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122A - 자동제빵기 - Google Patents

자동제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122A
KR20110130122A KR1020100049602A KR20100049602A KR20110130122A KR 20110130122 A KR20110130122 A KR 20110130122A KR 1020100049602 A KR1020100049602 A KR 1020100049602A KR 20100049602 A KR20100049602 A KR 20100049602A KR 20110130122 A KR20110130122 A KR 20110130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d
drive shaft
bread container
grinding
b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아키 다구치
도시하루 후지와라
요시나리 시라이
마사오 하야세
마사유키 시모자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00049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0122A/ko
Publication of KR20110130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7/00Baking plants
    • A21B7/005Baking plants in combination with mixing or kn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a plurality of interchangeable working units, e.g. with a single driving-un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혼련(混練)공정, 발효공정 및 소성공정을 차례차례 수행하는 자동제빵기는 제빵원료를 넣기 위해서 사용되고, 바닥부에 혼련 블레이드와 분쇄 브레이드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수동축을 가지는 빵용기와,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빵용기를 받아 들이는 소성실과, 상기 소성실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동축에 연결하여 이것에 상기 혼련 블레이드용의 회전을 부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구동축과, 상기 소성실의 바닥부에 상기 제1 구동축과 위치를 달리하여 배치되며, 상기 수동축에 연결하여 이것에 상기 분쇄 브레이드용의 회전을 부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구동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제빵기{AUTOMATIC BREAD MACHINE}
본 발명은 주로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자동제빵기에 관한 것이다.
시판되는 가정용 자동제빵기는 제빵원료를 넣은 빵용기를 본체 내의 소성실(燒成室)에 넣고, 빵용기 내의 제빵원료를 혼련(混練) 블레이드(blade)로 혼련하여 반죽하고, 발효공정을 거친 후, 빵용기를 그대로 빵굽기 형틀로 하여 빵을 굽는 구조의 것이 일반적이다. 특허문헌 1에 자동제빵기의 일례를 볼 수 있다.
제빵원료에 건포도나 견과(nut) 등의 속재료를 혼합하여 속재료가 들어간 빵을 굽기도 한다. 특허문헌 2에는 건포도, 견과류, 치즈 등의 제빵 부(副)재료를 자동적으로 투입하는 수단을 구비한 자동제빵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일본국특개2000-116526호공보 [특허문헌2]일본국특허제3191645호공보
빵을 제조하는 경우, 지금까지는 밀이나 쌀 등의 곡물을 제분한 가루나, 그것에 각종 보조원료를 혼합한 믹스가루를 입수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했다. 주위에 곡물알갱이(전형적인 것은 쌀)가 있어도, 그것으로부터 직접 빵을 제조하는 것은 곤란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분(製粉)공정을 거치지 않고 곡물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하는데 편리한 구조를 구비한 자동제빵기를 제공하여, 빵제조를 보다 친근한 것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혼련공정, 발효공정 및 소성공정을 순차(順次) 수행하는 자동제빵기로서, 제빵원료를 넣기 위해서 사용되고, 바닥부에 혼련 블레이드와 분쇄 브레이드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수동축(受動軸)을 가지는 빵용기와,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빵용기를 받아들이는 소성실과, 상기 소성실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동축에 연결하여 이것에 상기 혼련 블레이드용의 회전을 부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구동축과, 상기 소성실의 바닥부에 상기 제1 구동축과 위치를 달리하여 배치되고, 상기 수동축에 연결하여 이것에 상기 분쇄 브레이드용의 회전을 부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구동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최초, 분쇄 브레이드를 장착한 수동축이 제2 구동축에 연결되도록 빵용기를 소성실에 설치하고, 이 빵용기 내에 곡물알갱이를 넣어 그것을 분쇄 브레이드로 분쇄함으로써, 빵용기 내에서 제빵원료를 제조할 수 있다. 그 후, 분쇄 브레이드를 혼련 블레이드로 교환하고, 빵용기의 위치를 바꾸어 수동축을 제1 구동축에 연결함으로써, 제빵원료의 혼련을 실시하여, 발효와 소성공정을 진행해 갈 수 있다. 빵용기 내에서 분쇄한 곡물알갱이를 그대로 빵용기 내에서 빵으로 구울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용기 내에서 곡물알갱이를 분쇄하고 나서 빵용기로 옮기는 것과 달리, 다른 용기에 잔류하여 빵용기에 들어가지 않는다고 하는, 바꾸어 옮기기에 수반하는 로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축과 제2 구동축이 공통의 모터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은 수의 모터로 자동제빵기의 동작을 처리하여, 부품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축과 제2 구동축이 별개의 모터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혼련 블레이드와 분쇄 브레이드에 각각 최적 회전수를 부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자동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제2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는 공통의 제어장치에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분쇄 브레이드의 회전과 혼련 블레이드의 회전을 서로 관련시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곡물알갱이를 분쇄하는 단계와, 분쇄 후의 곡물가루를 혼련하는 단계에서 곡물알갱이의 종류나 양에 적절한 회전을 분쇄 브레이드와 혼련 블레이드에 부여하여 빵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제빵기에 의하면, 제분공정을 거치지 않고, 곡물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빵제조를 보다 친근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제빵기의 수직단면도.
도 2는 도 1의 자동제빵기로부터 뚜껑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3은 도 2의 상태로부터 빵용기를 더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자동제빵기의 상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제빵기의 수직단면도로서, 도 1과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것.
도 5는 도 4의 자동제빵기로부터 뚜껑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제빵기의 제어블럭도.
도 7은 제1 태양의 빵제조공정의 전체 플로우차트.
도 8은 제1 태양의 빵제조공정의 분쇄 전(前) 함침(含浸)공정의 플로우차트.
도 9는 제1 태양의 빵제조공정의 분쇄공정의 플로우차트.
도 10은 제1 태양의 빵제조공정의 혼련공정의 플로우차트.
도 11은 제1 태양의 빵제조공정의 발효공정의 플로우차트.
도 12는 제1 태양의 빵제조공정의 소성공정의 플로우차트.
도 13은 제2 태양의 빵제조공정의 전체 플로우차트.
도 14는 제2 태양의 빵제조공정의 분쇄 후 함침공정의 플로우차트.
도 15는 제3 태양의 빵제조공정의 전체 플로우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제빵기의 수직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제빵기의 수직단면도로서, 도 16과 직각의 방향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제빵기의 수직단면도로서, 도 16과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것.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제빵기의 제어블럭도.
이하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 1로부터 도 15까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로부터 도 5까지에서 도면의 좌측이 자동제빵기(1A)의 좌측, 도면의 우측이 자동제빵기(1A)의 우측이다. 또 도 2, 도 3 및 도 5에서 도면의 하측이 자동제빵기(1A)의 정면(正面)(전면(前面)) 측, 도면의 상측이 자동제빵기(1A)의 배면(背面)(후면) 측이다.
자동제빵기(1A)는 상자형의 본체(10)를 가진다. 본체(10)는 합성수지제의 외각(外殼)을 구비하며, 그 좌측면과 우측면에 양단을 연결한 'コ'자형의 합성수지제 핸들(11)(도 2 참조)을 가지고 운반할 수 있다.
본체(10)의 상면 앞부분에는 조작부(20)가 형성된다. 조작부(20)에는 빵의 종류(밀가루(小麥粉) 빵, 쌀가루 빵, 속재료가 들어간 빵 등)의 선택키, 조리내용의 선택키, 타이머키, 스타트키, 취소키 등이라고 하는 조작키군(群)(21)과, 설정된 조리내용이나 타이머 예약시각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2)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22)는 액정표시패널로 이루어진다.
조작부(20)로부터 뒤의 본체 상면은 합성수지제의 뚜껑(30)으로 덮인다. 뚜껑(30)은 도시하지 않은 경첩축으로 본체(10)의 배면 측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있으며, 그 경첩축을 지점으로 하여 수직면 내에서 회동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소성실(40)이 설치된다. 소성실(40)은 판금제(板金製)로서, 상면이 개구하고 있어 여기로부터 빵용기(50)가 넣어진다. 소성실(40)은 수평 단면 직사각형의 둘레측벽(40a)과 바닥벽(40b)을 구비하고, 본체(10) 내에 설치된 판금제의 기대(基臺)(12)에 바닥벽(40b)을 얹어 놓아서 지지된다.
기대(12)에는 소성실(40)의 중심에 해당하는 개소의 좌우에 알루미늄 합금의 다이캐스트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빵용기 지지부(13L, 13R)가 서로 위치를 달리하여,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빵용기 지지부(13L, 13R)의 내부는 기대(12)에 형성된 개구부와, 소성실(40)의 바닥벽(40b)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소성실(40)의 내부로 노출하고 있다.
빵용기 지지부(13L)의 중심에는 수직인 제1 구동축(14L)이 지지되어 있다. 제1 구동축(14L)의 하단은 빵용기 지지부(13L)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해 있고, 여기에는 풀리(15L)가 고정되어 있다.
빵용기 지지부(13R)의 중심에는 수직인 제2 구동축(14R)이 지지되어 있다. 제2 구동축(14R)의 하단은 빵용기 지지부(13R)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해 있고, 여기에는 풀리(15R)가 고정되어 있다.
빵용기 지지부(13L 및 13R)는 빵용기(50)의 바닥면에 고정된 통 모양의 대좌(臺座)(51)를 받아들여 빵용기(50)를 지지한다. 대좌(51)도 알루미늄 합금의 다이캐스트 성형품이다.
빵용기(50)는 판금제로서, 물통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고, 입구 가장자리에는 휴대용의 핸들(도시생략)이 장착되어 있다. 빵용기(50)의 수평 단면은 네 모서리를 둥글게 한 직사각형이며, 사변 중 대향하는 두 변의 내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밭이랑 모양의 돌기부(50a)(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빵용기(50)의 바닥부 중심에는 혼련 블레이드(52)가 배치된다. 혼련 블레이드(52)는 빵용기(50)의 바닥부 중심에 밀봉대책을 실시하여 지지된 수직인 수동축(53)의 상단의 비원형 단면부에 단순히 끼워 넣어져 장착되어 있어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착탈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다른 종류의 혼련 블레이드(52)로 용이하게 교환 가능하다.
수동축(53)에는 혼련 블레이드(52)에 대신하여 분쇄 브레이드(70)(도 4 참조)를 장착할 수 있다. 분쇄 브레이드(70)도 수동축(53)의 상단의 비원형 단면부에 단순히 끼워 넣어져 장착된다.
수동축(53)은 제1 구동축(14L)과 제2 구동축(14R) 중 어느 한쪽에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동력전달수단으로서는 대좌(51)에 둘러싸지는 커플링(54)이 이용된다. 즉, 커플링(54)을 구성하는 2부재 가운데, 한쪽의 부재(54a)는 수동축(53)의 하단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부재(54b)는 제1 구동축(14L)의 상단과 제2 구동축(14R)의 상단에 1개씩 고정된다.
대좌(51)의 외주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돌기가 형성되고, 빵용기 지지부(13L, 13R)에 대응하여 기대(12)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부의 주연에는 이 돌기를 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절개부가 형성된다. 이 돌기와 절개부로 주지의 바요넷트(bayonet) 구조를 구성한다. 즉 빵용기(50)를 빵용기 지지부(13L 또는 13R)에 장착할 때, 빵용기(50)를 돌기와 절개부가 일치하는 각도에서 내려, 돌기가 절개부를 빠져나간 후, 빵용기(50)를 수평 방향으로 비틀면 돌기가 기대(12)의 개구부 아래 가장자리에 결합하여, 빵용기(50)가 위쪽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 조작으로, 커플링(54)의 연결도 동시에 달성되도록 구성된다. 빵용기(50)의 설치시 비틂 방향은 혼련 블레이드(52) 또는 분쇄 브레이드(70)의 회전 방향에 일치시키고, 혼련 블레이드(52) 또는 분쇄 브레이드(70)가 회전해도 빵용기(50)가 빠지지 않도록 해 둔다.
빵용기 지지부(13L)에 장착되고, 수동축(53)을 제1 구동축(14L)에 연결한 상태의 빵용기(5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성실(40) 내의 왼쪽에 위치한다. 빵용기 지지부(13R)에 장착되고, 수동축(53)을 제2 구동축(14R)에 연결한 상태의 빵용기(5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성실(40) 내의 왼쪽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위치를 바꾸는 빵용기(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성실(40)은 좌우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소성실(40)의 내부에 배치된 가열장치(41)가 빵용기(50)를 포위하여, 제빵원료를 가열한다. 가열장치(41)는 시즈(sheath) 히터로 구성된다.
기대(12)에는 모터(60)가 장착된다. 모터(60)는 수직축으로서 하면으로부터 출력축(61)이 돌출한다. 출력축(61)에는 제1 구동축(14L)의 풀리(15L)에 벨트(62L)로 연결하는 풀리(63L)와, 제2 구동축(14R)의 풀리(15R)에 벨트(62R)로 연결하는 풀리(63R)가 고정되어 있다.
제1 구동축(14L)은 혼련 블레이드(52)를 회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저속·고토크의 회전이 요구된다. 제2 구동축(14R)은 분쇄 브레이드(70)를 회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고속회전이 요구된다. 그래서, 풀리(63L)는 풀리(15L)를 감속회전시키고, 풀리(63R)는 풀리(15R)를 증속회전시키도록 풀리끼리의 직경비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일의 모터(60)로부터 성질이 다른 2종류의 회전을 얻음으로써, 부품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뚜껑(30)에는 소성실(40)을 덮는 부분에 천장(31)이 설치된다. 천장(31)은 금속판을 돔 모양으로 성형한 것이며, 그 꼭대기부는 뚜껑(30)에 설치된 관찰창(32)에 연결되어 있다. 관찰창(32)에는 내열유리가 끼워 넣어진다.
빵용기(50)에 대해, 내부뚜껑(55)(도 4 참조)이 준비된다. 내부뚜껑(55)은 금속제로서, 통상의 냄비뚜껑과 같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중앙에 손잡이(56)가 설치되어 있다.
자동제빵기(1A)의 동작제어는, 도 6에 나타내는 제어장치(80)에 의해서 행해진다. 제어장치(80)는 본체(10) 내의 적소(適所)(소성실(40)의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개소가 바람직함)에 배치된 회로기판에 의해 구성되고, 지금까지 설명한 조작부(20) 및 가열장치(41) 외에, 모터(60)의 모터 드라이버(64)와 온도센서(81)가 접속된다. 온도센서(81)는 소성실(40) 내에 배치되어 소성실(40)의 온도를 검지한다. 82는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용 전원이다.
이어서, 자동제빵기(1A)를 이용하여 곡물알갱이로부터 빵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 7에서 도 12까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 중에 도 7에서 도 12까지의 도면에 나타내는 것이 제1 태양의 빵제조공정이다.
도 7은 제1 태양의 빵제조공정의 전체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서는 분쇄 전(前) 함침공정(#10), 분쇄공정(#20), 혼련공정(#30), 발효공정(#40), 소성공정(#50)의 순서로 공정이 진행한다. 이어서, 각 공정의 내용을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분쇄 전 함침공정(#10)에서는, 우선 스텝 #11에서 사용자가 곡물알갱이를 계량(計量)하고, 소정량을 빵용기(50)에 넣는다. 곡물알갱이로서는 쌀알갱이가 가장 입수하기 쉽지만, 그 이외의 곡물, 예를 들면 밀, 보리, 밤, 피, 메밀, 옥수수 등의 알갱이도 이용 가능하다.
스텝 #12에서는 사용자가 액체를 계량하여 소정량을 빵용기(50)에 넣는다. 액체로서 일반적인 것은 물이지만, 맛국물과 같은 맛 성분을 가지는 액체라도 되고, 과즙이라도 된다.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스텝 #11과 스텝 #12는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다.
빵용기(50)에 곡물알갱이와 액체를 넣는 작업은 빵용기(50)를 소성실(40)로부터 내어 행해도 되며, 빵용기(50)를 소성실(40)에 넣은 채로 행하여도 된다. 빵용기(50)를 소성실(40)에 넣은 채로 상기 작업을 행할 때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빵용기(50)를 빵용기 지지부(13R)에 장착하고, 수동축(53)을 제2 구동축(14R)에 연결시켜 둔다. 수동축(53)에는 분쇄 브레이드(70)를 장착해 둔다. 소성실(40)의 밖에서 빵용기(50)에 곡물알갱이와 액체를 넣는 경우도 수동축(53)에는 분쇄 브레이드(70)를 장착해 둔다.
소성실(40) 내의 빵용기(50)에 곡물알갱이와 액체를 넣으면, 혹은 외부에서 곡물알갱이와 액체를 넣은 빵용기(50)를 빵용기 지지부(13R)에 장착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빵용기(50)에 내부뚜껑(55)을 씌워 뚜껑(30)을 닫는다. 여기서 사용자는 조작부(20) 중의 소정의 조작키를 눌러, 액체함침의 타임 카운트를 스타트시킨다. 이 시점으로부터 스텝 #13이 시작된다.
스텝 #13에서는 곡물알갱이와 액체의 혼합물을 빵용기(50) 내에서 정치(靜置)하고, 곡물알갱이에 액체를 함침시킨다. 일반적으로, 액체온도가 높아질수록 함침이 촉진되므로, 가열수단(41)에 통전하여 소성실(40)의 온도를 높이도록 해도 된다.
스텝 #14에서는 곡물알갱이와 액체의 정치를 개시하고 나서 얼마나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제어장치(80)가 체크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분쇄 전 함침공정(#10)은 종료한다. 이것은 표시부(22)에서의 표시나, 음성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분쇄 전 함침공정(#10)에 이어서, 도 9에 나타내는 분쇄공정(#20)이 수행된다. 사용자가 조작부(20)을 통해 분쇄작업 데이터(곡물알갱이의 종류나 양, 이것으로부터 굽는 빵의 종류 등)를 입력하고, 스타트키를 누르면, 분쇄가 개시된다.
스텝 #21에서는 제어장치(80)가 모터(60)를 구동하고, 제1 구동축(14L)과 제2 구동축(14R)의 양쪽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2 구동축(14R)에 연결한 수동축(53)이 분쇄 브레이드(70)용으로 설정된 고속 회전으로 회전한다. 분쇄 브레이드(70)는 곡물알갱이와 액체의 혼합물 중에서 곡물알갱이를 분쇄한다. 분쇄 브레이드(70)에 의한 분쇄는 곡물알갱이에 액체가 침입한 상태로 행해지기 때문에, 곡물알갱이를 중심까지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다. 빵용기(50)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50a)가 곡물알갱이와 액체의 혼합물의 유동을 억제하여 분쇄를 돕는다. 내부뚜껑(55)이 빵용기(50)의 상면 개구를 닫고 있으므로, 곡물알갱이나 액체가 빵용기(50)의 밖으로 비산(飛散)하지 않는다.
스텝 #22에서는 소망의 분쇄 곡물알갱이를 얻기 위해서 설정대로의 분쇄 패턴(분쇄 브레이드를 연속 회전시키는지, 정지 기간을 끼워 넣어 단속 회전시키는지, 단속 회전시키는 경우, 어떻게 인터벌을 취하는지, 회전 시간의 길이를 어떻게 하는지 등)이 완수되었는지를 제어장치(80)가 체크한다. 설정대로의 분쇄 패턴이 완수되면 스텝 #23으로 진행되어 분쇄 브레이드(70)의 회전을 종료하고, 분쇄공정(#20)은 종료한다. 이것은 표시부(22)에서의 표시나, 음성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분쇄 전 함침공정(#10) 후, 사용자의 조작으로 분쇄공정(#20)이 개시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분쇄 전 함침공정(#10) 전이나, 분쇄 전 함침공정(#10)의 도중에 분쇄작업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여, 분쇄 전 함침공정(#10)의 종료 후, 자동적으로 분쇄공정(#20)이 개시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분쇄공정(#20)에 이어서, 도 10에 나타내는 혼련공정(#30)이 수행된다. 그에 앞서 사용자는 뚜껑(30)을 열어 빵용기(50)를 빵용기 지지부(13R)로부터 떼어낸다. 그리고 그 빵용기(50)를 빵용기 지지부(13L)에 장착하고, 수동축(53)을 제1 구동축(14L)에 연결한다. 그리고 수동축(53)으로부터 분쇄 브레이드(70)를 떼어내고, 혼련 블레이드(52)로 교환한다. 이 교환작업은 분쇄 곡물알갱이와 액체의 혼합물이 빵용기(50)의 바닥에 모여 있는 상태로 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수동축(53)에 끼워 넣기 위해 분쇄 브레이드(70)와 혼련 블레이드(52)의 각각 회전 중심에 설치한 슬리브를 키가 큰 것으로 하고, 분쇄 곡물알갱이와 액체의 혼합물에 손가락끝을 담그지 않아도 분쇄 브레이드(70)와 혼련 블레이드(52)를 집을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좋다.
빵용기 지지부(13R)로부터 빵용기 지지부(13L)로의 빵용기(50)의 교체작업과 분쇄 브레이드(70)를 혼련 블레이드(52)로 교환하는 작업이 종료하면, 뚜껑(30)을 닫는다. 이것에 의해, 도 1과 도 2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내부뚜껑(55)은 불필요하므로 정리해 둔다.
혼련공정(#30)에 들어가는 시점에서는 빵용기(50) 안의 곡물알갱이와 액체는 페이스트 상태 또는 슬러리(slurry) 상태의 생지(生地)원료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혼련공정(#30)의 개시시점의 것을 「생지원료」라고 호칭하고, 혼련이 진행하여 목적으로 하는 생지상태에 가까워진 것은 반(半)완성 상태라도 「생지」라고 호칭하는 것으로 한다.
스텝 #31에서는 사용자가 뚜껑(30)을 열어 생지원료에 소정량의 글루텐(gluten)을 투입한다. 필요에 따라 식염, 설탕, 쇼트닝(shortening)이라고 하는 조미재료도 투입한다.
사용자는 스텝 #31에 전후하여, 조작부(20)로부터 빵의 종류나 조리내용의 입력을 행한다. 준비가 구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타트키를 누르면, 혼련공정(#30)으로부터 발효공정(#40), 또한 소성공정(#50)으로 자동적으로 연속하는 제빵 작업이 개시된다.
스텝 #32에서는, 제어장치(80)는 모터(60)를 구동한다. 그러면, 생지원료 중에서 혼련 블레이드(52)가 회전을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구동축(14L)에는 모터(60)의 회전이 감속되어 전해지므로, 혼련 블레이드(52)의 회전은 저속력·고토크의 것이 된다.
제어장치(80)는 모터(60)를 구동하면서 가열장치(41)로 통전하여 소성실(40)의 온도를 올린다. 혼련 블레이드(52)가 회전함에 따라 생지원료는 혼련되어 소정의 탄력을 구비하는 하나로 이어진 생지(dough)로 반죽되어 간다. 혼련 블레이드(52)가 생지를 휘둘러 빵용기(50)의 내벽에 내던짐으로써, 혼련에 「반죽」의 요소가 가해지게 된다. 빵용기(50)의 내벽에 형성된 돌기부(50a)가 「반죽」을 돕는다.
스텝 #33에서는 혼련 블레이드(52)의 회전개시 이래 얼마나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제어장치(80)가 체크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했다면 스텝 #34로 진행된다. 스텝 #34에서는 사용자가 뚜껑(30)을 열어 생지에 이스트균을 투입한다.
스텝 #35에서는 생지에 이스트균을 투입하고 나서 얼마나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제어장치(80)가 체크한다. 소망한 생지를 얻는데 필요한 시간이 경과했다면 스텝 #36으로 진행되어 혼련 블레이드(52)의 회전이 종료된다. 이 시점에서 하나로 이어져 필요한 탄력을 구비한 생지가 완성되어 있다.
또한 스텝 #34에서 생지에 투입하는 이스트균은 드라이 이스트가 좋다. 이스트균 대신에 베이킹 파우더를 이용해도 된다.
혼련공정(#30)에 이어서, 도 11에 나타내는 발효공정(#40)이 수행된다. 스텝 #41에서는 혼련공정(#30)을 거친 생지가 발효환경에 놓인다. 즉 제어장치(80)는 소성실(40)을, 필요하면 가열장치(41)로 통전하여, 발효가 진행되는 온도대(帶)로 한다. 사용자는 생지를 필요에 따라 형태를 만들어 정치한다.
스텝 #42에서는 생지를 발효환경에 두고 나서 얼마나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제어장치(80)가 체크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발효공정(#40)은 종료한다.
발효공정(#40)에 이어서, 도 12에 나타내는 소성공정(#50)이 수행된다. 스텝 #51에서는 발효한 생지가 소성환경에 놓인다. 즉 제어장치(80)는 빵굽기에 필요한 전력을 가열장치(41)에 보내어, 소성실(40)의 온도를 빵굽기 온도대까지 상승시킨다.
스텝 #52에서는 생지를 소성환경에 두고 나서 얼마나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제어장치(80)가 체크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소성공정(#50)은 종료한다. 여기서 표시부(22)에서의 표시 또는 음성에 의해 제빵 완료의 알림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뚜껑(30)을 열어 빵용기(50)를 꺼낸다.
또한 소성공정(#50) 동안, 사용자는 관찰창(32)으로부터 빵용기(50)의 내부를 들여다 보고, 빵의 부푼 상태나 구운 색이 띄는 상태 등을 체크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태양의 제빵공정을 도 13 내지 도 1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2 태양의 빵제조공정의 전체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에서는 분쇄공정(#20), 분쇄 후 함침공정(#60), 반죽공정(#30), 발효공정(#40), 소성공정(#50)의 순서로 공정이 진행한다. 이어서, 도 14에 근거하여 분쇄 후 함침공정(#60)의 내용을 설명한다.
스텝 #61에서는 분쇄공정(#20)에서 형성된 생지원료가 빵용기(50)의 내부에서 정치된다. 이 생지원료는 분쇄 전 함침공정을 거치지 않았던 것이다. 정치되어 있는 동안에, 분쇄 곡물알갱이에 액체가 침입해 간다. 제어장치(80)는 필요에 따라 가열장치(41)에 통전하여 생지원료를 가열하여 함침을 촉진한다. 또한, 이 때의 빵용기(50)는 빵용기 지지부(13R)에 장착한 상태에서도 되고, 빵용기 지지부(13L)에 장착한 상태에서도 된다.
스텝 #62에서는 정치개시 이래 얼마나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제어장치(80)가 체크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했다면 분쇄 후 함침공정(#60)은 종료한다. 분쇄 후 함침공정(#60)이 종료하면 혼련공정(#30)으로 이행한다. 빵용기(50)가 빵용기 지지부(13L)에 지지되어 수동축(53)에 혼련 블레이드(52)가 장착된 상태로 분쇄 후 함침공정(#60)이 수행된 것이면, 자동적으로 혼련공정으로 이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혼련공정(#30) 이후의 공정은 제1 태양의 제빵공정과 동일하다.
이어서, 제3 태양의 제빵공정을 도 15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제3 태양의 빵제조공정의 전체 플로우차트이다. 여기서는, 분쇄공정(#20)의 전에 제1 태양의 분쇄 전 함침공정(#10)을 두고, 분쇄공정(#20)의 뒤에 제2 태양의 분쇄 후 함침공정(#60)을 두고 있다. 혼련공정(#30) 이후의 공정은 제1 태양의 제빵공정과 동일하다.
분쇄 브레이드(70)는 곡물알갱이를 분쇄할 뿐만 아니라, 견과(nut)류나 엽채(葉菜) 등의 속재료의 작은 조각화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알갱이의 세세한 속재료를 넣은 빵을 구울 수 있다. 분쇄 브레이드(70)는 빵에 혼합하는 속재료 이외의 식품 재료나, 생약 원료의 분쇄에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9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 중에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기능이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제1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것과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1B)가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1A)와 다른 것은 제1 구동축(14L)과 제2 구동축(14R)이 별개의 모터로 구동된다고 하는 것이다. 즉 기대(12)에는 수직축의 모터(90)(도 17 참조)가 장착되고, 모터(90)의 출력축(91)에는 풀리(92)가 고정되며, 풀리(92)와 제1 구동축(14L)의 풀리(15L)가 벨트(93)로 연결되어 있다. 빵용기 지지부(13R)의 옆에서는 제2 구동축(14R)에 모터(94)가 직결하고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90)에는 모터 드라이버(95)가 조합하게 되며, 모터(94)에는 모터 드라이버(96)를 조합하게 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서는 빵용기(50)가 빵용기 지지부(13L)에 장착되고, 수동축(53)이 제1 구동축(14L)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제1 구동축(14L)에 혼련 블레이드(52)용의 회전을 주는 모터(90)에는 저속럭·고토크 타입의 것을 선택한다.
도 18에서는 빵용기(50)가 빵용기 지지부(13R)에 장착되고, 수동축(53)이 제2 구동축(14R)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제2 구동축(14R)에 분쇄 브레이드(70)용의 회전을 주는 모터(94)에는 고속 타입의 것을 선택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혼련 블레이드(52)와 분쇄 브레이드(70)를 서로의 동작과 무관하게 구동할 수 있다. 또, 혼련 블레이드(52)와 분쇄 브레이드(70)에 각각 최적 회전수를 주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제1 실시형태의 자동제빵기(1A)와 달리, 수동축(53)이 제1 구동축(14L)과 함께 회전하고 있을 때 제2 구동축(14R)도 회전하는 경우, 수동축(53)이 제2 구동축(14R)과 함께 회전하고 있을 때 제1 구동축(14L)도 회전하는 경우는 없다.
제1 실시형태에서도 제2 실시형태에서도 단일의 제어장치(80)에 의해, 분쇄 브레이드(70)의 회전과 혼련 블레이드(52)의 회전을 서로 관련시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곡물알갱이를 분쇄하는 단계와 분쇄 후의 곡물가루를 혼련 하는 단계에서 곡물알갱이의 종류나 양에 적절한 회전을 분쇄 브레이드(70)와 혼련 블레이드(52)에 주어 빵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주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4)

  1. 혼련(混練)공정, 발효공정 및 소성(燒成)공정을 순차(順差) 수행하는 자동제빵기로서,
    제빵원료를 넣기 위해서 사용되며, 바닥부에 혼련 블레이드(blade)와 분쇄 브레이드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수동축(受動軸)을 가지는 빵용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빵용기를 받아들이는 소성실;
    상기 소성실의 바닥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동축에 연결하여 이것에 상기 혼련 블레이드용의 회전을 부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구동축;
    상기 소성실의 바닥부에 상기 제1 구동축과 위치를 달리하여 배치되고, 상기 수동축에 연결하여 이것에 상기 분쇄 브레이드용의 회전을 부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구동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축과 제2 구동축이 공통의 모터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빵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축과 제2 구동축이 별개의 모터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빵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제2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는 공통의 제어장치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빵기.
KR1020100049602A 2010-05-27 2010-05-27 자동제빵기 KR20110130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602A KR20110130122A (ko) 2010-05-27 2010-05-27 자동제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602A KR20110130122A (ko) 2010-05-27 2010-05-27 자동제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122A true KR20110130122A (ko) 2011-12-05

Family

ID=4549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602A KR20110130122A (ko) 2010-05-27 2010-05-27 자동제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01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9795B2 (ja) 自動製パン機
EP2308312A1 (en) Method for producing food dough to be cooked and method for producing bread
US20120125207A1 (en) Automatic bread making machine
US20110048247A1 (en) Automatic bread maker
JP2010035476A (ja) パン製造方法
JP5347833B2 (ja) 自動製パン器
JP5289245B2 (ja) 自動製パン機
US20120125208A1 (en) Automatic bread-maker
JP5295039B2 (ja) 自動製パン機
US20110290121A1 (en) Automatic bread making machine
JP2011152272A (ja) 自動製パン機
JP5295040B2 (ja) 自動製パン機
JP4859965B2 (ja) 自動製パン機
TWI406646B (zh) 自動製麵包機
KR20110130122A (ko) 자동제빵기
US20120266757A1 (en) Automatic bread maker
JP2010246589A (ja) 自動製パン機
JP2010184081A (ja) 自動製パン機
JP5682695B2 (ja) 自動製パン機
JP2003000440A (ja) 製パン機
JP2010184082A (ja) 自動製パン機
CN102258069B (zh) 自动制面包机
JP5295041B2 (ja) 自動製パン機
WO2010117049A1 (ja) ミキサー用アタッチメント、ミキサー用アタッチメントを使用するパン製造方法、ミキサー用アタッチメントを使用するパン生地製造方法、及び回転駆動装置
JP2010246590A (ja) 自動製パン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