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2233A - 내마모성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 Google Patents

내마모성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2233A
KR20110132233A KR1020110047735A KR20110047735A KR20110132233A KR 20110132233 A KR20110132233 A KR 20110132233A KR 1020110047735 A KR1020110047735 A KR 1020110047735A KR 20110047735 A KR20110047735 A KR 20110047735A KR 20110132233 A KR20110132233 A KR 20110132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liner
hard phase
combustion engine
piston
reciprocating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콘라트 레쓰
외르크 뮐러
마티아스 베르히톨트
Original Assignee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1013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5/00Piston rings, e.g. associated with piston cr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004Cylinder 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18Other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18Other cylinders
    • F02F1/20Other cylind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providing for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0Engine or like cylinders; Features of hollow, e.g. cylindrical, bodies in general
    • F16J10/02Cylinders designed to receive moving pistons or plungers
    • F16J10/04Running faces; 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9/00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 F16J9/26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2007/0097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for large diesel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2200/00Manufacturing
    • F02F2200/06C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CINDEXING SCHEME RELATING TO 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OR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MACHINES, ENGINES OR PUMPS OTHER THAN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 F05C2201/00Metals
    • F05C2201/04Heavy metals
    • F05C2201/0433Iron group; Ferrous alloys, e.g. steel
    • F05C2201/0436Iron
    • F05C2201/0439Cast ir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CINDEXING SCHEME RELATING TO 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OR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MACHINES, ENGINES OR PUMPS OTHER THAN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 F05C2203/00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s
    • F05C2203/04Phosph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원은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를 구비한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특히 대형 디젤 엔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실린더 각각은 실린더 라이너 및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실린더 라이너 내에 배열되는 피스톤을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은 자켓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링을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 라이너 및 상기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에서 운동가능한 피스톤의 피스톤 링의 재료는 내마모성에 있어서 서로 이상적으로 일치되고, 상기 피스톤 링은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 쪽으로 대향하는 적어도 표면상에 크롬 세라믹으로 형성된 코팅을 가지고, 상기 실린더 라이너는 0.01 ~ 1.99% 비율의 경질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마모성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A WEAR-RESISTANT RECIPROCATING PISTON COMBUSTION ENGINE}
본원은 독립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실린더 라이너 및 피스톤 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일치되는 저속 운행하는 대형 디젤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 및 피스톤 링에 관한 것이다.
대형 디젤 엔진은, 예를 들어 전력을 생성하는 대형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선박용 구동 유닛 또는 고정식 작동에 종종 사용된다. 이런 면에서, 이러한 엔진은, 일반적으로 작동 신뢰성 및 이용가능성에 대한 요구가 큰 연속 작동시 상당한 기간 동안 작동한다. 이러한 이유로, 장기간의 보수 간격, 제한된 마모 및 연료와 작동 재료의 경제적인 사용은 조작자가 기계를 작동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다. 다른 인자 중에서, 이러한 대형 보링된 저속 운행하는 디젤 엔진의 피스톤 성능은, 보수 간격의 길이에 대하여, 엔진의 이용가능성에 대하여 또한 윤활유 소모로 인한 작동 비용 및 그로 인한 비용 효율에 직접적으로 결정적인 인자이다.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특히 대형 디젤 엔진에 있어서, 실린더 라이너 및 피스톤은 작동 상태에서 매우 높은 기계적 및 열적 부하를 받게 된다. 더욱이, 실린더 라이너 및 피스톤 링, 보다 자세하게는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과 피스톤의 피스톤 링은 연소 엔진의 작동시 마모된다. 마멸로 인한 마모의 징후는 손상을 유발할 수 있고, 이는 복잡하고 값비싼 수리를 요구한다. 이러한 면에서, 특히 이로 인한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의 휴지 기간 (fall-out times) 은 상업적인 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이러한 왕복 피스톤 내연 엔진의 마모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작동면 및 피스톤의 윤활에 대하여 많은 노력을 하였다.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의 마모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른 접근법으로는 실린더 라이너의 재료 특성을 최적화시키는 것이다. 실린더 라이너의 재료는, 연소 공정시 큰 열적 인장 및 기계적 인장을 견디도록, 높은 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재료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계적 응력 피크를 저감시키도록 적절한 변형 특성 및 연신 (elongation) 특성을 가져야 한다. 재료의 마모성을 낮게 유지하도록, 실린더 라이너는 또한 높은 내마멸성을 가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실린더 라이너는 주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이러한 면에서, 주조 재료에는 바람직하게는 경질 재료가 풍부하거나, 또는 주조 기재 (caste base material) 에서 실린더 라이너 블랭크의 주조시 및/또는 실린더 라이너 블랭크의 냉각시, 예를 들어 그 자체로 공지된 탄화물을 포함하는 경질상 또는 그 자체로 공지된 다른 경질상으로 형성되는 다소 광범위한 영역이 형성되거나 침전될 수 있을 정도로,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주조 공정 및 냉각 공정에 영향을 준다. "실린더 라이너 블랭크" 라는 용어는, 후속의 가공 공정 후에, 예를 들어 작동 준비가 된 실린더 라이너가 되는 생형 주조체 (raw caste body) 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경질상은 다소 불균일한 분포로 주철 기재에 매입되어, 비교적 연성의 주조재 및 경질상의 조합이 얻어진다. 이러한 면에서, 주조 기재는, 무엇보다도, 예를 들어 실린더 라이너의 어떠한 기계적 탄성 및 지속 안정성을 보장하여, 이는 연소 엔진의 작동 상태에서 온도 부하 및 압력 부하의 엄청난 변화를 견딜 수 있다. 비교로, 경질상은 실린더 벽 및/또는 실린더의 작동면에, 특히 피스톤 링 및 실린더 작동면 사이의 마찰을 통한 과도한 마모에 대하여, 소정의 저항을 부여한다.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 특히 대형 디젤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는, 통상적으로, 가능하게는 경질상이 상기 실린더 라이너 내부에 매입된 주철 또는 다른 철 재료로 구성된다. 주철은 높은 탄소 함량 (C > 2.06 중량%) 또한 규소, 망간, 인 또는 황 등의 다른 구성요소와의 철 탄소 합금이다. 주철에 의해, 회주철 및 백주철간을 구별한다. 회주철에서 탄소는 흑연으로 존재하고, 백주철에서 탄소는 시멘타이트 (cementite) 형태로 존재한다.
시멘타이트는 Fe3C (철 탄화물) 조성을 가진 철 및 탄소의 복합물이다. 철 탄화물은 백주철 및 강에서 준안정상으로서 나타난다. 매우 느린 냉각 또는 매우 긴 소둔 기간의 경우에, 시멘타이트는 철 및 흑연으로 분해될 수 있다.
시멘타이트는, 결정화에 의해 용융물로부터 기인하는 일차 시멘타이트로서 존재할 수 있고, 또는 오스테나이트의 침천에 의해 형성되는 이차 시멘타이트로서 존재할 수 있고, 또는 연성의 부식성 페라이트 (체심 입방 격자의 철) 로부터의 침전에 의해 기인하는 삼차 시멘타이트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철로 제조되는 면심 입방 혼합 결정을 오스테나이트라고 한다. 준안정성 고화의 경우에, 주철은 시멘타이트 및 오스테나이트로 제조되는 레데부라이트 (ledeburite) 라고 하는 공융물 (eutectic) 을 포함한다. 일차적으로 침전되는 시멘타이트상에 축적되는 이차 시멘타이트는 다른 냉각시 일차적으로 침전되는 시멘타이트로부터 침전된다. 완료된 오스테나이트 전환 후에, 전술한 레데부라이트는 시멘타이트 및 펄라이트의 미세 혼합물을 포함한다. 주철 용융물의 냉각시, 과잉의 일차 시멘타이트 (FeC3) 는 조대한 니들 형태로 형성된다. 용융물의 냉각시, 과잉의 이차 시멘타이트는 오스테나이트 또는 그 후의 펄라이트 결정 주변에 입자 경계면으로서 또는 층상 시멘타이트로서 초기에 침전한다.
주철은 라멜라 흑연을 가진 주철로서 존재할 수 있고, 여기서, 흑연은 얇은,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라멜라 형상을 가진다. 라멜라 흑연을 가진 주철은 더 작은 인장 강도와 매우 작은 탄성을 가진다. 주철의 내부식성은, 규소, 크롬, 니켈 또는 알루미늄의 합금화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주철은 또한 구상 흑연을 가진 연성 주철, 소둔된 주철 또는 연층 (vermicular) 흑연을 가진 주철로서 존재할 수 있다. 연층 흑연에서, 흑연은 라멜라 형태, 구상 형태, 또는 연층 (웜 형태) 로 존재하지 않는다. 연층 흑연 주철의 기계적 특성은, 라멜라 흑연을 가진 주철과 구상 흑연을 가진 주철 사이이다.
EP-A-0 525 540 에는, 예를 들어, 라멜라 구조를 가진 주철로 형성되는 실린더 라이너에 비하여, 더 큰 인장 강도 및 더 나은 연신 특성을 가진, 구상 흑연을 가진 펄라이트 주철로 제조되는 연소 엔진용 실린더 라이너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면에서, 붕소, 인 및 필요하다면 바나듐의 첨가물은, 구상 흑연을 가진 주철의 기재 합금에 첨가되어, 이를 통하여 주철의 네트 구조는 구상 흑연 개재물 이외에 네트 형태로 분포되는 매우 경질의 시멘타이트 부분 및/또는 스테다이트 (steadite) 부분을 가진다.
EP-A-0-872 567 에는, 높은 안정성 및 연신을 가지며 또한 구상 흑연을 가진 주철에 비하여 개선된 열전도성을 가진,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용 연층 흑연을 가진 주철 합금이 기재되어 있다. 연층 흑연을 가진 주철 합금, 즉 웜 형태의 흑연 개재물을 가진 주철 합금은, 공간적으로 뚜렷하게 한정된 시멘타이트/스테다이트 비율의 형태의 경질상을 더 가지며, 이러한 경질상은 네트 형태의 주철 구조를 통하여 균일하게 분포되고 또한 2% ~ 20%, 특히 4% ~ 10% 의 부피비를 차지한다.
합금의 특성은 개별 구조 성분의 특성에 의해 부여된다. 이러한 이유로, 입자 크기 이외에, 구조 성분의 상대량비는 합금의 평가에 있어서 중요하다.
금속조직 마이크로섹션 (metallographic microsection) 의 도움으로 구조 성분의 양비를 평가하기 위해 다른 과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면에서, 마이크로섹션에서, 부피비에 비례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는 표면비는 볼 수 있고 질량비는 아니다. 필요하다면 부피 백분율로부터 질량 백분율로의 변환을 실시해야 한다.
간단한 경우에, 정량적 분석이 주관적인 추정으로 실시된다. 대략 900℃ 의 서냉 후에, 0 ~ 0.8% 의 C 함량을 가진 모든 철-탄소 합금은 양비를 변경하여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 구조 성분을 포함한다. 순철은 100% 페라이트를 포함하지만, 0.8% C 를 가진 강은 100% 펄라이트를 포함한다. 그 결과, 각각 0.1% 의 C 에 의해, 펄라이트 표면비는 0.1/0.8×100% = 12.5% 만큼 증가한다. 실제로, 서냉된 강의 탄소 함량은 상기 방식으로 금속조직 마이크로섹션의 도움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보다 정밀성을 요구하면, 개별 구조 성분을 측정해야 한다. 이는, 면적계 (planimeter), 즉 표면비를 결정하는 기계 공구의 도움으로 실시될 수 있다.
계량 과정에서, 사진 인쇄로부터 개별 구조 성분을 절단하고 또한 분석 스케일로 개별 이미지 성분을 계량한다. 종이 품질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서, 이 종이 중량물은 관련 구조 성분처럼 거동한다.
예를 들어, 선형 절편 방법 (linear intercept method) 에서, 10 ~ 20 개의 절편 직선을 그리고 또한 밀리미터 측정을 사용하여 개별 구조 성분상에 위치된 길이를 측정하는데, 즉 개별 구조 성분의 선형비를 예측한다. 개별 구조 성분의 부피는 대략 선형부처럼 거동한다. 부피비는 모든 선에 걸쳐 평균을 냄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복잡하게 조립된 구조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소위 적분 스티치 (integration stitches) 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러한 면에서 이를 본질적으로 크로스-테이블 (cross-table) 이라고 한다. 이외에, 측정 방법은 선형 절편 방법에 상응한다.
대형 디젤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의 회주철에서 경질상의 비율 결정은, 바람직하게는 계수 방법 (enumeration method) 에 의해 실시된다. 이러한 면에서, 경질상 비율은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상에서,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링의 상사점 위에서, 즉 통상적으로 실린더 라이너의 상단부 아래로 60 ~ 100 ㎜ 에서 측정된다. 유리하게는 20 ㎜ × 30 ㎜ 영역은 경질상 임프린트 (imprint) 를 제조하기 위해 탄화규소 샌드 페이퍼로 샌딩된다. 후속의 에칭 공정 이전에, 상기 표면은, 예를 들어 알코올로 세정된 후 건조된다. 그 후, 이 표면은 3 ~ 5% 의 질산 및 알코올 또는 물 혼합물로 3 ~ 5 분간 에칭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조 성분은 경질상을 결정하도록 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구조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사진 복사만을 사용하지 않는다. 복제 방법 (replica method) 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제조되는 구조 상태의 임프리트는 경질상의 정량적 결정을 위해 사용된다. 복제 방법에서, 검사할 표면을 전체적으로 세정한 후에, 검사할 영역을 복제하고, 표면의 상기 영역을 샌딩하고 표면 에칭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즉 검사할 표면을 복사 (또한 음 또는 미러 복사) 한다. 이를 위해, 2 성분의 폴리머, 예를 들어 Microset 또는 Struer's RepliSet 을 준비된 영역에 도포한다. 소위 "배면지 (backing paper)" 를 가진 경질 플레이트는 폴리머의 간단한 취급 및 안정화를 위해 표면을 재생성하는 폴리머의 후방측에 적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2 성분의 폴리머는 먼저 "배면지" 를 가진 플레이트에 적용된 후 실린더 인서트상의 미리 준비된 지점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이한 2 성분의 폴리머가 이용가능하고, 어떠한 2 성분의 폴리머의 사용은 검사할 실린더 표면 및/또는 현재의 주변 온도에 따라서 결정되고,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경화 시간이 관찰되고 또한 고수되어야 한다. 그 후, 경화된 복제물은 표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이 복제물은 검사할 표면의 매우 상세한 임프린트를 포함한다. 평가를 위해서, 복제물을 가진 플레이트는 현미경하에서 직접 검사되고 평가될 수 있다.
대응하는 표면의 준비 다음에, Triafol 임프린트가 또한 형성되고, 작동면의 표면 온도는 5℃ ~ 30℃ 인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면에서, 일편의 Triafol 호일 (Triafol 은 플라스틱 호일에 대한 제품명임) 은 대략 4 초 동안 아세톤에 잠겨서, 준비된 표면에 적용되며, 거기에서 대략 10 분 동안 건조된다. 그 후에, 호일에서는 검사할 작동면 구조의 임프린트를 나타낸다. 평가하기 위해서, 호일은 슬라이드에 적용되고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도록 탄소 증기로 코팅된다. 임프린트의 미세 구조는,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에 대응하고, 경질상은 흑연 및 펄라이트로 형성되는 매트릭스에 입자로서 볼 수 있다. 그 후, 경질상 비율의 계량은,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100 개의 지점, 즉 100 개의 교차부와 직각으로 서로 각각 교차하는 직선을 가진 선들의 패턴을 가진 통합 플레이트로 실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배율은 100:1 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측정 필드마다 1 ㎟ 영역이 계산된다. 경질상 결정에 대하여 서로 직접 이웃하는 이러한 종류의 16 개의 측정 필드가 계산되고, 관찰된 정사각형 각각에서, 통합 플레이트의 상기 지점이 계산되며, 이는 경질상과 일치한다. 경질상 비율은, 지점의 전체 개수에 대한 경질상으로 덮여지는 지점의 개수와 연관하여 결정된다.
경질상 비율 [%] = 100% × 경질상 지점/지점의 전체 개수
이러한 계산 방법에서, 경질상 경계면에 있는 지점은 지점의 절반으로 계산된다.
그리하여, 경질상 비율은 검사할 표면상의 합금의 면적비 (= 경질상이 그 내부에 매입된 기본 매트릭스) 당 경질상의 면적비에 대응한다. 여기에서, 경질상에 대한 백분율 항목은, 어떠한 차이를 지적하지 않는다면, 항상 면적 백분율, 즉 검사할 합금 표면의 단위 면적당 경질상의 면적비와 관련되어 있고, 면적 백분율은, 특히 대형 디젤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의 회주철에서 경질상 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전술한 측정 방법의 면에서 결정된다.
경질상 입자는 일반적으로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킨다. 현행 실린더 라이너는 3% ~ 7% 의 경질상 비율로 주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질상 비율이 상당히 더 큰 주철 합금은 과거에도 사용되었다.
경질상 입자가 매트릭스에 단단히 고정되는 한, 일반적으로 실린더 라이너에서 피스톤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입자가 매트릭스에 의해 더이상 한정되지 않으면, 이 입자는 실린더 작동면 외부로 아무렇게나 낙하되어 원하지 않는 마멸 마모를 유발할 수 있고, 이는 그후 매우 단시간에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을 완전히 파괴할 수 있다.
금속 매트릭스는 황산으로 인한 부식에 의해 공격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부식 공격은 경계면에서 보다 집중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경질상 입자의 공간적 돌출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질상 입자는, 그 후에 이에 걸쳐서 슬라이딩하는 피스톤 링에 의해 점차적으로 응력을 받을 수 있고 (예를 들어, 굽힘에 의해), 그리하여 용이하게 분쇄되어 실린더 작동면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파괴할 수 있다. 그 후, 이는 원하지 않는 마멸 마모를 유도한 후, 이는 실린더 라이너 또는 적어도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을 단시간에 완전히 파괴할 수 있다.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의 피스톤 링은 통상적으로 주철 또는 강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링에는 또한 경질층이 제공된다. 피스톤 링의 기본체, 즉 통상적으로 경질층이 없는 주철 또는 강을 포함하는 피스톤 링을, 이하에서 피스톤 링 블랭크라고 한다. 회주철, 즉 라멜라 흑연을 가진 주철, 또는 구상 흑연을 가진 주철, 또는 연층 흑연을 가진 주철을 예를 들어 주철로서 사용할 수 있다.
금속 합금을 강이라고 하며, 이 합금의 주성분은 철 및 0.01 중량% ~ 2.06 중량% 의 함량을 가진 탄소이다. 화학적 관점에서, 강은 철 및 철 탄화물로 형성된 합금이다.
피스톤 링의 외부 경질층은, 예를 들어, 크롬, 몰리브덴, 니켈-흑연, 크롬 탄화물, 서멧, 알루미늄 청동, Mo 계 합금 또는 Cr-탄화물 또는 흑연 청동 개재물과의 Ni-Cr 계 합금, 크롬 질화물, 니켈 알루미나이드, 니켈 크롬, 크롬 탄화물 개재물과의 니켈계 합금 또는 세라믹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탄화물 또는 질화물은, 예를 들어 세라믹으로서 문제가 된다.
경질층은 갈바니 방법을 사용하여, 플라즈마 분무에 의해, HVOF (고속 산소-연료) 방법에 의해, PVD (물리적 기상 증착) 방법 또는 HIP (고온 등방 가압) 방법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레이저 표면 클래딩에 의해 주철 또는 강으로 형성되는 피스톤 링에 적용될 수 있다.
경질 크롬층 또는 세라믹층은 예를 들어 갈바니 방법을 사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플라즈마 분무 방법은, 예를 들어 몰리브덴, 니켈-흑연, 크롬 탄화물, 서멧, 알루미늄 청동, 또는 Mo 계 합금 또는 Cr-탄화물 또는 흑연 청동 개재물과의 Ni-Cr 계 합금으로 된 층을 적용하는데 적합하다. HVOF 방법은, 예를 들어 탄화물을 포함하는 Mo 계 합금 또는 탄화물을 포함하는 Ni-Cr 계 합금의 적용에 적합하다. 크롬 질화물층은 또한 예를 들어 PVD 방법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반면, HIP 방법은 예를 들어 니켈 크롬 또는 니켈 알루미나이드 층에 적합하다. 레이저 표면 클래딩은, 예를 들어 크롬 탄화물을 포함하는 니켈 합금의 적용에 적합하다. 현재까지 알려진 현대식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에 있어서, 피스톤 링이 형성된 피스톤은 경질상 비율이 큰 실린더 라이너내에서 또는 그 실린더 작동면상에서 전후로 각각 이동되고, 이러한 경질상 비율은 통상적으로 3 ~ 10% 사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3 ~ 7% 의 경질상 비율에 대하여, 경질상의 입자 크기는 결정화 조건에 따르지만 대략 10 ㎛ ~ 1 ㎜ 이다. 조대 미립화된 경질상 입자로 인한 가속된 공구의 마모에 의해, 더이상 실제로 절삭 작업을 보장하지 못하는 공구가 얻어지지만, 오히려 압력하에서 가공될 재료를 소성 변형시키며, 그럼으로써 특히 표면에 위치한 경질상 입자가 파괴될 수 있고, 그 후에 파괴된 아무렇지않게 존재하는 매우 경질의 다공성 입자에 의해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을 고도로 마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작동 특성 및 내마모성이 개선된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을 이용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원에 따라서,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을 가진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에 의해 충족된다. 종속항은 본원의 특히 유리한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다.
최소한의 윤활유 소모로 실린더 라이너 및 피스톤 링의 마모를 허용가능한 한계내에 유지하기 위해서, 서로 슬라이딩하는 피스톤 링 및 실린더 작동면의 마찰공학에 영향을 주는 모든 인자는 최적화되어야 한다. 윤활유의 조성, 작동면 및 피스톤의 자켓면에 윤활유를 도포하는 유형 및 방식뿐만 아니라 윤활유의 공급비 이외에, 상기 인자는 또한 연료의 화학적 조성, 실린더 작동면의 표면 구조 및 상이한 성분의 재료와 관련 있다.
내마모성에 대하여 개선된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의 다른 개량의 관점에서,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은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의 내마모성에 있어서 중요하지만 오히려 반대로 향하는 부품의 내마모성, 즉 실린더 라이너 자체의 작동면뿐만 아니라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에서 운동되는 피스톤 링의 내마모성에도 중요하다.
본원에 따른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은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 각각은 실린더 라이너 및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실린더 라이너 내에 배열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자켓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링을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은 원형 실린더 형태를 본질적으로 구비하여, 이 피스톤의 자켓면은 기본면 및 상부면 사이에 위치되어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 쪽으로 배향되는 실린더의 외부면을 나타낸다. 상기 실린더 라이너 및 상기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에서 운동가능한 피스톤의 피스톤 링의 재료는 내마모성에 있어서 서로 이상적으로 일치되고, 상기 피스톤 링은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 쪽으로 대향하는 적어도 표면상에 크롬 세라믹으로 형성된 코팅을 가지고, 상기 실린더 라이너는 0.01 ~ 1.99% 비율의 경질상을 가진 주철 합금을 포함한다.
피스톤 링, 즉 피스톤 링 블랭크의 기본체는 강 또는 주철을 포함하고, 라멜라 흑연을 가진 주철 또는 연층 흑연을 가진 주철이 바람직하다.
피스톤 링의 전체면은 크롬 세라믹의 경질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롬 세라믹 층에서, 세라믹 입자는 크롬으로 형성된 매트릭스에 각각 매입된다. 크롬 세라믹 층은 세라믹 입자가 매입된 갈바닉 증착된 크롬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면에서, 미세 입자의 세라믹 입자가 바람직하고, 게다가 가능한 한 균일하게 크롬 층에 분포된다. 여기에서, 세라믹 입자는 산화물 세라믹, 탄화물, 질화물, 다이아몬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관련될 수 있다.
본원에 따라서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에 사용되는 크롬 세라믹 재료는, 크롬-산화알루미늄 (Cr-Al2O3), 크롬-질화규소 (Cr-Si3N4), 크롬-산화질화규소, 산화규소 및 크롬 다이아몬드로 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알루미늄 세라믹은 상기 면에서 α-Al2O3 (코런덤) 에 기초한다. 질화규소는 (결정 구조) α-Si3N4, β-Si3N4, γ-Si3N 의 개질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이아몬드는 입방정 결정 시스템의 탄소 개질물이다.
본원에 따른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에 사용되는 실린더 라이너는, 0.01 ~ 1.99% 의 경질상 비율을 가진 주철을 포함하고, 상기 경질상은 펄라이트 매트릭스에 매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주철은 인화 공융물 (phosphide eutectic) 을 가진 펄라이트 기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구조 성분으로서 스테다이트라고 한다. 스테다이트는 주철의 높은 인 성분의 결과이다. 주철은, 무엇보다도 마모성 개선으로 인해 인과 합금화된다.
펄라이트 매트릭스에는 라멜라, 공융 구조 성분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면에서, 펄라이트 매트릭스는 페라이트 및 시멘타이트 (철 탄화물) 의 상 혼합물과 관련 있다. 페라이트 및 시멘타이트의 상 혼합물은 0.02 ~ 6.67 중량% 의 탄소 함량에서 철-탄소 합금의 공융 전환으로 인해 발생한다. 라멜라 펄라이트 구조는, 한편으로는 국부적인 탄소 고갈 및 다른 한편으로는 인접하는 이웃 영역상의 탄소 농후에 의해 공융 펄라이트의 형성시 발생한다. 페라이트, 즉 α-Fe 로 형성되는 구조는 0.02 중량% 미만의 탄소 함량에서 발생한다.
경질상은 시멘타이트 또는 스테다이트 또는 둘 다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멘타이트는 조성물 Fe3C (철 탄화물) 의 철 및 탄소의 복합물이다.
실린더 라이너의 샌드-몰드 주소 또는 영구 주조시 통상적인 고화비의 경우에 있어서, 경질상은, 화학적 조성 및 방해받지 않는 이종 흑연 형성에 따라서, 스테다이트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스테다이트 및 레데부라이트 시멘타이트 (철 탄화물) 의 혼합물로 구성되며, 상기 시멘타이트는 소량의 자유 페라이트 및 흑연, 특히 라멜라 흑연만을 가진 거의 완전히 펄라이트 매트릭스내에 매입된다. 레데부라이트 시멘타이트로의 스테다이트 비는 마모 저감 특성 및 그 양을 개선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원소에 따르고, 특히 인, 붕소 및 바나듐은 마모 저감 원소로서 사용된다. 하지만, 용융물은 불가피한 오염물을 가질 수 있고, 이는 레데부라이트 시멘타이트로의 스테다이트의 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더욱이, 레데부라이트 시멘타이트로의 스테다이트의 비는 또한 주철의 고화시 핵생성 조건에 따른다.
스테다이트라고 하는 제 3 인화 공융물은, 41 중량% 철 인산염 (FeP), 30 중량% 스테아틱 시멘타이트 (FeC), 및 공융 전환시 펄라이트 (철 재료의 스트립핑된 구조 형상) 로 분해되는 29 중량% 오스테나이트 (철 합금의 γ 혼합 결정) 을 포함한다. 펄라이트는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 시멘타이트를 포함한다.
형성된 스테다이트의 개수, 크기 및 분포는 인의 양, 용융물 중 침천된 원소 뿐만 아니라 공융 결정의 개수와 분포에 직접 따른다. 10 ㎛ ~ 1 ㎜ 의 연신을 가진 비교적 작은 스테다이트 입자가 바람직하게 형성되거나, 이에 대응하여 통상적으로 10 ㎛ ~ 350 ㎛ 의 연신을 가진 더 많은 스테다트 입자가 발생되거나, 또는 이러한 두 개의 스테다이트 입자의 혼합물이 형성된다. 스테다이트 입자의 형태는 작은 구상 내지 수지상 범위이다. 마모성 및 재료 가공의 면에서 균일하게 분포된 작은 구상의 작은 스테다이트 입자가 바람직하다.
스테다이트의 경도는 인화 공융물로의 용융물 중 침전되는 원소 및 그 농도에 따른다. 스테다이트의 평균 경도는 700 ~ 800 HV (DIN EN ISO 6507-1:2005 ~ 4:2005 에 따른 비커스 경도) 이다.
시멘타이트의 경도는, 스테다이트의 경도와 같이, 철 혼합 결정에 존재하는 탄화물 안정 원소의 양에 따른다. 스테다이트 및 레데부라이트 시멘타이트를 포함하는 경질상의 평균 경도는 대략 800 ~ 1200 HV 이고 또한 스테다이트 단독의 경도보다 명확하게 더 높다. 하지만, 스테다이트 및 레데부라이트 시멘타이트를 포함하는 경질상은 또한 순수 스테다이트에 비하여 더 큰 취성을 나타내고 또한 스테다이트 및 레데부라이트 시멘타이트를 포함하는 경질상을 가진 주조 재료의 가공성은 악화되어, 가공 공구의 마모를 또한 증가시킨다. 경질상은 또한 레데부라이트 시멘타이트만을 포함할 수 있는데, 즉 스테다이트가 동시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라멜라 펄라이트 매트릭스의 경도는 250 ~ 400 HV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면에서, 상기 경도는 철 혼합 결정에 존재하는 다른 원소 및 오스테나이트 전환시의 냉각비에 따른다.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에 사용되는 실린더 라이너는 소량의 경질상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실린더 라이너의 필요한 연신 특성은, 매우 경질이고 또한 원래 취성인 경질상 입자를 사용하더라도, 보장된다.
실린더 라이너에 포함되는 경질상 입자의 경도는 1000 HV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 라이너의 경질상은 Fe3C 및 Fe3P 또한 분리된 탄화물 안정화 원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조 합금에 고의적으로 합금화되거나 또는 사용된 주조 합금에 미량 원소로 존재하는 분리된 탄화물 안정화 원소는, 특히 Cr, V, Mn, Mo, W, Zr 및 Te 와 관련 있다.
주조 합금의 냉각시 형성되는 경질상 입자의 양, 크기 및 분포는 결정화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에 따른다. 실린더 라이너에 존재하는 경질상의 양을 0.01 ~ 1.99% 의 영역으로 저감시킴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하여, 작고, 미세 입자의 경질상 입자가 형성되고, 더욱이 구조에 보다 균일하게 분포된다. 본원에 따른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에 위치된 경질상 입자의 크기는 10 ㎛ ~ 3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양호한 재료 가공성 및 약간의 공구 마모만을 보장한다.
철 합금의 용융물의 냉각시 결정화되는 경질상의 작은 두께로 인해 유발되는 실린더 라이너의 제조시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미세-수축부, 예를 들어 스테다이트 (인화 공융물을 가진 펄라이트 기재) 에 의해 유발되는 미세-수축부의 개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실린더 라이너에 비하여, 본원에 따른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에 사용되는 실린더 라이너에서 상당히 감소되는데, 이는 경질상 비율이 0.01 ~ 1.99% 로 저감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왕복 피스톤은 0.05% ~ 1.90% 비율의 경질상을 가진 실린더 라이너를 구비한다. 0.05% ~ 1.70%, 특히 0.05% ~ 1.50% 비율의 경질상이 더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에 비하여 공간적으로 보다 양호하게 분포되고 더 미세하게 미립화되며 또한 경질상 크기의 보다 더 양호한 분포를 가지는, 즉 경질상 입자가 훨씬 더 균일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적은 양의 경질상은, 절삭 가공성을 개선시키고, 그럼으로써 예를 들어 절삭 공구는 덜 손상되고 또한 마모를 덜 받게 된다. 보다 양호한 가공성은 가공 속도, 예를 들어 절삭 속도를 더 높게 또한 공구의 수명을 더 길게 향상시킨다.
종래 기술에 비하여, 실린더 라이너의 구조에서의 경질상 비율의 저감으로 인해, 엔진의 작동시 작동면으로부터 방출되고 이차 마멸을 유발할 수 있는 경질 입자의 개수는 또한 저감된다.
실린더 라이너에 사용되는 주철은 MnS, TiN 또는 질화탄소 등의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실린더 라이너에서 피스톤의 작동 거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실린더 라이너에서의 경질상 비율은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질상 비율은 실린더 라이너의 길이에 걸쳐, 즉 축방향으로 상이하게 조절되고, 마모 및/또는 피스톤 작동 거동은 더 최적화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린더 라이너, 특히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은 축방향으로 경질상 구배를 가지며, 경질상 비율은 각각의 장소에서 0.01 ~ 1.99% 이다. 이러한 면에서, 상기 구배는 선형일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기능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피스톤의 상사점 및/또는 하사점의 영역에서의 경질상 비율은, 특히 실린더 라이너의 축방향으로 중심부를 가진 것에 비하여 더 많은 경질상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매우 작은 경질상 비율을 포함하는 실린더 라이너와 크롬 세라믹 코팅된 피스톤 링을 조합함으로써, 낮은 마모비를 유발한다. 더욱이, 주조 합금에서의 더 적고 더 작은 경질상 입자는 낮은 마멸 마모비를 유발한다. 또한, 실린더 라이너의 제조가능성 및 가공성은 소량의 경질상 재료만을 첨가함으로써 더 간단해지고, 절삭 가공을 위한 재료 특성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주조 재료의 특성에 대응하지만 어떠한 종류의 경질상 입자를 포함하지 않고, 즉 낮은 경질상 비율을 가진 실린더 라이너의 기계 가공성은 어떠한 종류의 경질상의 기계 가공성에 대응한다. 그리하여, 낮은 경질상 비율을 가진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 시간은 어떠한 종류의 경질상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연장되지 않고, 가공 공구의 수명은 낮은 경질상 비율에 의해 상당히 단축되지 않는다. "낮은 경질상 비율" 이라는 용어는 여기에서 1.99% 미만의 경질상 비율인 것으로 항상 이해된다. 본원에 따른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의 실린더, 즉 재료 조성면에서 서로 일치되는 실린더 라이너 및 피스톤 링은 공지된 주조 방법을 사용하여 주철 합금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실린더는 용이하게 또한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의 도면에 의해 이하 자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대형 디젤 엔진의 실린더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는 1.8% 경질상을 포함하는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의 고해상도의 이미지,
도 3 은 0.2% 경질상을 포함하는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의 고해상도의 이미지,
도 4 는 2.0% 경질상을 포함하는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의 고해상도의 이미지, 및
도 5 는 3.0% 경질상을 포함하는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의 고해상도의 이미지.
도 1 에서, 저속 운행 2 행정 대형 디젤 엔진의 실린더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실린더는 소기 구멍 (40) 을 가진 실린더 라이너 (30) 를 포함한다. 실리더 라이너 (30) 의 내부면은 작동면 (35) 을 형성한다. 도 1 에서는 연소실 쪽으로 배향된 피스톤면 (15) 및 실린더 형상의 피스톤 자켓면 (10) 을 가진 피스톤 (5) 을 더 도시한다. 이 피스톤 자켓면 (10) 에는 4 개의 피스톤 링 (20) 이 배열된다. 연소 엔진의 작동시, 피스톤 (5) 은 실린더 라이너 (30) 내에서 상하로 운동하고, 피스톤 링 (20) 은 실린더 라이너 (30) 의 작동면 (35) 에서 슬라이딩하며, 그리하여 피스톤 링 (20) 및 작동면 (35) 은 어떠한 양의 마모에 노출된다.
도 2 에서는 1.8% 경질상을 포함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의 고해상도의 마이크로섹션을 도시한다. 측정 바의 길이는 1 ㎜ 이다. 이미지에서 입자의 구조는 경질상의 수지상 (dentritic) 형태를 나타낸다.
도 3 에서는 0.2% 경질상을 포함하는 본원에 따른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의 고해상도의 마이크로섹션을 도시한다. 도 2 와 비교하여, 상당히 더 적은 경질상이 존재하고, 도 3 에서는 경질상이 보다 작은 구상 (globulistic) 형태를 가진다.
도 4 에서는 2.0% 경질상을 포함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의 고해상도의 마이크로섹션을 도시한다. 측정 바의 길이는 1 ㎜ 이다. 입자의 구조는 경질상의 수지상 형태를 나타낸다.
도 5 에서는 3.0% 경질상을 포함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의 고해상도의 마이크로섹션을 도시한다. 측정 바의 길이는 1 ㎜ 이다. 입자의 구조는 마찬가지로 경질상의 수지상 형태를 나타내고, 도 4 에 비하여 상당히 더 큰 두께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를 구비한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으로서,
    상기 실린더 각각은 실린더 라이너 및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실린더 라이너 내에 배열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자켓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링을 구비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라이너 및 상기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에서 운동가능한 피스톤의 피스톤 링의 재료는 내마모성에 있어서 서로 이상적으로 일치되고, 상기 피스톤 링은 실린더 라이너의 작동면 쪽으로 대향하는 적어도 표면상에 크롬 세라믹으로 형성된 코팅을 가지고, 상기 실린더 라이너는 0.01 ~ 1.99% 비율의 경질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라이너는 경질상이 그 내부에 매입된 주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상은 탄화물, 시멘타이트 및 스테다이트로 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상은 주성분으로서 Fe3P 및/또는 Fe3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상은 펄라이트 매트릭스에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라이너는 0.05 ~ 1.90%, 특히 0.05 ~ 1.70% 비율의 경질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상 입자는 10 ㎛ ~ 1 ㎜, 특히 10 ㎛ ~ 350 ㎛ 의 평균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상 입자는 작은 구상 또는 수지상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라이너에 포함되는 경질상 입자의 평균 경도는 1000 HV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링 각각은, 라멜라 흑연을 가진 주철 또는 연층 흑연을 가진 주철로 형성되는 환상의 기본체를 포함하고, 또한 크롬 세라믹의 외부 코팅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링의 크롬 세라믹 층은 세라믹 입자가 매입된 크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입자는 산화 알루미늄 (Al2O3), 질화 규소 (Si3N4) 및 다이아몬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은 대형 디젤 엔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KR1020110047735A 2010-06-01 2011-05-20 내마모성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KR201101322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64645.3 2010-06-01
EP10164645A EP2392812A1 (de) 2010-06-01 2010-06-01 Verschleissarme Hubkolben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233A true KR20110132233A (ko) 2011-12-07

Family

ID=4299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735A KR20110132233A (ko) 2010-06-01 2011-05-20 내마모성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92812A1 (ko)
JP (2) JP2011252495A (ko)
KR (1) KR20110132233A (ko)
CN (1) CN102330611A (ko)
RU (1) RU20111221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331A1 (ko) * 2016-03-09 2017-09-14 삼영기계(주) 내마모성이 향상된 합금주철, 및 이를 포함하는 피스톤 링
US9803582B2 (en) 2015-05-07 2017-10-31 Hyundai Motor Company Cylinder block for engine of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2200B4 (de) * 2011-04-20 2015-02-12 Neue Halberg-Guss Gmbh Verfahren zur Gewichtsreduzierung bzw. zur Steigerung der mechanischen Belastbarkeit von Bauteilen aus Gusseisenwerkstoffen
US20180245637A1 (en) * 2015-09-07 2018-08-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Oxide coating formed on ferrous substrate, sliding member on which said oxide coating is formed, and apparatus provided with sliding member
BR112018015729A2 (pt) * 2016-02-12 2019-01-08 Oerlikon Surface Solutions Ag Pfaeffikon sistema tribológico de um motor de combustão interna com revestimento
CN108559600B (zh) * 2018-01-03 2021-04-20 上海丽卡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钢制工件精细加工用乳化液及其制备方法和后处理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3718A (en) * 1975-10-29 1977-04-30 Nippon Piston Ring Co Ltd Abrasion resistant cast iron
JPS583902A (ja) * 1981-07-01 1983-01-10 Toyota Motor Corp カムシヤフトの製造法
JPH03128162A (ja) * 1989-10-13 1991-05-31 Mazda Motor Corp 鋳鉄製シリンダブロック
FI101816B1 (fi) 1991-07-27 1998-08-31 Man B & W Diesel Ag Polttomoottorikoneen sylinterin hylsy
BR9204244A (pt) * 1992-10-26 1994-05-03 Cofap Ferro fundido cinzento
JP3297150B2 (ja) * 1993-06-30 2002-07-02 帝国ピストンリング株式会社 優れた耐食性と耐摩耗性を有する鋳鉄及び該鋳鉄で形成されたシリンダライナ
EP0872567A1 (de) 1997-04-16 1998-10-21 Wärtsilä NSD Schweiz AG Gusseisen und daraus hergestellte Zylinderlaufbuchse
JP2000170594A (ja) * 1998-12-08 2000-06-20 Teikoku Piston Ring Co Ltd シリンダライナとピストンリングとの組合せ
DE19900942C2 (de) * 1999-01-13 2003-04-10 Man B & W Diesel As Kopenhagen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Schutzbelags sowie Maschine mit wenigstens einem derartigen Schutzbelag
JP2001073869A (ja) * 1999-08-31 2001-03-21 Riken Corp 上下面に溝を有する焼結体でリング溝を強化した内燃機関用アルミニウム合金製ピスト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67112B1 (ko) * 1999-10-29 2005-01-24 닛폰 피스톤 린구 가부시키가이샤 내연기관의 실린더 라이너와 피스톤 링의 조합
JP2003277978A (ja) * 2002-03-25 2003-10-02 Mitsubishi Heavy Ind Ltd 摺動部材およびピストンリング
JP2007077988A (ja) * 2005-09-13 2007-03-29 Waertsilae Schweiz Ag ピストンリング一式
JP2008050561A (ja) * 2006-07-28 2008-03-06 Sanyo Chem Ind Ltd 衣料洗浄剤用再汚染防止剤
JP4840026B2 (ja) * 2006-08-24 2011-12-21 株式会社Ihi 耐焼付き性鋳鉄
JP4953377B2 (ja) * 2006-09-28 2012-06-13 日本ピストンリング株式会社 A型黒鉛を含む鋳鉄並びにそのa型黒鉛を含む鋳鉄の鋳造方法及びそのa型黒鉛を含む鋳鉄を用いたシリンダライ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3582B2 (en) 2015-05-07 2017-10-31 Hyundai Motor Company Cylinder block for engine of vehicle
WO2017155331A1 (ko) * 2016-03-09 2017-09-14 삼영기계(주) 내마모성이 향상된 합금주철, 및 이를 포함하는 피스톤 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1122113A (ru) 2012-12-10
EP2392812A1 (de) 2011-12-07
JP2016053369A (ja) 2016-04-14
JP2011252495A (ja) 2011-12-15
CN102330611A (zh)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053369A (ja) 耐摩耗往復動ピストン燃焼機関
JP5903085B2 (ja) シリンダボアとピストンリングの組合せ
US9487855B2 (en) Wear protection layer for piston rings
EP3315624B1 (en) Cylindrical member made from lamellar graphite cast iron
KR100701812B1 (ko) 자기 윤활성을 갖는 슬라이딩 부품용 재료 및 피스톤 링용선재
US20140137831A1 (en) Cylinder Bore Coating System
US7024982B2 (en) Combination of piston and piston ring
KR20010066864A (ko) 내연기관용 자기 윤활 피스톤 링 재료와 피스톤 링
Hwang et al. Effect of oxides on wear resistance and surface roughness of ferrous coated layers fabricated by atmospheric plasma spraying
Li et al. Influence of V content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ray cast iron for super-large cylinder liner
JPH01159352A (ja) 摺動部材を組合わせた摺動構造
Pacha-Gołębiowska et al. Key determinants for high-alloyed cast irons for mechanical engineering
CA1305992C (en) Combination of slide members
Nayyar et al. Investigation of micro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for 18 different graphitic cast iron model materials with focus on Compacted Graphite Iron (CGI)
US11499498B2 (en) Cylinder l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JP3143835B2 (ja) ピストンリングの組合せ
Sadik et al. The performance of PVD coated grade in milling of ADI 800
JP2594505B2 (ja) ロッカアーム
Gruszka Innovative changes in the cylinder liners surface shaping methods
JP6587570B2 (ja) 内燃機関用ピストンリング線材及び内燃機関用ピストンリング
JP2000002333A (ja) ピストンリング
RU90795U1 (ru)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ое дисперсно-упрочненное жаростойкое покрытие
Ruffer et al. Machining difficulties due to microstructural differences in grey iron
Hopkins et al. Performance of Laser Processed Aluminum Alloys for Engine Bore Applications
JPH11287326A (ja) アルミシリンダ用ピストン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