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984B1 - 신체교정용 신발깔창 - Google Patents

신체교정용 신발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984B1
KR102503984B1 KR1020210144807A KR20210144807A KR102503984B1 KR 102503984 B1 KR102503984 B1 KR 102503984B1 KR 1020210144807 A KR1020210144807 A KR 1020210144807A KR 20210144807 A KR20210144807 A KR 20210144807A KR 102503984 B1 KR102503984 B1 KR 102503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walking
angle
present
shoe i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칠
Original Assignee
원종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칠 filed Critical 원종칠
Priority to KR1020210144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984B1/ko
Priority to PCT/KR2022/095129 priority patent/WO202307557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행시 정상적인 보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행자의 하체(골반, 무릎 또는 발목)에서 발생하는 굴곡, 휘어짐, 틀어짐 또는 꺾여짐으로부터 빠르게 회복(이완)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척추가 곧게 펴진 상태에서 보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보행시 발뒤꿈치 외측이 닿는 시점인 제1지점과, 후족부에서 전족부로 디딤압력이 내측으로 이동되는 시점인 제2지점을 포함하는 밑판; 및 상기 밑판 상에 안착되어 적층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위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13° 내지 14°의 각도로 경사진 상향 경사면을 구비한 위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은 상기 밑판의 폭 방향과 수평한 가상선을 기준으로 30°의 각도로 형성되고, 가상의 상기 기준선의 경계에서부터 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 사이의 종골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은 16° 내지 20°의 각도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신체교정용 신발깔창{SHOES INSOLE FOR CORRECTING UNBLANCED POSTURE OF THE BODY}
본 발명은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행시 정상적인 보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행자의 하체(골반, 무릎 또는 발목)에서 발생하는 굴곡, 휘어짐, 틀어짐 또는 꺾여짐 현상으로부터 빠르게 회복(이완)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척추가 곧게 펴진 상태에서 보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은 신체가 앞으로 나아가게 하기 위해 하지의 되풀이되는 반복을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즉, 신체가 앞으로 움직일 때, 하나의 하지는 움직임을 지탱하고, 나머지 하나의 하지는 앞으로 나아가는 움직임을 말하는 것으로, 하나의 하지에서 다른 하지로 신체의 체중을 옮기는 동안 양발은 지면에 붙어 있게 되며, 목표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보행주기가 각각의 하지에 의해 서로 역할이 전환되면서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보행시 보행주기는 입각기(stance phase, 디딤기)와 유각기(swing phase, 흔듦기)로 나뉘어진다.
예컨대, 입각기는 우측 발뒤꿈치가 닿기에서부터 우측 발가락 떼기까지의 과정이고, 우측 발바닥이 지면에 접촉하여 체중을 지지할 때 일어난다.
유각기는 우측 발가락 떼기에서부터 다시 우측 발뒤꿈치가 닿기까지의 과정이며, 우측 발이 공중에 있는 시기로, 다시 지면에 접촉할 때까지 발이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정상적인 보행 속력에 있어 입각기는 보행주기의 대략 60%, 유각기는 나머지 40%를 차지하게 된다.
보행 주기동안 하지에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문제는 입각기시 발생하는데, 이러한 현상은 체중부하에 의한 충격량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보행자가 걸을시에는 체중의 1 내지 2배, 달릴시에는 2 내지 3배의 충격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충격량은 스트레스로 작용하며 과도한 스트레스의 축적은 발의 손상 원인이 될 수 있다.
한편, 보행시 뿐만 아니라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과정에서 불균형한 자세의 습관으로 인해 신체가 한 쪽으로 쏠리는 신체 불균형 현상이 많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신체 불균형 현상으로 인한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비대칭적 불균형 증상인 척추측만증과 척추후만증이 알려져 있다.
척추측만증은 양발의 발끝 대칭 중심선이 11시 방향 또는 1시 방향으로 틀어지는 경우, 이와 대응되는 상체는 반대방향으로 꽈배기처럼 비틀어져 발생하는 불균형 증상이다.
척추후만증은 옆에서 보았을 때, 척추가 뒤로 휘어져 있는 증상으로서, 발목 관절의 뒤틀림 골반 변형과 척추 변형을 초래하여 목, 허리, 골반, 무릎 또는 발의 통증 등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
신체 불균형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게 교정수술을 이용한 방법과 교정기구를 이용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교정수술을 이용한 방법은 수술적 부작용과 비용적 측면에서 선호도가 높지 않고, 교정기구를 이용한 방법은 장시간 교정기구 착용으로 인해 일상 생활을 영위하는데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신발 깔창을 교정기구로 활용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술개발은 깔창의 경도 또는 구조물의 삽입에 따른 충격 완화 또는 흡수 등과 같은 기능성 부분이 차지하고 있을 뿐, 척추측만증 등과 같은 증상을 유발하는 신체 불균형을 교정하기 위한 기술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렇게 신체 불균형을 교정하기 위한 기술개발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9077호)에는, 정상 보행시 뒤꿈치 외측이 닿는 시점인 제1지점과, 후족부에서 전족부로 디딤압력이 이동되어지는 내측 시점인 제2지점을 갖는 밑판; 및 상기 밑판의 상면에 적층 설치되고,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위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13°~14°의 각도로 경사진 상향 경사면을 구비한 위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은 상기 밑판의 길이방향과 수평한 가상선을 기준으로 30°의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가상의 기준선을 경계로 상기 기준선의 경계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 사이의 종골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의 각도는 16°~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이 게시되어 있다.
아울러, 보행시 발목의 움직임이 정상적이지 않은 발에서는 시상면(신체를 좌/우로 가르는 면)을 기준으로 굴곡, 휘어짐, 틀어짐 또는 꺾여짐을 유발한 채 보행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보행자의 하체에서는 발목이 받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자연적으로 발이 내측으로 꺾이는 내전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즉, 발목의 움직임이 정상적이지 않은 보행자는, 그에 따른 하체(골반, 무릎 또는 발목)의 외측 불균형을 보상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내전현상을 일으켜 하체와 척추의 균형을 유지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특허문헌 1은 걷거나 뛰는 상태가 아닌 정지 상태에서는 내전현상을 일으키지 않더라도 골반 또는 발목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펴질 수 있도록 유도해 척추도 곧게 펼 수 있었지만, 밑판의 길이방향과 수평한 가상선을 기준으로 30°의 각도로 형성된 기준선의 경계에서부터 내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함으로써, 보행시 또는 뛰는 동작시 보행자의 종골 쪽에 닿는 면적이 넓어져 하체(골반, 무릎 또는 발목)의 외측 불균형을 유발하여 발의 피로감을 누적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보행시 또는 뛰는 동작시 유발되는 외측 불균형에 따라 누적된 발의 피로감을 회복하기 위해, 굴곡되거나 틀어진 하체와 척추가 다시 펴지도록 회복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됨은 물론, 이를 보상하기 위해 내전현상을 발현함과 더불어 고관절 주변의 근육들이 강한 긴장을 하게 되고, 이는 보행자의 관절 또는 척추 등에 압력을 증가시키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근육 긴장도가 증가된 채로 걷거나 뛰게 됨에 따라, 척추의 교정은 기대할 수도 없이 더 굴곡되거나 틀어진 상태에서 걷거나 뛰는 동작을 유지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9077호(2019.11.26.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보행시 정상적인 보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행자의 하체(골반, 무릎 또는 발목)에서 발생하는 굴곡, 휘어짐, 틀어짐 또는 꺾여짐 현상으로부터 빠르게 회복(이완)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척추가 곧게 펴진 상태에서 보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은, 보행시 발뒤꿈치 외측이 닿는 시점인 제1지점과, 후족부에서 전족부로 디딤압력이 내측으로 이동되는 시점인 제2지점을 포함하는 밑판; 및 상기 밑판 상에 안착되어 적층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위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13° 내지 14°의 각도로 경사진 상향 경사면을 구비한 위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은 상기 밑판의 폭 방향과 수평한 가상선을 기준으로 30°의 각도로 형성되고, 가상의 상기 기준선의 경계에서부터 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 사이의 종골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은 16° 내지 20°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밑판은 0.5 내지 1.0mm의 두께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준선을 경계로 외측 부위가 0.1 내지 0.2mm의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 사이의 종골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은 1.0mm부터 2.8mm의 두께로 외측 부위를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위판은 상기 밑판보다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은, 보행시 정상적인 보행이 가능할 수 있게 되면서도, 보행자의 하체(골반, 무릎 또는 발목)에서 발생하는 굴곡, 휘어짐, 틀어짐 또는 꺾여짐 현상으로부터 빠르게 회복(이완)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척추가 곧게 펴진 상태에서 보행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의 밑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의 위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신발깔창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시 보행자 발목의 굴곡과 그 굴곡의 회복속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시 보행자 발목의 굴곡과 그 굴곡의 회복속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종래의 신발깔창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시 보행자 골반의 틀어짐과 그 틀어짐의 회복속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시 보행자 골반의 틀어짐과 그 틀어짐의 회복속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종래의 신발깔창의 착용과 본 발명에 따른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의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시 신체의 틀어짐을 설명하기 위해 촬영한 동영상을 캡처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폭 방향은 발볼을 이루는 방향(도 2 내지 도 4를 기준하여 가로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길이방향은 폭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함께, 내측의 표현은 각 구성 또는 각 구성에 의해 구획되어진 안쪽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외측의 표현은 내측의 표현과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보행시 정상적인 보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행자의 하체(골반, 무릎 또는 발목)에서 발생하는 굴곡, 휘어짐, 틀어짐 또는 꺾여짐 현상으로부터 빠르게 회복(이완)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척추가 곧게 펴진 상태에서 보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판(11)과 위판(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밑판(11)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발 디딤시 발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대략 30°정도의 각도로 압력이 집중되는 것을 보상하고, 종골(발뒤꿈치 부위에 있는 족근골의 하나)이 무너지는 각도, 예컨대 16° 내지 20°를 보상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밑판(11)은 발 디딤시 발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30°의 각도로 집중되는 압력을 분배하여 발 전체에 균일한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발뒤꿈치 외측이 닿은 시점인 제1지점(f1)과, 후족부에서 전족부로 디딤압력이 내측으로 이동되는 시점인 제2지점(f2)을 지나는 프로그레션(progression) 라인을 기준선(13)으로 하여 밑판(11)의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즉, 발뒤꿈치의 디딤 후 종골의 내측부위가 땅에 닿으며 보행이 시작되고, 그 종골의 디딤 이후에 전족부의 디딤이 일어나게 되는데, 제2지점(f2)은 족궁(발아치)이 시작되기 전인 후족부의 경계 부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족궁의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개인별로 일부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보행을 위해 발 디딤시 발바닥으로 가해지는 압력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대략 30°각도의 쏠림 현상이 발생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자세 불균형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밑판(11)에 가상선(14)을 기준으로 제1지점(f1)과 제2지점(f2)을 30°의 기울기를 갖는 기준선(13)으로 연결하고, 기준선(13)의 내측, 즉 기준선(13)을 기점으로 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11a)을 형성함으로써, 기준선(13)을 경계로 밑판(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압력이 분배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보행시 발 전체에서 균일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정상 보행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9077호(2019.11.26. 공고)" 종래기술의 문제점 또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상술한 제1지점(f1)과 제2지점(f2)을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13)을, 종래의 밑판(11) 길이방향과 수평한 가상선과 다르게, 밑판(11)의 폭 방향과 수평한 가상선(14)을 기준으로 형성한 것에 기술적 요지가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신발깔창을 착용하여 보행시 또는 뛰는 동작시 보행자의 종골 쪽에 닿는 면적이 넓어져 하체(골반, 무릎 또는 발목)의 외측 불균형을 유발하여 발의 피로감을 누적시키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보행시 또는 뛰는 동작시 유발되는 외측 불균형에 따라 누적된 발의 피로감을 회복하기 위해, 굴곡되거나 틀어진 하체와 척추가 다시 펴지도록 회복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됨은 물론, 이를 보상하기 위해 내전현상을 발현함과 더불어 고관절 주변의 근육들이 강한 긴장을 하게 되고, 이는 보행자의 관절 또는 척추 등에 압력을 증가시키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근육 긴장도가 증가된 채로 걷거나 뛰게 됨에 따라, 척추의 교정은 기대할 수도 없이 더 굴곡되거나 틀어진 상태에서 걷거나 뛰는 동작을 유지할 수밖에 없는 문제 또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는 종래의 신발깔창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시 보행자 발목의 굴곡과 그 굴곡의 회복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시 보행자 발목의 굴곡과 그 굴곡의 회복속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도 5 및 도 6은 보행자 발목의 휘어짐 로테이션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에 표시된 빨간색의 박스 구간은 각속도(회복속도)를 나타낸 것으로, 박스의 길이가 길고 점들의 조밀성이 떨어진다는 것은 각속도(회복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 5와 도 6을 비교하면, 종래의 신발깔창을 착용했을 때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을 착용했을 때, 발목의 굴곡(휘어짐) 변형에서 회복되는 속도가 현저히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종래의 신발깔창이 가지고 있던 피로감 누적으로 인한 발목의 굴곡 상태에서의 보행에 따른 척추 교정의 한계를 해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은 종래의 신발깔창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시 보행자 골반의 틀어짐과 그 틀어짐의 회복속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시 보행자 골반의 틀어짐과 그 틀어짐의 회복속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도 7 및 도 8은 보행자 골반의 틀어짐 로테이션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에 표시된 빨간색의 박스 구간은 각속도(회복속도)를 나타낸 것으로, 박스의 길이가 길고 점들의 조밀성이 떨어진다는 것은 각속도(회복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 7과 도 8을 비교하면, 종래의 신발깔창을 착용했을 때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을 착용했을 때, 골반의 틀어짐(꺾여짐) 변형에서 회복되는 속도가 현저히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종래의 신발깔창이 가지고 있던 피로감 누적으로 인한 골반의 틀어짐 상태에서의 보행에 따른 척추 교정의 한계를 해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이들은 종래의 신발깔창의 착용과 본 발명에 따른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의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시 신체의 틀어짐을 설명하기 위해 촬영한 동영상을 캡처한 사진으로서, 사진을 기준으로 좌측이 종래의 신발깔창을 착용한 것이고, 우측이 본 발명에 따른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을 착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해보더라도, 종래의 신발깔창을 착용하고 보행했을 때, 보행자 하체(골반, 무릎 또는 발목)의 외측 불균형(굴곡, 휘어짐, 틀어짐 또는 꺾여짐)을 유발하여 이를 보상하기 위해 내전(adduction/Add)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체교정용 신발깔창을 착용하고 보행했을 때에는, 상술한 외측 불균형(굴곡, 휘어짐, 틀어짐 또는 꺾여짐) 현상의 회복속도가 빨라 보행자의 하체와 척추가 펴진 상태에서 보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밑판(11)은 발바닥의 종골이 무너지는 각도를 보상하기 위해 밑판(11)의 제1지점(f1)과 제2지점(f2) 사이 종골의 경사도를 16° 내지 20°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행시 발을 디딘 후 종골이 무너지는 각도는 16° 내지 20° 범위 내에 포함됨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밑판(11)의 제1지점(f1)과 제2지점(f2) 사이 종골의 상향 경사도를 16° 내지 20°로 하여 이를 보상함으로써, 척추를 곧게 펴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종골의 경사도가 16° 내지 20°를 벗어날 경우 골반의 전방 경사가 심해지고 좌측과 우측의 흔들림에 대한 보정이 어려워짐은 물론 다리의 회전(hip rotation)이 커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밑판(11)은 기준선(13)을 경계로 외측부의 두께가 0.5 내지 1.0mm의 가급적 동일하거나 근사치의 두께로 이루어지되, 기준선(13)을 경계로 외측 부위가 0.1 내지 0.2mm의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1지점(f1) 및 제2지점(f2) 사이의 종골에 형성된 경사면(11a)은 1.0mm부터 2.8mm의 두께로 외측 부위를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면(11a)을 이룰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밑판(11)의 구조 개선을 통해 보행을 위한 발 디딤시 외측에서 내측으로 작용되는 30°의 압력을 신발 착용시부터 보상하여 발 전체에 균일한 압력이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정상 보행을 유도할 수 있고, 보행을 위한 발 디딤시 발바닥의 종골이 무너지는 각도(16° 내지 20°)를 보상하여 걷거나 뛰는 동작시 척추가 곧게 펴지도록 하여 신체불균형의 발생을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위판(12)은, 도 1 및 도 4와 같이, 밑판(11) 상에 안착되어 적층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위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13° 내지 14°의 각도로 경사진 상향 경사면을 구비하고, 밑판(11)보다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밑판(11)은 16° 내지 20°의 종골각도(프로그레션 각도(progression angle))가 무너지지 않도록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반면, 위판(12)은 충격완화 및 흡수를 위해 밑판(11)보다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
예컨대, 위판(12)은 밑판(11) 상의 굴곡면을 따라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탄성을 가지면서 연질의 재질인 폴리우레탄,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 외에도 밑판(11)보다 부드러운 재질이라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위판(12)은, 도 4와 같이, 윈드라스 매커니즘(windlass mechanism, 권양기 효과)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위가 위판(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13° 내지 14°의 상향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네번째 중족골 또는 세번째 중족골 부위에서 척번째 중족골(엄지발가락)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윈드라스 매커니즘은 보행시 내측 족궁을 유지하기 위해 발바닥 근막(plantar fascia)과 스프링 인대(spring ligament)의 효과적인 움직임으로 발의 감아올림 효과(windlass effect)를 가지는 족관절의 움직임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판(12)과 같이, 족골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판(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13° 내지 14°의 상향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발을 디딘 후 들어올릴 때, 발의 감아올림 효과를 향상시켜 윈드라스 매커니즘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예컨대, 경사면의 각도가 13°미만일 경우, 보행시 종아리 근육에 무리가 발생할 수 있고, 14°를 초과할 경우, 보행시 발바닥, 특히 첫번째 중족골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신체교정용 신발깔창
11 : 밑판 12 : 위판
11a : 경사면 13 : 기준선
14 : 가상선 f1 : 제1지점
f2 : 제2지점

Claims (4)

  1. 보행시 발뒤꿈치 외측이 닿는 시점인 제1지점과, 후족부에서 전족부로 디딤압력이 내측으로 이동되는 시점인 제2지점을 포함하는 밑판; 및 상기 밑판 상에 안착되어 적층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중족골에 대응하는 부위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13° 내지 14°의 각도로 경사진 상향 경사면을 구비한 위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은 상기 밑판의 폭 방향과 수평한 가상선을 기준으로 30°의 각도로 형성되고, 가상의 상기 기준선의 경계에서부터 내측 방향과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 사이의 종골에 대응하여 형성된 내측방향의 상기 경사면은 16° 내지 20°의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 사이의 종골에 대응하여 형성된 외측 방향의 상기 경사면은 1.0mm부터 2.8mm의 두께로 외측 부위를 향해 상향을 이루는 신체교정용 신발깔창.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44807A 2021-10-27 2021-10-27 신체교정용 신발깔창 KR102503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807A KR102503984B1 (ko) 2021-10-27 2021-10-27 신체교정용 신발깔창
PCT/KR2022/095129 WO2023075576A1 (ko) 2021-10-27 2022-10-19 신체교정용 신발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807A KR102503984B1 (ko) 2021-10-27 2021-10-27 신체교정용 신발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984B1 true KR102503984B1 (ko) 2023-02-24

Family

ID=85330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807A KR102503984B1 (ko) 2021-10-27 2021-10-27 신체교정용 신발깔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03984B1 (ko)
WO (1) WO202307557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647Y1 (ko) * 2000-07-10 2000-12-15 최병훈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
KR102049077B1 (ko) 2019-04-04 2019-11-26 원종칠 신체 교정용 신발 깔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835B1 (ko) * 2005-05-13 2012-11-14 (주)스텝스 신발패드
KR101032640B1 (ko) * 2009-12-22 2011-05-06 (주)인투스에이치씨앤 편심중량 밑창을 갖는 하지정렬교정 및 다이어트 겸용 신발
KR101746521B1 (ko) * 2010-05-18 2017-06-14 주식회사 학산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647Y1 (ko) * 2000-07-10 2000-12-15 최병훈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
KR102049077B1 (ko) 2019-04-04 2019-11-26 원종칠 신체 교정용 신발 깔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576A1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0048C2 (ru) Амортизирующее ортопед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6974756B (zh) 具有足部三维运动控制及足压分散的装置
US9066559B2 (en) Bi-layer orthotic and tri-layer energy return system
US11528957B2 (en) Energy return orthotic systems
KR102049077B1 (ko) 신체 교정용 신발 깔창
US10888447B2 (en) Energy return orthotic systems
US7603794B2 (en) Rear balance walking shoes
CA2886050C (en) Energy return system
CN110545688B (zh) 能量返回矫正系统
KR100599501B1 (ko) 퇴행성관절염 환자용 기능성 신발
KR102503984B1 (ko) 신체교정용 신발깔창
KR102416522B1 (ko) 신발
KR102384927B1 (ko) 족저근막염 및 척추 교정용 인솔
CN118102940A (zh) 用于身体矫正的鞋垫
KR101957213B1 (ko) 탄성력을 이용한 기능성 인솔
KR101091768B1 (ko) 라커형 신발 밑창
KR100957778B1 (ko) 라커형 신발 밑창
KR102595608B1 (ko) 신발용 깔창
KR200419430Y1 (ko) 퇴행성관절염 환자용 기능성 신발
JP2006346130A (ja) 靴型装具
TW202412659A (zh) 鞋墊
JP2024003342A (ja) インソール
JPH0838207A (ja) 変形性膝関節症患者用の履物
KR20160101480A (ko) 교정신발 밑창용 충전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