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321B1 - 카메라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321B1
KR101119321B1 KR1020100057585A KR20100057585A KR101119321B1 KR 101119321 B1 KR101119321 B1 KR 101119321B1 KR 1020100057585 A KR1020100057585 A KR 1020100057585A KR 20100057585 A KR20100057585 A KR 20100057585A KR 101119321 B1 KR101119321 B1 KR 101119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amera module
lens barrel
assembly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575A (ko
Inventor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7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321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은 카메라모듈은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모으기 위한 다수개의 렌즈들이 내장된 렌즈배럴과,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는 홀더 및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홀더 사이에 고정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막으며 상기 홀더의 외주면에 조립되도록 외주면에 조립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조립부가 고정되도록 외주면에 조립홈이 형성한다.

Description

카메라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의 요구도 더욱 다양화되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부가장치들이 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고 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하거나 전송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기판과 센서기판에 장착되는 홀더, 홀더에 장착되는 IR 필터와 IR 필터 상측에 위치되며 홀더에 장착되는 렌즈조립체로 구성되었다.
일반적으로 렌즈조립체와 홀더를 장착시 본드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데, 이때 본드넘침, 본드부족으로 인한 렌즈 돌아감 등의 불량으로 렌즈조립체 또는 카메라모듈 전체를 폐기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열관련 신뢰성 진행시 본드가 녹아 렌즈가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하여 신뢰성 문제를 야기시키기도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조립체에 홀더를 고정시 본드공정없이 결합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은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모으기 위한 다수개의 렌즈들이 내장된 렌즈배럴과,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는 홀더 및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홀더 사이에 고정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막으며 상기 홀더의 외주면에 조립되도록 외주면에 조립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조립부가 고정되도록 외주면에 조립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조립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고정부재는 선택적으로 나사산과 나사홈이 형성되어 서로 치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홀더는 선택적으로 나사산과 나사홈이 형성되어 서로 치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조립부가 고정되도록 외주면에 조립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실리콘재질, 고무재질 및 플라스틱재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부는 후크형상이며, 상기 조립홈은 상기 조립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부는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조립홈은 상기 조립부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홈은 상기 조립부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은 렌즈배럴과 홀더의 사이에 고정부재가 결합고정된 카메라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렌즈배럴과 홀더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본딩과정이 필요없으며 본딩과정에 따른 이물발생 등과 같은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렌즈배럴과 홀더를 고정하므로 고정에 따른 문제가 발생될 시 고정부재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수리가 가능하므로 수리가 용이하며, 종래 본딩과정에 따른 문제발생시 제품전체를 폐기해야하는 것에 비하여 비용절감측면이 우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모듈의 일부조립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카메라모듈의 전체조립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모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일부조립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조립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은 렌즈배럴(110), 고정부재(120), 홀더(130), IR 필터(140), 이미지센서(150) 및 회로기판(160)으로 이루어져 있다.
렌즈배럴(110)은 그 내부에 내장된 다수개의 렌즈로 구성되며 외부의 사물을 카메라모듈 내부의 이미지센서(150)로 모아주기 위한 것으로, 그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외곽에 고정부재(120)가 결합된다.
고정부재(120)는 렌즈배럴(110)과 홀더(130) 사이에 구비되어 렌즈배럴(110)과 홀더(130) 사이를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고정부재(120)는 렌즈배럴(110)과 홀더(130)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렌즈배럴(110)의 외곽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도록 나사홈이 형성된다.
고정부재(120)는 이물질 등이 카메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실리콘 재질, 고무재질 또는 플라스틱재질 등 이물질차단기능을 할 수 있는 모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재(120)는 렌즈배럴(110)의 외곽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도록 내부면에 나사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홀더(130)에 고정결합되도록 조립부(121)가 일체로 형성된다.
조립부(121)는 홀더(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조립홈(131)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바, 바람직하기로 후크체결이 가능한 후크형상이다.
조립부(121)는 홀더(130)에 고정되어 렌즈배럴(11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부재(12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홀더(130)는 내부면이 렌즈배럴(110)의 외곽에 결합되는 동시에 외부면은 고정부재(120)의 조립부(121)에 고정된다. 홀더(130)는 렌즈배럴(110)을 지지함과 동시에 회로기판(150)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이미지센서(14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홀더(130)의 내부면은 렌즈배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어 결합하도록 나사홈이 형성된다.
홀더(130)는 고정부재(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조립부(121)가 고정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조립홈(131)이 형성되며, 홀더(130)의 조립홈(131)은 조립부(121)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된다.
IR 필터(140)는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지센서(150)가 인식하는 가시광선만이 통과되도록 적외선을 차단하며 홀더(130)에 고정 설치된다. IR 필터(140)는 렌즈배럴(110)의 후방 또는 렌즈베럴(110)의 상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미지센서(150)는 렌즈배럴(110)을 통해 전달된 외부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회로기판(160)의 일측에 와이어본딩(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기판(160)은 이미지센서(150)로부터 생성된 전기 신호를 카메라폰 등의 전자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면에는 이미지센서(150) 및 각종 수동소자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가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의 고정부재(120)와 홀더(130)가 조립된 형상을 나타낸다. 고정부재(120)의 외주면에는 조립부(121)가 하나 또는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홀더(130)의 외주면에 조립되기 용이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의 전체조립도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부재(120)의 조립부(121)는 홀더(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조립홈(131)에 결합되어 렌즈배럴(110)의 회전 및 틸트를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렌즈배럴(110)과 홀더(130)의 사이에 고정부재(120)가 결합고정되므로 렌즈배럴(110)과 홀더(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본딩과정이 필요없으며, 본딩과정에 따른 이물발생 등과 같은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고정부재(120)를 사용하여 렌즈배럴(110)과 홀더(130)를 고정하므로 고정에 따른 문제가 발생될 시 고정부재(120)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수리가 가능하므로 수리가 용이하며, 종래 본딩과정에 따른 문제발생시 제품전체를 폐기해야하는 것에 비하여 비용절감측면이 우월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카메라모듈 110: 렌즈배럴
120: 고정부재 121: 조립부
130: 홀더 131: 조립홈
140: IR 필터 150: 이미지센서
160: 회로기판

Claims (9)

  1.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모으기 위한 다수개의 렌즈들이 내장된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을 수용하는 홀더; 및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홀더 사이에 고정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막으며 상기 홀더의 외주면에 조립되도록 외주면에 조립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조립부가 고정되도록 외주면에 조립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고정부재는 선택적으로 나사산과 나사홈이 형성되어 서로 치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홀더는 선택적으로 나사산과 나사홈이 형성되어 서로 치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실리콘재질, 고무재질 및 플라스틱재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후크형상이며, 상기 조립홈은 상기 조립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조립홈은 상기 조립부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은 상기 조립부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KR1020100057585A 2010-06-17 2010-06-17 카메라모듈 KR101119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585A KR101119321B1 (ko) 2010-06-17 2010-06-17 카메라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585A KR101119321B1 (ko) 2010-06-17 2010-06-17 카메라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575A KR20110137575A (ko) 2011-12-23
KR101119321B1 true KR101119321B1 (ko) 2012-03-06

Family

ID=4550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585A KR101119321B1 (ko) 2010-06-17 2010-06-17 카메라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3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109B1 (ko) * 2007-09-11 2008-12-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109B1 (ko) * 2007-09-11 2008-12-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575A (ko) 201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880Y1 (ko) 방수 구조를 갖는 카메라 모듈
KR101224819B1 (ko) 카메라 모듈
KR101141011B1 (ko) 카메라모듈
US20100157142A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095760A (ko) 카메라 모듈
US20060171701A1 (en) Lens unit used for camera module having optical filter therein
CN104871081B (zh) 相机模块以及具有该相机模块的相机装置
KR20150115504A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2354606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1119321B1 (ko) 카메라모듈
KR20110000952A (ko) 카메라모듈과 그 제조방법
KR101055474B1 (ko) 카메라모듈
KR101353168B1 (ko) 칩 온 글라스 패키지와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40023551A (ko) 카메라 모듈
KR100867421B1 (ko) 카메라 모듈
KR100966343B1 (ko) 카메라 모듈
KR101022888B1 (ko) 카메라 모듈
KR100950918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34473A (ko) 카메라 모듈
JP200900305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台座マウント及び撮像装置
KR20130069055A (ko) 카메라 모듈
KR100834030B1 (ko) 카메라 모듈
KR101055535B1 (ko) 카메라 모듈
KR101026830B1 (ko) 카메라 모듈
KR101008404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