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646A -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646A
KR20110131646A KR1020100051188A KR20100051188A KR20110131646A KR 20110131646 A KR20110131646 A KR 20110131646A KR 1020100051188 A KR1020100051188 A KR 1020100051188A KR 20100051188 A KR20100051188 A KR 20100051188A KR 20110131646 A KR20110131646 A KR 20110131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elderly
folding chair
scaffolding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7923B1 (ko
Inventor
임미숙
Original Assignee
임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미숙 filed Critical 임미숙
Priority to KR1020100051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92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 B66B9/0853Lifting platfo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을 이용하기 힘든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를 계단 일측에 설치된 보행 보조장치에 탑승시켜 계단을 안전하게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한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를 이용하기 위하여 절첩이 되는 의자와 노약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보호바와 작동시 알람음이 나오며, 노약자 무게에 따라 구동모터의 속도가 변하며, 동시에 발판 높낮이가 조절되는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는 절첩의자로 형성되어 좁은 통행로에서도 설치되어 작동이 가능하며, 압력센서를 통해 구동모터의 속도조절이 가능하여 신속성과 안전성을 제공하고, 발판센서를 통해 발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절첩 의자가 꺽임구간에서는 감속모터의 작동으로 절첩의자의 각도를 변경해주어 이용에 편리성과 조작판넬에 알람음 기능이 내장되어 보행장치가 이동 시에 노약자의 심리를 편안하게 해주는 효과와 안전바가 설치되어 이동 시 안전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walking aid equipment for the week and the handicapped}
본 발명은 계단을 이용하기 힘든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를 계단 일측에 설치된 보행 보조장치에 탑승시켜 계단을 안전하게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한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를 이용하기 위하여 절첩이 되는 의자와 노약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보호바와 작동시 알람음이 나오며, 노약자 무게에 따라 구동모터의 속도가 변하며, 동시에 발판 높낮이가 조절되는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하철 입구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지하통행로의 경우 장애인 리프트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지하철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가 고장일 때에는 계단을 이용 할 수밖에 없고, 지하통행로의 장애인 리프트의 경우 휠체어를 사용하는 신체장애인만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노약자의 경우 사용함에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대부분 오래된 지하통행로는 현재 관리가 되지 못해 사용할 수 없는 것들이 많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선행기술들이 나와있다.
미국특허등록 4174023호에는 계단측면에 리프트가 설치되고 리드 스크류의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구동모터를 통해 나사산을 따라 천천히 이동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미국공개특허 20080128213호에서는 계단에 탑재된 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계단 리프트 시스템으로 의자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자 아래에 모터가 구성되고, 모터 박스가 구성되며 모터박스가 레일을 따라 움직임이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미국특허등록 4174023호의 경우 리드 스크류를 따라 의자가 움직이게 되는데, 리드 스크류를 따라 의자가 움직이는 경우 직선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계단이 직선이다가 꺽이는 구간이 있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미국공개특허 20080128213호의 경우는 구동모터를 사용하며, 의자형태로 되어 있으나, 절첩이 되지 않는 고정의 의자형태로써 통행로가 좁은 곳에서는 사용하기 힘들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안된 내용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다음과 같이 제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현재 설치되어 사용되는 신체 장애인 전용 보행장치를 신체 장애인 만이 아닌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절첩이 가능한 의자를 사용함으로 좁은 통행로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노약자가 앉는 곳에는 압력센서를 의자 내부에 내장되어 노약자의 몸무게에 따라 구동모터의 속도가 조절되며, 이동 시 안전을 위한 안전바가 있으며, 사용 시에 신체에 맞게 발판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과 이동 시에 알람음이 내장되어 이동 시에 지루함을 없애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수단을 제시하였다.
본 발명은 절첩축(111)을 중심으로 절첩의자(110)가 접히고 펼쳐지며, 사용자가 앉는 곳의 내부에 압력센서(113)가 내장되어, 발판부 유압실린더(114)와 구동모터(210)에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압력센서(113)에서 신호를 받은 발판부 유압실린더(114)가 작동하여 발판케이스(310)가 내려가며, 이에 따라 발판케이스(310) 내부에 내장된 발판 유압실린더(311)가 작동하여 발판(312)을 나오게 하고, 발판(312)에 내장된 발판센서(313)에 사용자의 발을 올림으로 발판부 유압실린더(114)를 통해 높낮이를 조절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절첩의자(110) 일측에 제어케이스(410)가 고정되고, 제어케이스(410) 상부면에는 보행 보조장치(1)의 이동시 알람음을 들려주기 위해 알람부(411)가 형성되며, 현재 상태를 나타내주기 위해 디스플레이(413)가 구비되고, 보행 보조장치(1)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작동버튼(4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동버튼(412)을 누름에 따라 보행 보조장치(1)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구동모터(210)가 구비되며, 구동모터(210)는 보행 보조장치(1)의 출발점에 설치되며, 구동기어(213)와 구동벨트(211)와 지지대 슬라이드 판(511)을 고정하는 이송기어(214)를 통해 승·하강 시키며, 이동시 꺽임 구간에서 절첩의자(110)가 중심을 잡기 위해 감속모터(2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절첩의자(110)가 의자지지판(115)에 고정되고, 의자지지판(115)이 의자고정축(512)과 의자회전축(514)이 결합된 지지대 슬라이드 판(511)을 고정되어 가이드 지지대(510)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본 발명은 절첩의자로 형성되어 좁은 통행로에서도 설치되어 작동이 가능하며, 의자에 압력센서가 내장되어 노약자의 몸무게에 따라 구동모터의 속도조절이 가능하여 신속성과 안전성을 제공한다.
또한, 절첩 의자가 펴지며 하단에 구성된 발판이 실린더를 통해 내려오고, 발판에 내장된 발판센서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절첩 의자가 꺽임구간에서는 감속모터의 작동으로 절첩의자의 각도를 변경해주어 이용에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케이스에 알람음 기능이 내장되어 보행장치가 이동 시에 노약자의 심리를 편안하게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절첩의자 양측에 결합된 안전바가 설치되어 이동 시 안전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노약자 보조 보행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노약자 보조 보행장치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 노약자 보조 보행장치에 대한 본체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노약자 보조 보행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품구성과 구동방법은 도 1과 도 2에서 제품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과 도 4에서는 단면도와 작동상태 사시도를 통해 구동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절첩의자(110)를 구성하는 본체부(100)와, 구동모터(210)와 구동벨트(211)를 통해 구동하는 구동부(200)와, 발판센서(313)를 통해 높낮이와 전후 조절이 가능한 발판부(300)와, 보행장치(1)를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절첩의자(110)가 가이드를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구성부품으로는 절첩의자(110)와 절첩축(111)과 안전바(112)와 압력센서(113)와 발판부 유압 실린더(114)와 의자 지지판(115)과 지지판 볼트(116)로 구성된다.
상기 절첩의자(110)를 중심으로 본체부(100)가 구성되며, 절첩의자(110)의 중간에 절첩축(111)이 구성되어 있으며, 절첩축(111)을 중심으로 의자가 접히도록 하였으며, 절첩축(111) 양 쪽에 안전바(112)가 고정되어 있어, 노약자가 사용시 안전바(112)를 내림으로 안전하게 승·하강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노약자가 앉는 절첩의자(110) 내부에 압력센서(113)를 구비하고, 구동모터(210)가 압력센서(113)를 통하여 노약자의 몸무게에 따라 구동회전수를 조절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접첩의자(110)의 아랫면에 발판부 유압실린더(114)를 설치하여 발판부(300)의 올리고 내려지며, 사용자가 절첩의자(110)에 앉게 되면 작동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절첩의자(110)의 등받이 뒷면에 의자지지판(115)을 지지판 볼트(116)로 고정시켜 가이드 부(500)의 지지대 슬리이드 판(511)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 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부(200)의 제품구성으로는 본체부(100)를 이동시킬 동력을 만드는 구동모터(210)와, 구동모터(21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211)와, 벨트가이드(212), 구동기어(213), 이송기어(214), 이송축(215), 감속모터(216), 베어링(217), 구동부 케이스(218)가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210)는 보행장치(1)의 출발점 구동부 케이스(218) 내부에 보관되어 작동하며, 구동벨트(211)는 보행장치(1)의 출발점에 구동모터(210)와 구동기어(213)가 설치되고, 끝점에는 축을 통해 구동기어(213)만 결합되어 있고, 출발점과 끝점을 구동벨트(211)가 연결하며, 꺽임구간에서 구동벨트(211)를 지지하기 위해 벨트 가이드(21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구동벨트(211) 사이에는 절첩의자(110)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기어(214)가 이송축(215)과 함께 지지대 슬라이드 판(51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보행장치(1)의 이동시 꺽임구간에서 노약자의 몸이 기울지 않도록 지지대 슬라이드 판(511) 상측과 하측에 베어링(217)을 결합하고, 상측에는 의자고정축(512)을 결합하고, 하측에는 의자 회전축(514)을 결합하여 감속모터(216)를 통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발판부(300)는 본체부(100)의 발판부 유압실린더(114)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판부(300)는 발판부 케이스(310)와 발판 유압실린더(311)와 발판(312)과 발판 센서(313)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판(312)은 발판케이스(310)에서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발판(312)과 같이 내장되어 있는 발판 유압실린더(311)의 작동으로 나오게 된다.
상기 발판(312)이 나오게 되면 노약자의 신체사이즈에 맞도록 발판센서(313)를 통해 발판부 유압실린더(114)가 작동하며, 발판부(3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400)는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약자가 이용시 앉는 절첩의자(110) 우측에 제어부(4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어부(400)는 제어 케이스(410)와 알람부(411)와 작동버튼(412)과 디스플레이(413)로 구성되며, 제어케이스(410)에는 구동모터(210)를 작동시키는 작동버튼(412)과 절첩의자(110)의 이동시 음향효과를 제공하는 알람부(411)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케이스(410)에 디스플레이(413)가 구성되어 있음으로 작동상태와 알람음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5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 지지대(510)와 지지대 슬라이드판(511)과 의자고정축(512)과 의자고정볼트(513)와 의자 회전축(514)과 의자 회전축 볼트(5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지지대(510)는 통행로 벽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지지대(510)를 따라 지지대 슬라이드 판(511)이 움직이는 것이며, 지지대 슬라이드 판(511) 상측에 의자 고정축(512)과 베어링(217)이 형성되고, 의자 고정볼트(513)를 통해 절첩의자(110)에 설치된 의자 지지판(115)과 결합된다.
또한, 지지대 슬라이드 판(511) 하측에 형성된 의자 회전축(514)은 의자 회전축 볼트(515)를 통해 의자 지지판(115) 하측에 결합되며, 의자 회전축(514)은 베어링(217)과 함께 지지대 슬라이드 판(511)에 결합되어 있고, 지지대 슬라이드 판(511) 뒷면에 감속모터(216)가 설치되어 절첩의자(110)를 좌우로 움직이며, 무게 중심을 맞춰주는 것이다.
상기는 본 발명의 제품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구동방법은 도 3과 도 4를 통해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도 3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a)와 (b)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 (a)는 절첩의자(110)가 펴진 상태이고, 노약자가 절첩의자(110)에 앉으면, (b)에서 보는 것처럼 발판부 유압실린더(114)가 상하로 작동하며, 발판케이스 (310)내부에 내장되어 있던 발판 유압실린더(313)의 작동으로 발판(312)이 나오게 되며, 발판센서(313)를 통해 노약자의 신체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해 준다.
상기의 발판부 유압실린더(114)는 노약자가 앉았을 때, 압력센서(113)에 의해 신호를 받아 작동하며, 동시에 구동모터(210)에 노약자의 몸무게를 측정하여 알맞는 구동회전력을 만드는 것이다.
또한, 도 4에서는 작동상태도를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으며, (a)는 본 발명의 사용전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a)에서 보는 듯이, 본체부(100)의 절첩의자(110)는 절첩축(111)을 중심으로 접힌 상태이며, 안전바(112)도 또한 사용전의 상태를 보여 주고 있다.
상기 절첩의자(110)의 아래에는 발판부(300)가 구성되어 있으며, 발판(312)은 발판 케이스(310) 내부로 내장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4에서 (b)는 작동된 상태를 보여 주고 있으며, 화살표를 통해 작동을 나타내어 주고 있다.
상기 (b)의 절첩의자(110)는 절첩축(111)을 중심으로 펼쳐지며, 압력센서(113)에서의 신호를 받아 발판부 유압실린더(114)가 하향으로 작동되며, 발판케이스(310) 내부에 내장된 발판 유압실린더(311)를 통해 발판(312)이 나오게 된다.
상기 발판(312)이 나옴에 따라 노약자가 발을 발판(312)에 올림으로 발판센서(313)가 작동하며, 발판부 유압실린더(114)가 높낮이를 조절해주는 것이다.
또한,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압력센서(113)에서 신호를 받은 구동부(200)의 구동모터(210)는 노약자의 몸무게에 따라 알맞는 회전력을 발생시킴으로 승·하강 시키는 것이다.
이때, 구동모터(210)의 회전력을 구동벨트(211)를 통해 전달하며, 전달된 회전력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대 슬라이드 판(511)에 결합된 이송기어(214)에 전달하며, 이송기어(214)가 구동함에 따라 지지대 슬라이드 판(511)과 결합된 절첩의자(110)가 움직이는 것이다.
상기 구동벨트(211)의 설치가 꺽임구간에서는 벨트가이드(212)가 잡아줌으로써 자연스럽게 절첩의자(110)가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400)의 디스플레이(413)를 통해 현재 작동상태를 나타내어 주며, 구동속도와 현재 나타내고 있는 알람을 보여주는 것이며, 승·하강은 제어케이스(410)에 구비된 작동버튼(412)을 누름으로 보행장치(1)가 작동한다.
또한, 이동시 원하는 소리가 알람부(411)를 통해 나오게 되며, 원하는 알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1. 보행장치 100. 본체부
110. 절첩의자 111. 절첩축
112. 안전바 113. 압력센서
114. 발판부 유압 실린더 115. 의자 지지판
116. 지지판 볼트 200. 구동부
210. 구동모터 211. 구동벨트
212. 벨트가이드 213. 구동기어
214. 이송기어 215. 이송축
216. 감속모터 217. 베어링
218. 구동부 케이스 300. 발판부
310. 발판케이스 311. 발판 유압실린더
312. 발판 313. 발판센서
400. 제어부 410. 제어케이스
411. 알람부 412. 작동버튼
413. 디스플레이 500. 가이드부
510. 가이드 지지대 511. 지지대 슬라이드 판
512. 의자 고정축 513. 의자 고정볼트
514. 의자 회전축
515. 의자 회전축 볼트

Claims (6)

  1. 지하통행로의 계단에 설치되는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의 절첩의자(110)가 절첩축(111)을 중심으로 접히고 펼쳐지는 본체부(100);와
    상기 절첩의자(110) 아래에 발판부 유압실린더(114)를 통해 연결되는 발판부(300);와
    상기 절첩의자(110) 일측에 고정되어 보행 보조장치(1)를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보행 보조장치(1)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절첩의자(110)를 고정하는 가이드부(500);와
    상기 가이드부(500)의 출발점에 구동모터(210)와 구동기어(213)가 설치되고, 구동벨트(211)의 작동으로 지지대 슬라이드 판(511)에 고정된 이송기어(214)가 작동을 통해 절첩의자(110)를 승·하강 시키는 구동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노약자가 앉는 부분 내부에 압력센서(113)가 구비되며, 절첩의자(110)를 중심으로 양쪽에 고정되어 하나의 안전바(112)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300)는 본체부(100)와 발판부 유압실린더(114)로 연결되며, 발판케이스(310) 내부에 발판 유압실린더(311)와 발판(312)이 내장되어 사용시 발판 유압실린더(311)를 통해 나오고, 발판(312) 내부에 내장된 발판센서(313)의 작동으로 발판부(300)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절첩의자(110) 일측에 고정되고, 제어케이스(410)에 사용시 음향효과를 제공하는 알람부(411)와 현재상태를 나타내어주는 디스플레이(413)가 구비되며, 보행 보조장치(1)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버튼(4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500)는 보행 보조장치(1)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절첩의자(110)에 고정된 의자지지판(115)에 의자 고정축(512)과 의자 회전축(514)이 결합된 지지대 슬라이드 판(511)이 고정되어, 가이드 지지대(510)를 따라 승·하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모터(210)는 본체부(100)의 압력센서(113)의 신호를 받아 속도조절이 되고, 절첩의자(110)의 이동시 꺽임 구간에서의 중심을 잡기 위해 의자회전축(514)에 감속모터(216)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
KR1020100051188A 2010-05-31 2010-05-31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 KR101207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188A KR101207923B1 (ko) 2010-05-31 2010-05-31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188A KR101207923B1 (ko) 2010-05-31 2010-05-31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646A true KR20110131646A (ko) 2011-12-07
KR101207923B1 KR101207923B1 (ko) 2012-12-04

Family

ID=4549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188A KR101207923B1 (ko) 2010-05-31 2010-05-31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92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0584A (zh) * 2012-11-20 2013-02-13 山东轻工业学院 液压式健身按摩椅
CN104973486A (zh) * 2015-02-06 2015-10-14 湖北安步电梯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运载装置
CN105329749A (zh) * 2015-12-08 2016-02-17 安道利佳智能科技(北京)股份公司 楼道智能代步电梯
CN105460745A (zh) * 2016-01-13 2016-04-06 沈和旗 一种新型楼道电梯
CN106865386A (zh) * 2017-04-05 2017-06-20 深圳市晓控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用于老人乘坐的智能扶梯机械手
CN108996370A (zh) * 2018-09-04 2018-12-14 湘潭大学 一种基于双丝杆螺母机构的楼道可双人乘坐电梯
CN110240046A (zh) * 2019-05-22 2019-09-17 宁波工程学院 一种悬挂式爬楼机
KR20210100106A (ko) * 2018-11-07 2021-08-13 스티븐 골드마이어 휠체어 풋 센서 알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6047A (ja) 1998-07-10 2000-01-25 Zenji Tsuchikawa 昇降装置
US20080128213A1 (en) 2006-11-30 2008-06-05 Harris Timothy R Combination electrical and battery-powered control system for stairway chairlif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0584A (zh) * 2012-11-20 2013-02-13 山东轻工业学院 液压式健身按摩椅
CN102920584B (zh) * 2012-11-20 2014-06-25 山东轻工业学院 液压式健身按摩椅
CN104973486A (zh) * 2015-02-06 2015-10-14 湖北安步电梯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运载装置
CN105329749A (zh) * 2015-12-08 2016-02-17 安道利佳智能科技(北京)股份公司 楼道智能代步电梯
CN105460745A (zh) * 2016-01-13 2016-04-06 沈和旗 一种新型楼道电梯
CN106865386A (zh) * 2017-04-05 2017-06-20 深圳市晓控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用于老人乘坐的智能扶梯机械手
CN108996370A (zh) * 2018-09-04 2018-12-14 湘潭大学 一种基于双丝杆螺母机构的楼道可双人乘坐电梯
KR20210100106A (ko) * 2018-11-07 2021-08-13 스티븐 골드마이어 휠체어 풋 센서 알람
CN110240046A (zh) * 2019-05-22 2019-09-17 宁波工程学院 一种悬挂式爬楼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923B1 (ko) 201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923B1 (ko)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
US7494419B2 (en) Indoor stair slide for transporting the handicapped between floors and/or for joyful rides
CN104027207A (zh) 多功能无障碍出行电动轮椅
KR101207997B1 (ko) 파워 보행기
KR20160142548A (ko) 높낮이 조절 전동 휠체어
KR20200001098A (ko) 재활운동을 위한 보행용 스마트 전동휠체어
KR20200037610A (ko) 수평 유지 기능을 갖는 휠체어
KR102068931B1 (ko)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US20100207353A1 (en) Wheelchair Apparatus with Assistant Function
CN111387868A (zh) 一种马桶助力装置
KR101012734B1 (ko) 전동식 이동보조장치
KR102382528B1 (ko)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를 이용한 계단 승강방법
KR102381643B1 (ko)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JP2008029676A (ja) 歩行補助装置
JP6045502B2 (ja) 垂直階段
JP2008154703A (ja) 昇降椅子
CN203943826U (zh) 多功能无障碍出行电动轮椅
KR101283373B1 (ko) 보행기
KR101136987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CN212015984U (zh) 一种履带式爬梯轮椅
CN112660964B (zh) 一种助老自动上下楼梯装置
JP5671667B2 (ja) 車椅子の乗降支援装置
GR20170100273A (el) Αναβατοριο αυτονομης προσβασης σε πισινα, για ατομα με μειωμενη κινητικοτητα
JP3162555U (ja) 段差のバリアフリー用歩み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