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233B1 -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233B1
KR101387233B1 KR1020080027916A KR20080027916A KR101387233B1 KR 101387233 B1 KR101387233 B1 KR 101387233B1 KR 1020080027916 A KR1020080027916 A KR 1020080027916A KR 20080027916 A KR20080027916 A KR 20080027916A KR 101387233 B1 KR101387233 B1 KR 101387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screen
coordinates
portable termin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457A (ko
Inventor
최성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27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23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 전면에 터치 입력을 함으로써 대기 화면으로 전환하거나 에티켓 모드로 전환하는 등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은,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복수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복수의 좌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 경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대기 화면 또는 에티켓 모드 등으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을 함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부분을 움켜 쥐는 등의 단순한 조작만으로 모드 전환이 되게 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터치스크린, 가림,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대기 화면, 에티켓 모드, 매너 모드

Description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METHOD OF CONTROLLING HANDHELD TERMINAL BY COVERING TOUCH SCREEN WITH HAND AND HANDHELD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 제품들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기존의 키 패드 상의 키 버튼을 사용할 경우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로 인해 사용자 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비용 절감 및 터치스크린 사용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향상에 따라 장래 생산되는 전세계 휴대용 단말기의 상당수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채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화면 상의 한 점을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그 접촉점의 좌표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에는 압력 감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표면초음파전도(Surface Acoustic Wave: SAW) 방식, 적외선 방식 등의 기 술이 적용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 멀티터치(multi touch)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멀티터치 기술이란 두 개 이상의 터치를 동시에 인식하는 기술로서, 두 손가락을 이용한 멀티터치 기술은 종래 한 손가락에 의한 단순한 터치 기술보다 스크롤(scroll), 줌인(zoom in), 줌아웃(zoom out), 패닝(panning) 등 더 많은 기능을 구현 가능하게 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에 있어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상황으로서 영화관이나 회의실에서 전화가 온 경우 즉각적으로 통화 연결을 종료하고 대기화면으로 전환하거나, 에티켓 모드 또는 매너 모드라고 불리는 착신음 차단 모드로 전환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 휴대용 단말기들은 이러한 경우에 통화 종료 버튼을 누르거나, 에티켓 모드 또는 매너 모드 전환 버튼을 눌러야 했다. 하지만 영화관 등과 같은 어두운 장소에서 특정 버튼을 찾아 누르는 동작은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241670호(휴대용 단말기 착신음 차단장치)는 회의 중에 착신음 출력 시 사용자가 접촉 센서에 손가락 등을 접촉하거나, 또는 버튼을 눌러 착신음을 차단하여 에티켓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241670호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접촉센서에 접촉하는 동작 역시 종래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으로 크게 개선된 것이라고 보기 어렵고, 상대적으로 활용방안이 제한되어 있는 접촉센서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화면 전환 또는 에티켓 모드 전환 등과 같은 미리 정해진 기능 수행 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은,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복수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복수의 좌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 경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은 미리 정하여진 기준 입력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멀티터치스크린이고,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은 동일 시각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 및 미리 정하여진 기준 입력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개수를 p라고 할 때, 상기 생성 된 복수의 좌표의 pC2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에 포함되는 2개의 좌표를 대각선 상의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면적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개수를 p라고 할 때,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pCq (2 < q ≤ p)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에 포함되는 q개의 좌표를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면적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 중 터치 지속 시간이 미리 정하여진 기준 지속 시간 이상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좌표를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은 대기 화면으로 전환 및 에티켓 모드로 전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복수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복수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스크린 입력부와,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복수의 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 경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부는 미리 정하여진 기준 입력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부는 멀티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동일 시각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 및 미리 정하여진 기준 입력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개수를 p라고 할 때,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pC2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에 포함되는 2개의 좌표를 대각선 상의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면적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개수를 p라고 할 때,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pCq (2 < q ≤ p)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에 포함되는 q개의 좌표를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면적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 중 터치 지속 시간이 미리 정하여진 기준 지속 시간 이상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좌표를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된 경우에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은 대기 화면으로 전환 및 에티켓 모드로 전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복수의 좌표를 생성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 경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의 수행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의 수행에 대응하는 착신 알림 정보에 응답하여 착신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착신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복수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 에 대응하는 복수의 좌표를 생성하는 터치스크린 모듈부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 경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복수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스크린 입력부 및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복수의 좌표를 생성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대기 화면 또는 에티켓 모드 등으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을 함에 있어서, 기존의 키 패드 상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경우보다는 터치스크린 부분을 움켜 쥐는 등의 단순한 조작만으로 모드 전환이 되게 함으로써 통상적인 사용만이 아니라 착신음 울림을 즉각 중단시켜야 하는 특수한 상황 및 장소 등에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 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터치스크린 전면 가림은 터치스크린 전체 면적(全體 面積), 즉 전면(全面)의 50% 이상이 가려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이 최대 M개의 멀티터치를 지원한다는 것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의 동작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에 추가로 상기 터치스크린에 연결되는 모듈이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대응하여 특정 시점에 최대 M개의 좌표를 생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터치스크린 전면 가림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부분을 움켜 쥐는 동작을 하면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 부분에 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입력이 일어나게 되고, 상기 터치 입력을 검출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면 가림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전면 가림은 상기 터치스크린 부분을 움켜 쥐는 동작 이외에도, 상기 터치스크린 부분을 손으로 누르거나, 또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으로 터치하는 동작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도 1b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이 멀티터치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의 터치스크린 전면 가림을 설명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터치를 지원하지 않는 터치스크린 상의 한 지점에서 터치 입력을 하고 다시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다른 지점에서 터치 입력을 함으로써 2개의 터치 입력이 된 경우, 상기 2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2개의 좌표들이 생성된다. 이 경우 상기 생성된 2개의 좌표들을 대각선 상의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면적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적을 비교하여 전면 가림 터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생성된 2개의 좌표들을 대각선 상의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면적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적의 50% 이상인 경우 전면 가림 터치가 된 것으로 본다.
도 1c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이 최대 2개의 멀티터치를 지원하는 경우의 터치스크린 전면 가림을 설명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최대 2개의 멀티터치를 지원하는 터치스크린 상에 2개의 터치 입력이 된 경우, 상기 2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2개의 좌표들이 생성된다. 이 경우 상기 생성된 2개의 좌표들을 대각선 상의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면적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적을 비교하여 전면 가림 터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d 내지 도 1f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이 최대 4개의 멀티터치를 지원하는 경우의 터치스크린 전면 가림을 설명한다.
상기 최대 4개의 멀티터치를 지원하는 터치스크린 상에 4개의 터치 입력이 된 경우, 상기 4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4개의 좌표들이 생성된다. 이 경우 상 기 생성된 4개의 좌표들을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면적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적을 비교하여 전면 가림 터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도 1d). 또는 상기 생성된 4개의 좌표들 중 미리 정하여진 규칙에 의하여 3개의 좌표들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3개의 좌표들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면적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적을 비교하여 전면 가림 터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도 1e). 또는 상기 생성된 4개의 좌표들 중 미리 정하여진 규칙에 의하여 2개의 좌표들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2개의 좌표들을 대각선 상의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면적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적을 비교하여 전면 가림 터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도 1f).
상기 사각형, 삼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면적은 삼사법, 협각법 및 삼변법의 삼각형법 등과 같은 면적계산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후술할 과정을 진행하기에 앞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 동작에 대하여 배정된 버튼을 누르거나, 본 발명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운영체제 또는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 동작에 대응하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 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된 경우에 후술할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복수의 터치 입력을 하면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을 검출한다(S110).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한 지점에 터치를 하고 동일한 지점에서 터치를 떼는 형태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한 지점에 터치를 하고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여 다른 지점에서 터치를 떼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은 미리 정하여진 기준 입력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멀티터치를 지원하는 경우, 즉 멀티터치스크린인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은 동일 시각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 및 미리 정하여진 기준 입력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에 의한 일련의 터치 입력이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 상기 일련의 터치 입력 중 최초의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시각부터 상기 기준 입력 시간을 경과하는 시각까지의 터치 입력을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입력 시간은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자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휴대용 단말기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입력 시간이 3초이고,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5번의 터치 입력이 있었는데 최초의 터치 입력 발생 시각에서부터 각각 1초, 2초, 3초, 4초 이후에 이어지는 터치 입력이 순차로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5번의 터치 입력 중 최초 3번의 터치 입력을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복수의 좌표를 생성한다(S120). 상기 검출된 터치 입력은 저항막 방식의 경우에는 전위차,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에는 커패시턴스(capacitance), 표면초음파전도 방식의 경우에는 파장, 적외선 방식의 경우에는 IR 광 인터럽트의 형태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값은 최종적으로 (X, Y) 등의 좌표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표면초음파전도 방식 또는 적외선 방식은 대형 터치스크린에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외에 텔레비전 등의 영상 처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좌표를 생성한 다음,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한다(S130).
도 1b 내지 도 1f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함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개수를 p라고 할 때,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pC2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에 포함되는 2개의 좌표를 대각선 상의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면적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함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개수를 p라고 할 때,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pCq (2 < q ≤ p)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에 포함되는 q개의 좌표를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면적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함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 중 터치 지속 시간이 미리 정하여진 기준 지속 시간 이상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좌표를 선택하여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에 의한 일련의 터치 입력이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 상기 일련의 터치 입력 중 터치 지속 시간이 상기 기준 지속 시간 이상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좌표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지속 시간은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자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휴대용 단말기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지속 시간이 1초이고,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5번의 터치 입력이 있었는데 상기 5번의 터치 입력의 터치 지속 시간이 각각 1초, 0.5초, 1.5초, 2초, 0.8초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5번의 터치 입력 중 터치 지속 시간이 1초, 1.5초, 2초인 3번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좌표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로 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 경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을 수행한다(S140).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은 대기 화면으로 전 환 및 에티켓 모드로 전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가 아닌 경우, 이후의 단계를 생략하고 본 발명의 전체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전체 과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복수의 터치 입력을 받아,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을 전위차, 커패시턴스, 파장, 또는 IR 광 인터럽트 등의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결과를 터치스크린 제어부(351)로 출력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부(310)는 미리 정하여진 기준 입력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부(310)는 멀티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경우 동일 시각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 및 미리 정하여진 기준 입력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 과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복수의 터치 입력을 하면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S110)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부(351)는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부(310)로부터 상기 복 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전위차, 커패시턴스, 파장, 또는 IR 광 인터럽트 등의 형태를 갖는 값을 입력 받아, 상기 값을 (X, Y) 등의 좌표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결과를 중앙 제어부(353)로 출력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부(351)는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부(310)가 멀티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경우 특정 시점에 복수의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키 입력부(320)는 사용자로부터 키 패드(keypad) 상의 키 입력을 받아, 상기 키 입력을 상기 키 입력에 대응하는 키 코드의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키 코드를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키 입력부(32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전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330)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의 주변 이미지를 촬영하여 화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화상 이미지를 노이즈 제거 및 이미지 보정 등과 같은 영상 처리를 거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이미지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 출력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부(330)는 CMOS 이미지 센서 또는 CCD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미도시) 및 영상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340)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의 주변 소리를 전기적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 출력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부(351)로부터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를 입력 받아,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멀티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멀티스크린 상의 전면 가 림 터치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70)로 출력하며,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에 대응하는 착신 알림 정보를 상기 착신 알림부(385)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별개의 터치스크린 제어부(351)를 거치지 아니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부(310)로부터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한 전위차, 커패시턴스, 파장, 또는 IR 광 인터럽트 등의 형태를 갖는 값을 입력 받아, 상기 값에 대응하는 (X, Y) 형태의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부(310)가 멀티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경우 특정 시점에 복수의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가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멀티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인지 판단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130)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함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 중 터치 지속 시간이 미리 정하여진 기준 지속 시간 이상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좌표를 선택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130)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키 입력부(320)로부터 상기 키 코드를 입력 받아, 상기 키 코드에 상응하는 문자 입력, 숫자 입력, 휴대용 단말기 설정 변경, 휴대용 단말기 설정 표시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설정 변경 및/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설정 정보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를 저장부(36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카메라 모듈부(330)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FAT16, FAT32 등의 파일 시스템에서 인식될 수 있는 이미지 파일의 형태로 상기 저장부(360)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삭제, 이름 변경, 폴더 위치 이동 등의 조작을 하거나, 이미지 밝기 조절, 이미지 색상 조절, 이미지에 글자 삽입 등의 후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마이크(340)로부터 상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해 노이즈 제거 및 음성 보정 등과 같은 음성 처리를 거쳐서 송신 가능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한 결과를 상기 무선 송수신부(39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390)로부터 상대방의 음성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해 노이즈 제거 및 음성 보정 등과 같은 음성 처리를 거쳐서 음성 출력 가능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한 결과를 스피커(38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 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 동작에 대하여 배정된 버튼을 누르거나, 본 발명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운영체제 또는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 동작에 대응하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된 경우에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상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 개시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 운영체제 실행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부(36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 운영체제 실행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는 대기 화면에 관한 정보 및/또는 현재 에티켓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은 대기 화면으로 전환 및 에티켓 모드로 전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360)는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설정 정보, 상기 운영체제 실행 정보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353)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설정 정보, 상기 운영체제 실행 정보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70)는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부터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의 수행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의 수행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상에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7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380)는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착신 알림부(385)는 상기 중앙 제어부(353)의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의 수행에 대응하는 착신 알림 정보에 응답하여 진동, 사운드 또는 불빛 등을 이용하여 착신 알림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착신 알림부는 진동기(vibrator), 램프(lamp) 등과 같은 착신 알림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390)는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부터 상기 사용자 및/또는 상기 사용자 주변의 소리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가능한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송신 가능한 전기적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대방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390)는 상대방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대방의 음성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상대방의 음성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부(353)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부(351) 및 상기 중앙 제어부(353)는 제어부(350)와 같 이 하나의 블록으로 구현되어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부(310) 및 터치스크린 제어부(351)는 터치스크린 모듈부(미도시)와 같이 하나의 블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제어부(351)가 터치스크린 입력부(310) 제조 공정과 동일한 반도체 공정에 의해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용 장치 및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텔레비전 등의 영상 처리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터치스크린 전면 가림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0 : 터치스크린 입력부 320 : 키 입력부
330 : 카메라 모듈부 340 : 마이크
350 : 제어부 360 : 저장부
370 : 디스플레이부 380 : 스피커
390 : 무선 송수신부

Claims (20)

  1.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복수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복수의 좌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 경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은
    미리 정하여진 기준 입력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멀티터치스크린이고,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은
    동일 시각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 및 미리 정하여진 기준 입력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개수를 p라고 할 때,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pC2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에 포함되는 2개의 좌표를 대각선 상의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면적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개수를 p라고 할 때,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pCq (2 < q ≤ p)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에 포함되는 q개의 좌표를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면적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 중 터치 지속 시간이 미리 정하여진 기준 지속 시간 이상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좌표를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은
    대기 화면으로 전환 및 에티켓 모드로 전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복수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9.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복수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스크린 입력부; 및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복수의 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 경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부는
    미리 정하여진 기준 입력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부는
    멀티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동일 시각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 및 미리 정하여진 기준 입력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개수를 p라고 할 때,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pC2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에 포함되는 2개의 좌표를 대각선 상의 꼭지점으 로 하는 사각형의 면적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개수를 p라고 할 때,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의 pCq (2 < q ≤ p)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에 포함되는 q개의 좌표를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면적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 중 터치 지속 시간이 미리 정하여진 기준 지속 시간 이상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생성된 좌표를 상기 판단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모드가 개시된 경우에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은
    대기 화면으로 전환 및 에티켓 모드로 전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복수의 좌표를 생성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 경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의 수행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의 수행에 대응하는 착신 알림 정보에 응답하여 착신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착신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9.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복수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복수의 좌표를 생성하는 터치스크린 모듈부; 및
    상기 생성된 복수의 좌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전면 가림 터치에 대응되는 경우 미리 정하여진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복수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스크린 입력부; 및
    상기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복수의 좌표를 생성하는 터치스크린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80027916A 2008-03-26 2008-03-26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387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916A KR101387233B1 (ko) 2008-03-26 2008-03-26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916A KR101387233B1 (ko) 2008-03-26 2008-03-26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457A KR20090102457A (ko) 2009-09-30
KR101387233B1 true KR101387233B1 (ko) 2014-04-21

Family

ID=4135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916A KR101387233B1 (ko) 2008-03-26 2008-03-26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2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5250A1 (en) 2004-09-24 2006-04-06 Chung-Wen Liao Touch panel lock and unlock function and hand-held device
KR100823871B1 (ko) 2007-10-11 2008-04-21 주식회사 자티전자 드래그 버튼을 이용하여 절전을 관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5250A1 (en) 2004-09-24 2006-04-06 Chung-Wen Liao Touch panel lock and unlock function and hand-held device
KR100823871B1 (ko) 2007-10-11 2008-04-21 주식회사 자티전자 드래그 버튼을 이용하여 절전을 관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457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9172B1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king conference calls
US9706054B2 (en)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erence calling
JP4479962B2 (ja) 入力処理プログラム、携帯端末装置、及び入力処理方法
US934268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743847B2 (ja) 携帯端末および低感度領域設定プログラム
KR20190121379A (ko) 촬영 방법 및 단말
JP200607248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08509105B (zh) 一种应用程序管理方法和终端
KR100891777B1 (ko) 터치 센시티브 스크롤 방법
JP2012141978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含む装置及びその装置のスクロール方法
EP2461243B1 (e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TWI566568B (zh) 手持式電子裝置及其來電通話處理方法
KR20070091530A (ko) 터치 센시티브 키패드를 갖는 이동 핸드셋 및 사용자인터페이스방법
KR101439551B1 (ko) 터치 입력부를 구비한 영상 처리 장치의 화면 확대/축소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KR101473491B1 (ko) 터치 입력부를 구비한 영상 처리 장치의 화면 확대/축소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KR101387218B1 (ko) 멀티터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확대 비율 조절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70091533A (ko) 이동 핸드셋을 사용한 사진 촬영 방법 및 그 이동 핸드셋
KR101483301B1 (ko) 터치 입력부를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KR101422290B1 (ko) 영상 통화 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가려진 이미지 전송방법 및 영상 통화 장치
KR20090116843A (ko) 터치 입력부를 구비한 영상 처리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KR101387233B1 (ko) 터치스크린 가림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23527236A (ja) 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JP5067345B2 (ja) 携帯通信端末、携帯通信端末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38628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ing shortcut function, and storage medium
KR101750557B1 (ko) 화상통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화상 통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