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099A - 전자 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전자 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099A
KR20110131099A KR1020110047828A KR20110047828A KR20110131099A KR 20110131099 A KR20110131099 A KR 20110131099A KR 1020110047828 A KR1020110047828 A KR 1020110047828A KR 20110047828 A KR20110047828 A KR 20110047828A KR 20110131099 A KR20110131099 A KR 20110131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isplay unit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라무 미네
나오끼 마쯔바라
도요히데 이시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31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 상에서 지정한 영역의 정보를 판독하여, 표시부 상으로 송신하는 조작을 간편하게 행한다.
표시부(302)를 구비하는 통신 상대 장치(300)와 근거리 일대일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부(404)와, 표시부(302)에 표시된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펜 끝과, 무선 통신부(404)를 구성하고, 통신 상대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펜 끝으로 지정한 정보를 취득하는 수신 처리부(108)와, 취득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402)와, 무선 통신부(404)를 구성하고, 기록부(402)에 기록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106)를 구비하는 전자 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 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ELECTRONIC P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본 발명은, 전자 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하기의 각 특허문헌에는 휴대 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에 의해 비접촉의 무선 통신을 행한 경우에 원하는 동작을 실현하는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0에는 무선 통신을 사용한 전자 펜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3740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31692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599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49871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3/21875호 명세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3046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0005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9715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4814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99134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 내지 10에 기재된 기술은, 모두 표시 정보를 간단히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만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한쪽의 기기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 등의 각종 정보를 다른 쪽의 기기측에서 실행할 때에, 이들 정보를 전송처의 기기측에서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시인하는 것은 곤란했다. 또한, 특허문헌 10에 기재된 기술은,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 상에서 지정한 영역의 정보를 판독하여, 표시부 상으로 송신하는 조작을 간편하게 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점은,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 상에서 지정한 영역의 정보를 판독하여, 표시부 상으로 송신하는 조작을 간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면서도 개량된 전자 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느 한 관점에 의하면, 표시부를 구비하는 통신 상대 장치와 근거리 일대일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펜 끝과, 상기 통신부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 상대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펜 끝으로 지정한 정보를 취득하는 수신 처리부와, 상기 취득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통신부를 구성하고, 상기 기록부에 기록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를 구비하는 전자 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표시부를 갖고, 근거리 일대일 통신에 의해 전자 펜과 통신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근거리 일대일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펜 끝과, 상기 통신부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 상대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펜 끝으로 지정한 정보를 취득하는 수신 처리부와, 상기 취득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통신부를 구성하고, 상기 기록부에 기록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를 갖는 전자 펜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표시부를 구비하는 통신 상대 장치와 근거리 일대일 통신을 행하는 수단, 상기 통신부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 상대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펜 끝으로 지정한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 상기 취득한 정보를 기록하는 수단, 상기 통신부를 구성하고, 상기 기록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 상에서 지정한 영역의 정보를 판독하여, 표시부 상으로 송신하는 조작을 간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정보 처리 장치에 설치된 전극판(안테나)의 배치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3a는 전극판의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3b는 전극판의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4는 통신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모바일 기기 또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부의 주변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하여 파(파문)와 같은 UI가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7은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a는 모바일 기기를 놓았을 때에, 튀어나오는 이미지로 콘텐츠를 주위에 흩어지도록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8b는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하여, 모래 위에 떨어져 묻히는 UI가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9는 모바일 기기를 정보 처리 장치(300)의 측면에 접근한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0은 모바일 기기가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 상에 놓여진 경우에, 콘텐츠 또는 메뉴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1은 모바일 기기와의 접속이 확립된 경우에, 모바일 기기가 보유하는 콘텐츠를 크로스 미디어 바(XMB)의 항목으로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콘텐츠의 정보를 표시부의 좌우로 나누어 표시한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3은 모바일 기기의 기능에 따라, 기능 아이콘 중 사용할 수 없는 것은 그레이 아웃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밝게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4는 사용할 수 있는 아이콘을 모바일 기기의 주변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5는 모바일 기기의 콘텐츠가 표시부 상에서 네 코너로 이동하는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6은 모바일 기기로부터 표시부로 넘쳐나온 콘텐츠를 손으로 더듬어 찾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7은 콤팩트 디스크(CD) 또는 오디오 테이프를 묘화한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UI와, 플레이어를 묘화한 UI가 표시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8은 모바일 기기를 피하도록 하여 윈도우(W)가 이동(축소)하는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9는 모바일 기기를 피하도록 아이콘이 이동하는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0은 모바일 기기의 위치에 따라 소용돌이 형상의 UI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1은 모바일 기기의 위치에 따라 소용돌이 형상의 UI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2는 모바일 기기의 표시부와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가 연동하여 표시를 행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3은 모바일 기기의 표시부와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가 연동하여 표시를 행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4는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를 표시부 상에서 플릭하면, 정보 처리 장치측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5는 모바일 기기의 사이에 정보 처리 장치를 개재시켜, 기기간 플릭에 의해 콘텐츠를 이동하는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6은 제스처를 계기로 싱크를 행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7은 정보 처리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모바일 기기 (A) 및 모바일 기기 (B)에 동기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8은 추천의 데이터베이스의 정보가 서버의 정보에 의해 최신 정보에 듀플리케이트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9는 트랜스 코드를 행하면서 카피를 행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0은 2개의 모바일 기기 (A) 및 모바일 기기 (B) 사이에서 어드레스 교환을 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1은 복수의 어드레스를 터치 패널로 감싸서 선택하고, 감싸인 어드레스를 서로 교환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2는 모바일 기기를 표시부 상에 놓은 경우에, 거리에 따라 싱크를 행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3은 모바일 기기를 표시부 상에 놓은 경우에, 거리에 따라 싱크를 행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4는 모바일 기기를 표시부 상에 놓은 경우에, 거리에 따라 싱크를 행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5는 싱크의 응용으로서, 표시부를 사이에 두고 하키 놀이를 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6은 콘텐츠 「A」가 모바일 기기를 마치 투과한 것처럼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37은 모바일 기기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로 데이터를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8은 폴더 아이콘 위에 모바일 기기를 갖다 대면, 갖다 대어진 측의 모바일 기기의 표시부에서 폴더의 내용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39는 표시부에 표시된 서류에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전자 인감을 날인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0은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일본 지도가 표시되어 있으며, 모바일 기기를 갖다 댐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표시부에 간토 부근을 확대 표시한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41은 모바일 기기가 표시부 상에 놓여진 경우에, 유도를 위한 UI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42는 전자 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3은 전자 펜을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44는 전자 펜을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제1 실시 형태(모바일 기기와 정보 처리 장치를 접속했을 때의 표시 처리)
2. 제2 실시 형태(모바일 기기와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콘텐츠 이동)
3. 제3 실시 형태(모바일 기기와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정보의 동기)
4. 제4 실시 형태(통신 상황이 양호한 위치로의 유도)
5. 제5 실시 형태(전자 펜의 구성예)
1.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시스템(100)은, 모바일 기기(200)와 비교적 대형 표시부(302)(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300)로 구성된다.
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트랜스퍼젯(TransferJet: 등록 상표)을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200)는, 휴대 전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이다. 모바일 기기(200)에는 표시부(202)가 설치되어 있다. 정보 처리 장치(300)는, 퍼스널 컴퓨터(PC),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기기이며, 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LCD) 등으로 구성된 비교적 대형 표시부(302)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302)의 전체면에는 터치 패널(터치 센서)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모바일 기기(200)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근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접속이 확립된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200)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가 정보 처리 장치(300)측으로 송신되어,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02)에는 송신된 정보에 따른 처리가 행해진 결과가 표시된다.
모바일 기기(200) 및 정보 처리 장치(300)는 서로 전계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전계 커플러라고 불리는 전극판(안테나)(204, 304)을 구비한다. 모바일 기기(200) 및 정보 처리 장치(300) 양쪽 전계 커플러가, 예를 들어 3cm 이내로 근접되면, 한쪽의 전계 커플러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 전계의 변화를 다른 쪽의 전계 커플러가 감지함으로써, 모바일 기기(200) 및 정보 처리 장치(300) 사이에서의 일대일에 의한 전계 통신이 실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계 통신을 행하는 한 쌍의 기기는, 한쪽이 이니시에이터(Initiator)로서 기능하고, 다른 쪽이 리스폰더(Responder)로서 기능한다. 이니시에이터는 접속 확립 요구를 행하는 측이며, 리스폰더는 이니시에이터로부터의 접속 확립 요구를 준비하고 기다리는 측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모바일 기기(200)가 이니시에이터로서 기능하고, 정보 처리 장치(300)가 리스폰더로서 기능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200) 및 정보 처리 장치(300)가 근접되면,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접속 확립 요구(접속 요구 프레임)를 정보 처리 장치(300)가 수신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00)에 의해 접속 확립 요구가 수신되면, 정보 처리 장치(300)는 모바일 기기(200)에 대하여 접속 응답 허가(접속 응답 프레임)를 송신한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200)가 접속 응답 허가를 수신하면, 정보 처리 장치(300)와 모바일 기기(200)와 통신의 접속이 확립된다. 접속이 확립된 후 또는 접속 확립과 동시에, 정보 처리 장치(300) 및 모바일 기기(200)가 인증 처리를 행하여, 인증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정보 처리 장치(300) 및 모바일 기기(200)가 데이터 통신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인증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버전, 데이터 전송 방식, 각 기기가 갖는 프로토콜 등이 정보 처리 장치(300) 및 모바일 기기(200)에서 일치하는지의 여부의 확인 등을 들 수 있다.
그 후, 정보 처리 장치(300)와 모바일 기기(200)가 일대일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200)가 임의의 데이터를 전계 커플러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300)로 송신한다. 또는,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 모바일 기기(200)로 임의의 데이터를 전계 커플러에 의해 송신한다. 임의의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어 음악, 강연 및 라디오 프로그램 등의 음악 데이터나,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비디오 프로그램, 사진, 문서, 회화 및 도표 등의 영상 데이터나, 게임 및 소프트웨어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전파 통신 방식의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전파가 거리의 2승에 반비례하여 감쇠되는 것에 반하여, 이러한 전계 커플러로부터 발생되는 유도 전계의 강도는 거리의 4승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전계 통신이 가능한 한 쌍의 기기간의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즉, 당해 전계 통신에 의하면, 주위에 존재하는 장해물에 의한 신호의 열화가 적은, 해킹이나 은닉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을 간소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전파는, 전파의 진행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진동하는 횡파 성분을 갖고, 편파가 있다. 이에 대해, 전계 커플러는, 진행 방향으로 진동하는 종파 성분을 갖고, 편파가 없는 유도 전계를 발생하기 때문에, 한 쌍의 전계 커플러의 면이 대향하고 있으면 수신측에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점에서도 편리성이 높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한 쌍의 통신 장치가 전계 커플러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비접촉 통신, TransferJet)을 행하는 예에 무게를 두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통신 장치는, 자계 결합에 의해 통신 가능한 통신부를 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계 결합이나 자계 결합을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 의하면, 통신 상대가 근접하지 않는 경우에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간섭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점에서 전파 통신 방식보다 유리하다.
도 2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 설치된 전극판(안테나)(304)의 배치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이면에 복수의 전극판(304)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300)의 면내의 전역에 복수의 전극판(304)을 설치하고, 수신 신호 강도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의 표시부(302)에 모바일 기기(200)를 접근했을 때에 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 사이의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전극판(304)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윤곽을 따라 복수의 전극판(304)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보 처리 장치(300)의 측면에 모바일 기기(200)를 접근했을 때에 모바일 기기(200)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도 3b는, 전극판(304)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b에 도시한 예에서는, 표시부(302)의 외측의 윤곽을 따라, 복수의 전극판(304)이 내측을 향한 안테나로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표시부(302)가 전파를 통과하기 어려운 소재이어도 표시부(302) 상에 모바일 기기(200)를 접근했을 때에 모바일 기기(200)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02)의 단부에 전극판(304)을 배치하는 경우는, 무선 통신용으로서 비금속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별도로 설치하여 표시부(302)를 감싸듯이 덮고, 프레임 내에 전극판(304)을 내장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표시부(302)의 화면을 차단하지 않고 통신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프레임을 표시부(302)의 디스플레이면에 대하여 볼록해지도록 올리고, 올라간 부분에 전극판(304)을 내측을 향하여 매립함으로써 표시부(302) 상에 놓은 모바일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3b의 구성에 있어서도, 표시부(302) 상의 모바일 기기(200)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전극판(304)의 구성에 의해, 표시부(302)가 전파를 통과하기 어려운 소재이어도 수신 신호 강도를 강화함으로써, 표시부(302)의 이면에 전극판(304)을 배치한 경우에 액정 등의 구성 요소를 개재시켜도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모바일 기기(200)는 비교적 소형이기 때문에, 전극판(204)은, 예를 들어 그 배면에 1개 설치하면 충분하지만, 복수의 전극판(204)을 설치해도 상관없다.
도 4는, 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에 있어서, 통신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구성은 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 양쪽에서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 및 정보 처리 장치(300)는, 송수신 커플러(통신부)(102), 셀렉터(104), 송신 처리부(106), 수신 처리부(108), 제어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송수신 커플러(102)는 전계 커플러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술한 전극판(204, 304)에 상당하는 것이다. 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는, 양쪽 송수신 커플러(102)가 전계 결합함으로써 통신을 행한다. 모바일 기기(200) 및 정보 처리 장치(300)가 각각 갖는 송수신 커플러(102)는, 예를 들어 3cm 정도의 근거리로 떨어져 대향하여 배치되어, 정전 결합이 가능하다. 송수신 커플러(102)는, 셀렉터(104)를 통하여 송신 처리부(106), 수신 처리부(108) 한쪽과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송신 처리부(106)는, 송수신 커플러(102)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송신 처리부(106)는, 송신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기, 송신 데이터를 확산하는 확산기, 송신 데이터를 바이너리 계열로부터 복소수 신호로 확장하는 매퍼, 중심 주파수로의 업 컨버전을 행하는 RF 회로 등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신 처리부(108)는, 송수신 커플러(102)에 의해 수신한 수신 신호의 복호를 행한다. 수신 처리부(108)는,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RF 회로, 수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수신 신호를 디맵하는 디매퍼, 복호기 등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송신 처리부(106)는, 상위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송신 요구가 발생하면, 송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UWB 신호 등의 고주파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송수신 커플러(102)로부터 통신 상대의 장치로 신호가 전파한다. 통신 상대 장치측의 송수신 커플러(102)는,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복조 및 복호 처리하여, 재현한 데이터를 상위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된다. 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 사이에서 역방향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 사이에서 쌍방향의 통신이 실현된다.
예를 들어 UWB 통신과 같이 고주파, 광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방식에 의하면, 근거리에 있어서 수백Mbps 정도의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파 통신이 아니고 정전 결합에 의해 UWB 통신을 행하는 경우, 그 수신 신호 강도는 거리의 4승에 반비례하는 점에서, 무선 설비로부터 3미터의 거리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전파의 강도)를 소정 레벨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무선국의 면허가 불필요하게 되는 미약 전파로 하는 것이 가능하여, 저렴하게 통신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정전 결합 방식에 의해 초근거리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경우, 주변에 존재하는 반사물에 의해 신호의 질이 저하되지 않아, 전송로 상에서의 해킹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은닉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신 신호 강도를 소정 레벨 이하로 억제하여, 예를 들어 3cm 이내의 거리에서만 통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1개의 기기에 대하여 2개의 기기가 동시에 통신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할 수 있어, 근거리에서의 일대일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모바일 기기(200) 또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송신 처리부(106)에 의한 송신 신호의 생성을 제어하고, 수신 처리부(108)에 의한 수신 신호의 복호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 상대편의 장치에 대하여 접속 요구 프레임, 데이터 파일 등을 송신할 때에는 셀렉터(104)로 전환 신호를 출력하고, 송수신 커플러(102)와 송신 처리부(106)를 접속시킨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 상대편의 장치로부터 접속 요구 프레임, 데이터 파일 등을 준비하고 기다릴 때에는 셀렉터(104)로 전환 신호를 출력하고, 송수신 커플러(102)와 수신 처리부(108)를 접속시킨다.
접속의 확립은, 한쪽의 기기(이니시에이터)로부터 다른 쪽(리스폰더)에 대하여 접속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고, 리스폰더로부터 송신된 접속 응답 프레임을 이니시에이터가 수신함으로써 실현된다. 접속 요구 프레임은, 예를 들어 데이터 파일 전송, 데이터 파일 선택 등의 유저 액션이 입력된 측의 기기가 통신 상대에 대하여 송신한다.
도 5는, 모바일 기기(200) 또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제어부(110)의 주변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은, 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 양쪽에서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송신 데이터 처리부(112), 수신 신호 강도(전계 강도) 검출부(114), 수신 데이터 처리부(116), 표시 처리부(118), 위치 검출부(120), 처리 실행부(122), 조작 검출부(124), 음성·진동 출력부(126)로 구성된다.
또한, 모바일 기기(200) 또는 정보 처리 장치(300)는, 데이터 축적부(130), 지자기 센서(140), 가속도 센서(150), 표시부(202, 302), 터치 패널(터치 센서)(170)로 구성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는, 지자기 센서(140)와 가속도 센서(150)에 대해서는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센서, 회로, 메모리), 또는 연산 처리부(CPU)와 이것을 기능시키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들 기능 블록을 연산 처리부와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한 경우, 그 프로그램은, 모바일 기기(200) 또는 정보 처리 장치(300)가 구비하는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모바일 기기(200) 및 정보 처리 장치(300)는, 서로 근접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했을 때에 유저 인터페이스(UI)로서 여러 표시를 표시부(202, 302) 상에 행한다. 이하, 이들 표시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1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02)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표시부(302)는 상방을 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정보 처리 장치(300)가 박형의 표시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표시부(302)를 위를 향한 상태에서 탁상에 배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표시부(302) 상에 모바일 기기(200)를 탑재함으로써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 형태에서는, 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가 무선 통신을 행한 경우에, 유저 인터페이스(UI)로서 표시부(202, 302) 상에 소정의 표시를 행함으로써, 유저가 직감적으로 처리를 인식하여 조작할 수 있는, 유저 프렌들리한 기기를 실현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구성은,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공통으로 구성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모바일 기기(200)를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02) 상에 놓은 경우 또는 모바일 기기(200)를 정보 처리 장치(300)의 측면에 놓은 경우의 반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주로 표시부(302)가 상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02)는 모바일 기기(200)보다 충분히 크기 때문에, 유저는 모바일 기기(200)를 표시부(302) 상에 놓음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30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는, 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 사이에서 통신 접속이 확립되면, 모바일 기기(200)를 중심으로 하여 파(파문)와 같은 UI가 표시부(302) 상에 표시된다. 표시부(302) 상에 표시된 파는,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점차 전파되도록 표시된다. 파의 상태는, 모바일 기기(200)의 보유 데이터량, 무선 감도, 데이터 전송 단계 등에서 변화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들 정보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수신 데이터 처리부(116)에 의해 취득된다.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 처리부(118)는, 수신 데이터 처리부(116)가 검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표시를 행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파의 상태를 보기만 해도 보유 데이터량 등의 각종 데이터를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UI를 실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과 실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구성의 경우, 표시부(302) 상에 있어서의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의 특정은, 정보 처리 장치(300)가 구비하는 복수의 전극판(304) 각각에 있어서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특정한 전극판(304)에 있어서의 수신 신호 강도가 다른 전극판(304)에 있어서의 수신 신호 강도보다 강한 경우에는, 이 특정한 전극판(304) 부근에 모바일 기기(200)가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표시부(302) 상에 터치 패널(17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터치 패널(170)의 출력에 기초하여 표시부(302) 상의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를 특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널로서 감압식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모바일 기기(200)가 정보 처리 장치(300)에 갖다 대어진 것의 검출은, 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의 접근에 의해 무선 접속이 확립됨으로써 행한다. 우선, 한쪽의 기기(이니시에이터)의 송신 데이터 처리부(112)로부터 다른 쪽(리스폰더)에 대하여 접속 요구 프레임이 송신되면, 리스폰더의 수신 데이터 처리부(116)에 의해 접속 요구 프레임이 수신된다. 그러면, 리스폰더의 송신 데이터 처리부(112)가 접속 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고, 이니시에이터의 수신 데이터 처리부(116)가 접속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다. 이에 의해, 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 사이에서 무선 접속이 확립된다.
모바일 기기(200) 및 정보 처리 장치(300)의 기기의 특정은, 접속 확립 후에 서로 식별 정보(ID)를 교환함으로써 행한다. 모바일 기기(200) 또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데이터 축적부(130)에는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데이터 축적부(130)로부터 식별 정보가 판독되어, 송신 데이터 처리부(112)에 의해 접속처에 송신된다. 식별 정보로서는, 모바일 기기(200) 또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기기의 종류를 특정하는 기기 정보 외에, 기기 정보와 함께 유저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해서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수신 신호 강도 표시 신호)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트랜스퍼젯의 경우, 통신 시에 RSSI를 취득하는 것이 규격에 포함되어 있다. 수신 신호 강도는, 도 5에 도시된 수신 신호 강도(전계 강도) 검출부(114)에 의해 검출된다.
보존 데이터량, 데이터의 종류 등의 정보에 대해서는, 무선 접속의 확립 후의 서치, 인덱스(Index)를 참조함으로써 행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300)는, 무선 접속의 확립 후에 모바일 기기(200)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 어플리케이션 등의 정보를 서치함으로써 이들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모바일 기기(200)는, 무선 접속의 확립 후에 스스로 콘텐츠, 어플리케이션 등의 정보의 인덱스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보냄으로써, 이들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취득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200)측으로부터 서치를 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측으로부터 인덱스를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의 용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무선 접속의 확립 후의 서치 또는 인덱스(Index)를 참조함으로써 행한다. 모바일 기기(200)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 어플리케이션 등의 정보는, 송신 데이터 처리부(112)로부터 송신되고, 수신 데이터 처리부(116)에 의해 수신된다.
실현하는 UI의 거동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다. 위치 검출부(120)에서는, 수신 신호 강도(전계 강도) 검출부(114)에 의한 수신 신호 강도의 검출 결과에 따라, 표시부(302) 상 또는 표시부(302)의 주연에 있어서의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를 검출한다. 표시 처리부(118)에서는, 모바일 기기(200)가 갖다 대어진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파문의 UI가 움직이도록 표시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모바일 기기(200)를 중심으로 하여 밖으로 퍼지는 파문이 표시부(302) 상에 표시된다. 이때, 표시 처리부(118)에서는, 수신 데이터 처리부(116)에 의해 수신된, 기기의 종류, 수신 신호 강도, 데이터의 종류, 데이터의 용량 등에 따라, 파의 거동(UI)을 바꿈으로써, 유저에게 알기 쉬운 UI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수신 신호 강도가 강한 경우일수록, 파의 진폭 또는 주기가 커지도록 파가 표시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표시부(302) 상의 파의 표시를 보기만 해도 수신 신호 강도가 강한지의 여부를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기의 종류 또는 데이터의 종류 등에 대응한 파의 형상, 색, 진폭, 주기 등을 미리 정해 둠으로써, 유저는 표시부(302) 상의 파의 표시를 보기만 해도 이들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7은, 정보 처리 장치(300)에 있어서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스텝 S10에서는 전극판(안테나)(204, 304) 및 터치 패널(170)을 초기화한다. 다음 스텝 S12에서는, 모바일 기기(200)가 정보 처리 장치(300)에 갖다 대어진 것을 검출하여, 모바일 기기(200)가 정보 처리 장치(300)에 갖다 대어진 경우에는 스텝 S14로 진행한다. 한편, 모바일 기기(200)가 정보 처리 장치(300)에 갖다 대어 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2에서 대기한다.
스텝 S14에서는,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 수신 신호 강도를 특정한다. 다음 스텝 S16에서는, 무선 접속의 확립 후의 서치 또는 인덱스의 참조에 의해 데이터의 종류, 용량 등의 각종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 스텝 S18에서는, UI의 처리를 행하여, 예를 들어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파의 표시를 바꾸어 표시부(302) 상에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8에서는, 일례로서 모바일 기기(200)의 종류에 따라 파의 소리, 색을 바꾸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파문의 진폭, 주기를 바꾸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파의 소리, 색을 바꾸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데이터의 용량에 따라 파의 소리, 색, 주기를 바꾸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데이터의 용량은, 모바일 기기(200)가 보유하고 있는 사진, 동화상 등의 콘텐츠의 데이터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수순은, 도 7과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또한, 표시부(302)에 표시되는 UI는 반드시 파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기기의 종류에 따라 특정한 음성을 사용하여, 접속한 기기의 명칭을 읽는 UI이어도 좋다. 이때, 접속한 모바일 기기(200)를 선전하는 CM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음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해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02) 상에 표시된 타깃에 접근해 가면, 수신 신호 강도의 증가에 수반하여, 타깃도 이것에 따라 확대되는 표시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의 처리는 음성으로도 표현 가능하여, 모바일 기기(200)가 접근함에 따라, 음성을 크게 하는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도 8a는, 모바일 기기(200)를 놓았을 때에 튀어나오는 이미지로 콘텐츠를 주위에 흩어지도록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데이터의 종류에 대해서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를 갖다 댄 후, 그 중심으로부터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아이콘이 튀어나오도록 표시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콘텐츠가 음악이면 음부가 밖으로 흩어지는 표시 처리를, 콘텐츠가 사진이면 사진이 밖으로 흩어지는 표시 처리를 행한다. 이때, 3D 표시를 함으로써, 보다 시각적인 효과를 갖게 할 수 있다.
도 8b는, 모바일 기기(200)를 중심으로 하여, 모래 위에 떨어져 묻히는 UI가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02)를 골프의 벙커로 보고, 벙커에 볼이 떨어져 모래가 튀는 이미지로 콘텐츠를 주위에 흩어지도록 표시한다. 데이터의 용량의 전송에 대해서는, 표시부(302)를 골프의 벙커로 보고, 벙커에 볼이 떨어지는 이미지로, 모바일 기기(200)의 주변에 흩어진 콘텐츠가 주변에 가라앉도록 표시한다. 그리고, 그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가라앉는 깊이가 바뀌도록 표시를 행한다. 마찬가지로, 표시부(302)를 쿠션으로 보고 UI를 표시해도 좋다. 이 경우, 콘텐츠의 데이터량에 따라 바운드하는 양을 바꾸어, 데이터량이 클수록 바운드양을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02)(디스플레이) 옆에 모바일 기기(200)를 갖다 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판(304)이 표시부(302) 주위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측면에 접근하면, 정보 처리 장치(300)의 주위를 따라 설치된 전극판(304) 사이에서 무선 통신 접속이 확립된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200)를 갖다 댄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반원 형상의 파문을 표시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모바일 기기(200)의 종류에 따른 아이콘 등을 파의 중심 또는 그 주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갖다 대어진 모바일 기기(200)가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정확하게 인식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의 처리에 대해서도 도 6의 예와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어, 수신 신호 강도, 데이터의 종류, 데이터의 용량 등에 따라 파문의 진폭, 주기, 색 등을 바꿀 수 있다.
이어서, 모바일 기기(200)가 표시부(302) 상에 놓여진 경우에 콘텐츠 표시, 메뉴 표시를 행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모바일 기기(200)가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02) 상에 놓여진 경우에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송신된 콘텐츠 또는 메뉴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가 통신을 행하여, 모바일 기기(200)의 주변에 콘텐츠 또는 메뉴가 표시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모바일 기기(200)가 보유하는 콘텐츠가, 모바일 기기(200)를 중심으로 하여, 표시부(302) 상에 원주 상에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표시를 함으로써, 유저는, 표시부(302) 상에 표시된 콘텐츠의 아이콘을 조작함으로써 콘텐츠를 개방하거나 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널(170)의 출력이 조작 검출부(124)에 보내져, 표시 처리부(118)에 의해 개방되어 콘텐츠 표시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조작 검출부(124)의 출력이 처리 실행부(122)에 보내져, 콘텐츠를 개방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예를 들어, 유저가 표시부(302) 상에 표시된 「카메라」의 아이콘을 조작하면, 정보 처리 장치(300)의 터치 패널(170)이 이 조작을 검출하여, 콘텐츠로서의 사진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에 의해, 모바일 기기(200)가 보유하고 있던 사진의 데이터를 표시부(302)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UI를 실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과 실현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의 특정」, 「갖다 대어진 것의 검출」, 「무선 접속의 확립」에 대해서는 상술한 파문의 예와 마찬가지로 행한다. 이들 외에, 도 10에 도시한 UI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는, 모바일 기기(200)의 특정 시에 모바일 기기(200)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함과 함께, 모바일 기기(200)의 방향을 특정하는 정보를 취득한다. 이것은, 모바일 기기(200)의 크기의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모바일 기기(200)보다 외측에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되기 때문이다. 또한, 모바일 기기(200)의 방향을 특정하는 정보는, 모바일 기기(200)의 방향으로 아이콘의 표시하는 방향을 합하기 위하여 취득된다. 모바일 기기(200)의 방향을 특정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300)의 터치 패널(170)로 모바일 기기(200)의 형태를 검출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방향을 특정한다. 또한, 모바일 기기(200)의 지자기 센서(140)로부터 얻어지는, 모바일 기기(200)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보낼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구성은, 모바일 기기(200)를 표시부(302) 상에 놓는 경우와, 모바일 기기(200)를 표시부(302)의 측면에 놓는 경우, 모두 적용 가능하여, 모바일 기기(200)가 놓이는 장소는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정보 처리 장치(300)의 메뉴 화면의 표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원주 상에 모바일 기기(200)의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모바일 기기(200)가 정보 처리 장치(300)의 측면에 놓인 경우는 모바일 기기(200)를 중심으로 하는 반원의 원주 상에 아이콘을 표시한다.
도 10의 예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300)의 처리는, 도 7과 마찬가지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스텝 S16에 있어서, 데이터의 종류 등의 정보 외에, 콘텐츠의 정보, 모바일 기기(200)의 크기 및 모바일 기기(200) 방향의 정보가 취득된다. 그리고, 스텝 S18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200)의 크기, 방향을 고려하여 콘텐츠 표시, 메뉴 표시를 행한다.
도 11 내지 도 17은, 도 10의 변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모바일 기기(200)와의 접속이 확립된 경우에 모바일 기기(200)가 보유하는 콘텐츠를 크로스 미디어 바(XMB: 등록 상표)의 항목으로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아이콘의 1개를 선택하면, 선택한 아이콘에 관련된 콘텐츠의 아이콘이 세로 방향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면 대응하는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는, 콘텐츠의 정보를 표시부(302)의 좌우로 나누어 표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3은, 표시부(302)에 정보 처리 장치(300)에 관한 콘텐츠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200)와 접속하면, 모바일 기기(200)의 기능에 따라, 기능 아이콘 중 사용할 수 없는 것은 그레이 아웃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밝게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200)를 갖다 대면, 기능 아이콘 중 사용할 수 없는 것은 비표시로 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표시할 때에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추천 기능 아이콘을 어필하도록 표시해도 좋다.
도 14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좌측면에 모바일 기기(200)를 근접시킨 경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의 예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아이콘을 모바일 기기(200)의 주변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를 갖다 대면, 기능 아이콘 중 사용 가능한 것이 모바일 기기(200)에 당겨지듯이 이동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사용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그레이 아웃하거나, 비표시로 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기기(200)의 크기, 방향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모바일 기기(200)와 겹치지 않도록 아이콘을 표시한다. 또한, 아이콘의 이동 방향과 데이터의 전송 방향을 일치시켜, 시각적으로 데이터의 흐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서로 관련된 아이콘 등, 아이콘과 아이콘을 융합하도록 표시해도 좋다. 또한, 틀린 방향으로 이동한 아이콘에 대해서는, 터치 패널(170)의 조작에 의해 올바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모바일 기기(200)의 보급에 의해, 여러 종류의 콘텐츠·어플리케이션을 갖는 모바일 기기(200)가 등장하고 있는 현상황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바일 기기(200)를 대형 디스플레이에 두기만 해도, 그 모바일 기기(200)가 가능한 것·가능하지 않은 것을 알기 쉽게 제시할 수 있어, 모바일 기기(200)의 취급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를 포함하여 이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5는, 모바일 기기(200)의 콘텐츠가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표시부(302) 상에서 네 코너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장소에 콘텐츠의 아이콘을 모으도록 해도 좋다. 정보 처리 장치(300)의 수신 데이터 처리부(116)에서는,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표시 처리부(118)에 의해 콘텐츠의 종류에 따른 표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종류의 콘텐츠를 정연하게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 조작(170)에 의해 콘텐츠를 움직여, 유저에게 원하는 기능의 콘텐츠를 찾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은, 모바일 기기(200)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갖다 댐으로써,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표시부(302)로 콘텐츠가 넘쳐나와, 넘친 것을 손으로 더듬어 찾아 발견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유저에 의한 터치 패널(170)의 조작을 조작 검출부(124)가 검출함으로써, 조작에 따라 콘텐츠가 이동하는 모습을 표시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를 포개어 랜덤하게 표시하고, 손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를 찾아내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16에 있어서의 표시 방법에서는, 3D 표시를 행하고, 3D 조작으로 포개어진 콘텐츠를 조작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콘텐츠가 포개진 모습을 보다 리얼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의 조작에 의하면, 예를 들어 콘텐츠가 「사진」인 경우, 사진이 마치 표시부(302) 상에 뿌려진 상태로부터 원하는 사진을 찾아내거나, 정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랜덤하게 놓여진 콘텐츠 중에서 터치 패널(170)의 조작에 의해 손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콘텐츠를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재생 횟수가 많은 콘텐츠 또는 재생 횟수가 적은 콘텐츠를 우선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7은, 콘텐츠의 다른 조작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예에서는, 콤팩트 디스크(CD) 또는 오디오 테이프를 묘화한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UI와, 플레이어를 묘화한 UI가 표시되어 있다. 유저가 터치 패널(170)의 조작에 의해 CD의 아이콘을 플레이어의 아이콘에 포개면, 처리 실행부(122)에 의해, 선택한 CD의 재생이 행해진다.
플레이 리스트 작성의 수단으로서, 콘텐츠(도 17의 예에서는, CD, 오디오 테이프)를 리스트순으로 배열하거나 또는 콘텐츠에 숫자를 붙이는 등의 방법에 의해, 콘텐츠마다 플레이 리스트의 몇번째라는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콤팩트 디스크(CD)가 랜덤하게 플레이어에게 뿌려졌다고 해도 올바른 순서대로 재생할 수 있다. 통상, 대형 PC쪽이 양호한 음성·영상 재생 장치를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200) 상의 콘텐츠를, 대형 디스플레이(표시부(302)) 상에서 시각적으로 확인·선택하면서 보다 양호한 재생 장치에 의해 시청 등을 할 수 있다.
이어서, 아이콘 데이터의 취득 방법이지만, 사전에 선택지를 준비해 두는 방법과, 단말기측을 서치하여 관계된 기능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기기(200)측의 처리를 정보 처리 장치(300)로 옮기는 응용예로서, 정보 처리 장치(300)에 의해 모바일 기기(200)측의 상태 취득을 하고, 그 후속을 정보 처리 장치(300)측에서 재생한다. 모바일 기기(200)를 갖다 대면, 모바일 기기(200)에 의해 재생하고 있던 콘텐츠(의 후속)를 정보 처리 장치(300)측에서 재생한다. 또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300)의 조작 중인 화면 등으로부터 화상 등을 보내도록 해도 좋다.
이어서, 모바일 기기(200)를 갖다 댔을 때에 이미 표시부(302)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300) 상의 콘텐츠, 기능 아이콘 등을 이동시키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한 예에서는, 표시부(302)의 거의 전체면에 콘텐츠의 윈도우(W)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모바일 기기(200)를 표시부(302) 상에 놓으면, 모바일 기기(200)를 피하도록 하여 윈도우(W)가 이동(축소)된다. 이때, 윈도우(W)는, 모바일 기기(200)의 크기에 따라 리사이즈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모바일 기기(200)와 윈도우(W)가 겹치지 않아, 유저는 윈도우(W)의 전체 표시를 계속하여 시인할 수 있다.
도 19는, 이미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 위에 모바일 기기(200)를 놓으면, 모바일 기기(200)를 피하도록 아이콘이 이동하는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모바일 기기(200) 아래가 되는 아이콘을 보기 쉬운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모바일 기기(200)와 아이콘이 포개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170)의 조작에 의해, 관련된 아이콘을 사용하기 쉽게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8 및 도 19의 예에서는, 표시 처리부(118)는, 접속 확립 후에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 크기, 방향을 취득함으로써, 모바일 기기(200)와 포개지지 않는 위치로 윈도우 또는 아이콘을 이동하는 처리를 행한다. 윈도우의 위치를 신경쓰지 않고, 유저가 메뉴 등 표시를 위하여 모바일 기기(200)를 놓기 쉬워진다는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8에서는, 표시부(302) 상에서 모바일 기기(200)를 뗀 경우에 윈도우(W)가 모바일 기기(200)를 놓기 전의 크기로 되돌리도록 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 19에서는, 모바일 기기(200)와 포개는 아이콘이 이동하거나 또는 소거된 후, 모바일 기기(200)를 표시부(302) 상에서 떼면, 아이콘 원래의 위치로 재이동, 재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모바일 기기(200)를 회전시키면, 그 방향을 추종하여 표시부(302)에 표시된 메뉴를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200)를 조작하고 있는 유저 이외에, 다른 유저가 있는 경우에 모바일 기기(200)를 조작하고 있는 유저의 방향을 향하고 있는 메뉴를, 모바일 기기(200)를 회전시킴으로써 다른 유저의 방향으로 메뉴를 향하게 한다. 이에 의해, 다른 유저가 보이기 쉽도록 표시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모바일 기기(200)(물리적인 대상)에 직접 접촉하여 그것을 기점으로 디스플레이 상의 메뉴를 조작 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직감적인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정보 처리 장치(300)의 배면에 모바일 기기(200)를 접근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경우, 전극판(304)은 정보 처리 장치(300)의 배면의 전체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300)의 배면에 모바일 기기(200)를 접근한 경우에 있어서도,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02)에는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에 따라 소용돌이 형상의 UI가 표시된다. 이때, 데이터의 이동 방향을 따라 파가 진행되는 방향을 바꿈으로써, 유저는, 데이터의 이동 방향을 시각적이면서 또한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표시부(302)에 있어서의 표시는, 도 6의 예와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지만, 표시부(302) 상에 모바일 기기(200)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200)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고, 모바일 기기(200)가 위치하는 중심점으로부터 소용돌이 등의 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은, 모바일 기기(200)를 표시부(302) 상에 놓았을 때에,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와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02)가 연동하여 표시를 행함으로써, 데이터 이동의 방향을 유저에게 알리는 UI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300)로 데이터 전송을 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200)를 갖다 대면, 표시부(202)가, 예를 들어 소용돌이로 콘텐츠가 흡입되는 움직임을 표시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300)측의 표시부(302)는, 모바일 기기(200)에 의해 흡입된 콘텐츠가 넘쳐나오는 UI를 표시한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200)의 송신 처리부(112)가 데이터를 송신하면,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 처리부(118)는 소용돌이로 콘텐츠가 흡입되는 표시 처리를 표시부(202) 상에 행한다.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 모바일 기기(200)로 데이터 전송을 하는 경우, 이것과 역의 표시 처리를 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02) 상에 소용돌이로 콘텐츠가 흡입되는 모습을 표시하고, 표시부(202)에는 콘텐츠가 넘쳐 나오는 모습을 표시한다. 정보 처리 장치(300)와 모바일 기기(200)의 2개의 디스플레이 상에 비추면서 콘텐츠의 전송을 표현함으로써 보다 유저에게 콘텐츠 전송의 상황을 알기 쉽게 전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위에서도 메뉴·콘텐츠 표시는 가능하나, 소형화된 모바일 기기에서는 표시부가 작아, 대용량화된 모바일 기기 내의 다수의 메뉴·콘텐츠의 일람 파악이나 조작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실시 형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의 메뉴·콘텐츠를, 보다 대형 디스플레이의 표시부(302)에 일단 비추어 그것을 유저에게 조작시킴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대폭 높일 수 있다. 또한, 개인이 갖는 모바일 기기(200)의 내용을 대형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다른 사람에게 보일 수 있어, 모바일 기기(200)의 내용에 관한 커뮤니케이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표시부를 확보할 수 없는(또는 표시부를 갖지 않는) 모바일 기기(200)에 있어서도, 조작이나 콘텐츠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표시부(302) 상(디스플레이 상)에 모바일 기기(200)를 놓는 장점으로서는, 「모바일 기기(200)를 둔다(또는 움직인다)」라는 매우 직감적인 동작을 기점으로 메뉴 등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의 기기 조작으로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표시부(302)의 측부(디스플레이 옆)에 모바일 기기(200)를 놓는 장점으로서는, 모바일 기기(200) 자체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숨기지 않고 메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모바일 기기(200)의 콘텐츠를 정보 처리 장치(300)를 통하여 취급하는 장점으로서는, 2개의 모바일 기기(200) 사이의 싱크나 콘텐츠 이동의 진도·정도·현재 상황 등을 대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 비추어낼 수 있음으로써, 콘텐츠 이동·공유의 상황을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유저에게 나타낼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는, 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 사이의 콘텐츠 이동에 관한 것이다. 콘텐츠의 이동으로서는,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300)로 콘텐츠가 이동하는 경우와,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 모바일 기기(200)로 콘텐츠가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300)로 콘텐츠를 이동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200)를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02) 상에 놓으면, 모바일 기기(200)의 콘텐츠가 정보 처리 장치(300)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콘텐츠가 동영상이며,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 상에서 동화상이 재생 중인 경우, 정보 처리 장치(300)로 이동한 동화상의 콘텐츠는 재생 중인 후속 타이밍부터 표시부(302) 상에서 재생된다.
또한, 표시부(302) 상에 모바일 기기(200)를 놓기 위한 복수의 놓는 곳을 형성하고, 놓는 곳에 따라 상이한 동작·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300)의 위치 검출부(120)에 의한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이한 동작 또는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 복수의 콘텐츠가 정보 처리 장치(300)로 이동하여, 표시부(302)의 전역에 표시할 수 없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각 콘텐츠는 중첩된 상태로 표시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 모바일 기기(200)로 콘텐츠를 이동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200)를 정보 처리 장치(300) 상에 갖다 댐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300)의 콘텐츠를 모바일 기기(200)로 옮긴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300)는 송신 대상의 콘텐츠를 표시부(302) 상에 표시하고, 그 상에 모바일 기기(200)가 갖대 대어진 경우에 콘텐츠를 모바일 기기(200)에 보내도록 한다. 또한, 표시부(302) 내에 송신 대상의 콘텐츠를 모으는 장소를 한곳 또는 복수 개소 형성하고, 모바일 기기(200)를 그 장소에 갖다 댐으로써 콘텐츠를 통합하여 흡수하도록 해도 좋다. 이들 처리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위치 검출부(120)에 의해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를 검출하여, 표시 처리부(118)에 의해 표시부(302) 상에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의 위치와,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가 일치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모바일 기기(200)가 콘텐츠를 흡수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에 복수의 모바일 기기(200)를 접속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를 통하여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이동한다. 각 모바일 기기(300)는 표시부(302) 상에 놓여지거나 또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측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모바일 기기(200)를 정보 처리 장치(300)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배치하고, 정보 처리 장치(300)를 통하여 한쪽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다른 쪽의 모바일 기기(200)로 콘텐츠의 이동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를 통하여 복수 유저에 의한 콘텐츠 열람, 이동 등을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모바일 기기(200)의 플릭 조작(가볍게 흔드는 조작)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갖다 댄 상태(접속 확립 후)에서 자동으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지는 것으로 했지만, 이 예에서는, 모바일 기기(200)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갖다 댄 상태에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에 의해 표시 중인 콘텐츠를 플릭하면, 정보 처리 장치(300)측으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플릭 조작은, 모바일 기기(200) 자체를 플릭해도 좋고,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 상에서 터치 패널(170)을 플릭 조작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02) 상에 표시 중인 콘텐츠를 표시부(302) 상의 터치 패널(170)의 조작으로 모바일 기기(200)를 향하여 플릭하면, 모바일 기기(200)에 데이터가 전송된다. 터치 패널(170) 상에서의 플릭 조작은, 터치 패널(170)의 출력에 기초하여 조작 검출부(124)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200) 자체를 플릭 조작한 경우, 그 조작은, 모바일 기기(200)가 구비하는 가속도 센서(150)의 출력에 기초하여 검출할 수 있다. 송신 데이터 처리부에서는, 이들 플릭 동작이 검출된 경우에, 통신 상대 장치에 대하여 콘텐츠 등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도 24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200) 자체를 표시부(302) 상에서 플릭하는 경우 외에,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 상의 콘텐츠를 유저가 터치하여 소정의 방향(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한 데이터 전송 방향)으로 움직이면, 모바일 기기(200) 자체를 플릭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방향의 끝의 표시부(302) 상으로 콘텐츠를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저의 손가락에 의한 모바일 기기(200) 상에서의 콘텐츠 선택 및 플릭의 방향 정보는 모바일 기기(200)의 터치 패널로 검출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측으로 통지함으로써, 도 24와 마찬가지로 콘텐츠 이동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 상에서 이전시키는 콘텐츠의 내용을 확인하면서, 대형 표시부(302) 상의 임의의 방향으로 옮겨 데스크탑에 표시시킬 수 있고, 콘텐츠를 손가락으로 「뿌리는」 감각으로 직감적으로 콘텐츠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갖다 댄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 상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를 정보 처리 장치 모바일 기기(20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플릭하면,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02) 상에서의 재생 표시로 전환되도록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02)에 의해 재생 중인 콘텐츠를 표시부(302) 상의 터치 패널(170)의 조작에 의해 모바일 기기(200)를 향하여 플릭하면, 재생 중인 콘텐츠가 모바일 기기(200)에 전송되어,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 상에서의 재생 표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5는, 2개의 모바일 기기(200) 사이에 정보 처리 장치(300)를 개재시켜, 기기간 플릭에 의해 콘텐츠를 이동하는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 (A)(200)와 모바일 기기 (B)(200)를 정보 처리 장치(300) 좌우에 배치하고, 양쪽을 정보 처리 장치(300)와 접속한다. 이때, 좌측의 모바일 기기 (A)(200)의 콘텐츠가 표시부(302)에 반원 형상으로 표시된다. 유저는 표시부(302)의 터치 패널(170)을 조작함으로써, 콘텐츠를 모바일 기기 (B)(3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터치 패널(170)의 조작에 의해 콘텐츠와 모바일 기기 (B)(200) 사이의 거리가 소정값 이하로 접근한 경우에, 송신 데이터 처리부(112)에 의해 데이터가 모바일 기기 (B)(200)에 송신된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 (A)(20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300)로 콘텐츠를 전송하여, 콘텐츠를 정보 처리 장치(300)의 데이터 축적부(130)에 1차 기억한다. 그 후, 소정 조건에서 정보 처리 장치(300)의 송신 데이터 처리부(112)에 의해 모바일 기기 (B)(200)에 콘텐츠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바일 기기 (A)(200)로부터 모바일 기기 (B)(200)로는 직접 콘텐츠 이동하는 것이 아니고, 일시적으로 정보 처리 장치(300)에 콘텐츠가 기억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한 상태에서, 양쪽 모바일 기기(200)의 콘텐츠를 싱크(동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양쪽 모바일 기기(200)의 콘텐츠를 도 25의 모바일 기기 (A)(200)와 같이 반원 형상으로 표시하고, 터치 패널(170)의 조작에 의해 양방향으로 플릭함으로써 싱크 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싱크 처리의 진척을 데이터의 나머지 수로 표시해도 좋다. 싱크가 끝난 것부터, 콘텐츠의 표시가 사라져 가도록 UI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싱크 처리를 행함으로써, 2개의 모바일 기기(200)가 보유하는 정보를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도 26은, 제스처를 계기로 싱크를 행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02) 상의 터치 패널 조작에 의해, 좌측의 모바일 기기 (A)(200)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터치 패널이 조작된 경우는, 좌측의 모바일 기기 (A)(200)의 정보를 우측의 모바일 기기 (B)(200)에 동기시킨다. 또한, 우측의 모바일 기기 (B)(200)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터치 패널이 조작된 경우는, 우측의 모바일 기기 (B)(200)의 정보를 좌측의 모바일 기기 (A)(200)에 동기시킨다.
도 27은, 정보 처리 장치(300)의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모바일 기기 (A)(200) 및 모바일 기기 (B)(200)에 동기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7에 도시한 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02)에 추천 정보를 표시하고, 이 정보를 모바일 기기 (A)(200) 및 모바일 기기 (B)(200)에 동기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모바일 기기 (A)(200) 및 모바일 기기 (B)(200)는 모두 추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처리부(118)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의 추천 정보를 표시부(302)에 표시한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200)와의 접속이 확립되면, 표시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모바일(200)에 송신한다. 또한, 추천 정보는, 데이터 축적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8은, 정보 처리 장치(300)와 외부의 서버가 인터넷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접속되고, 추천의 데이터베이스의 정보가 서버의 정보에 의해 최신 정보로 듀플리케이트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추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항상 최신의 것으로 갱신함으로써, 백업, 이주 시 등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9는, 트랜스 코드를 행하면서 카피를 행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예를 들어 휴대 음악 플레이어 또는 휴대 전화 등의 사이에서 서로 데이터를 이동시킬 때에 정보 처리 장치(300)는 형식을 변환(트랜스 코드)하여 카피한다. 도 24에 도시한 예에서는, AAC(Advanced Audio Coding) 형식으로부터 MP3 형식으로 트랜스 코드하고 있다. 이에 의해, 모바일 기기(200)에서는 대응할 수 없는 부하가 큰 처리를 정보 처리 장치(300)가 대신 실행할 수 있다. 각 모바일 기기(200)가 대응하는 형식은 모바일 기기(200)를 특정하는 정보로부터 취득한다.
도 30은, 모바일 기기(200)가 메일 주소 등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 2개의 모바일 기기 (A)(200) 및 모바일 기기 (B)(200) 사이에서 어드레스 교환을 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300)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 (A)(200) 및 모바일 기기 (B)(200)를 접속하고, 2개의 모바일 기기(200) 내의 주소록에서, 한쪽이 보유하지 않은 정보가 있으면, 보유하고 있는 측이 보유하지 않은 측으로 어드레스를 송신하여 어드레스 교환을 행한다. 도 30에 도시한 예에서는, 양쪽 모바일 기기(200)가 보유하는 어드레스가 표시부(302) 상에 표시되고, 양쪽 모바일 기기(200)는 어드레스 A만을 공통으로 보유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공통적이지 않은 어드레스를 다른 쪽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송하여, 다른 쪽의 모바일 기기(200)에 카피시킨다. 이에 의해, 2개의 모바일 기기(200)의 어드레스 정보를 공통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양쪽 모바일 기기(200)는, 수신 데이터 처리부(116)에 의해 수신한 어드레스 정보를 자신의 어드레스 정보와 비교하여, 통신 상대 장치가 보유하지 않은 어드레스를 송신 데이터 처리부(112)로부터 송신한다. 또한, 어드레스 정보는 데이터 축적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어드레스 교환 시에, 어드레스를 선별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어드레스를 터치 패널(170)의 조작으로 감싸서 선택하고, 감싼 어드레스를 서로 교환하도록 해도 좋다. 도 31에 도시한 예에서는, 모바일 기기 (A)(200)의 어드레스 B와 C가 터치 패널(170)의 조작에 의해 감싸여 모바일 기기 (B)(200)에 송신된다. 또한, 모바일 기기 (B)(200)의 어드레스 D와 E가 터치 패널(170)의 조작에 의해 감싸여 모바일 기기 (A)(200)에 송신된다.
또한, 서로 보유하고 있는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서로 소개하거나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200) 사이의 어드레스 정보를 교환하여, 서로의 상관도를 내도록 해도 좋다. 이들 이벤트는, 모바일 기기 (A)(200)와 모바일 기기 (B)(200)와 동일한 정보(도 30의 예에서는 어드레스 A)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 발생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의 예에서는, 주로, 정보 처리 장치(300)의 측면에 모바일 기기(200)를 배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표시부(302) 상에 모바일 기기(200)를 놓은 경우도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표시부(302) 상에 모바일 기기(200)를 놓은 경우, 2개의 모바일 기기(2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모바일 기기(200) 사이의 거리가 소정값보다 가까운 경우에는 보다 싱크(동기)에 가까운 상태에서 데이터를 교환한다. 또한, 2개의 모바일 기기(200)를 떨어뜨리면, 상관이 높은 데이터만을 교환하거나 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200)를 표시부(302) 상에 놓은 후에, 양쪽 모바일 기기(200)를 접근해 가면 데이터의 싱크가 시작된다. 데이터의 싱크가 개시된 것은, UI(예를 들어 파문의 UI)에 의해 표시된다. 모바일 기기(200)가 각각의 주변에 영역(테리토리)을 갖고 있어, 그들이 포개지면, 거기에 따른 액션(싱크)이 시작되도록 해도 좋다.
도 32 내지 도 34는, 모바일 기기(200)를 표시부(302) 상에 놓은 경우에 거리에 따라 싱크를 행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모바일 기기(200) 사이의 거리가 소정값보다 떨어져 있는 경우는 상관도가 높은 데이터만이 서로 전송되어, 부분적인 싱크가 행해진다. 또한,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모바일 기기(200) 사이의 거리가 소정값 이하로 근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양쪽 모바일 기기(200)의 정보를 모두 카피하여 완전히 싱크를 행한다. 이때,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모바일 기기(200)의 주변에 전체 데이터가 표시되고, 싱크가 완료된 데이터의 표시가 순차적으로 꺼져 가도록 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표시 상태로부터 데이터 카피의 진척을 판단할 수 있다.
도 35는, 싱크의 응용으로서, 표시부(302)를 사이에 두고 하키 놀이를 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여기에서는, 한쪽의 모바일 기기(200)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하키의 팩으로 보고 표시부(302) 상에 표시하고, 한쪽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보내진 팩을 다른 쪽의 모바일 기기(200)가 캐치하면, 그 정보에 대하여 싱크가 행해진다. 여기서, 팩이 표시부(302)의 좌우의 단부에 맞은 위치와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가 일치한 경우에 팩을 모바일 기기(200)가 캐치하는 것으로 한다. 또는, 한쪽의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보내진 팩을 다른 쪽의 모바일 기기(200)가 캐치하지 않은 경우에 그 정보에 대하여 싱크가 행해지도록 해도 좋다.
3.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는, 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 사이에서 영상을 동기시켜, 투과, 확대, 보완 등을 행하는 처리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200)를 표시부(302) 상에 놓은 경우에 표시부(302) 상의 표시를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에 투과시킴으로써, 모바일 기기(200) 아래에 가려진 표시부(302)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모바일 기기(200)를 통한 조작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표시부(302)의 표시를 확대하여 표시부(204)에 표시함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를 확대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6은, 표시부(302)에 콘텐츠 「A」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콘텐츠 「A」를 덮도록 모바일 기기(200)를 놓으면,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에 콘텐츠 「A」가 표시되어, 콘텐츠 「A」가 모바일 기기(200)를 마치 투과한 것처럼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투과의 예에서는, 표시부(302)(대형 디스플레이 상)에 모바일 기기(200)를 놓으면, 표시부(302)의 표시가 표시부(202)에 투과되어 표시된다. 이때, 콘텐츠를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 모바일 기기(200)로 옮길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UI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투과와의 조합으로 실현하는 기능으로, 모바일 기기(200)를 갖다 대면, 갖다 댄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 상에 모바일 기기(200)와의 조합으로 대응하는 기능(아이콘, 메뉴)이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에서는, 위치 검출부(120)는, 수신 신호 강도(전계 강도) 검출부(114)에 의해 검출되는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302) 상에서의 위치를 검출한다.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는, 표시 처리부(116)에 의해 표시 처리를 행하고 있는 콘텐츠, 아이콘 등의 표시부(302) 상의 위치와 비교되어, 모바일 기기(200)와 표시부(302) 상의 아이콘 등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아이콘 등의 정보가 송신 데이터 처리부(112)로부터 모바일 기기(200)로 보내진다. 이에 의해, 모바일 기기(200)에서는, 수신한 아이콘 등의 정보를 표시부(202)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갖다 댄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 상에 갖다 댄 위치 아래의 표시부(302)의 정보와, 거기에 대응하는 기능(메뉴)이 표시된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300)의 송신 데이터 처리부(112)는, 표시부(302) 상에서의 표시 위치가 모바일 기기(200)의 위치와 일치하는 콘텐츠, 아이콘 등의 정보와 함께, 이것에 관련된 기능(메뉴) 등의 정보를 모바일 기기(200)로 송신한다. 이에 의해, 모바일 기기(200)에서는, 자장치의 배후에 가려져 버리는 콘텐츠, 아이콘 등의 정보와 함께, 관련된 정보까지 표시부(202)에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200)의 기능이 그 정보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갖다 대도 메뉴가 나오지 않도록 한다. 혹은, 메뉴를 그레이 아웃시켜도 좋다.
또한, 표시부(302) 상의 아이콘 등 위에 모바일 기기(200)를 갖다 대면, 모바일 기기(200)측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모바일 기기(200)와 정보 처리 장치(300)의 기기끼리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기능)이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갖다 대는 모바일 기기(200)측에 미리 콘텐츠를 표시시켜 두고, 갖다 대어진 측의 정보 처리 장치(300)로 콘텐츠를 이동시킬 때, 갖다 댄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가 갖다 대어지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02)에 카피된 것처럼 보이는 UI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300)로 콘텐츠가 카피(무브)한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37은,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300)로 데이터를 무브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7의 상단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300)에 갖다 대기 이전에는,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에 콘텐츠 B가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7의 중단의 도면은, 콘텐츠 B가 표시된 모바일 기기(200)를 표시부(302) 상에 갖다 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모바일 기기(200)를 갖다 대면, 콘텐츠 B의 정보가 정보 처리 장치(300)로 전송된다. 도 37의 하단의 도면은, 도 37의 중단의 상태로부터 모바일 기기(200)를 표시부(302) 상에서 멀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모바일 기기(200)를 표시부(302) 상에서 멀어지면, 표시부(302) 상에는 전송된 콘텐츠 B의 정보가 표시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콘텐츠 B가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300)로 전송된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 상에 표시부(302) 상의 아이콘 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예를 설명한다. 도 38은, 표시부(302) 상에 표시된 폴더 아이콘 상에 모바일 기기(200)를 갖다 대면, 갖다 댄 측의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에 의해 폴더의 내용을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갖다 댄 특정한 기기밖에 내용이 보이지 않는 사용 방법을 할 수도 있어, 시큐리티 용도 등에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 38의 응용예로서, 모바일 기기(200)를 전자 인감(승인)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39는, 표시부(302)에 표시된 서류에 모바일 기기(200)를 사용하여 전자 인감을 날인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9의 상단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02)에 서류를 표시하고,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에 전자 인감을 표시한다. 모바일 기기(200)는, 전자 인감을 날인하는 것의 인증을 받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 39의 하단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를 표시부(302)에 갖다 대면, 표시부(202)에는 표시부(302)에 표시된 서류의 날인 개소가 투과되도록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모바일 기기(200)의 전자 인감이 표시부(302)의 서류에 날인되어, 표시부(302) 상의 서류에 도장이 날인된 상태로 된다.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에 있어서의 서류의 표시를 표시부(302)보다 확대함으로써, 보다 인감을 찍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어서, 표시부(302)에 표시된 지도를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 상에 확대 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0은, 표시부(302)에 일본 지도가 표시되어 있고, 모바일 기기(200)를 갖다 댐으로써 표시부(202)에 간토 부근을 확대 표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확대 표시된 에리어와 함께, 에리어의 정보(음식점 정보, 철도·도로 등의 교통 정보, 에리어의 날씨 정보 등)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300)측에 표시되는 지도 정보에 에리어의 정보를 미리 부가해 두고, 모바일 기기(200)측에서 그 정보를 취득하여 표시부(202)에 표시를 행한다.
또한, 표시부(302)에 표시된 영역 이외를 표시부(202)에 표시함으로써, 세계 카메라적인 정보 보완을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302) 밖에 모바일 기기(200)를 놓고, 표시부(302)의 표시 영역 밖의 지도를 확장 화면으로서 표시부(202)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지도 이외에도, 예를 들어 사진(집합 사진 등) 상에 모바일 기기(200)를 갖다 대면, 사진의 인물을 표시부(202)에 확대 표시함과 함께, 갖다 댄 모바일 기기(200) 내의 주소록 등에 포함되는 인물을 서치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는 등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300)측에 표시되는 사진에 인물의 정보를 미리 부가해 두어, 그 정보와 주소록의 정보를 대비하여 서치를 행한다.
4. 제4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는, 모바일 기기(200)를 정보 처리 장치(300)에 갖다 대는 경우에 통신의 양호한 위치로 모바일 기기(200)를 유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을 사용할 때만 안테나(304)가 존재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UI를 표시부(302) 상에 표시한다. 또한, 모바일 기기(200)가 표시부(302) 상에 놓인 경우에, 모바일 기기(302)의 위치가 안테나(304)의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는 경우는 적정한 안테나 위치로 유도하는 UI를 표시한다. 또한,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 상에 유도를 위한 UI를 표시한다.
도 41은, 모바일 기기(200)가 표시부(302) 상에 놓인 경우에 유도를 위한 UI를 표시부(202)와 표시부(302)에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의 표시부(202)에는 적정한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표시되어, 이 방향으로 모바일 기기(200)를 이동함으로써, 모바일 기기(200)를 안테나(304)의 위치로 유도할 수 있다. 도 41에 도시한 예에서는, 표시부(202)의 좌측 상단의 화살표가 다른 화살표보다 밝게 표시(또는 점멸 표시)되어 있어, 이 방향으로 모바일 기기(200)를 유도하는 것으로 한다. 모바일 기기(200)가 안테나(304) 상에 위치하고, 가장 통신 상태가 양호해진 경우에는 그 취지가 표시된다. 또한,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02) 상에 안테나의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표적」을 나타내는 십자선을 표시해도 좋다. 이 경우에, 모바일 기기(200) 또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위치 검출부(120)는, 수신 신호 강도(전계 강도) 검출부(114)에 의해 검출된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모바일 기기(200)의 현재 위치와, 가장 수신 신호 강도가 양호해지는 위치를 검출한다. 표시 처리부(118)는, 가장 수신 신호 강도가 양호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표시 처리를 행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갖다 댄 모바일 기기(200)에 소리, 진동을 발생시켜 유도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기끼리의 안테나 감도(분포)는 상이하므로, 이것을 보정하면서 유도를 행한다. 도 5에 도시한 음성·진동 출력부(126)는, 가장 수신 신호 강도가 양호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한다. 일례로서, 음성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수신 신호 강도가 가장 양호해지는 방향을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하고, 수신 신호 강도가 가장 양호해진 위치에서 그 취지를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진동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수신 신호 강도가 가장 양호해지는 방향을 나타내는 진동을 출력하고, 수신 신호 강도가 가장 양호해진 위치에서 진동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5. 제5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는, 정보 처리 장치(300)와 통신을 행하는 전자 펜(400)에 관한 것이다. 전자 펜(400)은,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스토리지 디바이스)(402)와, 무선 통신부(404)를 구비하고 있다. 무선 통신부(404)는, 도 4에서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전자 펜(400)은, 펜의 조작에 의해 감싸인 표시 폴더 등을 통합하여 흡입 기록하거나 하여, 펜의 제스처에 의해 여러 콘텐츠 이동 조작을 행한다.
도 42는, 전자 펜(4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전자 펜(400)의 선단은, 뾰족해진 형상의 통상의 스타일러스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후단부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406)가 탑재되어 있다.
도 43 및 도 44는, 전자 펜(400)을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우선, 전자 펜(400)에 의한 데이터의 흡입(축적)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의 흡입은 3개의 스텝으로 행해진다. 우선,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펜(400)의 선단으로 표시부(302) 상의 콘텐츠를 감싸도록 묘화한다. 이에 의해, 터치 센서(170)가 묘화를 검출하고, 펜 끝의 궤적을 따른 선이 표시부(302)에 그려진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콘텐츠를 감쌀 수 있다.
이어서, 전자 펜(400)의 상하를 뒤집어 잡고, 전자 펜(400)의 후단부의 안테나(406)를 표시부(302)를 향하게 한다. 그리고, 전자 펜(400)의 후단부를 표시부(302)에 갖다 댄다. 이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300)와 전자 펜(400)이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되고, 감싸인 콘텐츠의 데이터가 정보 처리 장치(300)로부터 전자 펜(400)으로 전송된다. 정보 처리 장치(300)측에서는, 펜 끝의 궤적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 펜(400)과의 접속이 확립되면, 이 범위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전자 펜(400)에 전송된 콘텐츠의 데이터는 기록부(402)에 유지된다.
이어서, 전자 펜(400)에 의한 데이터의 토출(송신)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의 토출은 1스텝으로 행해진다. 기록부(402)에 데이터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펜(400)의 후단부를 표시부(302)를 향하여 갖다 대면, 전자 펜(400)과 정보 처리 장치(300) 사이에서 무선 통신 접속이 행해져, 기록부(402)에 유지되어 있던 데이터가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전송된다. 이에 의해, 기록부(402)에 유지되어 있던 데이터가 표시부(302)의 데스크탑에 카피된다.
또한, 전자 펜(400)을 갖다 대는 위치이지만,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300)의 주연에 안테나(30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안테나(304)의 부근에 전자 펜(400)을 갖다 대도록 한다. 또한, 도 2와 같이 표시부(302)의 전역에 안테나(30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표시부(302) 상에 전자 펜(400)을 갖다 대도록 한다.
또한, 표시부(302) 상에 형성된 소정의 선택 에리어에 전자 펜(400)을 갖다 대면 데이터의 흡입을 행하고, 또한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기능 선택을 행하고, 선택 에리어 이외의 에리어에 갖다 대면 데이터의 토출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자 펜(400)에는,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모바일 기기(200)의 기능을 갖게 해도 좋다. 이 경우, 전자 펜(400)은 디스플레이를 갖지 않지만 메뉴 등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갖지 않음으로써, 전자 펜(400)은 경량이 되어 운반에 적합하지만, 그 전자 펜(400)이 보유하는 콘텐츠를 정보 처리 장치(300)의 표시부(302)(대형 디스플레이)에서 그 때마다 확인할 수 있다는 유저의 편리성·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사람이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108: 수신 처리부
106: 송신 처리부
300: 정보 처리 장치
400: 전자 펜
402: 기록부
404: 무선 통신부

Claims (3)

  1. 전자 펜으로서,
    표시부를 구비하는 통신 상대 장치와 근거리 일대일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펜 끝과,
    상기 통신부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 상대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펜 끝으로 지정한 정보를 취득하는 수신 처리부와,
    상기 취득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통신부를 구성하고, 상기 기록부에 기록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를 구비하는, 전자 펜.
  2.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표시부를 갖고, 근거리 일대일 통신에 의해 전자 펜과 통신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근거리 일대일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펜 끝과, 상기 통신부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 상대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펜 끝으로 지정한 정보를 취득하는 수신 처리부와, 상기 취득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통신부를 구성하고, 상기 기록부에 기록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를 갖는 전자 펜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3. 표시부를 구비하는 통신 상대 장치와 근거리 일대일 통신을 행하는 수단,
    상기 통신부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 상대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펜 끝으로 지정한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
    상기 취득한 정보를 기록하는 수단,
    상기 통신부를 구성하고, 상기 기록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110047828A 2010-05-28 2011-05-20 전자 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201101310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23317 2010-05-28
JP2010123317A JP2011248766A (ja) 2010-05-28 2010-05-28 電子ペン、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099A true KR20110131099A (ko) 2011-12-06

Family

ID=4447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828A KR20110131099A (ko) 2010-05-28 2011-05-20 전자 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11965B2 (ko)
EP (1) EP2390762A2 (ko)
JP (1) JP2011248766A (ko)
KR (1) KR20110131099A (ko)
CN (1) CN102262457A (ko)
TW (1) TWI4422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4242B2 (ja) 2010-05-28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1248765A (ja) * 2010-05-28 2011-12-0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1248768A (ja) * 2010-05-28 2011-12-0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681362B2 (en) * 2011-04-14 2014-03-25 Kabushiki Kaisha Toshiba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position detect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248137A (ja) * 2011-05-31 2012-12-13 Sharp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TWI512547B (zh) * 2011-12-20 2015-12-11 Univ Nat Chiao Tung 互動式系統及互動式裝置
JP2013251814A (ja) * 2012-06-01 2013-12-12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
EP2717124A1 (en) * 2012-10-04 2014-04-09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an interference-assessing stylus
CN103853469B (zh) * 2012-11-29 2017-11-28 联想(北京)有限公司 检测方法、移动终端、电子设备
JP2014153782A (ja) * 2013-02-05 2014-08-25 Toshiba Corp 表示処理装置、及び表示処理方法
WO2014155730A1 (ja) * 2013-03-29 2014-10-02 株式会社東芝 表示処理装置、及び表示処理方法
KR102064934B1 (ko) * 2013-07-17 2020-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단말과 전자펜간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963973B2 (en) * 2013-10-10 2021-03-30 Google Llc Generating playlists for a content sharing platform based on user actions
JP6151214B2 (ja) * 2014-04-28 2017-06-2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D785016S1 (en) * 2014-06-23 2017-04-25 Deutsche Bank Ag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547351B2 (en) * 2014-10-02 2020-01-28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06445199A (zh) * 2015-08-13 2017-02-22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触控笔、移动终端以及实现数据的连续应用的方法
EP3443444A4 (en) * 2016-04-14 2020-01-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NCILS
DE102018113615A1 (de) * 2018-06-07 2019-12-12 Nicolas Bissantz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Daten auf einem mobilen Endgerät
JP2020008750A (ja) * 2018-07-10 2020-0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処理方法
US11269428B2 (en) * 2018-09-09 2022-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hanging a mode of operation of a computing device by a pen device
US10732695B2 (en) 2018-09-09 2020-08-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ransitioning a computing device from a low power state based on sensor input of a pen device
CN113110787A (zh) * 2021-04-12 2021-07-13 深圳宏途教育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笔及其互动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0851B2 (en) 2001-08-28 2007-10-09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5100050A (ja) 2003-09-24 2005-04-14 Fuji Xerox Co Ltd 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情報表示方法
US20110019916A1 (en) * 2004-04-23 2011-01-27 Andrew Mackenzie Interactive document reading
SE0402710D0 (sv) * 2004-11-05 2004-11-05 Anoto Ab Management of internal logic for electronic pens
JP2007299134A (ja) 2006-04-28 2007-11-1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電子ペン、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システム
JP4805022B2 (ja) 2006-05-25 2011-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端末装置、画像貼付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の方法
KR100769980B1 (ko) * 2006-09-01 2007-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감각정보 입출력 전자펜 및 전자펜을 이용한 후각정보출력방법
JP2008097151A (ja) 2006-10-06 2008-04-24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650407B2 (ja) 2006-12-12 2011-03-16 ソニー株式会社 無線処理システム、無線処理方法及び無線電子機器
JP4977542B2 (ja) 2007-07-18 2012-07-18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検索表示装置
JP5118409B2 (ja) 2007-08-01 2013-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装置
JP2009049871A (ja) 2007-08-22 2009-03-05 Sony Corp 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JP2009230469A (ja) 2008-03-24 2009-10-08 Kyocera Mita Corp 操作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90295759A1 (en) * 2008-05-29 2009-12-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touch screen pen
CN101615087A (zh) * 2008-06-26 2009-12-30 曜瀚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笔架构及其数据输入方法
JP2010123317A (ja) 2008-11-18 2010-06-03 Toto Ltd 燃料電池セルスタックユニットおよび燃料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14208A (en) 2012-04-01
US8611965B2 (en) 2013-12-17
EP2390762A2 (en) 2011-11-30
US20110294417A1 (en) 2011-12-01
TWI442268B (zh) 2014-06-21
JP2011248766A (ja) 2011-12-08
CN102262457A (zh)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822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549424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10131099A (ko) 전자 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20110131097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US90085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