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652A - 접이식 자전거 - Google Patents

접이식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652A
KR20110131652A KR1020100051199A KR20100051199A KR20110131652A KR 20110131652 A KR20110131652 A KR 20110131652A KR 1020100051199 A KR1020100051199 A KR 1020100051199A KR 20100051199 A KR20100051199 A KR 20100051199A KR 20110131652 A KR20110131652 A KR 20110131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saddle
wheel frame
rear whe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만
Original Assignee
최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만 filed Critical 최진만
Priority to KR1020100051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1652A/ko
Publication of KR2011013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4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readily releas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하는 안장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장과, 자전거의 횡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절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자전거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안장 프레임을 지지하는 뒷바퀴 프레임과, 상기 절곡부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앞바퀴 프레임, 및 자전거의 횡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앞바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 스템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탑승 자세가 안락하고 접고 펼치기 용이한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자전거{FOLDABLE BICYCLE}
본 발명은 프레임을 접을 수 있는 구조의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힘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움직이는 기구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프레임에 뒷바퀴와 핸들 스템이 연결되고, 핸들 스템에 앞바퀴 프레임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자전거는 발로 밟는 힘을 페달, 크랭크 기구, 체인을 거쳐 뒷바퀴로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전형적인 자전거의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자전거를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한정된 공간에서도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도록 자전거 프레임을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탑승 자세가 안락하고, 접고 펼치기 용이한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하는 안장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장과, 자전거의 횡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절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자전거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안장 프레임을 지지하는 뒷바퀴 프레임과, 상기 절곡부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앞바퀴 프레임, 및 자전거의 횡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앞바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 스템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전거를 개시한다.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뒷바퀴 프레임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이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과 뒷바퀴 프레임의 사이에는 이들을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릴리스 유닛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릴리스 유닛은 상기 브라켓과 뒷바퀴 프레임을 관통하는 릴리스 볼트와, 상기 브라켓의 외면에 고정되며 제1요철부를 구비하는 와셔와, 상기 와셔의 외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요철부와 마주하는 제2요철부를 구비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상에서 상기 릴리스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는 자전거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뒷바퀴 프레임을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브라겟에는 자전거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뒷바퀴 프레임을 유동시키기 위한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장은 안장 본체와, 상기 안장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스템은 스템 본체와, 상기 스템 본체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핸들이 장착되는 핸들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 장착부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자전거의 거치시 상기 핸들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안장 프레임, 안장, 뒷바퀴 프레임 , 앞바퀴 프레임, 핸들 스템의 결합 구조를 통해 타는 자세가 안락할 뿐만 아니라 접고 펼치기 쉬운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전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릴리스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안장 프레임과 앞바퀴 프레임을 분해 사시도.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사용 국면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사시도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접이식 자전거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안장 프레임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접이식 자전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전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접이식 자전거는 안장 프레임(110), 안장(120), 뒷바퀴 프레임(130), 앞바퀴 프레임(140), 및 핸들 스템(150)을 포함한다.
안장 프레임(110)은 지지부(111)와, 지지부(111)로부터 절곡된 절곡부(112)를 포함하고 있다. 다시 말해, 안장 프레임(110)은 한 쪽 끝이 절곡된 로드 또는 원봉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안장(120)은 탑승자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안장(120)은 지지부(111)의 길이 방향(L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추가적으로, 안장(120)은 지지부(111)에 길이 방향(L1)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안장(120)의 일측에는 각종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가방(123)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안장(120)은 안장 본체(121)와, 안장 본체(121)의 배면에 형성된 연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부(122)는 지지부(111)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서 지지부(111)에 전후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부(111)와 연결부(122)의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록킹 유닛(124)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록킹 유닛(124)은 퀵 릴리스의 형태로서 조작 레버를 세우거나 눕힘에 따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이는 한 쌍으로 형성된 연결부(122)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지지부(111)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방식을 가진다. 다만, 록킹 유닛(124)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다.
뒷바퀴 프레임(130)은 뒷바퀴(135)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절곡부(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뒷바퀴 프레임(130)은 자전거의 횡 방향(W)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명세서 횡 방향이라 함은 자전거의 주행 방향에 대한 측 방향을 의미한다.
뒷바퀴 프레임(130)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자전거가 펼쳐진 상태에서 안장 프레임(110)을 지지한다. 안장 프레임(110)에는 탄성부재(115)를 장착하기 위한 탄성부재 장착부(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뒷바퀴 프레임(130)에는 자전거가 펼쳐진 상태에서 탄성부재(115)가 지지되는 지지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앞바퀴 프레임(140)은 앞바퀴(14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절곡부(112)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앞바퀴 프레임(140)은 절곡부(112)의 길이 방향(L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앞바퀴 프레임(140)과 절곡부(112)는 커넥팅 유닛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커넥팅 유닛은 앞바퀴 프레임(1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홈(141)과, 절곡부(112)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볼트(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볼트(142)는 체결공을 관통하여 체결홈(141)에 삽입되는 구성을 가진다.
앞바퀴(145)에는 변속비를 조절하기 위한 변속 장치(180)가 설치될 수 있다. 변속 장치(180)에는 페달(181,182)과 연결된 크랭크 암(183)이 연결되어 있다.
핸들 스템(150)은 앞바퀴 프레임(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핸들 스템(150)은 자전거의 횡 방향(W)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핸들 스템(150)은 로드 형태의 스템 본체(151)와, 스템 본체(151)의 단부에서 양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장착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핸들 스템(150)은 'T'자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 가능하다.
핸들 장착부(152)에는 탑승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핸들(153)이 설치되며, 탑승자가 핸들 스템(150)을 주행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 핸들 스템(150)에 연결된 앞바퀴 프레임(140)이 회전하여 자전거의 조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안장 프레임(110)의 절곡부(112)와 뒷바퀴 프레임(130)의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키는 릴리스 유닛(160)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앞바퀴 프레임(140)과 핸들 스템(150) 사이에도 이들 사이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키는 릴리스 유닛(17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들 릴리스 유닛(160,170)은 안장(120)에 적용된 록킹 유닛(124)의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탑승자의 다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작 레버 형태의 록킹 유닛(124)과 다른 형태의 구조가 적용되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릴리스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안장 프레임(110)과 뒷바퀴 프레임(130) 사이에 적용된 릴리스 유닛(160)을 예시하고 있으며, 이는 앞바퀴 프레임(140)과 핸들 스템(150) 사이의 릴리스 유닛(170)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장 프레임(110)의 절곡부(112)에는 뒷바퀴 프레임(130)과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113)이 연장 형성된다. 브라켓(113)은 한 쌍의 구조로서 뒷바퀴 프레임(130)의 외면을 한정하는 구조를 갖는다.
릴리스 유닛(160)은 브라켓(113)과 뒷바퀴 프레임(130)을 관통하는 릴리스 볼트(161)와, 브라켓(113)의 외면에 설치되는 와셔(162)와, 와셔(162)의 외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163)와, 손잡이(163) 상에서 릴리스 볼트(161)와 체결되는 너트(164)를 포함한다.
브라켓(113)에는 다각형 형태의 릴리스 홈(113a)이 형성되고, 와셔(162)에는 이에 대응되는 형태의 릴리스 돌기(162a)가 형성된다. 릴리스 돌기(162a)가 릴리스 홈(113a)에 삽입되는 구조를 통해 와셔(162)의 회전이 방지된다.
와셔(162)의 외면에는 제1요철부(162b)가 형성되며, 손잡이(163)에는 제1요철부(162b)와 마주하는 제2요철부(163b)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요철부(162b,163b)가 엇갈리게 배치된 상태에서는 뒷바퀴 프레임(130)의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163)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요철부(162b,163b)의 돌출된 부분이 마주하게 되면, 와셔(162)가 브라켓(113)을 가압하게 된다. 그에 따라, 브라켓(113)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뒷바퀴 프레임(130)의 회전이 제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브라켓(113)의 내면에는 자전거가 펼쳐진 상태에서 뒷바퀴 프레임(130)을 일정량만큼 유동시키기 위한 리세스부(113b, recessed portion)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자전거의 주행 중에 자전거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릴리스 유닛(160)의 록킹 상태에서도 뒷바퀴 프레임(130)을 일정량만큼 유동시킴으로써 뒷바퀴 프레임(130)에서 안장 프레임(11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들이다.
도 4는 자전거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의하면, 안장(120)은 뒷바퀴 프레임(130)과 마주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뒷바퀴 프레임(130)은 앞바퀴 프레임(140)과 겹쳐져 있다. 그리고, 핸들 스템(150)은 앞바퀴(145) 쪽으로 젖혀진 상태에 있다.
이하, 도 4와 같이 자전거의 접힌 상태에서 자전거의 펼쳐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록킹 유닛(124)의 록킹을 해제시키고, 도 5와 같이 안장(120)을 회전시켜 안장(120)이 지지부(11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록킹 유닛(124)을 동작시켜 안장(120)과 안장 프레임(110) 사이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뒷바퀴 프레임(130)의 릴리스 유닛(160)을 록킹 해제시키고, 뒷바퀴 프레임(130)을 안장 프레임(110)의 지지부(111) 쪽으로 회전시킨다. 뒷바퀴 프레임(130)이 안장 프레임(110)을 지지하는 상태까지 뒷바퀴 프레임(130)을 회전시킨 후, 릴리스 유닛(160)을 록킹시킨다.
다음으로, 핸들 스템(150)의 릴리스 유닛(170)을 록킹 해제시키고, 도 7과 같이 핸들 스템(150)을 안장(120) 쪽을 향해 회전시킨다. 그리고, 릴리스 유닛(170)을 록킹시켜 핸들 스템(150)을 고정시키면, 자전거의 펼쳐진 상태로의 전환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2륜형 접이식 자전거를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3륜형 접이식 자전거를 예시하고 있다. 도 8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 앞선 실시예의 연장선 상의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뒷바퀴 프레임(230)은 한 쌍의 뒷바퀴(235)를 연결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뒷바퀴(235)와 연결되는 부분이 안장 프레임(21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부터 양 갈래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자전거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성 및 작동상태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앞바퀴(245)에 구동모터(290)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구동모터(290)의 동작에 따라 페달(281,282)를 밟지 않더라도 앞바퀴(245)가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뒷바퀴 프레임(230)에는 배터리 팩(29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전선 등으로 구동모터(29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9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구동모터(290) 및 배터리 팩(291)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안장 프레임과 앞바퀴 프레임을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유닛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팅 유닛은 절곡부(212)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플레인 베어링(241, 또는 트러스트 베어링)과, 플레인 베어링(241)과 앞바퀴 프레임(240)에 체결되는 체결볼트(242)를 포함한다. 체결볼트(242)는 플레인 베어링(241)을 관통하여 앞바퀴 프레임(240)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홀(242a)에 체결된다. 체결볼트(242)는 플레인 베어링(241) 상에서 회전 가능하므로, 그에 체결된 앞바퀴 프레임(242)도 회전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안장 프레임(2210)의 내주면과 앞바퀴 프레임(240)의 외주면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243)이 추가적으로 설치 가능하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사용 국면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핸들 스템(250)은 핸들 장착부(252)가 스템 본체(251)에 대해 횡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스템 본체(251)에는 핸들 장착부(252)의 외주면을 감싸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연결부와 핸들 장착부(252)의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록킹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핸들 장착부(252)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는 도 10과 같이 자전거의 거치시 핸들(253)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도 11과 같이 카트로 이용할 때 손잡이로 사용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핸들 장착부(252)의 록킹을 해제하고 180도 회전시킨 후 고정시킨 다음, 자전거를 접으면 도 10과 같은 상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로 자전거를 지면에 눕히는 경우 핸들(253)은 자전거의 거치를 위한 스탠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자전거를 세운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 핸들(253)을 손잡이로 사용하여 자전거를 쇼핑 카트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사시도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접이식 자전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뒷바퀴 프레임(330)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뒷바퀴 프레임(331,33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뒷바퀴 프레임(331,332)은 안장 프레임(310)의 절곡부(31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안장 프레임(310)의 지지부(311)에는 제1 및 제2탄성유닛(315a,315b)이 설치된다. 자전거가 펼쳐진 상태(탑승자의 탑승 상태)에서, 제1 및 제2탄성유닛(315a,315b)은 제1 및 제2뒷바퀴 프레임(331,332)을 각각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탄성유닛(315a,315b)은 실린더-피스톤의 구조로서,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구조로서 구현 가능하다.
안장 프레임(310)에는 제1 및 제2탄성유닛(315a,315b)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장착부(314a,314b)가 형성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안장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장착부(314a,314b)의 사이에는 공기 통로(317)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장착부(314a,314b) 중 어느 하나의 공압이 다른 하나로 전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및 제2탄성유닛(315a,315b) 중 어느 하나의 피스톤이 움직임에 따라 다른 피스톤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안장 프레임(310)에는 제1 및 제2장착부(314a,314b)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 주입구(318)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주입구(318)는 제1 및 제2탄성유닛(315a,315b)로 전달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자전거가 회전하게 되면 안쪽 프레임, 예를 들어, 제1뒷바퀴 프레임(331)에 많은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 때, 제1뒷바퀴 프레임(331)이 안장 프레임(310) 쪽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그에 연결된 뒷바퀴는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탄성유닛(315a)의 피스톤이 위로 올라가면서 제1장착부(314a)의 공압이 제2장착부(314b)로 전달된다. 제2탄성유닛(315b)의 피스톤은 전달된 공압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며, 그에 따라 제2뒷바퀴 프레임(332), 즉 바깥쪽 프레임이 안장 프레임(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에 연결된 뒷바퀴 프레임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자전거 자체가 회전 중심, 즉 안쪽을 향해 기울어지는 효과를 발생시키며, 이는 원심력을 상쇄시켜 원활한 회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전거의 차폭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접이식 자전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접이식 자전거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1)

  1.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하는 안장 프레임;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장;
    자전거의 횡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절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자전거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안장 프레임을 지지하는 뒷바퀴 프레임;
    상기 절곡부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앞바퀴 프레임; 및
    자전거의 횡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앞바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 스템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뒷바퀴 프레임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뒷바퀴 프레임을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키는 릴리스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유닛은,
    상기 브라켓과 뒷바퀴 프레임을 관통하는 릴리스 볼트;
    상기 브라켓의 외면에 고정되며, 제1요철부를 구비하는 와셔;
    상기 와셔의 외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요철부와 마주하는 제2요철부를 구비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상에서 상기 릴리스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자전거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뒷바퀴 프레임을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자전거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뒷바퀴 프레임을 유동시키기 위한 리세스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은,
    안장 본체; 및
    상기 안장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와 상기 앞바퀴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팅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 프레임은 상기 절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뒷바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안장 프레임에는 실린더 및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제1 및 제2탄성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 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및 제2탄성유닛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장착부의 사이에는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스템은,
    스템 본체; 및
    상기 스템 본체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핸들이 장착되는 핸들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장착부는 상기 스템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핸들 장착부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자전거의 거치시 상기 핸들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KR1020100051199A 2010-05-31 2010-05-31 접이식 자전거 KR20110131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199A KR20110131652A (ko) 2010-05-31 2010-05-31 접이식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199A KR20110131652A (ko) 2010-05-31 2010-05-31 접이식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652A true KR20110131652A (ko) 2011-12-07

Family

ID=45499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199A KR20110131652A (ko) 2010-05-31 2010-05-31 접이식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16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1452A (zh) * 2016-12-19 2017-05-31 苏州豪豪迈运动器材有限公司 折叠式电动代步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1452A (zh) * 2016-12-19 2017-05-31 苏州豪豪迈运动器材有限公司 折叠式电动代步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3243B2 (en) Foldable bicycle
US8720927B2 (en) Collapsible recumbent tricycle
EP1494916B1 (en) Folding bicycle
KR101473185B1 (ko) 접이식 자전거
JP2002504461A (ja) 折りたたみ式二輪車
TW200831348A (en) Pedal-powered vehicle
JP2010184523A (ja) 自転車
KR20110131652A (ko) 접이식 자전거
AU2003296681B2 (en) Folding bicycle
WO2014083481A1 (en) Pedal vehicle
JP2001146188A (ja) 折り畳み自転車
KR20070029872A (ko) 접이식손발구동 자전거
JP3181390U (ja) 車椅子兼用自転車
JPH11180369A (ja) 多機能自転車
CN113955006A (zh) 自动折叠自行车
US20170267307A1 (en) Folding Fender
KR20190094781A (ko) 자전거
JP2006062526A (ja) リカンベント型自転車
JP2016055833A (ja) 自転車
JP2020050044A (ja) 電動自転車
KR101473182B1 (ko) 접이식 자전거
JP2023004488A (ja) 前2輪型車両及び車両
JP2004182215A (ja) 折畳み自転車
KR102437885B1 (ko) 접이식 자전거
KR20120030861A (ko) 리컴번트 자전거의 후륜 접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