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246A - 콘테이너 마루 - Google Patents

콘테이너 마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3246A
KR20110123246A KR1020117019354A KR20117019354A KR20110123246A KR 20110123246 A KR20110123246 A KR 20110123246A KR 1020117019354 A KR1020117019354 A KR 1020117019354A KR 20117019354 A KR20117019354 A KR 20117019354A KR 20110123246 A KR20110123246 A KR 20110123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egment
substrate
support
top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노 쿨라스
Original Assignee
컨포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포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컨포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23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54Load carrying floors for commerci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5/00Tank wagons for carrying fluent materials
    • B61D5/08Covers or access opening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1Und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Pallet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 마루 모듈 및 상기 모듈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마루 모듈은 목재 마루가 본래 갖는 복잡한 문제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화학 수지 물질을 포함하는 압출된 마루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마루 모듈은 예컨대 트렉터 트레일러 마루에 사용된 지지 포크리프트가 정상적으로 본래 갖는 유의적 압축 하중 하에서 최대 강도를 제공하도록 채택된 프로파일을 갖는다. 상기 마루 모듈의 프로파일은 최소량의 리센트(resent) 물질을 사용하면서 앞서 지적된 압축 강도를 제공하도록 구조화될 수 있는 다수의 이격된 지지체를 제공한다. 상기 이격된 지지체들 사이의 부피는 채널 구조 및 실질적으로 C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상기 사용된 리센트 및 지지체의 전체 구조와 조합되는 프로파일은 종래 당해 분야에 사용된 다른 물질 또는 목재가 본래 갖는 성질들을 능가하는 성질들을 갖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테이너 마루{CONTAINER FLOORING}
본 발명은 콘테이너에 사용하기 위한 마루, 더욱 구체적으로는 콘테이너, 트레일러 및 수송수단 몸체에 사용하기 위한 플라스틱(중합체) 마루 재료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에서, 이동식 콘테이너 및 일부 수송수단이 예컨대 몸체의 지지 틀의 교차 부재들에 고정된 마루를 갖는 기술은 잘 공지되어 있다. 현존 재료는 전형적으로 그의 일례가 아피통(Apitong) 목재인 열대 경질목재이다. 이 재료는 여러해 동안 두드러지게 사용되어 왔지만 제한사항이 많이 있다. 이 재료에 대한 제한사항 중에는 화학적으로 미처리되고 탈층되어 있는 경우 오일 흡수, 냄새 흡수, 물 손상, 미생물 및 곤충 공격에 대한 저항성 부족이 포함된다.
이들 제한사항은 상당한 수리 비용의 희생이 요구되며, 또한 목재 마루를 갖는 콘테이너로 수송될 수 있는 물질의 유형에 대해 영향을 미친다. 일례로서, 이러한 마루는 식품이 식품 등급 환경에서 수송되어야 하는 식품의 일관적 수송을 허용하지 못한다. 추가 제한사항으로서, 당연히 콘테이너는 특정 식품 또는 오염-부재 환경이 요구되는 다른 물질을 수송하는 능력을 악화시키는 화학 제제로 수회에 걸쳐서 오염제거할 것이 요구된다.
불행하게도, 목재 마루 유닛은 또한 상당한 안전 문제, 주로 사용시 파손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루는 집중 하중, 예컨대 포크리프트 휠(forklift wheel), 페이퍼 롤, 스틸 코일 등의 적재/하적 동안 매우 유의적인 압축력을 견뎌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포크리프트는 약 8000 kg의 질량을 갖는다. 포크리프트의 구조에 기초하여, 질량의 유의적 부분은 마루의 국지적 영역에 집중되며, 거대한 하중은 포크리프트 수송수단이 본래 갖는 비교적 작은 휠에 의해 초래된다. 이는 집중된 힘이 목재 콘테이너 마루 상의 비교적 작은 영역 내에 제공되며, 그 지점 아래에 스틸 교차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목재는 국지화된 질량을 지탱해야 한다. 이로 인해, 휠에 의한 마루 손상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 결과는 휠이 목재를 통해 쳐지는 경우의 파손이다. 이는, 적재 하에서 포크리프트가 뒤집어지는 경우, 또는 들어올리던 내용물을 놓쳐서 들어올리는 제품, 포크리프트 수송수단 또는 더욱 나쁘게는 들어올리는 작업자를 잠재적으로 손상시키는 경우 매우 위험한 상황을 분명하게 제공한다.
목재 마루에서의 추가 제한사항은 앞서 공지된 파손에 의해 시현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상황에서, 파손에는 마루의 한 영역이 포함되는데, 이는 목재가 시트 형태이기 때문이며, 시트의 상당 부분, 그렇지 않다면 (손상 위치에 따라) 전체 시트가 효과적으로 재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기술 분야에서 목재를 위한 실행 가능한 대안으로서 다른 물질들이 공지되어 있다. 알루미늄 및 스틸이 여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질이 목재의 저항성에 대해 크게 개선시키기 위해 제공될지라도, 이들에게는 제한사항들이 존재한다. 알루미늄 및 스틸 마루는 전자기 또는 라디오 주파수 간섭이 불량한 전기 및 열 절연을 갖기 때문에 어떠한 투명성도 제공하지 못한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최종적으로, 알루미늄은 목재 대체재에 비해 과도하게 비싸며, 스틸은 부식된다. 또한, 스틸이 구부러지지 않으며 지지체들 사이에 오목부(concavity)를 갖지 못한다면, 치수적으로 더욱 실제적인 것이며(substantial) 이는 중량 보상(weight penalty)에 대한 가능성을 본래 발생시킬 것이다. 대나무는 더욱 환경적인 제품으로서 시판될지라도 여전히 해외 선적 콘테이너에 사용하기 위해서 그리고 쓰레기 매립지에 의한 이러한 처분으로서 화학 처리가 요구된다.
대나무는 종래 사용된 열대 경질목재보다 무거우며, 사용시 상기 열대 경질목재보다 대략 10% 무거운 중량 보상을 갖는다. 대나무는 또한 목재의 비효율성 모두에 대해 취약하다. 콘테이너 플라이목재 내의 다른 목재들의 여러 조합들에서는 하중-지지력(load bearing capacity)에서의 추가 약점이 입증되었다.
종래 기술에서 본래 가지고 있던 제한사항들 모두를 갖지 않고서 재사용 가능한 마루 유닛을 갖는 것이 가장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 요구를 충족시키며, 여러 것들 중에서 건식 화물 해외 선적 콘테이너, 냉동선(reefer) 콘테이너, 트랙터 트레일러 건식 밴 몸체, 트랙터 트레일러 냉동 밴 몸체, 트럭 밴 몸체, 큐브 밴 몸체 및 다용도(utility) 트레일러에 사용 가능한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특유의 마루 모듈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산업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마루 산업, 특히 산업용 마루에서의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개선된 마루 모듈 및 이러한 모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의 추가 목적은, 최상부 표면, 하부 면, 대향성 가장자리들 및 대향성 측부들을 갖는 일체형 중합체 몸체; 각각이 상기 최상부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세그먼트를 갖는, 기재와 접촉하기 위한 다수의 이격된 의존성 지지 렉(leg); 및 상기 하부 면과의 연결 지점과 이격된 관계로 상기 기재와 접촉하기 위한, 상기 세그먼트의 종결 지점에서의 접촉 표면을 포함하되, 상기 세그먼트는 오목 방사형 배치에서 연결 지점에 합체되어서 상기 세그먼트의 폭 치수보다 넓은 접촉 지점을 형성하는 마루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정 군의 수지를 사용하는 펄트루션 공정(pultrusion process) 및 마루 부재의 특이한 구조의 아말감화(amalgamation)는 진보된 마루 부재를 생성시키며, 이는 현재 사용되는 시스템의 다소 유의적 제한사항들을 제거한다.
편리하게도, 본 발명에 따른 마루는 습한 상태에 노출되는 경우 어떠한 구조적 일체성도 상실하지 않는다. 이 장점에 덧붙여, 마루는 잔류물, 유체 또는 다른 오염물질을 흡수하지 않으며, 세정을 위해서는 목재의 경우에서와 같은 샌딩(sanding)이 아닌 간편하게 스티밍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본 발명의 마루는 목재 물질에서는 분명하게 존재하던 조건 하에서 탈층되지 않을 것이다.
마루 지지 표면의 구조화와 함께 본원에서 논의되는 수지 물질의 선택은 서로 협조되어서 목재, 스틸, 알루미늄 등에 대한 마루 대체재로서 사용하는데 특히 적합한 물질이 수득된다. 지지 섬유를 중합체와 혼합하기 위해 펄트루션 공정을 사용하면 전체 생성물의 효율을 추가로 증대시킨다.
목재가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이는 중량 보상이 초래되는 추가 중량과 관련된 문제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마루는 어떠한 흡수 특성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의 다른 목적은, 최상부, 이격된 측부들, 그로부터 이격된 후방부(back) 및 전방부(front), 및 상기 측부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지 수단을 갖는 개방 바닥부를 갖되, 상기 측부들, 후방부 및 전방부 중 하나 이상은 이동 가능하여서 콘테이너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몸체; 및 최상부 표면, 하부 면, 대향성 가장자리들 및 대향성 측부들을 갖는 일체형 중합체 몸체를 갖는 마루 부재; 및 각각이 상기 최상부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세그먼트를 갖고, 상기 하부 면과의 연결 지점과 이격된 관계로 상기 기재와 접촉하기 위한, 상기 세그먼트의 종결 지점에서의 접촉 표면을 포함하되, 상기 세그먼트는 오목 방사형 배치에서 연결 지점에 합체되어서 상기 세그먼트의 폭 치수보다 넓은 접촉 지점을 형성하는, 기재와 접촉하기 위한 다수의 이격된 의존성 지지 렉를 조합하여 포함하는 콘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콘테이너는 마루를 지지하도록 설계된 임의의 콘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는 제품을 수송 선체의 적재 또는 하적시 수송하기 위한 선적 콘테이너가 있다. 이러한 콘테이너는 CIMC 캄파니에 의해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루의 가장 바람직한 특징들 중 하나는 내구성이다. 여기에 개시된 마루 부재들은 알루미늄 또는 목재 마루의 기계적 제한사항들을 갖지 않으며, 따라서 이들 재료들보다 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 특징은 견줄만한 현존 마루 재료에 비해 유의적인 중량 감소에 의해 보완된다.
본 발명의 마루 부재들이 합성 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현존 시스템에서의 경우와 같이 신규 마루 유닛을 제조하기 위해 보크사이트, 철 또는 목재에 대한 계속적인 요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들 공급원들의 계속적인 사용은 재생 가능한 공급원 및 금속 가공에 대한 오염과 관련하여 환경적으로 연루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의 추가 목적은 수송수단에 부착된 마루를 갖는 콘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일반적으로 기재하였으며, 이후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예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할 것이다.
도 1은 첨부된 본 발명에 따른 마루를 갖는 통상적 플랫베드 세미 트레일러(flatbed semi trailer)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절단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마루 부재의 지지 렉들 중 하나의 확대도이다.
도 3B는 마루 부재의 가장자리들 중 하나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선적 콘테이너를 갖는 플랫베드 세미 트레일러 위의 현장에서의 마루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인접한 마루 섹션들을 연결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부재의 하면도이다.
도 6은 지지 구조물 위에 위치하는 마루 부재들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선(7-7)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사용된 유사 번호는 유사 요소를 지칭한다.
머리말로서, 본원에 논의된 마루 부재는 펄트루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상기 공정이 섬유의 어레이를 매트 또는 패브릭의 형태로 수지의 조를 통해 끌어당기고 후속적으로 가열 다이를 통해 끌어당겨 상기 수지를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이해한다. 목적하는 길이로 제품을 절단하도록 톱이 프로그램화될 수 있다. 주요 섬유 방향이 통상적으로 종방향인 것을 고려하면, 생성된 제품의 성질들에서의 장점들이 장력 및 굽힘에서 높은 강도 및 강직도의 형태로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공정은 선적 재료에서 거대한 압축력 및 질긴 마모성이 전형적으로 동시에 겪게 되는 마루를 합성하기 위한 이상적 성질들을 제공한다.
이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섀시(12) 및 데크(14)를 갖고 총체적으로 숫자 10으로 지칭되는 표준 플랫베드 트레일러를 도 1에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데크(14)는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바와 같이 섀시(12)의 종방향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 다수의 지지체(16)를 제공한다.
이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마루 부재(18)는 데크(14), 특히 지지체(16)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제시된다. 지지체(16) 내의 세공부(20) 및 마루 부재(18) 내의 세공부(22)를 정합시킴으로써 수용되는 적합한 패스너(제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부착시킨다.
도 2, 도 3 내지 도 3B를 참고하면, 마루 부재(18)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개시된다. 구조적으로, 부재(18)는 편평한 최상부 표면(24), 대향성 측부들(26,28) 및 대향성 가장자리들(30,32)을 갖는 일체형 펄트루딩된(pultruded) 수지성 편평한 패널을 포함한다. 하부 표면(34)은 그에 의존적이며 일반적으로 수치 36으로 지칭되는 다수의 이격된 지지 렉을 갖는다.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강도에 기초하여, 부재(18)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패스너 수용 채널(38)이 제공된다. 채널(38) 사이의 횡방향 거리는 마루 부재(18)의 전체 크기에 따라 달라질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채널은 측부(26,28)에 근접하게 그리고 대략 중앙에 제공될 것이다. 채널은 각각 부재(18)의 하부 표면(34) 및 지지 렉(40)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있다.
지지 렉(40)을 참고하면, 이는 부재들이 전형적으로 겪게 되는 과도한 하중 하에서 높은 강도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제시된 실시양태에서, 렉(40)은 렉(40)의 직선 세그먼트(46)로 합체되는 쇼울더(44)를 갖는 평탄한 접촉 표면 또는 풋(42)을 갖는다. 세그먼트(46)는 5 내지 10mm의 굴곡 반경을 갖는 오목 방사형 배치로 하부 표면(34)와 합체된다. 이 범위 내의 굴곡 반경은 강도, 질량 및 전체 성능에 견주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방사형 배치는, 직선 세그먼트(46)가 제공되는 것과 비교하여, 직선 세그먼트(46) 및 하부 표면(34)와 합체하는 지점에서 더 많은 양의 수지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이 구조적 관계가 예시되어 있다. 이것은 중요한 특징인데, 이는 유의적 압축 하중이 지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관계는 폭 치수가 불변하는 설계보다 유의적으로 개선된 것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재(18)의 최상부 표면(30)이 큰 압축력에 노출되면, 하중-지지(load-bearing) 부재는 미리 결정된 양의 하중을 갖는 렉(40)이 되며, 이는 직선 세그먼트(46)로 해석된다. 이 방식으로, 전체 프로파일은 빔 브리지(beam bridge)와 거의 유사하다.
다른 치수 및 특징에 견주어, 가장 넓은 면적의 세그먼트(46)는 굴곡이 시작되는 장소, 즉 50 및 52이다. 이들은 폭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면적에 대한 등가물 사이의 면적에서 변할 수 있되, 52는 50의 것보다 폭에서 20%까지 크다. 물론, 이는 부재(18)에 대한 특정 요건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패스너 수용 채널(38)을 참고하면, 앞서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의 것은 렉(40) 및 하부 표면(34)으로 경계를 이루고 있다. 상기 렉(40)은 부재(18) 내의 다른 렉(40)과 비교하여 구조적으로 변형된다. 렉(40)은 함께 위치하는 경우 풋(42)에 견줄만한 크기를 포함하는 부분 풋(54)을 포함한다. 쇼울더(44)는 본원에서 이미 논의된 바와 같이 굴곡의 반경에서와 같이 각각의 부분 풋을 위해 존재한다.
도 3B는 대향성 측부(26,28)에 대한 확대된 상세한 부분을 제공하며, 측부(28)가 예시되어 있다. 도 3A와 관련하여 묘사된 굴곡의 반경은 또한 부재(18)의 측부의 방사형 배열에 적용 가능하다. 수치 56으로 지적된 영역은 직선 세그먼트(58)와 비교하여 최대 폭을 갖는다.
도 4는 마루를 갖고 콘테이너(55), 예컨대 앞서 언급된 CIMC 캄파니에 의해 제조된 것에 부착된 콘테이너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마루 부재(들)(18)의 손상된 섹션을 수리하기 위한 연결 부재(60)가 도시된다. 부재(60)는 종방향 세그먼트(62) 및 다수의 종방향으로 배향된 이격된 및 공축으로 정렬된 부재(64)를 갖는다. 인접하는 부재(64) 사이에, 마루 부재(18)의 인터디지털(inter digital) 렉(40)을 수용하는 공간이 존재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도 6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손상된 영역(66)은 인접하는 지지체(16) 사이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간단하게 절단하고 폐기한다. 그 다음, 일정 크기로 절단된 마루(18)의 새로운 섹션을 동일한 영역에 위치시킬 수 있다. 손상된 영역(66)은 리딩(leading) 가장자리(68) 및 트레일링(trailing) 가장자리(70)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 마루(18)의 새로운 섹션이 위치한다. 그 다음, 교체된 마루는 예컨대 마루(18), 연결 부재(60) 및 지지체(20)를 통해 연장되는 패스너(72)로 지지체(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배열에 의해 다수의 장점들이 실현된다. 첫째, 부재(60) 및 종방향 몸체의 인터디지털 정합은 교체된 마루 섹션의 폭을 따라 존재하는 임의의 지점에서 패스너 연결을 허용하며, 따라서 오래된 세공들은 재사용될 필요가 없다. 둘째, 임의의 손상된 영역을 위해 제거될 필요가 있는 마루(18)의 최대량은 인접한 지지체들 사이의 면적이다. 또한, 본래 패널의 전체 폭은 제거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손상된 영역의 폭만 제거된다. 이는 제거된 영역이 그의 크기와 상관없이 적어도 3개의 지지체 및 패널의 폭을 포함해야 되는 목재 마루 시스템에서의 전통적인 고비용 낭비를 방지한다.
수리된 영역의 상태는 밀봉제 라인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72).
부재(18)가 제조될 수 있는 재료에 대해 적합하게 선택되는 만능적인 측면이 존재할 지라도, 폴리유레테인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 수지는 강도 및 질김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제공한다. 풀트루션을 위해 종래 사용된 물질에는 바이닐 에스터, 고무 중합체, 페놀계 수지가 포함되었다. 이들 물질은 비록 일부 용도에서 유용할지라도 하중 하의 지지체, 예컨대 포크리프트에 대해 필수 강도를 제공하지 못한다. 현존 물질은 일부 경우 온도 변동에 노출될 때 부서지기 쉬우며, 이는 약하게 되며 후속적으로는 하중 하에서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및 블렌딩된 폴리에터 또는 폴리에스터 폴리올에 기초하는 이성분 액체 폴리유레테인 수지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대안으로서, 폴리유레테인 및 폴리에스터 작용기를 모두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폴리유레테인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풀트루션에 사용된 보강물과 관련하여, 조방사, 매트 또는 노끈으로서 배열된 고강도 유리 또는 현무암(basalt)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공정의 관점에서, 공정은 본질적으로 풀트루션 공정과 연관된 통상의 단계들을 따른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를 이와 같이 기재하였으며, 이후 본 발명의 구조의 장점들을 보여주는 데이터를 제시한다.
복합체 물질 성질 비교
PUR 하이브리드 PUR 바이닐 에스터 폴리에스터
염수 침지 후 강도 손실 최저 보통 보통 최고
충격 강도 개선(폴리에스터 기준) +34% +15% +7% -
인장 강도(폴리에스터 기준)(종방향) +158% n/a +14% -
인장 강도(폴리에스터 기준)(횡방향) +300% n/a +7% -
인장 모듈러스(폴리에스터 기준)(종방향) +124% n/a +20% -
인장 모듈러스(폴리에스터 기준)(횡방향) +50% n/a +25% -
압축 강도(폴리에스터 기준)(종방향) +36% n/a +14% -
압축 강도(폴리에스터 기준)(횡방향) +82% n/a +21% -
압축 모듈러스(폴리에스터 기준)(종방향) +37% n/a 0 -
압축 모듈러스(폴리에스터 기준)(횡방향) +220% n/a +20% -
굴곡 강도(폴리에스터 기준)(종방향) +158% n/a +14% -
굴곡 강도(폴리에스터 기준)(횡방향) +445% n/a +14% -
굴곡 모듈러스(폴리에스터 기준)(종방향) +81% n/a +25% -
굴곡 모듈러스(폴리에스터 기준)(횡방향) +150% n/a +25% -
지지(bearing) 강도(폴리에스터 기준)(종방향) +43% +39% +23% -
베어링 강도(폴리에스터 기준)(횡방향) +45% +21% +25% -
리브(rib) 섹션 성질에 대한 반경의 영향력
섹션 성질 단위 반경
3.5mm 7mm
주관성 모멘트
(Principal Moment of Interia)
mm4 57692 59030
폰 미제스 응력 감소
(von Mises Stress Reduction)
% - 17 - 26
표 1에서, 폴리유레테인 수지 및 하이브리드 폴리유레테인 수지 둘다는 폴리에스터에 비해 유의적인 충격 강도가 개선됨이 입증되며, 상기 폴리유레테인 수지는 폴리에스터에 비해 충격 강도에서 34% 증가를 나타내고, 상기 하이브리드는 15% 증가를 나타낸다. 아마도, 강도에서의 가장 인상적인 증가들 중 하나는 폴리에스터에 비교되는 PUR의 압축 모듈러스이다. 추가 지적사항으로서,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의 지지 강도는 바이닐 에스터보다 분명하게 우수하며, 특히 주목할 점은 물질의 PUR이 제공하는 증가이다.
물질과 관련하여 앞서 논의되고 특히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질목재와 수지 물질의 차이를 주목한 바와 같이, 압축 강도, 지지 강도 및 표 1에서 지적된 기타 물리적 특성에서의 증가는 마루 물질의 장기간 및 견고성을 보장하는데 중요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해 지적되고 선택된 물질에 의해, 이들은 다른 지적된 중합체에 비해 대부분 분명하게는 자연 물질, 예컨대 경질목재에 비해 우수한 성질들을 제공하는 것이 분명하다.
마루 물질의 하부 표면에 대한 렉의 연결 또는 연결점(joinder)에서의 추가 물질을 제공하는 굴곡의 반경과 관련하여, 폰 미제스 응력 감소는 반경이 증가함에 따라 매우 유의적인 것임이 입증된다. 데이터에서는, 굴곡의 7mm 반경이 17 내지 26%의 응력 감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시된다.
대안적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마루는 지지 구조물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반적으로 패스너가 불필요하다.

Claims (19)

  1. 최상부 표면, 하부 면, 대향성 가장자리들 및 대향성 측부들을 갖는 일조각 섬유 보강된 중합체 몸체;
    각각이 상기 최상부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세그먼트를 갖는, 기재와 접촉하기 위한 다수의 이격된 의존성 지지 렉(leg); 및
    상기 하부 면과의 연결 지점과 이격된 관계로 상기 기재와 접촉하기 위한, 상기 세그먼트의 종결 지점에서의 접촉 표면을 포함하되,
    상기 세그먼트는 오목 방사형 배치에서 연결 지점에 합체되어서 상기 세그먼트의 폭 치수보다 넓은 접촉 지점을 형성하는 마루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몸체가 폴리유레테인 수지를 포함하는 마루 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레테인 수지가 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및 블렌딩된 폴리에터, 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및 블렌딩된 폴리에스터 폴리올, 및 폴리유레테인 및 폴리에스터 작용기를 갖는 하이브리드 폴리유레테인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부재를 포함하는 마루 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보강된 중합체 몸체의 상기 섬유가 고강도 유리 및 현무암(basalt)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마루 부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상기 부재를 상기 기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패스너(fastener)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마루 부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패스너를 조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인접하는 지지 렉 및 상기 몸체의 하부 표면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패스너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조정된 채널을 포함하는 마루 부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영역 치수들에 대해 미리 결정된 교호 순서로 다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마루 부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최상부 표면이 편평한 마루 부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 표면이 그에 결합된 코팅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코팅은 상기 최상부 표면의 내마모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인 마루 부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 방사형 배치가 5 내지 10 mm의 굴곡 반경을 갖는 마루 부재.
  11. 최상부, 이격된 측부들, 그로부터 이격된 후방부 및 전방부, 및 상기 측부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지 수단을 갖는 개방 바닥부를 갖되, 상기 측부들, 후방부 및 전방부 중 하나 이상은 이동 가능하여서 콘테이너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몸체;
    최상부 표면, 하부 면, 대향성 가장자리들 및 대향성 측부들을 갖는 일조각 중합체 몸체를 갖는 마루 부재; 및
    각각이 상기 최상부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세그먼트를 갖고, 상기 하부 면과의 연결 지점과 이격된 관계로 상기 기재와 접촉하기 위한, 상기 세그먼트의 종결 지점에서의 접촉 표면을 포함하되, 상기 세그먼트는 오목 방사형 배치에서 연결 지점에 합체되어서 상기 세그먼트의 폭 치수보다 넓은 접촉 지점을 형성하는, 기재와 접촉하기 위한 다수의 이격된 의존성 지지 렉을 조합하여 포함하는 콘테이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콘테이너가 선적 콘테이너를 포함하는 콤비네이션(combination).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레테인 수지가 폴리에터 주쇄를 갖는 콤비네이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레테인 수지가 폴리에스터 주쇄를 갖는 콤비네이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렉의 각각의 렉의 상기 접촉 표면을 수용하기 위한 지지 부재와 함께 하중 수용 섹션을 갖는 수송수단과 조합되는 마루 부재.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선적 콘테이너를 고정적으로 보유하기 위한 수송수단을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17. 최상부 표면, 하부 면, 대향성 가장자리들 및 대향성 측부들을 갖는 일체성 중합체 몸체; 각각이 상기 최상부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세그먼트를 갖는, 기재와 접촉하기 위한 다수의 이격된 의존성 지지 렉; 및 상기 하부 면과의 연결 지점과 이격된 관계로 상기 기재와 접촉하기 위한, 상기 세그먼트의 종결 지점에서의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마루의 인접하는 섹션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로서,
    종방향 세그먼트 및 상기 종방향 세그먼트를 따라 이격된 관계로 공축으로 배열된 다수의 횡방향 배향된 부재를 갖고, 상기 지지 렉과의 인터디지털(inter digital) 연결을 위한 인접 부재들 사이를 한정하도록 배열되는 연결 부재.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폴리유레테인 수지를 포함하는 연결 부재.
  19. 최상부 표면, 하부 면, 대향성 가장자리들 및 대향성 측부들; 각각이 상기 최상부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세그먼트를 갖는, 기재와 접촉하기 위한 다수의 이격된 의존성 지지 렉; 및 상기 하부 면과의 연결 지점과 이격된 관계로 상기 기재와 접촉하기 위한, 상기 세그먼트의 종결 지점에서의 접촉 표면을 포함하되, 상기 기재는 그의 종방향 축에 대해 횡방향 지지체를 갖는, 기재에 부착된 합성 모듈 마루를 수리하는 방법으로서,
    종방향 세그먼트 및 상기 종방향 세그먼트를 따라 이격된 관계로 공축으로 배열된 다수의 횡방향 배향된 부재를 갖고, 상기 지지 렉과의 인터디지털 연결을 위한 인접 부재들 사이를 한정하도록 배열되는 연결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마루의 손상된 섹션을 제거하여 제거된 섹션으로부터 개구부 내에 리딩(leading) 가장자리 및 트레일링(trailing) 가장자리를 남기는 단계;
    상기 리딩 가장자리 및 트레일링 가장자리 각각에 인접하게 연결 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인접하는 횡방향 부재들 사이의 상기 공간과 인터디지털 연결된 상기 지지 렉들과 함께 상기 개구부 내에 상기 마루의 섹션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마루의 상기 섹션을 상기 기재의 상기 횡방향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리 방법.

KR1020117019354A 2009-01-20 2009-12-02 콘테이너 마루 KR201101232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83209P 2009-01-20 2009-01-20
US61/145,832 2009-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246A true KR20110123246A (ko) 2011-11-14

Family

ID=4235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354A KR20110123246A (ko) 2009-01-20 2009-12-02 콘테이너 마루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120011785A1 (ko)
EP (1) EP2389308A1 (ko)
JP (1) JP2012515678A (ko)
KR (1) KR20110123246A (ko)
CN (1) CN102387955A (ko)
AU (1) AU2009338094A1 (ko)
BR (1) BRPI0924139A2 (ko)
CA (1) CA2750217A1 (ko)
CL (1) CL2011001759A1 (ko)
DE (1) DE212009000157U1 (ko)
EA (1) EA201170944A1 (ko)
IL (1) IL214158A0 (ko)
MX (1) MX2011007667A (ko)
NZ (1) NZ594529A (ko)
SG (1) SG173059A1 (ko)
WO (1) WO2010083583A1 (ko)
ZA (1) ZA2011059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9404B1 (fr) * 2008-12-09 2010-11-26 Airbus France Plancher modulaire pour aeronef
CN102616504B (zh) * 2012-01-12 2013-03-20 嘉兴中集木业有限公司 集装箱底板及其新型复合材料集装箱底板单元
US9714054B2 (en) 2014-07-17 2017-07-25 Triton Container International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on of floorings in shipping containers
CN111874470A (zh) * 2020-08-11 2020-11-03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冷藏集装箱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9072A (en) * 1963-08-26 1966-08-30 Pullman Inc Vehicle floor construction
US3368315A (en) * 1965-07-23 1968-02-13 Revere Copper & Brass Inc Extruded metal floor section for vehicles and the like
JPS52137816A (en) * 1976-05-14 1977-11-17 Mitsubishi Chem Ind Ltd Floor plate of luggage carrier for vehicle
US4348447A (en) * 1981-02-24 1982-09-07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Non-skid plastic flooring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e
GB8324223D0 (en) * 1983-09-09 1983-10-12 Tipmaster Ltd Floor structure
AU566257B2 (en) * 1985-01-10 1987-10-15 Hockney Pty Ltd Table top for lorry
JPS6313895U (ko) * 1986-07-15 1988-01-29
FR2611636B1 (fr) * 1987-02-20 1991-02-15 Benalu Sa Plateau de semi-remorque
JPH0612182U (ja) * 1992-07-22 1994-02-15 株式会社大類鉄工所 貨物自動車の荷台用及び歩み板用板材
US5351990A (en) * 1993-04-02 1994-10-04 Great Dane Trailers Insulating floor forming trailer main beam upper flange
US6871904B2 (en) * 2003-06-27 2005-03-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pickup box for automotive vehicle
US20050064216A1 (en) * 2003-09-22 2005-03-24 Lixin Jin Thermosetting laminating resin composition
US20070072989A1 (en) * 2004-03-19 2007-03-29 Piret Willy H Two-part sizing composition for reinforcement fibers
US7571953B2 (en) * 2004-10-05 2009-08-11 Fontaine Trailer Company Trailer
EP1807301A1 (en) * 2004-10-20 2007-07-18 Jerr-Dan Corporation Deck assembly for transporter vehicle
US7181889B2 (en) * 2004-11-05 2007-02-27 Platform Products, Llp System and method for fastening floor deck to semi-trailer cross members
US20070098997A1 (en) * 2005-11-02 2007-05-03 Bayer Materialscience Llc Composite articles and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US7575264B1 (en) * 2006-03-14 2009-08-18 Martin Marietta Materials, Inc. Cargo bed structure comprising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nents
WO2010021611A1 (en) * 2006-05-01 2010-02-25 Azdel, Inc. Panel materials for vehicles and enclosures
US7914034B2 (en) * 2007-05-18 2011-03-29 Vanguard National Trailer Corp. Cargo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50217A1 (en) 2010-07-29
CL2011001759A1 (es) 2012-03-30
CN102387955A (zh) 2012-03-21
MX2011007667A (es) 2012-01-20
IL214158A0 (en) 2011-08-31
JP2012515678A (ja) 2012-07-12
NZ594529A (en) 2012-11-30
EP2389308A1 (en) 2011-11-30
SG173059A1 (en) 2011-08-29
WO2010083583A1 (en) 2010-07-29
DE212009000157U1 (de) 2012-03-08
EA201170944A1 (ru) 2012-02-28
ZA201105948B (en) 2013-01-30
BRPI0924139A2 (pt) 2016-02-10
AU2009338094A1 (en) 2011-09-01
US20120011785A1 (en)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0569B2 (en) Composite floo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823803B2 (en) Assembly for enclosing and protecting a plurality of meters for storage or transportation purposes and carrier and pallet for use therein
US6558766B2 (en) Composite wood flooring
EP2528736B1 (en) Flexible composite lap joint for trailer flooring
US5928735A (en) Composite wood flooring
JP4069303B2 (ja) シート積載搬送用の樹脂製パレット
US6497937B1 (en) Wood based composite decking panel
EP2705950A1 (en) Plywood
US10829163B2 (en) Transverse beam for composite floo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110123246A (ko) 콘테이너 마루
US20130014464A1 (en) Wooden laminated floor for the transport industry composed of softwood lumber
CN102656100A (zh) 耐冲击货物集装箱
EP2582566B1 (en) A flooring for a freight transportation vehicle or trailer
JP2019218050A (ja) トラック、トラック用デッキゲート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WO2005120933A1 (en) Floor structure
CN105173325B (zh) 一种托盘以及其制造方法
KR101821149B1 (ko) 파렛트
CN216995855U (zh) 集装箱用地板中梁及具有其的集装箱
US20090252918A1 (en) Sandwich material
CA2038249C (en) Flooring panels for flat platform trailers
DE202012012860U1 (de) Luftfrachtcontainer
CN112173464A (zh) 一种地板、集装箱和厢体
CN112810189A (zh) 轻质高强托盘面板和托盘及其装配方法
DE102005040419A1 (de) Bodenelement für ein Nutzfahrzeug
MXPA97009377A (en) Wooden platform, comp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