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872A - 다용도 받침대 - Google Patents

다용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872A
KR20110115872A KR1020100035441A KR20100035441A KR20110115872A KR 20110115872 A KR20110115872 A KR 20110115872A KR 1020100035441 A KR1020100035441 A KR 1020100035441A KR 20100035441 A KR20100035441 A KR 20100035441A KR 20110115872 A KR20110115872 A KR 20110115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ariable unit
variable
pedest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964B1 (ko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100035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96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47C4/286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foldable side to side and front to back, e.g. umbrella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means for, or adapted for, inclining the legs of the table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e.g. with adjustable cross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6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means, or adapted, for inclining the legs of the chair or stool for varying height of seat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결정유니트와 상기 위치결정유니트의 둘레를 따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이격되어 고정점을 중심으로 가변유니트가 회전가능토록 각각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가변유니트에는 고정점에서 회전을 방지토록 하는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어 다양한 형상의 악기를 지지함은 물론 의자나 탁자 받침대등의 역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최소의 공간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받침대{a multipurpose support}
본 발명은 위치결정유니트와 상기 위치결정유니트의 둘레를 따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고정점을 중심으로 가변유니트가 회전가능토록 각각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가변유니트에는 고정점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방지토록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어 악기를 지지함은 물론 의자나 탁자 받침대등의 역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최소의 공간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받침대는, 테이블이나 화분 및 악기 등의 중량물을 올려놓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테이블이나 화분 및 악기등의 중량물의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토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받침대의 일 실시예로서 공개실용신안 제1996-9824호에 피아노용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피아노용 의자는, 상부판넬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되면서 그 일단에 지지편이 각각 연결되는 지지대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가 일정각도로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편이 지면이나 상부판넬에 접촉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부판넬을 일정높이에서 지지하여 의자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받침대가 사용되는 다른 일시예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56787호에 화환 지지용 접이식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접이식 받침대는, 3개의 지지다리 상단이 순차로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나사로서 결합되어 각각 회전토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다리에는 제1,2지지대가 고정되어 상호 연결되는 구성으로 3개의 지지다리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지지다리에 화환등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받침대는, 사용 용도가 안정되어 서로 다른 각각의 물체를 지지할 때에는 별도의 받침대를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보관 및 운반시 각 용도에 따른 설계로 그 부피가 증가하여 보관 및 운반이 힘들게 되고, 높이나 지지각도 등의 임의 변환이 힘들게 되어 사용시 제약이 많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이나 악기등의 지지가 가능토록 함은 물론 의자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접철시 부피가 최소화되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각도조절 및 높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안전한 상태로 위치결정이 이루어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상부에 다양한 면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다용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치결정유니트와 상기 위치결정유니트의 둘레를 따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고정점을 중심으로 가변유니트가 회전가능토록 각각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가변유니트에는 고정점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방지토록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용도 받침대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가변유니트는 다수개가 분할되어 연결되는 구성으로 고정수단을 통하여 연결시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되고, 상기 가변유니트의 하단에는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지지판의 고정홈에 위치결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용도 받침대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변유니트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밴드고정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밴드고정홈을 통하여 의자역활을 수행하는 고정밴드를 갖는 밀착부가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용도 받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치결정수단을 원주방향에 복수의 고정홈이 구비되는 제1지지블럭과 상기 고정홈에 대응토록 하면서 회전축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탄성연결되면서 스토퍼를 갖는 제2블럭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다용도 받침대를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가변유니트와 위치결정유니트는 베이링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위치결정유니트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가변유니트가 고정점을 형성하면서 원이나 다각형의 기둥으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받침대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이나 악기등의 지지가 가능토록 함은 물론 의자의 용도로도 사용하고, 접철시 부피가 최소화되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며, 각도조절 및 높이조절이 용이하고, 안전한 상태로 위치결정이 이루어져 신뢰성을 높이며, 상부에 다양한 면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받침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펼침 및 접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고정점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a,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 내지 도9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받침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펼침 및 접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고정점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a,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 내지 도9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받침대(100)는, 위치결정유니트(110)와 상기 위치결정유니트(11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고정점(F)을 중심으로 가변유니트(150)가 회전가능토록 각각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점(F)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가변유니트(150)의 일측에는 고정점(F)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방지토록 위치결정수단(230)이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가변유니트(150)는 다수개가 분할되어 연결되는 구성으로 고정수단(250)을 통하여 연결시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변유니트(150)의 하단에는 고정돌기(155)가 구비되어 지면등에 놓여지는 지지판(210)의 고정홈(215)에 삽입되어 위치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유니트(150)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밴드고정홈(15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밴드고정홈(151)을 통하여 의자역활을 수행하는 밀착부(240)가 장착된다.
즉, 상기 밀착부(240)는, 직물지나 그물망 등으로 이루어져 그 가장자리에 고정밴드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의자의 역활을 수행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가변유니트(150)와 위치결정유니트(110)는 탄력밴드(260)를 통하여 연결되어 확장시 복원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수단(230)은, 원주방향에 복수의 고정홈(231a)이 구비되는 제1지지블럭(231)과 상기 고정홈에 대응토록 하면서 회전축에 스프링(233)을 개재하여 탄성연결되면서 스토퍼(235a)를 갖는 제2블럭(235)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다
계속하여, 상기 가변유니트(150)와 위치결정유니트(110)는 베어링(280)을 통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유니트(110)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가변유니트(150)가 고정점을 형성하면서 연결되는 원이나 다각형의 기둥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변유니트(150)에는 위치결정유니트에 연결되어 자유회전토록 설치되는 ㄷ자 형의 브라켓부재(283)가 구비되어 신속한 결합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위치결정유니트는(110)는, 금속재의 판재로서 그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접촉면(117)이 형성되거나 전체가 블록체로서 이루어지는 가장자리 측면에 접촉면(117)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접촉면(117)에 가변유니트(150)가 각각 회전가능토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유니트(150)는, 단부에 자유이동이 가능토록 캐스터(157)가 더 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1 내지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받침대(100)는, 사각 및 삼각형 등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구비하여 복수의 고정점(F)을 형성하거나, 원형이면서 그 원둘레에 동일간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서로 다른 고정점(F)을 형성토록 위치결정유니트(110)에 적어도 3개 이상의 가변유니트(15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가변유니트(150)는 고정점(F)을 중심으로 위치결정유니트(110)에 각각 연결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고정점(F)에서 각 가변유니트(150)의 단부를 향하여 각 가변유니트(150)사이를 연결되는 고정밴드(241)의 길이가 최대가 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유니트(150)는, 상기 고정점(F)을 중심으로 위치결정유니트(110)에 연결될 때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양측이 대칭 및 비 대칭토록 연결된다.
즉, 상기 위치결정유니트(110)에 각각 연결되는 가변유니트(150)가 동일한 길이 이면서 상기 고정점(F)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각각의 가변유니트(150) 상단이 지지면과 이루는 높이가 동일하게 되어 그 상측에 테이블(T)등을 올려놓을 때 치우침이 방지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유니트(150)는 그 길이가 각각 상이하거나 고정점(F)의 연결위치를 달리하여 위치결정유니트에서 각각 회전될 때 각각의 상단부가 지면과 이루는 높이가 다르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때에도 고정점에서 하단이 이루는 길이는 각각 동일하게 되어 장착시 쓰러짐이 방지토록 된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유니트(11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가변유니트(150)의 회전을 위치결정수단(230)을 통하여 일정위치에서 제어토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위치결정은 가변유니트(150)에 고정되는 밴드고정홈(151)과 이에 지지되는 고정밴드(241)로서 이루어 져 상기 고정밴드(241)를 밴드고정홈(151)에 끼워 가변유니트를 회전시키면 위치결정되어 북(D)등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밴드고정홈(151)에 고정밴드(241)로서 연결되는 밀착부(240)를 연결할 경우 의자 역활을 수행하는 된다.
이때, 상기 밴드고정홈(151)은, 상기 가변유니트(150)의 높이 방향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고정밴드(241)의 장착위치를 조절하면 의자의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한편, 상기 가변유니트(150)의 하단에는 고정돌기(155)가 구비되어 지면에 놓여지는 지지판(210)의 고정홈(215)에 삽입될 때 위치결정되어 각각의 가변유니트가 일정위치에서 견고하게 지지된다.
더하여, 상기 가변유니트(150)는 다수개가 분할되어 연결되는 구성으로 복수의 너트홈 및 이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250)을 통하여 연결되어 너트홈에 고정볼트를 결합하는 구성을 통하여 각각의 가변유니트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가변유니트(150)와 위치결정유니트(110)는 탄력밴드(260)를 통하여 연결되어 확장시 복원토록 되어 보관시 최소의 부피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유니트의 둘레에 연결되는 가변유니트는 위치결정수단(230)은, 원주방향에 복수의 고정홈(231a)이 구비되는 제1지지블럭(231)과 상기 고정홈에 대응토록 하면서 회전축에 스프링(233)을 개재하여 탄성연결되면서 스토퍼(235a)를 갖는 제2블럭(235)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위치결정수단을 통하여 연결되어 별도의 구조물이 없이도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되어 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가변유니트(150)와 위치결정유니트(110)는 베어링(280)을 통하여 연결된 후 지지판이나 고정밴드를 통하여 그 회전각도가 조절토록 된다.
또한, 상기 가변유니트(150)에는 위치결정유니트에 연결되어 자유회전토록 설치되는 ㄷ자 형의 브라켓부재(283)가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부재에 가변유니트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신속한 결합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위치결정유니트는(110)는, 금속재의 판재로서 그 가장자리가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판재 자체의 강도에 의해 가변유니트의 지지가 가능토록 되면서 회전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유니트(150)는, 단부에 자유이동이 가능토록 캐스터(157)가 더 부착되는 구성으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100...받침대 110...위치결정유니트
150...가변유니트 155...고정돌기
210...지지판 233...스프링
235...제2지지블럭 240...직물지
260...탄력밴드

Claims (10)

  1. 위치결정유니트(110)와
    상기 위치결정유니트(110)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는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점(F)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면서 위치결정유니트 보다 길게 형성되는 적어도 3개의 가변유니트(150)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유니트는, 상단에 연결되는 고정밴드(241)를 통하여 위치결정유니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가변유니트의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유니트(150)는, 다수개가 분할되어 수납가능토록 연결되는 구성으로 볼트 및 고정홈으로 이루어진 고정수단(250)을 통하여 연결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유니트(150)의 하단에 고정돌기(155)가 더 구비되어 지지판(210)의 고정홈(215)에 삽입되어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유니트(150)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의 복수개 형성되는 밴드고정홈(151)을 통하여 고정밴드(241)로서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밀착부(240)가 장착되어 의자역활을 수행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유니트(150)와 위치결정유니트(110)는 탄력밴드(260)를 통하여 연결되어 확장시 복원토록 설치되면서 원이나 다각형의 기둥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받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유니트(150)와 위치결정유니트(110)는 고정점에 위치결정수단(230)이 구비되어 일정위치에서 회전이 방지토록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수단(230), 원주방향에 복수의 고정홈(231a)이 구비되는 제1지지블럭(231)과 상기 고정홈에 대응토록 하면서 회전축에 스프링(233)을 개재하여 탄성연결되면서 스토퍼(235a)를 갖는 제2블럭(235)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받침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점은, 베어링이 장착되어 상기 가변유니트(150)와 위치결정유니트(110)가 자유회전토록 설치되면서 가변유니트의 상단에 테이블이 올려지며, 상기 베어링에 장착되면서 가변유니트에 고정되는 ㄷ자형의 브라켓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받침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유니트는(110)는, 금속재의 판재 또는 블록재로서 그 가장자리에 가변유니트(150)가 지지되는 접촉면(117)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받침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유니트(150)는, 단부에 자유이동이 가능토록 캐스터(157)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받침대
KR1020100035441A 2010-04-16 2010-04-16 다용도 받침대 KR101162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441A KR101162964B1 (ko) 2010-04-16 2010-04-16 다용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441A KR101162964B1 (ko) 2010-04-16 2010-04-16 다용도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872A true KR20110115872A (ko) 2011-10-24
KR101162964B1 KR101162964B1 (ko) 2012-07-09

Family

ID=4503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441A KR101162964B1 (ko) 2010-04-16 2010-04-16 다용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9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1202A1 (en) * 2014-02-28 2015-09-03 Cascade Designs, Inc. Mobile piece of furniture, in particular a chair
KR102261923B1 (ko) * 2021-01-06 2021-06-04 김철태 휴대용 나무 안정지지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103Y1 (ko) 2002-10-21 2003-04-08 박선우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100652529B1 (ko) 2006-03-16 2006-12-04 명 수 이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1202A1 (en) * 2014-02-28 2015-09-03 Cascade Designs, Inc. Mobile piece of furniture, in particular a chair
KR102261923B1 (ko) * 2021-01-06 2021-06-04 김철태 휴대용 나무 안정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964B1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1704B1 (en) Rotary positioning table
US9453608B2 (en) Self-leveling utility platform
CA2873031C (en) Adjustable assembly for providing all-terrain support to tables and other structures
US8418982B1 (en) Self supporting table base
US20100294899A1 (en) Standalone, Mobile and Adjustable Stand and Tray
EP1874155A1 (en) Improvements to a table
US20180187826A1 (en) Frame structure, and structure
KR101162964B1 (ko) 다용도 받침대
WO2017108997A1 (en) Adjustable frameworks
KR101583262B1 (ko) 낚시대 받침기구
JPH01303104A (ja) 折畳式テーブル
US9565944B2 (en) Adjustable height furniture and method
US7607397B2 (en) Device for a wiggle-free table
US11864660B1 (en) Adjustable bracket for furniture
US11297935B2 (en) Collapsible table
KR200467083Y1 (ko) 접이식 테이블
KR101654909B1 (ko) 모서리 설치용 가변형 원형 테이블
KR101776195B1 (ko) 접이식 탁자
CN203483045U (zh) 可收合的悬挂桌
EP2770873A1 (en) Support structure for tables and table comprising said support structure
KR200455391Y1 (ko) 다용도 의자
KR200482037Y1 (ko) 상판 크기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KR101565301B1 (ko) 테이블용 다리장치
CN204862073U (zh) 一种多功能转凳
US11129469B2 (en) Collapsible brace member for a furniture suppo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