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787A -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787A
KR20110133787A KR1020100053389A KR20100053389A KR20110133787A KR 20110133787 A KR20110133787 A KR 20110133787A KR 1020100053389 A KR1020100053389 A KR 1020100053389A KR 20100053389 A KR20100053389 A KR 20100053389A KR 20110133787 A KR20110133787 A KR 20110133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width
movement trajectory
coordinates
cu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167B1 (ko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3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167B1/ko
Priority to US13/067,093 priority patent/US8896606B2/en
Publication of KR20110133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3Drawing of straight lines or cur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선으로 입력된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을 곡선화하면서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인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터치 수단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 시 터치 지점의 좌표들을 샘플링하는 단계, 좌표들 사이의 기울기에 따라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이 곡선인지 판단하는 단계, 궤적이 곡선일 때 샘플링된 좌표들을 곡선으로 잇고, 이어진 곡선을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방법{TOUCH SCREEN AND METHOD OF DISPLAYING}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선으로 입력된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을 곡선화하면서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종이에 펜을 사용하여 글씨를 쓰듯이 디지털 매체인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 등에서도 펜 등의 터치 수단을 사용하여 글씨를 디지털로 표현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어왔다. 디지털 수기 문자(digital handwritten letter)는 하나 이상의 수기 획(handwritten stroke)으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터치 수단을 터치 스크린에 접촉시켜 움직이면 수기 획(handwritten stroke)이 생성된다. 하나의 수기 획(handwritten stroke)은 터치 수단의 끝 위치에 상응하는 (x,y)좌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글씨를 쓰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의 터치 스크린 위에서  터치 수단을 움직일 수 있고, 컴퓨터 시스템은 시간을 따라 터치 수단의 끝 위치 궤적을 따라 (x,y)좌표를 샘플링하여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샘플링된 좌표들은 생성된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 위에 있는 점들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넘어오는 샘플링 데이터는 이산적인 시계열 (x,y)점들(discrete time-series points)이다.
지금까지 종래기술은 이러한 샘플링 점들을 보간(interpolation)하는 방법에 따라서 크게 후과정 곡선화(post-processing smoothing)와 동시 직선 보간(simultaneous interpolation)으로 나눌 수 있다.
후과정 곡선화(post-processing smoothing)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위에서 터치 수단이 움직이는 동안 컴퓨터 시스템이 샘플링 점들을 순서대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점들 사이를 낱낱의 직선으로 연결하여 화면에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 수단을 터치 스크린에서 떨어뜨린 이후, 시스템이 저장된 모든 샘플링 점들을 Spline Interpolation 방식을 이용해 부드러운 곡선으로 만들고 메모리에 저장한 후 화면을 지우고 생선된 곡선을 새로 그린다.
동시 직선 보간(simultaneous line-interpolation)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위에서 터치 수단을 움직이는 동안, 컴퓨터 시스템이 터치 수단의 샘플링 좌표와 압력을 입력받을 때마다 샘플링된 좌표를 압력에 대응하는 크기의 원으로 메모리에 만들고, 이전 샘플링 원과 새 원 사이의 두 접선들로 구성되는 연결 사각형을 메모리에 만들고(도면 1), 생성된 새 원과 연결 사각형을 화면에 그린다(도면 2).
후과정 곡선화(post-processing smoothing)의 문제점은 먼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위에서 터치 수단을 움직이는 동안은 샘플링한 점들을 직선으로 연결한 획이 생성되어 부드러운 곡선으로 연결된 자필과 유사한 획을 화면에서 볼 수 없다. 더불어, 샘플링한 점들 사이를 고정 너비의 직선으로 보간 하였기 때문에 압력과 같은 외부인자에 대응하여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의 너비가 부드럽게 변화할 수 없는 broken lines의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로, 사용자가 터치 수단을 터치 스크린에서 떨어뜨린 이후 그려진 터치 수단의 궤적이 종전과 크게 다른 모습으로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터치 수단이 터치 스크린 위를 움직이는 동안 화면에 표현된 이미지와 터치 수단이 떨어진 후에 생성된 이미지가 달라서 사용자는 터치 수단을 움직이는 중에는 최종 궤적을 정확히 알 수 없다. 또한, 사용자는 매번 이동 궤적이 생성될 때마다 화면이 refresh 되어 직선으로 연결된 이동 궤적이 부드러운 곡선으로 변화하는 것을 참고 지켜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동시 직선 보간(simultaneous line-interpolation)의 문제점은 샘플링한 원 또는 점들을 접선으로 구성된 사각형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각진 부분(도면 2의 400,401)이 발생하여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이 완전히 부드러운 곡선으로 생성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로는 사용자가 부드러운 곡선의 궤적을 얻기 위해서 사용의 불편함(후과정 곡선화)을 감수하던지 또는 사용의 편리함(동시 보간)을 얻기 위해 부드러운 곡선(smoothing)을 손해 보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 종이에 펜을 사용하여 글을 쓰듯이 디지털 수기 획(digital handwritten stroke)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위에서 펜 등의 터치 수단을 움직이는 순간마다 샘플링된 점들로부터 부드럽게 연결된 터치 수단의 궤적을 동시 생성할 수 있고, 부드럽게 연결된 터치 수단의 궤적은 압력 또는 가속도 등 외부 인자에 따라 가변적인 너비를 가질 수 있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과정 곡선화의 후과정으로 야기되는 사용자 불편함과 동시 직선 보간의 직선표현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치 수단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 시 터치 지점의 좌표들을 샘플링하는 단계, 좌표들 사이의 기울기에 따라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이 곡선인지 판단하는 단계, 궤적이 곡선일 때 샘플링된 좌표들을 곡선으로 잇고, 이어진 곡선을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 이용 시 사용자에게 다음과 같은 기술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위에서 펜 등의 터치 수단을 움직이자 마자 터치 수단의 움직임에 의해 생성된 부드러운 곡선 획(stroke)이 동시에 화면에 그려진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위에서 터치 수단을 다른 속도 또는 다른 압력 등으로 움직일 때,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의 가속도를 증가하게 하거나 감소하게 하여 가변적인 너비를 가진 부드러운 곡선 획(stroke)을 동시에 만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의 곡선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해 곡선화된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실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을 샘플링한 좌표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샘플링한 좌표들을 접선으로 연결하고 확장점을 생성하여 이동 궤적을 곡선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술평균을 이용하여 제어점들을 생성하고 이동 궤적을 곡선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어점들을 이용하여 동시 곡선화 조각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생성된 동시 곡선화 조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음 샘플링 주기에서 샘플링된 좌표에 의한 새로운 동시 곡선화 조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전 동시 곡선화 조각에 연결된 새로운 동시 곡선화 조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수단의 이동이 종료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을 곡선화 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변적인 너비를 가지는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을 곡선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수단의 가속도에 따른 너비 결정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터치 수단의 압력에 따른 너비 결정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시 곡선화 조각 생성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실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스크린 장치는 터치 스크린(70)과 터치 수단(71)과 가변적인 너비를 가진 수기 획을 동시 곡선화하는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72)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70)은 터치를 감지하는 기능과 감지된 터치 수단(71)의 이동 궤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하나의 패널에 포함하는 장치를 말하며,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방식은 모니터와 같은 별도 디스플레이 전용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는 등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정전식, 감압식 등 모든 터치 감지 방법을 포함하고, 터치 수단(71)도 손가락, 펜, 전자펜과 같은 터치할 수 있는 모든 도구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을 샘플링한 좌표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사용자가 화살표(810) 방향으로 터치 수단(71)을 이동할 때 가장 최근에 입력받은 샘플링된 좌표들의 형태(803,804,805)를 보여 준다. 여기서 예를 들어 원으로 표현하였으나 타원, 사각형 등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샘플링된 좌표의 형태 803이 세 번째 최근 입력, 샘플링된 좌표의 형태 804가 두 번째 최근 입력, 샘플링된 좌표의 형태 805는 가장 최근 입력이다.
동일 순서로 샘플링된 좌표들은 각각 800, 801, 802이다. 샘플링된 좌표들은 터치 수단(71)이 터치 스크린(70)을 접촉한 위치들을 나타낸다. 샘플링된 좌표의 형태(원)의 지름의 크기는 각 입력 시점의 가속도, 압력, 기울기, 터치 수단(71)의 형태 등 터치 수단(71)의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그 예로, 도 4는 화살표(810) 방향으로 터치 수단(71)의  압력이 증가 또는 속도가 감소하는 형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샘플링한 좌표들을 접선으로 연결하고 확장점을 생성하여 이동 궤적을 곡선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확장점 904, 905, 906, 907은 가장 최근에 입력된 샘플링된 좌표들의 형태인  804, 805를 접선으로 연결하는 접점들이다. 마찬가지로 점 900, 901, 902, 903은 샘플링된 좌표들의 형태인 803, 804를 접선으로 연결하는 접점들이다. 상기 점 900 내지 907을 구현하는 다른 예로 1960년대 후반 Texas Instrument社의 CAD 시스템들에 사용되어 알려진 centerline figure expansion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술평균을 이용하여 제어점들을 생성하고 이동 궤적을 곡선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동시 곡선화 조각 생성을 위한 제어점들(1000,1001,1002,1003,1004,1005)은 확장점인 접점(900 내지 907)을 산술 평균하여 얻어진다. 즉, 1000은 확장점 900과 901의 산술 평균이다. 마찬가지로, 제어점 1001은 확장점 901과 904의 산술 평균, 제어점 1002는 확장점 904와 905의 산술 평균, 제어점 1003은 확장점 906과 907의 산술 평균, 제어점 1004는 확장점 903과 906의 산술 평균, 제어점 1005는 확장점 902와 903의 산술 평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어점들을 이용하여 동시 곡선화 조각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동시 곡선화 조각을 생성하는 한 예는 곡선 1100, 직선 1101, 곡선 1102, 직선 1103을 나열한 순서대로 연결하여 구성한 closed path를 만드는 것이다. 먼저, 곡선 1100은 세 점 1000, 1001, 1002를 제어점으로 사용하여 생성한 Quadratic Bezier 곡선이며 시작점이 1000, 끝점이 1002이다. 직선 1101은 시작점이 1002, 끝점이 1003이다. 곡선 1102는 세점 1003, 1004, 1005를 제어점으로 사용하여 생성한 Quadratic Bezier 곡선이며 시작점이 1003, 끝점이 1005이다. 직선 1003은 시작점이 1005, 끝점이 1000이다. 다른 구현 예로는 상기 closed path를 구성하는 점들의 방향을 상기 순서의 역순이 되게 하는 것 또는 상기 closed path의 시작을 상기 곡선 1100이 아닌 다른 직선이나 곡선이 되게 하는 것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생성된 동시 곡선화 조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 동시 곡선화 조각(1200)을 보여 준다. 사선으로 채워진 영역이 터치 스크린(7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나타낸다. 동시 곡선화 조각은 샘플링된 좌표들이 입력될 때마다 생성되어 터치 스크린(70)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음 샘플링 주기에서 샘플링된 좌표에 의한 새로운 동시 곡선화 조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새로운 동시 곡선화 조각은 직전에 생성되고 디스플레이된 동시 곡선화 조각과 연결되며 가변적인 너비를 가진 터치 수단(71)의 궤적을 연속된 부드러운 곡선으로 나타낸다. 도 9는 도 8에 추가로 샘플링된 좌표의 형태(1301)가 입력되었을 때 새 동시 곡선화 조각을 생성하여 직전 동시 곡선화 조각(1200)에 연결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샘플링 위치는 1300이고 터치 수단(71)의 압력이 감소하거나 속도가 증가하여 직전 샘플링된 좌표의 형태(805)보다 새로 샘플링된 좌표의 형태(1301)의 지름의 너비가 감소한 경우를 하나의 예로 들었다.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동시 곡선화 조각 생성을 위한 제어점들(1302,1303,1304,1305,1306,1307)을 생성한다. 도면 7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새 동시 곡선화 조각을 곡선 1308, 직선 1309, 곡선 1310, 직선 1311을 나열한 순서대로 연결하여 구성한 폐루프를 생성한다. 제어점 1302와 1307이 각각 직전 동시 곡선화 조각(1200)의 제어점 1002와 1003과 일치하기 때문에 두 동시 곡선화 조각들이 끊어짐 없이 연결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전 동시 곡선화 조각에 연결된 새로운 동시 곡선화 조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새 동시 곡선화 조각(1400)이 직전 동시 곡선화 조각(1200)에 연결된 모습을 보여 준다. 사선으로 채워진 영역은 터치 스크린(7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수단의 이동이 종료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사용자가 샘플링된 좌표의 형태 803에서 터치를 시작하여 샘플링된 좌표의 형태 804와 805를 지나 샘플링된 좌표의 형태 1301에서 터치를 종료했을 경우에  터치 스크린(7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보여 준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도면에 있는 순서도를 참고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을 곡선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터치 수단(71)의 이동 궤적이 입력되면(1600), 이동 궤적이 곡선인지를 판단하고(1601), 궤적이 직선이면 샘플링된 좌표를 연결하여 직선으로 디스플레이하고(1602), 궤적이 곡선이면 샘플링된 좌표를 보간법을 이용하여 동시 곡선화 조각을 생성한다(1603). 다음으로 동시 곡선화 조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1604).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변적인 너비를 가지는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을 곡선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터치 수단(71)의 이동 궤적이 가변적인 너비를 가지는 경우, 도 13과 같은 과정으로 실시될 수 있다. 터치 수단(71)의 이동 궤적을 입력받고(1610), 터치 수단(71)의 정보를 입력 받는다(1611). 그 정보에 따라 터치 수단(71)의 이동 궤적의 너비를 결정한다(1612). 다음으로 터치 수단(71)의 이동 궤적이 곡선인지를 판단한다(1613). 만약 직선이라면 샘플링된 좌표를 직선으로 연결하여 디스플레이한다(1614). 곡선이라면 샘플링된 좌표에 대해 동시 곡선화 조각을 생성하고(1615), 생성된 동시 곡선화 조각을 터치 스크린(70)에 디스플레이한다(1616).
터치 수단(71)의 정보가 입력될 때마다 가변적인 너비를 가진 동시 곡선화 조각이 생성되고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이 반복 수행되어 결과적으로 부드럽게 연결된 곡선을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
터치 수단(71)의 정보 받기 단계(1611)는 사용자가 터치 수단(71)을 사용하여 변화하는 글씨 쓰기를 위해 터치 스크린(70)을 터치(Touch)하는 동안 발생하는 샘플링된 좌표의 정보를 받는 것이며, 터치 수단(71)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샘플링은 사용자가 터치한 경로에 따라 일어나며 샘플링의 주체는 터치 스크린(70) 또는 터치 수단(71) 또는 터치 스크린(70)과 터치 수단(71)의 조합이 될 수 있으며, 제한을 두지 않는다. 터치 수단(71)이 움직일 때, 단위 시간당 일정 좌표를 샘플링하는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는 샘플링 주체에 의존한다.
터치 수단(71)의 정보는 샘플링 순간의 터치 수단(71)의 가속도, 압력, 위치, 시간, 기울기, 형태를 포함하며 제한을 두지 않는다.
터치 수단(71)의 정보에 따른 너비 결정 단계(1612)는 이전 단계에서 (메모리에 저장한) 샘플링된 터치 수단(71)의 정보(위치, 시간, 압력, 기울기, 형태 등)를 사용하여 터치 수단(71)의 너비를 결정한다. 결정된 값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수단의 가속도에 따른 너비 결정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의 너비 결정단계(1612)의 구체적 예시로, 가속도에 따라 이동 궤적의 너비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너비 결정단계(1612)는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의 가속도 연산 단계(1700), 가속도 비교 단계(1701),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의 너비 설정 단계(1702, 1703, 1704), 너비 리턴 단계(1705)를 포함한다.
가속도 연산 단계(1700)는 현재 터치 수단(71)의 속도와 다음 터치 수단(71)의 속도로부터 단위 시간당 속도변화를 계산한다. 터치 수단(71)의 속도는 터치 수단(71)의 위치, 시간으로부터 단위 시간당 거리 변화를 계산하여 측정할 수 있다.
가속도 비교 단계(1701)는 계산된 가속도를 0과 비교한다. 너비 설정 단계는 가속도가 0보다 크면(글 쓰기 속도가 빨라지면) 너비를 감소(1702)시키고, 가속도가 0보다 작으면(글 쓰기 속도가 느려지면) 너비를 증가(1704)시키고 가속도가 0과 같으면 너비를 그대로 유지하고 마지막으로 계산된 너비를 리턴(1705)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수단의 압력에 따른 너비 결정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터치 수단(71)의 정보에 따라 너비를 결정하는 단계(1602)는 가속도 대신 압력에 따라, 또는 가속도와 압력 조합에 따라, 또는 가속도와 압력과 기울기 조합에 따라, 또는 가속도와 압력과 기울기와 형태의 조합에 따라 등 여러 방법으로 너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펜 너비 설정 방법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15에서는 압력 변화에 따른 너비 결정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너비 결정단계(1612)는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의 압력 측정 단계(1710), 현재 압력과 다음 압력의 비교 단계(1711),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의 너비 설정 단계(1712, 1713, 1714), 너비 리턴 단계(1715)를 포함한다.
압력 측정 단계(1710)는 현재 터치 수단(71)의 압력과 다음 터치 수단(71)의 압력을 계산한다. 터치 수단(71)의 압력은 터치 스크린(70)에 위치할 수 있는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압력 비교 단계(1711)는 계산된 현재 압력과 다음 압력을 비교한다. 너비 설정 단계는 압력이 증가하면 너비를 증가(1712)시키고, 압력이 감소하면 너비를 감소(1714)시키고 압력이 유지되면 너비를 그대로 유지한다(1713). 마지막으로 계산된 너비를 리턴(1715)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시 곡선화 조각 생성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동시 곡선화 조각 생성 단계(1603, 1615)는 확장점 생성 단계(1800), 제어점 생성 단계(1801), 곡선화 조각 생성 단계(1802)를 포함한다.
확장점 생성 단계(1800)는 터치 수단(71)의 궤적의 너비와, 인접 원간의 접선을 활용하여, 동시 곡선화 조각을 확장하기 위해 확장점들(900,901,902,903,904,905,906,907)을 연산한다. 도 9에 대한 상기 설명이 확장점 생성의 상세 방법을 포함한다.
제어점 생성 단계(1801)는 상기 확장점들(900,901,902,903,904,905,906,907)과 산술평균을 사용하여 동시 곡선화 조각 생성을 위한 제어점들(1000,1001,1002,1003,1004,1005)을 연산한다. 도 10에 대한 상기 설명이 제어점 생성의 상세 방법을 포함한다.
곡선화 조각 생성 단계(1802)는 제어점들(1000,1001,1002,1003,1004,1005)을 사용하여 곡선 1100, 직선 1101, 곡선 1102, 직선 1103을 생성하고 나열한 순서대로 연결한 폐루프 영역을 생성한다. 도 11에 대한 상기 설명이 곡선화 조각 생성의 상세 방법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단계(1604, 1616)는 생성된 동시 곡선화 조각(1200)을 터치 스크린(70)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이다.
70 : 터치 스크린
71 : 터치 수단                72 :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
800, 801, 802 : 샘플링 좌표
900~907 : 확장점             1000~1005 : 제어점
1200, 1400 : 동시 곡선화

Claims (20)

  1. 터치 수단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 시 터치 지점의 좌표들을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좌표들 사이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이 곡선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궤적이 곡선일 때 상기 샘플링된 좌표들을 곡선으로 잇고, 이어진 곡선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샘플링된 좌표들에서 현재 좌표와 다음 좌표를 잇는 제1직선의 기울기가 상기 다음 좌표와 그 다음 좌표를 잇는 제2직선의 기울기와 다르면 곡선으로 판단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직선의 중점과 상기 제2직선의 중점 사이를 보간을 통해 곡선화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수단의 정보를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수단의 정보는 상기 각 샘플링 순간의 터치 수단의 가속도, 압력, 위치, 기울기, 모양, 재질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수단의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의 너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궤적의 너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궤적의 가속도 연산 단계, 가속도 비교 단계, 너비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연산 단계는 상기 샘플링된 좌표들의 단위 시간당 거리 변화를 계산하여 상기 이동 궤적의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속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비교 단계는 상기 연산된 이동 궤적의 가속도를 0과 비교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궤적의 너비 설정 단계는 상기 연산된 가속도가 0보다 크면 상기 이동 궤적의 너비를 감소시키고, 작으면 상기 이동 궤적의 너비를 증가시키고, 같으면 상기 이동 궤적의 너비를 유지시키는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6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궤적의 너비 결정 단계는 상기 터치 수단의 압력이 커지면 상기 이동 궤적의 너비를 증가시키고, 작아지면 상기 이동 궤적의 너비를 감소시키고, 같으면 상기 이동 궤적의 너비를 유지시키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단위 시간에 샘플링된 좌표들을 상기 결정된 너비로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확장점 생성 단계, 제어점 생성 단계, 동시 곡선화 조각 생성 단계,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점 생성 단계는 상기 결정된 너비로 표시된 인접한 샘플링 좌표들을 접선으로 연결할 때 접점의 위치를 연산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점 생성 단계는 상기 접점들의 중간점 위치를 연산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곡선화 조각 생성 단계는 상기 제어점들을 연결한 폐루프 영역을 생성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생성된 동시 곡선화 조각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지점의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는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수단에 따라 결정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1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궤적으로부터 문자 폰트를 생성하는 시스템.
  20.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터치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감지된 터치 지점을 좌표들로 샘플링하고, 상기 터치 수단의 이동 궤적이 곡선인지를 판단하고, 곡선이면 상기 좌표들을 곡선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곡선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KR1020100053389A 2010-06-07 2010-06-07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126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389A KR101126167B1 (ko) 2010-06-07 2010-06-07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3/067,093 US8896606B2 (en) 2010-06-07 2011-05-06 Touch screen and displa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389A KR101126167B1 (ko) 2010-06-07 2010-06-07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787A true KR20110133787A (ko) 2011-12-14
KR101126167B1 KR101126167B1 (ko) 2012-03-22

Family

ID=4506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389A KR101126167B1 (ko) 2010-06-07 2010-06-07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96606B2 (ko)
KR (1) KR1011261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977A (ko) * 2012-11-05 2014-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시스템과 그 스무딩 필터 제어 방법
KR20190099347A (ko) * 2015-05-28 2019-08-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입력 표시 장치, 입력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2080739A1 (ko) * 2020-10-14 2022-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7870B2 (ja) * 2011-10-28 2015-12-02 任天堂株式会社 座標処理プログラム、座標処理装置、座標処理システムおよび座標処理方法
EP2587348B1 (en) 2011-10-28 2020-12-02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8773382B2 (en) 2011-10-28 2014-07-08 Nintendo Co., Lt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ordinate processing apparatus, coordinate processing system, and coordinate processing method
CN103186235B (zh) * 2011-12-31 2015-11-25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一种手写输入的处理方法及装置
US9411796B2 (en) * 2013-09-04 2016-08-09 Adobe Systems Incorporated Smoothing paths in a graphical interface generated by drawing inputs
JP6304618B2 (ja) * 2013-11-05 2018-04-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
US9710098B2 (en) * 2014-03-31 2017-07-18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latency of touch events
US9508166B2 (en) 2014-09-15 2016-1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moothing and GPU-enabled rendering of digital ink
US9804709B2 (en) * 2015-04-28 2017-10-31 Samsung Display Co., Ltd. Vector fill segment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display latency of touch events
CN105955756A (zh) * 2016-05-18 2016-09-21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图像擦除方法和系统
CN107831935B (zh) * 2017-09-27 2021-01-12 深圳市天英联合教育股份有限公司 基于拟合的触摸点轨迹追踪方法、装置及智能设备
CN109284059B (zh) * 2018-08-28 2020-11-2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笔迹绘制方法、装置、交互智能平板和存储介质
CN114585992A (zh) * 2020-09-29 2022-06-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书写轨迹处理方法、触控设备、书写系统及存储介质
US11189069B1 (en) * 2021-03-11 2021-11-30 Adobe Inc. Systems for partially undoing content editing operations
CN114356201B (zh) * 2021-12-23 2024-02-20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一种书写美化方法、装置、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4967972A (zh) * 2022-04-27 2022-08-30 华南理工大学 一种触摸屏采样率的调整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6711B2 (en) * 2000-06-21 2006-02-28 Microsoft Corporation Transform table for ink sizing and compression
US6707473B2 (en) * 2001-08-01 2004-03-16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rendering of ink strokes with transparency
US7176906B2 (en) * 2001-05-04 2007-02-1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of generating digital ink thickness information
US6909430B2 (en) * 2001-08-01 2005-06-21 Microsoft Corporation Rendering ink strokes of variable width and angle
US7158675B2 (en) * 2002-05-14 2007-01-02 Microsoft Corporation Interfacing with ink
US7146046B2 (en) * 2002-06-24 2006-12-0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e independent cusp detection
TW575841B (en) * 2002-08-27 2004-02-11 Ind Tech Res Inst Descriptive method of characters for displaying the thickness of strokes thereof
US20050089237A1 (en) * 2003-10-24 2005-04-28 Jaehwa Park Method and apparatus for bezier curve approximation data compression
US7427984B2 (en) * 2003-10-26 2008-09-23 Microsoft Corporation Point erasing
KR20070109699A (ko) * 2006-05-12 2007-11-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도형 인식 장치
US7697002B2 (en) * 2007-01-25 2010-04-13 Ricoh Co. Ltd. Varying hand-drawn line width for display
JP4582200B2 (ja) * 2008-06-03 2010-11-1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変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006649A (ko) * 2008-07-10 2010-01-21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사용자 단말 장치
US20120050293A1 (en) * 2010-08-25 2012-03-01 Apple, Inc. Dynamically smoothing a curv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977A (ko) * 2012-11-05 2014-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시스템과 그 스무딩 필터 제어 방법
KR20190099347A (ko) * 2015-05-28 2019-08-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입력 표시 장치, 입력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
US10510322B2 (en) 2015-05-28 2019-12-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put display device, input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10748506B2 (en) 2015-05-28 2020-08-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put display device and input display method
WO2022080739A1 (ko) * 2020-10-14 2022-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34652B2 (en) 2020-10-14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167B1 (ko) 2012-03-22
US8896606B2 (en) 2014-11-25
US20110298807A1 (en)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167B1 (ko)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방법
CN1303500C (zh) 为gui提供显示的方法
US10402042B2 (en) Force vector cursor control
CN100520692C (zh) 一种实现笔锋效果的手写输入方法
US20160239137A1 (en)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dynamic tactile interface
US201500918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80134078A1 (en) Scroll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7529623A (ja) ウェットインク予測器
KR20160124786A (ko) 인 에어 초음파 펜 제스처들
WO2012097729A1 (zh) 一种手写原笔迹的笔锋实现方法及实现装置
TWI567592B (zh) 手勢辨識方法及穿戴式裝置
JP2013525891A (ja) ユーザのタッチジェスチャを判別する方法及びデバイス
US20110216094A1 (en) Display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US20140129975A1 (en) Determining scroll direction intent
CN105556434A (zh) 用于传感器系统的连续圆形姿势检测
KR20080066416A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CN104346072A (zh) 显示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TWI354223B (ko)
US10331333B2 (en) Touch digital ruler
WO2012169189A1 (ja)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JP2009110135A (ja) オブジェクト選択装置
JP2012063938A (ja) 手書き図形認識システム、手書き図形認識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050171A1 (en) Single touch process to achieve dual touch user interface
WO2015049934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392739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자문서상에서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