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491A - 펌프 전용 핸드카트 - Google Patents

펌프 전용 핸드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491A
KR20110122491A KR1020100042041A KR20100042041A KR20110122491A KR 20110122491 A KR20110122491 A KR 20110122491A KR 1020100042041 A KR1020100042041 A KR 1020100042041A KR 20100042041 A KR20100042041 A KR 20100042041A KR 20110122491 A KR20110122491 A KR 20110122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pedestal
handle
wheel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근
권혁연
이영균
박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042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2491A/ko
Publication of KR2011012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5/026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with spiders or adapte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4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adaptable for different users, e.g. by means of pivoting elements
    • B62B5/065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adaptable for different users, e.g. by means of pivoting elements by means of telescop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된 펌프가 상,하 및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협소한 공간이나 턱이 형성된 바닥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펌프 전용 핸드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펌프 전용 핸드카트{Hand cart of exclusive pump}
본 발명은 핸드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된 펌프가 상,하 및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협소한 공간이나 턱이 형성된 바닥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펌프 전용 핸드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카트는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을 적재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수동식 운반기구이다. 이러한 핸드카트는 사용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도 1에는 공업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핸드카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핸드카트는 중량물 예컨대, 펌프를 적재하도록 이루어진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받침대의 하측에 설치된 바퀴 및,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된 손잡이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핸드카트는 받침대가 평평한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경사진 바닥이나 울퉁불퉁한 바닥을 지날 때 받침대에 적재된 펌프가 바닥으로 낙하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즉, 받침대에 적재된 펌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고르지 못한 바닥의 상태나 작업자의 운전 미숙으로 인하여 펌프가 낙하된다. 이에, 펌프의 파손이나 펌프가 낙하되면서 작업자에 부딪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핸드카트는 턱이 형성된 바닥 예컨대, 배관이나 덕트가 설치된 바닥을 지날 때에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핸드카트의 손잡이 부분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현장의 작업 요건에 따라 높이가 제한된 좁은 공간에서 이동이 어려워 핸드카트를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펌프를 이동시 펌프를 고정함으로써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펌프 전용 핸드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턱이 형성된 바닥 및 좁은 공간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펌프 전용 핸드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펌프 전용 핸드카트는, 홀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가 마련된 펌프를 이동시키는 핸드카트로서, 그 하면에 전방바퀴와 후방바퀴가 설치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어 펌프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받침대에 설치된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의 후방에 보조 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 받침대에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턱을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보조바퀴가 더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바퀴는 전방바퀴 및 후방바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받침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펌프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펌프가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고정핀; 및 상기 제1 고정핀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받침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끝단으로부터 직교하는 수평부로 이루어진 제2 고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핀은 펌프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수평부와 받침대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져 펌프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작업자가 파지하도록 형성된 제1 파지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지지대가 설치되어 받침대에 고정된 제1 손잡이;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 제2 지지대에 작업자가 파지하도록 제2 파지부가 형성된 제2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손잡이는 관통공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하여 제1 손잡이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중 적어도 어는 하나는 받침대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져 핸드카트의 이동시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바퀴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전용 핸드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적재된 펌프가 상,하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함으로써 펌프의 낙하를 방지하여 파손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둘째, 받침대의 하단에 설치된 바퀴보다 직경이 큰 보조바퀴를 설치함으로써 턱이 형성된 바닥을 편리하게 통과할 수 있다.
셋째, 손잡이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높이가 제한된 좁은 공간에서의 이동이 자유롭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핸드카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펌프를 나타내는 참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 전용 핸드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 전용 핸드카트에 구비된 고정부재에 의하여 펌프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 전용 핸드카트에 구비된 손잡이의 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 전용 핸드카트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전용 핸드카트는, 펌프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시킴은 물론, 좁은 공간의 이동 및 턱이 형성된 바닥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핸드카트는 펌프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 펌프 전용 핸드카트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펌프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펌프(10)는 하단에 베이스 플레이트(12)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에는 홀(11)이 형성되는데, 상기 홀(11)은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하여 펌프(1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는 펌프(1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를 갖는 모든 펌프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홀(11)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2)를 구비한 펌프(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 전용 핸드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펌프 전용 핸드카트에 구비된 고정부재에 의하여 펌프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펌프 전용 핸드카트(100)는 하면에 복수의 바퀴(112)(114)가 설치된 받침대(110), 상기 받침대(110)에 적재되는 펌프(1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30) 및, 상기 받침대(110)에 설치된 손잡이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받침대(110)는 펌프(10)가 적재되도록 소정 면적을 갖는다. 상기 받침대(110)의 하면에는 복수의 바퀴(112)(114)가 설치되는데, 이동이 용이하도록 받침대(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전방바퀴(112)와 후방바퀴(114)로 구분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방바퀴(112) 및 후방바퀴(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받침대(110)로부터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핸드카트(100)의 이동시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바퀴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받침대(110)가 '凸'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그 하면에 하나의 전방바퀴(112)와 두 개의 후방바퀴(114)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퀴의 개수 및 받침대의 형상은 중량물을 적재하여 이동이 자유롭도록 이루어진다면 바퀴의 개수는 선택적으로 증감될 수 있으며 받침대가 어떠한 형상을 갖더라도 채용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받침대(110)의 후방에는 보조바퀴(124)가 설치된 보조 받침대(120)가 더 설치된다. 이때, 보조 받침대(120)는 후술할 손잡이부(140)의 제1 지지대(141a)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바퀴(124)는 턱이 형성된 바닥 예컨대, 배관(미도시)이나 덕트(미도시)가 형성된 바닥을 이동할 때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에, 보조바퀴(124)는 전방바퀴(112) 및 후방바퀴(11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조바퀴(124)는 보조 받침대(120)로부터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방향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보조바퀴(124)를 사용시에는 받침대(110)를 소정각도 기울여 사용하는데, 이때 보조바퀴(124)와 함께 후방바퀴(114)가 바닥면에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받침대(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30)는 펌프(10)의 베이스 플레이트(12)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펌프(10)의 좌,우 및 전,후 이동을 방지하는 제1 고정핀(131) 및, 펌프(10)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는 제2 고정핀(13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고정핀(131)은 베이스 플레이트(12)에 형성된 홀(11)에 삽입되도록 받침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제1 고정핀(131)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받침대(110)에 고정될 수 있으나, 볼트의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받침대(110)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관통시켜 베이스 플레이트(12)의 홀(11)에 삽입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고정핀(131)이 홀(11)에 삽입되면 베이스 플레이트(12)가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제2 고정핀(132)은 제1 고정핀(131)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제2 고정핀(132)은 받침대(1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수직부(132a)와 상기 수직부(132a)의 끝단으로부터 직교하는 수평부(132b)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제2 고정핀(132)은 'ㄱ'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부(132a)의 길이는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두께와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거나 조금 긴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평부(132b)와 받침대(110)의 상면 사이에 베이스 플레이트(112)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가 수평부(132b)와 받침대(11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130)에 의하여 펌프(10)가 상,하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펌프(10)를 고정하여 이동시키고자 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고정핀(131)과 제2 고정핀(132)의 이격 거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치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나, 제2 고정핀(132)을 받침대에 고정시킨 뒤, 볼트로 이루어진 제1 고정핀(131)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홀(미도시)을 받침대(11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치수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12)의 길이에 따라 제1 고정핀(131)을 설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각종 펌프(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140)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도 5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140)는 받침대(110)에 설치된 제1 손잡이(141) 및, 상기 제1 손잡이(141)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손잡이(145)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손잡이(141)는 제1 파지부(141b)에 설치된 제1 지지대(141a)가 받침대(110)에 설치되어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제1 지지대(141a)가 받침대(110)에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제1 지지대(141a)를 연결하도록 제1 지지대(141a)의 상측 측면에 제1 파지부(141b)가 설치된다. 이때, 제1 지지대(141a)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관통공(142)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손잡이(145)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제2 지지대(145a) 및 상기 제2 지지대(145a)의 상측 측면에 설치된 제2 파지부(145b)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지지대(145a)는 제1 지지대(141a)에 형성된 관통공(142)에 삽입되도록 상기 관통공(142)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제1 지지대(141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지지대(145a)는 제2 지지대(145a)에 설치된 제2 파지부(145b)에 의하여 제1 지지대(141a)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고 제1 파지부(141b)의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대(141a)의 관통공(142)의 상부에는 걸림턱(143)이 형성되어 제2 지지대(145a)가 관통공(142)을 통하여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 지지대(145a)의 외측면에도 상기 걸림턱(143)과 맞물리는 걸림턱(147)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손잡이(141)의 제1 지지대(141a)에는 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손잡이(145)의 제2 지지대(145a)에는 상기 홈에 끼워지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홈에 돌기가 삽입되도록 하여 제2 손잡이(145)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손잡이(141)(145)는 직경이 큰 바에 직경이 작은 바가 삽입되는 안테나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러한 안테나 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제2 손잡이(145)의 제2 지지대(145a)를 직경이 큰 지지대에 작은 지지대가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손잡이부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펌프 전용 핸드카트(100)를 이용하여 펌프(10)를 이동시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는 평평한 바닥면을 이동하는 핸드카트(100)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 손잡이(145)를 잡아당겨 손잡이부(140)의 길이가 길게 늘어나도록 한 상태에서 펌프(10)를 이동시킨다. 이때, 보다 안정적으로 펌프(10)를 이동시키도록 보조바퀴(124)와 후방바퀴(114)가 바닥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b)는 좁은 공간 예컨대, 공간이 좁은 천정 등을 이동하는 핸드카트(100)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 손잡이(145)를 제1 손잡이(141)로 밀어넣어 손잡이부(14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한 상태에서 펌프(10)를 이동시킨다. 즉, 손잡이부(140)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이동이 어려운 좁은 공간을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게 된다. 이때, 손잡이부(140)의 길이가 줄어들 경우 제1 파지부(141b)를 잡고 이동하며, 손잡이부(140)의 길이가 늘어날 경우 제2 파지부(145b)를 잡고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펌프 전용 핸드카트(100)는 전방바퀴(112)와 후방바퀴(114)로 이동되거나, 턱이 형성된 바닥면을 통과할 경우 전방바퀴(112) 및 후방바퀴(114)보다 직경이 큰 보조바퀴(124)를 사용함으로써 배관이나 덕트 등의 턱이 형성된 바닥면을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펌프 전용 핸드카트 110 : 받침대
120 : 보조 받침대 130 : 고정부재
140 : 손잡이부

Claims (6)

  1. 홀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가 마련된 펌프를 이동시키는 핸드카트에 있어서,
    그 하면에 전방바퀴와 후방바퀴가 설치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어 펌프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받침대에 설치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전용 핸드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후방에 보조 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 받침대에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턱을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보조바퀴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전용 핸드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는 전방바퀴 및 후방바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전용 핸드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받침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펌프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펌프가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고정핀; 및
    상기 제1 고정핀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받침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끝단으로부터 직교하는 수평부로 이루어진 제2 고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핀은 펌프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수평부와 받침대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져 펌프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전용 핸드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작업자가 파지하도록 형성된 제1 파지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지지대가 설치되어 받침대에 고정된 제1 손잡이;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 제2 지지대에 작업자가 파지하도록 제2 파지부가 형성된 제2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손잡이는 관통공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하여 제1 손잡이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전용 핸드카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바퀴와 후방바퀴 중 적어도 어는 하나는 받침대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져 핸드카트의 이동시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바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전용 핸드카트.
KR1020100042041A 2010-05-04 2010-05-04 펌프 전용 핸드카트 KR20110122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041A KR20110122491A (ko) 2010-05-04 2010-05-04 펌프 전용 핸드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041A KR20110122491A (ko) 2010-05-04 2010-05-04 펌프 전용 핸드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491A true KR20110122491A (ko) 2011-11-10

Family

ID=4539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041A KR20110122491A (ko) 2010-05-04 2010-05-04 펌프 전용 핸드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24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2393A (zh) * 2017-07-13 2017-09-12 李小丹 一种农田深井用汲水泵
CN109204400A (zh) * 2018-10-11 2019-01-15 郝茂芝 一种具有跨越障碍物功能的手推车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2393A (zh) * 2017-07-13 2017-09-12 李小丹 一种农田深井用汲水泵
CN109204400A (zh) * 2018-10-11 2019-01-15 郝茂芝 一种具有跨越障碍物功能的手推车
CN109204400B (zh) * 2018-10-11 2023-09-08 南京米中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跨越障碍物功能的手推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4994B2 (ja) 親綱支柱
JP6539433B2 (ja) 手押し運搬台車
CA2642720A1 (en) Adjustable work platform for pipe and casing stabbing operations
EP3221065B1 (en) Straightening apparatus
KR20110122491A (ko) 펌프 전용 핸드카트
EP1450096A2 (en) Multipurpose trestle
US9364946B2 (en)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KR200439342Y1 (ko) 높이조절과 이동이 가능한 호이스트 크레인
KR102513400B1 (ko) 배관 이탈을 방지하는 운반용 대차
JP2014159331A (ja) 吊持装置、及び吊持補助具
JP3167293U (ja) テントウエイト用カート
KR20130002481U (ko) 작업용 안전발판
JP4398679B2 (ja) 運搬装置
JP2012057305A (ja) 柱上作業台
JP5184232B2 (ja) 重量物吊上装置
KR20150000929U (ko) 사다리 지지장치
KR20130054555A (ko) 지지수단이 구비된 핸드카
KR200470497Y1 (ko) 교량용 안전시설물용 거치대
KR102213133B1 (ko)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CN219041670U (zh) 光伏柔性支架安装维护装置
CN217634848U (zh) 一种木板移动支撑架
JP6903377B2 (ja) 取付治具
KR102603580B1 (ko) 파이프 렌치 안전 작업대
KR101211277B1 (ko) 접이식 캐스터를 구비한 사다리
JP3184052U (ja) 手摺取付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