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586A -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 및 출입문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 및 출입문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586A
KR20110125586A KR1020110038635A KR20110038635A KR20110125586A KR 20110125586 A KR20110125586 A KR 20110125586A KR 1020110038635 A KR1020110038635 A KR 1020110038635A KR 20110038635 A KR20110038635 A KR 20110038635A KR 20110125586 A KR20110125586 A KR 20110125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witch
electric vehicle
emergency
storag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권
Original Assignee
코드레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드레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드레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8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5586A/ko
Publication of KR20110125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5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출입문 제어 장치는 축전지,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밸브, 축전지 및 전자밸브와 각각 연결되고,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스위치, 축전지 및 제1 스위치와 각각 연결되고,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축전지와 제1 스위치간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 그리고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스위치 또는 축전지와 연결되고, 제1 스위치와 연결되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 및 출입문 제어 장치{SYSTEM FOR EMERGENCY CONTROLLING DOOR OF ELECTRIC RAIL CAR, APPARATUS FOR CONTROLLING DOOR}
본 발명은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 및 출입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동차의 고장으로 비상 응급 조치 시에 출입문을 제어하는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 및 출입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차는 대중교통 수단으로써 운행 중 차량에 고장이 발생하면 이용객들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기 때문에, 차량의 고장 시 빠르고 정확하게 응급 조치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응급 조치 과정에서 경우에 따라 전동차를 기동하기 이전 상태로 초기화(reset)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전동차를 기동하기 이전 상태로 초기화 시키면 전동차의 출입문은 자동으로 닫히고, 전동차의 출입문 제어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차에 대한 응급 조치 중에 전동차의 객실에 있는 승객들은 전동차에서 하차할 수 없고, 승강장의 승객들은 전동차에 승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영업 운전중인 전동차에 고장이 발생하여 응급조치를 하기 위해 전동차를 초기화해야 하는 경우에 전동차의 출입문이 자동으로 닫힘으로써 승객의 피해 및 여객 사상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장 등으로 운행 중인 전동차에 대해 응급조치를 수행하기 위해 전동차를 초기화하는 경우에도 전동차의 출입문을 제어할 수 있는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 및 출입문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출입문 제어 장치는 전동차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로써, 축전지,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밸브, 축전지 및 전자밸브와 각각 연결되고,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스위치, 축전지 및 제1 스위치와 각각 연결되고,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축전지와 제1 스위치간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 그리고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스위치 또는 축전지와 연결되고, 제1 스위치와 연결되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은 전동차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으로써, 전동차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비상 조치부, 비상 조치부의 제어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부, 그리고 비상 조치부의 제어에 따라 출입문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상 조치부는 주차단기의 차단되는 경우 주차단기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주차단기 제어부, 팬터그래프가 하강하는 경우 팬터그래프 하강 신호를 생성하는 팬터그래프 제어부, 그리고 주차단기 차단 신호 및 팬터그래프 하강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송출하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전동차가 초기화된 경우에도 비상스위치를 통해 전동차의 출입문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차 출입문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전동차 출입문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출입문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출입문 열림 회로 구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출입문 닫힘 회로 구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출입문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상 동작 중 출입문 열림 회로 구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상 동작 중 출입문 닫힘 회로 구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스위치 동작 중 출입문 열림 회로 구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스위치 동작 중 출입문 닫힘 회로 구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 및 출입문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전동차 출입문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차 출입문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동차 출입문 제어 시스템(100)은 비상조치부(110), 출입문 제어부(130) 및 전원 공급부(150)를 포함한다. 이때 전동차 출입문 제어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선두차와 하나 이상의 부수차로 구성된 전동차에 대해 각 부수차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비상조치부(110)는 전동차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전동차를 초기화하기 위해 전동차의 운전자가 조작하는 제동 제어기(111), 팬터그래프 제어부(113) 및 주차단기 제어부(115)를 포함한다.
출입문 제어부(130)는 운전자의 제어에 따라 전동차의 각 부수차의 출입문을 제어한다.
전원 공급부(150)는 비상조치부(110) 및 출입문 제어부(130)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2는 종래의 전동차 출입문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출입문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 제어부(130)는 출입문 개폐스위치(131), 출입문 제어전원차단기(133), 출입문 계전기(135), 제1 스위치(137) 및 출입문제어 전자밸브(139)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50)는 축전지 접촉기(151), 제2 스위치(153), 축전지(155) 및 접지(157)를 포함한다.
다음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종래의 전동차 출입문 제어 시스템이 전동차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출입문 열림 회로 구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운전자가 제동 제어기(111)의 핸들을 셧다운(shut-down) 위치에서 제동 위치로 이동시킨다(S101).
다음, 제2 스위치(153)가 축전지 접촉기(151)를 통해 닫힌다(S103). 이때 제2 스위치(153)가 닫힘에 따라 출입문 제어부(130)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후, 운전자가 출입문 개폐스위치(131)를 조작하여 출입문 개폐스위치(131)가 닫힌다(S105).
다음, 출입문 계전기(135)가 여자된다(S107).
이후, 제1 스위치(137)가 닫힌다(S109).
다음, 출입문제어 전자밸브(139)가 여자된다(S111).
이를 통해 출입문 열림 회로가 구성되어, 전동차의 출입문이 열린다.
도 4는 종래의 출입문 닫힘 회로 구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동차의 출입문이 열린 상태에서 운전자가 출입문 개폐스위치(131)를 조작하여 출입문 개폐스위치(131)가 열린다(S201).
다음, 출입문 계전기(135)가 소자된다(S203).
이후, 제1 스위치(137)가 열린다(S205).
다음, 출입문제어 전자밸브(139)가 소자된다(S207).
이를 통해 출입문 닫힘 회로가 구성되어, 전동차의 출입문이 닫힌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동차 출입문 제어 시스템이 전동차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방법을 따르는 경우, 전동차의 고장 시에 전동차를 초기화하기 위해 운전자가 팬터그래프와 주차단기를 차단한 후 제동 제어기(111)의 핸들을 셧다운 위치로 이동시키면, 전원 공급부(150)의 제2 스위치(153)가 열려 출입문 제어부(130)에 전원이 차단된다. 따라서 전동차를 초기화 시키는 경우, 전동차의 선두차 및 각 부수차의 출입문은 자동으로 닫히게 되며, 닫힌 출임문은 닫힌 상태에서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다음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300)은 비상조치부(310), 출입문 제어부(330) 및 전원 공급부(350)를 포함한다. 이때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300)은 하나 이상의 선두차와 하나 이상의 부수차로 구성된 전동차에 대해 각 부수차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비상조치부(310)는 전동차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전동차를 초기화하기 위해 전동차의 운전자가 조작하는 제동 제어기(311), 팬터그래프 제어부(313) 및 주차단기 제어부(315)를 포함하고, 경보음을 송출하는 알람부(317)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19)를 더 포함한다.
출입문 제어부(330)는 운전자의 제어에 따라 전동차의 각 부수차의 출입문을 제어한다.
전원 공급부(350)는 비상조치부(310) 및 출입문 제어부(330)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출입문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 제어부(330)는 출입문 비상스위치(331), 출입문 비상계전기(332), 제1 스위치(333), 제2 스위치(334), 출입문 개폐스위치(335), 출입문 제어전원차단기(336), 출입문 계전기(337), 제3 스위치(338) 및 출입문제어 전자밸브(339)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350)는 축전지 접촉기(351), 제4 스위치(353), 축전지(355) 및 접지(357)를 포함한다.
다음은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이 전동차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상 동작 중 출입문 열림 회로 구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운전자가 제동 제어기(311)의 핸들을 셧다운 위치에서 제동 위치로 이동시킨다(S301).
다음, 축전기 접촉기(351)를 통해 제4 스위치(353)가 닫힌다(S303). 이때 제4 스위치(353)가 닫힘에 따라 팬터그래프 제어부(313), 주차단기 제어부(315) 및 출입문 제어부(330)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후, 운전자가 출입문 개폐스위치(335)를 조작하여 출입문 개폐스위치(335)가 닫힌다(S305).
다음, 출입문 계전기(337)가 여자된다(S307). 이때 출입문 비상스위치(331)는 정상 위치이며, 출입문 계전기(337)가 여자됨에 따라 구성되는 폐회로는 "축전지(355)-제4 스위치(353)-출입문 비상스위치(331)-출입문 개폐스위치(335)-출입문 제어전원차단기(336)-출입문 계전기(337)- 출입문 개폐스위치(335)-축전지(355)"의 순서에 따른다.
이후, 제3 스위치(338)가 닫힌다(S309).
다음, 출입문제어 전자밸브(339)가 여자된다(S311). 이때 출입문제어 전자밸브(339)가 여자됨에 따라 구성되는 출입문 열림 회로는 "축전지(355)-제4 스위치(353)-제1 스위치(333)- DMVN(336)-제3 스위치(338)-출입문제어 전자밸브(339)-축전지(335)"의 순서에 따른다.
이와 같이 출입문 열림 회로가 구성되어, 전동차의 출입문이 열린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상 동작 중 출입문 닫힘 회로 구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동차의 출입문이 열린 상태에서 운전자가 출입문 개폐스위치(335)를 조작하여 출입문 개폐스위치(335)가 열린다(S401).
다음, 출입문 계전기(337)가 소자된다(S403).
이후, 제3 스위치(338)가 열린다(S405)
다음, 출입문제어 전자밸브(339)가 소자된다(S407).
이와 같이 출입문 닫힘 회로가 구성되어, 전동차의 출입문이 닫힌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스위치 동작 중 출입문 열림 회로 구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운전자는 전동차의 정상 운행 중 비상조치에 따라 주차단기 제어부(315)를 조작하여 주차단기를 차단한다(S501).
다음, 주차단기 제어부(315)는 주차단기 차단 신호를 알람부(317)로 전송한다(S503).
한편, 운전자는 팬터그래프 제어부(313)를 조작하여 팬터그래프를 하강시킨다(S505).
이후, 팬터그래프 제어부(313)는 팬터그래프 하강 신호를 알람부(317)로 전송한다(S507).
다음, 알람부(317)는 주차단기 차단 신호 및 팬터그래프 하강 신호를 바탕으로 전송 신호를 조합한다(S509).
이후, 알람부(317)는 조합된 전송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송출한다(S511).
다음, 운전자는 송출된 경보음에 대응하여 출입문 비상스위치(331)를 정상 위치에서 비상 위치로 이동시킨다(S513).
이후, 운전자는 제동 제어기(311)의 핸들을 제동 위치에서 셧다운 위치로 이동시킨다(S515).
다음, 축전기 접촉기(351)를 통해 제4 스위치(353)가 열린다(S517). 이때 제4 스위치(353)가 열림에 따라 팬터그래프 제어부(313) 및 주차단기 제어부(315)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된다.
이후, 운전자가 출입문 개폐스위치(335)를 조작하여 출입문 개폐스위치(335)가 닫힌다(S519).
다음, 출입문 계전기(337)가 여자된다(S521). 이때 출입문 계전기(337)가 여자됨에 따라 구성되는 폐회로는 "축전지(355)-출입문 비상스위치(331)-출입문 개폐스위치(335)-출입문 제어전원차단기(336)- 출입문 계전기(337)- 출입문 개폐스위치(335)-축전지(355)"의 순서에 따른다.
이후, 제3 스위치가 닫힌다(S523).
다음, 출입문 비상계전기(332)가 여자된다(S525). 이때 출입문 비상계전기(332)가 여자됨에 따라 구성되는 폐회로는 "축전지(355)-출입문 비상스위치(331)-출입문 비상계전기(332)-출입문 개폐스위치(335)-축전지(335)"의 순서에 따른다.
이후, 제2 스위치(334)가 닫힌다(S527). 이때 제2 스위치(334)가 닫힘과 동시에 제1 스위치(333)가 열린다.
다음, 출입문제어 전자밸브(339)가 여자된다(S529). 이때 출입문제어 전자밸브(339)가 여자됨에 따라 구성되는 출입문 열림 회로는 "축전지(355)-제2 스위치(334)- 출입문 제어전원차단기(336)-제3 스위치(338)-출입문제어 전자밸브(339)-축전지(335) "의 순서에 따른다.
이와 같이 출입문 열림 회로가 구성되어, 전동차의 출입문이 열린다.
이때, 데이터 저장부(319)는 알람부(317)에서 경보음이 송출된 날짜 및 시간을 저장한다(S531).
또한, 데이터 저장부(319)는 운전자가 출입문 비상스위치(331)를 비상 위치로 이동시킨 날짜 및 시간을 저장한다(S533).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스위치 동작 중 출입문 닫힘 회로 구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동차의 출입문이 열린 상태에서 운전자가 출입문 개폐스위치(335)를 조작하여 출입문 개폐스위치(335)가 열린다(S601).
다음, 출입문 계전기(337)가 소자된다(S603).
이후, 제3 스위치(338)가 열린다(S605)
다음, 출입문제어 전자밸브(339)가 소자된다(S607).
이와 같이 출입문 닫힘 회로가 구성되어, 전동차의 출입문이 닫힌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4)

  1. 전동차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축전지;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밸브;
    상기 축전지 및 상기 전자밸브와 각각 연결되고,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축전지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각각 연결되고,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축전지와 상기 제1 스위치간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 및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치 또는 상기 축전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되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차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동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동차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2 스위치가 상기 제3 스위치를 통해 상기 축전지와 상기 제1 스위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동차가 작동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제3 스위치가 상기 축전지와 상기 제1 스위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
KR1020110038635A 2011-04-25 2011-04-25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 및 출입문 제어 장치 KR20110125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635A KR20110125586A (ko) 2011-04-25 2011-04-25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 및 출입문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635A KR20110125586A (ko) 2011-04-25 2011-04-25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 및 출입문 제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066A Division KR101056140B1 (ko) 2010-05-13 2010-05-13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 및 출입문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586A true KR20110125586A (ko) 2011-11-21

Family

ID=45395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635A KR20110125586A (ko) 2011-04-25 2011-04-25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 및 출입문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55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7871A1 (de) * 2014-02-10 2015-08-13 Siemens Ag Österreich Türantrieb zum bewegen eines türblatts eines verkehrsmittels
CN108082199A (zh) * 2017-11-28 2018-05-29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城轨车辆客室车门监控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7871A1 (de) * 2014-02-10 2015-08-13 Siemens Ag Österreich Türantrieb zum bewegen eines türblatts eines verkehrsmittels
CN108082199A (zh) * 2017-11-28 2018-05-29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城轨车辆客室车门监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8227B2 (en) Dark current cutoff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junction box
RU2673935C2 (ru) Запо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дверей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68632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freight refrigeration power control
CN108035649B (zh) 列车车门控制系统以及列车
CN106285246B (zh) 车门单独控制的安全电路
US804277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activating defective doors
US20120286568A1 (en) Methods and Circuits for Controlling a Battery Disconnect Switch
US20220120119A1 (en) Locking device to lock and/or unlock movable car closure elements
WO2020037771A1 (zh) 一种无人驾驶地铁列车的乘客报警输出控制电路
CN111572578B (zh) 一种轨道车辆清洁时车门和照明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KR101056140B1 (ko)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 및 출입문 제어 장치
CN109098610A (zh) 电动的门驱动装置和安全门
KR20110125586A (ko) 전동차용 객실출입문 비상 제어 시스템 및 출입문 제어 장치
KR101252542B1 (ko) 철도차량의 차량간 출입문 제어회로
KR20170124778A (ko) 암전류 차단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CN103015832A (zh) 一种门窗安全开启系统
CN112780146B (zh) 一种列车车门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160142926A (ko) 승강장 세이프 도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2948A (ko) 고속열차 승강문 제어시스템 및 방법
WO2007067154A1 (en) Pneumatic arrangement for double leaf bus doors
KR20130033015A (ko)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KR20220152828A (ko) 차량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
CN216269102U (zh) 电动车门备用供电装置与电子设备
JP2013014238A (ja) 車両用戸閉制御装置
WO20030211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freight refrigeration power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