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417A - 비엘디씨모터 - Google Patents

비엘디씨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417A
KR20110127417A KR1020100046881A KR20100046881A KR20110127417A KR 20110127417 A KR20110127417 A KR 20110127417A KR 1020100046881 A KR1020100046881 A KR 1020100046881A KR 20100046881 A KR20100046881 A KR 20100046881A KR 20110127417 A KR20110127417 A KR 20110127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al force
motor
coil
magnet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5498B1 (ko
Inventor
최수봉
성장연
Original Assignee
최수봉
성장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봉, 성장연 filed Critical 최수봉
Priority to KR102010004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498B1/ko
Priority to PCT/KR2010/008473 priority patent/WO2011145791A1/ko
Publication of KR20110127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47Air-gap windings, i.e. iron-free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엘디씨모터(Brushless DC모터(이하 BLDC모터라 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러시와 정류자가 없이 회전자를 영구자석으로 하고 계자극이 3상 모터 구조의 권선으로 배치하고, 회전자의 위치를 홀 센서나 포토 센서로 검출하여 해당하는 계자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FET(전계효과트랜지스터) 등의 파워 소자로 단속하여, 회전자석과 고정코일 간에 흡입 반발을 통해 회전력을 얻는 BLDC모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BLDC모터에 구비되는 코일을 코어에 권취시키지 않고 보빈에 권취시킨 BLDC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BLDC모터에 있어서, 외측 단부는 모터하우징(1)의 내벽에 고정되고, 내측 단부는 모터하우징(1)의 중앙부분으로 위치하여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보빈(11); 상기 보빈(11)에 각각 권취되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12); 상기 보빈(11)의 코일(12)이 권취된 부분을 각각 비 접촉 상태로 관통하여, 코일(12)의 전기장에 대응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마그네트(13); 전체적으로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마그네트(14)의 양단을 끼움 결합을 통해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한편, 상기 마그네트(13)와 연동 회전하는 마그네트지지구(14); 양측 선단부는 상기 모터하우징(1)에 회전 가능상태로 결합되고, 선단부와 인접한 부분은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 외주연과 각각 접촉되어져, 대응 회전하는 회전력전달체1(15); 상기 회전력전달체1(15)의 일측 단과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력전달체2(16); 상기 회전력전달체2(16)의 중앙에 관통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7);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코일(12)을 부피와 중량이 크고 무거운 코어에 권취시키지 않고, 슬림하고 가벼운 보빈(11)에 권취시킴으로써, 기존 BLDC모터에 비해 크기(부피)와 중량을 현저히 줄이면서도 출력은 증대시킬 수 있으며, 기존 BLDC모터와 크기와 중량은 동일 유사하게 하면서도 출력은 현저히 증대된다.

Description

비엘디씨모터{Brushless DC Motor}
본 발명은 비엘디씨모터(Brushless DC모터(이하 BLDC모터라 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러시와 정류자가 없이 회전자를 영구자석으로 하고 계자극이 3상 모터 구조의 권선으로 배치하고, 회전자의 위치를 홀 센서나 포토 센서로 검출하여 해당하는 계자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FET(전계효과트랜지스터) 등의 파워 소자로 단속하여, 회전자석과 고정코일 간에 흡입 반발을 통해 회전력을 얻는 BLDC모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BLDC모터에 구비되는 코일을 코어에 권취시키지 않고 보빈에 권취시킨 코어레스(Coreless) BLDC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BLDC모터는 Brushless DC모터의 약자로서, 다른 전동기에 비해 효율이 높고 제어가 용이하여, 냉장고/에어컨용 압축기 및 세탁기의 가변속 운전을 구현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브러시가 없는 직류 전동기인 BLDC모터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회전자에서 발생하는 영구자석의 자속(flux)과 전기적으로 직각 또는 임의의 각도를 갖도록 고정자의 자속을 제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회전자가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항상 검출하여 회전자의 위치에 따라 고정자의 자속 발생위치를 결정하도록 인버터 스위칭 소자들의 스위칭 상태를 결정해야 한다.
즉, BLDC모터는 브러시와 정류자가 없이 회전자를 영구자석으로 하고 계자극이 3상 모터 구조의 권선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회전자의 위치를 홀 센서나 포토 센서로 검출하여 해당하는 계자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FET(전계효과트랜지스터) 등의 파워 소자로 단속하여, 회전자석과 고정코일 간에 흡입 반발을 유도하여 회전하게 되어 있는 직류모터이다.
상기,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레졸버(resolver), 엔코더(absolute encoder), 홀센서(hall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냉장고/에어컨용 압축기의 경우에는 온도/압력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센서를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전동기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로부터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한다.
상기와 같은 BLDC모터는 기본적인 구동회로의 센서 신호각대전류단속시기의 시간을(위상차)가변 하는 것만으로 속도와 토크를 간단하게 조절 할 수가 있고, 기계적인 마찰로 마모가 되어 수명에 영향을 주는 정류자와 브러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그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길고 소음 또한 적으나, 브러시형 모터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대형의 모터가 개발되어 있지 않고 가격이 비싸며, 고장 시에 전체를 교체 내지는 수리에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BLDC모터는 코일이 권취된 코어가 구비되어 있어, 모터의 부피가 커지고 중량이 무거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은 코일을 코어에 권취시키지 않고 보빈에 권취시킴으로써, 크기(부피)와 중량은 줄이는 한편, 출력은 증대시키는 이건발명모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BLDC모터에 있어서, 외측 단부는 모터하우징(1)의 내벽에 고정되고, 내측 단부는 모터하우징(1)의 중앙부분으로 위치하여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보빈(12); 상기 보빈(12)에 각각 권취되어, 인가되는 교번신호에 따라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13); 상기 보빈(13)의 코일(13)이 권취된 부분을 각각 비 접촉 상태로 관통하여, 코일(13)의 전기장에 대응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마그네트(14); 전체적으로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마그네트(14)의 양단을 끼움 결합을 통해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한편, 상기 마그네트(14)와 연동 회전하는 마그네트지지구(15); 양측 선단부는 상기 모터하우징(1)에 회전 가능상태로 결합되고, 선단부와 인접한 부분은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5) 외주연과 각각 접촉되어져, 대응 회전하는 회전력전달체1(16); 상기 회전력전달체(16)의 일측 단과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력전달체2(17); 상기 회전력 전달체2(17)의 중앙에 관통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8);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의 본 발명은 코일을 코어에 권취시키지 않고 보빈에 권취시킴으로써, 기존 BLDC모터에 비해 크기(부피)와 중량을 현저히 줄이면서도 출력은 증대시킬 수 있으며, 기존 BLDC모터와 크기와 중량은 동일 유사하게 하면서도 출력은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리시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리시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리시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도시한 정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LDC모터에 있어서, 외측 단부는 모터하우징(1)의 내벽에 고정되고, 내측 단부는 모터하우징(1)의 중앙부분으로 위치하여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보빈(11); 상기 보빈(11)에 각각 권취되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12); 상기 보빈(11)의 코일(12)이 권취된 부분을 각각 비 접촉 상태로 관통하여, 코일(12)의 전기장에 대응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마그네트(13); 전체적으로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마그네트(14)의 양단을 끼움 결합을 통해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한편, 상기 마그네트(13)와 연동 회전하는 마그네트지지구(14); 양측 선단부는 상기 모터하우징(1)에 회전 가능상태로 결합되고, 선단부와 인접한 부분은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 외주연과 각각 접촉되어져, 대응 회전하는 회전력전달체1(15); 상기 회전력전달체1(15)의 일측 단과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력전달체2(16); 상기 회전력전달체2(16)의 중앙에 관통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모터하우징(1)은 중앙이 관통된 하우징본체(1a); 상기 하우징본체(1a)의 양단에 결합되어, 하우징본체(1a)를 밀폐시키는 사이드캡(1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본체(1a)는 외형은 사각 형상이고 내벽은 원형으로 관통된 파이프체로서, 원형의 내벽에는 동일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고정리브(1c)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캡(1b)은 중앙 부분이 관통된 사각 판체로서, 상기 하우징본체(1a) 방향 즉, 내측 방향의 중앙 면에 베어링(1d)이 마련되고, 이를 중심으로 각 모서리와의 사이에 홈(1e)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보빈(11)은 호 형상으로 된 장축과 단축을 갖는 파이프의 관통된 양단에 플랜지(11a)가 마련되어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축과 단축을 갖는 파이프의 관통된 양단에 마련되는 플랜지(11a)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사각 판체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12)이 권취되는 부분이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칭 즉, "V"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11a)의 벌어진 외곽 단부는 모터하우징(1)의 내벽에 마련된 리브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고정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보빈(11)은 실시예적으로 4개가 모터하우징(1)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코일(12)은 각각의 보빈(11)에 단일 권취될 수 도 있고, 하나의 보빈(11)에 복수의 열로 권취될 수 도 있다.
이때, 복수로 권취될 경우에는 상기 보빈(11)에 마련되는 격벽에 의해 구분되어 권취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마그네트(13)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자석 블럭체로서, 호의 양단을 따라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돌기(13a)가 마련될 수 도 있고, 양단 자체가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에 끼워져 고정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13)는 실시예적으로 4개가 동일한 간격을 두고 원 형태로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의 지지를 받으며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13)는 단일 마그네트에 상기 코일(12)의 복수열에 따라 그에 대응하도록 "N"극과 "S"극이 교대로 착자되어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는 단면이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호 형태로 만곡진 블럭으로서, 다수의 블럭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링을 이룰 수 있으며, 일측 면에 상기 마그네트(13)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홈(14a)이 마련되고, 상기 끼움홈(14a)이 형성된 일측 면의 타측 면 외주연 부분에 음각 형태로 톱니(14b)가 마련되고, 길이 방향의 양단에 결합돌기(14c)와 결합홈(14d)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13)와 마그네트지지구(14)는 결합되어, 상기 보빈(11)을 관통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회전력전달체1(15)은 회전봉으로서, 봉의 양측 선단부는 상기 모터하우징(1)을 이루는 양측의 사이드캡(1b)에 마련된 홈(1e)에 끼워져 지지되고, 상기 양측 선단부 부분에는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의 외주연에 마련된 음각 형태의 톱니(14b)와 치합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기어1(15a)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기어1(15a) 중 일측 기어1(15a)과 선단부 사이에 상기 회전력전달체2(16)의 외주면과 치합되는 기어2(15b)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력전달체1(15)은 링 형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의 톱니(14b) 부분에 네 방향에서 위성 형태로 접하여 안정적인 회전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회전력전달체2(16)는 회전력전달체1(15)의 기어2(15b)와 치합되는 대기어로서, 중앙의 관통 부분 내주면에 역시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7)의 기어3(17a)과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회전축(17)은 봉의 일측 방향 선상에 상기 회전력전달체2(16)의 중앙 부분에 마련된 톱니와 치합되는 기어3(17a)이 마련될 수 있으며, 양단은 상기 모터하우징(1)을 구성하는 양측의 사이드캡(1b)의 중앙에 마련된 베어링(1d)의 지지를 받으며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17)의 일측 단은 모터하우징(1)의 외부로 길게 돌출되어, 외부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보빈(11)과 마그네트지지구(14)와 회전력전달체1,2(15)(16) 및 회전축(17)은 비자성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12)로 전류가 인가되어, 도면상 코일(12)의 좌측 부분에 "N"극이 형성되고 우측 부분에 "S"극이 형성되면, 코일(12)의 "N"극 부분에 위치한 마그네트(13)의 "N"극이 반발하여 다른 코일(12)의 "S"극 방향으로 이동하려 하고, 코일(12)의 "S"극 부분에 위치한 마그네트(13)의 "S"극 역시 반발하여 코일(12)의 "N"극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에 의해 회전력이 얻어진다.
물론, 상기 코일(12)로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코일(12)의 형성되는 극성이 반대로 작용하여 정/역회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회전력은 마그네트(13)와 마그네트지지구(14)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의 외주연에 마련된 톱니(14b)와 치합된 회전력전달체1(15)의 기어1(15a)이 대응 동작하여, 회전력전달체1(15)을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회전력전달체1(15)에 회전하면, 대기어인 회전력전달체2(16)가 회전하면서, 중앙 부분에 치합된 회전축(17)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BLDC모터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회전자에서 발생하는 영구자석의 자속(flux)과 전기적으로 직각 또는 임의의 각도를 갖도록 고정자의 자속을 제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회전자가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항상 검출하여 회전자의 위치에 따라 고정자의 자속 발생위치를 결정하도록 인버터 스위칭 소자들의 스위칭 상태를 결정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인 BLDC모터(10)는 브러시와 정류자가 없이 회전자를 상기 마그네트(13)로 하고, 계자극이 3상 모터 구조의 권선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회전자인 상기 마그네트(13)의 위치를 홀 센서나 포토 센서로 검출하여 해당하는 코일(12)에 흐르는 전류를 FET(전계효과트랜지스터) 등의 파워 소자로 단속하여, 회전자인 마그네트(13)와 고정자인 코일(12)간에 흡입 반발을 유도하여 상기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레졸버(resolver), 엔코더(absolute encoder), 홀센서(hall sensor) 등을 사용하기도 하며, BLDC모터(10)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로부터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은 BLDC모터는 기본적인 구동회로의 센서 신호각대전류단속시기의 시간을(위상차)가변 하는 것만으로 속도와 토크를 간단하게 조절 할 수 있다.
참고로, BLDC모터가 구동하면 고열이 발생하는데, 발생되는 열은 모터하우징의 외부 표면 또는 내부의 순환경로를 통해 유체 예컨대, 오일을 순환시켜 열 교환을 통해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코일(12)을 부피와 중량이 크고 무거운 코어에 권취시키지 않고, 슬림하고 가벼운 보빈(11)에 권취시킴으로써, 기존 BLDC모터에 비해 크기(부피)와 중량을 현저히 줄이면서도 출력은 증대시킬 수 있으며, 기존 BLDC모터와 크기와 중량은 동일 유사하게 하면서도 출력은 현저히 증대된다.
그밖에도 본 발명인 BLDC모터(10)는 회전력을 얻어내는 모터 그 자체로 이용될 수 도 있으나, 발전기로도 이용될 수 있다.
즉, 마그네트(12) 부분을 고정시키고, 코일(12) 또는 코일(12)이 권취된 보빈(11)을 회전시키면, 코일(12) 속의 자기장 변화가 생기고, 이 때 코일(12)의 양끝에 유도 기전력이 생겨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발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전술한 FET를 off 상태로 만들어서 발생된 에너지를 회수하여 충전시킨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보빈(11) 부분에 마그네트(13)를 위치시켜 고정하고,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에 코일(12)을 권취시켜 회전시킬 수 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인 BLDC모터(10)는 특히, 최근에 급속히 기술적인 신장세를 보이는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와 발전기로 아주 유용하며, 그밖에도 냉장고/에어컨용 압축기 및 세탁기의 가변속 운전을 구현하는 장치로 이용될 수 도 있으며, 산업 전반에 걸쳐 다 분야에 필요에 따라 적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BLDC모터 11 : 보빈
11a : 플랜지 12 : 코일
13 : 마그네트 13a : 끼움돌기
14 : 마그네트지지구 14a : 끼움홈
14b : 톱니 15 : 회전력전달체1
15a : 기어1 15b : 기어2
16 : 회전력전달체2 17 : 회전축
17a : 기어3 1 : 모터하우징
1a : 하우징본체 1b : 사이드캡

Claims (20)

  1. BLDC모터에 있어서, 외측 단부는 모터하우징(1)의 내벽에 고정되고, 내측 단부는 모터하우징(1)의 중앙부분으로 위치하여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보빈(11); 상기 보빈(11)에 각각 권취되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12); 상기 보빈(11)의 코일(12)이 권취된 부분을 각각 비 접촉 상태로 관통하여, 코일(12)의 전기장에 대응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마그네트(13); 전체적으로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마그네트(14)의 양단을 끼움 결합을 통해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한편, 상기 마그네트(13)와 연동 회전하는 마그네트지지구(14); 양측 선단부는 상기 모터하우징(1)에 회전 가능상태로 결합되고, 선단부와 인접한 부분은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 외주연과 각각 접촉되어져, 대응 회전하는 회전력전달체1(15); 상기 회전력전달체1(15)의 일측 단과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력전달체2(16); 상기 회전력전달체2(16)의 중앙에 관통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7);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11)은 호 형상으로 된 장축과 단축을 갖는 파이프의 관통된 양단에 플랜지(11a)가 마련되어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과 단축을 갖는 파이프의 관통된 양단에 마련되는 플랜지(11a)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사각 판체 형태로 이루어지되, 정면에서 보았을 때 "V"형상으로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a)의 벌어진 외곽 단부는 모터하우징(1)의 내벽에 마련된 리브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고정상태로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11)은 실시예적으로 4개가 모터하우징(1)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12)은 각각의 보빈(11)에 단일 권취되어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12)은 각각의 보빈(11)에 복수의 열로 권취되어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로 권취될 경우에는 상기 보빈(11)에 마련되는 격벽에 의해 구분되어서 권취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13)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자석 블럭체로서, 호의 양단을 따라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돌기(13a)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13)는 4개가 동일한 간격을 두고 원 형태로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의 지지를 받으며 위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11. 제 1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13)는 단일 마그네트가 "N"극과 "S"극이 교대로 착자되어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는 단면이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호 형태로 만곡진 블럭으로서, 다수의 블럭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링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는 일측 면에 상기 마그네트(13)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홈(14a)이 마련되고, 상기 끼움홈(14a)이 형성된 일측 면의 타측 면 외주연 부분에 음각 형태로 톱니(14b)가 마련되고, 길이 방향의 양단에 결합돌기(14c)와 결합홈(14d)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전달체1(15)은 회전봉으로서, 봉의 양측 선단부는 상기 모터하우징(1)을 이루는 양측의 사이드캡(1b)에 마련된 홈(1e)에 끼워져 지지되고, 상기 양측 선단부 부분에는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의 외주연에 마련된 음각 형태의 톱니(14b)와 치합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기어1(15a)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기어1(15a) 중 일측 기어1(15a)과 선단부 사이에 상기 회전력전달체2(16)의 외주면과 치합되는 기어2(15b)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전달체1(15)은 링 형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의 톱니(14b) 부분에 네 방향에서 위성 형태로 접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16. 제 1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전달체2(16)는 회전력전달체1(15)의 일측 선단부 부분의 선상에 마련되는 기어2(15b)와 치합되는 대기어로서, 중앙의 관통 부분 내주면에 역시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7)과 치합되어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7)은 봉의 일측 방향 선상에 상기 회전력전달체2(16)의 중앙 부분에 마련된 톱니와 치합되는 기어3(17a)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18. BLDC모터에 있어서, 외측 단부는 모터하우징(1)의 내벽에 고정되고, 내측 단부는 모터하우징(1)의 중앙부분으로 위치하여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보빈(11); 상기 보빈(11)에 각각 권취되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12); 상기 보빈(11)의 코일(12)이 권취된 부분을 각각 비 접촉 상태로 관통하여, 코일(12)의 전기장에 대응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마그네트(13); 전체적으로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마그네트(14)의 양단을 끼움 결합을 통해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한편, 상기 마그네트(13)와 연동 회전하는 마그네트지지구(14); 양측 선단부는 상기 모터하우징(1)에 회전 가능상태로 결합되고, 선단부와 인접한 부분은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 외주연과 각각 접촉되어져, 대응 회전하는 회전력전달체1(15); 상기 회전력전달체1(15)의 일측 단과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력전달체2(16); 상기 회전력전달체2(16)의 중앙에 관통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코일(12) 속의 자기장 변화에 의해 코일(12)의 양끝에 유도 기전력이 생기면서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12) 부분을 고정시키고, 코일(12) 또는 코일(12)이 권취된 보빈(11)을 회전시켜, 코일(12) 속의 자기장 변화에 의해 코일(12)의 양끝에 유도 기전력이 생기면서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20. BLDC모터에 있어서, 외측 단부는 모터하우징(1)의 내벽에 고정되고, 내측 단부는 모터하우징(1)의 중앙부분으로 위치하여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보빈(11); 상기 보빈(11)에 각각 권취되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12); 상기 보빈(11)의 코일(12)이 권취된 부분을 각각 비 접촉 상태로 관통하여, 코일(12)의 전기장에 대응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마그네트(13); 전체적으로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 마그네트(14)의 양단을 끼움 결합을 통해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한편, 상기 마그네트(13)와 연동 회전하는 마그네트지지구(14); 양측 선단부는 상기 모터하우징(1)에 회전 가능상태로 결합되고, 선단부와 인접한 부분은 상기 마그네트지지구(14) 외주연과 각각 접촉되어져, 대응 회전하는 회전력전달체1(15); 상기 회전력전달체1(15)의 일측 단과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력전달체2(16); 상기 회전력전달체2(16)의 중앙에 관통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기자동차용 구동장치 및 발전기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엘디씨모터.
















KR1020100046881A 2010-05-19 2010-05-19 비엘디씨모터 KR101115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881A KR101115498B1 (ko) 2010-05-19 2010-05-19 비엘디씨모터
PCT/KR2010/008473 WO2011145791A1 (ko) 2010-05-19 2010-11-29 비엘디씨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881A KR101115498B1 (ko) 2010-05-19 2010-05-19 비엘디씨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417A true KR20110127417A (ko) 2011-11-25
KR101115498B1 KR101115498B1 (ko) 2012-02-27

Family

ID=44991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881A KR101115498B1 (ko) 2010-05-19 2010-05-19 비엘디씨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15498B1 (ko)
WO (1) WO20111457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119A1 (ko) * 2022-10-07 2024-04-11 김주일 발전 기능을 가진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450B1 (ko) * 2013-04-29 2013-12-13 (주)창흥텔레콤 유성 교류 모터
FR3084975B1 (fr) * 2018-08-08 2021-08-06 Unicum Trans De Puissance Motoreducteur planetaire a deux arbres de sorties coaxiaux entre eux
CN108964347A (zh) * 2018-09-25 2018-12-07 天津昊野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深水机械手的无刷永磁电机
FR3084976B1 (fr) * 2019-07-25 2021-08-06 Unicum Trans De Puissance Motoréducteur planétaire à deux arbres de sorties coaxiaux entre eux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28464A1 (de) 1988-08-22 1990-03-01 Vdo Schindling Kreuzspul-drehmagnetanordnung
GB0130602D0 (en) * 2001-12-21 2002-02-06 Johnson Electric Sa Brushless D.C. motor
TWI253800B (en) * 2004-11-22 2006-04-21 Univ Nat Cheng Kung Direct-current brushless motor combined with planetary gear train
KR100660305B1 (ko) 2005-12-08 2006-12-21 전자부품연구원 브러시리스 직류모터
JP2008245414A (ja) 2007-03-27 2008-10-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9100531A (ja) 2007-10-16 2009-05-07 Mabuchi Motor Co Ltd インナーロータ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119A1 (ko) * 2022-10-07 2024-04-11 김주일 발전 기능을 가진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498B1 (ko) 2012-02-27
WO2011145791A1 (ko)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078B1 (ko) 유성기어드 모터 및 발전기
US10483831B2 (en) Permanent magnet applying motor
KR101115498B1 (ko) 비엘디씨모터
JP2009505619A (ja) 単極場電動発電機
KR20150059974A (ko) 전동기
US8987963B2 (en) Double drive shaft motor of magnetic flux modulation type
JP2006204084A (ja) 誘導子型同期機
JP2017121154A (ja) 中空型ロータ及び内外輪固定子を有する直流モータ構造
TWI559651B (zh) DC motor inner and outer ring stator structure
JP4920322B2 (ja) 誘導子型同期機
JP2010183648A (ja) 永久磁石回転電機及びそれを用いた電動車両
JP5281768B2 (ja) 遊星磁極回転機
CN108292865A (zh) 无刷直流电机
KR20180005392A (ko) 마그넷 발전기
CN206353729U (zh) 高效内转子式永磁电机
KR101287357B1 (ko) 모터
CN208904788U (zh) 永磁外叠加转子无刷节能电动机
KR101341450B1 (ko) 유성 교류 모터
JP2013002588A (ja) 動力伝達装置
CN102035332B (zh) 一种用于电控机械式自动变速器的电机
KR20200089911A (ko) 이중 고정자 구조를 가진 비엘디시 모터
CN217087734U (zh) 电机结构和电驱动设备
KR101004890B1 (ko) 모터
JP2006174640A (ja) 無整流子直流電動機型ポンプ
US20170229948A1 (en) Single phase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