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058A -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 Google Patents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058A
KR20110127058A KR1020110006599A KR20110006599A KR20110127058A KR 20110127058 A KR20110127058 A KR 20110127058A KR 1020110006599 A KR1020110006599 A KR 1020110006599A KR 20110006599 A KR20110006599 A KR 20110006599A KR 20110127058 A KR20110127058 A KR 20110127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hoe
insole
metatarsal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6521B1 (ko
Inventor
김동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학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학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학산
Publication of KR20110127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상보행을 위한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발, 회내전족, 요족에 따라서 그리고 아치가 무너진 정도에 따라서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를 구비하여 벗어난 체중심을 정상의 체중심으로 이동시키게 하는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발깔창는 깔창본체(20), 내측힐패드(30), 외측힐패드(40), 내측종아치패드(50), 외측종아치패드(60), 내측중족골패드(70), 외측중족골패드(80), 횡아치패드(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평발이 정상적인 보행을 위해서는, 내측중족골패드가 내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고, 내측종아치패드가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내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며, 내측힐패드가 내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도록 신발깔창이 이루어진다. 회내전족의 정상적인 보행을 위해서는, 내측종아치패드가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내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며, 내측힐패드가 내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도록 신발깔창이 이루어진다. 요족의 정상적인 보행을 위해서는, 외측중족골패드가 외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내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며, 외측종아치패드가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내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며, 외측힐패드가 외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내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도록 신발깔창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The shoes insole for correcting balance of body}
본 발명은 정상보행을 위한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발, 회내전족, 요족에 따라서 그리고 아치가 무너진 정도에 따라서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를 구비하여 벗어난 체중심을 정상의 체중심으로 이동시키게 하는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깔창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시트가 접착된다. 이러한 깔창은 신발의 밑창 상부에 배치되게 내부에 삽입되어, 하중을 완충하는 쿠션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의 깔창은 그 형상이 평판에 가까운 동일한 형상으로 대량생산됨으로써 서로 다른 발바닥의 형태를 갖는 개인에 따라 깔창과 개인의 발바닥이 고르게 밀착되지 않아 무게중심이 분산되고, 보행 및 운동 등을 할 때 깔창의 상부 표면과 개인의 발바닥에 생기는 공간의 발바닥 특정부위에 비정상적으로 체중과 충격이 가해져 발이 쉽게 피로해지며 장기간 사용자의 발바닥과 맞지 않는 깔창을 사용할 경우 잘못된 걷는 습관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발바닥 및 발가락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발은 정교하고 섬세한 기관으로서 약 26개의 뼈와 33개의 관절, 107개의 인대와 수많은 근육과 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의 일반적인 골격의 명칭에 대해 도 1a 및 도 1b에 제시되어 있다. 도 1a는 우측발을 발등에서 본 발의 골격을 나타내며, 도 1b는 우측발을 측면에서 본 발의 골격을 나타낸다.
발바닥에 우묵하게 들어간 것을 발의 아치(arch)라 하는데, 우리의 발은 세개의 아치(족궁)를 가지고 있다. 이 세개의 아치 중, 몸의 정중부에 가까운 것을 내측 아치 먼것을 외측 아치라 하며 발등부위의 5개의 중족골이 이루는 아치를 횡아치라고 한다. 또한 이 중 두개의 내측과 외측아치는 종축으로 아치를 이루었다고 하여 종아치라한다. 일반적으로 발의 내측 종아치를 내측 종족궁(med. longitudinal arch)이라고도 하고 발의 외측 종아치를 외측 종족궁(lat.longitudinal arch)이라고도 한다. 이는 도 1c에 제시되어 있다.
내측 종아치(내측 종족궁)는 발의 종골에서부터 기시하여 거골, 주상골, 설상골(3개), 중족골(제1~제3 중족골)이 이루는 아치를 말하여, 외측종아치(외측 종족궁)는 발의 종골에서부터 기시하여 입방골, 중족골(제4 중족골, 제5중족골)이 이루는 아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아치가 내려온 경우(아치가 무너진 경우)의 발을 평발이라 하며, 보다 상세히 말하면, 평발은 내측 중족골(제1중족골 가장자리), 내측 종아치, 내측 힐(내측 발뒤꿈치, 즉 제2 섭상골 하면)이 무너져 내려온 경우이다.
내측 힐 부분만이 무너진 경우의 발을 회내전족이라 하며, 아치가 높은 발을 요족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 평발이 약 5%, 회내전족이 약 85%, 요족이 9%, 정상이 약 1%를 차지한다.
평발, 회내전족, 요족은 잘못된 보행 습관 등에 의해 발의 체중심(무게중심)이 잘못 이루어져 생긴다.
일반적으로 발의 정상적인 중심선은, 발의 뒤꿈치 중앙부에서 2번 발가락까지, 또는 발의 뒤꿈치 중앙부에서 2번 발가락과 3번 발가락 사이 까지를 말한다(도 2 참조).
평발, 회내전족, 요족도 보행시 정상적인 중심선을 유지하게 하기 위해서는 평발, 회내전족, 요족에 따라 그리고 아치가 무너진 정도에 따라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를 구비한 안창이 요망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평발, 회내전족, 요족에 따라서 그리고 아치가 무너진 정도에 따라서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를 구비하여 벗어난 체중심을 정상의 체중심으로 이동시키게 하는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깔창본체에 내측힐패드, 외측힐패드, 내측종아치패드, 외측종아치패드, 내측중족골패드, 외측중족골패드 및 횡아치패드를 선택적으로 부착함으로써, 보행자의 체중중심을 정상적으로 교정되게 조절하여 정상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깔창과 발바닥의 밀착면적을 넓히고 무게중심을 집중시켜 안정감있는 균형을 유지하여 발이 피로하지 않으며 걸음걸이가 교정되는 정상보행을 위한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평발을 위해서 내측힐패드, 내측종아치패드, 내측중족골패드, 횡아치패드를 구비하되, 내측힐패드 및 내측종아치패드는 중심부록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여 발이 체중심이 벗어나더라도 미끄러져 정상적인 체중심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평발을 위한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회내전족을 위해서 내측힐패드, 내측종아치패드, 횡아치패드를 구비하되, 내측힐패드 및 내측종아치패드는 중심부록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여 발이 체중심이 벗어나더라도 미끄러져 정상적인 체중심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회내전족을 위한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요족을 위해서 외측힐패드, 외측종아치패드, 외측중족골패드, 횡아치패드를 구비하되, 외측힐패드 및 외측종아치패드는 중심부록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여 발이 체중심이 벗어나더라도 미끄러져 정상적인 체중심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요족을 위한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은, 신발 내부 바닥에 까는 것으로, 신발의 내측바닥면과 크기 및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깔창본체; 깔창본체의 저면의 선단부에서, 제1 내지 제3 중족골두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내측면이 사선을 형성한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내측중족골패드; 깔창본체의 저면의 중간부에서, 내측종아치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유선형 반원을 이루며, 발의 종골에서부터 재거돌기를 지나 거골, 주상골, 설상골, 제1~3중족골두까지의 부위 대응되는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외측 및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내측종아치패드; 깔창본체의 저면의 힐부의 내측에 부착되되, 1/4등분한 타원형으로, 내측면이 상기 타원형의 곡선부로서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내측힐패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내측중족골패드가 내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며, 내측종아치패드가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내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며, 내측힐패드가 내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여, 평발이 정상적인 보행을 하게 돕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은, 신발 내부 바닥에 까는 것으로, 신발의 내측바닥면과 크기 및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깔창본체; 깔창본체의 저면의 중간부에서, 내측종아치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유선형 반원을 이루며, 발의 종골에서부터 재거돌기를 지나 거골, 주상골, 설상골, 제1~3중족골두까지의 부위 대응되는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내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내측종아치패드; 깔창본체의 저면의 힐부의 내측에 부착되되, 1/4등분한 타원형으로, 내측면이 상기 타원형의 곡선부로서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내측힐패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내측종아치패드가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내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며, 내측힐패드가 내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여, 회내전족이 정상적인 보행을 하게 돕도록 이루어다.
또한, 본 발명의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은, 신발 내부 바닥에 까는 것으로, 신발의 내측바닥면과 크기 및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깔창본체; 깔창본체의 저면의 선단부에서, 제3 내지 제5 중족골두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외측면이 사선을 형성한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내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외측중족골패드; 깔창본체의 저면의 중간부에서, 외측종아치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유선형 반원을 이루며, 입방골 라인에 대응되는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내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외측종아치패드; 깔창본체의 저면의 힐부의 외측에 부착되되, 1/4등분한 타원형으로, 외측면이 상기 타원형의 곡선부로서 두께가 두껍고 내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외측힐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외측중족골패드가 외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내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며, 외측종아치패드가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내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며, 외측힐패드가 외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내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여, 요족이 정상적인 보행을 하게 돕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은, 깔창본체의 저면에서 횡아치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삼각형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융기되어 있는 횡아치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힐패드는, 내측힐패드의 상부가 발의 힐 끝점인 제2설상골 하면과 대응되며, 내측힐패드의 일측면이 발의 뒤꿈치부분에서 발의 중심선에 대응되며, 상기 외측힐패드는, 외측힐패드의 상부가 발의 힐 끝점인 제2설상골 하면과 대응되며, 외측힐패드의 일측면이 발의 뒤꿈치부분에서 발의 중심선에 대응된다.
내측종아치패드는, 제1중족골 후면에서 힐 끝점인 제2설상골 하면까지에 대응되게 위치되며, 내측종아치패드는,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를 경계로 양측이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외측종아치패드는, 제5중족골 후면에서 힐 끝점인 제2설상골 하면까지에 대응되게 위치되며, 외측종아치패드는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를 경계로 양측이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내측중족골패드에서, 내측중족골패드의 내측면은 제1중족골두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며, 내측중족골패드의 상부는 제1 내지 제3 중족골두 선에 대응되도록 깔창본체에 부착되며, 외측중족골패드에서, 외측중족골패드의 외측면은 제5중족골두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며, 외측중족골패드의 상부는 제3 내지 제5 중족골두 선에 대응되도록 깔창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횡아치패드는 가로길이를 제1중족골두 외측 가장자리에서 제4중족골두 내측 가장자리까지로 하고, 세로길이를 제2중족골과 제3중족골 중간지점에서 종족골두 앞끝에서부터 중족골지 뒷끝까지의 길이로 하며, 중심점은 제2중족골과 제3중족골 중간 지점으로 하고, 중심점의 높이는 제2중족골두와 제3중족골두 중간 지점에서의 높이로 한다.
내측중족골패드, 내측종아치패드, 내측힐패드, 외측중족골패드, 외측종아치패드, 외측힐패드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다.
내측힐패드의 재질은 고무 혹은 경도 90이상의 고경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이며, 내측힐패드의 내측면의 두께는 3~6mm이며, 외측힐패드의 재질은 고무 혹은 경도 90이상의 고경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이며, 외측힐패드의 외측면의 두께는 3~6mm이다.
내측종아치패드의 재질은 경도 80이상의 고경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로 이루어지며,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의 두께는 약 7mm이며, 외측종아치패드의 재질은 경도 80이상의 고경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로 이루어지며,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의 두께는 약 3mm이다.
내측중족골패드는 경도 80이상의 고경도 EVA로 이루어지며, 내측중족골패드의 내측면의 두께는 약 3mm이며, 외측중족골패드는 경도 80이상의 고경도 EVA로 이루어지며, 외측중족골패드의 외측면의 두께는 약 3mm이다.
횡아치패드는 삼각형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삼각형의 꼭지점으로부터 4/5되는 지점이 3mm로 가장 두껍고, 횡아치패드의 재질은 경도 80이상의 고경도 EVA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에 따르면, 평발, 회내전족, 요족에 따라서 그리고 아치가 무너진 정도에 따라서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를 구비하여 벗어난 체중심을 정상의 체중심으로 이동시키게 한다.
본 발명인 정상보행을 위한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은 깔창본체에 내측힐패드, 외측힐패드, 내측종아치패드, 외측종아치패드, 내측종아치패드, 외측중족골패드, 횡아치패드를 선택적으로 부착함으로써, 보행자의 체중중심을 정상적으로 교정되게 조절하여 정상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깔창과 발바닥의 밀착면적을 넓히고 무게중심을 집중시켜 안정감있는 균형을 유지하여 발이 피로하지 않으며 걸음걸이가 교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발을 위해서 내측힐패드, 내측종아치패드, 내측중족골패드, 횡아치패드를 구비하되, 내측힐패드 및 내측종아치패드는 중심부록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여, 평발이 체중심이 벗어나더라도 미끄러져 정상적인 체중심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내전족을 위해서 내측힐패드, 내측종아치패드, 횡아치패드를 구비하되, 내측힐패드 및 내측종아치패드는 중심부록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여, 회내전족이 체중심이 벗어나더라도 미끄러져 정상적인 체중심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족을 위해서 외측힐패드, 외측종아치패드, 외측중족골패드, 횡아치패드를 구비하되, 외측힐패드 및 외측종아치패드는 중심부록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여, 요족이 체중심이 벗어나더라도 미끄러져 정상적인 체중심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1a은 우측발을 발등에서 본 발의 골격이다.
도 1b는 우측발을 측면에서 본 발의 골격이다.
도 1c는 발의 재거돌기가 정상위와 비정상위를 비교한 설명도이다.
도 2는 신발깔창내에 나타낸 정상적 발의 중심선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3의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장착된 신발깔창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신발깔창의 좌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의 신발깔창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3의 밸런스 유지용 패드중 내측힐패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3의 밸런스 유지용 패드중 내측종아치패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9은 도 3의 밸런스 유지용 패드중 외측종아치패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3의 밸런스 유지용 패드중 내측중족골패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3의 밸런스 유지용 패드중 횡아치패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평발을 위한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의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회내전족을 위한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의 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요족을 위한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의 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면에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의 예이다.
도 16은 도 15의 신발깔창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의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장착된 신발깔창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5는 도 4의 신발깔창의 좌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6은 도 4의 신발깔창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신발깔창(10)은 깔창본체(20), 내측힐패드(30), 외측힐패드(40), 내측종아치패드(50), 외측종아치패드(60), 내측중족골패드(70), 외측중족골패드(80), 횡아치패드(90)로 이루어진다.
상기 깔창본체(20)는 신발 내부 바닥에 까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신발의 내측바닥면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그 상면은 발바닥형태와 유사하게 굴곡지게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깔창본체(20)의 상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섬유시트(도시생략)가 접착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신발깔창(10)의 저면에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며, 경우에 따라서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신발깔창(10)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깔창본체(20)의 상면의 섬유시트의 밑에 장착될 수 있다.
내측힐패드(3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중심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깔창본체(20)의 힐부(뒤꿈치부)의 내측에 대응되게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내측힐패드(30)는 발의 뒤꿈치부분의 내측으로 내측힐패드(30)의 상부는 발의 힐 끝점, 즉 제2설상골 하면과 대응되며, 내측힐패드(30)의 일측면(즉, 중심부 측면)은 발의 뒤꿈치부분에서 발의 중심선(5)에 대응된다.
외측힐패드(4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중심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깔창본체(20)의 힐부(뒤꿈치부)의 외측에 대응되게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외측힐패드(40)는 발의 뒤꿈치부분의 외측으로 외측힐패드(40)의 상부는 발의 힐 끝점, 즉 제2설상골 하면과 대응되며, 외측힐패드(40)의 일측면(즉, 중심부 측면)은 발의 뒤꿈치부분에서 발의 중심선(5)에 대응된다.
발의 뒤꿈치부분에는 내측힐패드(30)와 외측힐패드(40)가 발의 중심선(5)을 기준으로 좌우에 부착된다.
내측종아치패드(5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깔창본체(20)의 내측종아치 부분에 대응되게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며, 이때, 내측종아치패드의 일단은 상향으로 곡선지게 돌출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종아치패드(50)는 제1중족골 후면에서 힐 끝점(제2설상골 하면)까지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내측종아치패드(50)는 유선형 반원(바가지 모양)을 이루며, 발의 종골에서부터 재거돌기를 지나 거골, 주상골, 설상골, 제1~3중족골두까지의 부위 대응되는 신발 내측 저면라인에 대응되는 부분, 즉,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55)의 두께가 제일 두껍고,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55)로부터 중심선측 및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얇아지도록 이루어지며,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55)를 경계로 양측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외측종아치패드(6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깔창본체(20)의 외측종아치 부분에 대응되게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며, 이때, 외측종아치패드의 일단은 상향으로 곡선지게 돌출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종아치패드(60)는 제5중족골 후면에서 힐 끝점(제2설상골 하면)까지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외측종아치패드(60)는 유선형 반원(바가지 모양)을 이루며, 입방골 라인에 대응되는 신발 외측 저면라인에 대응되는 부분, 즉,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의 두께가 제일 두껍고,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로부터 중심선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얇아지도록 이루어지며,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를 경계로 양측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내측종아치패드(50)와 외측종아치패드(60)가 발의 중심선(5)을 기준으로 좌우에 부착된다.
내측중족골패드(7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중심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져 단면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깔창본체(20)의 선단부, 즉 제1 내지 제3 중족골두 부위에 대응되게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즉, 내측중족골패드(70)의 내측면은 제1중족골두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며, 내측중족골패드(70)의 상부는 제1 내지 제3 중족골두 선에 대응되도록 깔창본체(20)에 장착된다.
외측중족골패드(8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중심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져 단면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깔창본체(20)의 선단부, 즉 제3 내지 제5 중족골두 부위에 대응되게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즉, 외측중족골패드(80)의 외측면은 제5중족골두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며, 외측중족골패드(80)의 상부는 제3 내지 제5 중족골두 선에 대응되도록 깔창본체(20)에 장착된다.
내측중족골패드(70)와 외측중족골패드(80)가 발의 중심선(5)을 기준으로 좌우에 부착된다.
횡아치패드(90)는 발등부위의 5개의 중족골이 이루는 횡아치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깔창본체(20)에 중족골두가 닿는 부분에 대응하여 장착되며, 중족골두에 집중되는 압력을 분산한다. 횡아치패드(90)는 가로길이를 제1중족골두 외측 가장자리에서 제4중족골두 내측 가장자리까지로 하고, 세로길이를 제2중족골과 제3중족골 중간지점에서 종족골두 앞끝에서부터 중족골지 뒷끝까지의 길이로 하며, 중심점은 제2중족골과 제3중족골 중간 지점으로 하고, 중심점의 높이는 제2중족골두와 제3중족골두 중간 지점에서의 높이로 한다. 횡아치패드(90)는 그 밑면이 삼각형에 가까운 원모양을 이루다.
여기서, 내측힐패드(30), 외측힐패드(40), 내측종아치패드(50), 외측종아치패드(60), 내측중족골패드(70), 외측중족골패드(80), 횡아치패드(90)를 밸크로 테이프(도시 생략)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깔창본체(20)에는 사용자의 발바닥 형상 및 걷는 습관에 따라 내측힐패드(30), 외측힐패드(40), 내측종아치패드(50), 외측종아치패드(60), 내측중족골패드(70), 외측중족골패드(80), 횡아치패드(90)를 선택적으로 부착 또는 탈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깔창본체(20)의 저면에는 중심선(5)이 표시되고,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각 패드의 정렬선이 더 표시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중심선 및 정렬선을 따라 내측힐패드(30), 외측힐패드(40), 내측종아치패드(50), 외측종아치패드(60), 내측중족골패드(70), 외측중족골패드(80), 횡아치패드(9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밸런스 유지용 패드중 내측힐패드의 측면도로서, (a) 내측힐패드의 정면도, (b) 내측힐패드의 우측면도, (c) 내측힐패드의 좌측면도이다.
내측힐패드(30)는 타원을 중심점을 기준으로 1/4등분한 형태로, 중심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져 있어, 그 단면이 삼각형을 이룬다.
외측힐패드(40)도 내측힐패드(30)와 같은 형태이므로 여기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외측힐패드(40) 및 내측힐패드(30)의 재질은 고무 혹은 경도 90이상의 고경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인 것이 바람직하며, 내측힐패드(30)의 내측면 및 내측힐패드(30)의 외측면에서의 두께, 즉 웨지 높이는 약 3mm로 하며, 증상에 따라 약 6mm까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3의 밸런스 유지용 패드중 내측종아치패드의 측면도를 나타내며, (a) 내측종아치패드의 정면도, (b) 내측종아치패드의 배면도, (c) 내측종아치패드의 좌측면도, (d) 내측종아치패드의 우측면도이다.
내측종아치패드(50)는 유선형 반원(바가지 모양)을 이루며,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55)의 두께가 제일 두껍고,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55)로부터 중심선측 및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얇아지도록 이루어지며,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55)를 경계로 양측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내측종아치패드(50)의 재질로서, 경도 80이상의 고경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55)의 두께는 약 7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은 도 3의 밸런스 유지용 패드중 외측종아치패드의 측면도를 나타내며, (a) 외측종아치패드의 좌측면도, (b) 외측종아치패드의 정면도, (c) 우측종아치패드의 배면도이다.
외측종아치패드(60)는 유선형 반원(바가지 모양)을 이루며,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65)의 두께가 제일 두껍고,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로부터 중심선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얇아지도록 이루어지며,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를 경계로 양측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외측종아치패드(60)의 재질로서, 경도 80이상의 고경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65)의 두께는 약 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 3의 밸런스 유지용 패드중 내측중족골패드의 측면도를 나타내며, (a) 내측중족골패드의 좌측면도, (b) 내측중족골패드의 우측면도, (c) 내측중족골패드의 정면도, (d) 내측중족골패드의 배면도이다.
내측중족골패드(70)는 내측면이 사선을 형성한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중심부(외측면)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져 단면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말해 사선형성 측면이 가장 두껍고 점차 얇아지도록 이루어진다.
외측중족골패드(80)도 내측중족골패드(70)와 같은 형태이므로 여기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내측중족골패드(70)와 외측중족골패드(80)의 재질은 경도 80이상의 고경도 EVA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내측중족골패드(70)의 내측면과 외측중족골패드(80)의 외측면의 두께, 즉 웨지 높이는 약 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도 3의 밸런스 유지용 패드중 횡아치패드의 측면도를 나타내며, (a) 횡아치패드의 배면도, (b) 횡아치패드의 측면도이다.
횡아치패드(90)는 그 밑면이 삼각형에 가까운 원모양을 이루며, 중앙부가 제일 두께가 두꺼우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되어 있어, 중앙부가 융기되어 있다. 횡아치패드(90)의 삼각형의 꼭지점으로부터 4/5되는 지점, 즉 횡아치패드(90)의 상부로부터 꼭지점을 향해 1/5되는 지점이 최고의 두께를 가지며, 그 두께는 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횡아치패드(90)의 재질은 경도 80이상의 고경도 EVA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평발을 위한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의 예이다.
평발은 내측 중족골, 내측 종아치, 내측 힐이 무너져 내려온 경우로서, 평발을 위한 신발깔창은 깔창본체(20)에 내측힐패드(30), 내측종아치패드(50), 내측중족골패드(70), 횡아치패드(9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 횡아치패드(90)는 생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회내전족을 위한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의 예이다.
내측 힐 부분만이 무너져 내려온 경우인 회내전족을 위한 신발깔창은 깔창본체(20)에 내측힐패드(30), 내측종아치패드(50), 횡아치패드(9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 횡아치패드(90)는 생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요족을 위한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의 예이다.
아치가 높은 발인 요족을 위한 신발깔창은 깔창본체(20)에 외측힐패드(40), 외측종아치패드(60), 외측중족골패드(80), 횡아치패드(9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 횡아치패드(90)는 생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면에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의 예이고, 도 16은 도 15의 신발깔창의 측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신발깔창(10)의 상면에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장착된 경우이며, 도 3 및 도 4는 신발깔창(10)의 저면에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장착된 경우이다. 경우에 따라서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이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신발깔창(10)의 상면에 장착된 후, 그 위에 섬유시트를 더 장착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의 신발깔창(10)은 깔창본체(20)에 내측힐패드(30), 외측힐패드(40), 내측종아치패드(50), 외측종아치패드(60), 내측중족골패드(70), 외측중족골패드(80), 횡아치패드(90)를 장착하되, 융기된 부분들이 상면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5: 중심선 10: 신발깔창
20: 깔창본체 30: 내측힐패드
40: 외측힐패드 50: 내측종아치패드
55: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 60: 외측종아치패드
65: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 70: 내측중족골패드
80: 외측중족골패드 90: 횡아치패드

Claims (29)

  1. 신발 내부 바닥에 까는 것으로, 신발의 내측바닥면과 크기 및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깔창본체;
    깔창본체의 저면의 선단부에서, 제1 내지 제3 중족골두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내측면이 사선을 형성한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내측중족골패드;
    깔창본체의 저면의 중간부에서, 내측종아치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유선형 반원을 이루며, 발의 종골에서부터 재거돌기를 지나 거골, 주상골, 설상골, 제1~3중족골두까지의 부위 대응되는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외측 및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내측종아치패드;
    깔창본체의 저면의 힐부의 내측에 부착되되, 1/4등분한 타원형으로, 내측면이 상기 타원형의 곡선부로서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내측힐패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2. 제1항에 있어서,
    내측중족골패드가 내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며,
    내측종아치패드가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내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며,
    내측힐패드가 내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여,
    평발이 정상적인 보행을 하게 돕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3. 신발 내부 바닥에 까는 것으로, 신발의 내측바닥면과 크기 및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깔창본체;
    깔창본체의 저면의 중간부에서, 내측종아치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유선형 반원을 이루며, 발의 종골에서부터 재거돌기를 지나 거골, 주상골, 설상골, 제1~3중족골두까지의 부위 대응되는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내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내측종아치패드;
    깔창본체의 저면의 힐부의 내측에 부착되되, 1/4등분한 타원형으로, 내측면이 상기 타원형의 곡선부로서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내측힐패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4. 제3항에 있어서,
    내측종아치패드가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내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며,
    내측힐패드가 내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여,
    회내전족이 정상적인 보행을 하게 돕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5. 신발 내부 바닥에 까는 것으로, 신발의 내측바닥면과 크기 및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깔창본체;
    깔창본체의 저면의 선단부에서, 제3 내지 제5 중족골두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외측면이 사선을 형성한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내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외측중족골패드;
    깔창본체의 저면의 중간부에서, 외측종아치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유선형 반원을 이루며, 입방골 라인에 대응되는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내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외측종아치패드;
    깔창본체의 저면의 힐부의 외측에 부착되되, 1/4등분한 타원형으로, 외측면이 상기 타원형의 곡선부로서 두께가 두껍고 내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외측힐패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6. 제5항에 있어서,
    외측중족골패드가 외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내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며,
    외측종아치패드가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내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며,
    외측힐패드가 외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내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웨지를 형성하여,
    요족이 정상적인 보행을 하게 돕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깔창본체의 저면에서 횡아치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삼각형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융기되어 있는 횡아치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8.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힐패드는, 내측힐패드의 상부가 발의 힐 끝점인 제2설상골 하면과 대응되며, 내측힐패드의 일측면이 발의 뒤꿈치부분에서 발의 중심선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힐패드는, 외측힐패드의 상부가 발의 힐 끝점인 제2설상골 하면과 대응되며, 외측힐패드의 일측면이 발의 뒤꿈치부분에서 발의 중심선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10.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측종아치패드는, 제1중족골 후면에서 힐 끝점인 제2설상골 하면까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11. 제10항에 있어서,
    내측종아치패드는,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를 경계로 양측이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12. 제5항에 있어서,
    외측종아치패드는, 제5중족골 후면에서 힐 끝점인 제2설상골 하면까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13. 제12항에 있어서,
    외측종아치패드는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를 경계로 양측이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14. 제1항에 있어서,
    내측중족골패드에서, 내측중족골패드의 내측면은 제1중족골두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며, 내측중족골패드의 상부는 제1 내지 제3 중족골두 선에 대응되도록 깔창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15. 제5항에 있어서,
    외측중족골패드에서, 외측중족골패드의 외측면은 제5중족골두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며, 외측중족골패드의 상부는 제3 내지 제5 중족골두 선에 대응되도록 깔창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16. 제7항에 있어서,
    횡아치패드는 가로길이를 제1중족골두 외측 가장자리에서 제4중족골두 내측 가장자리까지로 하고, 세로길이를 제2중족골과 제3중족골 중간지점에서 종족골두 앞끝에서부터 중족골지 뒷끝까지의 길이로 하며, 중심점은 제2중족골과 제3중족골 중간 지점으로 하고, 중심점의 높이는 제2중족골두와 제3중족골두 중간 지점에서의 높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17. 제1항에 있어서,
    내측중족골패드, 내측종아치패드, 내측힐패드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18. 제5항에 있어서,
    외측중족골패드, 외측종아치패드, 외측힐패드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19.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측힐패드의 재질은 고무 혹은 경도 90이상의 고경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이며, 내측힐패드의 내측면의 두께는 3~6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20. 제5항에 있어서,
    외측힐패드의 재질은 고무 혹은 경도 90이상의 고경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이며, 외측힐패드의 외측면의 두께는 3~6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21.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측종아치패드의 재질은 경도 80이상의 고경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로 이루어지며,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의 두께는 약 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22. 제5항에 있어서,
    외측종아치패드의 재질은 경도 80이상의 고경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로 이루어지며,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의 두께는 약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23. 제1항에 있어서,
    내측중족골패드는 경도 80이상의 고경도 EVA로 이루어지며, 내측중족골패드의 내측면의 두께는 약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24. 제5항에 있어서,
    외측중족골패드는 경도 80이상의 고경도 EVA로 이루어지며, 외측중족골패드의 외측면의 두께는 약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25. 제7항에 있어서,
    횡아치패드는 삼각형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삼각형의 꼭지점으로부터 4/5되는 지점이 3mm로 가장 두껍고, 횡아치패드의 재질은 경도 80이상의 고경도 EV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26. 신발 내부 바닥에 까는 것으로, 신발의 내측바닥면과 크기 및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깔창본체;
    깔창본체의 상면의 선단부에서, 제1 내지 제3 중족골두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내측면이 사선을 형성한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내측중족골패드;
    깔창본체의 상면의 중간부에서, 내측종아치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유선형 반원을 이루며, 발의 종골에서부터 재거돌기를 지나 거골, 주상골, 설상골, 제1~3중족골두까지의 부위 대응되는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외측 및 내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내측종아치패드;
    깔창본체의 상면의 힐부의 내측에 부착되되, 1/4등분한 타원형으로, 내측면이 상기 타원형의 곡선부로서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내측힐패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27. 신발 내부 바닥에 까는 것으로, 신발의 내측바닥면과 크기 및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깔창본체;
    깔창본체의 상면의 중간부에서, 내측종아치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유선형 반원을 이루며, 발의 종골에서부터 재거돌기를 지나 거골, 주상골, 설상골, 제1~3중족골두까지의 부위 대응되는 신발 내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내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내측종아치패드;
    깔창본체의 상면의 힐부의 내측에 부착되되, 1/4등분한 타원형으로, 내측면이 상기 타원형의 곡선부로서 두께가 두껍고 외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내측힐패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28. 신발 내부 바닥에 까는 것으로, 신발의 내측바닥면과 크기 및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깔창본체;
    깔창본체의 상면의 선단부에서, 제3 내지 제5 중족골두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외측면이 사선을 형성한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이 두께가 두껍고 내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외측중족골패드;
    깔창본체의 상면의 중간부에서, 외측종아치 부위에 대응되게 부착되되, 유선형 반원을 이루며, 입방골 라인에 대응되는 신발 외측 저면라인 대응부가 두께가 두껍고 내측 및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외측종아치패드;
    깔창본체의 상면의 힐부의 외측에 부착되되, 1/4등분한 타원형으로, 외측면이 상기 타원형의 곡선부로서 두께가 두껍고 내측면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외측힐패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29. 제26항에 있어서,
    깔창본체의 상면에 내측중족골패드, 내측종아치패드, 내측힐패드를 장착한 후, 그 위에 섬유시트를 더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KR1020110006599A 2010-05-18 2011-01-23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KR101746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305 2010-05-18
KR20100046305 2010-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058A true KR20110127058A (ko) 2011-11-24
KR101746521B1 KR101746521B1 (ko) 2017-06-14

Family

ID=453959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599A KR101746521B1 (ko) 2010-05-18 2011-01-23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KR1020110046818A KR101103537B1 (ko) 2010-05-18 2011-05-18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818A KR101103537B1 (ko) 2010-05-18 2011-05-18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74652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6958A1 (ko) * 2013-10-14 2015-04-23 박인식 중족과 중족골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중창과 이를 구비한 신발
WO2016191562A3 (en) * 2015-05-28 2017-10-05 Spenco Medical Corporation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WO2019093578A1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셀프 맞춤형 발바닥 교정구
KR102049077B1 (ko) * 2019-04-04 2019-11-26 원종칠 신체 교정용 신발 깔창
KR102226475B1 (ko) * 2020-09-02 2021-03-10 부진후 체형별 신체 밸런스 조절용 패드 부착식 신발
KR102227064B1 (ko) * 2019-09-11 2021-03-11 김용덕 임산부용 기능성 인솔
KR102236233B1 (ko) * 2019-11-22 2021-04-02 노민환 발 교정용 신발 깔창
KR20220002787A (ko) * 2020-06-30 2022-01-07 주식회사 오성제화 족저근막염 및 척추 교정용 인솔
WO2022092463A1 (ko) * 2020-10-30 2022-05-05 (주)오투랩 발바닥 근육 강화용 패드, 이를 포함하는 인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429B1 (ko) * 2013-11-19 2014-05-20 윤상규 자세 교정용 기능성 신발
KR200488994Y1 (ko) * 2017-10-24 2019-04-12 박서연 균형패드가 부착될 수 있는 인솔
KR101995532B1 (ko) * 2018-03-21 2019-07-02 문광섭 조립형 인솔
KR102383045B1 (ko) 2021-09-08 2022-04-08 주식회사 에스엘일렉콤 후족부에 지압강화를 위한 신발밑창
KR102503984B1 (ko) * 2021-10-27 2023-02-24 원종칠 신체교정용 신발깔창
KR102472896B1 (ko) 2021-11-23 2022-12-01 정병오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KR102472901B1 (ko) 2021-11-23 2022-12-01 정병오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KR20230119765A (ko) 2022-02-08 2023-08-16 주식회사 엑스바디 회전 운동용 인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4706A (en) 1988-09-15 1991-05-14 C. Nicolai Gmbh & Co. Kg Orthotic insole with regions of different hardness
US6098319A (en) 1997-09-15 2000-08-08 Epstein; Merel Balancing appliance for footwear item
US20080229611A1 (en) 2007-03-22 2008-09-25 Chiodo Christopher P Adjustable pneumatic cell foot orthosis
KR100886834B1 (ko) 2008-06-26 2009-03-04 윤종철 신발용 에어쿠션 안창 및 신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6958A1 (ko) * 2013-10-14 2015-04-23 박인식 중족과 중족골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중창과 이를 구비한 신발
US10433615B2 (en) 2013-10-14 2019-10-08 In Sik Park Sole for dispersing pressure of midfoot and metatarsal bones and shoe having same
WO2016191562A3 (en) * 2015-05-28 2017-10-05 Spenco Medical Corporation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WO2019093578A1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셀프 맞춤형 발바닥 교정구
KR20190052736A (ko) * 2017-11-08 2019-05-17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셀프 맞춤형 발바닥 교정구
WO2020204669A1 (ko) * 2019-04-04 2020-10-08 원종칠 신체 교정용 신발 깔창
KR102049077B1 (ko) * 2019-04-04 2019-11-26 원종칠 신체 교정용 신발 깔창
KR102227064B1 (ko) * 2019-09-11 2021-03-11 김용덕 임산부용 기능성 인솔
KR102236233B1 (ko) * 2019-11-22 2021-04-02 노민환 발 교정용 신발 깔창
KR20220002787A (ko) * 2020-06-30 2022-01-07 주식회사 오성제화 족저근막염 및 척추 교정용 인솔
KR102226475B1 (ko) * 2020-09-02 2021-03-10 부진후 체형별 신체 밸런스 조절용 패드 부착식 신발
WO2022050460A1 (ko) * 2020-09-02 2022-03-10 부진후 체형별 신체 밸런스 조절용 패드 부착식 신발
WO2022092463A1 (ko) * 2020-10-30 2022-05-05 (주)오투랩 발바닥 근육 강화용 패드, 이를 포함하는 인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087A (ko) 2011-11-24
KR101103537B1 (ko) 2012-01-06
KR101746521B1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537B1 (ko)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US10709203B2 (en)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US10390587B2 (en) Device for high-heeled shoes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high-heeled shoe
JP2000516509A (ja) 内部シャシーを備えた靴
US20110099842A1 (en) Motion control insole with muscle strengthening component
JP6620364B2 (ja) 改良された靴
NZ584579A (en) Multi-component footbed with an insole base and a arch support insert
US20200390192A1 (en) Orthopedic insoles for use in open footwear
JP2013103019A (ja) 身体のバランスを維持するための靴インソール
US10143268B2 (en) Achilles heel wedge
US11337489B2 (en) Modular orthotic footwear system
JP2017079809A (ja) ヒール及びパンプス用組立式インソール
CN103099384A (zh) 具备定制型平衡维持垫片的鞋垫
US4170233A (en) Device for correcting the posture of a human foot
JP2012066050A (ja) ハイヒール靴、ハイヒール靴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ソール
KR102227064B1 (ko) 임산부용 기능성 인솔
US20110289802A1 (en)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US20110314696A1 (en) Shoe insert for heeled shoes and method therefor
JP2008029611A (ja) 矯正中敷きと該矯正中敷きを用いた矯正靴
KR20070098791A (ko) 하이힐용 장치 및 하이힐 구성 방법
US10349701B2 (en) Footwear having a sole formed with a cavity receiving a highly viscous gel
TWM469772U (zh) 鞋墊裝置
JP5959079B1 (ja) クッション付靴下
KR20180001749U (ko) 신발용 논-슬립 패치
KR20120082220A (ko) 신발 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