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649A -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사용자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사용자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649A
KR20100006649A KR1020080066861A KR20080066861A KR20100006649A KR 20100006649 A KR20100006649 A KR 20100006649A KR 1020080066861 A KR1020080066861 A KR 1020080066861A KR 20080066861 A KR20080066861 A KR 20080066861A KR 20100006649 A KR20100006649 A KR 20100006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writing
area
angle
vali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080066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649A/ko
Publication of KR20100006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의 초기 필기 시점을 기준으로 유효화 영역을 설정하고, 유효화 영역을 기준으로 한 필기 입력의 범위 및 유효화 영역에 대해 입력되는 필기의 각도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필기 문자를 판단함으로써, 직선, 직각을 포함하는 곡선, 원 등의 입력 패턴이 많이 사용되는 문자에 대한 인식, 특히 한글의 인식에 있어서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필기, 문자, 인식, 터치스크린, 각도

Description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 장치{WRITING RECOGNITION METHOD IN TOUCH??SCREEN AND USER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 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유효화 영역 상의 필기 각도 패턴에 따라 터치스크린 상에 필기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단말기들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사용자 입력 장치로는 아직까지도 고정적인 매트릭스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단말기에 컬러 및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채용되고, 외형적으로도 슬림화, 소형화가 진행되는 중에도 사용자 입력 장치의 경우에는 종래의 키패드 형태의 입력 장치에서 큰 변화가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키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으로 장래 생산되는 단말기들의 상당 수는 터치패드(touch pad)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은 터 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채택할 것이 예상되고 있다. 이는 터치 방식 인터페이스 장치의 비용절감 및 종래의 터치 방식 인터페이스 장치들의 낮은 신뢰성과 수명의 문제가 해결된 결과이다.
터치 패드(touch pad)는 압력 감지기가 달려 있는 평판으로서, 손가락이나 펜 등을 이용해 접촉하면 압력을 감지하여 화면의 지시자가 움직이고 이 위치 정보를 컴퓨터가 인식한다.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한 점을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그 접촉점의 좌표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를 포함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화면이 터치 패드의 역할을 겸하는 장치를 터치스크린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방식의 입력 장치들에는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표면초음파전도(Surface Acoustic Wave: SAW) 방식, 적외선 광 감지 방식 및 압전 방식 등의 기술이 적용된다. 이들 중, 터치스크린에는 투과율이 높고 반응속도가 빠르며 내성이 우수하여 작동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 압력식 저항막 방식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채용되고 있다.
특히,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화면상에 출력되는 내용과 화면을 통하여 입력되는 내용의 대화적이고 즉시적인 대응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다채로운 형태의 입력이 가능하여 높은 사용자 만족도와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고정적인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와 같은 정형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에 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출력장치와 입력장치를 일체화시키는 개념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특히, 종래의 저해 상도 숫자 및 문자로 구성된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에서 고해상도의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로 변화되어 가면서, 그래픽 기반의 객체를 통한 입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키패드를 대체할 경우에는 키패드 설치면적을 생략 가능하므로 동일한 체적을 가지는 단말기에서 상대적으로 대화면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해진다는 장점 또한 가진다.
특히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 멀티터치(multi touch)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멀티터치 기술이란 두 개 이상의 터치를 동시에 인식하는 기술로서, 두 손가락을 이용한 멀티터치 기술은 종래 한 손가락에 의한 단순한 터치 기술보다 스크롤(scroll), 줌인(zoom in), 줌아웃(zoom out), 패닝(panning) 등 더 많은 기능을 구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단순히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를 통해 단순히 아이템의 선택하는 등의 동작을 넘어서서,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가 고유한 패턴으로 이루어질 경우, 이 고유한 패턴을 구별하여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 상에서 이루어지는 터치 동작이 일련의 정하여진 방향성으로 궤적을 그리거나(예컨대, 오른쪽으로 그어지는 직선, 위쪽으로 이어지는 직선), 정하여진 방향성의 패턴으로 궤적의 변화가 생기거나(예컨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그려지는 원형 궤적), 정하여진 도형의 형상(예컨대, 'O', 'X' 등)을 그리거나, 정해진 방향성을 가지는 직선 및/또는 곡선의 조합(예컨대, 'ㄱ' 자 형태, 'ㄴ'자 형태)을 이루는 경우 등에 있어서, 터치 입력의 패턴을 고유하게 식별해낼 수 있다.
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특히, 문자 입력이 월등히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상기 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 필기구를 가지고 문자를 기록하듯이 터치 입력부(예컨대, 터치 스크린 등) 상에 문자를 기입하기만 하여도 사용자 단말 장치 등의 문자 입력 장치가 문자를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터치 입력부 상에 입력되는 문자를 '필기 문자'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필기 문자를 인식함에 있어서는, 사용자마다 필기 패턴이 상이할 뿐 아니라, 필기 도구(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따라 그 입력 굵기나 정확도에 차이가 나는 등의 여러 문제가 있어 사용자를 만족시킬만큼의 정확도가 제공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정 범위 내에 입력되는 필기 각도의 패턴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필기하고자 하는 문자를 판독함으로써, 필기 입력되는 문자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필기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입력부와 상기 터치 입력부가 검출한 필기 입력의 초기 필기 시점을 기준으로 유효화 영역을 설정하 고, 상기 유효화 영역을 기준으로 한 필기 입력의 범위 및 상기 유효화 영역에 대해 입력되는 필기의 각도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필기 문자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이 유효화 영역을 벗어났는지 판단하고,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경우는 상기 필기 입력을 직선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는,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난 필기와 상기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필기 입력이 원의 형태인지 직각을 가진 곡선의 형태인지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고, 상기 필기 입력이 원의 형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필기 입력을 종료하기 전이라도 상기 판단된 원의 형태를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효화 영역은, 상기 필기 입력의 시작 좌표로부터 이어지는 일정 길이의 직선을 연장하여 설정되는 중심선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상기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을 직각을 가지는 곡선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 있어 서,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상기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 이하인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을 원으로 판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 이하라 하더라도, 상기 유효화 영역 중 일부인 상기 초기 판단 구간에서의 상기 필기 입력의 패턴이 직선인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을 직각을 가지는 곡선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1 각도는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필기 문자 인식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의 초기 필기 시점을 기준으로 유효화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유효화 영역을 기준으로 한 필기 입력의 범위 및 상기 유효화 영역에 대해 입력되는 필기의 각도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필기 문자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필기 문자 인식 방법은, 상기 유효화 영역의 설정 후에, 상기 유효화 영역의 일부인 초기 판단 구간에서의 필기 패턴을 파악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필기 문자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났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을 직선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필기 문자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났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난 필기와 상기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필기 입력이 원의 형태인지 직각을 가진 곡선의 형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이 원의 형태인지 직각을 가진 곡선의 형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상기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을 직각을 가지는 곡선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필기 입력이 원의 형태인지 직각을 가진 곡선의 형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상기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 이하이고, 상기 초기 판단 구간에서의 필기 패턴이 곡선인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을 원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필기 입력이 원의 형태인지 직각을 가진 곡선의 형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상기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가 제1 각 도 이하이고, 상기 초기 판단 구간에서의 필기 패턴이 직선인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을 직각을 가지는 곡선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필기 입력이 원의 형태인지 직각을 가진 곡선의 형태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필기 입력이 원의 형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필기 문자 인식 방법은, 사용자가 필기 입력을 종료하기 전이라도 상기 판단된 원의 형태를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범위 내에 입력되는 필기 각도의 패턴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필기하고자 하는 문자를 판독함으로써, 직선, 직각을 포함하는 곡선, 원 등의 입력 패턴이 많이 사용되는 문자에 대한 인식, 특히 한글의 인식에 있어서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 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도 1a는 입력되는 필기를 직선으로 판단하는 경우를, 도 1b는 입력되는 필기를 원으로 판단하는 경우를, 도 1c는 입력되는 필기를 곡선으로 판단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유효화 영역(100)은 사용자에 의한 필기의 시작 지점인 초기 필기 지점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영역으로, 필기 시작 좌표로부터 이어지는 일정 길이의 직선을 연장하여 설정되는 중심선(유효화 영역의 중심이 되는 직선)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영역으로 설정된다. 이때, 유효화 영역(100)의 두께는 언어의 특성을 고려하고, 반복적인 테스트에 의해 인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값으로 최적화되어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문자 인식 방법에서는, 이렇게 설정된 유효와 영역과 입력되는 필기의 패턴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입력되는 필기가 직선인지, 또는 직각을 포함하는 곡선인지, 또는 원인지 판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a에서와 같이 육안으로는 구불구불한 곡선이라 할지라도 필기의 시작점부터 종료 지점까지 유효화 영역(100)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직선으로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유효화 영역(100)을 벗어나는 경우는, 유효화 영역(100)을 벗어나는 지점 근처의 필기와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를 이용해 도 1b에서와 같은 원인지 도 1c와 같은 직각을 가지는 곡선인지 판단 하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문자 인식 방법에 따라 직선으로 인식되는 경우의 구체적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문자 인식 방법에 따르면, 도 2a와 같이 선이 좌우로 반복되더라도 유효화 영역(100)의 범위 내라면 입력된 필기를 직선으로 판단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문자 인식 방법에 따라 원으로 인식되는 경우의 구체적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를 나타낸다.
즉, 도 2b의 필기는 유효화 영역(100)을 벗어나는 것으로,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유효화 영역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45도를 초과하는 경우는, 입력된 필기를 직각을 가지는 곡선으로 판단한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문자 인식 방법에 따라 직각을 가지는 곡선으로 인식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도 2c의 필기 또한 유효화 영역(100)을 벗어나는 것이나,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가 45도 이하인 경우의 필기는 원으로 판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문자 인식 방법 중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직각을 가진 곡선으로 인식되는 경우의 구체적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문자 인식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필기 입력이 유효화 영역(100)을 벗어나고, 유효화 영역(100)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가 45도 이하인 경우는 원으로 판단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도 3은 이에 대한 예외적인 원칙이 적용되는 경우의 일 실시예로, 유효화 영역(100)을 벗어나는 지점에 있어서의 접선과 유효화 영역(100)이 이루는 각도가 45도 이하인 경우이지만, 초기 판단 구간(110)에서의 필기 패턴이 직선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입력된 필기를 직각을 가지는 곡선으로 판단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문자 인식 방법에 따라 원으로 인식되는 경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기 필기 지점에서 시작된 필기(단계 1)가 어느 정도 진행되면, 유효화 영역(100)이 설정된다(단계 2). 여기서, 유효화 영역(100)은 사용자에 의한 필기의 시작 지점인 초기 필기 지점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영역으로, 필기 시작 좌표로부터 이어지는 일정 길이의 직선을 연장하여 설정되는 중심선(유효화 영역의 중심이 되는 직선)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영역임을 이미 살펴본 바 있다. 유효화 영역(100)이 설정된 이후 유효화 영역(100)을 벗어나는 필기가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은 해당 필기를 원으로 인식하고 스크린에 해당 필기가 원으로 인식되었음을 표시한다(단계 3). 이를 확인한 사용자가 필기를 멈추고 필기 도구를 스크린에서 떼게 되면(단계 4), 사용자 단말은 자동적으로 원을 그려 스크린 상에 표시해 준다(단계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터치 입력부(510), 키 입력부(520), 카메라 모듈부(530), 마이크(540), 제어부(550), 저장부(560), 디스플레이부(570), 스피커(580), 무선 송수신부(59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550)는 터치 제어부(551)와 중앙 제어부(5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입력부(51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을 받아, 이를 전위차, 커패시턴스, 파장, 또는 IR 광 인터럽트 등의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결과를 터치 제어부(551)로 출력한다. 여기서, 터치 입력부(51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며, 터치스크린 이외에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520)는 터치 입력부(510)로부터 소정의 터치 입력에 대한 전위차, 커패시턴스, 파장, 또는 IR 광 인터럽트 등의 형태를 갖는 값을 입력으로 받아, 이를 (X, Y) 등의 좌표값 형태로 변환하고, 그 변환한 결과를 제어부(530)로 출력한다.
키 입력부(520)는 사용자로부터 키 패드(keypad) 상의 키 입력을 받아, 키 입력을 상기 키 입력에 대응하는 키 코드의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한 키 코드를 중앙 제어부(553)로 출력한다. 여기서, 키 입력부(52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가 전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530)는 촬영된 화상 이미지를 영상 처리를 거쳐서 디스플레 이 가능한 이미지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중앙 제어부(553)로 출력한다. 카메라 모듈부(530)는 CMOS 이미지 센서 또는 CCD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미도시) 및 영상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540)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의 주변 소리를 전기적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전기적 신호를 중앙 제어부(553)로 출력한다.
중앙 제어부(553)는 초기 필기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유효화 영역에 대한 필기 입력의 각도를 이용해 어떤 필기 문자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필기 입력이 유효화 영역을 벗어났는지 판단하고, 벗어나지 않은 경우는 해당 필기 입력을 직선으로 판단한다. 필기 입력이 유효화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는,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기 시작한 지점 근처의 필기와 유효화 영역 내의 필기 입력이 이루는 각도를 이용해, 필기 입력이 직각을 가진 곡선인지 원인지 판단한다.
중앙 제어부(553)는 또한, 초기 필기 시점과 관련하여 유효화 영역이 설정된 이후,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필기가 발생하고 해당 필기가 원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이를 확인한 사용자가 원을 전체적으로 다 그리지 않고 필기 입력을 멈추는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원을 그려 스크린상에 표시해준다.
여기서, 유효화 영역(100)은 사용자에 의한 필기의 시작 지점인 초기 필기 지점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영역으로, 필기 시작 좌표로부터 이어지는 일정 길이의 직선을 연장하여 설정되는 중심선(유효화 영역의 중심이 되는 직선)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영역으로 설정된다.
중앙 제어부(553)는 또한, 키 입력부(520)로부터 키 코드를 입력 받아, 상 기 키 코드에 상응하는 문자 입력, 숫자 입력, 휴대용 단말기의 설정 변경, 휴대용 단말기의 설정 표시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553)는 카메라 모듈부(530)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FAT16, FAT32 등의 파일 시스템에서 인식될 수 있는 이미지 파일의 형태로 상기 저장부(560)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삭제, 이름 변경, 폴더 위치 이동 등의 조작을 하거나, 이미지 밝기 조절, 이미지 색상 조절, 이미지에 글자 삽입 등의 후처리를 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553)는 마이크(54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 신호에 대해 음성 처리를 거쳐서 송신 가능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한 결과를 무선 송수신부(590)로 출력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553)는 무선 송수신부(590)로부터 상대방의 음성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해 음성 처리를 거쳐서 음성 출력 가능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한 결과를 스피커(580)로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560)는, 중앙 제어부(553)로부터 영상 처리 장치의 설정 정보, 운영체제 실행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중앙 제어부(553)의 요청에 따라 설정 정보, 운영체제 실행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앙 제어부(553)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560)는 초기 판단구간(110)에서의 필기 입력에 대한 각도 정보, 즉 초기 판단구간에서의 필기 패턴을 저장하였다가 중앙 제어부(553)로 제공하는데, 중앙 제어부(553) 는 초기 판단구간에서의 필기 입력에 대한 각도 정보를 이용해 필기 입력이 원인지 직각을 포함하는 곡선인지 판단한다.
디스플레이부(570)는 중앙 제어부(553)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화면 상에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7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580)는 중앙 제어부(553)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부(590)는 중앙 제어부(553)로부터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주변의 소리에 대응하는 송신 가능한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송신 가능한 전기적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대방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부(590)는 상대 단말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대방의 음성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상대방의 음성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부(553)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제어부(551) 및 중앙 제어부(553)는 제어부(550)와 같이 하나의 블록으로 구현되어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터치 입력부(510) 및 터치 제어부(551)는 터치스크린 모듈부(미도시)와 같이 하나의 블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 치 제어부(551)가 터치 입력부(510) 제조 공정과 동일한 반도체 공정에 의해 함께 제조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필기를 시작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초기 필기 지점을 기준으로 유효화 영역을 설정한다(S601). 유효화 영역은 사용자에 의한 필기의 시작 지점인 초기 필기 지점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영역으로, 필기 시작 좌표로부터 이어지는 일정 길이의 직선을 연장하여 설정되는 중심선(유효화 영역의 중심이 되는 직선)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영역임을 이미 살펴본 바 있다.
유효화 영역이 설정되면, 유효화 영역의 일부인 초기 판단 구간에서의 필기 패턴을 파악하여 저장한다(S602). 초기 판단 구간은 유효화 영역 중 일부 초기 구간으로 설정되며, 초기 판단 구간에서의 필기 패턴, 즉 직선인지 곡선인지가 사용자가 의도하는 필기 문자가 곡선인지 원인지 판단하는 데 있어 중요 인자로 작용한다.
초기 판단 구간에서의 필기 패턴이 파악되면, 필기 입력이 유효화 영역을 벗어났는지 판단하고(S603), 필기 입력이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경우(S603의 아니오)에는, 해당 필기 입력을 직선으로 판단한다(S604). 이때, 단계 603에서의 판단은,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지 않았다고 판단하기 전에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종 료된 경우를 전제로 한다.
필기 입력이 유효화 영역을 벗어난 경우(S603의 예)에는,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기 시작한 지점 근처의 필기와 유효화 영역 내의 필기가 이루는 각도를 추출한다(S605).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기 시작한 지점 근처의 필기와 영역 내의 필기가 이루는 각도를 추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의 일 실시예로는, 입력되는 필기가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기 시작한 지점 근처의 필기와 영역 내의 필기가 이루는 각도가 45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606). 추출한 각도가 45도를 초과하는 경우(S606의 예), 입력된 필기를 직각을 가지는 곡선으로 판단한다(S607). 추출한 각도가 45도 이하인 경우(S606의 아니오)에는, 초기 판단 구간에서의 필기 패턴이 직선인지 판단한다(S608). 판단 결과, 초기 판단 구간에서의 필기 패턴이 직선이 아닌 경우(S608의 아니오)는, 필기 입력을 원으로 판단하고(S609), 초기 판단 구간에서의 필기 패턴이 직선인 경우(S608의 예), 필기 입력을 직각을 가진 곡선으로 판단한다 (S610).
도 6의 실시예에서는, 필기 입력이 직각을 포함하는 곡선인지 원인지 판단하기 위해 활용되는,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기 시작한 지점 근처의 필기와 영역 내의 필기가 이루는 각도를 45도로 설정하고 있으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여, 보다 많은 테스트를 거쳐 보다 적절한 각도로 조정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터치 입력부를 가지 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단말 기,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도 1a는 입력되는 필기를 직선으로 판단하는 경우를, 도 1b는 입력되는 필기를 원으로 판단하는 경우를, 도 1c는 입력되는 필기를 곡선으로 판단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문자 인식 방법에 따라 직선으로 인식되는 경우의 구체적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문자 인식 방법에 따라 원으로 인식되는 경우의 구체적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문자 인식 방법에 따라 직각을 가지는 곡선으로 인식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문자 인식 방법 중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직각을 가진 곡선으로 인식되는 경우의 구체적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문자 인식 방법에 따라 원으로 인식되는 경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의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유효화 영역 110: 초기 판단구간
510 : 터치 입력부 520 : 키 입력부
530 : 카메라 모듈부 540 : 마이크
550 : 제어부 551 : 터치 제어부
553 : 중앙 제어부 560 : 저장부
570 : 디스플레이부 580 : 스피커
590 : 무선 송수신부

Claims (19)

  1.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필기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입력부; 와
    상기 터치 입력부가 검출한 필기 입력의 초기 필기 시점을 기준으로 유효화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유효화 영역을 기준으로 한 필기 입력의 범위 및 상기 유효화 영역에 대해 입력되는 필기의 각도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필기 문자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이 유효화 영역을 벗어났는지 판단하고,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경우는 상기 필기 입력을 직선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는,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난 필기와 상기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필기 입력이 원의 형태인지 직각을 가진 곡선의 형태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고, 상기 필기 입력이 원의 형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필기 입력을 종료하기 전이라도 상기 판단된 원의 형태를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화 영역은, 상기 필기 입력의 시작 좌표로부터 이어지는 일정 길이의 직선을 연장하여 설정되는 중심선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상기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을 직각을 가지는 곡선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상기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 이하인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을 원으로 판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 이하라 하더라도, 상기 유효화 영역 중 일부인 상기 초기 판단 구간에서의 상기 필기 입력의 패턴이 직선인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을 직각을 가지는 곡선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의 초기 필기 시점을 기준으로 유효화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와
    상기 유효화 영역을 기준으로 한 필기 입력의 범위 및 상기 유효화 영역에 대해 입력되는 필기의 각도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필기 문자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 문자 인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화 영역의 설정 후에, 상기 유효화 영역의 일부인 초기 판단 구간에서의 필기 패턴을 파악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필기 문자 인식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문자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났는지 판단하는 단계; 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을 직선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 문자 인식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문자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났는지 판단하는 단계; 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난 필기와 상기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필기 입력이 원의 형태인지 직각을 가진 곡선의 형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 기 문자 인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이 원의 형태인지 직각을 가진 곡선의 형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상기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와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을 직각을 가지는 곡선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 문자 인식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이 원의 형태인지 직각을 가진 곡선의 형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상기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와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 이하이고, 상기 초기 판단 구간에서의 필기 패턴이 곡선인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을 원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 문자 인식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이 원의 형태인지 직각을 가진 곡선의 형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와
    상기 산출된, 상기 필기 입력이 상기 유효화 영역을 벗어나는 지점에서의 접선과 상기 유효화 영역이 이루는 각도가 제1 각도 이하이고, 상기 초기 판단 구간에서의 필기 패턴이 직선인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을 직각을 가지는 곡선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 문자 인식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이 원의 형태인지 직각을 가진 곡선의 형태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필기 입력이 원의 형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필기 입력을 종료하기 전이라도 상기 판단된 원의 형태를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필기 문자 인식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화 영역은,
    상기 필기 입력의 시작 좌표로부터 이어지는 일정 길이의 직선을 연장하여 설정되는 중심선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문자 인식 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문자 인식 방법.
KR1020080066861A 2008-07-10 2008-07-10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사용자 단말 장치 KR20100006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861A KR20100006649A (ko) 2008-07-10 2008-07-10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사용자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861A KR20100006649A (ko) 2008-07-10 2008-07-10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사용자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649A true KR20100006649A (ko) 2010-01-21

Family

ID=4181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861A KR20100006649A (ko) 2008-07-10 2008-07-10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사용자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66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167B1 (ko) * 2010-06-07 2012-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방법
WO2022131617A1 (ko) * 2020-12-17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필기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N117555443A (zh) * 2024-01-12 2024-02-13 江苏纳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屏书写检测分析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167B1 (ko) * 2010-06-07 2012-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방법
WO2022131617A1 (ko) * 2020-12-17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필기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N117555443A (zh) * 2024-01-12 2024-02-13 江苏纳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屏书写检测分析方法
CN117555443B (zh) * 2024-01-12 2024-04-02 江苏纳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屏书写检测分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83666B (zh) 用于移动装置的压敏用户接口
US10019100B2 (en) Method for operating a touch sensitive user interface
KR100856203B1 (ko)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7903002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vibration input recognition and method
US9342155B2 (en) Character entr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WO2009074047A1 (fr) Procédé, système, dispositif et terminal pour la correction d'erreur d'écran tactile
US20040239624A1 (en) Freehand symbolic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20100006219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US20090196468A1 (en) Method of switching operation modes of fingerprint sensor,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fingerprint sensor thereof
US10241670B2 (en) Character entr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9035886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 multi-point touch-sensitive sensor user interface using distinct digit identification
EP21464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key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US20140105664A1 (en) Keyboard Modification to Increase Typing Speed by Gesturing Next Character
KR20100006649A (ko)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사용자 단말 장치
KR20070100209A (ko) 터치펜과 같은 보조도구가 필요 없는 터치스크린버튼입력방법
KR101483301B1 (ko)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US201001031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touch input of touch-screen
TW201504876A (zh) 防止手掌誤觸方法
KR20090132719A (ko) 터치 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90130784A (ko) 터치 입력부를 구비한 영상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KR20100003801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미지 관련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적용한 영상 처리 장치
KR20100033658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90103068A (ko) 터치 입력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KR20090132714A (ko) 터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문자 인식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문자 입력장치
KR10191951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