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891A -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 - Google Patents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891A
KR20110131891A KR1020100051565A KR20100051565A KR20110131891A KR 20110131891 A KR20110131891 A KR 20110131891A KR 1020100051565 A KR1020100051565 A KR 1020100051565A KR 20100051565 A KR20100051565 A KR 20100051565A KR 20110131891 A KR20110131891 A KR 20110131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arc
equation
hook
spira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환
신두성
안미경
오현영
전종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1891A/ko
Priority to CN2011101550490A priority patent/CN102285119A/zh
Priority to US13/149,229 priority patent/US20110290367A1/en
Publication of KR20110131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7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profiled sheets or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6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wound from profiled strip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스트립 부재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이웃 연결되는 스트립 부재 간에 해체가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외부 압력에 의해 정렬이 붕괴 되지 않는 새로운 타입의 스트립 부재 간 연결구조를 가진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Spiral Tube for Pressure-Supporting and Easy Pull-Out}
본 발명은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이웃 연결되는 스트립 부재 간에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그와 더불어 압력지지시에 스트립 부재 간 붕괴가 방지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연결구조를 제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환경에 있어,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부속물을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스트립 부재들이 나선형의 띠를 이루며 이웃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를 구성하게 되는 스트립 부재 간 연결구조의 예는 미국특허 제5,925,427호 공보(공보 1)와 미국특허 제5,670,223호 공보(공보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상기한 공보 1 및 공보 2에서 스트립 부재 간 연결구조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1에서는 상기 '공보 1'에 개시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서는 상기 '공보 2'에 개시된 예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설명 편의와 혼동이 없도록 돌기 측과 후크 측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게 되는 스트립 부재(10, 12), (30, 32) 간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스트립 부재(10, 12), (30, 32)의 각 양단에는 돌기 측 및 후크 측 걸림돌기(14, 34), (16, 3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먼저,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 측 걸림돌기(14, 34)는, 그의 상면이 걸림 돌기(14, 34)의 선단부 쪽으로부터 뿌리부 쪽을 향하여 돌기 측 호형(弧形) 볼록면(18, 38)과 돌기 측 호형(弧形) 오목면(20, 4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타 단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 측 걸림돌기(16, 36)는, 그의 상면이, 후크 측 걸림돌기(16, 36)의 선단부 쪽으로부터 뿌리부 쪽을 향하여 후크 측 호형 볼록면(22, 42)과 후크 측 호형 오목면(24, 4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스트립 부재(10, 12), (30, 32) 간 연결될 때, 후크 측 호형 볼록면(22, 42)과 후크 측 호형 오목면(24, 44)에 돌기 측 호형 볼록면(18, 38)과 돌기 측 호형 오목면(20, 40)이 맞물려지는 걸림 구조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상기 '공보 1'에 개시된 종래의 스트립 부재(10, 12) 간 연결구조에 의하면, 후크 측 걸림돌기(16)와 이웃하는 돌기 측 걸림돌기(14)가 지나치게 깊게 맞물려져 있고, 특히 결합 되었을 때 단면이 서로 빈틈이 없는 결합구조를 취하고 있어 해체하는 과정에서 간섭과 협착이 발생하여 해체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공보 2'에 개시된 종래의 스트립 부재(30, 32)의 간 연결구조에 의하면, 후크 측 걸림돌기(36)와 돌기 측 걸림돌기(34) 사이에 틈새 공간(S)이 형성되는 연결구조를 취하고 있어 해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게 될 경우, 과다한 틈새 공간(S)으로 인해 스트립 부재(30, 32) 간 붕괴가 발생하여 압력지지에 따른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웃 연결되는 스트립 부재 간에 해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그와 함께 외부 압력에 의해 정렬이 붕괴 되지 않도록 한 연결구조의 제시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해결하려는 과제 달성하기 위하여, 세그먼트인 스트립 부재의 양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돌기 측 및 후크 측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웃하는 스트립 부재 간 돌기 측 및 후크 측 걸림돌기를 연결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로서, 상기 돌기 측 걸림돌기는, 그의 상면이 걸림돌기의 선단부 쪽으로부터 뿌리부 쪽을 향하여 돌기 측 호형 볼록면과 돌기 측 호형 오목면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 측 걸림돌기는, 그의 상면이 걸림돌기의 선단부 쪽으로부터 뿌리부 쪽을 향하여 후크 측 호형 볼록면과 후크 측 호형 오목면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크 측 걸림돌기의 후크 측 호형 볼록면은, 반지름을 가지는 기초원의 원호를 이루어져 있고 밑변과 후크 측 호형 오목면의 사이는 반지름을 가지는 기초원의 원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돌기 측 호형 볼록면은, 반지름을 가지는 기초원의 원호로 이루어져 있고 윗변과 돌기 측 호형 오목면의 사이는 반지름을 가지는 기초원의 원호로 이루어져 있는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가 제공된다.
위의 스트립 부재가 풀림 각도를 가지고 풀려나갈 때 압력지지에 따른 정렬 붕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스트립 부재 간 상하부 해체가 이루어질 있도록 아래의 수학식을 모두 만족하는 구조가 제시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는, 이웃 연결되는 스트립 부재 간에 해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외부 압력에 의해 정렬이 붕괴 되지 않도록 최적의 연결 조건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효과에 의해 스트립 부재 간에 용이한 해제와 압력지지시에 스트립 부재 간 붕괴가 방지될 수 있는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의 제작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에 있어, 이웃하는 스트립 부재 간 연결구조를 각각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에 있어, 이웃하는 스트립 부재 간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에 있어, 스트립 부재 간 하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도면으로서, 도 4a는 스트립 부재 간 간섭 없이 해체되는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b는 스트립 부재 간 간섭이 발생하더라도 해체 가능한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에 있어, 압력지지와 정렬이 붕괴 되지 않는 스트립 부재 간 하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에 있어, 압력지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부재 간 상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 도 7d 는 수학식2, 수학식3, 수학식6의 만족 여부에 따라 스트립 부재 간 연결구조의 결과를 각각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에 있어, 이웃하는 스트립 부재 간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와 혼동이 없도록 돌기 측과 후크 측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아울러, 스트립 부재도 배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듯이,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스트립 부재(50, 52)의 양단에 후크 측 및 돌기 측 걸림돌기(54, 56)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후크 측 및 돌기 측 걸림돌기(54, 56)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좌측 및 우측 스트립 부재(50, 52) 간 연결될 때,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스트립 부재(50)의 후크 측 걸림돌기(54)와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스트립 부재(52)의 돌기 측 걸림돌기(56)가 걸림 되는 상태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후크 측 호형 볼록면(58)과 후크 측 호형 오목면(60)에 돌기 측 호형 볼록면(62)과 돌기 측 호형 오목면(64)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좌측 스트립 부재(50)의 후크 측 걸림돌기(54)의 후크 측 호형 볼록면(58)은, 반지름(r3)을 가지는 기초원(CA3)의 원호로 이루어져 있다.
그에 더하여, 좌측 스트립 부재(50)의 밑변(W1)과 후크 측 호형 오목면(60) 사이는 반지름(r1)을 가지는 기초원(CA1)의 원호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반지름(r1)을 가지는 원호의 한쪽 끝은 좌측 스트립 부재(50)의 밑변(W1)과 매끄럽게 연속하는 형태로 만나게 되고, 반대쪽 끝은 후크 측 호형 오목면(60)으로부터 연장하는 직선구간과 매끄럽게 연속하는 형태로 만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우측 스트립 부재(52)의 돌기 측 호형 볼록면(62)은, 반지름(r2)을 가지는 기초원(CA2)의 원호(圓弧)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반지름(r2)을 가지는 원호는 한쪽 끝은 우측 스트립 부재(52)의 측변(W2)과 매끄럽게 연속하는 형태로 만나게 되고, 반대쪽 끝은 돌기 측 호형 오목면(64)과 만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측 스트립 부재(52)의 윗변(W3)과 돌기 측 호형 오목면(64)의 사이는 반지름(r4)을 가지는 기초원(CA4)의 원호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원호의 한쪽 끝은 우측 스트립 부재(52)의 윗변(W3)과 매끄럽게 연속하는 형태로 만나게 되고, 반대쪽 끝은 돌기 측 호형 오목면(64)으로부터 연장하는 직선구간과 매끄럽게 연속하는 형태로 만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r1, r2, r3, r4: 원호 반지름, a: r2의 중심점과 밑변(W1)과의 두께, b: r3의 중심점과 r4의 중심점 간 거리, d: 틈새 공간(S)에 대한 이격 간격, θ:는 우측 스트립 부재(52)가 이탈되는 풀림 각도, P: 압력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에 있어, 스트립 부재 간 하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로서, 도 4a에서는 스트립 부재 간 간섭 없이 해체되는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b에서는 스트립 부재 간 간섭이 발생하더라도 해체 가능한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a에서 보듯이 도면에서 보듯이, 우측 스트립 부재(52)가 해체된다고 가정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최소한의 조건을 살펴보면, 우측 스트립 부재(52)가 풀림 각도(θ)를 가지는 선분(C, D)을 경계로 풀려나가는 조건 하에서 좌측 스트립 부재(50)를 닿지 않게 된다.
위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틈새 공간(S)에 대한 이격 간격(d), 원호 반지름(r1, r2), 원호 반지름(r2)의 중심점과 밑변(W1)과의 두께(a)에 대한 관계를 살펴보면, 이격 간격(d)은 원호 반지름(r1, r2) 및 두께(a)가 설정되었을 때 발생하는 이격 간격(dL) 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즉 이러한 관계는 d > dL부등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 참조)
따라서, 선분(C, D)을 경계로 하여 풀려나갈 때 좌측 스트립 부재(50)를 닿지 않는 상태로 풀리게 되는 틈새 공간(S)에 대한 이격 간격(d)은, 아래의 [수학식 1]을 만족하게 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도 4b에서는 우측 스트립 부재(52)와 좌측 스트립 부재(50) 간에 간섭이 발생하여 우측 및 좌측 스트립 부재(52, 50)에 수축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수축 변형으로 인해 이격 간격(dL)이 작아지더라도 해체될 수 있는 연결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즉, 수축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해체될 수 있는 연결구조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좌측 및 우측 스트립 부재(50, 52)의 최대 변형률(εf )이 더 반영되어야 하며, 그 조건으로써 아래의 [수학식 2]를 만족하여야 할 것이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6
참고로, εf: 스트립 부재의 재질에 대한 최대 변형률, a-r1:r1 중심점과 r2 중심점 간 거리이다. (도 3 참조)
도 5는 본 발명의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에 있어, 압력지지와 정렬이 붕괴 되지 않는 스트립 부재 간 하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좌측 및 우측 스트립 부재(50, 52) 간 연결이 정렬된 상태에서 압력이 가해지게 될 때, 마지막에 연결되는 스트립 부재(52)는 도면에서 보듯이 회전점(O)을 중심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때 이격 간격(d)이 종래와 같이 지나치게 클 경우 회전 변형이 크게 발생하여 연쇄적으로 정렬이 붕괴 된다.
이러한 정렬 붕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측 스트립 부재(52)가 회전하게 될 때, 우측 스트립 부재(52)의 지점(A)이 좌측 스트립 부재(50)의 지점(B) 닿게 되면서 더 이상의 회전이 방지되는 연결구조를 취하여야 하며, 그 조건 아래의 [수학식 3]를 만족하여야 할 것이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7
위의 수학식 1 ~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압력지지시에 정렬이 붕괴 되지 않는 연결구조와 간편 해체를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연결구조를 취할 수 있는 조건을 도출해 낼 수 있으며, 그 조건은 아래의 [수학식 4]를 만족하여야 할 것이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8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에 있어, 압력지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부재 간 상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림 각도(θ)를 가지는 선분(E, F)을 경계로 하여 상부가 해체된다고 가정할 때, 원호 반지름(r3)의 중심점과 원호반지름(r4)의 중심점과의 길이(b)가 설정되었을 때 발생 되는 간섭 간격(du)에 해당되는 길이 만큼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간섭으로 인해 좌측 및 우측 스트립 부재(50, 52) 간 수축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서 해체된다. 여기서, 상기 간섭 간격(du)은 아래의 [수학식 5]을 통해 구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at00009
위의 수학식 5에서 간섭 간격(dU)가 지나치게 클 경우, 간섭이 심하게 발생하여 해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트립 부재 간 해체가 가능한 간섭 간격(du)의 최대길이는 원호 반지름(r3)과 원호 반지름(r4)의 중심 간 거리(b)가 최대로 수축할 수 있는 길이인εf(r3+r4)와 같을 때이다.
그러므로 압력지지와 스트립 부재 간 해체가 용이한 상부 연결구조를 취할 수 있는 조건은 아래의 [수학식 6]를 만족하여야 할 것이다.
[수학식 6]
Figure pat00010
참고로, εf: 스트립 부재의 재질에 대한 최대 변형률, b: r3의 중심점과 r4의 중심점 간 거리이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된 수학식2, 수학식3, 수학식6의 만족 여부에 따라 연결구조에 대한 해석 결과를 나타낸 비교표이다.
비교예1은, 수학식3과 수학식6은 만족하나 수학식2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이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εf:0.5, θ(각도,deg):45, a(mm): 1.2, r1(mm):0.5, r2(mm):1.0, d(mm):0.2, b(mm):0, r3(mm):1.0, r4(mm):0.5로 설정한다.
비교예2는, 수학식2와 수학식6은 만족하나 수학식3은 만족하지 않는 경우이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εf:0.5, θ(각도,deg):45, a(mm): 1.2, r1(mm):0.5, r2(mm):1.0, d(mm):0.7, b(mm):0, r3(mm):1.0, r4(mm):0.5로 설정한다.
비교예3은, 수학식2와 수학식3은 만족하나 수학식6은 만족하지 않는 경우이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εf:0.5, θ(각도,deg):45, a(mm): 1.2, r1(mm):0.5, r2(mm):1.0, d(mm):1.2, b(mm):0.5, r3(mm):0.5, r4(mm):1.0로 설정한다.
비교예4는, 수학식2, 수학식3, 수학식6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이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εf:0.5, θ(각도,deg):45, a(mm): 1.2, r1(mm):0.5, r2(mm):1.0, d(mm):0.7, b(mm):0, r3(mm):1.0, r4(mm):0.5로 설정한다.
[비교표]
Figure pat00011
구조해석 결과데이터인 위의 비교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비교예1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부재 간 하부 협착이 발생하게 된다. 비교예2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부재 간 붕괴가 발생하게 된다. 비교예3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부재 간 상부 협착이 발생하게 된다. 비교예4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부재 간 압력지지에 따른 정렬붕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스트립 부재 간 상부 및 하부 간편 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학식6은 만족하나 수학식4는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스트립 부재 간 하부 협착과 정렬 붕괴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수학식4는 만족하나 수학식6은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부재 간 상부 협착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수학식4 및 수학식6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스트립 부재 간 압력지지에 따른 정렬붕괴게 발생하지 않으면서 스트립 부재 간 상하부 간편 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압력지지에 따른 정렬 붕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스트립 부재 간 상하부 간편 해체가 가능한 연결구조는, 수학식2, 수학식3, 수학식6을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 또는, 상기 수학식6과 수학식4를 만족하여야 한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당연히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0, 12, 30, 32, 50, 52: 스트립 부재 14, 34, 56 : 돌기 측 걸림돌기
16, 36, 54 : 후크 측 걸림돌기 18, 38, 62 : 돌기 측 호형 볼록면
20, 40, 62 : 돌기 측 호형 오목면 22, 42, 58 : 후크 측 호형 볼록면
24, 44, 60 : 후크 측 호형 오목면

Claims (6)

  1. 세그먼트인 스트립 부재(50, 52)의 양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돌기 측 및 후크 측 걸림돌기(56, 54)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웃하는 스트립 부재(50, 52) 간 돌기 측 및 후크 측 걸림돌기(56, 54)를 연결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로서,
    상기 돌기 측 걸림돌기(56)는, 그의 상면이 걸림돌기(56)의 선단부 쪽으로부터 뿌리부 쪽을 향하여 돌기 측 호형 볼록면(62))과 돌기 측 호형 오목면(6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 측 걸림돌기(54)는, 그의 상면이 걸림돌기(54)의 선단부 쪽으로부터 뿌리부 쪽을 향하여 후크 측 호형 볼록면(58)과 후크 측 호형 오목면(6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크 측 걸림돌기(54)의 후크 측 호형 볼록면(58)은, 반지름(r3)을 가지는 기초원(CA3)의 원호를 이루어져 있고 밑변(W1)과 후크 측 호형 오목면(60)의 사이는 반지름(r1)을 가지는 기초원(CA1)의 원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돌기 측 호형 볼록면(62)은, 반지름(r2)을 가지는 기초원(CA2)의 원호로 이루어져 있고 윗변(W3)과 돌기 측 호형 오목면(64)의 사이는 반지름(r4)을 가지는 기초원(CA4)의 원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부재(52)가 풀림 각도(θ)를 가지고 풀려나갈 때 스트립 부재(50, 52) 간 간섭이 발생하여도 해체될 수 있도록 아래의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
    [수학식 2]
    Figure pat00012

    (상기 [수학식 2]에서, r1, r2 : 원호 반지름, a: r2의 중심점과 밑변(W1)과의 두께, d: 틈새 공간(S)에 대한 이격 간격, θ:는 스트립 부재(52)가 이탈되는 풀림 각도, εf: 스트립 부재(50, 52)의 재질에 대한 최대 변형률, a-r1:r1 중심점과 r2 중심점 간 거리이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부재(50, 52) 간 연결이 정렬된 상태에서 압력을 지지할 때 스트립 부재(52)가 회전점(O)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정렬이 붕괴 되지 않도록 아래의 [수학식 3]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
    [수학식 3]
    Figure pat00013

    (상기 [수학식 3]에서, a: r2의 중심점과 밑변(W1)과의 두께, d: 틈새 공간(S)에 대한 이격 간격이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부재(52)가 풀림 각도(θ)를 가지고 풀려나갈 때 스트립 부재(50, 52) 간 간섭이 발생하여도 해체될 수 있도록 아래의 [수학식 6]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
    [수학식 6]
    Figure pat00014

    (상기 [수학식 6]에서 εf: 스트립 부재(50, 52)의 재질에 대한 최대 변형률, b: r3의 중심점과 r4의 중심점 간 거리이다)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부재(52)가 풀림 각도(θ)를 가지고 풀려나갈 때 압력지지에 따른 정렬이 붕괴 되지 않으면서 해체 가능하도록 아래의 [수학식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
    [수학식 4]
    Figure pat00015

    (상기 [수학식 4]에서, r1, r2: 원호 반지름, a: r2의 중심점과 밑변(W1)과의 두께, d: 틈새 공간(S)에 대한 이격 간격, θ:는 스트립 부재(52)가 이탈되는 풀림 각도, εf: 스트립 부재(50, 52)의 재질에 대한 최대 변형률, a-r1: r1 중심점과 r2 중심점 간 거리이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부재(52)가 풀림 각도(θ)를 가지고 풀려나갈 때 압력지지에 따른 정렬 붕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스트립 부재 간 상하부 해체가 이루어질 있도록 아래의 수학식2, 수학식3, 수학식6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
    [수학식 2]
    Figure pat00016

    [수학식 3]
    Figure pat00017

    [수학식 6]
    Figure pat00018

    (상기 [수학식2], [수학식3], [수학식6]에서, r1, r2, r3, r4: 원호 반지름, a: r2의 중심점과 밑변(W1)과의 두께, b: r3의 중심점과 r4의 중심점 간 거리, d: 틈새 공간(S)에 대한 이격 간격, θ:는 스트립 부재(52)가 이탈되는 풀림 각도, εf: 스트립 부재(50, 52)의 재질에 대한 최대 변형률, a-r1:r1 중심점과 r2 중심점 간 거리이다)
KR1020100051565A 2010-06-01 2010-06-01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 KR20110131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565A KR20110131891A (ko) 2010-06-01 2010-06-01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
CN2011101550490A CN102285119A (zh) 2010-06-01 2011-05-31 用于压力支持且容易拉出的螺旋管
US13/149,229 US20110290367A1 (en) 2010-06-01 2011-05-31 Spiral tube for pressure-supporting and easy pull-o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565A KR20110131891A (ko) 2010-06-01 2010-06-01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891A true KR20110131891A (ko) 2011-12-07

Family

ID=4502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565A KR20110131891A (ko) 2010-06-01 2010-06-01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290367A1 (ko)
KR (1) KR20110131891A (ko)
CN (1) CN1022851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705A (ko) 2015-03-30 2016-10-11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소음 발생 방지 구조의 유연성 스파이럴 튜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22121D0 (en) 2009-12-18 2010-02-03 Wellstream Int Ltd Flexible pipe including thermal ins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5209A (en) * 1988-05-09 1994-01-04 Institut Francais Du Petrole Hose including an aluminum alloy
US5645109A (en) * 1990-06-29 1997-07-08 Coflexip Flexible tubular pipe comprising an interlocked armoring web and process for producing it
US5925427A (en) * 1995-02-06 1999-07-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upport core ribbon for cold-shrink tube
US5730188A (en) * 1996-10-11 1998-03-24 Wellstream, Inc. Flexible conduit
GB9809453D0 (en) * 1998-05-01 1998-07-01 Witz Joel A Improvements relating to helically wound reinforcing components for flexible tubular conduits
DE19820634C1 (de) * 1998-05-08 2000-02-10 Furukawa Electric Co Ltd Verfahren zum Anbringen eines röhrenförmigen Körpers aus einem Elastomeren an einem Gegenstand
FR2784445B1 (fr) * 1998-10-12 2000-11-17 Coflexip Conduite flexible a frette de forte inertie
US6691743B2 (en) * 2000-05-10 2004-02-17 Coflexip Flexible pipe with wire or strip winding for maintaining armours
JP2007236022A (ja) * 2006-02-27 2007-09-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筒状ゴムユニット拡径保持材及び常温収縮筒状ゴムユニット
CN101673924B (zh) * 2008-09-10 2012-07-18 株式会社维世佳 由芯绳形成的扩径保持部件及使用其的常温收缩性管单元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705A (ko) 2015-03-30 2016-10-11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소음 발생 방지 구조의 유연성 스파이럴 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90367A1 (en) 2011-12-01
CN102285119A (zh)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7656C (en) Surface coating structure adapted to be quickly installed and removed
US9253576B2 (en) Suspension for acoustic device
JP6085561B2 (ja) タービンエンジンのための回り止めシュラウド
JP6463036B2 (ja) 間隔保持部材
JP2009532605A5 (ko)
KR20110131891A (ko) 압력지지에 따른 붕괴 방지와 해체가 용이한 스트립 연결형 나선 튜브
CN101670974B (zh) 吸式吊具
TW201219657A (en) Fan structure
JP5583151B2 (ja) 金属シール
WO2013034099A1 (zh) 洗碗机的喷水设备和洗碗机
JP2004052773A (ja) 蒸気タービンのパッキンシールセグメントの端面間隙シール及びその改造方法
KR20140116501A (ko) 터빈 가동익의 빠짐 방지 구조 및 이것을 구비한 회전 기계
JP2014194191A (ja) 軸流回転機械、及びディフューザ
JP4201508B2 (ja) タービンロータのバケットとホイールのダブテール継手
CN104006246A (zh) 小口径快速联接管道接头
JP6711925B2 (ja) 調理器具及びそのアッパーカバーアセンブリ
JP4943180B2 (ja) 取り外し可能である端壁を有する環状燃焼チャンバ
CN209943276U (zh) 一种拼接结构
US11293585B2 (en) Pedestal, complete machine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1358314B1 (ko) 배관 및 배관 라인
JP3213410U (ja) タイヤのサイドウォール補強構造
JP5683285B2 (ja) ガスタービンのシール構造
CN210949468U (zh) 一种螺栓头部及具有其的沉头螺栓以及拆装工具
CN210397968U (zh) 一种耐冲击的管件
CN214093538U (zh) 一种稳固型波纹补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