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219A -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를 위한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를 위한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219A
KR20110131219A KR1020117022094A KR20117022094A KR20110131219A KR 20110131219 A KR20110131219 A KR 20110131219A KR 1020117022094 A KR1020117022094 A KR 1020117022094A KR 20117022094 A KR20117022094 A KR 20117022094A KR 20110131219 A KR20110131219 A KR 20110131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state
network
user devi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5206B1 (ko
Inventor
앤소니 힝훙 챈
젱준 저스틴 시앙
제임스 한
베체트 사리카야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31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사용자 기기의 전력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전력 상태에 집중화 접근성(centralized reachability) 상태를 매핑하는 단계, 및 매핑에 기초하여 상기 물리적 전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 기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를 위한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POWER MANAGEMENT FOR A DEVICE WITH MULTIPLE NETWORK INTERFACES}
본 출원은 2009년 3월 6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 61/158,206호 "An Overlap Power Management for Device with Multiple Network Interfaces Each with Its Own Power Management", 2009년 3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 61/177,171호 "System and Method of Power Management for a Device with Multiple Network Interfaces," 2009년 3월 12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 61/177,559호 "Centralized Power Management for Device with Multiple Network Interfaces," 및 2010년 2월 26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 12/714278호 "System and Method of Power Management for a Device with Multiple Network Interfaces,"에 대해 모두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그 전체로서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를 위한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셀룰러 전화, 랩톱 컴퓨터 및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와 같은 다양한 액세스 터미널을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된다. 그러한 통신 시스템은 IEEE 892.11 네트워크, 셀룰러 네트워크 및/또는 이동식 광대역(broadband) 네트워크와 같은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를 포함(encompass)한다. 통신 시스템은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 분할 다중 접속(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단일-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다른 것들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중 액세스 기술을 사용한다. 이동식 광대역 네트워크는 범용 전파 서비스(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3세대 표준(3G: 3rd-Generation standards), 와이맥스(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IEEE 802.11 네트워크, 최적화 에볼루션-데이터(EV-DO: Evolution-Data Optimized), 또는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과 같은 여러 개의 시스템 타입 또는 파트너십을 따를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가 만연함에 따라, 최근 많은 사용자 기기는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를 액세스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기기(102)는 예를 들어 IEEE 802.11 네트워크(104), IEEE 802.16 네트워크(106), 및 3GPP 네트워크(108)의 세 개의 네트워크를 액세스 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다중-인터페이스 기기에서, 각 인터페이스는 GSM, GPRS, LTE, WiMAX, CDMA2000, WLAN 등과 같은(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다른 네트워크 기술을 수반할 수 있다. 이 개개의 무선 기술은 TDMA, CDMA, 또는 OFDMA와 같은(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의 다중 인터페이스가 동일 배터리를 공유하는 경우, 그리고 전력 소비가 개개의 인터페이스 기술 내에서만 최적화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기기는 단일 인터페이스를 갖는 사용자 기기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도 2는 하나의 이동 전화 및 하나의 배터리로 나타내어진, 802.11, 802.16, 및 3GPP 또는 3GPP2 네트워크에서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세 개의 단일 인터페이스 사용자 기기(120, 122 및 124)를 도시한 것이다. 각 기기는 단일 인터페이스 기기의 정상 동작시의 소모율로 각각의 배터리를 소모할 것이다. 단일 무선 인터페이스(radio interface)를 갖는 무선 기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무선 인터페이스의 전력 관리는 다른 네트워크 기술과 독립적으로 그 인터페이스의 네트워크 기술에 국한된다. 더 긴 배터리 수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일 인터페이스는 국한된 기술 내에서 그 전력 손실을 최적화 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인터페이스가 동시에 활성화 되고, 또는 주기적으로 각 네트워크로부터의 송신을 수신하기 때문에, 다중-인터페이스 기기는 단일 인터페이스 기기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하나의 이동 전화 및 하나의 배터리로 나타내어진, 802.11, 802.16, 및 3GPP 네트워크와 접속하는 다중 인터페이스 기기(130)의 배터리 소모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필요한 것은 다중-인터페이스 기기를 위한 전력 관리를 더 잘 최적화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사용자 기기의 전력을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전력 상태에 집중화 접근성(centralized reachability) 상태를 매핑하는 단계 및 매핑에 기초하여 물리적 전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 기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1 무선 인터페이스 및 제2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무선 인터페이스가 접근 가능한(reachable) 상태이고 제2 무선 인터페이스가 접근 불가능한(non-reachable) 상태인 동안 제1 무선 네트워크로부터의 전송을 제1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 전송을 수신한 후에 제2 무선 인터페이스를 접근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전송은 제2 무선 네트워크가 제2 무선 인터페이스를 액세스 할 필요가 있다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기지국(base station)을 동작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무선 사용자 기기의 접근성(reachability)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하는 단계에 따라, 제1 무선 사용자 기기가 직접 접근 가능한(reachable directly) 상태인 경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무선 사용자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무선 사용자 기기가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reachable via another interface) 상태인 경우, 제1 무선 사용자 기기가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인 제2 무선 네트워크로 메시지를 포워딩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제1 네트워크 상의 제1 기지국(base station), 및 집중화 접근성(centralized reachability) 상태와 사용자 기기의 대응하는 전력 상태의 맵을 포함하고, 제1 기지국은, 제2 네트워크 상의 제2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또, 제1 기지국은, 제1 인터페이스 및 제2 인터페이스를 갖는 사용자 기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제2 인터페이스는 제2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집중화 접근성 상태는, 직접 접근 가능한(reachable directly) 상태,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reachable via another interface) 상태, 및 접근 불가능한(not reachable) 상태를 포함한다.
앞서 말한 것은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더 잘 이해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을 넓게 서술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 주제가 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효과가 서술될 것이다. 개시되는 특정 실시예 및 개념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거나 본 발명을 개조하여 다른 구조를 설계하는 것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다른 구조 역시 후술될 청구항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사용자 기기의 전력을 관리하는 방법은 전력 소비가 개개의 기술 내에서만 최적화 된 것보다 더 나은 최적화를 할 수 있는 효과 및 개개의 네트워크의 기존 전력 관리를 변화시키지 않고 집중화 전력 관리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 및 그 효과의 더 완전한 이해를 위하여, 하기와 같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이동식 광대역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세 개의 단일 인터페이스 사용자 기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다중 인터페이스 사용자 기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다중 인터페이스 사용자 기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IEEE 802.16 시스템을 위한 집중화된 접근성 매핑(centralized reachability mapping)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IEEE 802.11 시스템을 위한 집중화된 접근성 매핑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다중 인터페이스 사용자 기기의 집중화된 접근성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두 개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를 위한 접근성 매핑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네 개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사용자 기기를 위한 접근성 매핑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네 개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를 위한 접근성 매핑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접근성 매핑의 대체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기지국(base station)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사용자 기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대응하는 숫자와 기호는 대체로 상호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은 실시예의 적절한 측면을 도시하도록 명확히 그려졌으며, 반드시 비례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를 만들고 사용하는 것이 자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구체적인 문맥의 다양성에 구현되어 있는 많은 적용 가능한 창의적 개념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을 만들고 사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도시되었을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다수의 기기 인터페이스의 전력 소비 및 요구 사항의 관점을 포함하는 집적 전력 관리 시스템을 가능케 하는 집중화(centralized) 전력 관리 시스템을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몇 실시예에서, 다중-인터페이스 기기를 위한 집중화 전력 관리 시스템은 개개의 네트워크 기술의 기존(existing) 전력 관리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사용된다. 실시예의 기기는 개인용 컴퓨터, 네트워크 서버, 셋탑 박스, 및 예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하며,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집중화 전력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이 시스템은 다중-인터페이스 기기를 위한 상이한 전력 구성들을 갖는다. 집중화 전력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 수명을 최적화 하기 위하여, 어느 때에나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하기 위한 전력 구성을 선택한다. 이러한 구성은 개개의 인터페이스를 그 기술을 위해 정의된 전력 관리 상태들 중 하나의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에 대응한다. 그러한 구성은, 802.11 네트워크, 802.16 네트워크 및 3GPP 또는 3GPP2 네트워크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다중-인터페이스 사용자 기기(200)를 도시한 도 4의 예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실시예에서, 각 인터페이스 기술의 전력 관리 상태는 802.1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오프", 802.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슬립(SLEEP)" 및 3GPP 및 3GPP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오프"이다. 본 발명의 대체 실시예에서, 세 개보다 크거나 작은 개수의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각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다른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의 다른 조합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집중화 전력 관리 시스템은 집중화 접근성(reachability) 상태의 공통 집합(common set)을 사용한다. 몇 실시예에서, 집중화 전력 관리 시스템은 집중화 접근성 상태의 공통 집합을 정의하기 위하여 개개의 기술의 기존 전력 관리 상태를 사용한다. 집중화 접근성 상태는 "접근 가능(직접)(reachable(directly)), "접근 가능(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Reachable(via another interface))" 및 "접근 불가능(not reachable)"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인터페이스의 전력 관리 시스템 사이과 집중화 접근성 상태 사이의 관계는 각 네트워크 기술에 대해 정의된다. 개개의 기술의 구체적 전력 관리 시스템의 예는 테이블 1에 나타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개개의 전력 관리 상태가 가능하다. 대체 실시예는 테이블 1에 나타난 것 이외의 다른 기술 또한 포함한다.
도 5는 IEEE 802.16 시스템을 위한 집중화 접근성 매핑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열 210은 액티브 전력 모드를 나타내는 "서비스 중(In Service)" 다양한 슬립 모드를 나타내는 "슬립 클래스(Sleep Classes) 1, 2, 3", "유휴(Idle)", "오프"를 포함하는 IEEE 802.16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양한 전력 모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열 212는 개개의 접근성 관점을 묘사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802.16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중" 모드 및 "유휴" 모드의 부분에서 접근 가능하다. "NR"이라고 되어 있는 접근 불가능한(non-reachable) 상태는 인터페이스가 동작 불능의 수신기(disabled receiver)을 가지거나(테이블 1 참조), 또는 기기가 관련 서비스 영역 밖에 있을 경우에 일어난다. 열 214는 네트워크와 관련한 집중화 접근성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802.16 기기는 개개의 기기가 개개의 관점에서 접근 가능한 경우에 "직접 접근 가능"이고, 개개의 기기가 "접근 불가능" 모드인 경우에 "접근 불가능"이다.
다른 네트워크 기술에서의 물리적 전력 관리 상태
시스템 모드 /상태
( Mode / State )
TX RX 등록
( Register )
제어 시그널링
( Control Signalling )
베어러 트래픽
(Bearer Traffic )
기상 시간
( Wakeup Time )
802.11 활성(Active) 전체(Full) 전체 Yes Yes Yes N/A
전력 세이브(Power Save (PS)) No DTIMs Yes DTIMs Only No 김(Long)
확장된PS(슬립)(Extended PS (Sleep)) No 조금의 DTIMs Yes 조금의 DTIMs No >PS
오프(Off) No No No No No 파워-업(Power-up)
802.16 활성 전체 전체 Yes Yes Yes N/A
슬립 클래스 1, 2, 3(Sleep Classes 1, 2, 3) 부분(Partial) Partial Yes Yes Yes 빠름(Quick)
유휴(Idle) No 깨우는 호출만(Wakeup Paging Only) No 깨우는 호출만 No
오프 No No Yes No No 파워-업
3 GPP 활성 전체 전체 Yes Yes Yes N/A
제어 홀드(Control Hold) 부분 부분 Yes Yes Yes 빠름
연기(Suspended) 부분 부분 Yes Yes Yes >제어 홀드
휴면(Dormant) 조금(Little) V. Limited Yes V. Limited 터짐(Burst)
오프 No No No No No 파워-업
3 GPP2 연결(Connected) 전체 전체l Yes Yes Yes N/A
유휴(캠프)(Idle (camped)) 부분 부분 Yes Yes No 빠름
I (not camped) 부분 부분 No 부분 No 김(스캔/캠프) (scan/camp)
오프 No No No No No 파워 업
도 6은 시스템을 위한 집중화 접근성 매핑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열 220은 액티브 전력 모드를 나타내는 "서비스 중", "전력 세이브 모드(PSM: Power Save Modes)", "연장된(Extended) PSM", "오프(Off)를 포함하는 IEEE 802.11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양한 전력 모드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열 222는 개개의 접근성 관점을 묘사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802.11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중" 모드 및 "PSM" 및 "연장된 PSM" 모드의 부분에서 접근 가능하다. "NR"이라고 되어 있는 접근 불가능한 상태는 인터페이스가 동작 불능의 수신기를 가지거나(테이블 1 참조), 또는 기기가 관련 서비스 영역 밖에 있을 경우에 일어난다. 열 224는 네트워크와 관련한 집중화 접근성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802.11 기기는 개개의 기기가 개개의 관점에서 접근 가능한 경우에 "직접 접근 가능"이고, 개개의 기기가 "접근 불가능" 모드인 경우에 "접근 불가능"이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다중-인터페이스 기기를 위해 상이한 전력 구성들을 가지고 있다. 일 실시예는 개개의 다중-인터페이스 기기의 배터리 수명을 최적화 하기 위하여 어느 때에나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하기 위한 전력 구성을 선택한다. 이러한 구성은 개개의 인터페이스를 접근성 상태들 중 하나의 상태로 하는 것에 대응한다. 그러한 구성은 사용자 기기(250)의 각 인터페이스의 접근성 상태를 나타내는 도 7에 도시된 예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기기(250)는 802.16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직접 접근 가능하고, 3GPP 또는 3GPP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근 불가능하며, 802.11 인터페이스를 통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근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802.16 인터페이스는 활성 상태일 수 있고, 802.11 인터페이스는 폐쇄(shut down)될 수 있으며, 그리고 3GPP 또는 3GPP2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802.11 네트워크가 사용자 기기(250)를 위한 메시지를 가지면, 802.11은 802.16 시스템과 협력(collaborate)할 수 있고 메시지를 802.16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기기(25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만약 802.11 시스템이 사용자 기기(250)와 통신할 필요가 있다면, 사용자 기기(250)에게 활성 모드에서의 동작을 위한 802.11 인터페이스를 턴 온 하도록 하는 요청을 제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250)의 전력 상태의 변화는 사용자 기기(250)를 위한 집중화 접근성 상태에 상응하는 변화를 일으킬 것이다.
슬립 모드와 같은 전력 세이브 메커니즘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는 수신되는 호출(pages)에 관하여 네트워크와 협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와 같은 사용자 기기를 슬립 모드로 하는 것은, 사용자 기기가 꺼져 있으나(예를 들어, 수신기의 전원이 차단(powered down)되어 있음) 수신 전화가 호출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간격으로 잠깐씩 켜지는 것을 뜻한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 기기는 슬림 모드로 돌아간다. 사용자 기기 및 네트워크는 동기화(synchronized) 되어, 네트워크가 수신기가 비활성화(deactivated)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기기를 호출하지 않고, 전화기가 잠깐 활성화 된 시간 간격 동안 호출한다. 네트워크와 사용자 기기 간의 협력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준화된(standardized), 공급자에 독립적인(vendor independent) 메시지가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표준화된 메시지가 수립되면, 네트워크 및 사용자 기기는 전력 세이빙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동작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접근성 상태는 인터페이스 메시지 또는 언어를 통해 네트워크와 사용자 기기 사이의 합의(agreement) 레벨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한 실시예의 인터페이스 메시지는 네트워크와 사용자 기기가 각각 제조될 수 있는 점에서 표준화되고 공급자에 독립적이다. 시스템 동작 동안, 사용자 기기 및 네트워크가 접근성 상태에 관한 정보를 서로 일단 교환하면, 사용자 기기는 턴 오프 되고, 또는 몇 인터페이스의 전원을 차단한다. 네트워크는 또한 직접 접근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기기를 호출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만약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접근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네트워크로부터 기기로의 호출이 있다면, 네트워크는 호출을 사용자 기기에서 직접 접근 가능한 다른 인터페이스로 다시 보낼(re-direct)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실시예의 전력 관리 방법은 네트워크의 호출 시스템 내에서 구현된다. 여기서 호출 시스템은 들어오는(incoming) 호출을 핸들링 하기 위하여 들어오는 호출을 가로채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호출 시스템은 그 후 호출 메시지가 그 기기의 무선(radio)이 직접 접근 가능한 다른 네트워크의 호출 시스템으로 포워딩 되어야 하는 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한 결정은 실시예의 시스템 및 방법에 따라 내려진다. 일 실시예에서, 다른 네트워크의 호출 시스템은 기기의 접근성 상태에 관한 메시지를 교환하여, 들어오는 호출 메시지를 어떻게 핸들링 할 것인지를 알게 된다. 몇 실시예에서, 이러한 각 네트워크는 사용자 기기의 분리된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조정하는(coordinating) 네트워크는 대응하는 사용자 기기의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의 확대 집합(superset) 또는 부분 집합(subset)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IEEE 802.11 인터페이스 및 IEEE 802.16 인터페이스의 두 개의 인터페이스로 사용자 기기를 접근성 매핑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집중화 관점은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직접 접근 가능한 경우 모든 개개의 접근 가능한 기기 인터페이스를 고려한다. 열 260, 262, 264 및 266은 802.11 및 802.16 인터페이스를 위한 개개의 접근성 상태의 다양한 조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열 260은 두 인터페이스가 직접 접근 가능한 경우, 열 262는 802.11 인터페이스 만이 직접 접근 가능한 경우, 열 264는 802.16 인터페이스 만이 직접 접근 가능한 경우, 그리고 열 266은 두 인터페이스 모드 접근 불가능한 경우를 나타낸다. 열 268은 개개의 인터페이스 관점을 나타낸다. 여기서,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 상태는 인터페이스가 물리적으로 턴-오프 되어 있고, 사용자 기기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것과 같이 각각의 인터페이스가 폐쇄된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802.11 인터페이스가 전원이 차단되어 있었다면, 802.11 네트워크는 802.16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기기에 여전히 접근 가능하다.
대체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접근성 매핑은 다른 네트워크 타입 및 네트워크의 다른 조합을 사용하여 임의의 개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는 IF1, IF2, IF3 및 IF4의 네 개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사용자 기기를 위한 매핑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각 인터페이스는 일 실시예에서의 물리적 기기(예를 들어 802.11, 3GPP, GMS, 기타)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IF1은 개개의 관점에서 "접근 가능"이고 집중화 관점에서 "직접 접근 가능"이다. 인터페이스 IF2 및 IF3은 개개의 관점에서 "접근 불가능"이지만 집중화 관점에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이다. 인터페이스 IF4는 개개의 관점 및 집중화 관점 모두에서 "접근 불가능"이다.
도 10의 실시예는 또한 IF1, IF2, IF3 및 IF4의 네 개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사용자 기기를 위한 매핑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IF1 및 IF3은 개개의 관점에서 "접근 가능"이고 집중화 관점에서 "직접 접근 가능"이다. 인터페이스 IF2는 개개의 관점에서 "접근 불가능"이지만 집중화 관점에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이다. 인터페이스 IF4는 개개의 관점 및 집중화 관점 모두에서 "접근 불가능"이다. 대체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의 개수는 도시된 네 개 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고, 접근성 상태의 개수는 다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집중화 접근성 상태는 수정되거나(modified) 세분화(subdivided)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 불가능" 상태는 "접근 불가능 하나 메시지를 남길 수 있음(not reachable but may leave message)" 및 "접근 불가능 하며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음(not reachable and not taking messages)"으로 세분화 될 수 있다.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은 "다른 인터페이스로 포워딩 함으로써 접근 가능(reachable by forwarding to another inferface)" 및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처음으로 깨워짐에 따라 접근 가능(reachable by first being waked via another interface)"으로 세분화 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의 일례가, 그 자신의 네트워크 기술의 인터페이스 또는 물리적 상태에 매핑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각 접근성 상태를 나타내는 도 11의 예시 매핑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직접 접근 가능" 상태는 "활성(active)", "대기(standby)" 및 "물리적 전력 상태에 매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활성 모드는 사용자가 통화중이거나 네트워크와 활동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있고 새 수신 전화의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 대응한다. "대기" 및 "슬립" 모드는 인터페이스가 유휴 또는 슬리핑이고 수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하여 깨어날 수 있는 전력 상태에 대응한다. "직접 접근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포워딩(forward to a directly reachable interface)" 오버레이 상태는 "오프"이지만 다른 네트워크 및/또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한 "직접 접근 가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활성화 될 수 있는 상태에 매핑된다. "접근 불가, 메시지 남김" 상태는 방해받기를 원하지 않으면서 "활성" 상태에 매핑되거나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활성화 되기를 원하지 않는 "오프" 상태에 매핑된다.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깨워짐으로써 접근 가능" 상태는 물리적 "깊은 슬립" 모드 상태 및 "오프" 상태에 매핑된다. "접근 불가 메시지 불가" 상태는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 액세스를 원하지 않는 "오프" 상태에 매핑된다. 본 발명의 대체 실시예에서, 집중화 상태, 물리적 전력 상태, 및 그 각각의 매핑은 도 10에 묘사된 것과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인터페이스의 집중화 접근성 상태는 네트워크에 제공되는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 인터페이스는 활성, 유휴, 슬립, 오프, 기타의 상태에 있을 수 있지만, 이 실시예의 네트워크에 관련된 것은 기기가 그 특정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가 여부이다. 집중화 접근성 상태는 따라서 이종(heterogeneous) 네트워크 환경에 대해서도 전력 관리 상태의 공통 플랫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화 접근성 상태의 관리는 도 12의 무선 기지국(1100)에서 구현된다. 기지국(1100)은 송신기(transmitter)(1106) 및 수신기(1108)에 연결된 기지국 프로세서(110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2)를 갖는다. 송신기(1106) 및 수신기(1108)는 커플러(1110)를 통하여 안테나(1112)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지국(1100)은 예를 들어 OFDMA 다운링크 채널을 사용하는 LTE 네트워크, IEEE 802.11 네트워크, IEEE 802.16 네트워크, 또는 3GPP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수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Wimax, 및/또는 1XEV-DO와 같은 다른 시스템, 네트워크 타입 및 전송 방식(transmission scheme)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지국 프로세서(1104)는 참가한 네트워크에 의해 공유된 다른 집중화 접근성 테이블을 찾아보는 것(consulting)으로 자신의 사용자 기기를 위한 집중화 접근성 상태를 트래킹하거나, 또는 집중화 접근성 테이블은 기지국 프로세서(1104) 및 공유된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실행되고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 프로세서(1104)는 호출 시스템(1114) 내에서 또는 다른 접근성 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실시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대체 실시예에서, 호출 시스템(1114) 및/또는 접근성 제어 시스템은 분리된 하드웨어 및 또는 처리(processing) 기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집중화 접근성 상태는 다른 네트워크의 프로세서 간에,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접근 가능한 전용(dedicated) 원격 프로세서에 의하여 분배되거나 공유될 수 있다.
도 13에 다중-인터페이스 사용자 기기(12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기기(1200)는 예를 들어, 이동 전화, 또는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가능한 주변 기기와 같은 다른 이동 통신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 기기(1200)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성을 갖는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비-이동성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 기기(1200)는 이동 프로세서(1204), IEEE 802.11 인터페이스(1206), IEEE 802.16 인터페이스(1208) 및 3GPP 인터페이스(1210)를 갖는다. 각 인터페이스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한다. 대체 실시예에서, 크거나 작은 개수의 인터페이스의 다른 조합 역시 사용될 수 있다. 각 인터페이스(1206, 1208 및 1210)의 출력단은 커플러(1212)를 통해 안테나(1214)에 연결되어 있다. 그렇지 않으면, 몇 인터페이스는 그 개개의 안테나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터페이스는, 고속 이더넷(Fast Ethernet) 연결, 유선 WAN 연결, 인터넷,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와 같은 LAN 연결과 같은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02)는 이동 프로세서(1204)에 연결되어, 예를 들어 라우드스피커(loudspeaker)(1218), 마이크(microphone)(1216) 및 디스플레이(1220)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 기기(1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02)에 관련하여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02)는 전체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프로세서(1204)는 여기에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1206, 1208 및 1210)의 전력 상태를 제어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1222)을 구현한다. 그렇지 않으면, 전력 관리 시스템(1222)는 별도의 회로 및/또는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집중화 접근성 상태는 모든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통 플랫폼을 제공하여 최적 전력 구성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를 가능하게 한다. 다른 네트워크 기술을 갖는 모든 다른 인터페이스는 이 공통 플랫폼을 사용하여 다중-인터페이스 기기의 전력 소비를 최적화한다.
집중화 전력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접근성 상태는 모든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크를 위해 공통 플랫폼을 제공하여 시스템이 최적의 전력 구성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다른 네트워크가 집중 전력 관리 방식을 지원(aid)하기 위하여 참여(involved)될 수 있다. 다른 네트워크 및 다른 인터페이스는 공통 플랫폼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러한 플랫폼은 IEEE 표준 802.11 및 그 연장선상의 플랫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다중-인터페이스 기기의 하나의 특정한 경우로 단일-인터페이스 기기가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집중화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는 단일-인터페이스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기를 위한 집중화 전력 관리 시스템은 각 네트워크 기술을 위한 기존 전력 관리에 변화를 요구하지 않거나 최소의 변화를 요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다중-인터페이스 기기를 위한 집중화 전력 관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전력 상태는 많은 물리적 파라미터가 다를 수 있으나,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의 기기와의 통신 여부 및 어떻게 통신하는가이다. 일 실시예 방법은 집중화 전력 관리 상태를 그러한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관련 정보에 다라 정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집중화 전려 관리 상태는 개개의 네트워크 기술의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전력 상태에 매핑된다.
일 실시예에서, 집중화 전력 관리 시스템 침 방법은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다중-인터페이스 기기를 위하여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공통 플랫폼을 제공한다. 집중화 전력 관리는 이종 네트워크 환경의 다중-인터페이스 기기를 위하여도 전력 소비(예를 들어, 배터리 수명)을 최적화 하기 위한 네트워크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집중화 접근성 상태는 이종 네트워크 환경의 다중-인터페이스 기기의 전력 관리 구성을 설명하도록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공통 접근성 플랫폼은 이종 네트워크 환경의 다중-인터페이스 기기의 전력 구성을 설명한다. 공통 플랫폼의 일 실시예는 각 네트워크 기술의 기존 전력 관리에 변화를 요구하지 않고 개개의 네트워크의 기존 전력 관리 상태를 집중화 전력 관리하는 다중-인터페이스 기기의 집중화 전력 관리 접근성 상태를 정의하여 공통 전력 관리 시스템을 가능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 인터페이스의 집중화 접근성 상태는 그 자신의 네트워크 기술에서 정의된 그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전력 관리 상태에 매핑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상태 매핑 시스템은 사용자 기기 및 네트워크가 전력 절감 및 전력 상태 할당(assignment)를 개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개개의 사용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술의 물리적 전력 세이빙 상태(슬립, 유휴, 기타)의 상세를 다룰 필요가 없다. 대신에, 사용자 기기는 이러한 상태들을 "직접 접근 가능",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 및/또는 다른 상태로 단순히 요약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비의 제조자는 이러한 요약 상태를 알고, 네트워크 제조자가 이것들을 네트워크에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태는 사용자 기기를 제조하는 공급자에 독립적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요약 상태는 기술 및 공급자 모두에 독립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접근성 상태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네트워크로, 그리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기기로 통신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가 그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각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체적 기술일 수 있는 어떤 상태가 되기를 원하는 경우, 이 상태는 실시 가능성 상태로 번역되어 네트워크로 전달된다. 네트워크는 이 정보가 일단 수신되면, 그 후 그에 따라 행동한다. 만약,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사용자 기기가 접근가능할 것을 요구하면, 네트워크는 접근성 상태를 사용하여 어떻게 사용자 기기에 연결할 것인지(예를 들어, 직접 또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간접적으로) 및 어떻게 인터페이스 상태를 할당할 것인지를 결정한다(예들 들어, 슬립 모드, 유휴 모드, 오프 기타).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제1 무선 인터페이스가 접근 가능한 상태에 있고 제2 무선 인터페이스는 접근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동안 제1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제1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전송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무선 인터페이스는 제1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제2 무선 인터페이스는 제2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송은 제2 무선 네트워크가 제2 무선 인터페이서를 액세스할 필요가 있다는 메시지를 포함한다. 방법은 전송을 수신한 후에 제2 무선 인터페이스를 접근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무선 인터페이스는 제2 무선 인터페이스를 접근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킨 후에 제2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접근 가능한 상태는 파워-다운 상태를 포함하는 접근 불가능한 상태 및 파워-온 상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기지국을 동작시키는 방법은 제1 무선 사용자 기기의 접근성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만약 무선 사용자 기기가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이면, 결정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무선 사용자 기기로 메시지가 보내진다. 만약 제1 무선 사용자 기기가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이면, 제1 무선 사용자 기기가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인 제2 무선 네트워크로 메시지가 포워딩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만약 제1 무선 사용자 기기가 접근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전송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사용자 기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집중화 맵에서 접근성 상태를 찾는(looking up)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방법에서, 접근성 상태는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 및 "접근 불가능한 상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접근성 상태는 사용자 기기의 물리적 전력 상태에 또한 매핑된다. 일 실시예의 방법에서, 제1 네트워크는 802.11 네트워크이고, 제1 사용자 기기의 제1 인터페이스가 서비스 중 모드, 전력 세이브 모드, 또는 연장된 전력 세이브 모드인 경우 제1 사용자 기기는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이다. 제1 사용자 기기의 제1 인터페이스가 정지되거나(shut off) 또는 제1 네트워크의 범위 밖에 있고 제1 사용자 기기가 제2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경우 제1 사용자 기기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에 있다. 반면에, 제1 사용자 기기의 제1 인터페이스가 정지되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의 범위 밖에 있는 경우 제1 사용자 기기는 접근 불가능 한 상태에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기기는 제2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불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무선 사용자 기기가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이고 제1 무선 사용자 기기가 제2 무선 네트워크에 관해 접근 불가능한 상태이면 제1 무선 사용자 기기가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에 있는 제3 무선 네트워크로 메시지를 포워딩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집중화 맵에서 접근성 상태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기기에 전력 모드 상태를 분배하는 무선 기지국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 전력 모드 상태는 제1 사용자 기기의 제1 인터페이스를 위한 활성, 유휴 또는 전력-세이브 모드를 포함하고,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네트워크와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제1 사용자 기기의 제2 인터페이스를 위한 파워-다운 모드를 포함하고, 제2 인터페이스는 제2 네트워크와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인터페이스를 갖는 사용자 기기의 전력을 관리하는 방법의 실시예는 집중화 접근성 상태를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전력 상태에 매핑시키는 단계, 및 매핑에 기초하여 물리적 전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 기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기는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집중화된 접근성 상태는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 및 접근 불가능한 상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는 사용자 기기가 인터페이스에서의 전송을 수신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전력 상태로 매핑되고,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는 파워-다운 상태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전력 상태로 매핑된다. 또 다른 방법에서, 사용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물리적 전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 기기가 제1 인터페이스에서 전송을 수신할 가능하도록 하는 물리적 전력 상태를 할당하는 단계, 및 파워-다운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인터페이스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매핑은 기지국 프로세서에서 행하여진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네트워크에서 제1 기지국을 포함하고, 제1 기지국은 제2 네트워크에서의 제2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기지국은 제1 인터페이스 및 제2 인터페이스를 갖는 사용자 기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제2 인터페이스는 제2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또한 집중화 접근성 상태 및 사용자 기기를 위한 대응하는 전력 상태의 맵을 포함한다. 접근성 상태는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 및 접근 불가능한 상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에 대응하는 전력 상태는 제2 인터페이스를 위한 파워-다운 모드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가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에 대응하는 전력 상태인 경우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1 인터페이스로 메시지를 포워딩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에 대응하는 전력 상태는 제1 인터페이스를 위한 파워-다운 모드 및 제2 인터페이스를 위한 활성 모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가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에 대응하는 전력 상태인 경우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기기의 제2 인터페이스로 전송될 메시지를 제2 기지국으로 포워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기지국은 대응하는 전력 상태를 사용자 기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점은 전력 소비가 개개의 기술 내에서만 최적화 된 경우보다 더 나은 전력 소비의 최적화를 포함한다. 게다가, 집중화 전력 관리 설계는, 변화는 일반적으로 실용적이지 않고 표준화 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개개의 네트워크의 기존 전력 관리를 변화시키지 않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 및 그 장점이 자세히 설명되었다 하더라도,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대체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된 많은 특징 및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에 설명된 과정, 기계, 제조, 물질의 구성, 수단, 방법, 및 단계의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 과정, 기계, 제조, 물질의 구성, 수단, 방법, 또는 단계의 개시로부터, 현존하거나 추후 개발되던 간에,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본 발명에 따라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은 그러한 과정, 기계, 제조, 물질의 구성, 수단, 방법, 또는 과정을 그 범위 내에서 포함하도록 작성되었다.

Claims (25)

  1.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사용자 기기의 전력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전력 상태에 집중화 접근성(centralized reachability) 상태를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에 기초하여 상기 물리적 전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화 접근성 상태는,
    직접 접근 가능한(reachable directly) 상태;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reachable via another interface) 상태; 및
    접근 불가능한(not reachable) 상태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전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전력 상태에 매핑되고,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는 파워-다운 상태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전력 상태에 매핑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인터페이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리적 전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전력 상태를 상기 사용자 기기가 제1 인터페이스에서 송신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물리적 전력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인터페이스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하는 단계는 기지국(base station)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방법.
  6. 제1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1 무선 인터페이스 및 제2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인터페이스가 접근 가능한(reachable) 상태이고 제2 무선 인터페이스가 접근 불가능한(non-reachable) 상태인 동안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부터의 전송을 상기 제1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2 무선 인터페이스를 접근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은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가 상기 제2 무선 인터페이스를 액세스 할 필요가 있다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인터페이스를 접근 가능한 상태로 전환한 후에 상기 제2 무선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가능한 상태는 파워-온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 불가능한 상태는 파워-다운 상태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기지국(base station)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무선 사용자 기기의 접근성(reachability)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기기가 직접 접근 가능한(reachable directly)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기기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기기가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reachable via another interface)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기기가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인 제2 무선 네트워크로 메시지를 포워딩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기기가 접근 불가능한(not reachable) 상태인 경우 전송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기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집중화(centralized) 맵에서 접근성(reachability) 상태를 찾는(looking up)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성 상태는,
    상기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 및
    상기 접근 불가능한 상태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성 상태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물리적 전력 상태에 또한 매핑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802.11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의 제1 인터페이스가 서비스 중(in-service) 모드, 전력 세이브 모드, 또는 확장된(extended) 전력 세이브 모드인 경우 직접 연결 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제1 사용자 기기의 상기 제1 인터페이스가 정지되거나(shut off)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범위 밖에 있고, 상기 제1 사용자 기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기기는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제1 사용자 기기의 상기 제1 인터페이스가 정지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범위 밖에 있고,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접근 불가능 한 상태인,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기기가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이고 또한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기기가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에 관하여 접근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기기가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인 제3 무선 네트워크로 메시지를 포워딩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집중화 맵에서 접근성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기기에 전력 모드 상태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모드 상태는,
    상기 제1 사용자 기기의 제1 인터페이스를 위한 활성(active), 유휴(idle), 또는 파워-세이브 모드; 및
    상기 제1 사용자 기기의 제2 인터페이스를 위한 파워-다운 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네트워크와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기기의 접근성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호출(paging) 시스템에 의해 행하여지는,
    방법.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기기의 상기 접근성 상태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의 기술,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의 기술, 및 상기 제1 무선 사용자 기기의 공급자에 독립적인,
    방법.
  20.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상의 제1 기지국(base station); 및
    집중화 접근성(centralized reachability) 상태와 사용자 기기의 대응하는 전력 상태의 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은, 제2 네트워크 상의 제2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또, 상기 제1 기지국은, 제1 인터페이스 및 제2 인터페이스를 갖는 상기 사용자 기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집중화 접근성 상태는,
    직접 접근 가능한(reachable directly) 상태;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reachable via another interface) 상태; 및
    접근 불가능한(not reachable) 상태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상기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에 대응하는 전력 상태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위한 활성(active) 모드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위한 파워-다운 모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상기 직접 접근 가능한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전력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로 메시지를 포워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에 대응하는 전력 상태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위한 파워-다운 모드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위한 활성 모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 가능한 상태에 대응하는 전력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기기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로 전송될 메시지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포워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기기로 대응하는 전력 상태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17022094A 2009-03-06 2010-03-07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를 위한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95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20609P 2009-03-06 2009-03-06
US61/158,206 2009-03-06
US17717109P 2009-05-11 2009-05-11
US61/177,171 2009-05-11
US17755909P 2009-05-12 2009-05-12
US61/177,559 2009-05-12
US12/714,278 2009-12-26
US12/714,278 US8848585B2 (en) 2009-03-06 2010-02-26 System and method of power management for a device with multiple network interfaces
PCT/CN2010/070901 WO2010099757A1 (en) 2009-03-06 2010-03-07 System and method of power management for a device with multiple network interfa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219A true KR20110131219A (ko) 2011-12-06
KR101295206B1 KR101295206B1 (ko) 2013-08-09

Family

ID=4267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094A KR101295206B1 (ko) 2009-03-06 2010-03-07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를 위한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48585B2 (ko)
EP (1) EP2415211B1 (ko)
JP (1) JP5449410B2 (ko)
KR (1) KR101295206B1 (ko)
CN (1) CN102326359B (ko)
WO (1) WO20100997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699A1 (ko) * 2013-04-15 2014-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통신시스템이 연동하는 네트워크에서 특정 통신 시스템과 유휴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0911B2 (en) * 2009-05-08 2014-05-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irecting messages to an active interface of a multiple-interface device
EP2449836B1 (fr) * 2009-06-30 2017-02-15 Orange Procedes et noeuds pour l'activation d'un terminal de communication
JP5138100B2 (ja) * 2009-10-19 2013-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複数の通信インターフェイス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該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8649828B1 (en) * 2010-09-14 2014-02-11 Cellco Partnership Automated management of power consumption by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436301B2 (en) * 2011-06-29 2016-09-0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rchangeable user interfaces and method thereof
WO2013021552A1 (ja) * 2011-08-05 2013-0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測位サーバ装置および測位制御方法
US9001787B1 (en) * 2011-09-20 2015-04-07 Trilliant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handover of a hybrid communications module
US9261870B2 (en) 2012-10-30 2016-02-16 Vikrant Sharma Control system for power transmission within a structure
US8953485B2 (en) 2012-12-20 2015-02-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user equipment and external network
US9609575B2 (en) * 2012-12-31 2017-03-28 T-Mobile Usa, Inc. Intelligent routing of network packets on telecommunication devices
KR102164457B1 (ko) * 2013-04-25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무선 억세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JP5881651B2 (ja) * 2013-07-31 2016-03-09 ビッグローブ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154458B2 (en) 2013-09-04 2018-1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reachability of a user equipment in idle state
CN104519104B (zh) * 2013-09-30 2018-02-23 华为数字技术(苏州)有限公司 一种电源控制的方法和设备
US10979974B2 (en) 2016-12-15 2021-04-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device power consumption through usage context operation
US20210117307A1 (en) * 2020-12-26 2021-04-22 Chris M. MacNamara Automated verification of platform configuration for workload deployment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4475A (ja) * 2000-10-23 2002-10-25 Yozan Inc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JP3915022B2 (ja) 2001-12-03 2007-05-16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4030792B2 (ja) * 2002-04-26 2008-01-09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無線通信装置及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WO2004008693A1 (en) 2002-07-10 2004-01-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rface selection from multiple networks
JP2005020477A (ja) 2003-06-27 2005-01-20 Hitachi Ltd 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JP4230463B2 (ja) 2003-09-03 2009-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装置、通信装置、通信機器、電子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FR2863810A1 (fr) 2003-12-11 2005-06-17 France Telecom Procede et systeme de coordination de services de telecommunication
US7227847B2 (en) * 2004-03-11 2007-06-05 Ixi Mobile (R&D) Ltd.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KR100666943B1 (ko) 2005-01-11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무선 단말의 소비전력 감소 방법 및 그 장치
US20070026866A1 (en) 2005-05-27 2007-02-01 Govindarajan Krishnamurthi Mobile nod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handing off from one type of network to another type of network
EP1841142A1 (en) 2006-03-27 2007-10-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es Co., Ltd. Sleep-state and service initiation for mobile terminal
US20070263574A1 (en) * 2006-05-10 2007-11-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management in a converged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KR100782853B1 (ko) * 2006-07-31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Ieee 1394 a/v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구성방법
US20080080458A1 (en) 2006-09-29 2008-04-03 Cole Terry L Connection manager with deferred configuration
US8934449B2 (en) * 2008-04-24 2015-01-13 Nokia Corporation Neighboring cell signal measurement and reporting
US8122283B2 (en) * 2008-05-07 2012-02-21 Padcom Holdings Inc. Communications path status detection system
US20090325608A1 (en) * 2008-06-27 2009-12-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mode paging
US8774805B2 (en) * 2008-07-11 2014-07-08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adio access technology-specific routing for multi-mode mobile devices
US9020505B2 (en) * 2008-09-17 2015-04-28 Qualcomm Incorporated Quick system selection and acquisition for multi-mode mobile devices
EP2394455A4 (en) * 2009-02-09 2014-07-30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699A1 (ko) * 2013-04-15 2014-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통신시스템이 연동하는 네트워크에서 특정 통신 시스템과 유휴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26359A (zh) 2012-01-18
EP2415211A4 (en) 2012-02-08
KR101295206B1 (ko) 2013-08-09
WO2010099757A1 (en) 2010-09-10
JP5449410B2 (ja) 2014-03-19
CN102326359B (zh) 2015-01-21
JP2012522409A (ja) 2012-09-20
US8848585B2 (en) 2014-09-30
US20100226298A1 (en) 2010-09-09
EP2415211B1 (en) 2018-09-05
EP2415211A1 (en)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206B1 (ko)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를 위한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96126B1 (ko) 유휴 상태에서 무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의 페이지 전달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EP2804431B1 (en)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JP5220615B2 (ja) ワイヤレスlanネットワークの検知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20156095A (ja) 装置コンテクスト情報を使用してページングメカニズムを最適化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2269418B1 (en) Proxy server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US8934404B2 (en) Access point with proxy functionality for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client terminals
US20190364503A1 (en) Power-save mode for wireless device
US9049746B2 (en) Management of multi-mode wireless devices
US20080207230A1 (en) Multi-Mod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0754121B (zh) Ran区域id配置
US20200187120A1 (en) Controlling connectivity for dozing of wireless device
JP2015505192A (ja) アクセス・ポイント省電力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8177431A1 (zh) 一种用户终端省电方法、装置
KR20150026443A (ko) 전자장치의 송신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4098616A1 (en) Wireless network paging
Mahkoum et al. A framework for power management of handheld devices with multiple radios
Imai et al. A consolidated power saving architecture accommodating push-type applications for dual-mode devices
KR101727042B1 (ko) 듀얼 모뎀 디바이스에서 서스펜드 모드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777360B1 (en) Management of multi-mode wireless devices
KR101083082B1 (ko) 다중 캐리어 주파수로 동작하는 단말기의 전력 절감 모드 동작 방법
Mahkoum Integrated Management of Interface Power (IMIP)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