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941A - 카메라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941A
KR20110126941A KR1020100046497A KR20100046497A KR20110126941A KR 20110126941 A KR20110126941 A KR 20110126941A KR 1020100046497 A KR1020100046497 A KR 1020100046497A KR 20100046497 A KR20100046497 A KR 20100046497A KR 20110126941 A KR20110126941 A KR 20110126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sealing member
camera module
hous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011B1 (ko
Inventor
김용구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6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011B1/ko
Priority to EP11164028A priority patent/EP2388648A1/en
Priority to US13/108,411 priority patent/US8532475B2/en
Publication of KR20110126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은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모으기 위한 다수개의 렌즈들이 내장된 렌즈배럴과,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 및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밀폐부재 사이를 본딩처리하는 본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카메라모듈은 일반적으로 렌즈의 나사와 하우징을 조립한 후 렌즈 주변을 본딩으로 고정을 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카메라모듈은 고정부위에 틈새가 발생되면 외부에서 액체가 흡수되어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렌즈와 하우징을 조립한 후 외곽에 본딩을 이용하여 조립하는 공정에서 본딩공정을 제어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우며, 전장용과 같이 외부에 실장되는 카메라에서는 취약한 조립구조였다.
따라서, 하우징과 렌즈를 조립시 이물질 및 흡수되는 액체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의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과 렌즈를 조립시 완전히 밀폐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은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모으기 위한 다수개의 렌즈들이 내장된 렌즈배럴과,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 및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밀폐부재 사이를 본딩처리하는 본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배럴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나사산에 치합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는 실리콘재질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하우징은 선택적으로 나사산과 나사홈이 형성되어 서로 치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은 렌즈배럴과 하우징 사이에 밀폐부재를 구비한 구조로, 이와 같은 구조는 렌즈배럴의 체결을 통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 및 액체가 유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며, 외부에 실장되는 전장용과 같은 카메라모듈에 특히 효과적이고 최종적으로 카메라의 신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전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은 렌즈배럴(110), 밀폐부재(120), 하우징(130), IR 필터(140), 이미지센서(150) 및 회로기판(160)으로 이루어져 있다.
렌즈배럴(110)은 그 내부에 내장된 다수개의 렌즈로 구성되며 외부의 사물을 카메라모듈 내부의 이미지센서(150)로 모아주기 위한 것으로, 그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외곽에 밀폐부재(120)가 결합된다.
밀폐부재(120)는 렌즈배럴(110)과 하우징(130) 사이에 구비되어 렌즈배럴(110)과 하우징(130)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밀폐하며 결합시키는 부재이다.
밀폐부재(120)는 렌즈배럴(110)과 하우징(130)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 및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렌즈배럴(110)의 외곽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도록 나사홈이 형성된다.
밀폐부재(120)는 이물질 및 액체가 카메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물에 빠져도 고장위험이 없이 방수효과를 가지도록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재질 등 방수 및 이물질차단기능을 하는 모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30)은 밀폐부재(120)의 외곽에 결합되어 렌즈배럴(110)을 지지함과 동시에 회로기판(150)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이미지센서(14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130)은 밀폐부재(12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밀폐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도록 내주면 형성된 나사홈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IR 필터(140)는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지센서(150)가 인식하는 가시광선만이 통과되도록 적외선을 차단하며 하우징(130)에 고정 설치된다. IR 필터(140)는 렌즈배럴(110)의 후방 또는 렌즈베럴(110)의 상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미지센서(150)는 렌즈배럴(110)를 통해 전달된 외부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회로기판(160)의 일측에 와이어본딩(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기판(160)은 이미지센서(150)로부터 생성된 전기 신호를 카메라폰 등의 전자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면에는 이미지센서(150) 및 각종 수동소자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카메라모듈(100)은 조립된 후, 렌즈배럴(110)과 밀폐부재(120) 사이의 공간에 접착제로 본딩처리한 본딩부(170)를 형성한다.
본딩부(170)는 렌즈배럴(110)과 밀폐부재(120) 사이의 모든 미세한 공간을 밀폐함으로써 카메라 내부로 이물질 및 액체가 침투할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120)는 렌즈배럴(110)과 하우징(130) 사이에 구비되어 카메라내부로 이물질 및 액체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밀폐부재(120)는 렌즈배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다. 또한, 밀폐부재(120)는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사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의 일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렌즈배럴(110)의 외주면과 밀폐부재(120)의 내주면이 나사산에 의해 치합결합되는 것을 상세히 나타낸다.
이와 같이, 밀폐부재(120)가 구비된 카메라모듈(100)은 렌즈배럴(110)의 체결을 통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 및 액체가 유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며, 외부에 실장되는 전장용과 같은 카메라모듈에 특히 효과적이고 최종적으로 카메라의 신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카메라모듈 110: 렌즈배럴
120: 밀폐부재 130: 하우징
140: IR 필터 150: 이미지센서
160: 회로기판 170: 본딩부

Claims (5)

  1.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모으기 위한 다수개의 렌즈들이 내장된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 및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밀폐부재 사이를 본딩처리하는 본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나사산에 치합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실리콘재질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하우징은 선택적으로 나사산과 나사홈이 형성되어 서로 치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KR1020100046497A 2010-05-18 2010-05-18 카메라모듈 KR101141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497A KR101141011B1 (ko) 2010-05-18 2010-05-18 카메라모듈
EP11164028A EP2388648A1 (en) 2010-05-18 2011-04-28 Camera module
US13/108,411 US8532475B2 (en) 2010-05-18 2011-05-16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497A KR101141011B1 (ko) 2010-05-18 2010-05-18 카메라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941A true KR20110126941A (ko) 2011-11-24
KR101141011B1 KR101141011B1 (ko) 2012-05-02

Family

ID=4445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497A KR101141011B1 (ko) 2010-05-18 2010-05-18 카메라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32475B2 (ko)
EP (1) EP2388648A1 (ko)
KR (1) KR101141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448A (ko) * 2014-08-06 2016-02-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6769B2 (en) * 2011-12-15 2014-07-22 Blackberry Limited Camera module having protruding lens barrel
CN102707408B (zh) * 2012-06-08 2014-07-16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一种光源无旋转式调焦机构
WO2014122849A1 (ja) * 2013-02-05 2014-08-14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6148812A (ja) * 2015-02-13 2016-08-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10341541B2 (en) * 2015-08-14 2019-07-02 Gopro, Inc. Integrated sensor and lens assembly with post-tuning optical alignment
CN105445885B (zh) * 2015-10-30 2019-06-18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可调光学镜头和摄像模组及其制造方法
CN105445888B (zh) 2015-12-21 2020-04-03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可调光学镜头和摄像模组及其校准方法
KR102468129B1 (ko) * 2016-06-01 202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작 방법
CN207010790U (zh) * 2017-04-17 2018-02-13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成像模组
US10443676B2 (en) * 2017-09-20 2019-10-15 Rosemount Aerospace Inc. Isolated seeker optics
TWI650606B (zh) * 2017-10-31 2019-02-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相機模組
CN112333351B (zh) * 2019-08-05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模组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0466B2 (ja) * 2003-06-27 2006-10-04 京セラ株式会社 撮像装置
US7391466B2 (en) * 2004-05-04 2008-06-24 Micron Technology, Inc. Camera module with dust trap
CN1885908B (zh) 2005-06-24 2010-04-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照相模组
JP2007225991A (ja) * 2006-02-24 2007-09-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カメラのレンズ取付構造
JP2008040349A (ja) * 2006-08-09 2008-02-21 Asahi:Kk 防水式光学装置
KR100862485B1 (ko) * 2007-05-21 2008-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립성이 개선된 감시 카메라
KR200467844Y1 (ko) * 2007-11-19 2013-07-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카메라 모듈
CN101546093B (zh) * 2008-03-26 2011-06-08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自动对焦结构
KR100935310B1 (ko) * 2008-05-26 2010-0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1003616B1 (ko) * 2008-11-03 2010-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KR101628296B1 (ko) * 2009-08-11 2016-06-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448A (ko) * 2014-08-06 2016-02-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88648A1 (en) 2011-11-23
US8532475B2 (en) 2013-09-10
KR101141011B1 (ko) 2012-05-02
US20110286737A1 (en)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011B1 (ko) 카메라모듈
KR102468410B1 (ko) 카메라 모듈
KR20140000119U (ko) 방수 구조를 갖는 카메라 모듈
KR20080015973A (ko) 카메라 모듈
CN103492927A (zh) 摄像机构、内窥镜以及摄像机构的制造方法
KR20060091906A (ko) 카메라 모듈
KR20110028767A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JP2013118337A5 (ko)
KR20120016430A (ko) 차량용 카메라
US20140049685A1 (en) Image sensor module and camera module using same
KR101695404B1 (ko) 방수기능을 갖는 구강촬영센서
KR101570207B1 (ko) 전체 두께를 줄이기 위한 이미지 센싱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20060278820A1 (en) Semiconductor module
KR20110000952A (ko) 카메라모듈과 그 제조방법
KR102511099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조립 방법
KR100801642B1 (ko) Ir 필터 브라킷이 구비된 카메라 모듈
KR101055474B1 (ko) 카메라모듈
KR102371585B1 (ko) 카메라
KR102392572B1 (ko) 카메라 모듈
TW201715219A (zh) 可避免遭受環境污染的光學偵測裝置
KR101055549B1 (ko) 카메라 모듈
KR20100055183A (ko) 카메라 모듈
WO2020184870A1 (ko) 카메라 모듈
KR20140077669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119321B1 (ko) 카메라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