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866A - Method for constructing united joint of tube filled concrete block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structing united joint of tube filled concrete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866A
KR20110126866A KR1020100046355A KR20100046355A KR20110126866A KR 20110126866 A KR20110126866 A KR 20110126866A KR 1020100046355 A KR1020100046355 A KR 1020100046355A KR 20100046355 A KR20100046355 A KR 20100046355A KR 20110126866 A KR20110126866 A KR 20110126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steel pipe
truss girder
connecting me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3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84654B1 (en
Inventor
김성운
김영진
김인규
오현철
마향욱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10004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654B1/en
Publication of KR20110126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8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6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PURPOSE: A constructing method of a steel pipe buried concrete block integrated point is provided to cope with displacement and the temperature load which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CONSTITUTION: A constructing method of a steel pipe buried concrete block integrated point is composed like next. A shoe(120) is established on the upper side of a bridge post(110) or abutment. A concrete block(130) is po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oe and settled in a precast type. Each connecting member is integrally fil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 of the concrete block. The upper and lower chords of a charge steel pipe truss girder are connected with connecting member. A slab(160)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chords of a charge steel pipe truss girder.

Description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UNITED JOINT OF TUBE FILLED CONCRETE BLOCK}Method for constructing integral part of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unit {METHOD FOR CONSTRUCTING UNITED JOINT OF TUBE FILLED CONCRETE BLOCK}

본 발명은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블록에 강관을 매립하고, 콘크리트 블록과 교각 사이에 교좌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변위 및 온도하중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integral part of a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and more particularly, by embedding a steel pipe in a concrete block and installing a bridge device between the concrete block and the pier to prevent displacement and temperature load caused by temperature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integrated point of a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일반적으로 교량형식은 재료적 측면에서 크게 강교량과 콘크리트교량으로 구분된다. 강교량은 재료가 고가이면서 부재요소를 용접 또는 볼트 이음을 해야 하는 등의 제작공정이 복합하고, 압축하중에 의한 좌굴에 취약하므로 많은 보강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교량은 자중이 크므로 과대 단면설계가 불가피하고 거푸집 제작공정 등의 추가 공사비가 부담이 되며 품질관리 및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상호보완하고 각각의 구조재료가 갖는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부재의 거동특성에 부합하도록 합성 및 복합구조를 활발히 적용하고 있다.In general, the bridge type is divided into steel bridge and concrete bridge in terms of material. Steel bridge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a large number of reinforcement materials are required because the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welding or bolting a member element is complicated while the material is expensive, and it is vulnerable to buckling due to compressive load. In addition, concrete bridges have a disadvantage that excessive cross-sectional design is inevitable due to the large weight and additional construction cost such as formwork manufacturing process is burdened and quality control and maintenance are difficult. In order to supplement these shortcomings and maximize the advantages of each structural material, composite and composite structures are actively applied to meet the behavior of members.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구조형식 중의 하나로서 제안된 콘크리트 충전강관 부재는 강관 내부를 콘크리트계 재료로 충전함으로써 강관과 충전재료 간의 상호구속효과로 인해 부재의 변형성능과 강성 및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부재이다.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member proposed as one of the structural types satisfying these requirements is a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deformation performance, rigidity and strength of the member due to the mutual binding effect between the steel pipe and the filling material by filling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with concrete material. It is absent.

콘크리트 충전강관 구조는 축압축력이 주하중으로 작용하는 기둥부재에 대해서 내력 및 연성도 증대를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콘크리트 충전강관 부재가 갖는 우수한 내력, 탁월한 변형성능, 소음 및 진동 억제 효과 등의 장점에 착안하여 교량 거더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하였으며, 단일 강관 구조 또는 동일 단면의 철근콘크리트구조에 비해 내력증대, 변형성능 향상, 강성 증대 등의 우수한 역학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structure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strength and ductility of the pillar member whose axial compressive force acts as the main load.However,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structure has the advantages of excellent strength, excellent deformation performance, noise and vibration suppression effect. With the focus on, it has begun to find ways to use it as a bridge girder, and compared with a single steel pipe structure 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of the same section, excellent mechanical effects such as increased strength, deformation performance, and rigidity can be obtained.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는 아치효과를 이용하여 거더의 효율을 높이는 이점을 갖는다.Filled steel truss girder bridge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girder by using the arch effect.

이러한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0)의 상부에 형성된 코핑부(11)에 탄성 받침대(13)에 상현재(21)와 하현재(23) 및 보강재(25)로 이루어지는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20)를 거치시키고,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20)를 상호 연결한 후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20)의 상면에 바닥판(30)을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bridge as shown in Fig. 1 as the upper chord 21, the lower chord 23 and the reinforcement 25 to the elastic support 13 to the coping portion 11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s 10 The unit filling steel pipe truss girder 20 is formed, and the unit filling steel pipe truss girder 20 is interconnected and consists of a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bottom plate 3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filling steel pipe truss girder 20.

한편, 이러한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구조는 구조형태상 트러스 구조와 유사하나, 인장재와 압축재로 구성되는 트러스 부재와 달리 휨과 비틀림 등의 부재력이 추가로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the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bridge is similar in structure to the truss structure, but unlike the truss member composed of the tension member and the compression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dditional member forces such as bending and torsion.

특히, 하현재(23)의 경우 휨 성분 등에 의한 인장력 및 아치형상으로 집중되는 압축력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지지 형식이 요구되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lower chord 23, a support type that can sufficiently cope with the tensile force due to the bending component or the like and the compressive force concentrated in the arc shape is required.

그러나, 일반적인 직선형 거더에 적용되는 탄성받침형식의 지점부 처리로는 충전강관 트러스 거더교의 아치형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기의 작용력 등을 충분히 처리할 수 없고, 아치형상의 역학적인 이점을 반영할 수 없는 등 구조적으로 다소 불리한 점이 있다.However, the elastic bearing type point treatment applied to general straight girders cannot sufficiently handle the above-mentioned action force generated by the arch of the filled steel truss girder bridge, and cannot reflect the mechanical advantages of the arch. There are some structural disadvantages.

특히, 아치 형태의 길이 대 높이의 비(라이즈 비)가 비교적 작은 교량 구조(예를 들어, 교각 또는 교대 높이가 10m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는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변위 및 온도 하중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a bridge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small length-to-height ratio (rising ratio) in the shape of an arch (for example, when a pier or an alternating height is 10 m or less), it fails to cope with displacement and temperature load caused by temperature change. There is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현재와, 하현재를 콘크리트 블록에 매립하여 일체화 시키고, 교각 또는 교대의 상단에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되, 콘크리트 블록과 교각 또는 교대 사이에 교좌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교좌 장치에서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변위 및 온도 하중에 대응하도록 하는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chords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block to integrate, and the concrete block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ridge or shift, the bridge between the concrete block and the bridge or shif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integral part of a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to cope with displacement and temperature load generated by temperature change in a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에 교좌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교좌 장치의 상면에 콘크리트 블록을 타설하거나 프리캐스트 형태로 기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을 거치하되,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 하단부에 각각의 연결 부재를 교축 방향으로 매립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 공정과; 상현재, 하현재, 수직 보강재 및 사 보강재로 이루어지는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를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서 교축 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상현재 및 하현재를 상기 연결 부재에 고정시키는 트러스 설치 공정; 및 상기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상면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바닥판을 형성하는 바닥판 형성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ridge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or alternator, and a concrete block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device or a precast concrete block is mounted, and each connection member is throttl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crete block. A concrete block installation step of integrally embedding in a direction; The unit filling steel pipe truss girder consisting of an upper chord, a lower chord, a vertical reinforcement and a yarn reinforcement is installed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concrete block, and a truss is installed to fix the upper chord and the lower chord of the unit filled steel truss girder to the connecting member. fair; And a bottom plate forming process of forming a bottom plate on an upper surface of the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여기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내부에 무수축 몰탈과 같은 채움재가 충전되도록 중공상의 강관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과 일체화되도록 상기 강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단키; 및 상기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상현재 및 하현재가 앵커 볼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강관의 일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다.Here,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hollow steel pipe so that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non-contraction mortar is filled therein; A plurality of shear key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to b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block; And a flange formed at one end of the steel pipe such that the upper chord and the lower chord of the unit-filled steel truss girder are coupled by anchor bolts.

여기에서 또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타설시 상기 연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 부재의 플랜지가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의 플랜지 부분을 블록 아웃시킨다.Here, the concrete block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member during pouring, and blocks out the flange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flange of the connecting member is exposed.

여기에서 또,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상기 연결 부재와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상현재 및 하현재가 연결되는 블록 아웃 부분에 무수축 몰탈과 같은 채움재를 충전한다.Here, the concrete block is filled with a filler such as non-shrink mortar in the block-out portion where the upper and lower chords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unit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are connected.

여기에서 또,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타설시 상기 연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 부재의 플랜지를 외부로 돌출시킨다.
Here, the concrete block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member when pouring, protrudes the flang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교각의 상면에 교좌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교좌 장치의 상면에 콘크리트 블록을 타설하거나 프리캐스트 형태로 기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을 거치하되,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하단부에 연결 부재를 교축 방향으로 매립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 공정과; 상현재, 하현재, 수직 보강재 및 사 보강재로 이루어지는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를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서 교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대칭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하현재를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 부재에 고정시키는 트러스 설치 공정; 및 상기 각각의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상면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바닥판을 형성하는 바닥판 형성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stall a bridge devi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s, and install a concrete block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device or mount the concrete block prefabricated in the form of precast, but integrally by burying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in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lock Forming a concrete block installation process; The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consisting of an upper chord, a lower chord, a vertical reinforcement and a yarn reinforcement is installed to be symmetr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concrete block. Truss installation process to fix on; And a bottom plate forming process of forming a bottom plate on an upper surface of each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여기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내부에 무수축 몰탈과 같은 채움재가 충전되도록 중공상의 강관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과 일체화되도록 상기 강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단키; 및 상기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하현재 및 수직 보강재가 앵커 볼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강관의 양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다.Here,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hollow steel pipe so that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non-contraction mortar is filled therein; A plurality of shear key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to b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block; And flang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eel pipe such that the lower chord and the vertical reinforcement of the unit-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are coupled by anchor bolts.

여기에서 또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타설시 상기 연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 부재의 플랜지가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의 플랜지 부분을 블록 아웃시킨다.Here, the concrete block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member during pouring, and blocks out the flange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flange of the connecting member is exposed.

여기에서 또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상기 연결 부재와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하현재 및 수직 보강재가 연결되는 블록 아웃 부분에 무수축 몰탈과 같은 채움재를 충전한다.Here, the concrete block also fills a filler such as non-shrink mortar in the block out portion where the lower chord and the vertical reinfor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unit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are connected.

여기에서 또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타설시 상기 연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 부재의 플랜지를 외부로 돌출시킨다.Here, the concrete block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member when pouring, and protrudes the flang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outside.

여기에서 또한, 상기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상현재는 상호 연결되거나 일정 거리 이격된다.
Here, too, the phase chords of the unit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are interconnected or spaced a certain distance a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교대의 상면에 교좌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교좌 장치의 상면에 콘크리트 블록을 타설하거나 프리캐스트 형태로 기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을 거치하되,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하단부 및 상면부에 연결 부재를 각각 매립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 공정과; 상현재, 하현재, 수직 보강재 및 사 보강재로 이루어지는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를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서 교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대칭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하현재 및 수직 보강재를 상기 연결 부재에 각각 고정시키는 트러스 설치 공정; 및 상기 각각의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상면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바닥판을 형성하는 바닥판 형성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stall the devi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ift, and install the concrete block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vice, or mount the concrete block prefabricated in the form of precast, but the connecting member is embedded in the lower and upper surfaces of the concrete block, respectively. Concrete block installation process to form; The unit choke, lower chord,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consisting of a vertical reinforcement and yarn reinforcement is installed so as to be symmetr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concrete block, the lower chord and vertical reinforcement of the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 truss installation process fixed to each; And a bottom plate forming process of forming a bottom plate on an upper surface of each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여기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내부에 무수축 몰탈과 같은 채움재가 충전되도록 중공상의 강관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과 일체화되도록 상기 강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단키; 및 상기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하현재 및 수직 보강재가 앵커 볼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강관의 양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다.Here,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hollow steel pipe so that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non-contraction mortar is filled therein; A plurality of shear key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to b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block; And flang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eel pipe such that the lower chord and the vertical reinforcement of the unit-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are coupled by anchor bolts.

여기에서 또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타설시 상기 연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 부재의 플랜지가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의 플랜지 부분을 블록 아웃시킨다.Here, the concrete block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member during pouring, and blocks out the flange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flange of the connecting member is exposed.

여기에서 또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상기 연결 부재와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하현재 및 수직 보강재가 연결되는 블록 아웃 부분에 무수축 몰탈과 같은 채움재를 충전한다.Here, the concrete block also fills a filler such as non-shrink mortar in the block out portion where the lower chord and the vertical reinfor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unit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are connected.

여기에서 또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타설시 상기 연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 부재의 플랜지를 외부로 돌출시킨다.Here, the concrete block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member when pouring, and protrudes the flang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outside.

여기에서 또한, 상기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상현재는 상호 연결되거나 일정 거리 이격된다.Here, too, the phase chords of the unit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are interconnected or spaced a certain distance apar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에 따르면, 거더의 상, 하현재를 콘크리트 블록에 매립하여 일체화시킴으로서 아치형상의 거더에서 발생하는 지점부 압축력 및 인장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지점부를 일체화하여 연속화시킬 수 있고, 지점부에서 발생하는 인장력, 압축력에 대응하고 이에 발생하는 휨, 비틀림, 수축, 팽창 등의 거동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integrated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branch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chords of the girder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block to be integrated to efficiently control the compressive force and the tensile force generated in the arch girder. The branch portion can be integrated and continuous, and the behaviors of bending, torsion, shrinkage, expansion, and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tensile force and the compressive force generated at the branch portion can be controlled.

도 1은 종래의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a 및 도 2b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bridge,
Figure 2a and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FIGS. 2A and 2B,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ted branc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brid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FIG.
8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ted branc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bridg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9;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ted poi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bridg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제 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a 및 도 3b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2a and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brid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s 2a and 3b, Figure 4 is a firs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member which concerns on an Example.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100)는 교각(110)과, 교좌 장치(120)와, 콘크리트 블록(130)과, 연결 부재(140)와,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와, 바닥판(160)으로 구성된다.2A to 4, the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bridg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er 110, a bridge device 120, a concrete block 130, and a connection member 140. ), A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150, and the bottom plate 160.

먼저, 교각(110)은 통상의 방식인 현장 타설 또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다. 여기에서, 교각(11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를 적용할 수 있고, 교대 또한 교각과 같이 통상의 방식인 현장 타설 또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다.First, the pier 110 is fabricated in a field casting or precast manner, which is conventional. Here, the pier 110 may be applied alternately as shown in Figure 2b, the alternating is also manufactured in a field casting or precast manner, such as the pier.

그리고, 교좌 장치(120)는 통상의 교좌 장치로서 하기에서 설명할 콘크리트 블록(130)의 지점부에서 발생하는 인장력, 압축력에 대응하고 이에 발생하는 휨, 비틀림, 수축, 팽창 등의 거동을 제어하도록 교각(110)(또는 교대)의 상면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hair device 120 corresponds to a tension device and a compressive force generated at the point portion of the concrete block 130 to be described below as a conventional chair device to control the behavior such as bending, torsion, shrinkage, expansion, etc. generated therein.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110 (or alternating).

또한, 콘크리트 블록(130)은 현장 타설 또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교좌 장치(120)의 상면에 설치되는 데, 이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 상, 하단부에 하기에서 설명할 연결 부재(140)가 각각 교축 방향으로 일체로 매립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콘크리트 블록(130)는 연결 부재(140)의 해당 부분을 블록 아웃시키거나 연결 부재(140)의 플랜지(145)를 외부로 돌출시키고, 연결 부재(140)와 하기에서 설명할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가 결합되면 블록 아웃 부분에 무수축 몰탈을 충전한다. 여기에서 또한, 콘크리트 블록(130)는 상면에 하기에서 설명할 바닥판(160)과 결합되도록 복수의 앵커(13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crete block 130 is manufactured in a field casting or precast metho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aching device 120, the connecting member 140 to be described below on both sides or one side, the lower end of each throttling It is formed integrally embedded in the direction. Here, the concrete block 130 also blocks out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40 or protrudes the flange 145 of the connecting member 140 to the outside, and the unit to be described below with the connecting member 140. When the filling steel pipe truss girder 150 is coupled to the non-shrink mortar in the block out portion. Here, the concrete block 130 is preferably a plurality of anchors 131 protruded to be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6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upper surface.

그리고, 연결 부재(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무수축 몰탈과 같은 채움재가 충전되도록 중공상의 강관(141)과, 콘크리트 블록(130)과 일체화되도록 강관(141)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단키(143)와,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가 앵커 볼트(101)에 의해 결합되도록 강관(141)의 양단에 형성되는 플랜지(145)로 구성된다. 이때, 연결 부재(140)는 콘크리트 블록(130)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강관(141)이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의 하현재(151)와 결합되도록 도 2b 또는 도 3b와 같이 경사를 이루거나 또는 아치 형태(미도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s shown in Figure 4, the connecting member 140 is hollow steel pipe 141 so as to fill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non-shrink morta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41 to b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block 130 A plurality of shear keys 143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unit filling steel pipe truss girder 150 is composed of a flange 145 formed on both ends of the steel pipe 141 to be coupled by the anchor bolt 101. At this time, when the connection member 14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ncrete block 130, the steel pipe 141 is inclined as shown in FIG. 2B or 3B so that the steel pipe 141 is coupled with the lower chord 151 of the unit-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150. It is preferable to form or to form an arch shape (not shown).

또한,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는 경사를 가지며 아치 형태로 형성되는 하현재(151)와, 하현재(151)에서 상방향으로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 보강재(153)와, 수직 보강재(153)와 수직 보강재(153) 사이에 결합되는 사 보강재(155)와, 수직 보강재(153) 및 사 보강재(155)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현재(157)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는 2개조가 한 쌍을 이루며 형성되고, 선택에 따라 2개조를 수평 보강재(미도시)를 통해 상호 연결시킬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한,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의 상현재(157)는 상면에 하기에서 설명할 바닥판(160)과 결합되도록 복수의 앵커(159)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nit filling steel pipe truss girder 150 has a slope and the lower chord 151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h, the vertical reinforcement 153 is vertically coupled in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lower chord 151, and the vertical reinforcement 153 ) And the yarn reinforcement 155 coupled between the vertical reinforcement 153 and the upper chord 157 installed on the top of the vertical reinforcement 153 and the yarn reinforcement 155. Here, the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150 is formed in a pair of two pair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horizontal reinforcement (not shown) according to the selection.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anchors 159 protrude from the upper chord 157 of the unit-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150 to be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60 to be described below.

또, 바닥판(160)은 통상의 방식인 현장 타설 또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의 상현재(157) 및 콘크리트 블록(130)의 상면에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bottom plate 160 is installed on the upper chord 157 of the unit-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1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130 in a field casting or precast manner.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the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5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ted poi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설계에 따라 교각(110)(또는 교대)을 설치하고, 각각의 교각(110)의 상면에 교좌 장치(120)를 설치한다(S100).First, the pier 110 (or alternating)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design, and the piercing device 12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pier 110 (S100).

그리고, 교좌 장치(120)의 상면에 콘크리트 블록(130)을 타설하거나 기제작된 콘크리트 블록(130)을 거치한다(S110). 이때, 콘크리트 블록(130)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 상, 하단부에 각각의 연결 부재(140)를 일체로 형성하는 데, 연결 부재(140)의 해당 부분을 블록 아웃시키거나 연결 부재(140)의 플랜지(145)를 외부로 돌출시킨다.Then, the concrete block 13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device 120 or mounted on the pre-fabricated concrete block 130 (S110). In this case, each connecting member 140 is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concrete block 130 at the lower end, and blocks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40 or the flange of the connecting member 140. Protrude 145 to the outside.

그리고, 상현재(157), 하현재(151), 수직 보강재(153) 및 사 보강재(155)로 이루어지는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를 크레인과 같은 인양 장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블록(130)에서 교축 방향으로 설치한 다음, 각각의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의 하현재(151) 단부 및 상현재(157) 단부를 콘크리트 블록(130)의 연결 부재(140)에 고정시킨다(S120). 이때, 콘크리트 블록(130)이 블록 아웃된 경우 해당 부분에 무수축 몰탈과 같은 채움재를 충전한다.The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150 including the upper chord 157, the lower chord 151, the vertical reinforcement 153, and the yarn reinforcement 155 is mounted on the concrete block 130 using lifting equipment such as a crane. After installation in the axial direction, the lower chord 151 and the upper chord 157 end of each unit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150 is fixed to the connection member 140 of the concrete block 130 (S120). In this case, when the concrete block 130 is blocked out,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non-shrink mortar is fill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그런 다음, 각각의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의 상면 및 콘크리트 블록(130)의 상면에 신축이음을 제거하도록 바닥판(160)을 연속화 시공한다(S130).
Then, the bottom plate 160 is continuously constructed to remove the expansion joints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unit-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1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130 (S130).

《제 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brid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200)는 교각(110)와, 교좌 장치(120)와, 콘크리트 블록(230)과, 연결 부재(140)와,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와, 바닥판(160)으로 구성된다.6 and 7, the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bridg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er 110, a bridge device 120, a concrete block 230, and a connection member 140. ), A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150, and the bottom plate 160.

먼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 교각(110)와, 교좌 장치(120)와, 연결 부재(140)와,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와, 바닥판(160)은 제 1실시예와 동일 구성으로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First,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er 110, the bridge device 120, the connection member 140, the unit-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150, and the bottom plate 160 are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by the same structure as that,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또한, 콘크리트 블록(230)은 현장 타설 또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교좌 장치(120)의 상면에 설치되는 데, 이의 일측면 하단부에 하기에서 설명할 연결 부재(140)가 교축 방향으로 일체로 매립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콘크리트 블록(230)은 상단부 양측 모서리가 하기에서 설명할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경사면(23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또한, 콘크리트 블록(230)는 연결 부재(140)의 해당 부분을 블록 아웃시키거나 연결 부재(140)의 플랜지(145)를 외부로 돌출시키고, 연결 부재(140)와 하기에서 설명할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가 결합되면 블록 아웃 부분에 무수축 몰탈을 충전한다.
In addition, the concrete block 230 is manufactured by in-situ casting or precast metho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aching device 120, the connection member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integrally embedded in the axial direction Is formed. Her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concrete block 230 has an inclined surface 231 so that the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150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may be installed. Here, the concrete block 230 also blocks out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40 or protrudes the flange 145 of the connecting member 140 to the outside, and the unit to be described below with the connecting member 140 When the filling steel pipe truss girder 150 is coupled to the non-shrink mortar in the block out portion.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the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brid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8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ted poi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설계에 따라 교각(110)을 설치하고, 교각(110)의 상면에 교좌 장치(120)를 설치한다(S200).First, the bridge 110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design, and the bridge device 12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110 (S200).

그리고, 교좌 장치(120)의 상면에 콘크리트 블록(230)을 타설하거나 기제작된 콘크리트 블록(230)을 거치한다(S210). 이때, 콘크리트 블록(230)의 양측면 하단부에 연결 부재(140)를 일체로 형성하는 데, 연결 부재(140)의 해당 부분을 블록 아웃시키거나 연결 부재(140)의 플랜지(145)를 외부로 돌출시킨다.Then, the concrete block 230 is pou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device 120 or mounted on the pre-fabricated concrete block 230 (S210). 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140 is integrally formed at both lower ends of the concrete block 230, and blocks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40 or protrudes the flange 145 of the connecting member 140 to the outside. Let's do it.

그리고, 상현재(157), 하현재(151), 수직 보강재(153) 및 사 보강재(155)로 이루어지는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를 크레인과 같은 인양 장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블록(130)의 양측면에서 교축 방향으로 위치시킨 다음, 각각의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의 하현재(151) 단부를 연결 부재(140)에 고정시킨다(S220). 이때, 콘크리트 블록(230)이 블록 아웃된 경우 해당 부분에 무수축 몰탈과 같은 채움재를 충전하고,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의 상현재(157)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되거나 일정 거리 이격(미도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150 including the upper chord 157, the lower chord 151, the vertical reinforcement 153, and the yarn reinforcement 155 may be used to lift the concrete block 130 using lifting equipment such as a crane. After positioning in both directions in the axial direction, the lower chord 151 of each unit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150 is fixed to the connection member 140 (S220). In this case, when the concrete block 230 is blocked out,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non-shrink mortar is fill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phase chord 157 of the unit-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150 is as shown in FIGS. 6 and 7. It is preferred that they are interconnected or spaced apart (not shown).

그런 다음, 각각의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의 상면 및 콘크리트 블록(230)의 상면에 신축이음을 제거하도록 바닥판(160)을 연속화 시공한다(S230).
Then, the bottom plate 160 is continuously constructed to remove the expansion joints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unit-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1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230 (S230).

《제 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측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bridg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9, Figure 11 is a configuration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300)는 교대(310)와, 교좌 장치(120)와, 콘크리트 블록(330)과, 연결 부재(140)와,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와, 바닥판(160)으로 구성된다.9 and 10, the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bridg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lternate 310, a bridge device 120, a concrete block 330, and a connection member 140. ), A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150, and the bottom plate 160.

먼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 교좌 장치(120)와,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와, 바닥판(160)은 제 1실시예와 동일 구성으로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First,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device 120, the unit-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150, and the bottom plate 160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and their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given. Is omitted.

그리고, 교대(310)은 통상의 방식인 현장 타설 또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다.Then, the alternating 310 is manufactured by the in-situ casting or precast method.

또한, 콘크리트 블록(330)은 현장 타설 또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교좌 장치(120)의 상면에 설치되는 데, 이의 일측면 하단부 및 상면부에 하기에서 설명할 연결 부재(140)가 교축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일체로 매립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콘크리트 블록(330)은 상단부 일측 모서리가 하기에서 설명할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경사면(33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또, 콘크리트 블록(330)는 연결 부재(140)의 해당 부분을 블록 아웃시키거나 연결 부재(140)의 플랜지(145)를 외부로 돌출시키고, 연결 부재(140)와 하기에서 설명할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의 하현재(151) 및 수직 보강재(153)가 결합되면 블록 아웃 부분에 무수축 몰탈을 충전한다. 여기에서 또한, 콘크리트 블록(330)는 상면에 하기에서 설명할 바닥판(160)과 결합되도록 복수의 앵커(333)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crete block 330 is manufactured by in-situ casting or precast metho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aching device 120, one side of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40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axial direction and It is formed integrally embed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Here, the concrete block 330 preferably has an inclined surface 331 so that the unit-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150 which one side edge of the upper end may be installed. Here, the concrete block 330 blocks out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140 or protrudes the flange 145 of the connecting member 140 to the outside, and the unit to be described below with the connecting member 140. When the lower chord 151 and the vertical reinforcement 153 of the packed steel pipe truss girder 150 are combined, the non-shrink mortar is filled in the block out portion. Here, the concrete block 330 is preferably a plurality of anchors 333 protruded to be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6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upper surface.

그리고, 연결 부재(3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무수축 몰탈과 같은 채움재가 충전되도록 중공상으로 형성되고, "니은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강관(341)과, 콘크리트 블록(330)과 일체화되도록 강관(341)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단키(343)와,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가 앵커 볼트(101)에 의해 결합되도록 강관(341)의 양단에 형성되는 플랜지(345)로 구성된다. 이때, 강관(341)의 하단부는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의 하현재(151)와 결합되도록 도 10과 같이 경사를 이루거나 또는 아치 형태(미도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as shown in Figure 11, the connecting member 34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so as to fill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non-shrink mortar inside, the steel pipe (341) is bent to form a "needle" and concrete blocks ( A plurality of shear keys 343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341) to be integrated with the 330, and the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15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eel pipe (341) to be coupled by the anchor bolt 101 It consists of a flange 345.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steel pipe 341 is preferably inclined or arched (not shown) as shown in FIG. 10 to be coupled to the lower chord 151 of the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150.

이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충전강관 트러스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the 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bridg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12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ted branc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설계에 따라 교대(310)를 설치하고, 교대(310)의 상면에 교좌 장치(120)를 설치한다(S300).First, the alternator 310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design, and the alternator device 12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lternator 310 (S300).

그리고, 교좌 장치(120)의 상면에 콘크리트 블록(330)을 타설하거나 기제작된 콘크리트 블록(330)을 거치한다(S310). 이때, 콘크리트 블록(330)의 일측면 하단부 및 상면부에 연결 부재(140)를 일체로 형성하는 데, 연결 부재(140)의 해당 부분을 블록 아웃시키거나 연결 부재(140)의 플랜지(145)를 외부로 돌출시킨다.Then, the concrete block 330 is pou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device 120 or mounted on the pre-fabricated concrete block 330 (S31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member 140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lower en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330, and blocks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140 or the flange 145 of the connection member 140. Protrude to the outside.

그리고, 상현재(157), 하현재(151), 수직 보강재(153) 및 사 보강재(155)로 이루어지는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를 크레인과 같은 인양 장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블록(330)의 하단부에서 교축 방향으로, 상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킨 다음,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의 하현재(151) 단부와 수직 보강재(153)의 단부를 연결 부재(140)에 고정시킨다(S320). 이때, 콘크리트 블록(330)이 블록 아웃된 경우 해당 부분에 무수축 몰탈과 같은 채움재를 충전하고,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의 상현재(157)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되거나 일정 거리 이격(미도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150 including the upper chord 157, the lower chord 151, the vertical reinforcement 153, and the yarn reinforcement 155 may be used to lift the concrete block 330 using lifting equipment such as a crane. The lower end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the lower chord 151 and the end of the vertical reinforcement 153 of the unit-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150 are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140 (S320). ). In this case, when the concrete block 330 is blocked out,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non-shrink mortar is fill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phase chord 157 of the unit-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150 is shown in FIGS. 9 and 10. It is preferred that they are interconnected or spaced apart (not shown).

그런 다음, 각각의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150)의 상면 및 콘크리트 블록(330)의 상면에 신축이음을 제거하도록 바닥판(160)을 연속화 시공한다(S330).
Then, the bottom plate 160 is successively constructed to remove the expansion joints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unit-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1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330 (S330).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110 : 교각 120 : 교좌 장치
130, 230, 330 : 콘크리트 블록 140, 340 : 연결 부재
150 :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 160 : 바닥판
310 : 교대
110: pier 120: bridge device
130, 230, 330: concrete block 140, 340: connecting member
150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160 bottom plate
310: shift

Claims (12)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에 교좌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교좌 장치의 상면에 콘크리트 블록을 타설하거나 프리캐스트 형태로 기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을 거치하되,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 하단부에 각각의 연결 부재를 교축 방향으로 매립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 공정과;
상현재, 하현재, 수직 보강재 및 사 보강재로 이루어지는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를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서 교축 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상현재 및 하현재를 상기 연결 부재에 고정시키는 트러스 설치 공정; 및
상기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상면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바닥판을 형성하는 바닥판 형성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
A bridge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or alternator, and a concrete block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device or a precast concrete block is mounted, and each connection member is throttl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crete block. A concrete block installation step of integrally embedding in a direction;
The unit filling steel pipe truss girder consisting of an upper chord, a lower chord, a vertical reinforcement and a yarn reinforcement is installed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concrete block, and a truss is installed to fix the upper chord and the lower chord of the unit filled steel truss girder to the connecting member. fair; And
Steel plat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ted point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bottom plate forming process for forming a bottom pl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내부에 무수축 몰탈과 같은 채움재가 충전되도록 중공상의 강관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과 일체화되도록 상기 강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단키; 및
상기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상현재 및 하현재가 앵커 볼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강관의 양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A hollow steel pipe so as to fill a filling material such as non-shrink mortar inside;
A plurality of shear key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to b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ted poin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chords of the unit-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comprises a flange formed on both ends of the steel pipe to be coupled by an anchor bol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타설시 상기 연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 부재의 플랜지가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의 플랜지 부분을 블록 아웃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crete block,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is integrally formed when pouring, the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l point portion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block out the flange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to expose the flange of the connection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상기 연결 부재와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상현재 및 하현재가 연결되는 블록 아웃 부분에 무수축 몰탈과 같은 채움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crete block,
Method for constructing a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ted poin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non-shrink mortar in the block-out portion that the upper and lower chords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is connec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타설시 상기 연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 부재의 플랜지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crete block,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integrally formed when pouring,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ted point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project the flang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outside.
교각의 상면에 교좌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교좌 장치의 상면에 콘크리트 블록을 타설하거나 프리캐스트 형태로 기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을 거치하되,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하단부에 연결 부재를 교축 방향으로 매립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 공정과;
상현재, 하현재, 수직 보강재 및 사 보강재로 이루어지는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를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서 교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대칭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하현재를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 부재에 고정시키는 트러스 설치 공정; 및
상기 각각의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상면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바닥판을 형성하는 바닥판 형성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
Install the bridge devi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s, and install the concrete block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device or mount the precast concrete block, the connection member is embedded in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lock in the axial direction integrally Forming a concrete block installation process;
The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consisting of an upper chord, a lower chord, a vertical reinforcement and a yarn reinforcement is installed to be symmetr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concrete block, and the lower chord of the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concrete block. Truss installation process to fix on; And
Steel plat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ted point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bottom plate forming process for forming a bottom plate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교대의 상면에 교좌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교좌 장치의 상면에 콘크리트 블록을 타설하거나 프리캐스트 형태로 기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을 거치하되,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하단부 및 상면부에 연결 부재를 각각 매립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 공정과;
상현재, 하현재, 수직 보강재 및 사 보강재로 이루어지는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를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서 교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대칭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하현재 및 수직 보강재를 상기 연결 부재에 각각 고정시키는 트러스 설치 공정; 및
상기 각각의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상면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바닥판을 형성하는 바닥판 형성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
Install the devi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ift, and install the concrete block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vice, or mount the concrete block prefabricated in the form of precast, but the connecting member is embedded in the lower and upper surfaces of the concrete block, respectively. Concrete block installation process to form;
The unit choke, lower chord,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consisting of a vertical reinforcement and yarn reinforcement is installed so as to be symmetr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concrete block, the lower chord and vertical reinforcement of the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 truss installation process fixed to each; And
Steel plat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ted point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bottom plate forming process for forming a bottom plate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내부에 무수축 몰탈과 같은 채움재가 충전되도록 중공상의 강관과;
상기 콘크리트 블록과 일체화되도록 상기 강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단키; 및
상기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하현재 및 수직 보강재가 앵커 볼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강관의 양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connecting member,
A hollow steel pipe so as to fill a filling material such as non-shrink mortar inside;
A plurality of shear key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to b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ted poin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chord and the vertical reinforcement of the unit-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is made of flanges formed on both ends of the steel pipe to be coupled by an anchor bol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타설시 상기 연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 부재의 플랜지가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의 플랜지 부분을 블록 아웃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crete block,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is integrally formed when pouring, the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l point portion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block out the flange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to expose the flange of the connection memb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상기 연결 부재와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하현재 및 수직 보강재가 연결되는 블록 아웃 부분에 무수축 몰탈과 같은 채움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crete block,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integral part of a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comprising filling a filler such as non-shrink mortar to a block-out portion to which the lower chord and the vertical reinfor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unit filled steel pipe truss girder are connect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타설시 상기 연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 부재의 플랜지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crete block,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integrally formed when pouring,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ted point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project the flang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outside.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충전강관 트러스거더의 상현재는,
상호 연결되거나 일정 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매립형 콘크리트 블록 일체식 지점부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phase chord of the unit filling steel pipe truss girder,
Steel pipe embedded concrete block integrated point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connected or spaced apart a certain distance.
KR1020100046355A 2010-05-18 2010-05-18 Method for constructing united joint of tube filled concrete block KR1011846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355A KR101184654B1 (en) 2010-05-18 2010-05-18 Method for constructing united joint of tube filled concrete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355A KR101184654B1 (en) 2010-05-18 2010-05-18 Method for constructing united joint of tube filled concrete b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866A true KR20110126866A (en) 2011-11-24
KR101184654B1 KR101184654B1 (en) 2012-09-21

Family

ID=4539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355A KR101184654B1 (en) 2010-05-18 2010-05-18 Method for constructing united joint of tube filled concrete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654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313A1 (en) * 2015-10-21 2017-04-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ethod for launching/constructing bridge using assembly of precast bottom plate and concrete-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CN110258354A (en) * 2019-08-06 2019-09-20 上海公路桥梁(集团)有限公司 Bridge construction method and bridge
CN111535198A (en) * 2020-05-25 2020-08-14 河南省水利第二工程局 Bailey truss support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 box girder traffic bridge
CN111560830A (en) * 2020-04-21 2020-08-21 中铁武汉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Bridge without fixed support
KR102187993B1 (en) * 2019-08-27 2020-12-07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efabricated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345B1 (en) 2016-08-17 2018-09-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CONSTRUCTION METHOD OF HYBRID RAILWAY BRIDGE USING PRESTRESSED CONCRETE FILLED TUBE and TRANSVERSE PRESTRESSED CONCRETE BLOCK
KR102033052B1 (en) 2017-10-31 2019-10-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ethod for constructing truss bridge support with infilled tube using src girder
KR102118999B1 (en) * 2019-03-06 2020-06-04 김민중 Bearing for truss gird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83578B1 (en) 2021-01-25 2021-07-28 가상열 Steel pipe gird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910A (en) * 2000-12-07 2002-06-21 Nkk Corp Joining structure of steel truss beam and reinforced concrete pi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313A1 (en) * 2015-10-21 2017-04-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ethod for launching/constructing bridge using assembly of precast bottom plate and concrete-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US10161090B2 (en) 2015-10-21 2018-12-25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launching/constructing bridge using assembly of precast bottom plate and concrete-filled steel tube truss girder
CN110258354A (en) * 2019-08-06 2019-09-20 上海公路桥梁(集团)有限公司 Bridge construction method and bridge
KR102187993B1 (en) * 2019-08-27 2020-12-07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efabricated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CN111560830A (en) * 2020-04-21 2020-08-21 中铁武汉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Bridge without fixed support
CN111535198A (en) * 2020-05-25 2020-08-14 河南省水利第二工程局 Bailey truss support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 box girder traffic bridge
CN111535198B (en) * 2020-05-25 2021-05-14 河南省水利第二工程局 Bailey truss support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 box girder traffic b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4654B1 (en) 201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654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united joint of tube filled concrete block
KR100941066B1 (en) Prestressed-precast-segmental open spendral concrete arch bridge and its constructing method
KR101022853B1 (en) Composite girder for constructing bridge
KR100889273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rhamen bridge
KR101007708B1 (en) Semi-hinge rahman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JP2007077630A (en) Continuous girder using precast main-girder segment, and its erection method
KR101096176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ntinuous filled steel tube girder bridge
KR101886345B1 (en) CONSTRUCTION METHOD OF HYBRID RAILWAY BRIDGE USING PRESTRESSED CONCRETE FILLED TUBE and TRANSVERSE PRESTRESSED CONCRETE BLOCK
KR101260863B1 (en) Rhamen bridge hav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of arch-shape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096170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ntinuous filled steel tube girder bridge
KR101582599B1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continuous point part of pier using copping for connecting girder
JP2003253621A (en) Continuous beam structure for continuing existing simple beam bridge
KR101892073B1 (en) Composite Structure Rahmen using Steel Pip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133420B1 (en) Precast concrete connection block and the continuity method of composite bridges using it
KR101664997B1 (en) Constructing method of precast T type modular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mposite rahmen bridge constructed by the same, and construction thing therefor
JP4957418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joining pier and footing
KR20140125754A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continuous point part of pier using copping for connecting girder
KR100989313B1 (en) Bridge structure by composition slab with reinforced tensile strength
KR20080111686A (en) Bridge using phc girder and slab-phc complex girder
KR101426155B1 (en) The hybrid rahmen structure which can add prestress on steel girder of horizontal member by gap difference of connection face between vertical member and steel girder of horizontal member
JP6053417B2 (en) Bridge girder and bridge girder construction method
KR102033052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truss bridge support with infilled tube using src girder
KR101156223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ntinuous filled steel tube girder bridge
KR101752285B1 (en) Hybrid beam with wide PSC lower flange and enlarged section upper flange and structure frame using the same
KR20080103260A (en) Reinforcing bar assembly for separate concrete pours and strut system method utiliz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