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294A - 강제 배수식 변기 및 그 수세장치 - Google Patents
강제 배수식 변기 및 그 수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27294A KR20110127294A KR1020100046691A KR20100046691A KR20110127294A KR 20110127294 A KR20110127294 A KR 20110127294A KR 1020100046691 A KR1020100046691 A KR 1020100046691A KR 20100046691 A KR20100046691 A KR 20100046691A KR 20110127294 A KR20110127294 A KR 201101272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supply
- water
- toilet
- supply pipe
- ri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림배수구(11)와 제트구(12) 및 후레쉬밸브(20)를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가압상태의 세척수를 공급받는 강제배수식 변기(10)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변기와 그에 속하는 수세장치는 일부의 세척수를 림배수구(11)로 공급하는 림배수구 급수관(13)과 나머지 세척수를 제트구(12)로 공급하되, 상기 림배수구 급수관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제트구 급수관(13), 그리고 세척수를 상기 림배수구 급수관과 상기 제트구 급수관에 나누어 공급하는 급수관 조인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레쉬밸브(20)의 피스톤레버(21)가 작동하여 압력실(22)의 압력수가 빠지면, 제트구 급수관(14)을 막고 있던 유도캡(31)이 상승하면서, 양 급수관으로 동시에 초기 급수가 이루어지고, 이후 피스톤레버의 상사점에서 급수압과 급수량이 최대가 될 때 제트구(12)쪽으로 급수량이 최대, 림배수구(11)쪽으로 급수량이 최소가 되도록 유도캡이 림배수구 급수관을 막게 된다. 마지막으로 피스톤레버가 내려오면서 같이 하강하는 유도캡이 재차 제트구 급수관을 막아 제트구쪽으로 급수량이 최소, 림배수구쪽으로 급수량이 최대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작용은 후레쉬밸브의 피스톤레버에 연동된 연결부재와 유도캡에 작용하는 (세척수의 토출수압에 따른) 저항보다 압력실의 감압에 따른 피스톤레버의 상승력이 더 큰 것에 기인한다. 본 발명의 특유의 구성으로 인해 변기의 총 세척과정 중에서 건물내 직수 공급압력은 제트구에 최대로 작용할 수 있으며 최대한 짧고 빠른 시간내에 적은 급수량으로 오물을 효과적으로 밀어낸 다음, 직수 공급압력이 감소하는 동안에는 제트구 급수를 줄이고 림배수구 쪽으로 급수를 늘리면서 변기내면을 세척하고 변기내부에 물을 충분히 채우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떤 전자장치나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하지 않고 단순한 세척버튼 조작만으로도 건물 내 배관망에 의해 공급되는 고압의 직수 세척수를 효과적으로 나눌 수 있고 순차적으로 급수 및 단수시킬 수 있으며 직수급수 임에도 불구하고 오물제거와 동시에 변기 내면의 효과적인 세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세척 이후 변기 내부용기에도 충분한 양의 물을 채울 수 있어, 물탱크에 의한 자연 배수식에 거의 근접한 세척감과 사용품질감을 얻을 수 있다.
후레쉬밸브(20)의 피스톤레버(21)가 작동하여 압력실(22)의 압력수가 빠지면, 제트구 급수관(14)을 막고 있던 유도캡(31)이 상승하면서, 양 급수관으로 동시에 초기 급수가 이루어지고, 이후 피스톤레버의 상사점에서 급수압과 급수량이 최대가 될 때 제트구(12)쪽으로 급수량이 최대, 림배수구(11)쪽으로 급수량이 최소가 되도록 유도캡이 림배수구 급수관을 막게 된다. 마지막으로 피스톤레버가 내려오면서 같이 하강하는 유도캡이 재차 제트구 급수관을 막아 제트구쪽으로 급수량이 최소, 림배수구쪽으로 급수량이 최대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작용은 후레쉬밸브의 피스톤레버에 연동된 연결부재와 유도캡에 작용하는 (세척수의 토출수압에 따른) 저항보다 압력실의 감압에 따른 피스톤레버의 상승력이 더 큰 것에 기인한다. 본 발명의 특유의 구성으로 인해 변기의 총 세척과정 중에서 건물내 직수 공급압력은 제트구에 최대로 작용할 수 있으며 최대한 짧고 빠른 시간내에 적은 급수량으로 오물을 효과적으로 밀어낸 다음, 직수 공급압력이 감소하는 동안에는 제트구 급수를 줄이고 림배수구 쪽으로 급수를 늘리면서 변기내면을 세척하고 변기내부에 물을 충분히 채우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떤 전자장치나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하지 않고 단순한 세척버튼 조작만으로도 건물 내 배관망에 의해 공급되는 고압의 직수 세척수를 효과적으로 나눌 수 있고 순차적으로 급수 및 단수시킬 수 있으며 직수급수 임에도 불구하고 오물제거와 동시에 변기 내면의 효과적인 세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세척 이후 변기 내부용기에도 충분한 양의 물을 채울 수 있어, 물탱크에 의한 자연 배수식에 거의 근접한 세척감과 사용품질감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관내 수압을 이용한 강제 배수식 변기에 있어서 유량이 조절된 복수의 급수관 결합구성과 각각의 급수관에 효과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 조인트를 갖춘 변기 수세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세식 변기의 세척방식은 물탱크에 미리 물을 담아 두었다가 세척손잡이로 탱크내부 캡을 열고 저장된 물을 배출하여 오물을 제거하는 자연배수 세척방식과, 건물 내 배관망에 직접 변기를 연결하여 세척손잡이로 후레쉬밸브(Flushing valve: 수세밸브)를 열고 배관 수압에 의해 물을 배출하여 오물을 제거하는 강제배수 세척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물탱크를 이용한 자연 배수식은 작동 수압이 낮아 세척손잡이의 조작감이 좋고 배수소음이 적으므로 가정용 변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물탱크로 인해 전체 변기의 부피가 커지며, 저압수를 사용하므로 오물을 밀어내는 과정에서 다량의 세척수를 필요로 하는 것이 단점이다.
건물 내 배관망에 직접 변기를 연결하는 강제 배수식은 저장용 물탱크가 생략되어 부피가 작으며, 고압수로 강하고 짧게 분사할 경우 세척수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때 이용되는 고압 세척수는 작동시 배수소음이 크고 세척수가 튀는 문제가 있으며, 전체 세척수량을 줄일수록 오물 배출과는 별도로 변기 내면 전체의 고른 세척감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강제 배수식 변기는 세척손잡이의 작동 이후 일정시간 동안 물을 배출하고 저절로 물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로 후레쉬밸브를 두어 이를 해결하고 있는데, 전형적인 강제 배수식의 후레쉬밸브는 아래 기재한 선행기술문헌(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3~6)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강제 배수식 변기에서 변기 내면 전체의 세척감 향상을 위해서 세척수 분사구를 변기상부에 둘러서 위치시킨 림(Rim)형 배출구(이하 림배수구라 한다)와, 변기하부 오물도기부에 위치한 워터제트(Water jet) 분사구(이하 제트구라 한다)로 나누어 적절한 수량으로 오물제거와 변기 내면 세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분할식 급수에 따른 세척구조는 아래 기재한 선행기술문헌(특허문헌 1)에서 찾아볼 수 있다.
문헌3: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09806호 솔레노이드 구동장치로 수량을 조절하는 후레쉬밸브.
문헌4: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2169호, 광센서로 수량을 조절하는 후레쉬밸브.
문헌5: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71572호, 용변시간 감지센서로 수량을 조절하는 후레쉬밸브.
문헌6: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10516호 에어 저항으로 세척손잡이의 작동을 제어하는 후레쉬밸브.
강제 배수식 변기는 파손이 적고 설치공간과 물 사용량이 절약되므로 공중화장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 가정용 변기나 고급 변기에 사용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그 중 대표적으로 변기 내면(내부용기 표면)부를 깨끗하게 씻어주는 기능이 부족하다는 점이 있는데, 왜냐하면 소량의 고압수를 이용한 강제 배수의 특성상 입구가 확장되어 유속이 느려지는 림배수구로는 짧은 시간에 오물을 제거하기 어렵고 따라서 제트구로 대부분의 세척수가 급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림배수구에서 배수된 물만을 이용하여 오물배출과 변기내면 세척을 모두 수행하는 자연배수식의 물탱크 타입 변기에 비해서, 강제배수식 변기의 사용품질과 세척감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요인이 되며, 더구나 이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림형 배출구에 세척수를 많이 할당하면 결과적으로 오물 제거기능까지 포함한 전체 세척수량을 줄일 수 없으므로 강제 배수식 특유의 장점(물절약 성능)을 잃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내부 용기에 물을 채워두는 가정용 변기나 저소음형의 고급변기에 있어서 세척감이나 사용상의 감성품질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강제 배수식 수세장치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림배수구와 제트구 사이의 적절한 세척수 할당이 중요하며, 특히 짧은 시간내에 변기 하부의 워터제트에 의해 오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킨 이후에 변기 상부의 림배수구로부터도 충분한 양의 물이 천천히 흘러내리면서 변기 내면을 골고루 세척해주어야 하고 그 이후에도 다음 사용자를 위해서 변기내부에 충분한 양의 물을 적절히 채워주는 것이 중요하다.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후레쉬밸브들을 살펴보면 세척수량 또는 세척시간을 늘이거나 줄이기 위해서 광센서, 하중센서 또는 에어를 이용한 밸브손잡이 지연작동구성 등을 이용하여 밸브의 개폐시간을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단순히 전체 세척수량을 조절하는 구성에 그칠 뿐 림배수구와 제트구의 세척수량 할당량이나 할당순서에 대한 어떠한 기술적 모티브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제시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 먼저 건물내 배관망에 연결된 세척수(탱크에 일차 저장되는 간접수와 구별되는 개념으로 직수(直水)라고도 한다) 공급관으로부터 직접 후레쉬밸브(20)에 세척수를 공급하고 후레쉬밸브의 작동에 의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림배수구 급수관(13)과 제트구 급수관(14)의 양쪽으로 적절히 나누되, 양 급수관의 평균 직경을 적절히 조절하여 총 급수량을 대략 2대8 에서 4대6 정도의 범위로 맞추었다.
다음으로 상기 급수 총량이 적절한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작용하도록 급수관 조인트(30) 부재 내부에 세척수 유도캡(31)을 두고 상기 유도캡이 후레시밸브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나) 후레쉬밸브(20)의 피스톤레버(21)가 작동하여 압력실(22)의 압력수가 빠지면, 제트구 급수관(14)을 막고 있던 유도캡(31)이 상승하면서, 양 급수관으로 동시에 초기 급수가 이루어지고,
(다) 이후 피스톤레버의 상사점에서 급수압과 급수량이 최대가 될 때 제트구(12)쪽으로 급수량이 최대, 림배수구(11)쪽으로 급수량이 최소가 되도록 유도캡이 림배수구 급수관을 막게 된다.
(라) 마지막으로 피스톤레버가 내려오면서 같이 하강하는 유도캡이 재차 제트구 급수관을 막아 제트구쪽으로 급수량이 최소, 림배수구쪽으로 급수량이 최소가 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건물내 직수 공급압력은 제트구에 최대로 작용할 수 있으며 최대한 짧고 빠른 시간내에 적은 급수량으로 오물을 효과적으로 밀어낸 다음, 직수 공급압력이 감소하는 동안에는 제트구 급수를 줄이고 림배수구 쪽으로 급수를 늘리면서 변기내면을 세척하고 변기내부에 물을 충분히 채우게 된다.
본 발명의 수세장치에 의하면, 어떤 전자장치나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하지 않고, 단순한 세척버튼 수동 조작만으로도 건물 내 배관망에 의해 공급되는 고압의 직수 세척수를 효과적으로 나눌 수 있고 순차적으로 급수 및 단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직수급수 임에도 불구하고 오물제거와 동시에 변기 내면의 효과적인 세척이 가능하며, 더구나 세척 이후 변기 내부용기에도 충분한 양의 물을 채울 수 있어, 물탱크에 의한 자연 배수식에 거의 근접한 세척감과 사용품질감을 얻을 수 있다.
종합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는 강제 배수식 변기의 고유한 장점인 공간절약, 물절약, 유지관리편리성 등을 그대로 보유한 채 자연배수식의 장점인 청결감과 만족스러운 변기사용감을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수세장치가 적용된 변기의 좌측단면도. (B-B` 절개)
도 2는 도 1에서 A-A`면을 절개한 후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변기의 주요 수세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투시도.
도 4은 본 발명 후레쉬밸브와 급수관 조인트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수세장치의 작동가능한 압력 단면적 조건을 설명한 상부 투영도.
도 2는 도 1에서 A-A`면을 절개한 후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변기의 주요 수세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투시도.
도 4은 본 발명 후레쉬밸브와 급수관 조인트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수세장치의 작동가능한 압력 단면적 조건을 설명한 상부 투영도.
상기 본 발명의 주된 기술적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도면에 포함된 본 발명의 일 예를 참조하여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의 실시예(specific example)에서 특정 기술용어로 표현된 구성요소들과 그것들이 결합된 구조가 본 발명에 포괄적으로 내재된 사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변기(10)에서 변기 가운데선(B-B`선)을 따라 절개한 좌측 단면도와, 본 발명 수세장치의 변기 장착상태를 잘 살펴볼 수 있는 A-A`선 절개 후단면도, 그리고 세척수의 분할 급수상태를 잘 살펴볼 수 있는 평면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건물내 배관망에 연결된 세척수공급관(15)은 후레쉬밸브(20)에 연결되어 있고 후레쉬밸브 하단에는 세척수의 흐름을 제트구 급수관(14)과 림배수구 급수관(13)으로 나누고 급수관 조인트(30)가 결합되어 있다.
제트구 급수관(14)을 통해 나오는 세척수는 좁은 유동단면적의 제트구(12)로 빠르고 강하게 물을 쏴주면서 변기 내부용기(16)의 오물을 밀어낸다.
림배수구 급수관(13)을 통해 나오는 세척수는 넓은 유동단면적의 림배수구(11)로 나오면서 제트구 배출수에 비해 느리고 약하게 천천히 흘러내린다. 이 물은 변기내부의 표면을 골고루 세척하고 제트구로 배출된 세척수가 빠지고 난 변기 내부용기(16)의 빈 공간을 채우게 된다.
단순히 후레쉬밸브(20)를 통해 나오는 물을 두 갈래로 나누어주는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총 관로저항이 적은 림배수구 쪽으로 더 많은 물이 흘러나오는 경우가 있고, 이 때문에 제트구의 분사압이 약해져서 오물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는 수가 있다.
반대로 림배수구에 지나치게 적은 물이 배정되어 불규칙한 적은 양의 물줄기가 내부 용기면을 적시고 나면 제트구의 강한 분사 세척수는 아래쪽에서만 완전히 다 빠져가가게 되어 변기내부 용기표면에 오물이 그대로 붙어있거나 용변이후에 용기내부(16)에 제대로 물이 차오르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 림배수구(11)와 제트구(12) 사이에 최적의 유량배분을 위해 양 급수관의 평균 직경을 적절히 조절하여 총 급수량을 대략 2:8 내지 4:6 정도의 범위로 맞추었다. 이를 위해서 급수관 조인트(30)는 제트구 급수관(14)쪽 급수출구(34)의 직경이 상기 림배수구 급수관(13)쪽 급수출구(33)의 직경보다 1.25배 ~ 2배로 크게 형성시켜 결과적으로 원형 또는 장방형의 관로로 설계되었을 때, 림배수구 급수관과 제트구 급수관 사이의 단면적 비율이 1:1.56 ~ 1:4 정도의 범위에서 형성되게 하였다.
실험을 통해 얻어진 바람직한 유량의 비율은 림배수구와 제트구 사이에 3대7 정도의 유량이 배분되는 것이다. 이때 설정 수압을 강하게 할 수록, 2대8 쪽에 가깝게 유량 배분되어 물을 절약할 수 있고 이는 용기내면의 청결도보다 변기 막힘 방지가 더 중요한 공중 화장실용 변기에 적합하다, 반면 설정수압이 약할수록, 4대6쪽에 가깝게 유량배분되어 전체 세척수 소모량을 늘리면서 배수소음을 줄이고 저압/다량의 물로 오물을 밀어내게 된다. 이는 사용만족감이나 용기내면의 청결도가 더욱 중요한 가정용 변기에 적합하다. 초기 설정수압이 같다면 단면적의 차이는 유량에 특정 함수형태로 비례하다. 구체적으로 관로저항 측면을 살펴보면 림배수구 보다는 제트구 쪽이 관로저항이 더 크나, 제트구는 위치가 낮으므로 세척수 분사가 진행되면서 내부용기(16)의 물이 비워질수록 더 많은 수압차를 받게 되므로 전체적으로는 단면적에 거의 정비례한 유량특성을 갖게 된다.
도 4 a~d는 본 발명 수세장치의 구체적인 단계별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수세장치라 함은 본 발명 변기에 속하는 장치이자, 다른 형태의 변기에도 독립적으로 적용 가능한 작동모듈의 개념으로써, 기본적으로는 후레쉬밸브(20)와 급수관조인트(30), 그리고 푸시로드(27)를 포함한 변기작동 손잡이가 합쳐진 밸브모듈로 정의될 수 있고, 약간 더 넓은 의미로써 급수관들(13,14)과 직수공급관(15)을 포함하는 세척수 급수시스템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밸브모듈에 한정하여 본 발명의 수세장치를 설명한다.
도 4a는 본 수세장치가 작동 전 또는 작동 종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수세장치의 작동은 도 4a 로부터 4b-4c-4d 그리고 다시4a로 진행된다.
도 4b에서 푸시로드(27)의 작동에 의해 압력실(22)이 개방되고, 그에 따라 승강 및 회전 운동하는 피스톤레버(21)에 의해 후레쉬밸브(20)의 내부 콘트롤밸브인 세척수 공급밸브(26)가 위로 상승한다. 이때 압력실(22)에는 이전 변기작동에서 고여있던 세척수가 가압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다가 피스톤레버(21)가 기울면서 생긴 틈으로 빠져나가면서 내부 압력을 상실하게 되고, 따라서 세척수 공급실(25)로부터의 가압세척수에 의한 압력으로 세척수 공급밸브를 포함한 콘트롤밸브 모듈이 상승하는 것이다. 이때 필터(24)를 통해 오리피스 형태의 공급구(23)로 미소량의 압력수가 계속 공급되므로 일정시간(변기 세척에 필요한 설정시간) 이후 상기 콘트롤밸브 모듈은 다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레버(21)도 재차 하강하게 되고, 세척수는 끊기게 된다. 참고로 압력실(22)의 총 압력수량은 상기 콘트롤밸브 모듈의 총 행정거리로 결정되며 이는 후레쉬밸브 상단의 조절나사를 돌려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레버(21)에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32)와 상기 연결부재(32)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레버 운동과 상기 연결부재 운동에 연동되어 승강운동 또는 회전운동하는 유도캡(31)이 급수관 조인트(3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도 4b에서 후레쉬밸브(20)의 피스톤레버(21)가 작동하여 압력실(22)의 압력수가 빠지면, 제트구 급수관(14)을 막고 있던 유도캡(31)이 상승하면서, 양 급수관으로 동시에 초기 급수가 이루어지고,
도 4c에서 피스톤레버의 상사점에서 급수압과 급수량이 최대가 될 때 제트구(12)쪽으로 급수량이 최대, 림배수구(11)쪽으로 급수량이 최소가 되도록 유도캡이 림배수구 급수관을 막게 된다.
다시 말하면 유도캡(31)이 후레쉬밸브(20)의 작동 중에 'ㄱ'자 형으로 꺾인 연결부재(32)에 의해 상기 피스톤레버(21)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레버의 상사점에서 상기 림배수구 급수관(14)을 막게 되는 것이다.
도 4c에 도시된 급수관 조인트(30)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유도캡(31)의 승강 및 회전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35)와 유도캡(31)이 최대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즉 림배수구 급수관(13)을 최대로 막는 과정에서 내려오는 세척수의 저항을 피할 수 있도록 림배수구 급수관(13)쪽 급수출구(33)에는 상기 유도캡(31)의 하방수압 작용면적을 덮어서 엄폐할 수 있는 수납돌기(36)가 더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의 저항에 의해 유도캡이 빠르게 가라앉는 현상이 방지되며 결과적으로 세척수 공급밸브(26)는 천천히 하강할 수 있고, 압력실(22)에는 정상적인 속도로 압력수가 차오를 수 있다.
이는 도 5에서 더욱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는데 도 5의 상면 투영도를 살펴보면 유도캡이 완전히 상승회전하였을 경우에는 세척수의 하강저항을 거의 받지 않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압력실(22)에 압력수(=세척수)를 채우는 작은 오리피스관 형태의 공급구(23)면적을 제외하면, 피스톤레버(21)와 연동운동 중에 유도캡(31)에 형성되는 하방수압 최대작용면적(최대 수직투영면적)은 세척수 공급압력에 의해 후레쉬밸브(20)의 압력실(22)이 받는 상방수압 최대작용면적(최대 수직투영면적)보다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레버(21)의 동작에 따른 압력실(22)의 압력강하와 압력재상승 작용은 상기 유도캡(31)의 유도운동 중 아래로 내려오는 세척수압에 의한 당김 저항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d는 피스톤레버와 세척수 공급밸브를 포함한 콘트롤밸브 모듈이 재차 하강하는 과정으로 림배수구 급수관쪽 급수출구(33)은 다시 열리기 시작하고 유도캡(31)은 상기 피스톤레버의 하사점에서 재차 제트구 급수관(14)쪽 급수출구(34)를 막아(다시 도 4a) 제트구쪽으로 급수량이 최소, 림배수구쪽으로 급수량이 최대가 되도록 한다. 도 4a-b-c-d-a의 과정을 살펴보면 건물내 직수 공급압력은 도 4c 시점에서 제트구에 최대로 작용할 수 있으며 최대한 짧고 빠른 시간내에 적은 급수량으로 오물을 효과적으로 밀어낸 다음, 직수 공급압력이 감소하는 동안에는 제트구 급수를 줄이고 재차 림배수구 쪽으로 급수를 늘리면서(도 4a) 변기내면을 세척하고 변기내부에 물을 충분히 채우게 된다.
도 4, 도 5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 유도캡(31)과 연결부재(32)의 구체적 형상과 결합형태를 살펴보면 연결부재가 꺾여서 유도캡에 밀착된 부분이나, 유도캡의 회전돌기가 급수관조인트(30) 내부 측면에 형성된 유도운동용 안내돌기(35)에 삽입되면서 약간씩 틈이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유도캡은 제트구 급수출구나 림배수구 급수출구를 완전히 막도록 설계된 것이 아니다. 이는 굳이 그럴 필요가 없거니와, 약간의 누설부분이 있어야 충격적 동작이나 불필요한 수격현상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급수관 조인트(30)가 일체형 주물로 제조되는 것을 감안하면 유도캡(31) 및 연결부재(32)는 후레쉬밸브(20)모듈에 결합된 채로 급수관 조인트의 상부 구멍으로 쉽게 삽입되어야 하며 도 5는 이러한 조립과정이 반영된 누설부분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이 정도의 누설 부분은 전체 유량변화에서 미미하며 본 발명이 의도하고 있는 순차적인 공급, 특히 제트구에 세척수 공급 후 충분한 양의 2차 세척수를 림배수구로 보내는 기본적인 기술적 의도를 전혀 훼손하지는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이 구체화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이 내포하고 있는 기술적 사상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미처 포함되지 않은 단순한 변경 및 간단한 확장 사례를 추가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이 고유하게 보유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자명하게 포함된다.
본 발명의 수세 장치가 적용된 변기는 직수공급관의 수압저하에 따른 변기막힘을 방지하거나 물절약 측면을 고려하여 림배수구 없이 물을 채우지 않는 상태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공중화장실용 양변기를 훌륭히 대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변기 내부 잔류오물이나 오물냄새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어 공중화장실의 청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로써 압력실의 행정거리와 급수관 직경을 가변식으로 제작한다면 일정이상의 수압이 공급되는 가정용 주택에서 절수를 위한 애프터마켓용 변기 또는 변기용 수세밸브로서 상품성이 높을 뿐 아니라, 연결부재와 유도캡 등 상대적으로 저렴한 추가 부품만이 소요되므로, 적절한 초기수압 세팅을 거쳐 신축되는 대규모 주거단지의 가정용 변기로서 대량으로 저렴하게 공급이 가능하고 가정용 화장실의 실용 공간을 늘려주는 효과가 있다.
10: 변기
11: 림배수구
12: 제트구
13: 림배수구 급수관
14: 제트구 급수관
15: 세척수 공급관(건물 내 배관)
16: (변기) 내부용기
20: 후레쉬밸브
21: (압력실 개폐용) 피스톤레버
22: 압력실
23: (오리피스 타입) 압력수 공급구
24: 압력수 공급 필터
25: 세척수 공급실
26: 세척수 공급밸브
27: 푸시로드
30: 급수관 조인트
31: (세척수) 유도캡
32: (유도캡) 연결부재
33: (림배수구쪽) 출구
34: (제트구쪽) 출구
35: (유도운동) 안내돌기
36: (유도캡) 수납돌기
11: 림배수구
12: 제트구
13: 림배수구 급수관
14: 제트구 급수관
15: 세척수 공급관(건물 내 배관)
16: (변기) 내부용기
20: 후레쉬밸브
21: (압력실 개폐용) 피스톤레버
22: 압력실
23: (오리피스 타입) 압력수 공급구
24: 압력수 공급 필터
25: 세척수 공급실
26: 세척수 공급밸브
27: 푸시로드
30: 급수관 조인트
31: (세척수) 유도캡
32: (유도캡) 연결부재
33: (림배수구쪽) 출구
34: (제트구쪽) 출구
35: (유도운동) 안내돌기
36: (유도캡) 수납돌기
Claims (6)
- 림배수구(11)와 제트구(12) 및 후레쉬밸브(20)를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가압상태의 세척수를 공급받는 강제배수식 변기(10)에 있어서,
일부의 세척수를 림배수구(11)로 공급하는 림배수구 급수관(13);
나머지 세척수를 제트구(12)로 공급하되, 상기 림배수구 급수관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제트구 급수관(14); 및
상기 세척수를 상기 림배수구 급수관과 상기 제트구 급수관에 나누어 공급하는 급수관 조인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기(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 조인트(30)는,
상기 후레쉬 밸브(20)의 승강작동에 연동되는 유도캡(31)을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유도캡은 상기 후레쉬밸브의 작동 중에 상기 후레쉬밸브 내 피스톤레버(21)의 승강작동에 따라 연동 승강 또는 연동 회전하여 상기 제트구 급수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1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캡(31)은,
'ㄱ'자 형으로 꺾인 연결부재(32)에 의해 상기 피스톤레버(21)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레버의 상사점에서 상기 림배수구 급수관(14)을 막고, 상기 피스톤레버의 하사점에서 상기 제트구 급수관(14)을 막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10).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캡(31)이 상기 피스톤레버(21)와 연동운동 중에 받는 하방수압 최대작용면적(최대 수직투영면적)은 세척수 공급압력에 의해 상기 후레쉬밸브(20)의 압력실(22)이 받는 상방수압 최대작용면적(최대 수직투영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1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 조인트(30)는,
상기 유도캡(31)의 승강 및 회전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35)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를 상기 림배수구 급수관과 상기 제트구 급수관에 2:8 ~ 4:6 의 범위 안에서 나누어 공급하도록 상기 제트구 급수관(14)쪽 급수출구의 직경이 상기 림배수구 급수관(13)쪽 급수출구의 직경보다 1.25배 ~ 2배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림배수구 급수관(13)쪽 급수출구에는 상기 유도캡(31)의 하방수압 작용면적을 덮어서 엄폐할 수 있는 수납돌기(36)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10). - 외부로부터 가압상태의 세척수를 공급받는 강제배수식 변기(10)의 수세장치에 있어서,
푸시로드(27)의 작동에 의해 압력실(22)이 개방되고, 그에 따라 승강 및 회전 운동하는 피스톤레버(21)를 구비한 후레쉬밸브(20)와;
상기 피스톤레버에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21)와;
상기 연결부재(21)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레버 운동과 상기 연결부재 운동에 연동되어 승강운동 또는 회전운동하는 유도캡(3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기의 수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6691A KR101196238B1 (ko) | 2010-05-19 | 2010-05-19 | 강제 배수식 변기 및 그 수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6691A KR101196238B1 (ko) | 2010-05-19 | 2010-05-19 | 강제 배수식 변기 및 그 수세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7294A true KR20110127294A (ko) | 2011-11-25 |
KR101196238B1 KR101196238B1 (ko) | 2012-11-05 |
Family
ID=4539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6691A KR101196238B1 (ko) | 2010-05-19 | 2010-05-19 | 강제 배수식 변기 및 그 수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623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943520A (zh) * | 2012-10-23 | 2013-02-27 | 佛山东鹏洁具股份有限公司 | 一种马桶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22533B2 (ja) | 1999-07-09 | 2009-02-12 | 株式会社Inax | タンクレス便器 |
JP3637482B2 (ja) | 1999-07-09 | 2005-04-13 | 株式会社Inax | タンクレス便器 |
JP3641167B2 (ja) * | 1999-07-16 | 2005-04-20 | 株式会社Inax | タンクレス便器 |
JP4110853B2 (ja) * | 2002-06-21 | 2008-07-02 | Toto株式会社 | 便器装置 |
-
2010
- 2010-05-19 KR KR1020100046691A patent/KR10119623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943520A (zh) * | 2012-10-23 | 2013-02-27 | 佛山东鹏洁具股份有限公司 | 一种马桶 |
CN102943520B (zh) * | 2012-10-23 | 2014-05-07 | 佛山东鹏洁具股份有限公司 | 一种马桶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96238B1 (ko) | 2012-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20079551A (ja) | 自己水洗トイレアセンブリ及びシステム | |
JP4110578B1 (ja) | 水洗大便器 | |
CN101772604B (zh) | 限量式高性能冲洗阀组件 | |
KR100483510B1 (ko) |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 |
WO2009002062A2 (en) | Toilet stool having supporting water tank for preventing overflowing | |
CN107532747A (zh) | 虹吸式致动阀 | |
WO2005106141A1 (en) | Jet pump and toilet stool having rim side water supply apparatus using the same | |
JP2006500496A (ja) | 節水型洋風便器 | |
KR100901186B1 (ko) |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 |
KR100798661B1 (ko) | 절수형 양변기 | |
CN112814110A (zh) | 一种排水装置、坐便器和坐便器的冲水方法 | |
KR101196238B1 (ko) | 강제 배수식 변기 및 그 수세장치 | |
KR101180694B1 (ko) | 복수 필밸브의 개폐시점 조절을 이용한 절수형 변기의 세척수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 | |
KR101145228B1 (ko) | 강제 배수식 변기 및 그 수세장치 | |
KR100670933B1 (ko) | 수돗물 절약 자동조절 필밸브를 구비한 양변기 | |
KR102162939B1 (ko) | 보울용 담수탱크를 갖는 가변식 직수 절수양변기 | |
CN215211390U (zh) | 一种排水装置和坐便器 | |
JP5412779B2 (ja) | 洋風大便器 | |
KR200439371Y1 (ko) | 물 절감 좌변기 | |
KR200262753Y1 (ko) | 수세식 절수 변기 | |
KR200308725Y1 (ko) | 절수형 양변기 | |
CN108505601B (zh) | 一种防溅水蹲便器 | |
JP3049695U (ja) | 直通式節水便器 | |
KR101468884B1 (ko) |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 |
CN108505600B (zh) | 一种防溅水马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