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388A -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388A
KR20110116388A KR1020100035772A KR20100035772A KR20110116388A KR 20110116388 A KR20110116388 A KR 20110116388A KR 1020100035772 A KR1020100035772 A KR 1020100035772A KR 20100035772 A KR20100035772 A KR 20100035772A KR 20110116388 A KR20110116388 A KR 20110116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arative example
sample
weight
ko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9124B1 (ko
Inventor
황정근
안영훈
이건봉
주철규
이근하
주일우
정용철
이범천
Original Assignee
(주)마임
(주)모아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임, (주)모아캠 filed Critical (주)마임
Priority to KR1020100035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12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류, 구기자, 옥죽, 가시오가피, 소나무뿌리, 아사이열매, 진들딸기, 복분자 및 블루베리로 구성된 식물로부터 유익한 활성성분을 추출하여 각종 산화독성 및 광독성 등의 노화인자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한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plants}
본 발명은 식물 복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석류, 구기자, 옥죽, 가시오가피, 소나무뿌리, 아사이열매, 진들딸기, 복분자 및 블루베리로 구성된 식물로부터 유익한 활성성분을 추출하여 각종 산화독성 및 광독성 등의 노화인자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항노화 복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피부의 노화는 그 원인에 따라 크게 내적인 노화(intrinsic aging)와 광노화(photo-aging)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노화과정에서 다양한 물리화학적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내적인 노화는 사람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나타나는 필연적인 현상으로 자유라디칼이라고 하는 활성산소가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산소가 증가되면 인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이 파괴되고, 세포 및 조직이 손상되어 각종 성인병 및 산화독성이 촉진된다. 광노화는 인체 피부가 빛, 주로 자외선에 노출되었을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는 마찬가지로 자유라디칼과 활성산소를 생성시켜 피부암, 광독성, 자기면역장애, 광과민증과 피부노화 등을 유발하게 된다(Norins, J. Invest. Dermatol., 39:445, 1962; Cadenas, Ann. Rev. Biochem., 58:79, 1989). 또한,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노화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특히 단백질의 산화는 피부의 결합조직인 c콜라겐, 히알루론산, 엘라스틴, 프로테오글라이칸, 피브로넥틴 등이 절단되어 심한 과다 염증반응과 피부의 탄력에 지장을 주게 되고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 DNA의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기능 저하의 사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신체의 대사 과정 중 발생하는 자유라디칼이나 자외선 조사에 의해 매개되는 자유라디칼, 활성산소를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고, 또 이미 손상된 세포는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재생화시켜서 세포를 증식시켜야 피부는 빠르게 회복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노화에는 자유라디칼 뿐만 아니라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MMP)라는 효소가 관여하는데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그 합성이 감소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이러한 분해효소가 활성화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세포내에서 활성화가 유도되는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 발현을 조절하거나 그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활성산소종은 에너지가 크고 반응성이 매우 높아 피부의 효소적,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 시스템을 붕괴시켜 피부 노화를 가속시키므로(Yang et al., J. Soc. Cosmet. Sci. Korea, 34:275-286, 2008) 활성산소에 의한 효소적, 비효소적 산화를 조절하는 것 또한 피부 노화방지에 매우 중요하다.
내적인 노화, 광노화에 관계되는 자유라디칼 및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대표적으로 O2(superoxide anion radical), OH(hydroxyl radical), O2(singlet oxygen), H2O2(hydrogen peroxide) 등(A. I. Potapovich et al., J. Biochem., 68:632-638, 2002; Kim et al., J. Soc. Cosmet. Sci. Korea, 34:259-268, 2008)으로 현재까지 이러한 피부노화에 관계되는 활성 산소종을 억제하기 위해 많은 항산화제가 개발되고 있다.
항산화제는 활성산소종의 활동을 저해하는 피부노화방지에 가장 중요한 물질로 그 종류는 크게 합성 항산화제와 천연 항산화제로 나뉜다. 대표적인 합성 항산화제로는 부틸화 히드록시 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 BHT),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를 들 수 있는데, 이들은 피부노화에 관계된 항산화 효과는 좋지만 발암성이 높아 인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Namiki et al., CRC Critical Rev. Food Sci. and Nutr., 29:273-300, 1990). 또한, 이들은 비효소적 항산화 효과에 비해 효소적 항산화 효과가 미미하여(K. Nagendra Prasad et al., Innov. Food Sci. and Emer. Tech., 10:413-419, 2009) 그 응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합성 항산화제의 문제점으로 인해 좀 더 피부 친화적인 천연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식물로부터 많은 항산화제의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K. Nagendra Prasad et al., J. Pharm. and Biomed., 51:471-477, 2010). 하지만 천연 항산화제 또한 효소적 항산화와 비효소적 항산화 효과 모두 충족시키는데 있어서 많은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등록 제0431393호 "매실 및 석류 함유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은 매실 및/또는 석류(매실 및 석류의 혼합 추출물인 경우에는 매실 대 석류의 건조 중량비 1:10 내지 10:1의 비율로 혼합한 후)에 추출용매로서 일반 정제수, 초순수 정제수, 함수 부틸렌글리콜, 함수 에탄올,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및 함수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한가지 이상의 용매를 상기 매실 및 석류 혼합물 부피의 5 내지 15배 가한후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에 관한 것이고, 특허등록 제0821631호 "한방 피부 미용 식품조성물"은 적하수오, 황기, 옥죽, 숙지황, 작약, 당귀, 연자육, 오미자, 산수유, 영지, 백출, 백합, 백복령, 감초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특허등록 제0444599호 "피부자극 및 염증완화 효과를 갖는 라스베리 잎 또는 열매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외용제에 배합되는 다른 조성물과 함께, 라스베리의 일종인 복분자(Rubus coreanum), 멍덕딸기(Rubus idaeus) 및 멍석딸기(Rubus parvifolius)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의 잎 또는 열매 추출물을 0.000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허등록 제0937187호 "복분자주 제조 후 잔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은 세척한 복분자 씨앗을 완전히 건조시켜 파쇄한 잔사를 n-헥산으로 처리하여 오일성분을 제거, 잔사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에탄올 추출물 제거, 오일과 에탄올 추출물이 제거된 잔사에 열수를 가하여 열수추출물을 얻고 이를 농축시키고 동결건조시켜 복분자 잔사 열수 추출물에 코엔자임 Q10,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의 천연 토코페롤, 스쿠알렌,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복분자주를 1,3-부틸렌 글리콜에 녹여 화장품 기재와 섞은 엣센스 및 크림에 관한 것이며, 특허공개 제2009-113724호 "앗싸이 베리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조성물 및 앗싸이 베리의 발효방법"은 앗싸이 베리 추출물을 유산균 또는 효모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발효시키는 방법 및 그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등록 제0193105호는 "옥죽을 포함한 생약재의 추출액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제 조성물"은 한방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생약재인 옥죽, 백합, 작약, 연자육 및 지황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종 이상을 함유하는 혼합약재에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물추출액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특허등록 제0588651호는 "가시오가피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암 또는 두경부암 예방 및 치료제"는 용매로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가시오가피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암 또는 두경부암 예방 및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 복합 추출물에 대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서의 효능을 확인하고, 그 사용 방법을 개발하고, 이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기능성을 갖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물 복합 추출물의 효능을 증대시키기 위한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석류, 구기자, 옥죽, 가시오가피, 소나무뿌리, 아사이열매, 진들딸기, 복분자 및 블루베리로 구성된 식물로부터 유익한 활성성분을 복합 추출물에 대하여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각종 산화독성 및 광독성 등의 노화인자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 효과가 우수하여 화장료로서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특허들은 원료 추출시 열수 추출이나 초음파 추출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자들은 초고압 추출하였을 때 항노화 효과가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좀 더 우수한 기능성 항노화 추출물 및 화장료를 개발하고자, 여러 식물의 항산화 활성을 실험한 결과 효소적 항산화 활성이 좋은 식물인 구기자, 옥죽, 가시오가피, 블루베리와 비효소적 항산화 활성이 좋은 식물인 석류, 복분자, 소나무뿌리, 진들딸기, 아사이열매를 혼합하여 추출하였을 때, 이들 식물을 개별적으로 추출하였을 때보다 효소적 항산화 효과, 비효소적 항산화 효과 모두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각 식물에 대해 살펴본다.
석류는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석류나무과의 낙엽소교목인 석류나무의 과실로 지름은 6~8cm에 둥근 모양이다. 모양은 단단하고 노르스름한 껍질이 감싸고 있으며, 과육 속에는 많은 종자가 있다. 과육은 새콤달콤한 맛이 나고 껍질은 약으로 쓴다. 원산지는 서아시아와 인도 서북부 지역이며 한국에는 고려 초기에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중부와 남부지방에서 정원수와 과수로 재배한다. 주요 성분은 당질(포도당·과당)이 약 40%를 차지하며 유기산으로는 새콤한 맛을 내는 시트르산이 약 1.5% 들어 있다. 수용성 비타민(B1·B2·나이아신)도 들어 있으나 양은 적다. 껍질에는 탄닌, 종자에는 갱년기 장애에 좋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들어 있다.
진들딸기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진들딸기의 열매로 잎은 둥근 심장 모양인데 어긋나고 3~5 갈래로 얕게 갈라졌으며 톱니가 있다. 7~8월에 가지 끝에 흰 오판화(五瓣花)가 한 송이씩 핀다.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주로 스칸디나비아 반도와 북아메리카와 같은 날씨가 추운 지역에서 서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함남의 부전고원에 분포한다. 진한 주황색을 가진 딸기로 클라우드 베리라고도 한다. 그 형태는 라즈베리와 매우 유사하며, 습지와 늪에서 잘 자라는데, 키가 작은 덩굴 식물로서 하얀 꽃이 지고 나면 늦은 여름에 진한 주황색의 열매를 맺게 된다. 맛은 매우 상큼하고 톡 쏘는 향이 있으며, 비타민 C가 많이 들어있어 예부터 북유럽 선원들이 오랫동안 항해에 나갈 때에 괴혈병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즐겨 먹었다고 한다.
복분자는 장미과의 낙엽 관목인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uel)의 채 익지 않은 열매로 만든 약재로 원산지는 한국이며, 다 자라도 대개 3m를 넘지 않는다.생김새는 작은 단과가 여러 개 모여서 덩어리를 이룬 것으로 원추형이나 눌려진 구형을 이루고 있다. 바깥면은 황록색 또는 엷은 갈색을 띠고 끝쪽은 둥근 원형을 이루고 꽃받침의 중심부는 함몰되어 있다. 냄새가 없고 맛은 시고 달며 성질은 따듯하다. 복분자는 신(腎)기능을 북돋아 유정(遺精), 몽정(夢精), 유뇨(遺尿) 등에 사용하며 시력약화에 쓰고 몸을 가볍게 하며 머리를 검게한다. 또한 살결을 부드럽고 아름답게 하기도 한다. 약리작용으로 항염작용, 항산화작용,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작용이 보고되어 있다.
소나무 뿌리는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침엽교목으로 주로 한국, 중국, 북동부, 우수리, 일본등지에 분포한다. 나무 줄기가 붉어서 `적송(赤松)'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주로 내륙 지방에서 자란다고 `육송(陸松)'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여인의 자태처럼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고 `여송(女松)'이라 부르기도 한다. 늘푸른 바늘잎나무로 키는 20~35m에 이른다. 나무껍질은 거북등처럼 세로로 넓게 갈라지며, 줄기 밑은 회갈색이며 윗부분이 적갈색을 띤다. 바늘잎은 8~9cm 길이로 두 개가 한 묶음이 되어 가지에 촘촘히 붙는다. 암수 한그루로 5월 중순에 햇가지에서 꽃이 핀다. 암꽃은 달걀 모양의 자주색으로 새로 자란 가지 끝에 1~3개가 달리며 수꽃은 그 아래 가지 밑 부분에 풀색에 가까운 흰색을 띠며 여러 개가 촘촘히 모여 달린다. 암수 꽃 피는 시기가 약 10일 정도 차이가 나 자가 수정을 막는다. 솔방울 열매는 꽃이 핀 이듬해 9월에 여무는데 길이 4.5cm, 지름 3cm이며 솔방울 조각은 70~100개쯤 된다. 익으면 조각조각 벌어지면서 날개 달린 씨가 나온다. 소나무잎은 싱싱한 것을 따서 쓰는데, 통증과 피를 멎게 하고, 송진은 고약이나 반창고를 만드는 데 쓰는데 염증을 빨리 곪게 하고 고름을 빨아낸다. 송화 가루는 기운을 돋우고 피를 멎게 하고 소나무를 베어내고 7~8년이 지난 뒤에 뿌리에서 외생근균이 자라 버섯이 생기는데 이것을 '복령'이라 하며, 입맛을 돋우고 구역질을 없애 주어 중요한 약재로 썼다. 그 밖에도 소나무 씨앗, 속껍질, 봄에 나는 새순도 약으로 썼다. 소나무 뿌리는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어혈을 없애며 몸 안의 나쁜 것을 없애고 새살을 돋아나게 하는 데 매우 좋은 약재로 알려져 있다.
구기자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낙엽 관목인 구기자 나무의 열매로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이고 길이 1.5∼2.5cm이다. 7월부터 붉게 익어 7∼11월 하순에 수확한다. 종류는 재래종을 비롯하여 청양종, 일본과 중국에서 들여온 일본1호, 중국1호 등이 있다. 충청남도 청양, 보령, 공주, 홍성 등지와 전라남도 진도, 해남에서 주로 재배하며, 일본, 중국에서도 생산한다. 단백, 지방, 당질, 칼슘, 인, 철분, 베타인, 루틴, 비타민(A, B1, B2, C) 등이 들어 있어 흡수가 빠르다. 한방에서는 강장제, 해열제로 쓰고 간기능 보호 작용이 뛰어나 부작용이 별로 없다. 시력을 좋게 하고 당뇨병 등의 성인병을 예방하며 폐와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하고, 들기름과 섞어 숙성해 두었다가 머리에 바르면 흰머리가 생기는 것을 막아 주고 화상에도 효과가 있다.
옥죽은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이명으로 맥도둥굴레, 애기둥굴레, 좀둥굴레, 제주둥굴레 등이 있으며 약재명은 옥죽이다. 산과 들에서 자라며, 굵은 육질의 뿌리줄기는 옆으로 벋고 줄기는 6개의 능각(稜角)이 있으며 끝이 비스듬히 처진다. 높이는 30∼60cm로 잎은 어긋나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퍼진다. 길이 5∼10cm, 나비 2∼5cm로 긴 타원형이고 잎자루가 없다. 생약의 위유는 뿌리줄기를 건조시킨 것이며,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번갈, 당뇨병, 심장쇠약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잎 뒷면에 유리조각 같은 돌기가 있고 꽃의 길이가 2∼2.5cm인 것을 산둥굴레(var. thunbergii), 잎 뒷면 맥 위에 잔 돌기가 많고 꽃이 1∼4개씩 달리는 것을 큰둥굴레(var. maximowiczii), 잎은 길이 16cm, 너비 5cm 정도이고 꽃이 4개씩 달리는 것을 맥도둥굴레(P. koreanum), 전체가 크고 잎 뒷면에 털이 있으며 꽃이 2∼5개씩 달리는 것을 왕둥굴레(P. robustum)라고 한다.
가시오가피는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낙엽 관목으로 가시오갈피나무 또는 가시오가피라고도 한다. 전국 각지의 깊은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잎이 지는 떨기나무이다. 한국(지리산 이북), 일본, 사할린, 중국 동북부, 우수리강 유역에 분포하며 높이는 2∼3m이다. 전체에 가늘고 긴 가시가 빽빽하게 나고 회갈색이며, 특히 잎자루 밑부분에 많은 가시가 있다.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생긴 겹잎이 어긋나게 달리고, 작은 잎은 3∼5개로서 거꾸로 선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표면은 군데군데 털이 있고 뒷면은 어릴 때는 맥 위에 갈색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치아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3∼8cm로 가시가 많다. 꽃은 7월에 연한 자주색이 도는 황색으로 피며, 산형 꽃차례는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거나 또는 밑부분에서 갈라진다. 꽃자루가 갈라지는 곳에 꿀샘이 있다. 암술대는 길이 1∼1.8cm로서 완전히 합쳐지며, 암술머리는 아주 얕게 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8∼10mm로서 9월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오갈피나무속(屬) 식물은 세계에 약 35종이 자라고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오갈피나무, 섬오갈피, 서울오갈피, 지리산오갈피, 털오갈피, 가시오갈피, 왕가시오갈피 등 7종이 자생하는데, 어느 것이든 모두 민간이나 한방에서 중풍이나 허약체질을 치료하는 약으로 써왔다. 인삼보다 좋다는 약용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예로부터 신경통, 관절염, 고혈압, 신경쇠약, 당뇨 및 강장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아사이 열매는 야자나무의 일종인 아사이(Euterpe oleracea)의 열매로서 아마존 유역은 낮은 습지에서 자생하며, 생명수(the tree of life)라고도 불리운다. 아마존 밀림지역에서만 서식하며, 수세기에 걸쳐 아마존 원주민들의 질병 치료와 스태미나 증강에 사용된 것으로 신이 내린 과일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필수지방산인 오메가3, 오메가6, 오메가9가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인데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에 효과적이며, 노화방지, 다이어트효과, 암세포 파괴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세로토닌 등 다양한 여성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블루베리는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관목인 블루베리나무의 열매로 원산지는 북아메리카로 20여 종이 알려져 있고 한국에도 정금나무, 산앵두나무 등이 있으며 모두 열매를 먹을 수 있다. 높이는 5m 내외로 자라는 하이부시베리(high bush berry:V. corymbosum)와 높이가 30cm 내외로 자라는 로부시베리(low bush berry:V. angustifolium var. laevifolium)로 한정된다. 후자는 특히 미국 북동부에서 많이 재배하고 매 3년마다 불로 태우면서 가꾼다. 산성토양에서 잘 자라며, 염기성과 중성토양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다. 번식은 뿌리나누기, 휘묻이, 종자로 하며 중요한 과수의 하나이다. 열매는 거의 둥글고 1개가 1∼1.5g이며 짙은 하늘색, 붉은빛을 띤 갈색, 검은색이고 겉에 흰가루가 묻어 있다. 달고 신맛이 약간 있기 때문에 날것으로 먹기도 하고 잼, 주스, 통조림 등을 만든다. 한국에서 자라는 정금나무의 열매도 개체에 따라서는 열매가 큰 것이 있다. 비타민 및 미네랄이 풍부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주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시켜 뇌졸중 및 심장 혈관계통 질환 발생률을 낮춰주는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은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식물은 석류, 구기자, 옥죽, 가시오가피, 소나무뿌리, 아사이열매, 진들딸기, 복분자 및 블루베리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되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룹의 식물을 전부 포함하여 추출하는 것이 효과면에서 월등히 우수하다. 추출은 통상 열수 또는 에탄올, 에칠아세테이트, 핵산, 디에틸에테르의 가용성 유기용매를 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한다. 초고압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며 초고압 추출시 각종 산화독성 및 광독성 등 노화인자로부터 피부보호 효과가 열수 또는 에탄올, 에칠아세테이트, 핵산 디에틸에테르의 가용성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물보다 우수하다.
초고압 추출이란 물리적으로 100MPa(1,000atm)를 상회하는 압력을 가하여 추출하는 기술을 말하며, 바다 속 10,000m의 압력 하에 물질을 추출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는 추출방법이다. 기존의 열수추출, 초음파추출, 환류추출 등의 추출방법은 추출 수율이 낮고 에너지 소비가 많으며, 열로 인한 유용성분의 파괴 및 단백질 변성, 성분의 손실, 열에 대한 불안정성, 색상 변화 등의 단점이 있는 반면, 초고압 추출은 추출 수율이 높고, 유용성분의 파괴가 적으며, 색상변화, 불쾌취가 적다는 등의 장점을 갖는 유용한 추출방법이다.
본 발명은 식물 복합 건조시료에 용매를 첨가하는 공정;
초고압 기계의 챔버 내에 시료가 함유된 용매를 넣고 100MPa 이상의 초고압을 가하여 추출하는 가압 공정;
상기 추출물을 시료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정제 공정;
상기 정제된 추출물을 동결건조 또는 농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식물 복합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복합 건조시료는 각각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석류 0.01~20.0중량% , 구기자 0.01~20.0중량%, 옥죽 0.01~10.0중량%, 가시오가피0.01~10.0중량%, 소나무뿌리 0.01~10.0중량%, 아사이열매 0.01~10.0중량%, 진들딸기 0.01~10.0중량%, 복분자 0.01~20.0중량%, 블루베리 0.01~10.0중량%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된 식물 복합 시료에 첨가하는 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헥산,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그룹 중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료를 준비하는 공정 이후 글라스 비드, 실리카 비드(silica bead) 또는 해사(sea sand)와 같은 조추출물질을 첨가하는 공정을 부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 복합 추출물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0.0001~2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개선 효과가 거의 없으며, 20.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연고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이들 각 제형에 적합하고 당업계에 주지된 각종의 통상적인 보조제와 담체를 포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류, 구기자, 옥죽, 가시오가피, 소나무뿌리, 아사이 열매, 진들딸기, 복분자 및 블루베리로 이루어진 식물 복합 추출물은 각각 식물을 추출했을 때보다 효소적 항산화 효과, 비효소적 항산화 효과 모두 증가하였으며, 동시에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독성 완화 효과 및 MMP-1 발현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독성 완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자외선 조사 후 MMP-1 발현 억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식물 복합 건조시료의 조성은 전체 추출물 조성을 기준으로 하여 석류 0.5중량%, 구기자 1.5중량%, 옥죽 0.5중량%, 가시오가피 0.5중량%, 소나무뿌리 0.5중량%, 아사이 열매 0.01중량%, 진들딸기 0.5중량%, 복분자 1.0중량%, 블루베리 0.01중량%로 구성하였다.
실시예 1
건조된 식물 복합 시료 30g을 진공백에 담아 물 570g을 첨가한 후 침지 된 시료에 글라스 비드(GHM-30, B&K Media, Korea) 6g을 첨가하였다. 조추출물질 첨가 후 진공기(IS-100, Namwoong, Korea)를 이용하여 진공처리하였다. 그 후 초고압장치(TFS-2L, TOYO KOATSU CO., LTD., Japan)를 이용하여 100MPa(1,000 bar), 25℃, 물(완충용매) 조건으로 1시간 동안 2중 액상 초고압 처리하였다. 초고압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복합 식물 시료 및 조추출 물질과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초고압 식물 복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건조된 식물 복합 시료 30g을 진공백에 담아 물 570g을 첨가한 후 진공기(IS-100, Namwoong, Korea)를 이용하여 진공 처리하였다. 그 후 초고압장치(TFS-2L, TOYO KOATSU CO., LTD., Japan)를 이용하여 100MPa(1,000 bar), 25℃, 물(완충용매) 조건으로 1시간 동안 2중 액상 초고압 처리하였다. 초고압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복합 식물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초고압 식물 복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
건조된 식물 복합 시료 30g을 진공백에 담아 70% 에탄올수용액 570g을 첨가한 후 침지 된 시료에 글라스 비드(GHM-30, B&K Media, Korea) 6g을 첨가하였다. 조추출물질 첨가 후 진공기(IS-100, Namwoong, Korea)를 이용하여 진공 처리하였다. 그 후 초고압장치(TFS-2L, TOYO KOATSU CO., LTD., Japan)를 이용하여 100MPa(1,000 bar), 25℃, 물(완충용매) 조건으로 1시간 동안 2중 액상 초고압 처리하였다. 초고압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복합 식물 시료 및 조추출물질과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 30hPa, 2시간 동안 농축을 실시, 이 농축물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초고압 식물 복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4
건조된 식물 복합 시료 30g을 진공백에 담아 70% 에탄올수용액 570g을 첨가한 후 진공기(IS-100, Namwoong, Korea)를 이용하여 진공 처리하였다. 그 후 초고압장치(TFS-2L, TOYO KOATSU CO., LTD., Japan)를 이용하여 10MPa(1,000 bar), 25℃, 물(완충용매) 조건으로 1시간 동안 2중 액상 초고압 처리하였다. 초고압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복합 식물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 30hPa, 2시간 동안 농축을 실시, 이 농축물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초고압 식물 복합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
건조된 식물 복합 시료 30g을 비이커에 담아 물 570g을 첨가한 후 수조(HB-205WP, Hanbaek, Korea)를 이용하여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 처리하였다. 열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복합 식물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식물 복합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2
건조된 식물 복합 시료 30g을 비이커에 담아 물 570g을 첨가한 후 초음파장치(5510R-DTH, BARANSON, USA)를 이용하여 20kHz, 750W, 25℃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초음파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복합 식물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초음파 식물 복합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3
건조된 석류 시료 30g을 비이커에 담아 물 570g을 첨가한 후 수조(HB-205WP, Hanbaek, Korea)를 이용하여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 처리하였다. 열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석류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석류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4
건조된 구기자 시료 30g을 비이커에 담아 물 570g을 첨가한 후 수조(HB-205WP, Hanbaek, Korea)를 이용하여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 처리하였다. 열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구기자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구기자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5
건조된 옥죽 시료 30g을 비이커에 담아 물 570g을 첨가한 후 수조(HB-205WP, Hanbaek, Korea)를 이용하여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 처리하였다. 열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옥죽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옥죽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6
건조된 가시오가피 시료 30g을 비이커에 담아 물 570g을 첨가한 후 수조(HB-205WP, Hanbaek, Korea)를 이용하여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 처리하였다. 열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가시오가피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7
건조된 소나무뿌리 시료 30g을 비이커에 담아 물 570g을 첨가한 후 수조(HB-205WP, Hanbaek, Korea)를 이용하여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 처리하였다. 열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소나무뿌리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소나무뿌리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8
건조된 아사이열매 시료 30g을 비이커에 담아 물 570g을 첨가한 후 수조(HB-205WP, Hanbaek, Korea)를 이용하여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 처리하였다. 열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아사이열매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아사이열매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9
건조된 진들딸기 시료 30g을 비이커에 담아 물 570g을 첨가한 후 수조(HB-205WP, Hanbaek, Korea)를 이용하여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 처리하였다. 열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진들딸기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진들딸기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0
건조된 복분자 시료 30g을 비이커에 담아 물 570g을 첨가한 후 수조(HB-205WP, Hanbaek, Korea)를 이용하여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 처리하였다. 열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복분자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복분자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1
건조된 블루베리 시료 30g을 비이커에 담아 물 570g을 첨가한 후 수조(HB-205WP, Hanbaek, Korea)를 이용하여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 처리하였다. 열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 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블루베리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블루베리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2
건조된 식물 복합 시료 30g을 둥근 플라스크에 담아 70% 에탄올수용액 570g을 첨가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환류) 처리하였다. 열수(환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복합 식물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 30hPa, 2시간 동안 농축을 실시, 이 농축물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식물 복합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3
건조된 식물 복합 시료 30g을 비이커에 담아 70% 에탄올수용액 570g을 첨가한 후 초음파장치(5510R-DTH, BARANSON, USA)를 이용하여 20kHz, 750W, 25℃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초음파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복합 식물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 30hPa, 2시간 동안 농축을 실시, 이 농축물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초음파 식물 복합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4
건조된 석류 시료 30g을 둥근 플라스크에 담아 70% 에탄올수용액 570g을 첨가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환류) 처리하였다. 열수(환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석류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 30hPa, 2시간 동안 농축을 실시, 이 농축물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석류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5
건조된 구기자 시료 30g을 둥근 플라스크에 담아 70% 에탄올수용액 570g을 첨가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환류) 처리하였다. 열수(환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구기자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 30hPa, 2시간 동안 농축을 실시, 이 농축물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구기자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6
건조된 옥죽 시료 30g을 둥근 플라스크에 담아 70% 에탄올수용액 570g을 첨가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환류) 처리하였다. 열수(환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옥죽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 30hPa, 2시간 동안 농축을 실시, 이 농축물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옥죽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7
건조된 가시오가피 시료 30g을 둥근 플라스크에 담아 70% 에탄올수용액 570g을 첨가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환류) 처리하였다. 열수(환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가시오가피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 30hPa, 2시간 동안 농축을 실시, 이 농축물을 -21 ℃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8
건조된 소나무뿌리 시료 30g을 둥근 플라스크에 담아 70% 에탄올수용액 570 g을 첨가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환류) 처리하였다. 열수(환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소나무뿌리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 30hPa, 2시간 동안 농축을 실시, 이 농축물을 -21 ℃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소나무뿌리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9
건조된 아사이열매 시료 30g을 둥근 플라스크에 담아 70% 에탄올수용액 570 g을 첨가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환류) 처리하였다. 열수(환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아사이열매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 30hPa, 2시간 동안 농축을 실시, 이 농축물을 -21 ℃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아사이열매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20
건조된 진들딸기 시료 30g을 둥근 플라스크에 담아 70% 에탄올수용액 570g을 첨가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환류) 처리하였다. 열수(환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진들딸기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 30hPa, 2시간 동안 농축을 실시, 이 농축물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진들딸기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21
건조된 복분자 시료 30g을 둥근 플라스크에 담아 70% 에탄올수용액 570g을 첨가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환류) 처리하였다. 열수(환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복분자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 30hPa, 2시간 동안 농축을 실시, 이 농축물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복분자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22
건조된 블루베리 시료 30g을 둥근 플라스크에 담아 70% 에탄올수용액 570g을 첨가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열수(환류) 처리하였다. 열수(환류) 처리가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Korea)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블루베리 시료와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추출물을 0.8㎛, 0.45㎛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 30hPa, 2시간 동안 농축을 실시, 이 농축물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열수 블루베리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추출수율 비교
본 발명의 추출방법에 따른 식물 복합 추출물 및 각 식물 추출물의 수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건조 시료 투입량 대비 추출물 수득량을 통해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2의 추출물 수율 비교를 수행하였다.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수율(%)
물 용매 70 % 에탄올수용액 용매
초고압 추출(조추출물질 첨가) 실시예1 8.3 ± 1.2 실시예3 7.3 ± 0.9
초고압 추출 실시예2 7.5 ± 0.8 실시예4 5.6 ± 0.7
열수(환류) 추출 비교예1 5.5 ± 1.1 비교예12 4.5 ± 0.8
초음파 추출 비교예2 4.3 ± 1.8 비교예13 4.4 ± 0.9
석류 비교예3 3.5 ± 1.5 비교예14 3.5 ± 0.6
구기자 비교예4 2.8 ± 0.7 비교예15 3.8 ± 1.4
옥죽 비교예5 3.1 ± 1.1 비교예16 4.2 ± 1.2
가시오가피 비교예6 4.2 ± 1.3 비교예17 3.3 ± 0.4
소나무뿌리 비교예7 2.5 ± 0.4 비교예18 2.9 ± 1.9
아사이열매 비교예8 3.0 ± 1.4 비교예19 3.7 ± 0.7
진들딸기 비교예9 2.2 ± 0.9 비교예20 3.2 ± 0.8
복분자 비교예10 2.9 ± 1.1 비교예21 3.4 ± 1.3
블루베리 비교예11 4.1 ± 0.8 비교예22 3.9 ± 1.5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추출방법에 따른 식물 복합 추출물 및 각 식물 추출물의 수율확인 실험에서 각 식물 추출물보다 식물 복합 추출물이 두 가지 용매 조건에서 모두 더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일반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한 열수(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물보다 초고압 추출물이 두 가지 용매 조건에서 모두 더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초고압 추출시 글라스 비드, 해(사sea sand)와 같은 조추출 물질 첨가시 더욱 수율이 높아져 효율적으로 생산 가능하다.
실험예 2: 성분 확인 및 함량 실험
본 발명에 추출방법에 따른 식물 복합 추출물 및 각 식물 추출물의 주요성분 중 항산화 효과와 관련된 페놀성 물질, 플라보노이드에 대한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추출액 1㎖에 증류수 10㎖을 첨가한 후, 2㎖의 Folin-Ciocalteu phenol reagent(Sigma)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물에 20% 소듐 카보네이트를 2㎖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1시간 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UVT-06685, Thermo max, USA)를 이용하여 68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지표물질은 갈릭산(gallic acid, Sigma, USA)을 사용하였으며, 지표 물질의 농도별 검정곡선을 만들어 각 시료의 흡광도 값을 대입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추출액 1.5㎖에 동량의 메탄올에 용해된 2% AlCl36H2O을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UVT-06685, Thermo max, USA)를 이용하여 36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지표물질은 카테킨(catechin, Sigma, USA)을 사용하였으며, 지표 물질의 농도별 검정곡선을 만들어 각 시료의 흡광도 값을 대입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총 페놀함량 (gallic acid equivalents, mg/g of extract)
물 용매 70 % 에탄올수용액 용매
초고압 추출(조추출물질 첨가) 실시예1 132.5 ± 1.1 실시예3 168.1 ± 3.8
초고압 추출 실시예2 130.2 ± 1.5 실시예4 152.8 ± 4.1
열수(환류) 추출 비교예1 121.9 ± 0.9 비교예12 142.1 ± 3.2
초음파 추출 비교예2 116.8 ± 1.8 비교예13 135.6 ± 6.0
석류 비교예3 110.3 ± 2.3 비교예14 134.8 ± 3.4
구기자 비교예4 85.3 ± 1.6 비교예15 94.5 ± 4.3
옥죽 비교예5 93.9 ± 1.1 비교예16 105.3 ± 3.2
가시오가피 비교예6 95.5 ± 2.4 비교예17 108.9 ± 2.2
소나무뿌리 비교예7 105.3 ± 0.8 비교예18 127.3 ± 1.8
아사이열매 비교예8 101.1 ± 1.6 비교예19 124.8 ± 3.7
진들딸기 비교예9 98.3 ± 0.5 비교예20 110.9 ± 2.5
복분자 비교예10 107.5 ± 0.7 비교예21 130.3 ± 2.1
블루베리 비교예11 91.3 ± 0.9 비교예22 103.8 ± 3.7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catechin equivalents, mg/g of extract)
물 용매 70 % 에탄올수용액 용매
초고압 추출(조추출물질 첨가) 실시예1 110.6 ± 0.8 실시예3 123.1 ± 2.1
초고압 추출 실시예2 105.1 ± 1.8 실시예4 118.3 ± 3.8
열수(환류) 추출 비교예1 102.7 ± 1.2 비교예12 100.2 ± 2.1
초음파 추출 비교예2 100.1 ± 0.6 비교예13 94.6 ± 1.7
석류 비교예3 93.3 ± 1.0 비교예14 91.4 ± 2.4
구기자 비교예4 71.2 ± 2.6 비교예15 73.1 ± 2.5
옥죽 비교예5 75.1 ± 1.8 비교예16 76.3 ± 0.8
가시오가피 비교예6 79.8 ± 1.4 비교예17 80.7 ± 1.6
소나무뿌리 비교예7 89.5 ± 0.4 비교예18 88.7 ± 3.1
아사이열매 비교예8 88.1 ± 1.9 비교예19 83.1 ± 2.8
진들딸기 비교예9 86.3 ± 1.4 비교예20 82.9 ± 1.3
복분자 비교예10 91.8 ± 0.5 비교예21 90.9 ± 1.7
블루베리 비교예11 73.9 ± 1.2 비교예22 74.8 ± 3.4
상기 표 2와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추출방법에 따른 식물 복합 추출물 및 각 식물 추출물의 주요성분 중 항산화 효과와 관련된 페놀성 물질, 플라보노이드에 대한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확인실험 결과, 각 식물 추출물보다 식물 복합 추출물이 두 가지 용매 조건에서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일반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한 열수(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물보다 초고압 추출물이 두 가지 용매 조건에서 모두 더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초고압 추출시 글라스 비드, 해사(sea sand)와 같은 조추출 물질을 첨가할 때 더욱 함량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항산화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상기 식물 복합 추출물 및 각 식물 추출물에 대한 피부 노화개선 효과 검정시험으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유라디칼소거시험(비효소적 항산화 효과시험)과 활성산소소거시험(효소적 항산화 효과시험)을 실시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시험
안정한 DPPH의 흡광도가 540㎚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것을 이용, 자유라디칼인 DPPH가 시료에 의해 소거되어 보라색에서 투명한 색이 될수록 즉, 자유라디칼 소거율이 증가될수록 상기 540㎚ 파장에서 흡광도가 낮아짐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검정시험방법에 의해 진행하였다.
먼저 0.1mM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igma)용액 1 ㎖에 상기의 실시예 1~4, 비교예 1~22 시료를 메탄올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1㎖를 혼합하고, 37℃에서 15분간 방치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UVT-06685, Thermo max, USA)를 이용하여 540㎚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자유라디칼 소거시험에서 대조군은 DPPH 1㎖과 메탄올 1㎖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메탄올 1㎖과 시료 1㎖을 넣어 시료와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계산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서 SC50은 자유라디칼을 50% 소거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이며, 값이 작을수록 항산화활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활성산소 소거시험
잔틴/잔틴산화효소(xanthine/xanthine oxidase, Sigma)의 효소반응에 의한 활성산소 발생을 이용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리움(nitroblue tetrazolium, NBT)의 산화를 이용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활성 산소의 소거능을 알 수 있다.
탄산나트륨(Na2CO3) 2.4㎖, 잔틴(xanthine,Sigma) 0.1㎖, EDTA(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0.1㎖, BSA(bovine serum albumn, Sigma) 0.1㎖, NBT 0.1㎖ 및 시료 0.1㎖을 넣고 볼텍스 믹서(Type 37600 Mixer, Mini mix, USA)를 이용하여 혼합한 후 25℃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 0.1㎖을 넣고 25℃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6mM 구리(CuCl2 )를 넣어 반응을 정지,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UVT-06685, Thermo max, USA)를 이용하여 540㎚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활성산소 소거활성시험에서의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3차 증류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 용액 대신 3차 증류수를 넣어 추출 시료와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수학식 2를 이용하여 활성산소 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서, IC50은 활성산소를 50% 소거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 농도이며, 값이 작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강함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2
상기 실험에 사용한 시료는 각 실시예 1~4와 비교예 1~22에서 수득한 추출물이며,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실험을 하였고 그 결과를 표 4, 표 5에 나타내었다.

자유라디칼 소거시험 (SC50, ug/ml)
물 용매 70 % 에탄올수용액 용매
초고압 추출(조추출물질 첨가) 실시예1 59.3 ± 1.8 실시예3 15.3 ± 0.8
초고압 추출 실시예2 66.6 ± 2.1 실시예4 27.3 ± 1.0
열수(환류) 추출 비교예1 88.3 ± 1.5 비교예12 29.8 ± 0.5
초음파 추출 비교예2 91.3 ± 1.9 비교예13 30.3 ± 1.6
석류 비교예3 105.3 ± 2.5 비교예14 34.8 ± 2.1
구기자 비교예4 221.0 ± 1.5 비교예15 97.4 ± 2.1
옥죽 비교예5 233.5 ± 2.0 비교예16 102.2 ± 1.8
가시오가피 비교예6 290 ± 1.5 비교예17 106.4 ± 3.9
소나무뿌리 비교예7 116.2 ± 2.9 비교예18 39.8 ± 2.7
아사이열매 비교예8 119.3 ± 1.1 비교예19 40.3 ± 1.3
진들딸기 비교예9 131.1 ± 2.8 비교예20 41.2 ± 0.7
복분자 비교예10 110.2 ± 1.6 비교예21 36.1 ± 1.8
블루베리 비교예11 380.8 ± 3.4 비교예22 115.1 ± 3.5

활성산소 소거시험 (IC50, ug/ml)
물 용매 70 % 에탄올수용액 용매
초고압 추출(조추출물질 첨가) 실시예1 113.2 ± 2.1 실시예3 75.3 ± 2.2
초고압 추출 실시예2 123.9 ± 1.3 실시예4 82.8 ± 3.8
열수(환류) 추출 비교예1 144.8 ± 2.9 비교예12 89.1 ± 3.0
초음파 추출 비교예2 146.5 ± 3.7 비교예13 92.3 ± 4.3
석류 비교예3 280.8 ± 5.8 비교예14 239.1 ± 3.1
구기자 비교예4 173.2 ± 0.5 비교예15 111.3 ± 2.7
옥죽 비교예5 166.1 ± 2.9 비교예16 106.2 ± 1.5
가시오가피 비교예6 161.2 ± 4.2 비교예17 103.8 ± 3.0
소나무뿌리 비교예7 350.2 ± 1.8 비교예18 330.7 ± 2.7
아사이열매 비교예8 409.2 ± 2.7 비교예19 371.2 ± 0.9
진들딸기 비교예9 389.2 ± 3.7 비교예20 351.3 ± 1.6
복분자 비교예10 312.3 ± 2.1 비교예21 260.9 ± 1.1
블루베리 비교예11 176.3 ± 3.9 비교예22 128.1 ± 3.8
상기 표 4와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추출방법에 따른 식물 복합 추출물 및 각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실험 결과, 자유라디칼 소거실험(비효소적 항산화 효과실험)에서 석류, 복분자, 소나무뿌리, 진들딸기, 아사이 열매에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각 식물 추출물보다 식물 복합 추출물이 두 가지 용매 조건에서 모두 더 높은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일반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한 열수(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물보다 초고압 추출물이 두 가지 용매 조건에서 모두 더 높은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초고압 추출시 글라스 비드, 사해(sea sand)와 같은 조추출 물질을 첨가할 때 더욱 높아짐을 발견하였다.
활성산소 소거시험(효소적 항산화 효과실험)에서도 가시오가피와 블루베리, 옥죽, 구기자에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각 식물 추출물보다 식물 복합 추출물이 두 가지 용매 조건에서 모두 더 높은 활성산소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일반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한 열수(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물보다 초고압 추출물이 두가지 용매 조건에서 모두 더 높은 활성산소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초고압 추출시 글라스 비드, 사해(sea sand)와 같은 조추출 물질 첨가시 더욱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독성 완화 효과
본 발명의 추출방법에 따른 식물 복합 추출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독성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24-웰 시험 플레이트에 1 X 105개씩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각 웰을 PBS로 1회 세척하고 각 웰에 500㎕의 PBS를 넣었다. 이 섬유아세포에 자외선 B(UVB) 램프(Model : F15T8, UV B 15 W, Sankyo Dennki, Japan)를 이용하여 자외선 10mJ/㎠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세포배양 배지(DMEM에 10% FBS가 첨가된 것) 1㎖을 첨가하였다. 여기에 평가하고자 하는 추출물을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나면 배지를 제거하고, 각 웰 당 세포배양 배지 500㎕ 배지와 MTT 용액(2.5 mg/mL) 60㎕를 넣은 후 2시간 동안 37℃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이소프로판올-HCl(0.04 N)을 500 ㎕씩 넣어주었다. 5분간 진탕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상등액 100㎕씩을 96-웰 시험 플레이트에 옮긴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UVT-06685, Termo max, USA)를 사용하여 565㎚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3에 의해 세포생존율(%)을 측정하고 자외선에 의한 세포독성 완화율은 수학식 4에 의하여 계산하여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세포독성 완화율 (%, 처리농도 0.01 % 기준)
물 용매 70 % 에탄올수용액 용매
초고압 추출(조추출물질 첨가) 실시예1 13.1 실시예3 37.5
초고압 추출 실시예2 10.2 실시예4 28.8
열수(환류) 추출 비교예1 4.6 실시예12 19.3
초음파 추출 비교예2 2.0 실시예13 16.4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처리농도 0.01% 기준으로 일반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한 열수(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물보다 초고압 추출물이 두 가지 용매 조건에서 모두 월등한 세포독성 완화율을 나타내어 자외선에 의한 세포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자외선 조사 후 추출물에 의한 MMP -1 발현억제 평가
본 발명의 추출방법에 따른 식물 복합 추출물의 UV 조사 및 시료 첨가 후 MMP-1 농도를 측정하여 MMP-1 발현억제를 검정하기 위해서 하기와 같이 효소면역분석법(ELISA)을 실시하였다.
UV 챔버를 이용하여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 UVA를 5J/㎠의 에너지로 조사한다. 자외선 조사량과 배양시간은 예비 실험을 통하여 섬유아세포에서 MMP 발현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은박지로 싸서 UVA의 환경에 같은 시간 유지하였다. UVA 방출량은 UV 라디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UVA가 조사되는 동안의 세포는 이전에 분주된 배지 그대로이고 UVA를 조사한 후 샘플이 들어간 배지로 교환하여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회수하여 96-웰에 코팅한다. 일차항체{MMP-1(Ab-5) 단일클론항체와 MMP-2(Ab-3) 단일클론항체}를 처리하고 37℃에서 60분 반응시킨다. 이차항체인 안티마우스 IgG(whole mouse,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d)를 다시 60분 정도 반응시킨 후, 알카린 포스파타제 기질 용액(1㎎/㎖ ρ-nitrophenyl phosphate in diethanolamine 완충용액)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UVT-06685, Termo max, USA)를 사용하여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고, MMP-1 발현 억제 평가를 하기 위해 MMP-1 발현 억제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레티놀을 비교군으로 설정하여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MMP-1 발현 억제율 (%, 처리농도 0.01 % 기준)
물 용매 70 % 에탄올수용액 용매
초고압 추출(조추출물질 첨가) 실시예1 15.8 실시예3 35.4
초고압 추출 실시예2 13.2 실시예4 33.1
열수(환류) 추출 비교예1 10.1 비교예12 25.7
초음파 추출 비교예2 9.9 비교예13 20.0
레티놀 21.1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한 열수(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물보다 초고압 추출물이 두 가지 용매 조건에서 모두 월등한 MMP-1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자외선 조사시에 발현이 유도되는 MMP-1에 대하여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실시예 3의 초고압 추출물은 35% 이상의 억제율을 보였으며, 이는 대조군으로 사용한 레티놀의 억제율인 21%보다 더 우수하였다.
제형실시예 1 및 제형비교예 1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식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한 영양크림의 성분구성을 표 8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성 분 제형 실시예 1 제형 비교예 1
1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2 스테아린산 1.5 1.5
3 세테아릴 알콜 2.2 2.2
4 밀납 1.0 1.0
5 스쿠알란 3.0 3.0
6 경화식물유 1.0 1.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0.6
8 광물유 5.0 5.0
9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0 디메치콘 1.0 1.0
11 트리옥타노인 5.0 5.0
12 베타인 3.0 3.0
13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4 글리세린 5.0 5.0
15 소듐히아루로네이트 3.0 3.0
16 초고압 식물 복합 추출물(시료11) 0.1 -
17 증류수 잔량 잔량
18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제형실시예 2 및 제형비교예 2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식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한 영양크림의 성분구성을 표 9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성 분 제형 실시예 2 제형 비교예 2
1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2 스테아린산 1.5 1.5
3 세테아릴 알콜 2.2 2.2
4 밀납 1.0 1.0
5 스쿠알란 3.0 3.0
6 경화식물유 1.0 1.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0.6
8 광물유 5.0 5.0
9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0 디메치콘 1.0 1.0
11 트리옥타노인 5.0 5.0
12 베타인 3.0 3.0
13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4 글리세린 5.0 5.0
15 소듐히아루로네이트 3.0 3.0
16 초고압 식물 복합 추출물(시료115) 0.1 -
17 증류수 잔량 잔량
18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실험예 6: 초고압 식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한 항노화 효과 평가
상기 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비교예 1, 제형 실시예 2 및 제형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영양크림의 항노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미백효과, 주름개선효과, 피부장벽 손상 개선효과를 검정하였다.
미백효과 측정
기미, 주근깨 및 색소 침착증을 갖고 있는 25세 이상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비교예 1의 영양크림을 12주간 사용하게 한 후 피부색의 변화를 피부색 측정기(CR-410,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 변화(ΔL)를 측정하였다. 총 20명의 평균값을 통하여 계산하였으며, 밝기 변화 값이 높을수록 미백효과가 높음을 의미한다. 실험 결과는 표 10과 같다.
주름개선효과 측정
피부노화가 진행중인 30대 이상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비교예 1의 영양크림을 12주간 양쪽 눈가주름(crow feets) 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4주, 8주, 12주 간격으로 눈가 주름 주형(replica)을 영상분석법으로 피부미세주름측정기(SV-600, C+K, Germany)를 이용하여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피부장벽 손상 개선효과 측정
피부장벽 손상방법으로 아세톤을 도포하였다. 8~12주령의 무모생쥐의 배부에 아세톤을 점적하여 경피수분손실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이 4.0g/㎡/h에 도달하면 상기 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비교예 1의 영양크림을 도포하였다. 경피수분손실량은 C+K사(Cologne, Germany)의 증발계인 Tewameter 210으로 측정하였다. 도포 6시간 경과 후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여 경피수분손실량이 감소되는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피부장벽기능이 회복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효능평가에 사용된 회복율의 계산은 수학식 5와 같이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5
평균값
제형 실시예1 제형 비교예1 제형 실시예2 제형 비교예2
피부색 밝기 변화(L) 4.81 0.38 5.97 1.21
평균값
제형 실시예1 제형 비교예1 제형 실시예2 제형 비교예2
도포 전 331±12 324±21 338±15 335±11
도포 12주 후 255±21 312±19 241±12 325±18
주름깊이 감소율 (%) 23.0 3.7 28.7 3.0
회복율(%) 평균값
제형 실시예1 제형 비교예1 제형 실시예1 제형 비교예2
6시간 경과 회복율(초기TEWL기준) 52 11 58 21
상기 결과와 같이 초고압 복합 식물 추출물이 첨가된 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실시예 2의 영양크림은 초고압 복합 식물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제형 비교 예1 및 제형 비교 예2의 영양크림과 비교하였을 때 미백효과, 주름개선효과 및 피부장벽 손상 후 회복 효과가 월등히 증가하여 항노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화장수 조성물(표 13), 로션 조성물(표 14), 크림 조성물(표 15), 에센스 조성물(표 16), 팩 조성물(표 17)을 예시하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의 통상적인 변화가 가능하다.
번호 성 분 함량(%)
1 정제수 잔량
2 부틸렌글라이콜 5.00
3 초고압 식물 복합 추출물 2.00
4 글리세린 4.00
5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6 카보머 0.10
7 베타인 0.50
8 히아루론산 0.01
9 에탄올 4.00
10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30
11 메칠파라벤 0.10
12 페닐트리메치콘 0.05
13 착향료 미량
14 착색제 미량
번호 성 분 함량(%)
1 정제수 잔량
2 메칠파라벤 0.20
3 초고압 식물 복합 추출물 5.00
4 글리세린 5.00
5 부틸렌글라이콜 7.00
6 카보머 0.10
7 잔탄검 0.05
8 세테아릴알코올 3.00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0
10 프로필파라벤 0.10
11 미네랄 오일 3.00
12 식물성 스쿠알란 3.00
13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3.00
14 알지닌 0.10
15 착향제 미량
번호 성 분 함량(%)
1 정제수 잔량
2 메칠파라벤 0.20
3 초고압 식물 복합 추출물 5.00
4 글리세린 5.00
5 부틸렌글라이콜 7.00
6 카보머 0.20
7 잔탄검 0.08
8 세테아릴알코올 3.00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0
10 베헤닐알코올 2.00
11 수첨레시친 0.20
12 프로필파라벤 0.10
13 미네랄 오일 3.00
14 식물성 스쿠알란 3.00
15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3.00
16 알지닌 0.20
17 착향제 미량
번호 성 분 함량(%)
1 정제수 잔량
2 메칠파라벤 0.20
3 초고압 식물 복합 추출물 5.00
4 히아루론산 0.05
5 부틸렌글라이콜 2.00
6 카보머 0.08
7 잔탄검 0.04
8 세테아릴알코올 0.50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0
10 프로필파라벤 0.10
11 미네랄 오일 1.00
12 식물성 스쿠알란 2.00
13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00
14 알지닌 0.08
15 에탄올 4.00
16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30
17 착향제 미량
번호 성 분 함량(%)
1 정제수 잔량
2 글리세린 10.00
3 초고압 식물 복합 추출물 5.00
4 부틸렌글라이콜 5.00
5 카올린 4.00
6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0
7 사이클로메치콘 1.00
8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1.00
9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0
10 잔탄검 0.10
11 에탄올 3.00
12 메칠파라벤 0.20
13 클로페네신 0.10
14 티타늄디옥사이드 0.50
15 착향료 미량
.

Claims (9)

  1. 석류, 구기자, 옥죽, 가시오가피, 소나무뿌리, 아사이열매, 진들딸기, 복분자 및 블루베리의 식물 복합 추출물로 구성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복합 추출물은 석류 0.01~20.0중량% , 구기자 0.01~20.0중량%, 옥죽 0.01~10.0중량%, 가시오가피0.01~10.0중량%, 소나무뿌리 0.01~10.0중량%, 아사이열매 0.01~10.0중량%, 진들딸기 0.01~10.0중량%, 복분자 0.01~20.0중량%, 블루베리 0.01~10.0중량%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연고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복합 추출물은
    식물 복합 시료에 용매를 첨가는 공정;
    초고압 기계의 챔버내에 시료가 함유된 용매를 넣고, 100MPa 이상의 초고압을 가하여 추출하는 가압 공정;
    상기 추출물을 상기 시료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정제 공정;
    상기 정제된 추출물을 동결건조 또는 농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핵산,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료에 용매를 첨가하는 공정 이후 글라스 비드(glass bead), 실리카 비드(silica bead) 또는 해사(sea sand)와 같은 조추출 물질을 첨가하는 공정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00035772A 2010-04-19 2010-04-19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209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772A KR101209124B1 (ko) 2010-04-19 2010-04-19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772A KR101209124B1 (ko) 2010-04-19 2010-04-19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388A true KR20110116388A (ko) 2011-10-26
KR101209124B1 KR101209124B1 (ko) 2012-12-12

Family

ID=45030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772A KR101209124B1 (ko) 2010-04-19 2010-04-19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1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8782A (zh) * 2016-03-21 2016-06-29 赵洪军 一种花青素膏状面膜的制备方法
KR20220127578A (ko) * 2021-03-11 2022-09-20 (주)또르르 생물전환된 식물 소재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664798B1 (ko) 2023-11-06 2024-05-10 권혜아 아로니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모공개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0726B (zh) * 2019-03-19 2021-11-05 广东芭薇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改善皱纹的皮肤外用组合物及化妆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8782A (zh) * 2016-03-21 2016-06-29 赵洪军 一种花青素膏状面膜的制备方法
KR20220127578A (ko) * 2021-03-11 2022-09-20 (주)또르르 생물전환된 식물 소재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664798B1 (ko) 2023-11-06 2024-05-10 권혜아 아로니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모공개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124B1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63722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75135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49057B1 (ko) 초임계 유체 추출기법을 이용한 오기단 (동충하초, 가시오갈피, 영지버섯, 녹용 및 인삼)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1209124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2657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피부항염증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95577B1 (ko)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21352A (ko) 피부노화 예방 및 미용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그리고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102071218B1 (ko) 사향, 당귀, 산수유, 녹용 및 상황버섯, 영지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56710B1 (ko) 활성물질이 증진된 인삼 꽃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190201B1 (ko) 소나무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1543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