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873A - 탄성기구와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및 휴대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탄성기구와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및 휴대형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873A
KR20110125873A KR1020100045493A KR20100045493A KR20110125873A KR 20110125873 A KR20110125873 A KR 20110125873A KR 1020100045493 A KR1020100045493 A KR 1020100045493A KR 20100045493 A KR20100045493 A KR 20100045493A KR 20110125873 A KR20110125873 A KR 20110125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arm member
elastic mechanism
guid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 상 이
Original Assignee
한 상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 상 이 filed Critical 한 상 이
Priority to KR1020100045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5873A/ko
Priority to US13/106,370 priority patent/US20110279950A1/en
Publication of KR2011012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0Spiral springs with turns lying substantially in plane surfaces

Abstract

팔부재의 회동범위 내에 스프링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의 틈새가 있는 곳에도 사용이 가능한 탄성기구가 개시된다. 상기 탄성기구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 또는 고정하며 일측을 따라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서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는 제1팔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과 중첩된 상태로 상기 제1팔부재에 대해 회동 가능케 연결되는 회동지지부와 상기 회동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연장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측은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 또는 고정하는 제2팔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탄성기구와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및 휴대형 전자기기{Elastic device, slide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utilizing the device}
본 발명은 탄성기구,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및 휴대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전화기, PDA, PMP, 휴대용 게임기 등의 슬라이드형 휴대형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탄성기구,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및 휴대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자가 발명하여 출원한 바 있는 탄성기구로서 스프링과 연결되는 팔부재 등을 두개의 박판을 서로 마주보게 결합하여 구성하고 스프링의 감김부가 두 박판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허공개번호 10-2008-0005087호(이하, “선출원 발명”이라 함)의 도 34 내지 도 36에 개시되어 있다.
1. 특허공개번호 10-2008-0005087호 공개공보(공개일: 2008. 1. 10)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발명하여 출원한 바 있는 선출원 발명을 개선한 개선발명 또는 선출원 발명을 이용한 이용발명에 대한 것이다.
선출원 발명의 도면들에 개시된 것 중 두 박판부를 마주보고 결합한 팔부재를 가지는 것은 팔부재 전체가 동일 길이의 두 박판부가 마주보고 결합되어 전 길이에 걸쳐 동일한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팔부재의 회동범위 내에 박판 두께 정도의 작은 간격이 존재하는 곳에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선출원 발명의 도면에 개시된 탄성기구는 팔부재의 회동부위에 스프링선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이 있는 곳에는 사용하지 못한다.
선출원 발명의 도면에 개시된 것은 팔부재의 회동범위 내에 측방에서 또는 상, 하방으로 돌출된 장애물이 있는 곳에는 사용하지 못한다.
또한, 선출원 발명의 도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두 박판부 전체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이 까다롭고 결합에 사용되는 부속품의 크기가 커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부분을 가지면서도 팔부재의 회동범위 내에 종래보다 작은 간격의 틈새가 있는 곳에도 장착이 가능하고 재료도 절약할 수 있는 탄성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가지면서도 팔부재의 회동범위 내에 스프링선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의 틈새가 있는 곳에도 장착이 가능한 탄성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팔부재의 회동범위 내에 측방 또는 상, 하방으로 돌출된 장애물이 있는 곳에도 사용할 수 있는 탄성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것에 비해 결합길이를 줄일 수 있는 탄성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를 이용한 휴대형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 또는 고정하며 일측을 따라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서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는 제1팔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과 중첩된 상태로 상기 제1팔부재에 대해 회동 가능케 연결되는 회동지지부와 상기 회동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연장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측은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 또는 고정하는 제2팔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스프링은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긴 감김부를 갖는 토션 스프링이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감김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팔부재의 연장부는 박판연장부인 것이 좋다.
상기 하우징부에는 내측으로 압입되어 형성된 원형의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부 내부의 상기 제2팔부재에는 상기 힌지부에 회동 가능케 결합하기 위한 통공 또는 원호형 돌기가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팔부재는 박판으로 되고, 상기 제2팔부재에는 상기 개방부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스프링이 배치된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 또는 고정하는 제2스프링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 상기 박판연장부 또는 상기 노출연장부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꺾인 꺾임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는 링형태의 힌지부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부 내부의 상기 제2팔부재에는 상기 힌지부에 회동 가능케 결합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은 안내부를 구비하는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의 안내를 받는 피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재에 중첩된 상태로 상기 안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케 결합된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안내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안내부재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기기본체와 상기 안내부를 통해 상기 기기본체에 슬라이드 가능케 결합된 덮개를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기기본체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스프링이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안정적이면서도 두 박판부재의 결합 길이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스프링이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안정적이면서도 팔부재의 회동범위 내에 종래의 것에 비해 상대적은 작은 틈새가 있는 곳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스프링이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안정적이면서도 팔부재의 회동범위 내에 스프링선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의 틈새가 있는 곳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팔부재의 회동범위에 측방 또는 상,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있는 곳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팔부재의 박판연장부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팔부재를 다양한 두께와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 탄성기구의 부분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 탄성기구의 구성요소들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 탄성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1 탄성기구의 저면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1 탄성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 탄성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 탄성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3은 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가 적용된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리사시도,
도 18은 도 6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도 18 탄성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
도 21은 도 6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도 21 탄성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탄성기구의 부분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 탄성기구의 구성요소들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 탄성기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 탄성기구의 저면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긴 감김부(112)를 갖는 스프링(110)을 구비한다. 이 스프링(110)의 감김부(112) 내측의 일단과 외측의 타단에는 제1팔부재(130)와 제2팔부재(150)에 각각 지지 또는 고정되는 단부(114, 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단부(114, 116)는 수평으로 꺾인 상태이지만 경우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꺾인 상태에서 대응 위치의 박판부재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지지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겹치는 부위가 없는 스프링(110)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하우징 부(131)의 두께가 커도 상관이 없는 등의 경우에는 겹칩부위가 있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긴 감김부를 갖는 토션 스프링 대신에 다른 형태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된 제1팔부재(130)와 제2팔부재(150) 사이를 회동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이는 도 23과 2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제1팔부재(130)를 구비한다. 제1팔부재(130)는 감김부(112)를 내부에 수용하고 스프링(110)의 내측단(114)을 고정 또는 지지하며 일측을 따라 개방부(132)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131)를 구비한다. 이 하우징부(131)에는 개방부(132) 반대편으로 연장된 박판연장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박판연장부(134)는 스프링(110)을 구성하는 스프링선의 두께보다 얇게 할 수 있어 상호 슬라이드 되는 두 부재 사이에 스프링(110)을 구성하는 스프링선의 두께보다 작은 틈새가 있는 곳에도 설치될 수 있다. 박판연장부(134)가 배치되어야 할 위치가 하우징부(131)의 상면보다 높은 경우 상방으로 꺾인 꺾임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꺾임부(136)의 꺾임방향은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꺾임부(136)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와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부(131)를 이루는 두 박판부(137, 143) 중 일측 박판부(137)에는 내측으로 압입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원형의 힌지부(1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힌지부(138)는 뒤에서 설명되는 제2팔부재(150)를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힌지부(138)에는 스프링(110)의 내측단(114)이 지지 또는 고정되는 제1스프링지지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스프링지지부(140) 역시 내측으로 가압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단부의 고정 또는 지지에는 다른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스프링의 종류가 달라지는 경우 스프링의 양 단부는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하우징부(131)는 테두리(141, 144)를 갖는 두 박판부(137, 143)를 마주보고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두 박판부(141, 144)의 결합은 바람직하게, 테두리(141, 144) 또는 테두리 주변에 형성되는 돌기(141a)와 돌기결합홈(144a)을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다. 두 박판부(141, 144)는 경우에 따라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제2팔부재(150)를 구비한다. 제2팔부재(150)는 하우징부(131) 내부에서 감김부(112)와 중첩된 상태로 힌지부(138)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회동지지부(152)와 개방부(132)를 통해 하우징부(131)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연장부(154)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측은 스프링(110)의 타단인 외측단(116)을 지지 또는 고정하고 있다. 또한, 회동지지부(152)에는 힌지부(138)에 결합되는 원형의 통공(15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팔부재(150)의 노출연장부(154)의 일측에는 스프링(110)의 외측단(116)이 걸릴 수 있는 제2스프링지지부(158)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팔부재(150)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하우징부(131)의 일 단부에 걸림으로써 제2팔부재(150)가 제1팔부재(130)에 대해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스프링(110)의 외측단(116)은 회동지지부(152)에 고정 또는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60) 역시 회동지지부(152)의 일측과 그 대응 위치의 하우징부(131)에 정해진 회동각도에서 서로 걸릴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팔부재(150)는 바람직하게 스프링선의 두께보다 얇은 박판으로 만들어진다.
제1팔부재(130)와 제2팔부재(150)의 외측 단부에는 설치되는 부재에 회동 가능케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구멍(145, 15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구멍(145, 155) 대신에 힌지축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1 탄성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 탄성기구의 분리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제2팔부재(150)에 형성되는 제2스프링지지부(158a)는 제2팔부재(150)의 외측 가장자리 일부를 하방으로 절곡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제2스프링지지부(158a)는 개방부(132)의 단부에 걸려서 제2팔부재(15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부(160)의 역할도 한다. 이 때 걸림부(160)와 제2스프링지지부(158a)는 테두리(141 또는 144)와 같은 반경의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5를 통해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 탄성기구의 분리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하우징부(131)를 구성하는 박판부(137)에 링형태의 힌지부(138a)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137a)들을 형성하고, 링형태의 힌지부(138a)의 대응면에 돌기(138b)들을 형성하여 하우징부(131) 내부에 링형태의 힌지부(138a)를 고정적으로 장착하고 여기에 제2팔부재(150)를 제자리 회동 가능케 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팔부재(150)에는 링형태의 힌지부(138a)에 결합할 수 있도록 앞 실시예들보다는 큰 직경의 통공(156)이 형성된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5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0은 도 9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도 8의 제2팔부재(150) 대신에 도 6과 7에 나타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제2스프링지지부(158a)가 제2팔부재(150)의 외측 가장자리 일부를 하방으로 절곡시켜서 형성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제2스프링지지부(158a)는 개방부(132)의 단부에 걸려서 제2팔부재(15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부(160)의 역할도 하며, 제1팔부재(150)의 테두리(141, 144)와 같은 반경의 위치에 형성된다. 나머지는 도 8과 9를 통해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제2팔부재(150)는 스프링(110)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110)의 바깥쪽 단부(116)가 걸리는 제2스프링지지부(158a)와 걸림부(160)는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팔부재(150)를 회동 가능케 지지하기 위한 힌지부(138)는 하우징부(131)의 아래쪽 박판부(143)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여기에 제1스프링지지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제1스프링지지부(140)는 상측 박판부(137)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2팔부재(150)의 노출연장부(154)에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꺾인 꺾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5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도 9에서의 제2팔부재(150)는 스프링(110)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링 형상의 힌지부(138a)는 하우징부(131)의 아래쪽 박판부(143)에 구멍(137a) 등을 통해 고정되며, 이를 위해 링 형상의 힌지부(138a)의 저부에 고정용 돌기(138b)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나머지는 도 9에서와 같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제1팔부재(130)의 박판연장부(134)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팔부재(130)가 회전할 때 두 박판연장부(134) 사이로 삽입되는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두 박판연장부(134) 중 어느 하나만 서로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꺾여진 꺾임부가 형성될 수 있고, 서로를 향해 꺾여져서, 또는 같은 방향으로 하나는 적게 꺾이고 나머지 하나는 더 많이 꺾여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5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제1팔부재(130)는 두 박판연장부(134)의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되고 스프링을 수용하는 하우징부(131)의 내부 공간과 서로 연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5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제2팔부재(150)의 위쪽과 아래쪽 모두에 스프링(110)을 설치하고, 하우징부(131)의 상하 두 박판부(137, 143) 모두에 제1스프링지지부(140)를 각각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팔부재(130)에 형성되는 힌지부(138c)는 스프링(110) 바깥쪽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2팔부재(150)에는 중앙부의 통공 대신에 가장자리에 힌지부(138c)의 안내를 받기 위한 원호상의 돌출부(156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스프링지지부(158a)는 상하 양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5와 같이 탄성기구(100)를 구성하는 경우, 큰 탄성력을 얻을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5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프링(110)의 탄성력의 작용방향을 앞 실시예들과는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2팔부재(150)는 스프링(11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을 받고 있고, 제1팔부재(130)는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다. 스프링(110)이 제1팔부재(130) 및 제2팔부재(150)에 작용시키는 초기 탄성력의 크기는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가 적용된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200)는 통상 회로기판과 입력 키 등이 설치되는 기기본체(210)와 디스플레이 등이 설치되는 덮개(220) 및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안내부재(180)를 구비한다.
기기본체(210)는 안내부재(180)의 하측에 결합되고 덮개(220)는 안내부재(180)의 상측에 결합된다.
덮개(220)의 저면에는 슬라이드부재(170)가 부착되는 데, 이 슬라이드부재(17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안내부재(18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안내부(133)에 결합되어 안내를 받는 피안내부(17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부재(170)와 안내부재(180) 사이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가 설치된다. 이 탄성기구(100)의 제1팔부재(130)는 슬라이드부재(170)의 회동지지부(174)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제2팔부재(150)는 안내부재(180)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재(170) 및 덮개(220)가 안내부(18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 탄성기구(100)는 슬라이드부재(170)의 이동 위치에 따라 슬라이드부재(170)를 후방 또는 전방으로 탄성력을 작용시켜 슬라이드 시킨다.
여기에서, 슬라이드부재(170), 안내부재(180) 및 둘 사이에서 일단은 슬라이드부재(170)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안내부재(180)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를 이용하는 경우, 제1팔부재(130) 또는 제2팔부재(150)의 회동범위 내에 돌출부(184)가 존재하여 슬라이드부재(170)와 돌출부(184) 사이의 간격이 매우 작아도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도 18은 도 6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 탄성기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경우에 따라 돌기결합홈(141b)은 상측 박판부(137)에 형성하고, 돌기(144b)는 하측 박판부(143)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138) 가장자리에 힌지돌기(138d)를 형성하여 제2팔부재(1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외에 스프링(110)의 타단(116)이 걸리는 제2스프링지지부(158a)는 제2팔부재(150)가 펼쳐진 상태에서 하우징부(131) 내부로 진입되도록 회동지지부(152)의 중심 쪽으로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부(160)는 제2스프링지지부(158a)가 하우징부(131)에 들어간 상태에서 개방부(132) 단부에 걸리게 된다. 나머지는 도 6과 7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21은 도 6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 탄성기구의 분리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스프링(110)의 타단(116)은 제2스프링지지부(158a)에 용접되어 부착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8 내지 20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스프링(110)으로는 토션 스프링이 아닌 다른 형태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3과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110)으로 원호형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팔부재(130)의 하측 박판부(143)에는 스프링(110)의 일단을 회동 가능케 지지하기 위한 제1힌지돌기(140a)가 설치되고, 제2팔부재(150)에는 스프링(110)의 타단을 회동 가능케 지지하기 위한 제2힌지돌기(158b)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스프링(110)의 양단에는 제1힌지돌기(140a) 및 제2힌지돌기(158b)에 각각 회동 가능케 결합하기 위한 회동연결부(118a, 11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앞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스프링(110)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지지부는 필요치 않다.
앞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의 스프링(110)으로는 토션 스프링과 원호형 스프링 외에 활모양의 스프링 등 두 팔부재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여타의 스프링도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머지는 앞 실시예들에서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모듈뿐만 아니라 서랍이나 문 등의 개폐에 이동될 수 있으며, 각종 기계장치의 스프링기구로도 사용될 수 있다.
100: 탄성기구 110: 스프링
112: 감김부 114, 116: 단부
130: 제1팔부재 131: 하우징부
132: 개방부 138, 138a: 힌지부
140: 제1스프링지지부 150: 제2팔부재
152: 회동지지부 154: 노출연장부
158, 158a: 제2스프링지지부

Claims (11)

  1.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 또는 고정하며 일측을 따라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서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는 제1팔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과 중첩된 상태로 상기 제1팔부재에 회동 가능케 결합된 회동지지부와 상기 회동지지부에서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연장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측은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 또는 고정하는 제2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긴 감김부를 갖는 토션 스프링 또는 원호 모양을 갖는 원호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팔부재의 연장부는 박판연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에는 내측으로 압입되어 형성된 원형의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부 내부의 상기 제2팔부재에는 상기 힌지부에 회동 가능케 결합하기 위한 통공 또는 원호형 돌기가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팔부재는 박판으로 되고, 상기 제2팔부재에는 상기 개방부의 단부나 상기 제1팔부재에서 돌출된 부분 또는 상기 제2팔부재에 형성된 구멍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팔부재에는 상기 스프링이 배치된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거나 상기 스프링의 타단의 꺾인 부분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팔부재에는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용접되어 부착됨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연장부 또는 상기 노출연장부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꺾인 꺾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는 링형태의 힌지부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부 내부의 상기 제2팔부재에는 상기 힌지부에 회동 가능케 결합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10. 안내부를 구비하는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의 안내를 받는 피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재에 중첩된 상태로 상기 안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케 결합된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안내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안내부재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탄성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1. 안내부를 구비하는 기기본체와 상기 안내부를 통해 상기 기기본체에 슬라이드 가능케 결합된 덮개를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기기본체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청구항 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의 탄성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KR1020100045493A 2010-05-14 2010-05-14 탄성기구와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및 휴대형 전자기기 KR20110125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493A KR20110125873A (ko) 2010-05-14 2010-05-14 탄성기구와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및 휴대형 전자기기
US13/106,370 US20110279950A1 (en) 2010-05-14 2011-05-12 Elastic device, slide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utilizing th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493A KR20110125873A (ko) 2010-05-14 2010-05-14 탄성기구와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및 휴대형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873A true KR20110125873A (ko) 2011-11-22

Family

ID=44911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493A KR20110125873A (ko) 2010-05-14 2010-05-14 탄성기구와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및 휴대형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279950A1 (ko)
KR (1) KR201101258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0060B (zh) * 2015-11-09 2020-0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接地弹片、接地装置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79950A1 (en)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1192B2 (en) Torsion coil spring and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equipped therewith
JP5161336B2 (ja) 開閉装置
US20140196254A1 (en) Foldable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10100936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9094490B2 (en) Cover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9083106B2 (en) Receptacle connector
KR101237952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JP4405501B2 (ja) スライド式携帯機器
CN102859977B (zh) 便携式装置
KR20110125873A (ko) 탄성기구와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및 휴대형 전자기기
JP4553811B2 (ja) 折畳み式電子機器
JP2009218674A (ja) 携帯端末装置
KR20070024697A (ko) 이동단말기
US8346323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JP2009281000A (ja) レバーハンドル装置
JP4708321B2 (ja) スライド式携帯機器
JP2006177481A (ja) ヒンジ装置及び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電話機
KR10107486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JP4350123B2 (ja) 捩りコイルバネ
KR101171079B1 (ko)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JP2010098727A (ja) 弾性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スライド式携帯電話機
JP2009124613A (ja) スライド回転取付ユニット及び携帯電話機
KR101184003B1 (ko) 탄성기구
KR101185122B1 (ko)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JP3157080U (ja) ヒンジ及び該ヒンジを備えたカバー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