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450A -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3450A
KR20110123450A KR1020100042945A KR20100042945A KR20110123450A KR 20110123450 A KR20110123450 A KR 20110123450A KR 1020100042945 A KR1020100042945 A KR 1020100042945A KR 20100042945 A KR20100042945 A KR 20100042945A KR 20110123450 A KR20110123450 A KR 20110123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air inlet
lip
adjusting
reservoi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명학
Original Assignee
배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명학 filed Critical 배명학
Priority to KR1020100042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3450A/ko
Publication of KR20110123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내부에 화장 유액을 수용하는 리저버 하우징; 상기 리저버 하우징의 일측 개구를 통해 내부로 인입되어 끼워지며 모세관 효과에 의해 상기 리저버 하우징에 수용된 화장 유액을 끌어당겨 임시 수용하며, 상기 제1 임시 수용된 화장 유액이 도포에 위해 소진되어 가면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화장 유액을 도포면로 이동시키는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부재; 상기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부재는, 내부에 제1홀이 형성되며, 외부면에 공기유입을 위한 공기유입홈이 형성된 제1조절부재; 상기 제1조절부재와 맞닿으며 내부에 제2홀이 형성되며, 외부면에 공기유입을 위한 공기유입홈이 형성된 제2조절부재; 상기 제1홀의 내부에 끼워지며, 크기가 큰 기공이 다수 형성되며 일측면에 도포면인 제1립; 상기 제2홀의 내부에 끼워지며, 크기가 작은 기공이 다수 형성되며, 일측면 상기 제1립과 맞닿고 타측면은 상기 리저버 하우징에 수용된 화장 유액과 맞닿는 제2립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container of controlling quantity of application for milky liquid}
본 발명은 화장 유액의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 유액을 수용한 후에 토출시켜 도포하는 용기는 화장 유액을 수용하는 리저버와 브러시나 파우더 퍼프, 폼 스펀지(foam sponge) 등의 표면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판(substrate)으로 커버된 팁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용기의 리저버에 수용중인 화장 유액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팁으로 토출되며, 상기 팁을 통해 토출된 화장 유액은 사용자의 피부상에 도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화장 유액의 용기는 리저버에 수용된 화장 유액을 사용자의 조작, 예를들어 흔들기 등에 의해 토출되게 함으써, 토출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도포량이 균일하지 못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포량이 균일하지 못한 것은 스킨 케어를 위한 화장 유액을 수용한 경우에도 사용자의 불만을 야기하나, 균일한 발색이 요구되는 메이크업을 위한 화장 유액을 수용하는 경우에는 화장 유액에 대한 신뢰마저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에 종래에는 화장 유액을 수용하는 용기가 화장 유액의 균일한 도포를 위해 소량의 화장 유액을 일정하게 토출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화장 유액을 수용한 후에 화장 유액의 균일한 도포를 위하여 소량의 화장 유액을 일정하게 토출하는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내부에 화장 유액을 수용하는 리저버 하우징; 상기 리저버 하우징의 일측 개구를 통해 내부로 인입되어 끼워지며 모세관 효과에 의해 상기 리저버 하우징에 수용된 화장 유액을 끌어당겨 임시 수용하며, 상기 제1 임시 수용된 화장 유액이 도포에 위해 소진되어 가면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화장 유액을 도포면로 이동시키는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부재; 상기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부재는, 내부에 제1홀이 형성되며, 외부면에 공기유입을 위한 공기유입홈이 형성된 제1조절부재; 상기 제1조절부재와 맞닿으며 내부에 제2홀이 형성되며, 외부면에 공기유입을 위한 공기유입홈이 형성된 제2조절부재; 상기 제1홀의 내부에 끼워지며, 크기가 큰 기공이 다수 형성되며 일측면에 도포면인 제1립; 상기 제2홀의 내부에 끼워지며, 크기가 작은 기공이 다수 형성되며, 일측면 상기 제1립과 맞닿고 타측면은 상기 리저버 하우징에 수용된 화장 유액과 맞닿는 제2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수용한 화장 유액을 일정하게 토출하여 화장 유액의 균일한 도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야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 유액 용기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화장 유액 용기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내부에 화장 유액(206)을 수용하는 리저버 하우징(100)과, 상기 리저버 하우징(100)의 일측 종단에 끼워져 결착되는 제1뚜껑 부재(102)와, 상기 리저버 하우징(100)의 타측 종단에 끼워져 결착되는 제2뚜껑 부재(104)와, 상기 리저버 하우징(100)의 일측 개구를 통해 내부로 인입되어 끼워지며 모세관 효과 및 표면장력을 통해 소량의 화장 유액의 균일하게 토출되게 함과 동시에 화장 유액의 토출양에 대응되게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부재(200)로 구성된다.
상기 리저버 하우징(100)의 일측 종단의 외부면에는 제1홈(202)이 형성되어, 상기 제1뚜껑 부재(102)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함은 물론이고 끼워지는 정도를 제한한다.
또한 상기 리저버 하우징(100)의 일측 종단의 내부면에는 제2홈(204)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부재(20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함은 물론이고 끼워지는 정도를 제한한다.
상기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부재(200)가 끼워지고 남은 상기 리저버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는 화장 유액(206)이 수용된다.
상기 제2뚜껑 부재(102)는 원판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리저버 하우징(100)의 타측 종단에 형성된 내부 개구에 대응되는 돌기(208)가 형성되어, 상기 리저버 하우징(100)의 타측 종단과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부재(200)는 제1조절부재(210)와 제2조절부재(212)와 제1립(214)과 제2립(2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조절부재(210)는 내부에 원주가 큰 원통형의 제1홀(216)이 형성된 원뿔형으로 하부면의 둘레는 리저버 하우징(100)의 일측 종단의 내부면에 대응되며, 상부면의 둘레는 상기 제2립(216)의 둘레에 대응되며, 일정 간격으로 제1공기유입홈(218)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리저버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조절부재(212)는 내부에 원주가 작은 원통형의 제2홀(218)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일정간격의 슬릿이 다수 형성되어 다수의 원판부재를 겹쳐놓은 형태를 가진다. 상기 다수의 원판부재 중 제1 및 제2원판부재(220,222)와 제3원판부재(224)는 다른 원판에 비해 두껍고 원둘레가 상기 리저버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대응되어, 리저버 하우징(100)의 내부면과 밀착된다. 특히 상기 제1원판부재(220)에는 공기 유입을 위한 제1공기 유입구(226)가 형성되고, 상기 제2조절부재(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공기 유입구(226)의 반대방향에 대응되는 제2원판부재(200)의 부분에는 공기 유입을 위한 제2공기 유입구(228)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공기 유입구(226)를 기준으로 나머지 원판부재(230)에는 공기 유입을 위한 제3공기 유입구(232)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공기 유입구(228)를 기준으로 나머지 원판부재(230) 및 제3원판부재(224)에는 공기 유입을 위한 제4공기 유입구(234)가 형성된다. 상기 제3공기 유입구(232)는 상기 제1공기 유입구(226)에 대응되거나 그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4공기 유입구(234)는 매우 미세하게 형성되어 공기 유입량이 제한되게 한다.
상기 제1조절부재(210)의 내부에는 제1립(214)이 삽입되고, 상기 제2조절부재(212)의 내부에는 제2립(216)이 삽입된다.
상기 제1립(214)은 플라스틱 소재인 나일론 수지에 크기가 큰 기공을 다수 형성시킨 것으로, 일측은 제2립(216)과 맞닿아 화장 유액을 전달받고, 타측은 제2립(216)으로부터 전달받은 화장 유액을 피부상에 도포하는 도포면이 형성된다. 상기 도포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립(214)에 크기가 큰 기공이 다수 형성됨에 따라 립의 감촉이 부드러워지고 탄성이 형성되어 도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립(214)에 형성된 기공에 유입된 화장 유액이 도포에 의해 소진되어 감에 따라 제2립(216)으로 전달된 화장 유액이 표면장력에 의해 제1립(214)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2립(216)은 플라스틱 소재인 폴리에스터를 발포하여 만든 것으로, 크기가 작은 기공이 다수 형성되었다. 상기 제2립(216)은 일측은 상기 제1립(214)과 맞닿으며 타측은 화장 유액이 수용된 공간과 맞닿아 상기 화장 유액을 빨아들인다.
상기 제2립(216)은 크기가 작은 기공들에 의해 모세관 현상을 야기시켜 화장 유액을 끌어당겨 제1립(214)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1립(214)에 형성된 크기가 큰 기공들에 상기 화장 유액을 임시 수용하였다가, 상기 임시 수용되었던 화장 유액이 도포에 의해 소진되어 감에 따라 제2립(216)으로 이동된 화장 유액을 표면장력에 의해 끌어당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세관 현상과 표면장력에 의한 양만큼 일정하게 토출되게 하며, 상기 토출량이 일정해짐에 따라 상기 제1립(214)을 통한 도포량 역시 일정하게 유지되어 균일한 발색을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및 제3실시예는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부재의 조절부재들을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소재와 형상의 립이 삽입된 조절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제2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 부재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 부재는 제3조절부재(300)와 제4조절부재(302)와 제3립(304)과 제4립(30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3조절부재(300)와 제4조절부재(302)는 분리되어 형성되며, 일측종단면이 서로 맞물려 끼우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3조절부재(300)에 끼워지는 제3립(304)은 펜슬형태로서 형성되어 미세한 영역에 대한 발색을 가능하게 한다.
<제3실시예>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 부재의 구성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 부재는 제5조절부재(400)와 제6조절부재(402)와 제5립(404)과 제6립(40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5조절부재(400)와 제6조절부재(402)는 분리되어 형성되며, 일측종단면이 서로 맞물려 끼우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5조절부재(400)에 끼워지는 제5립(404)의 종단에는 브러쉬가 장착되어 브러쉬를 통한 화장 유액의 도포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기구물들이 홈 또는 돌기를 통해 맞물려 끼워지는 것만을 예시하였으나, 좀 더 안정적인 결착을 위하여 나사형 돌기를 형성하여 결착시키는 것 역시 본 발명에 의해 자명하다.
100 : 리저버 하우징
102 : 제1뚜껑 부재
104 : 제2뚜껑 부재
200 :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부재

Claims (4)

  1.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있으며 내부에 화장 유액을 수용하는 리저버 하우징;
    상기 리저버 하우징의 일측 개구를 통해 내부로 인입되어 끼워지며 모세관 효과에 의해 상기 리저버 하우징에 수용된 화장 유액을 끌어당겨 임시 수용하며, 상기 제1 임시 수용된 화장 유액이 도포에 위해 소진되어 가면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화장 유액을 도포면로 이동시키는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부재;
    상기 공기 유입 및 화장 유액 토출 조절부재는,
    내부에 제1홀이 형성되며, 외부면에 공기유입을 위한 공기유입홈이 형성된 제1조절부재;
    상기 제1조절부재와 맞닿으며 내부에 제2홀이 형성되며, 외부면에 공기유입을 위한 공기유입홈이 형성된 제2조절부재;
    상기 제1홀의 내부에 끼워지며, 크기가 큰 기공이 다수 형성되며 일측면에 도포면인 제1립;
    상기 제2홀의 내부에 끼워지며, 크기가 작은 기공이 다수 형성되며, 일측면 상기 제1립과 맞닿고 타측면은 상기 리저버 하우징에 수용된 화장 유액과 맞닿는 제2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재와 상기 제2조절부재가 서로 맞물려 끼워져 결착되며,
    상기 제1립의 도포면은 원형 또는 펜슬형태 또는 브러쉬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립은 플라스틱 소재의 나이론 수지이고,
    상기 제2립은 플라스틱 소재의 폴리에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재는 외부면이 상기 리저버 하우징의 내부면에 맞닿는 형상으로 공기 유입을 위한 제1공기 유입 홈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제2조절부재는 외부면이 상기 리저버 하우징의 내부면에 맞닿는 다수의 평판이 적층된 형상으로,
    상기 다수의 평판 중 제1평판과 제2평판은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제2 및 제3공기 유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평판 중 제1평판과 제2평판과 마지막 평판을 제외한 평판들은 상기 제2공기 유입 홈에 대응되는 부분에 넓은 폭의 공기 유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평판 중 제1평판과 제2평판을 제외한 평판들은 상기 제3공기 유입 홈에 대응되는 부분에 미세한 폭의 공기 유입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
KR1020100042945A 2010-05-07 2010-05-07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 KR20110123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945A KR20110123450A (ko) 2010-05-07 2010-05-07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945A KR20110123450A (ko) 2010-05-07 2010-05-07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450A true KR20110123450A (ko) 2011-11-15

Family

ID=4539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945A KR20110123450A (ko) 2010-05-07 2010-05-07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34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2753A (zh) * 2016-08-25 2018-03-09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具有蓄液功能的液体眼线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2753A (zh) * 2016-08-25 2018-03-09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具有蓄液功能的液体眼线笔
CN107772753B (zh) * 2016-08-25 2023-12-15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具有蓄液功能的液体眼线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6464B2 (ja) 液体製品の収容塗布ユニット
US7125189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US7841793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cosmetic product
JP3907553B2 (ja) 化粧製品などの製品の収容及び分配のための装置
JP2720031B2 (ja) ペースト状又は粉末状の製品用の塗布ユニット
US20030123919A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nd/or packaging a product
JP2004000587A (ja) 異なる種類の繊維のフロッキングで覆われた特に化粧品等の製品の塗布装置
JP2002028026A (ja) 収容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JP2001161436A (ja) 液状製品の収容供給ユニット
US20030072602A1 (en) Device comprising magnetizable particles
JPH11253228A (ja) 微粉状、液状、又はペ―スト状の製品を収納・塗布するための、ピストンを備えたアッセンブリ
JPH07313247A (ja) アプリケータ装置
JPH11222274A (ja) 収納塗布器具
MXPA02001495A (es) Conjunto aplicador, particularmente de un producto de maquillaje y equipo de aplicacion.
WO2005039350A1 (en) Product applicator, in particular for cosmetics
JPH038169Y2 (ko)
KR200480111Y1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JP2013542825A (ja) 絞り潰し可能な容器を備えた化粧品ユニット
US202200226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fluid
JP2005118563A (ja) 物質の包装及び塗布装置
WO2005089588A1 (ja) 塗布体付き容器
KR20060135570A (ko) 마스카라 패키징과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및 화장에사용하는 그 용도
KR20110123450A (ko) 화장 유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용기
KR20200044863A (ko) 화장료 용기
JP2018102850A (ja) 化粧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