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457A -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 Google Patents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457A
KR20110118457A KR1020100038066A KR20100038066A KR20110118457A KR 20110118457 A KR20110118457 A KR 20110118457A KR 1020100038066 A KR1020100038066 A KR 1020100038066A KR 20100038066 A KR20100038066 A KR 20100038066A KR 20110118457 A KR20110118457 A KR 20110118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hamfering
area
retainer
g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근
차철환
Original Assignee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플러코리아(유) filed Critical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to KR1020100038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8457A/ko
Priority to JP2010179221A priority patent/JP5279093B2/ja
Priority to CN201010260968.XA priority patent/CN102072255B/zh
Priority to US12/856,572 priority patent/US20110123143A1/en
Priority to DE102010034254A priority patent/DE102010034254B4/de
Publication of KR20110118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4617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rollers, e.g. machined window cages
    • F16C33/4623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rollers, e.g. machined window cages formed as one-piece cages, i.e. monoblock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3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49Cages for rollers or needles comb-shaped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테두리, 하부 테두리, 각각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테두리와 상기 하부 테두리 사이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며 각각 롤러를 수용하는 다수의 롤러 수용창, 및 상기 상부 테두리와 상기 하부 테두리에 각각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결되는 구조로 상기 다수의 롤러 수용창 사이사이에 배열되는 다수의 창살을 구비하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창살은 각각의 롤러가 위치되는 각 측면 모서리를 경사지게 형성한 면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면취부는, 상기 롤러와 직접 접촉하도록 소정구간의 제1 면취영역, 및 상기 제1 면취영역보다 오목하게 형성되어 롤러와 이격되어 공급되는 윤활유가 통과되는 나머지 구간의 제2 면취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창살과 롤러 간의 접촉면적 감소를 통해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윤활유의 유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어 롤러의 마찰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어링 토크와 진동을 감소시킴은 물론, 마모와 소음을 감소시켜 베어링 성능 향상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Retainer for Roller Bearing}
본 발명은 롤러베어링용 리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와 접촉하는 면적을 감소시켜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윤활유의 유동을 안내하여 원활히 유동시킴에 따라 마찰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어링 토크와 진동을 감소시킴은 물론, 마모와 소음을 감소시켜 베어링 성능 향상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어링은 크게 슬라이딩 베어링, 볼 베어링, 롤러 베어링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들 중 상대적으로 회전속도가 저속이며, 지지하중이 크고, 강한 충격이 작용하는 경우에 널리 사용되는 롤러 베어링은 그 형태에 따라 원통형 롤러 베어링, 테이퍼 롤러 베어링, 니이들 베어링, 구면 롤러 베어링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테이퍼 롤러 베어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리테이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퍼 롤러 베어링(1)은 내측 레이스(10), 외측 레이스(20),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롤러(30) 및 리테이너(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에서, 리테이너(50)는 롤러(30)를 내측 레이스(10)와 외측 레이스(20) 사이의 원주면 전체에 고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롤러(30) 상호 간의 접촉을 막아 이로 인한 마모나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리테이너(5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뿔대 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며, 대직경의 상부 테두리(45)와 소직경의 하부 테두리(55) 사이에 둘레를 따라 다수의 장방형 롤러 수용창(75)과 이 롤러 수용창(75)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창살(65)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각 롤러 수용창(75)은 상부 테두리(45), 하부 테두리(55) 및 양측의 창살(65)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롤러 수용창(75)에 각각 롤러(3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인접한 롤러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격리된 상태에서 구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창살(65)의 양측면 모서리-롤러(30)를 향하는 내측 모서리-에는 면취부(67)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 면취부(67)는 양측면의 중심을 향해 일정 경사지게 형성되어 롤러(30)와 접촉됨은 물론, 롤러(30)가 롤러 수용창(75)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면취부(67)가 형성된 창살(65)의 단면은 외측면과 내측면이 라운드진 6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다수의 롤러(30)를 수용한 리테이너(50)는 내측 레이스(10) 및 외측 레이스(20) 사이에 구비된 후, 윤활유가 공급되어 마찰력과 열을 최소화시키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각 롤러(30)는 그 외주면이 면취부(67)와 접촉됨에 따라 면취부(67)에 넓은 접촉면적을 갖게되어 베어링 토크와 진동이 상당히 클 수밖에 없었다.
또한 내측 레이스(10)와 리테이너(50) 사이의 공간을 내측공간, 외측 레이스(20)와 리테이너(50) 사이의 공간을 외측공간으로 정의할 때, 롤러(30)가 면취부(67)와 접촉됨에 따라 롤러 수용창(75)과 롤러(30)사이로 윤활유가 쉽게 유동되지 못한다. 다시 말해서 내측공간에서 외측공간으로 윤활유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다. 일반적으로 외측공간에 유입된 오일은 쉽게 베어링 외부로 배출되지만, 내측공간으로 유입된 오일은 내륜의 큰턱(11)으로 인해 쉽게 배출되지 못하고 내측공간에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내측공간에 정체되는 윤활유의 교반저항(stirring resistance)으로 인해 토크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윤활유 정체 현상이 지속될 경우, 롤러(30)와 리테이너(50) 등의 마찰력과 마찰열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마모가 증가되며, 마모된 마모물은 롤러(30)와 리테이너(50) 및 내측 레이스(10)와 외측 레이스(20)의 마모율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함에 따라, 그리고 정체된 윤활유에 의하여 베어링 토크와 진동이 증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베어링 토크와 진동이 크다는 것은 구동축과 같은 기계요소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사용되는 베어링의 성능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함과 더불어, 사용중 리테이너에 과도하게 하중이 집중될 수 있음에 따라 리테이너가 파손되는 등의 이유로 수명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함에 따라 큰 문제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롤러가 접촉되는 창살의 각 측면 모서리를 경사지게 형성한 면취부가 형성되고, 이 면취부를 제1 면취영역와 제2 면취영역으로 돌출높이를 다르게 형성함에 따라 롤러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며, 윤활유가 유동될 수 있다.
특히, 제1 면취영역과 제2 면취영역은 단차를 갖되, 각 제1 면취영역의 상단 및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면취부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진 경사단부가 형성되어 내측공간에서 외측공간으로 윤활유를 안내함에 따라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와 리테이너 사이의 마찰력 및 마찰열을 감소시켜 베어링 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테두리, 하부 테두리, 각각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테두리와 상기 하부 테두리 사이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며 각각 롤러를 수용하는 다수의 롤러 수용창, 및 상기 상부 테두리와 상기 하부 테두리에 각각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결되는 구조로 각 롤러 수용창 사이에 배열되는 다수의 창살을 구비하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창살은 내측 모서리를 경사지게 형성한 면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면취부는 상기 롤러와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된 제1 면취영역과 상기 제1 면취영역보다 오목하게 형성되어 롤러와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제2 면취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면취영역과 제2 면취영역은 단차를 갖되, 상기 제1 면취영역의 상단 및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면취부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진 경사단부가 형성되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면취영역은 각 면취부에 두 개 이상 형성되고 제1 면취영역의 하단에 경사단부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경사단부는 상기 면취부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면취영역은 각 면취부에 두 개 이상 형성되고 제1 면취영역의 상단에 경사단부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경사단부는 상기 면취부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면취영역은 각 면취부에 두 개 이상 형성되고 제1 면취영역의 상단과 하단에 경사단부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경사단부는 상기 면취부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면취영역은 상기 면취부의 길이 방향과 두께 방향을 따라 곡률을 갖도록 돌출되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면취영역은 상기 면취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곡률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면취영역과 연결된 상기 제1 면취영역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경사단부가 형성되되, 상기 경사단부는 상기 면취부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면취영역은 상기 상부 테두리와 하부 테두리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축선과 창살의 폭방향 중심을 지나는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면취영역보다 큰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에 의하면, 창살과 롤러 간의 접촉면적 감소를 통해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윤활유의 유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어 롤러의 마찰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어링 토크와 진동을 감소시킴은 물론, 마모와 소음을 감소시켜 베어링 성능 향상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테이퍼 롤러 베어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리테이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면취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면취부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면취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반구형상을 갖는 면취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반원기둥형상을 갖는 면취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반원기둥형상을 갖는 면취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면취부 평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4(b)의 Ⅰ-Ⅰ방향을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이라 하고, 도4(b)의 Ⅱ-Ⅱ방향을 면취부(155)의 길이 방향이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면취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면취부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면취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반구형상을 갖는 면취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반원기둥형상을 갖는 면취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반원기둥형상을 갖는 면취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면취부 평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100)는 상부 테두리(110)와 하부 테두리(120), 롤러 수용창(130) 및 창살(150)로 구성된다.
상부 테두리(110)와 하부 테두리(12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리테이너(100)의 상부와 하부를 형성하고, 이 상부 테두리(110)와 하부 테두리(120) 사이에 다수의 롤러 수용창(130)이 형성되고 창살(150)이 구비된다.
먼저, 롤러 수용창(130)은 각각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테두리(110)와 하부 테두리(120) 사이에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며 각각에 롤러(30)가 수용된다.
그리고 창살(150)은 상부 테두리(110)와 하부 테두리(120)에 각각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결되는 구조로, 다수의 롤러 수용창(130) 사이사이에 배열되어 롤러(30)를 수용하는 것이다.
이때, 도 3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창살(150)은 각각의 롤러(30)가 위치되는 각 측면 모서리를 경사지게 형성한 면취부(155)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 면취부(155)는 롤러(30)와 접촉하게 된다.
다시 말해, 면취부(155)는 롤러를 향하는 내측 모서리 양측에 형성된다.
이 면취부(155)는 제1 면취영역(151)과 제2 면취영역(153)으로 구성되며, 제1 면취영역(151)은 롤러(30)와 직접 접촉하도록 면취부(155)의 소정구간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면취영역(153)은 제1 면취영역(151)보다 오목하게 형성되어 롤러(30)와 이격되어 롤러(30)와 제2 면취영역(153)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면취영역(151)은 각 창살(150)이 가지는 양측의 면취부 중 어느 하나의 면취부(155)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 다른 하나의 면취부(155)에도 제1 면취영역(15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각 면취부(155)에 형성된 제1 면취영역(151)은 각 창살(150)이 가지는 양측의 면취부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실시 예를 도시하였으며, 경우에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이때 제1 면취영역(151)과 제2 면취영역(153)은 불연속적인 또는 불연속적인 단차를 갖되, 각 제1 면취영역(151)의 상단 및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진 경사단부(152)가 형성된다.
먼저, 경사단부(152)의 일 실시 예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면취영역(151)은 두 개 이상 형성되고, 그 사이 및 상하측에 제2 면취영역(15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면취영역(153)은 제1 면취영역(151) 사이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 면취영역(151)의 하단에 경사단부(152)가 각각 형성되되, 이 경사단부(152)는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진다.
도 4의 (a)는 경사단부(152)가 상향 경사진 것으로, 하부 테두리(120)의 내 외측으로 공급되는 윤활유 중 내측으로 유입된 윤활유 일부가 원심력에 의하여 외향 유동할 때, 경사단부(152)에 의해 내측으로 다시 유동되도록 안내됨에 따라 리테이너(100) 내측에서 윤활유를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의 (b)는 경사단부(152)가 하향 경사진 것으로, 하부 테두리(120)의 내 외측으로 공급되는 윤활유 중 내측으로 유입된 윤활유 일부가 원심력에 의하여 외향 유동할 때, 경사단부(152)에 의해 외측으로 안내됨에 따라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단부(152)가 상향 경사지거나 하향 경사지는 것은, 윤활유의 점성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윤활유가 오일과 유사한 점성을 갖는다면, 경사단부(152)는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윤활 오일의 경우, 롤러(30)와 내측 레이스(10) 및 외측 레이스(20) 사이를 신속하게 통과하면서 내측에서 머무르지 않게 되므로 마찰력과 마찰열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오일을 리테이너(100)의 외측으로 안내하게 된다.
반면에, 윤활유가 그리스와 유사한 점성을 갖는 경우, 경사단부(152)는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그리스의 경우, 신속한 통과가 아닌 그 내부에서 유동이 활성화되어야 됨에 따라 그리스를 롤러(30)와 내측 레이스(10) 사이로 안내하여 유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면취영역(151)은 두 개 이상 형성되고, 그 사이 및 상하측에 제2 면취영역(15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면취영역(153)은 제1 면취영역(151) 사이에서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제1 면취영역(151)의 상단에 경사단부(152)가 각각 형성되되, 이 경사단부(152)는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다.
이러한 경사단부(152)는 하향 경사진 것으로, 하부 테두리(120)의 내 외측으로 공급되는 윤활유 중 내측으로 유입된 윤활유 일부가 경사단부(152)에 의해 외측으로 안내됨에 따라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면취영역(151)은 두 개 이상 형성되고, 그 사이 및 상하측에 제2 면취영역(15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면취영역(153)은 제1 면취영역(151) 사이에서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제1 면취영역(151)의 상단과 하단에 경사단부(152)가 각각 형성되되, 이 경사단부(152)는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진다.
먼저, 도 6의 (a)는 제1 면취영역(151)의 상단 경사단부(152)가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고, 하단 경사단부(152)는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다.
이는, 하부 테두리(120)의 내 외측으로 공급되는 윤활유 중 내측으로 유입된 윤활유 일부가 외측으로 유동할 때 하단 경사단부(152)에 의해 다시 내측으로 유동되어 내측의 윤활유의 유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b)는 제1 면취영역(151)의 상단 경사단부(152)가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고, 하단 경사단부(152)는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다.
하부 테두리(120)의 내 외측으로 공급되는 윤활유 중 내측으로 유입된 윤활유 일부가 경사단부(152)에 의해 외측으로 안내됨에 따라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이는, 하부 테두리(120)의 내 외측으로 공급되는 윤활유 중 내측으로 유입된 윤활유 일부가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유동할 때, 상단 경사단부(152)와 하단 경사단부(152)에 의해 외측으로 안내됨에 따라 원활하게 유동시켜 내측에서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면취영역(151')은 면취부(155')의 길이 방향과 두께 방향을 따라 곡률을 갖도록 돌출되되, 중앙부가 가장 돌출되어 롤러(30)와 접촉된다.
이러한 제1 면취영역(151')은 두 개 이상 형성되고, 그 사이 및 상하측에 제2 면취영역(153')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면취영역(151')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며, A-A단면과 B-B단면은 그 단면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반구형상은 반타원구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반구 또는 반타원구형상으로 형성된 제1 면취영역(151')은 롤러(30)와 점접촉하게 되어 마찰력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윤활유가 유동되는 제2 면취영역(153')를 최대화시킬 수 있어 베어링 토크와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면취영역(151")은 면취부(15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곡률을 갖고 두께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롤러(30)와 접촉된다.
이러한 제1 면취영역(151")은 두 개 이상 형성되고, 그 사이 및 상하측에 제2 면취영역(15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면취영역(153")은 제1 면취영역(151") 사이에서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면취영역(151")은 반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롤러(30)와 접촉하게 되어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베어링 토크와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 면취영역(151")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면취영역(153")과 연결된 상단부과 하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경사단부(152")가 형성된다. 기둥형상의 제1 면취영역(151")에서 가장 돌출된 부분을 중심으로 해서, 상부로 형성되는 면을 상단부, 하부로 형성되는 면을 하단부라 한다.
이 경사단부(152")는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a)의 경우, 경사단부(152")는 제1 면취영역(151")의 하단에 형성되되,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하부 테두리(120)의 내 외측으로 공급되는 윤활유 중 내측으로 유입된 윤활유 일부가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유동될 때, 경사단부(152")에 의해 다시 내측으로 안내됨에 따라 내측에서 윤활유의 유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b)의 경우, 경사단부(152")는 제1 면취영역(151")의 하단에 형성되되,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하부 테두리(120)의 내 외측으로 공급되는 윤활유 중 내측으로 유입된 윤활유 일부가 경사단부(152")에 의해 외측으로 안내됨에 따라 외측으로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c)의 경우, 경사단부(152")는 제1 면취영역(151")의 상단에 형성되되,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하부 테두리(120)의 내측으로 유입된 윤활유 일부가 경사단부(152")에 의해 외측으로 안내됨에 따라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d)의 경우, 경사단부(152")는 제1 면취영역(151")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되,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하부 테두리(120)의 내 외측으로 공급되는 윤활유 중 내측으로 유입된 윤활유 일부가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유동될 때, 경사단부(152")에 의해 다시 내측으로 안내됨에 따라 내측에서의 윤활유의 유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e)의 경우, 경사단부(152")는 제1 면취영역(151")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되, 면취부(155")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하부 테두리(120)의 내 외측으로 공급되는 윤활유 중 내측으로 유입된 윤활유 일부가 경사단부(152")에 의해 외측으로 안내됨에 따라 외측으로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단부(152")의 경사방향은 윤활유의 점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윤활유가 그리스의 점성에 가까울 경우, 경사단부(152")는 상향 경사져 내측의 그리스를 다시 내측으로 안내하여 내측에서 윤활유의 유동을 활성화시킨다.
반면에, 윤활유가 오일의 점성에 가까울 경우, 경사단부(152")는 하향 경사져 내측의 오일을 외측으로 원활히 유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면취영역(153)은 제1 면취영역(151)과 다른 경사각도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 테두리(110)와 하부 테두리(120)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축선과 창살(150)의 폭방향 중심을 지나는 연장선을 기준으로 제1 면취영역보다 큰 경사각으로 형성된다.
이는, 윤활유의 유동통로를 확보할 수 있어 롤러(30)와 리테이너(100) 사이의 마찰력과 마찰열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베어링 토크와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10 : 내측 레이스 20 : 외측 레이스
30 : 롤러 100 : 리테이너
110 : 상부 테두리 120 : 하부 테두리
130 : 롤러 수용창 150 : 창살
155, 155', 155" : 면취부 151, 151', 151" : 제1 면취영역
152, 152', 152" : 경사단부 153, 153', 153" : 제2 면취영역

Claims (6)

  1. 상부 테두리, 하부 테두리, 각각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테두리와 상기 하부 테두리 사이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며 각각 롤러를 수용하는 다수의 롤러 수용창, 및 상기 상부 테두리와 상기 하부 테두리에 각각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결되는 구조로 각 롤러 수용창 사이에 배열되는 다수의 창살을 구비하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창살은 내측 모서리를 경사지게 형성한 면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면취부는 상기 롤러와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된 제1 면취영역과 상기 제1 면취영역보다 오목하게 형성되어 롤러와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제2 면취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취영역과 제2 면취영역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베어링용 리테이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취영역과 제2 면취영역이 만나는 부분의 하나 이상에는 상기 면취부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진 경사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취영역은,
    상기 면취부의 길이방향과 두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 방향 이상에는 곡률을 갖도록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취영역과 연결된 상기 제1 면취영역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경사단부가 형성되되, 상기 경사단부는 상기 면취부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취영역은,
    상기 상부 테두리와 하부 테두리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축선과 창살의 폭방향 중심을 지나는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면취영역보다 큰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KR1020100038066A 2009-11-24 2010-04-23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KR20110118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066A KR20110118457A (ko) 2010-04-23 2010-04-23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JP2010179221A JP5279093B2 (ja) 2009-11-24 2010-08-10 ローラーベアリング用リテーナー
CN201010260968.XA CN102072255B (zh) 2009-11-24 2010-08-13 滚柱轴承保持器
US12/856,572 US20110123143A1 (en) 2009-11-24 2010-08-13 Retainer for roller bearing
DE102010034254A DE102010034254B4 (de) 2009-11-24 2010-08-13 Käfig für ein Rollenla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066A KR20110118457A (ko) 2010-04-23 2010-04-23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457A true KR20110118457A (ko) 2011-10-31

Family

ID=4503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066A KR20110118457A (ko) 2009-11-24 2010-04-23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84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443B1 (ko) * 2013-11-18 2015-04-07 제일베어링공업(주) 롤러 베어링 케이지
KR20160120097A (ko) * 2015-04-07 2016-10-17 한국철도공사 돌기가 구비된 도시철도차량 차축베어링용 케이지
KR20170139244A (ko) 2016-06-09 2017-12-19 한국철도공사 윤활성능을 고려한 도시철도차량 차축베어링용 케이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443B1 (ko) * 2013-11-18 2015-04-07 제일베어링공업(주) 롤러 베어링 케이지
KR20160120097A (ko) * 2015-04-07 2016-10-17 한국철도공사 돌기가 구비된 도시철도차량 차축베어링용 케이지
KR20170139244A (ko) 2016-06-09 2017-12-19 한국철도공사 윤활성능을 고려한 도시철도차량 차축베어링용 케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9093B2 (ja) ローラーベアリング用リテーナー
US9267543B2 (en) Cage unit and tapered roller bearing equipped with cage unit
EP2711571A2 (en) Rolling bearing with lubricant pockets in the raceway
US9140303B2 (en) Cage for a roller bearing and roller bearing
KR102348951B1 (ko) 롤링 베어링
EP1947356A2 (en) Cage for rolling bearing and rolling bearing having the same
US10247234B2 (en) Bearing
US9829038B2 (en) Bearing and bearing arrangement
KR20110118457A (ko)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JP5332744B2 (ja) 転がり軸受
JP2009204125A (ja) 転がり軸受
JP2010286119A (ja) 玉軸受
US20090162001A1 (en) Tapered Roller Bearing
JP2000320558A (ja) ころ軸受用合成樹脂製保持器
JP2004316670A (ja) ころ軸受用保持器
KR102647697B1 (ko) 텐덤 볼 베어링
JP5348271B2 (ja) 玉軸受
KR101348708B1 (ko) 테이퍼 롤러용 리테이너
US20090028486A1 (en) Tapered roller bearing
US11841051B2 (en) Tapered roller bearing
JP2008064230A (ja) スラスト軸受
CN106194992B (zh) 平面止推轴承
KR20180088100A (ko) 테이퍼 롤러 베어링 및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
JP2007327514A (ja) 玉軸受
JP2007120715A (ja) 円錐ころ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927

Effective date: 2013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