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403A - 치아교정 및 관리를 위한 구강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 - Google Patents

치아교정 및 관리를 위한 구강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403A
KR20110120403A KR1020100039799A KR20100039799A KR20110120403A KR 20110120403 A KR20110120403 A KR 20110120403A KR 1020100039799 A KR1020100039799 A KR 1020100039799A KR 20100039799 A KR20100039799 A KR 20100039799A KR 20110120403 A KR20110120403 A KR 20110120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balloon
pressure sensor
sensor
bal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506B1 (ko
Inventor
박영철
김병연
Original Assignee
(주)덴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덴토스 filed Critical (주)덴토스
Priority to KR102010003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506B1/ko
Priority to PCT/KR2010/003088 priority patent/WO2011136427A1/ko
Publication of KR20110120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8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masticatory organs, e.g. detecting dental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2Evaluating soft tissue within the mouth, e.g. gums or tong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나 치열의 부정교합 원인이 될 수 있는 구강 내의 각 부분 압력, 즉 입술과 치아, 혀와 치아 사이 및 어금니의 씹는 힘 등의 압력을 측정하여 이들의 압력이 부정교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과 동시에, 측정된 압력을 자료로 하여 효과적인 치아교정술이나 교정시술후 정상적인 치아의 유지관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측정용 감지센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실리콘 수지와 같이 인체에 무해하면서 신축성이 양호하고 연질인 소재를 이용하여 압력측정용 감지센서를 구성하되, 상기 압력측정용 감지센서는 배기공이 형성된 연결관 일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발룬을 구성한 다음 구강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자 할 때 발룬을 압축시키면, 중공부 내에 위치하는 공기가 배기공을 통하여 토출되면서 압력센서를 자극케 함으로서 압력이 측정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교정 및 관리를 위한 구강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PRESSURE MEASUREMENT SENSOR IN THE MOUTH FOR ORTHODONTICS AND ITS MAINTAINING}
본 발명은 치아나 치열의 부정교합 원인이 될 수 있는 구강 내의 각 부분 압력, 즉 입술과 치아, 혀와 치아 사이 및 어금니의 씹는 힘 등의 압력을 측정하여 이들의 압력이 부정교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과 동시에, 측정된 압력을 자료로 하여 효과적인 치아교정술이나 교정시술후 정상적인 치아의 유지관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측정용 감지센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미용상의 목적 또는 그 밖의 이유로 치아의 위치를 바로잡는 치아교정은 일반적으로 널리 행하여 지고 있으며, 치아교정에 사용되는 기구를 일컫는 치아교정기구는 뻐드렁니, 덧니, 치아와 턱의 위치가 맞지 않는 부정교합이 있을 경우, 이들 치아가 정위치 또는 정상각도로 자리잡도록 치아와 턱을 올바른 위치로 맞추어 주는 기구이다.
또한 치아교정을 통하여 교정된 치아는 정상적인 상태로 장기간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나, 일정기간이 지나면 점차적으로 치아교정 이전 상태로 복귀하려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교정된 치아의 유지,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상기에서 부정교합이란 치열이 나쁘거나 골격적인 문제로 상하의 치아교합이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보면 치아의 하나하나 위치가 상이한 전이치, 치열이 고르지 못한 난항치, 교합이 이상한 하악전돌증이나 뻐드렁니 등과, 어금니는 물리나 앞니가 맞물리지 않는 개교, 앞니가 아래치열을 덮는 정도가 현저한 과개, 옆니와의 사이가 벌어진 치간이개, 특정의 이가 옆니에 끼어서 제대로 자라지 못하는 저위교합 등 여러종류가 있다.
어느 경우이든 미용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발음이 어려워서 말이 불확실하고, 음식도 충분히 씹을 수 없어, 위에 부담이 커지고, 치아 사이에 음식찌꺼기가 끼이기 쉽고, 충치나 위장질환이 생길 우려가 있으며, 어린이의 경우 턱뼈나 주변조직등 발육도 나빠지게 된다.
원인으로서는 유전이나 환경적인 요인을 들 수 있으며, 선천적인 원인으로서 구개열, 언청이, 치수이상, 이모양의 이상, 태아때의 영양장애 등이 있다.
또한 후천적인 원인으로서는 젖니가 일찍 없어졌거나 늦게까지 남아있을 경우, 충치, 고무젖꼭지의 상용, 입호흡, 입술을 빨거나 무는 버릇, 손가락을 빠는 버릇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원인들 외에도 입술과 혀가 앞니에 가해지는 저항과, 어금니의 씹는 압력 등의 차이에 의하여서도 부정교합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위의 여러가지 원인들 중 입술과 앞니, 혀와 앞니, 어금니의 씹는 힘의 차이에 의하여 부정교합이 발생하게 된다는 이론적인 근거는 있으나, 이들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합한 수단이 제공된바 없었기 때문에 이론을 근거로 한 실체적인 접근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었고, 또한 치열교정후에도 교정된 치아의 유지 및 관리를 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입술과 앞니, 혀와 앞니 사이의 압력(구순, 설압력) 및 어금니의 씹는 힘(저작압) 등을 측정하여, 이들의 압력이 부정교합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과 함께 실체적으로 입증함과 동시에, 치아교정을 위한 자료나 보조기구(투명교정장치) 등의 제작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치아교정과 교정된 치아의 유지,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실리콘 수지와 같이 인체에 무해하면서 신축성이 양호하고 연질인 소재를 이용하여 압력측정용 감지센서를 구성하되, 상기 압력측정용 감지센서는 배기공이 형성된 연결관 일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발룬을 구성한 다음 구강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자 할 때 구강 내에 위치한 발룬을 압축시키면, 중공부 내에 위치하는 공기가 배기공을 통하여 토출되면서 압력센서를 자극케 함으로서 필요한 위치의 압력이 측정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리콘 수지와 같이 인체에 무해하면서 신축성이 양호하고 연질인 소재를 이용하여 압력측정용 감지센서를 구성하되, 상기 압력측정용 감지센서는 배기공이 형성된 연결관 일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발룬을 구성한 다음 구강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자 할 때 발룬을 압축시키면, 중공부 내에 위치하는 공기가 배기공을 통하여 토출되면서 압력센서를 자극, 압력이 측정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압력측정용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입술과 앞니, 혀와 앞니 사이의 압력(구순, 설압력) 및 어금니의 씹는 힘(저작압) 등을 측정하여, 이들의 압력이 부정교합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과 함께 실체적으로 입증함과 동시에, 치아교정을 위한 자료나 보조기구(투명교정장치) 등의 제작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효과적인 치아교정 및 교정된 치아의 유지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압력측정용 감지센서의 사시도
도 2 : 도 1의 평면구성도
도 3 : 도 1의 측면구성도
도 4 : 도 1의 평단면구성도(압력센서가 결합된 상태도)
도 5 : 도 1의 측단면구성도(압력센서가 결합된 상태도)
도 6 : 본 발명 타실시예의 사시도(저작압 측정용)
도 7 : 도 6의 평면구성도
도 8 : 도 6의 측면구성도
도 9 : 도 6의 평단면구성도(압력센서가 결합된 상태도)
도 10 : 도 6의 측단면구성도(압력센서가 결합된 상태도)
도 11 : 도 6의 분해상태 단면구성도
도 12 : 본 발명 장치를 이용한 구순, 설압력측정의 예시사진
도 13 : 본 발명 장치를 이용한 저작압력측정의 예시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구강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는 구순, 설압력측정이나, 저작압 측정의 용도로 사용되며, 이들의 개략적인 구성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탄성있는 재질의 소재로 중공부가 형성된 소형의 발룬(balloon)을 구성한 다음 압력측정시 구강 내에서 발룬을 압축시키면 중공부 내의 공기가 연결관을 통하여 토출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측정부의 압력이 측정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구성되는 발룬의 형상은 구형, 타원형등 여러 형상으로 구성되게 할 수 있으며, 다만 외부압력에 의해 발룬 내의 공기가 토출되면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만족한다.
이들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구순, 설압력측정을 위한 감지센서(10)의 구성도로서, 중공부(31)가 형성된 발룬(30) 일측에 연결관체(32)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관체(32) 단부에 배기공(33)이 형성된 연결관(34)을 끼워 일체형으로 연결구성되게 한다.
이때 연결관체(32)에 연결관(34)을 끼워 일체형으로 연결구성되게 한 것은 이들을 일체형으로 성형할 경우 성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발룬(30)을 먼저 제작한 다음 연결관(34)이 연결되게 한 것이며, 필요한 경우 발룬(30)과 연결관(34)을 한번에 성형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연결관체(32)에 연결되는 연결관(34)은 발룬(3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L2)을 두고 연결되게 함으로서 발룬(30)의 압축시 연결관(34)의 저항없이 원활한 압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룬(30)의 형상은 완전한 구형 혹은 타원형으로 구성하거나, 약간 둥글납작하게 구성할 수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와 같이 둥글납작한 형상으로 구성하였으며, 발룬(30)의 본체(36) 양측 중앙에는 만곡돌부(35)를 구성하되, 상기 만곡돌부(35)는 본체(36) 내외측방향으로 돌출구성되게 함과 동시에 서로 마주보게 구성하였다.
상기 발룬(30)에 구성된 만곡돌부(35)는 발룬(30)의 성형성을 좋게 함과 동시에 압력측정시 만곡돌부(35)를 기준으로 서로 나란히 압축되게 함으로서, 원활한 압력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발룬(30)의 형상은 대체로 구형이면서 납작한 형상으로서 발룬(30)의 넓은 직경(L)과, 좁은 직경(L1)의 길이 비율은 대략 6:3~6:4정도의 비율로 한다.
상기에서 발룬(30)과 연결간(33) 사이의 간격(L2)은 발룬(30)의 넓은 직경(L)의 1/4이상의 간격을 유지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룬(30)의 압축시 연결관(34)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발룬(30)의 형상에서 넓은 직경(L)과, 좁은 직경(L1)의 길이비율을 6:3~6:4로 구성되게 한 것은 압력측정을 위하여 감지센서(10)를 측정자의 구강 내에 고정설치되게 할 때 보다 안정되게 위치되게 하면서 원활한 압력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발룬(30)의 넓은 직경(L)과 좁은 직경(L1)의 비율이 6:3이하이면 측정을 위한 고정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나, 측정시 발룬(30)의 압축량이 미미하기 때문에 원활한 압력측정에 미흡한 점이 있고, 6:4 이상이면 압력측정에는 문제가 없으나 원형에 가깝기 때문에 안정적인 고정에 장애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를 구성하는 연결관(34)의 배기공(33)은 가능한 좁게 구성되게 하는 것이 압력측정에 효과적이나 배기공(33)의 내경을 줄이는데에 한계가 있을 경우에는 배기공(33) 내면에 별도의 삽입줄(38)을 끼워 배기공(33)의 내경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상기 삽입줄(38) 일측 단부에는 확장부(37)를 구성하여 연결관(34)의 배기공(33) 내면과 접촉되게 함으로서, 외력을 가하여 삽입줄(38)을 당겨내지 않는한 배기공(33) 내에 안정되게 위치되게 한다.
연결관(34) 단부에는 통상의 공기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40)를 결합구성하여 발룬(30)의 압축으로 배기되는 공기압력을 감지케 하고, 감지된 압력은 케이블(41)을 통하여 연결된 압력측정기(42)에서 측정된 압력이 표시되게 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치아, 즉 상하어금니의 저작압(씹는 힘) 측정을 위한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의 구성도로서, 구순, 설압력 측정을 위한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 외면에 실리콘수지와 같이 인체에 무해한 연질의 수지로 구성된 내부압축케이스(50)와 외부압축케이스(70)를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게 하였으며, 내외부압축케이스(60)(70) 사이에는 어금니의 씹는 힘에 의해 외형이 변형될 수 있는 얇은 철판으로 된 압지판(90)이 위치되게 한다.
즉 구순, 설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만으로 어금니의 씹는 힘을 측정하기에는 부적합함으로 어금니의 저작압 측정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게 하였으며, 상기 내외부 압축케이스(50)(70)는 사용자가 어금니로 강하게 씹으면 탄성재질로 구성된 내외부 압축케이스(50)(70)가 압축되고, 동시에 그 사이에 위치한 압지판(90)이 찌그러지면서 압지판(90) 사이에 위치하는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의 발룬(30)이 압축되게 한 것이다.
이들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 외면에 씌워지는 내부압축케이스(50)는 도 11에서와 같이 머리부(51) 중앙에 삽입공(52)이 뚫려 있고, 상기 삽입공(52)을 기준으로 본체(52)쪽으로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의 연결관체(32) 및 연결관(34)이 위치되게 하였으며, 연결관체(32)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절개부(55)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는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발룬(30) 부분이 삽입공(52) 내에 끼워져 위치하게 되고, 연결관(34)은 본체(52) 내에 위치하게 되고, 발룬(30) 일측에 구성된 연결관체(32)는 절개부(55)에 위치하게 되고, 연결관(34)은 내부압축케이스(50)의 본체(53)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한다.
상기 내부압축케이스(50)의 머리부(51) 양측에는 안내홈(91)이 형성된 압지판(90)을 위치시켜 압지판(90)의 내면에 삽입공(52)과 발룬(30) 외면, 즉 만곡돌부(35)가 각각 위치되게 하고, 안내홈(91)은 절개부(55)에 위치하면서 연결관체(34)과 접하게 구성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내부압축케이스(50) 외면에 실리콘수지와 같은 연질의 소재로 된 외부압축케이스(70)를 사출성형하여 외부압축케이스(70)에 의해 압지판(90)과 내부압축케이스(50)가 감싸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 외면에 연질의 소재로 된 내외부 압축케이스(50)(70)가 위치되게 하여 어금니의 저작압 측정시 쿠션이 부여되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부담없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 외면에 위치하는 내외부 압축케이스(50)(70)를 강하게 씹을 수 있게 되므로 원활한 저작압 측정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 외면에 위치하는 내외부 압축케이스(50)(70)가 딱딱한 경질의 소재로 구성될 경우 사용자가 자기보호본능에 의해 내외부압축케이스(50)(70)를 강하게 씹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저작압의 측정이 곤란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의 경우에도 연결관(34)의 단부에 압력센서(40)를 연결하여 저작압이 측정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측정된 값은 케이블(41)을 통하여 연결된 압력측정기(42)에 압력이 표시될 수 있게 한다.
미설명부호 (100)은 앞니, (101)은 입술, (102)는 어금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를 이용한 구순, 설압력 측정 및 저작압 측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입술과 치아(앞니) 사이의 압력, 즉 구순, 설압력측정 과정을 먼저 설명한다.
도 12에서와 같이 측정하고자 하는 앞니(100) 전면에 필요한 갯수의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를 고정설치하되, 발룬(30)이 치아 전면에 위치되게 하며, 특히 일측 만곡돌부(35)가 앞니(100) 전면에 위치되게 하고, 타측 만곡돌부(35)는 입술(101) 내측에 위치되게 한다.
상기에서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가 앞니(100) 전면에 고정되게 하기 위한 수단은 결착용 밴드나 와이어를 사용하거나 기타 여러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의 발룬(30)이 앞니(100)와 입술(101) 사이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입술(101)에 힘을 주면서 앞니(100) 쪽으로 압박되게 하면 입술(101)의 압박력에 의해 발룬(30)이 압축된다.
발룬(30)이 압축되면 중공부(31) 내에 위치하는 공기가 연결관(34)의 배기공(33)을 통하여 급속히 배기되면서 연결관(34) 단부에 결합된 압력센서(40)를 배기압으로 자극하게 되고, 상기 배기압은 케이블(41)을 통하여 공기압력측정기(42) 에 전가되어 표시된다.
이때 연결관(34) 내에 구성된 배기공(33)에는 삽입줄(38)이 끼워져 있어 배기공(33)의 내경을 더욱 좁게 하므로 중공부(31)내의 공기가 배기되면서 공기압이 압력센서(40)에 충분히 전달되게 하여 앞니(100)와 입술(101) 사이의 압력측정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앞니(100)와 혀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앞니(100) 배면에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의 발룬(30)을 필요한 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혀를 이용하여 발룬(30) 부위를 압박되게 함으로서, 발룬(30) 내면의 중공부(31)에 위치하는 공기가 연결관(34)의 배기공(33)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연결관(34) 단부에 결합된 압력센서(40)를 자극하여 혀와 앞니(100) 사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를 이용하여 앞니(100)와 입술(101) 및 앞니(100)와 혀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여 입술 및 혀의 압력이 앞니(100)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이를 자료로 하여 부정교합의 발생원인을 추정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치아교정 및 치아교정후 장기간 바른 치열유지에 필요, 적절한 조치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금니의 씹는 힘, 즉 저작압 측정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게 된다.
즉 도 13에서와 같이 내외부 압축케이스(50)(70)가 씌워진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를 어금니(102)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강하게 씹어 어금니의 저작압을 측정하게 되는 것으로서, 어금니(102)로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의 발룬(30) 외면에 씌워진 외부압축케이스(70)를 씹으면 연질의 수지로 구성된 외부압축케이스(70)가 압착되고, 동시에 내외부압축케이스(50)(70) 사이에 위치하는 압지판(90) 및 내부압축케이스(50)가 압착되면서 내부압축케이스(50)의 삽입공(52)에 위치하는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의 발룬(30)이 양측 압지판(90) 사이에서 압축되고, 따라서 발룬(30)의 중공부(31)에 위치하는 공기가 배기공(33)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연결관(34) 단부에 결합된 압력센서(40)를 자극하여 배기압이 측정되고, 측정된 배기압은 케이블(41)로 연결된 압력측정기(42)에 인가되어 측정값이 표시된다.
이때 압력측정기용 감지센서(10) 외면에 씌워진 내외부 압축케이스(50)(70)는 연질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 어금니로 강하게 씹더라도 어금니에 무리한 자극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저작압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저작압측정을 위한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 외면에 내외부 압축케이스(50)(70) 및 압지판(90)을 위치시킨 것은 어금니의 씹는 압력이 상당히 강하기 때문에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발룬(30) 만으로 구성된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로서는 저작압 측정이 곤란하기 때문에 발룬(30) 외면에 연질의 신축성있는 재질로 내외부 압축케이스(50)(70) 및 압지판(90)을 위치시켜 씹는 힘에 의해 내외부 압축케이스(50)(70) 및 압지판(90)이 압착되면서 발룬(30)이 압축되게 함으로서 저작압의 원활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측정된 저작압의 자료를 기초로 하여 저작압이 어금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치아교정 및 치아교정후 유지에 필요적절한 조치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관체 일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발룬을 구성하여 압력측정용 감지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압력측정용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앞니와 입술 및 앞니와 혀, 어금니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여 부정교합의 원인을 검토하고, 또한 상기 측정된 자료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치아교정 및 교정후 장기간 바른 치열유지에 필요적절한 조치를 행할 수 있게 된다.
(10)--압력측정용 감지센서 (30)--발룬
(31)--중공부 (32)--연결관체
(33)--배기공 (34)--연결관
(35)--만곡돌부 (36)--본체
(37)--확장부 (38)--삽입줄
(40)--압력센서 (41)--케이블
(42)--압력측정기 (50)--내부압축케이스
(51)--머리부 (52)--삽입공
(53)--본체 (55)--절개부
(70)--외부압축케이스 (90)--압지판
(91)--안내홈

Claims (5)

  1. 앞니와 입술 및 앞니와 혀 사이의 압력, 즉 구순, 설압력 측정과, 어금니의 씹는 힘, 즉 저작압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측정용 감지센서를 구성함에 있어서, 배기공(33)이 형성된 연결관(34) 일측에, 본체(36) 내면에 중공부(31)가 형성된 발룬(30)을 구성하고, 상기 연결관(34) 단부에 압력센서(40)를 연결구성하여, 구순, 설압력측정 및 저작압 측정시 압력측정용 감지센서(10)를 구강 내에 위치시킨 다음 발룬(30) 부위를 압축시키면 발룬(30)이 압축되면서 중공부(31) 내에 위치한 공기가 배기공(33)을 통하여 토출되게 함으로서, 연결관(34) 단부에 연결된 압력센서(40)를 자극하여 압력이 감지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및 관리를 위한 구강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발룬(30)을 구성하는 본체(36) 양측 중앙부에 만곡돌부(35)를 내외측으로 돌출구성되게 하여, 성형성을 좋게 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압력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및 관리를 위한 구강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관(34) 내측에 구성된 배기공(33)에 삽입줄(38)을 끼워 배기공(33)의 내경공간부가 좁아지게 구성함으로서 배기공(33)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압의 측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및 관리를 위한 구강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발룬(30)을 구성하는 본체(36) 외면에 신축성있는 연질의 재질로 내부압축케이스(50)를 일체형으로 사출성형하되, 내부압축케이스(50)를 구성하는 머리부(51)에 삽입공(52)을 구성하여 발룬(30)이 위치되게 하고, 내부압축케이스(50)의 머리부(51) 양측에 압지판(90)을 씌워 삽입공(52) 내에 끼워진 발룬(90)과 접하게 하고, 상기 압지판(90) 및 내부압축케이스(50) 외면에 신축성있는 연질의 재질로 외부압축케이스(70)를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및 관리를 위한 구강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발룬(30)의 형상은 구형이면서 납작한 형상으로서, 발룬(30)의 넓은 직경(L)과 좁은 직경(L1)의 길이비율은 6:3~6:4의 비율로 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및 관리를 위한 구강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
KR1020100039799A 2010-04-29 2010-04-29 치아교정 및 관리를 위한 구강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 KR101157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799A KR101157506B1 (ko) 2010-04-29 2010-04-29 치아교정 및 관리를 위한 구강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
PCT/KR2010/003088 WO2011136427A1 (ko) 2010-04-29 2010-05-17 치아교정 및 관리를 위한 치아 압력측정용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를 이용한 치아압력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799A KR101157506B1 (ko) 2010-04-29 2010-04-29 치아교정 및 관리를 위한 구강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403A true KR20110120403A (ko) 2011-11-04
KR101157506B1 KR101157506B1 (ko) 2012-06-15

Family

ID=4539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799A KR101157506B1 (ko) 2010-04-29 2010-04-29 치아교정 및 관리를 위한 구강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5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201B1 (ko) * 2018-07-05 2019-05-17 주식회사 디메텍 치아 교합 측정 장치 및 치아 교합 측정 방법
KR20210123529A (ko) * 2020-04-03 2021-10-1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하근육 운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24393C1 (ru) * 2020-01-17 2020-06-23 Сергей Дарчоевич Арутюн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податливости слизистой оболочки рт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136A (ja) * 1992-04-03 1993-10-26 Toyo Kako Kk 圧力式咬合力計測センサーおよび計測装置
JP3801837B2 (ja) * 2000-03-28 2006-07-26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口腔関連圧力測定装置および口腔関連圧力測定用プローブ
DE10196092B3 (de) * 2000-04-17 2011-12-08 Makoto Nakao Muskeldruckmessgerät zum Messen des von einem Körperteil innerhalb des Mundbereichs ausgeübten Druckes sowie ein Adapter für ein solches Muskeldruckmessgerät
JP2006204940A (ja) * 2006-03-23 2006-08-10 Jms Co Ltd 口腔関連圧力測定装置および口腔関連圧力測定用プロー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201B1 (ko) * 2018-07-05 2019-05-17 주식회사 디메텍 치아 교합 측정 장치 및 치아 교합 측정 방법
KR20210123529A (ko) * 2020-04-03 2021-10-1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하근육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506B1 (ko) 201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2159B2 (ja) 口腔用筋圧測定装置、口腔用筋圧測定装置用アダプター、及び口腔用筋圧測定装置用マウスピース
KR101723674B1 (ko) 설측 교정 시스템
CN107072806B (zh) 用于在正畸治疗中使用的睡眠呼吸暂停症口腔矫治器
KR10186281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WO2015115117A2 (ja) 口腔関連圧力測定用デバイス
CN106456354B (zh) 用于治疗睡眠呼吸暂停症的口腔矫治器
US9750628B2 (en) Medical device for combating overweight or obesity in humans
CN111918602A (zh) 具有间隔开的多组电气部件的下颌前移装置
KR101157506B1 (ko) 치아교정 및 관리를 위한 구강내 압력측정용 감지센서
KR101152709B1 (ko) 압력측정용 감지센서를 이용한 치아압력 측정장치
WO2011136427A1 (ko) 치아교정 및 관리를 위한 치아 압력측정용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를 이용한 치아압력 측정장치
CN113413223B (zh) 一种基于柔性电子系统的可动态监测矫治力值的功能矫治器及其制备方法
KR102226949B1 (ko) 인상용 트레이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의치 제작 방법
CN114073844B (zh) 包覆上颚齿的口腔内吞咽辅具及其制造方法
CN106344185B (zh) 辅助下颌前伸及内收上前牙的矫正装置
EP3482714B1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dentistry
JPH0342900Y2 (ko)
JP2012249977A (ja) 内視鏡用マウスピース
CN208851659U (zh) 一种颌垫整体牵引器
CN101181170A (zh) 口腔功能矫治器
CN219661933U (zh) 一种主动舌肌训练矫形器
CN215688592U (zh) 基于柔性电子系统的功能矫治器
CN219681578U (zh) 口腔肌肉功能训练器
CN210612260U (zh) 一种口腔正畸训练器
CN210873789U (zh) 一种适用于头颈部肿瘤放疗的口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