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098A -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 Google Patents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098A
KR20110120098A KR1020100039623A KR20100039623A KR20110120098A KR 20110120098 A KR20110120098 A KR 20110120098A KR 1020100039623 A KR1020100039623 A KR 1020100039623A KR 20100039623 A KR20100039623 A KR 20100039623A KR 20110120098 A KR20110120098 A KR 20110120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vure
weight
ink composition
varnish
fluorescen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일녕
지영호
채종훈
조영희
정대규
지우행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100039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0098A/ko
Publication of KR20110120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08K3/105Compounds containing metals of Groups 1 to 3 or of Groups 11 to 13 of the Periodic 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45Sulf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비어 인쇄에 사용되는 그라비어 잉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안을 목적으로 하는 (보안)문서, 채권, 신분증 등에 그라비어 인쇄를 할 수 있도록 엑스레이(X-ray) 물질 및/또는 비가시형 형광물질을 함유한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Composition of gravure ink for document run-off control}
본 발명은 그라비어 인쇄에 사용되는 그라비어 잉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안을 목적으로 하는 (보안)문서, 채권, 신분증 등에 그라비어 인쇄를 할 수 있도록 엑스레이(X-ray) 물질 및/또는 비가시형 형광물질을 함유한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각종 보안을 필요로 하는 문서 등에 낙인, 봉인 등의 여러 가지 위·변조방지요소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보통 가시적 또는 도구를 사용하여 문서의 진위를 확인하는 기능을 주로 부여하였지 문서의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은 없다.
그라비어(gravaure) 인쇄는 미세한 농담을 표현할 수 있어 보통 사진 인쇄에 적합하며, 그림의 선을 따라 판을 손으로 직접 파거나 산(酸) 또는 다른 화학물질로 부식시킨 인쇄기사는, 판에 원하는 형상의 선을 새기기 위해 판을 손으로 직접 파거나 산 또는 다른 화학물질로 부식시킨 다음 판에 잉크를 발라 파인 부분, 즉 음각된 부분들만 잉크가 들어 있게 하고 솟아오른 표면의 잉크는 닦아낸다. 그러면 그 판에 압착되는 종이가 음각된 부분들로부터 잉크를 흡수하게 된다. 음각된 부분들의 깊이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 인쇄되는 상은 색조의 농담을 띠게 된다.
그라비어(gravaure) 인쇄인 사진 그라비어 인쇄나 윤전(輪轉) 그라비어 인쇄방식에서는 음화영상이 다양한 크기와 깊이의 작은 구멍 또는 점들로 인쇄용 구리 실린더의 표면에 부식되어 새겨짐으로써 활자와 예술작품에 색조의 변화가 주어진다. 이렇게 처리된 인쇄 실린더가 인쇄기 위를 회전하면 잉크가 롤러나 분사기에 의해 또는 담그는 방식으로 칠해지고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라는 유연성 있는 금속 칼날이 남은 잉크를 제거해 파여진 부분에만 잉크를 남겨놓고 표면을 깨끗하게 만든다. 잉크가 칠해진 인쇄 실린더와 고무 블랭킷을 씌운 압착 실린더 사이로 들어간 종이를 인쇄 실린더가 눌러주어 음각부분에 들어 있던 잉크가 종이에 옮겨진다.
그라비어 인쇄공정은 세심한 준비작업이 필요하나, 값싼 종이에도 양질의 인쇄영상과 색조를 찍어낼 수 있으므로 잡지, 카탈로그, 신문의 컬러 화보 등 오래 쓰일 인쇄물에 사용된다.
그라비어 인쇄는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그라비어 인쇄를 위하여 국내 특허공보 특1993-008155호의 그라비어 인쇄 잉크 조성물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5-20196호의 수성 그라비어 잉크조성물과,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582867호의 피브이씨 필름용 수성 그라비어 잉크 조성물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89030호의 그라비어 프린팅용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81316호의 그라비어 인쇄용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건축자재 및 그 제조방법 등의 다양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이 종래기술로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그라비어 잉크조성물에는 보안에 필요한 물질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보안이 요구되는 (보안)문서, 채권, 신분증 등에는 사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본 출원인에 의하여 문서의 유출을 방지하는 엑스레이 감지물질을 첨가한 요판잉크 또는 스크린잉크에 사용되는 국내특허등록 제952140호의 위·변조 방지용 엑스레이 감지잉크가 제공하여 보안이 필요한 문서, 지폐 등에 요판, 스크린 인쇄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에 제공되어 있는 그라비어 잉크에는 보안을 위한 위·변조 방지용 물질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보안을 요구하는 (보안)문서, 채권, 신분증 등에 그라비어 인쇄를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특허공보 특1993-008155호 (공고일자 1993.08.26)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5-20196호 (공개일자 2005.03.04)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582867호 (등록일자 2006.05.17)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89030호 (공개일자 2009.08.21)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81316호 (공개일자 2009.07.28) 국내 특허등록공보 제10-952140호 (등록일자 2010.04.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보안을 필요로 하는 (보안)문서, 채권, 신분증 등에서 그라비어 인쇄를 할 수 있도록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보안을 필요로 하는 (보안)문서, 채권, 신분증 등에서도 그라비어 인쇄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은,
엑스레이 감지물질 35~75 중량%와, 그라비어 바니시 5~50 중량%와, 상기 그라비어 바니시를 용해하는 용제 20~60 중량%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황산바륨 15~45 중량%와, 그라비어 바니시 10~40 중량%와, 상기 그라비어 바니시를 용해하는 용제 15~75 중량%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형광물질 0.5~20 중량%와, 그라비어 바니시 2.5~50 중량%와, 상기 그라비어 바니시를 용해하는 용제 30~97 중량%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엑스레이 감지물질 25~74 중량%와, 형광물질 1~20 중량%과, 그라비어 바니시 5~50 중량%와, 상기 그라비어 바니시를 용해하는 용제 20~69 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엑스레이 감지물질은 가돌리늄(Gd)계열, 이트륨(Y)계열, 란탄늄(Ra)계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혼합된 물질을 사용한다.
상기 형광물질은 자외선광에서 발현하는 자외선 형광물질과 적외선광에서 발현하는 적외선 형광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의 형광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외선 형광물질은 루미룩스 그린 또는 루미룩스 CD 105를 사용하며, 상기 적외선 형광물질은 에르븀 또는 이트륨계 금속복합화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그라비어 바니시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폴리우레탄계, 페놀변성수지계, 셀루로우스계 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혼합된 물질을 사용한다.
상기 용제는 톨루엔, 자일렌, 벤젠 등의 방향족탄화수소 계열 또는 MEK, 아센톤 등의 케톤류, EA 등 유기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혼합된 물질을 사용한다.
상기에 제공되어 있는 본 발명의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을 사용하면 가시광선에서는 표시가 나지 않으나 엑스레이 검색기의 통과시 특정 패턴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자외선광 또는 적외선광에서 상이한 색상의 형광물질이 발광함으로써 위·변조 여부를 가시적 또는 기기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 (보안)문서 등을 그라비어 인쇄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엑스레이 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과 황산바륨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과 형광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로 특정부분에 인쇄된 인쇄층의 상세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을 사용하여 인쇄한 (보안)문서로 도 2a는 가시광선 상태이고, 도 2b는 엑스레이 검색기 통과시 스크린에 나타난 상태이고, 도 2c는 자외선광(365㎚) 조사시 상태이고, 도 2d는 적외선광(800~1000㎚) 조사시 상태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은 보안을 요구하는 (보안)문서 등에 사용하여 위·변조 방지할 목적으로 그라비어 잉크에 보안을 위한 위·변조 방지용 물질을 첨가함으로써 (보안)문서 등을 그라비어 인쇄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보안을 위한 위·변조 방지용 물질로는 엑스레이(X-ray) 검색기에서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엑스레이(X-ray) 감지물질과, 자외선 광 또는 적외선 광에서 형광기능을 발현하는 형광물질이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은,
엑스레이 감지물질 35~75 중량%와, 그라비어 바니시 5~50 중량%와, 상기 그라비어 바니시를 용해하는 용제 20~60 중량%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황산바륨 15~45 중량%와, 그라비어 바니시 10~40 중량%와, 상기 그라비어 바니시를 용해하는 용제 15~75 중량%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형광물질 0.5~20 중량%와, 그라비어 바니시 2.5~50 중량%와, 상기 그라비어 바니시를 용해하는 용제 30~97 중량%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엑스레이 감지물질 25~74 중량%와, 형광물질 1~20 중량%과, 그라비어 바니시 5~50 중량%와, 상기 그라비어 바니시를 용해하는 용제 20~69 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황산바륨은 엑스레이 감지물질과 같이 엑스레이 감지기능을 가진다.
상기 엑스레이 감지물질은 엑스레이(X-ray) 검색기에서 특정패턴이 나타나도록 하여 문서의 위·변조를 구별하기 위한 물질로 가돌리늄(Gd)계열, 이트륨(Y)계열, 란탄늄(Ra)계열 중 어느 하나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2개 이상이 혼합된 물질이 사용된다.
보통 황화가돌리늄 계열에는 하니웰사 제품 루미룩스 E4366와, Phosphor사 제품 UKL-63, UKL-65D 등이 있으며, 황화이트륨 계열에는 Phosphor사 제품 SKL63/F-R1이 있다.
상기 형광물질은 자외선 광 또는 적외선 광에서 형광기능을 발현하여 문서의 위·변조를 구별하기 위한 물질로 자외선 광에서 형광기능을 발현하는 자외선 형광물질과 적외선 광에서 형광기능을 발현하는 적외선 형광물질이 있다.
상기 형광물질은 자외선 형광물질과 적외선 형광물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첨가하거나 2개의 물질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형광물질로는 루미룩스 그린 또는 루미룩스 CD 105가 사용되며, 상기 적외선 형광물질로는 에르븀 및/또는 이트륨을 포함하는 비가시형 희토류 금속복합 화합물이 사용된다.
상기 그라비어 바니시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폴리우레탄계, 페놀변성수지계, 셀루로우스계 물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2개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그라비어 바니시는 보통 폴리에스터 수지인 SKYBON 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공중합체인 Laroflex MP-45가 사용된다.
상기 용제는 그라비어 바니시를 용해하는 물질로 톨루엔, 자일렌, 벤젠 등의 방향족탄화수소 계열 또는 MEK, 아센톤 등의 케톤류, EA 등 유기용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2개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1. 엑스레이 검색기에서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엑스레이 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엑스레이 물질인 하니웰사 제품 루미룩스 E4366 70중량%에 그라비어 바니시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코폴리머 수지인 Laroflex MP-45 9중량%와 용제인 톨루엔 21중량%을 혼합 교반하여 그라비어 잉크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잉크의 물성인 점도(잔컵 #3)는 75(sec)이다.
상기와 같이 엑스레이 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로 인쇄된 문서는 엑스레이 물질에 의하여 엑스레이 검색기에서 보안문서의 유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2. 황산바륨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황산바륨 30중량%에 그라비어 바니시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코폴리머 수지인 Laroflex MP-45 10중량%와 용제인 톨루엔 60중량%을 혼합 교반하여 그라비어 잉크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잉크의 물성인 점도(잔컵 #3)는 40(sec)이다.
상기와 같이 황산바륨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로 인쇄된 문서는 황산바륨에 의하여 엑스레이 검색기에서 보안문서의 유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 형광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자외선 형광물질과 적외선 형광물질이 혼합된 형광물질 5중량%에 그라비어 바니시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코폴리머 수지인 Laroflex MP-45 10중량%와 용제인 톨루엔 85중량%을 혼합 교반하여 그라비어 잉크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잉크의 물성인 점도(잔컵 #3)는 12(sec)이다.
상기와 같이 자외선 형광물질과 적외선 형광물질이 혼합된 형광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로 인쇄된 문서는 형광물질에 의하여 자외선 검색기와 적외선 검색기에서 문서의 위·변조 상태를 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보안문서의 유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4. 엑스레이 물질과 형광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엑스레이 물질인 하니웰사 제품 루미룩스 E4366 60중량%에 자외선 형광물질과 적외선 형광물질이 혼합된 형광물질 5중량%에 그라비어 바니시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코폴리머 수지인 Laroflex MP-45 10중량%와 용제인 톨루엔 25중량%을 혼합 교반하여 그라비어 잉크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잉크의 물성인 점도(잔컵 #3)는 60(sec)이다.
상기와 같이 엑스레이 물질과, 자외선 형광물질과 적외선 형광물질이 혼합된 형광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로 인쇄된 문서는 엑스레이 물질과 형광물질에 의하여 엑스레이 검색기와 자외선 검색기 및 적외선 검색기에서 보안문서의 유출과 문서의 위·변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엑스레이 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과 황산바륨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과 형광물질(자외선 형광물질과 적외선 형광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로 도 1과 같이 엑스레이 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층(10)과 황산바륨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층(20)과 형광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층(30)이 형성되도록 도 2의 (a)에서와 같이 특정부분(100)을 인쇄함으로써 엑스레이 검색기와 자외선 검색기 및 적외선 검색기에서 보안문서의 유출과 문서의 위·변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엑스레이 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로 1차 인쇄하여 엑스레이 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층(10)을 형성하고, 상기 엑스레이 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층(10) 위에 형광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로 인쇄하여 형광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층(30)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상기 엑스레이 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층(10) 위에 황산바륨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로 인쇄하여 황산바륨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층(20)을 형성하고, 상기 황산바륨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층(20) 위에 형광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로 인쇄하여 형광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층(30)을 형성하여 엑스레이 검색기와 자외선 검색기 및 적외선 검색기에서 보안문서의 유출과 문서의 위·변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a는 보안을 위한 위·변조 방지용 그라비어 잉크로 특정부분을 인쇄한 (보안)문서를 가시광선 상에서의 상태로 특정부분이 일반부분과 동일하며,
도 2b는 도 2a의 (보안)문서를 엑스레이 검색기 통과시 스크린에 나타난 (보안)문서의 상태로 엑스레이 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로 인쇄된 특정부분만이 나타나며,
도 2c는 도 2a의 (보안)문서를 자외선광(365㎚) 조사시 (보안)문서의 상태로 자외선 형광물질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로 인쇄된 특정부분만이 적색으로 발광하며,
도 2d는 도 2a의 (보안)문서를 적외선광(800~1000㎚) 조사시 (보안)문서의 상태로 적외선 형광물질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로 인쇄된 특정부분만이 녹색으로 발광하게 된다.
10 : 엑스레이 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층
20 : 황산바륨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층
30 : 형광물질이 첨가된 그라비어 잉크층

Claims (9)

  1. 엑스레이 감지물질 35~75 중량%와, 그라비어 바니시 5~50 중량%와, 상기 그라비어 바니시를 용해하는 용제 20~60 중량%로 이루어진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2. 황산바륨 15~45 중량%와, 그라비어 바니시 10~40 중량%와, 상기 그라비어 바니시를 용해하는 용제 15~75 중량%로 이루어진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3. 형광물질 0.5~20 중량%와, 그라비어 바니시 2.5~50 중량%와, 상기 그라비어 바니시를 용해하는 용제 30~97 중량%로 이루어진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4. 엑스레이 감지물질 25~74 중량%와, 형광물질 1~20 중량%과, 그라비어 바니시 5~50 중량%와, 상기 그라비어 바니시를 용해하는 용제 20~69 중량%로 이루어진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 감지물질은 가돌리늄(Gd)계열, 이트륨(Y)계열, 란탄늄(Ra)계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혼합된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물질은 자외선광에서 발현하는 자외선 형광물질과 적외선광에서 발현하는 적외선 형광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의 형광물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형광물질은 루미룩스 그린 또는 루미룩스 CD 105이며,
    상기 적외선 형광물질은 에르븀 또는 이트륨계 금속복합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비어 바니시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폴리우레탄계, 페놀변성수지계, 셀루로우스계 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혼합된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톨루엔, 자일렌, 벤젠 등의 방향족탄화수소 계열 또는 MEK, 아센톤 등의 케톤류, EA 유기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혼합된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KR1020100039623A 2010-04-28 2010-04-28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KR20110120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623A KR20110120098A (ko) 2010-04-28 2010-04-28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623A KR20110120098A (ko) 2010-04-28 2010-04-28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098A true KR20110120098A (ko) 2011-11-03

Family

ID=4539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623A KR20110120098A (ko) 2010-04-28 2010-04-28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00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6037A (zh) * 2012-04-06 2012-08-01 广东兴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硅胶按键表面多彩色镭雕的方法
KR20160091684A (ko) * 2015-01-26 2016-08-03 류일영 개인정보 유출방지용 기능성 잉크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6037A (zh) * 2012-04-06 2012-08-01 广东兴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硅胶按键表面多彩色镭雕的方法
KR20160091684A (ko) * 2015-01-26 2016-08-03 류일영 개인정보 유출방지용 기능성 잉크 제조방법
WO2016122119A1 (ko) * 2015-01-26 2016-08-04 류일영 개인정보 유출방지용 기능성 잉크 제조방법
CN107896495A (zh) * 2015-01-26 2018-04-10 株式会社 南阳 Print 用于防止个人信息泄露的功能性油墨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7470C (zh) 安全图案及其制造方法
RU2647243C2 (ru) Защитные элементы, демонстрирующие динамическое визуальное движение
US6379779B1 (en) Printing ink for safe marking on a data carrier
JP2004535963A5 (ko)
RU2419549C2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KR20110120098A (ko) 보안문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잉크조성물
WO2014176686A1 (en) Use of flourescent inks for document authentication
KR100952140B1 (ko) 위변조 방지용 엑스레이 감지 잉크
KR100581131B1 (ko) 위변조 방지용 기능성 스티커 라벨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288019A (ja) 不可視情報担持体、不可視情報担持積層体
EP3342601B1 (en) A security document
JP3931548B2 (ja) 隠蔽情報形成体
KR200387504Y1 (ko) 투명칼라야광 포토크로믹 인쇄물
KR100282084B1 (ko) 위.변조 방지용 보안필름의 제조방법
CN101089919A (zh) 含有荧光粉油墨的印刷品及其制造方法
JP2019018507A (ja) 証券
KR100775713B1 (ko) 다양한 보안요소를 가지는 위·변조방지형 박막필름
JP2019018509A (ja) 証券
JP4115149B2 (ja) 不可視情報記録用インキ
JP2008149591A (ja) 可逆性熱変色インキの印刷方法
KR20040060393A (ko) 침투형 잉크 조성물
JP2018043449A (ja) 水発色シート
JP2003285526A (ja) 不可視情報の記録方法
PL70490Y1 (pl) Dokument zabezpieczony
JP2002293070A (ja) スクラッチ隠蔽層付情報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