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909A - 학습기 및 그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학습기 및 그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909A
KR20110127909A KR1020100047420A KR20100047420A KR20110127909A KR 20110127909 A KR20110127909 A KR 20110127909A KR 1020100047420 A KR1020100047420 A KR 1020100047420A KR 20100047420 A KR20100047420 A KR 20100047420A KR 20110127909 A KR20110127909 A KR 20110127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hidden mode
learning
block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태민
윤재원
Original Assignee
양태민
윤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태민, 윤재원 filed Critical 양태민
Priority to KR1020100047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7909A/ko
Publication of KR20110127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학습기 재생시 불필요한 재생영역을 스킵할 수 있는 학습기 및 그의 작동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기는 복수 개의 콘텐츠 블록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학습 콘텐츠를 음성 또는 영상 형태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 개의 콘텐츠 블록에 포함된 콘텐츠가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콘텐츠 블록 중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을 제외하고 숨김 모드로 설정되지 않은 블록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학습기 및 그의 작동 방법{Teaching machine and fun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학습기 재생시 불필요한 재생영역을 스킵할 수 있는 학습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외국어 학습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효과적으로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학습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어학학습을 위한 장치나 기기로는 어학학습용 교재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음성화하여 녹음시킨 테이프와, 이 테이프를 순차로 재생시키거나 특정한 녹음구간을 지정하여 반복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를 사용한다.
그러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는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테이프가 열화되어 음질의 저하를 가져오고, 지정된 구간을 반복적으로 재생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디지탈 메모리 IC(Integrated Circuit)를 채용하여야 하며, 센텐스 백(sentenceback)이라는 별도의 입력 버튼을 사용하여 반복하고자 할 때마다 사용자가 입력버튼을 눌러서 동작시켜야 하므로 제조가 복잡하고 사용에 있어서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성을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기술을 채용하여, 어학학습 내용을 디지탈 데이타로 저장한 디지탈 학습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디지탈 어학 학습기는, 일반적인 MP3 플레이어와 같이 어학학습 내용을 단순히 디지탈화하여 기록된 순서에 따라서 파일별로 재생하도록 하는 기능만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실제로 디지탈로 저장된 어학학습내용을 학습할 경우, 학습한 파일중에 학습이 완료된 부분까지도 취사 선택할 수 없이 순차적으로 들으면서, 원하는 곳을 듣기 위해 버튼을 수동적으로 작동해야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다음번의 학습시간에도 이와 같은 번거로움이 지속적으로 반복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학습기 재생시 불필요한 재생영역을 스킵할 수 있는 학습기 및 그의 작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학습기는 복수 개의 콘텐츠 블록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학습 콘텐츠를 음성 또는 영상 형태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콘텐츠 블록에 포함된 콘텐츠가 상기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콘텐츠 블록 중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을 제외하고 숨김 모드로 설정되지 않은 블록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기는 외부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여,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받거나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블록은 외부 신호 저장영역 및 콘텐츠 저장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신호 저장영역에는 상기 콘텐츠 저장영역의 숨김 모드 설정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콘텐츠 저장영역은 복수 개의 소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신호 저장영역은 상기 복수 개의 소영역 중 하나 이상의 소영역에 대한 숨김 모드 설정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학습 콘텐츠는 데이터 파일의 정보 또는 학습자의 설정 내용이 저장되는 헤더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 콘텐츠의 특정 콘텐츠 블록 재생시, 상기 입력부로부터 숨김 모드 설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숨김 모드 설정 신호 수신 시점에서 재생 중인 상기 콘텐츠 블록을 숨김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블록 중 출력하고자 하는 콘텐츠 블록의 개수를 설정하는 단위학습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단위학습 버튼에 의하여 콘텐츠 블록의 개수가 설정된 경우,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블록 중 상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블록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된 블록이 모두 숨김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출력된 블록의 다음 블록부터 상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블록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학습기 작동 방법은 복수 개의 콘텐츠 블록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이용한 학습 방법으로서, 학습기에서,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블록을 재생하는 제 1 재생 단계와, 상기 학습기에서, 상기 콘텐츠 블록 재생 중 숨김 모드 설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숨김 모드 설정 신호 수신 시점에서 재생 중인 상기 콘텐츠 블록을 숨김 모드로 설정하는 숨김 모드 설정 단계 및 상기 학습기에서,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블록 중, 숨김 모드로 설정되지 않은 블록만을 재생하는 제 2 재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재생 단계의 수행 전, 상기 제 1 재생 단계 및 상기 제 2 재생 단계에서 재생되는 콘텐츠 블록의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숨김 모드 설정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블록의 숨김 모드 설정 시, 해당 콘텐츠 블록의 숨김 모드 설정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재생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을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을 상기 숨김 모드 설정 시간이 빠른 순서로 또는 느린 순서로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어느 한 방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스킵 버튼을 형성하여 학습 콘텐츠의 숨김 모드 블록을 형성함으로써, 학습 콘텐츠 재생 중 불필요한 재생영역을 스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학습시간이 단축되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집중력이 지속되어 효율적으로 학습내용을 학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기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a 및 2b는 도 1에 도시된 학습 콘텐츠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기의 외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기의 작동 방법을 순차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기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상기 도 1에 도시된 학습 콘텐츠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학습기의 외관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기(100)는 복수 개의 콘텐츠 블록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02)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08), 상기 학습 콘텐츠를 음성 또는 영상 형태로 출력하는 출력부(122) 및 상기 입력부(108)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콘텐츠 블록에 포함된 콘텐츠가 상기 출력부(122)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콘텐츠 블록 중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을 제외하고 숨김 모드로 설정되지 않은 블록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학습기(100)는 외부기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여,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받거나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02)는 사용자의 학습 내용이 디지털 학습 콘텐츠(106)로 변환되어 저장된 메모리 카드(1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카드(104)는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휘발성 메모리 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 탈착식 메모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104)에 저장된 학습내용은 상기 사용자가 학습하고자하는 음성, 문자, 그리고 화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된 학습내용은 통상의 어학교육을 위한 텍스트 교재와 오디오 또는 비디오 교재의 내용이 단어, 문장, 또는 단원 단위로 분류하여 변환된 디지털 학습 콘텐츠 형태의 정보이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카드(104)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상기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카드(104)에 구성된 학습 콘텐츠(106)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 카드(104)에는 사용자의 학습 내용이 디지털 콘텐츠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학습 콘텐츠(106)는 복수 개의 콘텐츠 블록(206, 208, ...)을 포함하며, 각각의 콘텐츠 블록(206, 208, ...)은 외부 신호 저장영역(202) 및 콘텐츠 저장영역(2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콘텐츠 저장영역(204)에는 사용자의 학습 내용이 디지털 학습 콘텐츠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학습 콘텐츠(106)가 “미국 드라마”일 경우, 상기 콘텐츠 저장영역(204)에는 상기 미국 드라마의 각 장면들 및 해당 장면에 대응되는 자막 및 음성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첫 번째 콘텐츠 블록에는 상기 미국 드라마의 첫 대사의 영상, 음성, 자막 데이터, 다음 콘텐츠 블록에는 두 번째 대사의 영상, 음성, 자막 데이터 등과 같이 콘텐츠 블록마다 상기 미국 드라마가 대사 단위별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신호 저장영역(202)은 상기 콘텐츠 저장영역(204)의 앞 또는 뒤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하나의 외부 신호 저장영역 및 하나의 콘텐츠 저장영역이 하나의 쌍을 이룬다. 상기 외부 신호 저장영역(202)은 해당 콘텐츠 저장영역(204)의 숨김 모드 설정 정보가 저장된다.
이와 같이 외부 신호 저장영역(202) 및 콘텐츠 저장영역(204)으로 구성된 상기 학습 콘텐츠(106)의 특정 블록이 재생되는 중에 상기 사용자가 스킵(skip)하고자 하는 콘텐츠 저장영역이 재생되면,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08)의 스킵 버튼(306)을 누른다. 상기 학습 콘텐츠(106)의 상기 사용자 입력(스킵 버튼 누름)에 따라 상기 입력부(108)로부터 숨김 모드 설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숨김 모드 설정 신호 수신 시점에서 재생 중인 해당 콘텐츠 블록을 숨김 모드 블록으로 설정한다. 상기 숨김 모드 블록 설정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신호 저장영역(202)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먼저, 사용자가 상기 외부 신호 저장영역(202a)이 0으로 설정된 상기 콘텐츠 저장영역(204a)를 출력한다.
여기서, 외부 신호 저장영역(202a)이 0으로 설정된 것은 해당 상기 콘텐츠 블록(206)이 숨김 모드 블록으로 설정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다음, 상기 콘텐츠 블록(206) 출력중 사용자가 상기 스킵 버튼(306)을 누르게 되면, 누른 시점과 대응되는 해당 콘텐츠 블록이 숨김 모드 블록(208)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상기 숨김 모드 블록(208)의 외부 신호 저장 영역(202b)이 1로 설정되어, 해당 블록이 숨김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숨김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208)은 다음 상기 학습기(100) 재생 시에 재생되지 않는다.
도 2b는 상기 도 2a에 기재된 실시예에서 콘텐츠 저장영역(204)이 복수 개의 소영역으로 분리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콘텐츠 저장영역(204a, 204b, ...)이 다수의 소영역, 즉 제 1콘텐츠 저장영역(204a-1) 및 제 2콘텐츠 저장영역(204a-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콘텐츠 저장영역(204a, 204b, ...) 부분의 재생 시 사용자가 스킵 버튼(306)을 누를 횟수를 상기 외부 신호 저장 영역(202a, 202b, ...)에 저장하고, 이에 따라 하나의 콘텐츠 저장영역 내의 각각의 소영역들의 재생 또는 스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콘텐츠 저장 영역이 제 1콘텐츠 저장 영역 및 제 2콘텐츠 저장 영역의 두 개의 소영역을 나뉠 경우, 해당 콘텐츠 저장 영역 재생시 사용자가 스킵 버튼을 1번 누른 경우에는 제 2콘텐츠 저장 영역만을 스킵하고, 2번 누른 경우에는 제 1 및 제 2콘텐츠 저장 영역 모두를 스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버튼 입력 횟수에 따른 스킵 영역의 결정은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정해질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버튼 입력 횟수에 따라 가장 앞의 소영역부터 순차적으로 스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학습 콘텐츠(106)는 상기 학습 콘텐츠(106)의 정보 또는 사용자의 설정 내용이 저장되는 헤더 영역(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 영역(200)은 상기 학습 콘텐츠(106)의 처음영역 또는 끝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신호 저장영역(202) 및 콘텐츠 저장영역(204)은 하나의 파일 내에 연속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으나, 상기 콘텐츠 저장영역(204)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상기 외부 신호 저장영역(202)은 휘발성 메모리에 각각 저장될 수도 있다. 이는 악의적 사용자에 의한 상기 콘텐츠 저장영역(204)에 저장된 콘텐츠의 임의적인 변경 및 복제 등을 막기 위한 것이다.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 1에 도시된 상기 학습기의 외관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학습기(100)는 다수의 입력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학습기(100)는 실행을 위한 여러가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로 버튼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출력부의 표시장치에 버튼형상을 그래픽으로 출력하고 버튼이 출력된 위치에서 버튼이 선택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은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사각 판 형상의 외관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버튼의 위치 및 형상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당업자 및 사용자가 학습기를 이용할 수 있는 용이한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입력버튼은 재생 중인 상기 학습 콘텐츠(106)의 앞, 뒤 블록을 검색할 수 있는 다이얼 버튼(304), 사용자가 상기 학습 콘텐츠(106)를 숨김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스킵(skip) 버튼(306), 상기 학습 콘텐츠(106)를 재생 또는 일시 정지할 수 있는 재생/일시정지 버튼(308), 재생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배속 버튼(310) 및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설정을 삭제할 수 있는 리셋 버튼(3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콘텐츠(106)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블록(206) 중 출력하고자 하는 콘텐츠 블록의 개수를 설정하는 단위학습 버튼(314) 및 숨김 모드로 설정된 콘텐츠 블록을 재학습할 수 있는 복습 버튼(3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얼 버튼(304)은 외관에 상측(▲) 방향키, 하측(▼) 방향키, 좌측(◀) 방향키, 우측(▶) 방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방향키 및 우측(▶) 방향키로는 재생 중인 학습 콘텐츠(106)의 앞, 뒤 블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측(▲) 방향키, 하측(▼) 방향키는 표시장치에 나타나는 상부 메뉴 및 하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다이얼 버튼(304)의 작동원리는 통상적인 어학기에서 이용하는 전,후방 검색버튼 및 상부 및 하부 검색 버튼의 작동원리를 이용하는 것이기에 이에 따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킵 버튼(306)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학습 콘텐츠(106) 재생시 원하는 콘텐츠 저장영역을 숨김모드(hidden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숨김모드란, 사용자가 상기 학습 콘텐츠(106)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내용을 재생하고 있을시 이미 알고 있는 내용으로 더 이상의 재생을 원치 않는 부분이다. 이는 먼저, 사용자가 상기 학습 콘텐츠(106)의 특정 콘텐츠 블록 재생시 상기 스킵 버튼(306)을 누른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부(108)로부터 숨김모드 설정 신호가 상기 제어부(110)로 송신되면, 상기 숨김 모드 설정 신호 수신 시점에서 재생 중인 해당 콘텐츠 블록을 숨김 모드 블록(208)으로 설정한다. 이후 다음 학습기 재생시, 상기 학습 콘텐츠(106) 중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을 제외하고 숨김 모드로 설정되지 않은 블록만이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미 알고 있는 콘텐츠 블록을 숨김모드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학습 콘텐츠(106)의 재생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학습에 필요한 블록에만 집중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켜 효과적으로 학습내용을 학습할 수 있다.
상기 재생/일시정지 버튼(308), 배속 버튼(310) 및 리셋 버튼(312)은 통상적인 어학기에서 수행하는 기능과 동일하기에 이에 따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단위학습 버튼(314)은 상기 학습 콘텐츠(106)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블록(206) 중 출력하고자 하는 콘텐츠 블록의 개수를 설정한다. 즉, 상기 단위학습 버튼(314)에 의하여 콘텐츠 블록의 개수가 설정된 경우, 상기 학습 콘텐츠(106)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블록 중 상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블록을 출력한다. 이후 상기 출력된 블록이 모두 숨김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출력된 블록의 다음 블록부터 상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블록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복습 버튼(316)은 사용자가 숨김 모드로 설정한 블록을 재학습하기 위한 버튼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복습 버튼(316)을 누르면, 콘텐츠 블록 중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이 재생된다. 이때, 학습 효과를 위하여 콘텐츠 블록 중 숨김 모드로 설정된 시간이 빠른 혹은 느린 순서로 콘텐츠 블록을 추출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부 신호 저장영역에는 숨김 모드 설정 정보와 함께 상기 숨김 모드 설정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부(108)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콘텐츠 블록에 포함된 콘텐츠가 상기 출력부(122)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콘텐츠 블록 중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숨김 모드 블록(208)을 제외하고 숨김 모드로 설정되지 않은 블록만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어학 학습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Micro Processor Unit:MPU)(112)과, 상기 메모리부(102)에 저장된 음성, 문장 및 영상 디지털 학습 콘텐츠을 제어하여 적당한 형태로 변환하여 주는 멀티미디어 모듈(114)을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112)은 코드(암호화나 부호화)된 명령어들을 적용하여 내장한 장치의 일종으로 받아들인 그 명령어들을 수행하고, 그 내부 상태를 표시하는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것이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112)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것과 동일하기에 여기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14)은 음성디코더(116) 및 영상디코더(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디코더(116)는 압축되어 상기 메모리부(102)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압축되기 전의 상태로 복원하고,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시켜서상기 출력부의 음성 출력부(126)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디코더(118)는 압축되어 상기 메모리부(102)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영상 또는 이미지(image) 데이터를 압축 전의 상태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상기 학습기를 외부기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여 상기 학습 콘텐츠(106)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받거나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한다.
상기 출력부(122)는 상기 학습 콘텐츠(106)를 음성 또는 영상 형태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출력부(122)는 영상 출력부(124) 및 음성 출력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부(124)는 문자 또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로서 LCD(Liquid Crystal Devic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출력부(124)는 재생되고 있는 상기 학습 콘텐츠(106)의 정보와 상기 학습기의 동작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를 보여준다. 상기 음성 출력부(126)는 이어폰 또는 스피커로 구성되어 재생되고 있는 상기 학습 콘텐츠(106)를 음성으로 출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별도의 학습기의 구비 없이 사용자가 이용하는 컴퓨터에서 상기 학습 콘텐츠(106)가 재생되도록 구성될수 있다. 즉, 상기 학습 콘텐츠(106)를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성하여,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는 별도의 학습기가 필요없게 되어, 학습기를 구매하는 비용과 번거로움을 줄일수 있으며, 컴퓨터 사용과 동시에 학습을 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다음은, 학습기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학습기 작동 방법에 대해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400)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기 작동 방법은 제 1 재생 단계(402), 숨김 모드 설정 단계(404) 및 제 2 재생 단계(4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재생 단계(402)는 복수 개의 콘텐츠 블록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 를 1차적으로 재생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숨김 모드 설정 단계(404)는 상기 제 1 재생 단계의 수행 중 수행되며, 사용자가 상기 학습 콘텐츠의 재생 중 이미 더 이상 학습이 필요 없다고 판단되는 부분에서 스킵 버튼(306)을 눌러 상기 콘텐츠 블록에서 특정 콘텐츠 블록을 숨김 모드 블록(208)으로 설정한다. 즉, 상기 입력부(108)로부터 숨김 모드 설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숨김 모드 설정 신호 수신 시점에서 재생 중인 상기 콘텐츠 블록이 숨김 모드로 설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숨김 모드 블록(208)으로 설정된 시간이 저장될 수 있다.
다음, 제 2 재생 단계(406)에서는 상기 숨김 모드 블록(208)을 제외하고 숨김모드로 설정되지 않은 블록만이 재생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재생 단계(406)에서는 사용자가 학습한 콘텐츠 블록이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콘텐츠 블록의 재생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켜 효과적으로 학습내용을 학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재생 단계(406)의 수행 이후, 상기 학습 콘텐츠 재생 시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만을 재생하는 복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숨김 모드 설정 단계(404)에서 각 블록의 숨김 모드 설정 시간 정보를 저장한 경우에는 본 단계에서 숨김 모드 설정 시간이 빠른 혹은 늦은 순서로 숨겨진 블록들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재생 단계의 수행 이전,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 블록 중 재생되고자 하는 콘텐츠 블록의 개수를 설정하는 단위학습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학습이 설정되면, 상기 제 1 재생 단계(402)에서는 상기 단위 학습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블록의 개수만큼만 상기 학습 콘텐츠가 재생되며, 상기 숨김 모드 설정 단계(404)에서 상기 제 1 재생 단계에서 재생된 블록이 모두 숨김 설정된 경우에만 다음 블록이 재생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방법들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센서 노드들이 트리 형태로 연결된 센서 네트워크상에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트리 형태로 구성 가능한 어떠한 종류의 네트워크상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학습기 102 : 메모리부
104 : 메모리 카드 106 : 학습 콘텐츠
108 : 입력부 110 : 제어부
120 : 인터페이스 부 122 : 출력부
306 : 스킵버튼

Claims (15)

  1. 복수 개의 콘텐츠 블록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학습 콘텐츠를 음성 또는 영상 형태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콘텐츠 블록에 포함된 콘텐츠가 상기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콘텐츠 블록 중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을 제외하고 숨김 모드로 설정되지 않은 블록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학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는
    외부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여,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받거나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학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블록은
    외부 신호 저장영역 및 콘텐츠 저장영역을 포함하는 학습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신호 저장영역에는
    상기 콘텐츠 저장영역의 숨김 모드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학습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저장영역은 복수 개의 소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신호 저장영역은 상기 복수 개의 소영역 중 하나 이상의 소영역에 대한 숨김 모드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학습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는
    데이터 파일의 정보 또는 학습자의 설정 내용이 저장되는 헤더 영역을 더 포함하는 학습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 콘텐츠의 특정 콘텐츠 블록 재생시, 상기 입력부로부터 숨김 모드 설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숨김 모드 설정 신호 수신 시점에서 재생 중인 상기 콘텐츠 블록을 숨김 모드로 설정하는 학습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블록 중 출력하고자 하는 콘텐츠 블록의 개수를 설정하는 단위학습 버튼을 더 포함하는 학습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위학습 버튼에 의하여 콘텐츠 블록의 개수가 설정된 경우,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블록 중 상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블록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된 블록이 모두 숨김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출력된 블록의 다음 블록부터 상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블록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학습기.
  10. 복수 개의 콘텐츠 블록을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이용한 학습 방법으로서,
    학습기에서,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블록을 재생하는 제 1 재생 단계;
    상기 학습기에서, 상기 콘텐츠 블록 재생 중 숨김 모드 설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숨김 모드 설정 신호 수신 시점에서 재생 중인 상기 콘텐츠 블록을 숨김 모드로 설정하는 숨김 모드 설정 단계 ; 및
    상기 학습기에서,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 블록 중, 숨김 모드로 설정되지 않은 블록만을 재생하는 제 2 재생 단계;
    를 포함하는 학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재생 단계의 수행 전, 상기 제 1 재생 단계 및 상기 제 2 재생 단계에서 재생되는 콘텐츠 블록의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학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숨김 모드 설정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블록의 숨김 모드 설정 시, 해당 콘텐츠 블록의 숨김 모드 설정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학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재생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학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을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숨김 모드로 설정된 블록을 상기 숨김 모드 설정 시간이 빠른 혹은 느린 순서로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학습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047420A 2010-05-20 2010-05-20 학습기 및 그의 작동 방법 KR20110127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420A KR20110127909A (ko) 2010-05-20 2010-05-20 학습기 및 그의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420A KR20110127909A (ko) 2010-05-20 2010-05-20 학습기 및 그의 작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909A true KR20110127909A (ko) 2011-11-28

Family

ID=4539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420A KR20110127909A (ko) 2010-05-20 2010-05-20 학습기 및 그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79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0808B2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09854B2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処理方法
US20090077491A1 (en) Method for inputting user command using user's motion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of
JP4596060B2 (ja) 電子機器、動画像データ区間変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275164A1 (en) Authoring apparatus
JP3615195B2 (ja) 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編集方法
CN102197646A (zh) 用便携式电子装置产生多通道音频的系统和方法
EP1785997A3 (en) Digital audio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still image and video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in
JP4856105B2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処理方法
JP4296145B2 (ja) 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934471B1 (ko) 크로마키를 이용한 영상제작 장치 및 그 방법
JP5330551B2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処理方法
JP5039020B2 (ja) 電子機器および映像コンテンツ情報表示方法
KR100775187B1 (ko) 썸네일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JP2008203910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20110127909A (ko) 학습기 및 그의 작동 방법
JP4543298B2 (ja) 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208866A (ja) 再生装置
KR20010054297A (ko) 디지탈동영상 맵핑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반복재생방법
JP2007172803A (ja) 情報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KR100428382B1 (ko) 음성더빙이 가능한 미디어재생장치 및 음성더빙방법
KR200354943Y1 (ko) 어학용 학습 시스템
JP4193821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15080006A (ja) 映像コンテンツ制作端末、映像コンテンツ生成方法、及び映像コンテンツ制作端末用プログラム
JP2012120128A (ja) 再生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