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301B1 -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301B1
KR101483301B1 KR20080028029A KR20080028029A KR101483301B1 KR 101483301 B1 KR101483301 B1 KR 101483301B1 KR 20080028029 A KR20080028029 A KR 20080028029A KR 20080028029 A KR20080028029 A KR 20080028029A KR 101483301 B1 KR101483301 B1 KR 101483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coordinate information
gesture
generat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28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530A (ko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80028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301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영상 처리 장치의 터치 입력부 상에 사용자가 소정의 제스처 입력을 통해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을 지정하고,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에서 또 다른 소정의 제스처 입력을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제1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부 상의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영상 처리 장치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스크롤/확대/축소하는 조작 등에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터치 입력부, 영상 처리 장치, 제어 방법, 화면 조절, 스크롤, 확대, 축소

Description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METHOD OF CONTROLLING VIDEO PROCESSING APPARATUS USING TOUCH INPUT DEVICE AND VIDEO PROCESSING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영상 처리 장치 제품들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있으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키 패드 상의 키 버튼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에 따라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로 인해 사용편의성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그 결과 터치 패드 및 터치스크린 채택 시 비용 절감이 이루어지고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장래에는 터치 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채택하는 휴대용 단말기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터치 패드(touch pad)는 압력 감지기가 달려 있는 평판으로서, 손가락이나 펜 등을 이용해 접촉하면 압력을 감지하여 화면의 지시자가 움직이고 이 위치 정보를 컴퓨터가 인식한다.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화면상의 한 점을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그 접촉점의 좌표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에는 압력 감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표면초음파전도(Surface Acoustic Wave: SAW) 방식, 적외선 방식 등의 기술이 적용된다.
그런데 터치 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기존의 애플리케이션들은 터치 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에 있어서 불편한 점이 많았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의 사진 앨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진 화면의 스크롤(scroll)을 지원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스크롤을 위한 특정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특정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을 하는 경우 스크롤이 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기 스크롤 동작을 위한 터치 입력 영역이 터치스크린 상의 상기 특정 영역으로만 제한되어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기 위하여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부 상에서 제1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부 상의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스처는 사각형 드래그 및 원형 드래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은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좌표로부터 인식되는 도형의 내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제1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제2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스처 및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스처는 위로 드래그, 아래로 드래그, 왼쪽으로 드래그 및 오른쪽으로 드래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스처 및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위로 화면 스크롤, 아래로 화면 스크롤, 왼쪽으로 화면 스크롤, 오른쪽으로 화면 스크롤, 화면 확대 및 화면 축소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외부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제1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입력부와, 상기 검출된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좌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부 상의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스처는 사각형 드래그 및 원형 드래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은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좌표로부터 인식되는 도형의 내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부 상의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으로 설정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제2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좌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스처 및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스처는 위로 드래그, 아래로 드래그, 왼쪽으로 드래그 및 오른쪽으로 드래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스처 및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위로 화면 스크롤, 아래로 화면 스크롤, 왼쪽으로 화면 스크롤, 오른쪽으로 화면 스크롤, 화면 확대 및 화면 축소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외부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특정 기능 수행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 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스처 및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제1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 모듈부 및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미리 정하여진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부 상의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모듈부는 기 사용자로부터 제1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입력부 및 기 검출된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모듈부는 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제2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좌표 정보를 생성하며, 기 제어부는 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스처 및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특정 기능 수행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모듈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입력부 및 상기 검출된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에 따르면, 영상 처리 장치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스크롤/확대/축소하는 조작 등에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터치 입력부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며, 터치스크린 이외에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이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 장치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사용자가 상기 애 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터치 입력부 상에 사각형 제스처 입력을 할 수 있다(도 2a). 상기 사각형 제스처에 대하여 화면 스크롤 동작이라는 기능이 배정되어 있다고 할 때, 상기 사각형 제스처에 의하여 지정된 사각형 영역이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으로 설정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설정된 사각형 모양의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서 상기 화면 스크롤 동작과 관련된 위로 드래그, 아래로 드래그, 왼쪽으로 드래그, 오른쪽으로 드래그 등의 미리 정하여진 제스처 입력을 할 수 있다(도 2b).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사각형 모양의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제스처를 입력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왼쪽으로 스크롤될 수 있다(도 2c).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터치 입력부 상에 원형 제스처 입력을 할 수 있다(도 2d). 상기 원형 제스처에 대하여 화면 확대/축소 동작이라는 기능이 배정되어 있다고 할 때, 상기 원형 제스처에 의하여 지정된 원형 영역이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으로 설정된다(도 2d).
상기 사용자는 상기 설정된 원형 모양의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서 상기 화면 확대/축소 동작과 관련된 위로 드래그, 아래로 드래그 등의 미리 정하여진 제스처 입력을 할 수 있다(도 2e).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원형 모양의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에서 위로 드래그하는 제스처를 입력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은 확대될 수 있다(도 2f).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이 설정된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밖에서 터치 입력을 하면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이 해제되고, 본 발명의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 종료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중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후술할 과정을 진행하기에 앞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 동작에 대하여 배정된 버튼을 누르거나, 본 발명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 동작에 대응하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된 경우에 후술할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영상 처리 장치의 터치 입력부 상에 터치가 있는 경우 제1 터치 입력을 검출한다(S110). 상기 제1 터치 입력은 상기 멀티터치 입력부 상의 한 지점에 터치를 하고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여 다른 지점에서 터치를 떼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입력은 사용자가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으로 사각형 드래그, 원형 드래그, 위로 드래그, 아래로 드래그, 왼쪽으 로 드래그, 오른쪽으로 드래그 등과 같은 소정의 도형의 궤적을 그림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궤적은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검출된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복수의 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를 포함하는 제1 좌표 정보를 생성한다(S120). 상기 터치 입력부는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대해 저항막 방식의 경우에는 전위차,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에는 커패시턴스(capacitance), 표면초음파전도 방식의 경우에는 파장, 적외선 방식의 경우에는 IR 광 인터럽트 형태의 출력값을 내보내고, 상기 출력값은 최종적으로 (X, Y) 등의 좌표 형태로 변환된다. 상기 표면초음파전도 방식 또는 적외선 방식은 대형 터치 입력부에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외에 텔레비전 등의 영상 처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좌표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한다(S130). 상기 제1 제스처는 사각형 드래그 및 원형 드래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된다는 것은,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복수의 좌표의 집합이고, 상기 복수의 좌표로부터 특정 도형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인식된 특정 도형이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복수의 좌표로부터 상기 특정 도형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특정 도형이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사각형 드래그, 원형 드래그 등의 제스처에 대해 미리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두고, 상기 인 식된 특정 도형이 상기 미리 생성된 제스처 데이터베이스의 항목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제1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인식된 특정 도형이 상기 미리 생성된 제스처 데이터베이스의 항목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공지의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07-0066568호(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 스트로크 인식 인터페이스 입력 방법)는 터치 패널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선택을 위한 키 스트로크 인식 인터페이스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기모드에서 터치 패널에 특정 메뉴/기능에 대한 단축 키 스트로크 동작이 수행되면, 단축 키 스트로크 데이터에 대한 좌표를 수집 및 저장하고, 이 좌표값들을 기 저장된 스트로크 좌표 테이블과 비교하여 해당되는 메뉴 또는 기능을 검색한 후에 단축 키 스트로크 데이터에 대한 특정 메뉴/기능으로의 바로 가기를 실행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6-0085850호(터치 스크린 패턴 인식 기반의 멀티미디어 기기제어 방법과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기기에서 특정 조절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으로 인식하기 위한 소정의 특정 패턴을 등록하여 저장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중에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입력한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저장된 특정 패턴과 비교하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패턴과 일치되는 특정 패턴을 확인하여 그 확인된 특정 패턴에 대응하는 조절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2006-0085850호에서 사용되는 제스처 데이터베이스의 항목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상의 특정 제스처 입력에 대하여 동영상, 정지 영상, 오디오에 대하여 상기 특정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이 수행된다. 상기 제스처 데이터베이스의 항목에 포함되는 제스처에는 1회 터치, 길게 터치, 오른쪽으로 드래그 등이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부 상의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으로 설정한다(S140).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이란 상기 터치 입력부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좌표로부터 인식되는 특정 도형의 경계선을 포함한 내부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이 설정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서 특정 제스처 입력을 하는 경우 상기 특정 제스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사각형 드래그라는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사각형 영역 내부가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으로 설정된다.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각형 영역 내부에서 후술할 제2 터치 입력을 하고, 후술할 제2 좌표 정보가 다시 왼쪽으로 드래그라는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제스처에 상응하는 왼쪽으로 화면 스크롤이라는 화면 조절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후의 단계를 생략하고 본 발명의 전체 과정을 종료한다.
상술한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중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 방법이 수행되고 난 후, 후술할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중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중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 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 방법이 실행된 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 터치가 있는 경우 제2 터치 입력을 검출한다(S150).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형태는 상기 제1 터치 입력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검출된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복수의 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를 포함하는 제2 좌표 정보를 생성한다(S160). 상기 제2 좌표 정보의 출력값 및 형태는 상기 제1 좌표 정보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2 좌표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0).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된다는 것은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좌표 전체가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지는 공지의 Crossing Count 알고리즘, Ray Firing 알고리즘 등을 사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외부에 대응되는 경우, 즉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S175). 그리고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을 해제한 후 본 발명의 전체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이 해제되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이 재설정되지 않는 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본 발명과 무관한 통상의 터치 입력으로 취급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지를 판단한다(S180). 상기 제2 제스처는 위로 드래그, 아래로 드래그, 왼쪽으로 드래그 및 오른쪽으로 드래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180)는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130)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스처 및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S190).
상기 특정 기능은 위로 화면 스크롤, 아래로 화면 스크롤, 왼쪽으로 화면 스크롤, 오른쪽으로 화면 스크롤, 화면 확대 및 화면 축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제스처가 사각형 드래그이고 상기 제2 제스처가 위로 드래그인 경우 위로 화면이 스크롤 되도록 화면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스처가 사각형 드래그이고 상기 제2 제스처가 아래로 드래그인 경우 아래로 화면이 스크롤 되도록 화면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스처가 사각형 드래그이고 상기 제2 제스처가 왼쪽으로 드래그인 경우 왼쪽으로 화면이 스크롤 되도록 화면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스처가 사각형 드래그이고 상기 제2 제스처가 오른쪽으로 드래그인 경우 오른쪽으로 화면이 스크롤 되도록 화면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스처가 원형 드래그이고 상기 제2 제스처가 위로 드래그인 경우 화면이 확대 되도록 화면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스처가 원형 드래그이고 상기 제2 제스처가 아래로 드래그인 경우 화면이 축소 되도록 화면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후의 단계를 생략하고 본 발명의 전체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전체 과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부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영상 처리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부 상의 제1 터치 입력 및 제2 터치 입력을 받아, 이를 전위차, 커패시턴스, 파장, 또는 IR 광 인터럽트 등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한 결과를 터치 제어부(351)로 출력한다.
상기 터치 제어부(351)는 상기 터치 입력부(310)로부터 상기 제1 터치 입력 및 제2 터치 입력에 대한 전위차, 커패시턴스, 파장, 또는 IR 광 인터럽트 등의 형태를 갖는 값을 입력 받아, 이를 (X, Y) 등의 좌표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결과를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 출력한다.
키 입력부(320)는 사용자로부터 키 패드(keypad) 상의 키 입력을 받아, 상기 키 입력을 상기 키 입력에 대응하는 키 코드의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키 코드를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키 입력부(32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전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330)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의 주변 이미지를 촬영하여 화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화상 이미지를 노이즈 제거 및 이미지 보정 등과 같은 영상 처리를 거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이미지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 출력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부(330)는 CMOS 이미지 센서 또는 CCD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미도시) 및 영상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340)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의 주변 소리를 전기적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 출력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터치 제어부(351)로부터 상기 변환된 좌표를 입력 받아, 상기 변환된 좌표를 포함하는 제1 좌표 정보 및 제2 좌표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1 제스처는 사각형 드래그 및 원형 드래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가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좌표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130)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부(310) 상의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으로 설정한다.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은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좌표로부터 인식되는 도형의 경계선을 포함한 내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가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부 상의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S140)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지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 경우에는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2 제스처는 위로 드래그, 아래로 드래그, 왼쪽으로 드래그 및 오른쪽으로 드래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가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70)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가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80)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의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외부에 대응되는 경우, 즉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이 해제되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 터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이 재설정되지 않는 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본 발명과 무관한 통상의 터치 입력으로 취급된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제스처 및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특정 기능은 위로 화면 스크롤, 아래로 화면 스크롤, 왼쪽으로 화면 스크롤, 오른쪽으로 화면 스크롤, 화면 확대 및 화면 축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특정 기능 수행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70)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별개의 터치 제어부(351)를 거치지 아니하고, 상기 터치 입력부(310)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전위차, 커패시턴스, 파장, 또는 IR 광 인터럽트 등의 형태를 갖는 값을 입력 받아, 상기 값에 대응하는 (X, Y) 형태의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키 입력부(320)로부터 상기 키 코드를 입력 받아, 상기 키 코드에 상응하는 문자 입력, 숫자 입력, 휴대용 단말기 설정 변경, 휴대용 단말기 설정 표시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설정 변경 및/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설정 정보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를 저장부(36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카메라 모듈부(330)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FAT16, FAT32 등의 파일 시스템에서 인식될 수 있는 이미지 파일의 형태로 상기 저장부(360)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삭제, 이름 변경, 폴더 위치 이동 등의 조작을 하거나, 이미지 밝기 조절, 이미지 색상 조절, 이미지에 글자 삽입 등의 후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마이크(340)로부터 상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해 노이즈 제거 및 음성 보정 등과 같은 음성 처리를 거쳐서 송신 가능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한 결과를 상기 무선 송수신부(39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390)로부터 상대방의 음성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해 노이즈 제거 및 음성 보정 등과 같은 음성 처리를 거쳐서 음성 출력 가능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한 결과를 스피커(38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 동작에 대하여 배정된 버튼을 누르거나, 본 발명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 동작에 대응하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된 경우에 본 발명의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 개시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부(36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 개시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는 현재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 정보는 현재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터치 입력부 상의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60)는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 개시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353)의 요청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 개시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70)는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부터 상기 특정 기능 수행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화면 상에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7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380)는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390)는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부터 상기 사용자 및/또는 상기 사용자 주변의 소리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가능한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송신 가능한 전기적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대방 휴 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390)는 상대방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대방의 음성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상대방의 음성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제어부(351) 및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제어부(350)와 같이 하나의 블록으로 구현되어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 입력부(310) 및 터치 제어부(351)는 터치 모듈부(미도시)와 같이 하나의 블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제어부(351)는 터치 입력부(310) 제조 공정과 동일한 반도체 공정에 의해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 입력부를 가지는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용 장치 및 터치 입력부를 가지는 텔레비전 등의 영상 처리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영상 처리 장치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중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2006-0085850호에서 사용되는 제스처 데이터베이스의 항목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중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부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0 : 터치 입력부 320 : 키 입력부
330 : 카메라 모듈부 340 : 마이크
350 : 제어부 360 : 저장부
370 : 디스플레이부 380 : 스피커
390 : 무선 송수신부

Claims (23)

  1.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부 상에서 제1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부 상의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제2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스처 및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스처는 사각형 드래그 및 원형 드래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은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좌표로부터 인식되는 도형의 내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제1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스처는 위로 드래그, 아래로 드래그, 왼쪽으로 드래그 및 오른쪽으로 드래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스처 및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위로 화면 스크롤, 아래로 화면 스크롤, 왼쪽으로 화면 스크롤, 오른쪽으로 화면 스크롤, 화면 확대 및 화면 축소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외부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9. 사용자로부터 제1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입력부; 및
    상기 검출된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좌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부 상의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제2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좌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스처 및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스처는 사각형 드래그 및 원형 드래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은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좌표로부터 인식되는 도형의 내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부 상의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으로 설정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스처는 위로 드래그, 아래로 드래그, 왼쪽으로 드래그 및 오른쪽으로 드래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스처 및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위로 화면 스크롤, 아래로 화면 스크롤, 왼쪽으로 화면 스크롤, 오른쪽으로 화면 스크롤, 화면 확대 및 화면 축소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외부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 수행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스처 및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19. 사용자로부터 제1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 모듈부; 및
    상기 생성된 제1 좌표 정보가 미리 정하여진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터치 입력부 상의 상기 제1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 모듈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제2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좌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설정 터치 입력 영역 내부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제2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스처 및 상기 제2 제스처에 대응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모듈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상기 터치 입력부; 및
    상기 검출된 제1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21. 삭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 수행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모듈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상기 터치 입력부; 및
    상기 검출된 제2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KR20080028029A 2008-03-26 2008-03-26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KR101483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8029A KR101483301B1 (ko) 2008-03-26 2008-03-26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8029A KR101483301B1 (ko) 2008-03-26 2008-03-26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530A KR20090102530A (ko) 2009-09-30
KR101483301B1 true KR101483301B1 (ko) 2015-01-15

Family

ID=4135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8029A KR101483301B1 (ko) 2008-03-26 2008-03-26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3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483B1 (ko) * 2009-11-17 2016-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8489B1 (ko) * 2009-11-25 2016-09-22 크루셜텍 (주)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KR20110074166A (ko) 2009-12-24 201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
KR101361214B1 (ko) * 2010-08-17 2014-02-10 주식회사 팬택 터치스크린의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295A (ja) * 1994-06-13 1995-12-22 Fuji Xerox Co Ltd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JP2004113386A (ja) * 2002-09-25 2004-04-15 Sun Corp 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295A (ja) * 1994-06-13 1995-12-22 Fuji Xerox Co Ltd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JP2004113386A (ja) * 2002-09-25 2004-04-15 Sun Corp 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530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111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similar operations for different gestures
JP5759660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情報端末および入力方法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US8698773B2 (en) Insertion marker placement on touch sensitive display
JP5946462B2 (ja) 携帯端末機及びその画面制御方法
US8395584B2 (en) Mobile terminals including multiple user interfaces on different faces thereof configured to be used in tandem and related methods of operation
US201000973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touch screen operation
WO2020134744A1 (zh) 图标移动方法及移动终端
US20120032908A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i) to detect multipoint stroke and multimedia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30201131A1 (en) Method of operating multi-touch panel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20090146968A1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input method,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2008022254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Global Setting User Interface
JP5743847B2 (ja) 携帯端末および低感度領域設定プログラム
EP2350800A1 (en) Live preview of open windows
US9658714B2 (en) Electronic devic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US9229612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method for screen, and program storage medium thereof
KR101483301B1 (ko)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US11354031B2 (en) Electronic apparatus,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scroll speed of a display screen
KR101387218B1 (ko) 멀티터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확대 비율 조절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90116843A (ko) 터치 입력부를 구비한 영상 처리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KR20100093689A (ko) 학습에 의한 터치 입력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단말기
KR101387233B1 (ko)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20134469A (ko)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휴대 단말의 포토 앨범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20122129A (ko)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휴대 단말의 포토 앨범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TW201039208A (en) Hand-held device with touch pad and menu display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