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444A - 2위치 왕복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2위치 왕복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444A
KR20110125444A KR1020100044973A KR20100044973A KR20110125444A KR 20110125444 A KR20110125444 A KR 20110125444A KR 1020100044973 A KR1020100044973 A KR 1020100044973A KR 20100044973 A KR20100044973 A KR 20100044973A KR 20110125444 A KR20110125444 A KR 20110125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rotrusion
cylinder body
cylind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희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00044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5444A/ko
Publication of KR20110125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2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55Control of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of the output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양단이 고정된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탑재된 캐리어; 기단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로드가 상기 캐리어에 구비된 복동실린더를 포함하는 2위치 왕복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복동실린더는, 양단에 제 1 및 제 2 입출구가 각각 형성된 실린더 본체;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본체에 제공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실린더 본체의 중심축선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 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일측면 중앙부에서 돌출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 1 돌출부; 상기 피스톤의 타측면 중앙부에서 돌출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 2 돌출부; 상기 제 2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본체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외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로드;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부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입출구와 각각 유통되는 제 1 및 제 2 확경부; 상기 제 1 및 제 2 확경부에서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실린더 본체의 중심축선을 향해 방사상 안쪽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 1 및 제 2 축경부; 상기 제 1 및 제 2 축경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확경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 1 및 제 2 공기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위치 왕복운동 기구{2-POSIIN RECIPROC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2위치 왕복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실린더의 피스톤이 2위치로 왕복 운동할 때 정지구간에서 속도를 줄일 수 있는 2위치 왕복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2위치 왕복운동기구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양단이 고정된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탑재된 캐리어, 기단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로드가 상기 캐리어에 고정된 복동실린더 및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 고정되어 캐리어의 양방향 운동시 접촉하게 되는 업소버를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왕복운동기구는 업소버를 2개 구비하고 있어서, 제조단가와 유지보수비용이 상승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는 일정속도로 이동되다가 정지되기 때문에, 그 속도에 의한 충격이 상기 업소버에 그대로 전달되어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른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양단이 고정된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탑재된 캐리어; 기단이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로드가 상기 캐리어에 구비된 복동실린더를 포함하는 2위치 왕복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복동실린더는, 양단에 제 1 및 제 2 입출구가 각각 형성된 실린더 본체;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본체에 제공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실린더 본체의 중심축선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 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일측면 중앙부에서 돌출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 1 돌출부; 상기 피스톤의 타측면 중앙부에서 돌출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 2 돌출부; 상기 제 2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본체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외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로드;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부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입출구와 각각 유통되는 제 1 및 제 2 확경부; 상기 제 1 및 제 2 확경부에서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실린더 본체의 중심축선을 향해 방사상 안쪽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 1 및 제 2 축경부; 상기 제 1 및 제 2 축경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확경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 1 및 제 2 공기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위치 왕복운동 기구에 따르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위치 왕복운동기구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동실린더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동실린더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위치 왕복운동 기구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위치 왕복운동 기구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양단이 고정된 가이드봉(20); 상기 가이드봉(20)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탑재된 캐리어(30); 기단이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되고 로드(43)가 상기 캐리어에 구비된 복동실린더(40)를 포함한다.
상기 복동실린더(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제 1 및 제 2 입출구(41a, 41b)가 각각 형성된 실린더 본체(41); 상기 실린더 본체(41)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본체(41)에 제공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실린더 본체(41)의 중심축선(X)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 되는 피스톤(42); 상기 피스톤(42)의 일측면 중앙부에서 돌출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 1 돌출부(42a); 상기 피스톤(42)의 타측면 중앙부에서 돌출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 2 돌출부(42b); 상기 제 2 돌출부(42a)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42)과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본체(41)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구멍(41c)을 통과하여 외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로드(43); 상기 실린더 본체(41)의 내부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입출구(41a, 41b)와 각각 유통되는 제 1 및 제 2 확경부(44, 45); 상기 제 1 및 제 2 확경부(44, 45)에서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실린더 본체(41)의 중심축선(X)을 향해 방사상 안쪽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42a, 42b)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 1 및 제 2 축경부(46, 47); 상기 제 1 및 제 2 축경부(46, 47)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확경부(44, 45)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 1 및 제 2 공기통로(48, 4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42)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 1 축경부(46)의 내경 주위에는 실링(50)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 1 시트부(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42)의 타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 2 축경부(47)의 내경주위에도 실링(50)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 2 시트부(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입출구(41a, 41b)에는, 도시되지 않은 공압펌프와 일단이 유통가능하게 연결된 공기입출관(4, 5)의 타단이 각각 유통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2위치 왕복운동 기구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42)의 제 1 돌출부(42a)가 상기 제 1 축경부(46)의 내경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 결정되었을 경우에 다음과 같이 작동되어 캐리어(30)를 1위치에서 2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실린더 본체(41)의 내부공간은 상기 피스톤(42)을 기준으로 제 1 실린더실(S1)과 제 2 실린더실(S2)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 1 돌출부(42a)가 돌출된 방향의 공간은 제 1 실린더실(S1) 상기 제 2 돌출부(42b)가 돌출된 방향의 공간은 제 2 실린더실(S2)이라 한다.
먼저, 상기 실린더 본체(41)의 제 1 입출구(41a)를 통해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가 제 1 돌출부(42a)를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피스톤(42)을 전방으로 이송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2 실린더실(S2)의 공간은 점진적으로 좁아지면서 그 내부에 있던 공기가 상기 제 2 확경부(47)의 내경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상기 제 1 실린더실(S1)의 공간은 점진적으로 넓어지면서 상기 압축공기가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42)이 전방으로 이송되다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42)의 제 2 돌출부(42b)가 상기 제 2 축경부(47)의 내경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축경부(47)의 내경을 폐쇄하면, 제 2 실린더실(S2)에 있던 남아 있던 공기는 상기 제 2 공기통로(49)로 배출되고, 이때, 상기 피스톤(42)은 전진속도가 점점 느려지게 된다.
즉, 상기 피스톤(42)은 상기 제 2 돌출부(42b)가 상기 제 2 축경부(47)의 내경에 삽입되기 전까지는 일정속도로 전진되다가, 상기 제 2 돌출부(42b)가 상기 제 2 축경부(47)의 내경에 삽입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 2 실린더실(S2)에 채워져 있던 공기는 상기 제 2 축경부(47)의 내경을 통해 상기 제 2 확경부(45)의 내경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상기 제 2 축경부(47)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 2 공기통로(49)를 통해 제 2 확경부(45)의 내경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42)은 그 전진속도가 점점 느려지면서 완충작용을 받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 2 입출구(41b)를 통해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제 2 돌출부(42b)를 가압하여 상기 피스톤(42)을 후방으로 이송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 실린더실(S1)의 공간은 점진적으로 좁아지면서 그 내부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상기 제 1 축경부(46)의 내경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제 2 실린더실(S2)의 공간은 점진적으로 넓어지면서 그 내부에 압축공기가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42)이 후방으로 이송되다가 상기 제 1 돌출부(42a)가 상기 제 1 축경부(46)의 내경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축경부(46)의 내경을 폐쇄하면, 제 1 실린더실(S1)에 있던 남아 있던 공기는 상기 제 1 공기통로(48)로 배출되고, 이때, 상기 피스톤(42)은 후진속도가 점점 느려지게 된다.
즉, 상기 피스톤(42)은 상기 제 1 돌출부(42a)가 상기 제 1 축경부(46)의 내경에 삽입되기 전까지는 일정속도로 후진되다가, 상기 제 1 돌출부(42a)가 상기 제 1 축경부(46)의 내경에 삽입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 1 실린더실(S1)에 채워져 있던 공기는 상기 제 1 축경부(46)의 내경을 통해 상기 제 1 확경부(44)의 내경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상기 제 1 축경부(46)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 1 공기통로(48)를 통해 제 1 확경부(44)의 내경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42)은 그 전진속도가 점점 느려지면서 완충작용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42)와 결합 된 캐리어(30)는 일정구간 까지는 일정속도로 이동되다가 정지구간에서는 속도를 점점 줄이면서 정지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업소버를 구비하지 않아도 완충되어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2위치 왕복운동 기구는, 상기 로드(42)와 결합된 캐리어(30)가 일정구간까지는 일정속도로 이송되다가 정지구간에서는 속도를 점진적으로 줄이면서 정지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업소버를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캐리어(30)에 완충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베이스 20 : 가이드봉
30 : 캐리어 40 : 복동실린더
41 : 실린더본체 42 : 피스톤
42a : 제 1 돌출부 42b : 제 2 돌출부
43 : 로드 44 : 제 1 확경부
45 : 제 2 확경부 46 : 제 1 축경부
47 : 제 2 축경부 48 : 제 1 공기통로
49 : 제 2 공기통로

Claims (2)

  1.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양단이 고정된 가이드봉(20); 상기 가이드봉(20)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탑재된 캐리어(30); 기단이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되고 로드(43)가 상기 캐리어에 구비된 복동실린더(40)를 포함하는 2위치 왕복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복동실린더(40)는,
    양단에 제 1 및 제 2 입출구(41a, 41b)가 각각 형성된 실린더 본체(41); 상기 실린더 본체(41)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본체(41)에 제공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실린더 본체(41)의 중심축선(X)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 되는 피스톤(42); 상기 피스톤(42)의 일측면 중앙부에서 돌출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 1 돌출부(42a); 상기 피스톤(42)의 타측면 중앙부에서 돌출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 2 돌출부(42b); 상기 제 2 돌출부(42a)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42)과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본체(41)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구멍(41c)을 통과하여 외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로드(43); 상기 실린더 본체(41)의 내부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입출구(41a, 41b)와 각각 유통되는 제 1 및 제 2 확경부(44, 45); 상기 제 1 및 제 2 확경부(44, 45)에서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실린더 본체(41)의 중심축선(X)을 향해 방사상 안쪽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42a, 42b)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 1 및 제 2 축경부(46, 47); 상기 제 1 및 제 2 축경부(46, 47)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확경부(44, 45)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 1 및 제 2 공기통로(48, 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위치 왕복운동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42)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 1 축경부(46)의 내경 주위에는 실링(50)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 1 시트부(51)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42)의 타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 2 축경부(47)의 내경주위에도 실링(50)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 2 시트부(6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위치 왕복운동 기구.
KR1020100044973A 2010-05-13 2010-05-13 2위치 왕복운동 기구 KR20110125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973A KR20110125444A (ko) 2010-05-13 2010-05-13 2위치 왕복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973A KR20110125444A (ko) 2010-05-13 2010-05-13 2위치 왕복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444A true KR20110125444A (ko) 2011-11-21

Family

ID=45394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973A KR20110125444A (ko) 2010-05-13 2010-05-13 2위치 왕복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54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153B1 (ko) * 2012-01-26 2018-06-08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유압식 큐세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153B1 (ko) * 2012-01-26 2018-06-08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유압식 큐세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09380A1 (ru) Амортизатор
EP2899400B1 (en) Compressed air driven reciprocating piston hydraulic pump
KR20150016385A (ko) 양 로드형 쇼크 업소버
JP5097783B2 (ja) 打撃装置
TWM495452U (zh) 流體壓缸
JP2011061209A (ja) 可動子を備えた電磁石
FI128135B (fi) Oskillointisylinterijärjestely
KR20110125444A (ko) 2위치 왕복운동 기구
JP2011153690A (ja) ダンパ付きストッパ
KR101546056B1 (ko) 진동발생장치
KR100986082B1 (ko) 가변형 클램프 장치
JP2007263362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1520364B1 (ko) 픽커
JP5100150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1847428B1 (ko) 1차 압력을 이용하여 타격하는 에어 진동 발생장치
CN204041608U (zh) 耐冲击气缸
CN104976178B (zh) 一种调节气缸
KR101587722B1 (ko) 완충부재가 구비된 유압실린더
CN207513984U (zh) 液压油缸
CN104074836A (zh) 一种高速液压缸缓冲机构
CN104019077A (zh) 前后耳环油缸
CN203809408U (zh) 前后耳环油缸
CN104632753A (zh) 耐冲击气缸
KR200177574Y1 (ko) 공기압실린더의 완충장치
FI123463B (fi) Paineellisella väliaineella toimiva iskula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