐츠 별로, 해당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식별정보와 문제식별정보 또는 문장정보에 해당되는 질문관련정보와 질문텍스트정보와 답변정보와 답변한 학습자에 해당되는 학습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답변정보관리부는,
    소정 학습단말장치가 상기 질문/답변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을 열람하고 이에 대한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답변 입력을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학습컨텐츠가 실시간 학습강의인 경우 상기 질문정보를 상기 학습강의를 제공하는 해당 교사의 교사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이에 상기 교사단말장치로부터 회신되는 교사 답변정보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질문정보를 상기 교사단말장치로 제공한 후 상기 학습강의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교사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교사 답변정보가 회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
  12. 제 7 항에 있어서,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는 학습자 및 타 학습자에 의해 우수답변자로 선택되는 학습자 및 타 학습자에 의해 불량답변 신고된 학습자에 대응하여 기 정의된 포인트정책에 따라 해당되는 포인트를 부과하여, 각 학습자 별 포인트정보를 생성/관리하는 포인트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
  13. 소정의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에 의한 질문이 입력되면, 학습단말장치가 상기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관리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가 상기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가 상기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가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방법.
  14. 학습컨텐츠를 재생하여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재생화면 디스플레이 단계;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터치 입력을 통해 학습자에 의한 질문이 입력되면, 상기 질문 입력에 따른 질문정보를 생성하여 질문/답변서비스서버로 제공하는 질문정보 제공단계; 및
    상기 질문정보 제공에 따라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로부터 회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답변정보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정보 제공단계는,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재생되는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일 영역에서 기 설정된 질문작성입력이 인지되면 이에 따른 질문입력창을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질문입력창을 통해 학습자에 의해 입력되는 질문을 토대로 상기 질문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정보는,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식별정보, 상기 질문에 관련된 문제식별정보 또는 문장정보에 해당되는 질문관련정보, 상기 학습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질문에 따른 질문텍스트정보, 상기 학습자에 대응되는 학습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 중에서, 터치 입력을 통해 어느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터치 입력을 통해 질문/답변 서비스 이용이 선택되면, 상기 질문/답변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통한 학습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학습자의 질문/답변이력정보를 조회하거나 또는 상기 질문/답변이력정보에 포함되는 답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답변자를 우수답변자로 선택하거나 또는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을 열람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거나 또는 새로운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상기 질문/답변 서비스를 이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9. 각 학습컨텐츠 별 질문/답변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질문/답변정보 관리단계;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질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 중 해당 질문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질문/답변정보 존재 여부 판단단계;
    판단 결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답변 제공단계; 및
    판단 결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타 학습자 및 교사가 열람 및 답변 가능한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질문 등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답변정보 관리단계는,
    각 학습컨텐츠 별로, 해당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식별정보와 문제식별정보 또는 문장정보에 해당되는 질문관련정보와 질문텍스트정보와 답변정보와 답변한 학습자에 해당되는 학습자식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답변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답변정보 관리단계는,
    소정 학습단말장치가 상기 질문/답변 서비스에 접속하여,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을 열람하고 이에 대한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답변 입력을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의 질문/답변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질문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학습컨텐츠가 실시간 학습강의인 경우 상기 질문정보를 상기 학습강의를 제공하는 해당 교사의 교사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이에 상기 교사단말장치로부터 회신되는 교사 답변정보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정보를 상기 교사단말장치로 제공한 후 상기 학습강의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교사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교사 답변정보가 회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질문/답변 서비스에 상기 질문정보에 따른 질문게시물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타 학습자에 의해 등록된 질문게시물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는 학습자 및 타 학습자에 의해 우수답변자로 선택되는 학습자 및 타 학습자에 의해 불량답변 신고된 학습자에 대응하여 기 정의된 포인트정책에 따라 해당되는 포인트를 부과하여, 각 학습자 별 포인트정보를 생성/관리하는 포인트 관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문/답변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KR1020100065253A 2010-07-07 2010-07-07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04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253A KR20120004650A (ko) 2010-07-07 2010-07-07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253A KR20120004650A (ko) 2010-07-07 2010-07-07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650A true KR20120004650A (ko) 2012-01-13

Family

ID=4561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253A KR20120004650A (ko) 2010-07-07 2010-07-07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65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665B1 (ko) * 2012-09-14 2013-08-07 최인심 Sns 기반의 협업 학습 콘텐츠 생성방법 및 그 서비스 시스템
KR101306179B1 (ko) * 2012-10-29 2013-09-10 이준웅 피드백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4017757A1 (en) * 2012-07-26 201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ransmitting inquiry message, display device for the method,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KR101455907B1 (ko) * 2012-10-09 2014-11-03 김태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컨설팅 방법 및 시스템
KR101582561B1 (ko) * 2015-02-04 2016-01-06 주식회사 미래엔 디지털 참고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KR20200118666A (ko) * 2019-04-08 2020-10-16 오준서 학습문제 풀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1787A (ko) * 2019-12-06 2021-06-16 (주)투위스트에듀 수학 컨텐츠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운영하는 시스템
KR102341752B1 (ko) * 2021-09-13 2021-12-27 (주)인더스트리미디어 메타버스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강의 보조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757A1 (en) * 2012-07-26 201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ransmitting inquiry message, display device for the method,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US10228810B2 (en) 2012-07-26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ransmitting inquiry message, display device for the method,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KR101291665B1 (ko) * 2012-09-14 2013-08-07 최인심 Sns 기반의 협업 학습 콘텐츠 생성방법 및 그 서비스 시스템
KR101455907B1 (ko) * 2012-10-09 2014-11-03 김태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컨설팅 방법 및 시스템
KR101306179B1 (ko) * 2012-10-29 2013-09-10 이준웅 피드백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82561B1 (ko) * 2015-02-04 2016-01-06 주식회사 미래엔 디지털 참고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KR20200118666A (ko) * 2019-04-08 2020-10-16 오준서 학습문제 풀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1787A (ko) * 2019-12-06 2021-06-16 (주)투위스트에듀 수학 컨텐츠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운영하는 시스템
KR102341752B1 (ko) * 2021-09-13 2021-12-27 (주)인더스트리미디어 메타버스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강의 보조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ng Clickers in the flipped classroom: Bring your own device (BYOD) to promote student learning
Kori et al. Supporting reflection in technology-enhanced learning
KR20120004650A (ko) 학습 관련 질문/답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060154226A1 (en) Learning support systems
US6733296B2 (en) 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holding incentive-based learning
JP2010518416A (ja) コンピュータ実現の学習方法および学習装置
KR2000002399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교육 방법및 그 장치
Encheva et al. Games to improv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skills
KR101887407B1 (ko) 문제를 풀고 해당 문제의 해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체계적인 구축 방법
Morshedian et al. Training EFL learners in self-regulation of reading: Implementing an SRL model
Marković et al. Adaptive distance learning and testing system
KR20110134662A (ko) 전자펜을 활용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학습 서버와, 수학학습 도구 시스템
Spiteri et al. EU entrepreneurial learning: perspectives of university students
Treacy et al. A “new normal”: Teachers’ experiences of the day-to-day impact of incentivising the study of advanced mathematics
KR20190109992A (ko) 효율적 화상강의와 동영상 학습환경을 지원하는 자동 튜터 에이전트 운영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lghabban et al. Perceived level of usability as an evaluation metric in adaptive e-learning: a case study with dyslexic children
KR101887409B1 (ko) 미세 oid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 및 그에 대응되는 전자문서 파일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축한 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콘텐츠 마켓 서비스 시스템
KR2000001805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교육 방법및 그 장치
KR20120003709A (ko)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341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Power A framework for promoting teacher self-efficacy with mobile reusable learning objects
Lau A Study of the Effects of E-learning on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Students
KR20120015576A (ko)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desope et al. Contemporary Technologies in Education
KR102667282B1 (ko) 스마트 온라인 강의방법 및 강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