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959A - 유효성분으로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감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효성분으로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감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959A
KR20110125959A KR1020100045617A KR20100045617A KR20110125959A KR 20110125959 A KR20110125959 A KR 20110125959A KR 1020100045617 A KR1020100045617 A KR 1020100045617A KR 20100045617 A KR20100045617 A KR 20100045617A KR 20110125959 A KR20110125959 A KR 20110125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anol
extract
ethanol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polygonum multiflo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김인호
한대석
김영언
성기승
김병목
이현유
최준혁
이혜성
김덕일
백남인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45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5959A/ko
Publication of KR20110125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95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감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적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감소용 약학 조성물 및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저하 활성을 갖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효성분으로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감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lowering thrombus containing the ethanol extract of Polygonum multiflorum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감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은 혈전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어, 혈전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관상동맥질환, 심장병, 뇌졸중 등의 성인병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하수오는 크게, 마디풀과에 속하는 적하수오와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백하수오로 나뉜다. 적하수오는 잎은 어긋나며 좁은 난형 혹은 심장형이고, 탁엽의 끝은 막질로 줄기를 둘러싼다. 꽃은 작고 많으며 밀집되어 가지가 여러 개인 원추화서에 달리고, 속에 작은 꽃이 2∼4송이 혹은 다시 여러 송이가 피고 꽃은 녹백색 혹은 백색이며, 길이는 6~15cm 가량이고 굵은 부분은 지름이 3~12cm가 되며 표면은 적갈색 또는 자갈색이고 가지런하지 않은 세로홈이 있으며 울퉁불퉁하고 양단에 뿌리의 흔적이 한 개씩 있다. 주산지는 중국의 하남, 호북, 귀주, 사천, 강소, 광서 등지에 분포하며 그 외 절강, 안징, 광동, 산동, 강서, 호남에서도 서식한다. 예로부터 간, 신을 보익하고 혈을 자양하며 풍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머리가 일찍 희어지는데, 허두, 눈앞이 아찔한데, 허리와 무릎 아픈데, 연약, 근골산통, 유정, 대량의 자궁 출혈, 붕루대하, 만성 학질, 만성 설사, 만성 간염, 옹종, 나력, 장풍, 치질에도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백하수오는 원추형이고 길이 5 ~ 10 cm, 지름 15 ~ 35 mm이다. 바깥면은 회황색 ~ 황갈색이며 세로주름이 많고 질은 단단하다. 이 생약의 횡단면은 백색이며 현미경으로 보면 코르크층 아래 3 ~ 5층의 석세포환이 군데군데 끊어져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20-30년간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식생활의 변화, 환경오염,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질병의 발생율 및 사망원인도 크게 달라지고 있다. 특히,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으로 대표되는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악성종양보다도 높은 제1위를 나타내고 있다(사망원인 통계연보, 대한통계학회, 1994).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심근경색증 및 뇌혈전증 등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원인으로는, 식생활 양상의 변화에 따라 높은 지방함량과 식이섬유 함량이 적은 가공식품의 섭취, 유전적인 인자, 흡연, 음주, 고혈압, 당뇨, 비만, 운동부족, 과도한 스트레스 등이 관여한다고 널리 보고되고 있다
생체 내에서 혈액은 응고와 용해작용이 항상 평형을 이루고 있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출혈이나 혈전 등에 의해 흐름이 방해 받지 않는다. 그러나,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이러한 평형상태가 깨지게 되면, 혈관의 흐름이 원활치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한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심혈관 질환 중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동맥경화증으로, 심장이나 뇌 등 중요장기에 허혈성 상태를 초래하여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을 일으키는 매우 위험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이러한 위험한 질환을 예방을 위하여, 심혈관 질환의 증가와 식생활과의 연관성이 높다는 가정 하에, 일상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식품의 항혈전 및 항동맥경화 활성을 밝히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의 경우, 적색포도주와 심혈관 질환의 상관관계(Renauld A., et al., Lancet, 339:1523-1526, 1992), 에스키모인들의 동맥경화와 EPA 및 DHA의 상관관계(Harris W. S., et al., Metabolism, 32:179, 1983)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고, 일본의 경우, 전통발효식품인 납두와 혈전과의 상관관계(Sumi H., et al., Experientia, 43:1110-1111, 1987), 녹차의 항혈전과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및 항암효과(Yamaguchi Y., et al., Nippon Yakurigaku Zasshi, 97:329-337)를 밝히고자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청국장(김용택 외,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1-5, 1995), 된장(최낙식 외, 한국지혈혈전학회지, 5:139-145, 1998), 젓갈(Kim H. K., et al., J. Ferment. Biotech., 84:307-312, 1997), 김치(정영기 외, Korean J. Life Sci., 5:20-210, 1995) 등과 혈전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체내의 혈전 함량을 저하시킬 수 있는 기능성 소재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으나, 부작용 등 안전성의 문제 때문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요즘, 천연물이면서 비교적 안전성이 높고 오랜 경험적 사실에 입각하여 사용되어 오고 있는 한방 소재인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감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저하 활성을 갖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은 혈전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어, 혈전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관상동맥질환, 심장병, 뇌졸중 등의 성인병의 예방 및 개선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저하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혈전 저하용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70 ~ 90% 에탄올 추출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혈전 저하용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은 적하수오를 세척, 건조 및 분쇄하고, 70 ~ 90% 에탄올을 가해 초고속 진공 저온 추출기로 90 ~ 98℃에서 5 ~ 7 시간 동안 추출한 후 농축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하수오를 세척, 건조 및 분쇄하고, 80% 에탄올을 가해 초고속 진공 저온 추출기로 95℃에서 6 시간 동안 추출한 후 농축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전 저하용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2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저하 활성을 갖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혈전 저하 활성을 갖는 기능성 식품에서,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70 ~ 90% 에탄올 추출물이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 추출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혈전 저하 효과를 나타내는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혈전 저하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법
1. 실험재료
적하수오 시료는 완전히 마를 때까지 음건하고 Blender KA2610(Jworldtech, Korea)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분말시료 2kg에 80% 에탄올을 1:10 비율로 첨가하여 COSMOS-660 초고속 진공 저온 추출기(kyungseo, Korea)에서 끓기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6시간 동안 95℃에서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80℃에서 감압 농축하여 시험시료로 사용하였다.
2. 실험동물
실험동물은 7주령의 SD(Sprague Dawley) 암컷, 수컷 각각 25마리를 (주)오리엔트 바이오에서 구입하여 1주일간 일반식이로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 사육실의 온도와 습도는 각각 22±0.5℃, 55±5%로 조절하였고, 명암 12시간 주기 조명 아래에서 안정시키면서 1주일간의 순화기간을 거쳐 실험에 사용하였다. 1주일 적응기간을 거친 쥐(평균 체중 230±2.8g)를 그룹별로 분류(난괴법;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하였고 5주간 실험 식이를 급여하였다.
3. 실험식이
실험식이는 America Institute of Nutrition (AIN)에서 1982년 성인쥐의 식이 요구량에 기반하여 조성된 식이조성인 AIN-93M을 기준으로 하여 적하수오 각각 0.5%, 1%가 되게 제조하였다. 실험군은 고혈압쥐(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의 경우 정상식이군 (Ⅰ), 0.5% 적하수오 투여군(II), 1% 적하수오 투여군(III)으로 분류하였고(표 1), 일반 SD 계열 쥐의 경우 정상식이군 (Ⅰ), 1% 콜레스테롤 투여군(II), 0.5% 적하수오 투여군(III), 1% 적하수오 투여군(Ⅳ), 1% 콜레스테롤 포함 0.5% 적하수오 투여군(Ⅴ), 1% 콜레스테롤 포함 1% 적하수오 투여군(ⅤI) 등 모두 6군으로 분류하였다(표 2). 군당 10마리의 흰쥐를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해당 사료를 일주일에 400g씩 급여하여 자유 섭취하도록 하였고, 물은 미세여과기를 이용하여 필터링된 지하수를 자유 섭취시켰다. 일일 사료 섭취량은 일주일 간격으로 섭취량을 조사하여 식이섭취량(g/day)을 산출하였으며, 체중은 1주에 한 번 측정하여 체중증가량(g/day)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Ⅰ: 대조구 (대조구 식단은 AIN-93M 정식에서 요구량을 만족시킨다), Ⅱ: 0.5% 적하수오 추추물을 포함하는 실험 식이 (식단의 5g/kg), Ⅲ: 1% 적하수오 추추물을 포함하는 실험 식이 (식단의 10g/kg)
Figure pat00002
Ⅰ: 대조구 (대조구 식단은 AIN-93M 정식에서 요구량을 만족시킨다), Ⅱ: 콜레스테롤 대조구 식단 (1%, 식단의 10g/kg), Ⅲ: 0.5% 적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험 식이 (식단의 5g/kg), Ⅳ: 1% 적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험 식이 (식단의 10g/kg), Ⅴ: 1% 콜레스테롤 및 0.5% 적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험 식이 (식단의 5g/kg), Ⅵ: 1% 콜레스테롤 및 1% 적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험 식이 (식단의 10g/kg)
4. 혈장 중 PTT TT 측정
항혈전 활성은 Rat의 안와정맥에서 채혈하여 EDTA가 처리된 혈청분리관(BD Vacutainer, BD Company, U.S)에 넣어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3000 rpm, desk-top centrifuge Hanil Sci. Ind., Seoul, korea) 혈장을 분리했다. 분리된 혈장을 가지고 TT(Thrombin time),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를 Coagulation machine(STA R Evolution, STAGO, France)과 정량용 kit(STA PTT A 5 & THOMBIN, STAGO, Franc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적하수오 섭취에 따른 고혈압쥐의 혈장 중 PTT TT 측정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을 측정한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는 혈장에 표면 활성제(surface activator: kaloin, ellagic acid, celite 등), 인지질, 칼슘 이온을 첨가 후 응괴가 생길 때까지의 시간이다. aPTT 시간이 연장되는 경우는 내인성 경로(intrinsic pathway)의 ⅩⅡ, ⅩⅠ, Ⅸ, Ⅷ 응고인자, 프리칼리크레인(prekallikrein), 고분자중량 키니노겐(high molecular weight kininogen, HMWK)의 결핍과 Ⅴ, Ⅹ, Ⅱ, Ⅰ 응고인자의 결핍을 의미한다. 고혈압쥐를 대상으로 한 PTT의 경우 대조군(Ⅰ)은 33.43초를 기록했고, 적하수오 0.5% 처리군(Ⅱ)은 39.26초로 증가하여 적하수오가 내인성 경로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3). 공통경로(common pathway)에 기인하는 TT(thrombin time) 또한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이 혈전의 형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3
NS : Not significant
모든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를 나타낸다.
칼럼에서 다른 문자는 Duncan’s multiple test에 의해 평가된 유의적인 다른 값을 나타낸다(p < 0.05).
실시예 2. 적하수오 섭취에 따른 SD 쥐의 혈장 중 PTT TT 측정
PTT, TT 모두 대조군 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이 혈전의 형성 억제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TT의 경우 정상 대조군(Ⅰ) 26.76초 보다 적하수오 0.5%(Ⅲ), 1%(Ⅳ) 처리군이 38.18초, 30.87초로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내인성 경로와 공통 경로를 통해 혈전 형성 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콜레스테롤 투여군(Ⅱ) 또한 콜레스테롤과 적하수오 0.5%(Ⅴ), 1%(Ⅵ)를 함께 투여한 군이 37.92초, 31.97초로 콜레스테롤만 투여한 군(Ⅱ)이 27.43초를 나타낸 것에 반해 증가하였으므로, 혈전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TT의 경우에서도 대조군(38.24초)에 비해 적하수오 0.5%, 1% 처리군이 각각 40.70초, 40.53초로 조금씩 증가되는 결과를 확인하였기 때문에 공통경로에도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이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4).
Figure pat00004
모든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를 나타낸다.
칼럼에서 다른 문자는 Duncan’s multiple test에 의해 평가된 유의적인 다른 값을 나타낸다(p < 0.05).
2.2 암컷
PTT의 경우 모든 처리구(Ⅲ, Ⅳ, Ⅴ, Ⅵ)에서 대조군(Ⅰ, Ⅱ)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이 혈전의 형성 억제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 5).
Figure pat00005
NS : Not significant
모든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를 나타낸다.
칼럼에서 다른 문자는 Duncan’s multiple test에 의해 평가된 유의적인 다른 값을 나타낸다(p < 0.05).

Claims (5)

  1. 적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 감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70 ~ 90%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전 감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은 적하수오를 세척, 건조 및 분쇄하고, 70 ~ 90% 에탄올을 가해 초고속 진공 저온 추출기로 90 ~ 98℃에서 5 ~ 7 시간 동안 추출한 후 농축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전 감소용 약학 조성물.
  4.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 저하 활성을 갖는 기능성 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70 ~ 90%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KR1020100045617A 2010-05-14 2010-05-14 유효성분으로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감소용 조성물 KR20110125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617A KR20110125959A (ko) 2010-05-14 2010-05-14 유효성분으로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감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617A KR20110125959A (ko) 2010-05-14 2010-05-14 유효성분으로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감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959A true KR20110125959A (ko) 2011-11-22

Family

ID=4539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617A KR20110125959A (ko) 2010-05-14 2010-05-14 유효성분으로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감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59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9210A (zh) * 2012-08-29 2013-05-15 江门市新会区光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何首乌营养片及制作方法
CN115998874A (zh) * 2022-12-07 2023-04-25 西南交通大学 水通道蛋白3和/或水通道蛋白5作为抑郁症药物靶点的用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9210A (zh) * 2012-08-29 2013-05-15 江门市新会区光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何首乌营养片及制作方法
CN115998874A (zh) * 2022-12-07 2023-04-25 西南交通大学 水通道蛋白3和/或水通道蛋白5作为抑郁症药物靶点的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7135C (en) Natural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recovery of hyperlipidemia and stroke, natural tea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natural tea
KR101842610B1 (ko) 유효 진세노사이드의 손실이 없는 흑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KR100623972B1 (ko)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10125959A (ko) 유효성분으로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감소용 조성물
KR20110125960A (ko)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감소용 조성물
KR20150088223A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824615B1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 및 고혈압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740519B1 (ko) 고압효소분해 천마 추출물 및 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 및 혈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35396B1 (ko) 귤속 식물 과피를 이용한 미세먼지 자극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제조 방법
KR101373653B1 (ko)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10125958A (ko)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101157096B1 (ko) 블렌시아 살미언티 추출물 함유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770600B1 (ko) 산성 다당체를 다량 함유하는 고압효소분해 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2294544B1 (ko) 도라지 추출물 및 도라지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88240B1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0323B1 (ko) 식용곤충 효소처리물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또는 간보호용 조성물
KR101189959B1 (ko)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65450B1 (ko)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6587A (ko) 한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97398B1 (ko) 맥문동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기관지 염증 질환의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
KR102355104B1 (ko) 순무를 포함한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192641B1 (ko) 흑삼 추출물 및 흑삼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70076587A (ko) 모노테르페닐 마그놀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후박 분획물의 제조방법
KR20050084724A (ko) 전호로부터 분리된 안스리신을 포함하는 염증 또는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230099141A (ko) 흑법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