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103Y1 -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103Y1
KR200310103Y1 KR20-2002-0031393U KR20020031393U KR200310103Y1 KR 200310103 Y1 KR200310103 Y1 KR 200310103Y1 KR 20020031393 U KR20020031393 U KR 20020031393U KR 200310103 Y1 KR200310103 Y1 KR 200310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op plate
upper plate
unit
fold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우
변수경
Original Assignee
박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우 filed Critical 박선우
Priority to KR20-2002-0031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1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1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0Travelling or trunk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cross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4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lexible roll-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91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struts supporting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야외에서 레저나 여행등의 활동을 할 경우 휴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짧은 시간에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다수개의 상판유니트와 상기 상판유니트를 엮는 상판유니트연결끈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이 일정 정도의 압력에 의해 눌려 들어가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2개의 상판지지대와 상기 상판이 결착되는 받침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Portable Folding Table}
본 고안은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저나 여행 등의 활동 중 야외에서 취사를 하거나 준비해 온 음식을 취식할 경우 짧은 시간내에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하게 분해하여 팩킹을 한 뒤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한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야외에서 취사를 할 경우에 식탁이 없이 바닥에 돗자리 등을 깔고, 음식 및 식기를 놓고 식사를 하는 경우가 일반이다.
이러한 야외에서의 식사형태는 취식자로 하여금 음식상을 차리는 데에 곤란함을 느끼게 하거나, 식음을 하는데 있어서도 식기받침대로써의 테이블이 없어 식기가 좌.우로 기울어짐으로 대체로 식기를 손에 받치고 해야 하는 등 많은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주고 있다.
그런데, 현재 야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테이블은 그 부피가 커서 휴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의자까지 같이 휴대해야 그 효용을 제대로 누릴 수 있기에 그 불편함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더욱이, 온돌방 문화에 익숙한 우리나라 국민의 식사방식에도 부응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종래에도 야외용의 테이블에 관한 출원이 다수 있었으나, 휴대가 불편하거나 조립 및 분해가 까다로운 것이 대부분이었고, 가부좌식에 대응할 수 있는 높이가 낮은 밥상형식의 고안은 거의 없었다.
또한, 그 형상이 조악하거나 테이블로서의 견고함이나 안정성, 편리성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레저나 여행등의 활동 중 야외에서 취사를 하거나 준비해 온 음식을 취식할 경우 짧은 시간내에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하게 분해하여 팩킹을 한 뒤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상판유니트와 상기 상판유니트를 엮는 상판유니트연결끈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이 일정 정도의 압력에 의해 눌려 들어가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상판지지대와; 상기 상판이 결착되는 받침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한다.
기술적으로 견고하고, 안정성을 갖춘 구조를 이루고, 접이 방법 및 팩킹방법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한 제고하는 설계에 바탕을 둔 휴대용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제작시에 고안물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의자와 함께 쓸 수 있는 식탁 형식으로 제작할 수 도 있고, 가부좌식에 대응하여 낮은 높이의 밥상형식으로도 제작이 가능하게 설계한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을 접철하는 일시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의 다른 실시예로서 밑에서 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을 접철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유니트 양단 하부에 부속품을 부착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지지대의 4가지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지지대 중 하나의 결합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과 받침대가 체결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유니트 양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1c,1d : 상판 2a,2b,2c,2d : 상판지지대
3a,3b,3c,3d,3e,3f,3g,3h,3i,3j,3k : 받침대
10a,10b,10c,10d,10e,10f,10g : 상판유니트
11a,11b,11c,11d,11e,11f : 유니트마개
12a,12b,12c,12d : 유니트마개머리
13a,13b,13c,13d : 유니트마개끼우개
14a,14b : 연결끈삽입홈
15 : 컵홀더 16 : 컵홀더수납틀
17a,17b : 상판지지대꽃이 18a,18b : 상판연결지지대체결틀
19 : 상판연결고정쇠 20a,20b,20c : 상판유니트연결끈
31a,31b,31c,31d,31e,31f : 상판연결지지대
32a,32b : 상판연결삽입체
33 : 경사지지대
34a,34b,34c,34d,34e : 지지대연결체
35a,35b,35c,35d,35e,35f : 지지대받침체
36 : 상판연결지지대받침체 37 : 연결핀
38a,38b : 지지대 39 : 상판지지대받침체
40a,40b,40c : 걸쇠 41a,41b,41c : 걸쇠걸이
42a,42b : 걸쇠고정부 50 : 중앙지지대
51 : 중앙지지대받침체 52 : 중앙지지대삽입구
60 : 상판연결지지대걸림턱 61 : 경사지지대걸림턱
70 : 상부지지대연결체 71 : 수체결부
72 : 하부지지대연결체 73 : 암체결부
80 : 수평지지대 81 : 수평지지대연결끈
90 : 경사지지대고정대 91 : 수직지지대
92 : 높이조절레버 93 : 힌지
94 : 상판연결지지대고정대 95 : 연결끈 관통구멍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야외에서 레저나 여행 등의 활동을 할 경우 휴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짧은 시간에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한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개의 상판유니트와 상기 상판유니트를 엮는 상판유니트연결끈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이 일정 정도의 압력에 의해 눌려 들어가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상판지지대와; 상기 상판이 결착되는 받침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이다.
여기서, 상판, 상판지지대, 받침대 및 기타 부속물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기타 금속재질, PVC, 플라스틱류, 목재 등 다양한 재질 중 선택하여 가공하여 제작 가능하다.
또한, 상판유니트연결끈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제작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판(1a)을 구성하는 상기 상판유니트(10a)는 각각 一자 형상의 납작하고 긴직육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상판유니트(10a)의 폭이 좁은 양측면에 관통구멍이 있는 유니트마개머리(12a)와, 유니트마개끼우개(13a)가 형성된 유니트마개(11a)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유니트연결끈(20a)이 유니트마개머리(12a)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다수개의 상판유니트(10a)를 엮어 하나의 상판(1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a)은 지그재그 형식으로 접철하여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의 다른 실시예로서 밑에서 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판(1b)을 구성하는 상기 상판유니트(10b)는 각각 ㅡ자 형상의 납작하고 긴 직육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상판유니트(10b)의 폭이 좁은 양측면에 관통구멍이 없는 유니트마개머리(12b)와, 유니트마개끼우개(13b)가 형성된 유니트마개(11b)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유니트연결끈(20b)이 상기 상판유니트(10b) 하부의 소정위치에 리벳이나 나사 또는 기타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다수개의 상판유니트(10b)를 엮어 하나의 상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b)은 말아서 접철하여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기 상판(1c)을 구성하는 상기 상판유니트(10c,10d)는 각각 一자 형상의 납작하고 긴 직육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의 양쪽 끝을 이루는 2개의 상판유니트(10c) 측면의 일측에 연결끈삽입홈(14a)이 형성되고, 나머지 상판유니트(10d) 각각의 양측면에 상기 연결판삽입홈(1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상판유니트(10c,10d)의 폭이 좁은 양측면에 유니트마개머리(12c)와 유니트마개끼우개(13c)와 연결끈삽입홈 (14b)이 있는 형성된 유니트마개(11c)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유니트연결끈(20c)이 상기 상판유니트(10c,10d)와 유니트마개(11c)에 형성된 연결끈삽입홈(14a,14b)에 끼워져 다수개의 상판유니트(10c,10d)를 엮어 하나의 상판(1c)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기 상판(1d)을 구성하는 상기 상판유니트(10e,10f,10g)의 평면도를 보면 각각 ㅡ자 형상의 긴 직사각형이지만, 상판의 양쪽 끝을 이루는 2개의 상판유니트(10f,10g)를 제외한 각각의 상판유니트(10e)의 측면은 요철 형상을 띠고 있어 일측은 수놈이고 다른 일측은 암놈이 되어 서로 맞물리며, 상기 상판의 양쪽 끝을 이루는 2개의 상판유니트(10f,10g) 중 하나는 측면의 일측이 암놈으로 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평평하고, 다른 하나는 측면의 일측이 수놈으로 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평평하게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상판유니트(10e)의 폭이 좁은 양측면에 유니트마개머리(12d)와, 유니트마개끼우개(13d)가 형성되고, 측면이 일측은 수놈이고 다른 일측은 암놈인 요철형상으로 되어 있는 유니트마개(11d)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의 양쪽 끝을 이루는 2개의 상판유니트(10f,10g)에 하나는 측면의 일측이 암놈으로 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평평한 유니트마개(11e)가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측면의 일측이 수놈으로 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평평한 유니트마개(11f)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유니트연결끈(20b)이 상기 상판유니트 하부의 소정위치에 리벳이나 나사 또는 기타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다수개의 상판유니트(10e,10f,10g)를 엮어 하나의 상판(1d)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유니트 양단하부에 부속품을 부착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상판유니트 중에서 양측 끝에 위치한 각기 2개의 상판유니트 하부에 각각 컵홀더수납틀(16)에 의해 지지되는 1개씩의 컵홀더(15)와 2개씩의 상판지지대꽃이(17a) 및 2개씩의 상판연결지지대체결틀(18a)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상판지지대꽃이(17a)의 일측에 구멍이 있어 상기 상판지지대(2a)를 꽂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지지대의 4가지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지지대 중 하나의 결합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기 상판지지대꽂이(17b)를 일정 정도의 탄성이 있는 반고리형상받침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판지지대(2b)의 양단부분을 가운데가 오목한 실패모양으로 형성하여, 상판지지대꽂이(17b)에 상판지지대(2b)를 옆에서 끼워 꽂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과 받침대가 체결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이 때 지지대연결체(34a)는 상판의 중심 하부에 위치한다.
첨부한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받침대(3a)에 상기 상판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해 주면서 상기 상판연결지지대체결틀(18a)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에 상판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상판연결삽입체(32a)가 상단 소정부분에 형성된 4개의 상판연결지지대(31a)와 사각뿔 형상의 틀을 구성하면서 상판의 중심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면서 상판을 지지할 수 있는 4개의 경사지지대(33)와 상기 경사지지대(33)의 꼭지점 위치에서 4개의 경사지지대(33)를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면서 고정시켜주는 지지대연결체(34a) 및 경사지지대(33)를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면서 상판연결지지대(31a)를 받쳐 주는 4개의 지지대받침체(35a)가 형성되며, 각 연결핀(37)에 의해 연결된 곳은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받침대(3a)를 구성의 기본으로 하고, 받침대(3b)의 경사지지대(33)중 2개에 각각 걸쇠고정부(42a)에 의해 고정된 반고리형상의 걸쇠(40a)를 형성하고, 나머지 2개의 경사지지대(33)에 걸쇠걸이(41a)를 형성하여 2개의 걸쇠(40a)를 2개의 걸쇠걸이(41a)에 각각 교차하여 걸어서 받침대를 보다 더 안정되게 지지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받침대(3a)를 구성의 기본으로 하고, 중앙지지대받침체(51)에 의해서 받쳐지는 중앙지지대(50)를 상기 받침대(3c)의 지지대연결체(34b)의 중앙하부에 형성된 중앙지지대삽입구(52)에 삽입하여 받침대(3c)를 보다 더 안정되게 지지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받침대(3d)에 사각뿔 형상의 틀을 구성하면서 상판의 중심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면서 상판을 지지할 수 있는 4개의 경사지지대(33)와 상기 경사대지지대(33)의 소정부분에 형성된 상판연결지지대받침체(36)에 연결핀(37)에 의해 연결 및 고정되면서 상기 상판연결지지대체결틀(18a)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에 상판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상판연결삽입체(32a)가 상단 소정부분에 형성된 4개의 상판연결지지대(31b)와 상기 경사지지대(33)의 꼭지점위치에서 4개의 경사지지대(33)를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면서 고정시켜주는 지지대연결체(34a) 및 경사지지대(33)를 받쳐주는 4개의 지지대받침체(35b)가 형성되며, 각 연결핀(37)에 의해 연결된 곳은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받침대(3e)에 역사각뿔 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상판을 지지해 주면서 상기 상판연결지지대체결틀(18a)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에 상판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상판연결삽입체(32a)가 상단 소정부분에 형성된 4개의 상판연결지지대(31c)와 사각뿔 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상판을 지지할 수 있는 4개의 경사지지대(33)와 상기 상판연결지지대(31c)의 꼭지점 위치에서 4개의 상판연결지지대(31c)를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면서 고정시켜줄 뿐만 아니라 상기 상판연결지지대(31c)가 일정한 각도에서 더 이상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상판연결지지대걸림턱(60)이 형성되며, 수체결부(71)가 아래쪽에 형성된 상부지지대연결체(70)와 상기 경사지지대(33)의 꼭지점 위치에서 4개의 경사지지대(33)를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면서 고정시켜줄 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지지대(33)가 일정한 각도에서 더 이상 위로 뻗치지 않도록 경사지지대걸림턱(61)이 형성되며, 암체결부(73)가 위쪽에 형성된 하부지지대 연결체(72)가 상호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된 지지대연결체(34c) 및 경사지지대(33)를 받쳐주는 4개의 지지대받침체(35b)가 형성되며, 각 연결핀(37)에 의해 연결된 곳은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받침대(3f)에 상기 상판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해 주면서 상기 상판연결지지대체결틀(18a)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에 상판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상판연결삽입체(32a)가 상단 소정부분에 형성된 4개의 상판연결지지대(31a)와 사각뿔 형상의 틀을 구성하면서 상판의 중심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면서 상판을 지지할 수 있는 4개의 경사지지대(33)와 상기 경사지지대(33)의 꼭지점 위치에서 4개의 경사지지대(33)를 연결하면서 고정시켜주는 지지대연결체(34a)와 2개의 폴대가 수평지지대연결끈(81)에 의해 연결되어 체결된 4개의 수평지지대(80) 및 경사지지대(33)와 수평지지대(80)를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고 상판연결지지대(31a)를 받쳐주는 4개의 지지대받침체(35c)가 형성되며, 각 연결핀(37)에 의해 연결된 곳은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받침대(3g)에 상기 상판연결지지대체결틀(18a)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에 상판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상판연결삽입체(32a)가 상단 소정부분에 형성되고, 하단 소정부분에 지지대받침체(35b)가 형성된 4개의 지지대(38a)와 상기 지지대(38a)의 중앙부분을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여 지지대(38a)가 방사형 구조를 형성하면서 위로는 상판을 지지하고 아래로는 바닥을 디딜 수 있도록 지지대연결체(34d)가 형성되며, 각 연결핀(37)에 의해 연결된 곳은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받침대(3h)에 결합되는 상판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상판유니트 중에서 양측 끝에 위치한 2개의 상판유니트에 각각 컵홀더수납틀(16)에 의해 지지되는 1개씩의 컵홀더(15)와 2개씩의 상판지지대꽂이(17a)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이 일정 정도의 압력에 의해 눌려 들어가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4개의 상판지지대(2a)와 상기 받침대(3h)에 상기 상판을 수직으로 지지해 주도록 4개의 수직지지대(91)와 8개의 지지대(38b)가 형성되며, 1개의 수직지지대(91)와 2개의 지지대(38b)의 상단 소정부분을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여 4쌍을 이루도록 고정하고, 상판지지대(2a)를 받쳐주는 4개의 지지대연결체(34e)와, 상판지지대(2a)를 받쳐주는 4개의 상판지지대받침체(39)와, 지지대(38b)의 흔들림을 방지하며, 연결핀(37)에 의해 상판지지대받침체(39)에 연결되어 상판지지대(2a)를 지지해주는 2개의 지지대고정대(90)와, 1개의 수직지지대(91)와 2개의 지지대(38b)의 하단 소정부분을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여 4쌍을 이루도록 고정하고, 지지대를 받쳐주는 4개의 지지대받침체(35d)가 형성되며, 연결핀(37) 에 의해 연결된 곳은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받침대(3i)에 상기 상판을 지지해 주도록 8개의 지지대(38b)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연결지지대체결틀(18a)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에 상판을 결착시키고, 2개의 지지대(38b)의 상단 소정부분을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여 4쌍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4개의 상판연결삽입체(32b)와 2개의 지지대(38b)의 하단 소정부분을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여 4쌍을 이루도록 고정하고, 지지대(38b)를 받쳐주는 4개의 지지대받침체(35e)가 형성되며, 각 연결핀(37)에 의해 연결된 곳은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20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받침대(3j)에 상기 상판을 지지해 주도록 4개의 수직지지대(91)와 8개의 지지대(38b)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연결지지대체결틀(18a)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에 상판을 결착시키며, 1개의 수직지지대(91) 상단 소정부분과 2개의 지지대(38b)의 상단 소정부분을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여 4쌍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4개의 상판연결삽입체 (32b)와, 1개의 수직지지대(91) 하단 소정부분과 2개의 지지대의 하단 소정부분을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여 4쌍을 이루도록 고정하고, 지지대(38b)를 받쳐주는 4개의 지지대받침체(35d)가 형성되며, 각 연결핀(37)에 의해 연결된 곳은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2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받침대(3k)에 상기 상판을 지지해 주도록 8개의 지지대(38b)가 형성되며, 2개의 지지대(38b)의 상단 소정부분을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여 4쌍을 이루도록 고정하고, 상판지지대(2a)를 받쳐주는 지지대연결체(34e)와, 상판지지대(2a)를 받쳐주는 4개의 상판지지대받침체(39)와, 지지대 (38b)의 흔들림을 방지하며, 연결핀(37)에 의해 상판지지대받침체(39)에 연결되어 상판지지대(2a)를 지지해주는 2개의 지지대고정대(90)와, 2개의 지지대(38b)의 하단 소정부분을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여 4쌍을 이루도록 고정하고, 지지대를 받쳐주는 4개의 지지대받침체(35e)가 형성되며, 연결핀(37)에 의해 연결된 곳은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2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상판유니트 양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컵홀더(15)와 컵홀더수납틀(16)이 형성되지 아니하고, 상판연결지지대(31d,31e,31f)가 체결될 자리를 표시해 주고있다.
첨부한 도 2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상판유니트 중에서 양측 끝에 위치한 2개의 상판유니트에 상판지지대(2a,또는2b)를 끼울 수 있는 2개씩의 상판지지대 꽂이(17a,또는17b)가 형성되며, 상단 소정부분은 나사로 연결되는 상판연결고정쇠(19)에 의해 상판유니트에 고정되며, 금속의 탄력성을 이용하기 위해 집개모양으로 반이 접혀 있어 악력 등에 의한 스프링작용을 통해 접어서 넣다 펴서 뺄 수 있고, 하단 소정부분에 지지대받침체 (35f)가 형성된 4개의 상판연결지지대(31d)가 형성되며, 별도의 받침대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2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상판유니트 중에서 양측 끝에 위치한 2개의 상판유니트에 상판지지대(2a,또는2b)를 끼울 수 있는 2개씩의 상판지지대꽂이 (17a,또는17b)가 형성되며, 상단 소정부분은 나사형식으로 되어 있어 상판유니트에 고정되어 있는 상판연결지지대체결틀(18b)에 삽입되어 상판을 지지하며, 하단 소정부분에 높이조절레버(92)가 있어 원통 안쪽으로 구조물을 넣었다 뺐다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한 4개의 원통형상의 상판연결지지대(31e)가 형성되며, 별도의 받침대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2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상판유니트 중에서 양측 끝에 위치한 2개의 상판유니트에 걸쇠고정부(42b)에 의해 고정된 각각 2개의 반고리형상의 걸쇠(40c)가 형성되고, 각각 2개의 반고리형상의 걸쇠(40b)가 걸쇠고정부(42a)에 의해 부착된 2개의 상판지지대(2c,또는2d)를 끼울 수 있는 2개씩의 상판지지대꽂이(17a,또는17b)가 형성되고, 상단 소정부분은 힌지(93)와 상판연결지지대고정대(94)에 의해 상판유니트에 고정되어 접었다 폈다를 할 수 있고, 하부 소정부분에 걸쇠를 거는 걸쇠걸이 (41b)가 있는 4개의 상판연결지지대(31f)가 형성되며, 별도의 받침대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판연결지지대고정대(94)는 상판연결지지대(31f)가 바깥으로 제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첨부한 도 2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의 또 다른 실시예를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상판유니트 중에서 양측 끝에 위치한 2개의 상판유니트에 상판지지대(2a,또는2b)를 끼울 수 있는 2개씩의 상판지지대 꽂이(17a,또는17b)가 형성되며, 상단 소정부분은 힌지(93)와 상판연결지지대 고정대(94)에 의해 상판유니트에 고정되어 접었다 폈다를 할 수 있고 하부 소정부분 2곳에 걸쇠걸이(41c)가 형성된 4개의 상판연결지지대(31f)와 걸쇠걸이(41c)에 삽입되어 상판연결지지대(31f)를 지지해 주는 ㄷ 자형의 4개의 걸쇠(40c)가 형성되며, 별도의 받침대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판연결지지대고정대(94)는 상판연결지지대(31f)가 바깥으로 제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물은 제작시에 고안물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의자와 함께 쓸 수 있는 식탁 형식으로 제작할 수 도 있고, 가부좌식에 대응하여 낮은 높이의 밥상형식으로도 제작이 가능하게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에 의하면, 레저나 여행 등의 활동 중 야외에서 취사를 하거나 준비해 온 음식을 취식할 경우, 짧은 시간내에 손쉽게 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하게 접어서 팩킹을 한 뒤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간편성과 편의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Claims (30)

  1. 다수개의 상판유니트와 상기 상판유니트를 엮는 상판유니트연결끈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이 일정 정도의 압력에 의해 눌려 들어가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상판지지대와;
    상기 상판이 결착되는 받침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상기 상판유니트(10a) 는 각각 一자 형상의 납작하고 긴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유니트(10a)의 폭이 좁은 양측면에 관통구멍이 있는 유니트마개머리(12a)와, 유니트마개끼우개 (13a)가 형성된 유니트마개(11a)가 삽입되고, 상기 상판유니트 연결끈(20a)이 유니트마개머리(12a)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다수개의 상판유니트(10a)를 엮어 하나의 상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상기 상판유니트(10b)는 각각 ㅡ자 형상의 납작하고 긴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유니트(10b)의 폭이 좁은 양측면에 관통구멍이 없는 유니트마개머리(12b)와, 유니트마개끼우개(13b)가 형성된 유니트마개(11b)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유니트 연결끈(20b)이 상기 상판유니트 하부의 소정위치에 리벳이나 나사 또는 기타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다수개의 상판유니트(10b)를 엮어 하나의 상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상기 상판유니트(10c, 10d)는 각각 ㅡ자 형상의 납작하고 긴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의 양쪽 끝을 이루는 2개의 상판유니트(10c) 측면의 일측에 연결끈삽입홈(14a)이 형성되고, 나머지 상판유니트(10d) 각각의 양측면에 상기 연결끈삽입홈(14a)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유니트(10c, 10d)의 폭이 좁은 양측면에 유니트마개머리 (12c)와 유니트마개끼우개(13c)와 연결끈삽입홈(14b)이 있는 유니트마개(11c)가 삽입되고, 상기 상판유니트연결끈(20c)이 상기 상판유니트(10c, 10d)와 유니트 마개(11c)에 형성된 연결끈삽입홈(14a, 14b)에 끼워져 다수개의 상판유니트 (10c, 10d)를 엮어 하나의 상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상기 상판유니트(10e, 10f, 10g) 의 평면도를 보면 각각 ㅡ자 형상의 긴 직사각형이지만, 상판의 양쪽 끝을 이루는 2개의 상판유니트(10f, 10g)를 제외한 각각의 상판유니트(10e)의 측면은 요철 형상을 띠고 있어 일측은 수놈이고 다른 일측은 암놈이 되어 서로 맞물리며, 상기 상판의 양쪽 끝을 이루는 2개의 상판유니트(10f, 10g) 중 하나는 측면의 일측이 암놈으로 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평평하고, 다른 하나는 측면의 일측이 수놈으로 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평평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유니트(10e)의 폭이 좁은 양측면에 유니트마개머리(12d)와, 유니트마개끼우개(13d)가 형성되고, 측면이 일측은 수놈이고 다른 일측은 암놈인 요철형상으로 되어 있는 유니트마개(11d)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의 양쪽 끝을 이루는 2개의 상판유니트(10f, 10g)에 하나는 측면의 일측이 암놈으로 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평평한 유니트마개(11e)가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측면의 일측이 수놈으로 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평평한 유니트마개(11f)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유니트연결끈 (20b)이 상기 상판유니트 하부의 소정위치에 리벳이나 나사 또는 기타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다수개의 상판유니트(10e, 10f, 10g)를 엮어 하나의 상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상판유니트 중에서 양측 끝에 위치한 각기 2개의 상판유니트 하부에 각각 컵홀더수납틀(16)에 의해 지지되는 1개씩의 컵홀더(15) 와 2개씩의 상판지지대 꽂이(17a) 및 2개씩의 상판연결지지대체결틀(18a)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지지대꽂이(17a)의 일측에 구멍이 있어 상기 상판지지대(2a) 를 꽂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상판유니트 중에서 양측 끝에 위치한 각기 2개의 상판유니트 하부에 각각 컵홀더수납틀(16)에 의해 지지되는 1개씩의 컵홀더(15)와 2개씩의 상판지지대 꽂이(17b) 및 2개씩의 상판연결지지대체결틀 (18a)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지지대꽂이(17b)를 일정 정도의 탄성이 있는 반고리형상받침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판지지대(2b)의 양단부분을 실패모양으로 형성하며, 상판지지대꽂이(17b)에 상판지지대(2b)를 옆에서 끼워 꽂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상기 상판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해주면서 상기 상판연결지지대체결틀(18a)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에 상판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상판연결삽입체(32a)가 상단 소정부분에 형성된 4개의 상판연결지지대(31a)와 사각뿔 형상의 틀을 구성하면서 상판이 중심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면서 상판을 지지할 수 있는 4개의 경사지지대(33)와 상기 경사지지대(33)의 꼭지점 위치에서 4개의 경사지지대(33)를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면서 고정시켜주는 지지대연결체(34a) 및 경사지지대(33)를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면서 상판연결지지대(31a)를 받쳐 주는 4개의 지지대받침체(35a)가 형성되며, 각 연결핀(37)에 의해 연결된 곳은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움직임이 가능하며, 상기 받침대의 경사지지대(33)중 2개에 각각 걸쇠고정부(42a)에 의해 고정된 반고리형상의 걸쇠(40a)를 형성하고, 나머지 2개의 경사지지대(33)에 걸쇠걸이(41a)를 형성하여 2개의 걸쇠(40a)를 2개의 걸쇠걸이(41a)에 각각 교차하여 걸어서 받침대를 보다 더 안정되게 지지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사각뿔 형상의 틀을 구성하면서 상판의 중심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면서 상판을 지지할 수 있는 4개의 경사지지대(33)와 상기 경사지지대(33)의 소정부분에 형성된 상판연결 지지대받침체(36)에 연결핀(37)에 의해 연결 및 고정되면서 상기 상판연결 지지대체결틀(18a)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에 상판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상판연결삽입체(32a)가 상단 소정부분에 형성된 4개의 상판연결지지대 (31b)와 상기 경사지지대(33)의 꼭지점 위치에서 4개의 경사지지대(33)를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면서 고정시켜주는 지지대연결체(34a) 및 경사지지대(33)를 받쳐주는 4개의 지지대받침체(35b)가 형성되며, 각 연결핀(37)에 의해 연결된 곳은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역사각뿔 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상판을 지지해 주면서 상기 상판연결지지대체결틀(18a)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에 상판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상판연결삽입체(32a)가 상단 소정부분에 형성된 4개의 상판연결지지대(31c)와 사각뿔 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상판을 지지할 수 있는 4개의 경사지지대(33)와 상기 상판연결지지대(31c)의 꼭지점 위치에서 4개의 상판연결지지대(31c)를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면서 고정시켜줄 뿐만 아니라 상기 상판연결지지대(31c)가 일정한 각도에서 더이상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상판연결지지대걸림턱(60)이 형성되며, 수체결부(71)가 아래쪽에 형성된 상부지지대연결체(70)와 상기 경사지지대(33)의 꼭지점 위치에서 4개의 경사지지대(33)를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면서 고정시켜줄 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지지대(33)가 일정한 각도에서 더 이상 위로 뻗치지 않도록 경사지지대걸림턱(61)이 형성되며, 암체결부(73)가 위쪽에 형성된 하부지지대 연결체(72)가 상호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된 지지대연결체(34c) 및 경사지지대 (33)를 받쳐주는 4개의 지지대받침체(35b)가 형성되며, 각 연결핀(37)에 의해 연결된 곳은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상기 상판을 지지해 주도록 8개의 지지대(38b)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연결지지대 체결틀(18a)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에 상판을 결착시키고, 2개의 지지대(38b)의 상단 소정부분을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여 4쌍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4개의 상판연결삽입체(32b)와 2개의 지지대의 하단 소정부분을 연결핀(37)에 의해 연결하여 4쌍을 이루도록 고정하고, 지지대(38b)를 받쳐주는 4개의 지지대받침체(35e)가 형성되며, 각 연결핀(37)에 의해 연결된 곳은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상판유니트 중에서 양측 끝에 위치한 2개의 상판유니트에 상판지지대(2a,또는2b)를 끼울 수 있는 2개씩의 상판지지대꽂이(17a,또는17b)가 형성되며, 상단 소정부분은 나사로 상판유니트에 부착되는 상판연결고정쇠(19)에 의해 상판유니트에 고정되며, 금속의 탄력성을 이용하기 위해 집개모양으로 반이 접혀 있어 악력 등에 의한 스프링작용을 통해 접어서 넣다 펴서 뺄 수 있고, 하단 소정부분에 지지대받침체 (35f)가 형성된 4개의 상판연결지지대(31d)가 형성되며, 별도의 받침대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상판유니트 중에서 양측 끝에 위치한 2개의 상판유니트에 상판지지대(2a,또는2b)를 끼울 수 있는 2개씩의 상판지지대꽂이(17a,또는17b)가 형성되며, 상단 소정부분은 나사형식으로 되어 있어 상판유니트에 고정되어 있는 상판연결지지대체결틀(18a)에 삽입되어 상판을 지지하며, 하단 소정부분에 높이조절레버(92)가 있어 원통 안쪽으로 구조물을 넣었다 뺐다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한 4개의 원통형상의 상판연결지지대(31e)가 형성되며, 별도의 받침대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14.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상판유니트 중에서 양측 끝에 위치한 2개의 상판유니트에 걸쇠고정부(42b)에 의해 고정된 각각 2개의 반고리형상의 걸쇠(40c)가 형성되고, 각각 2개의 반고리형상의 걸쇠(40b)가 걸쇠고정부(42a)에 의해 부착된 2개의 상판지지대(2c,또는2d)를 끼울 수 있는 2개씩의 상판지지대꽂이(17a,또는17b)가 형성되고, 상단 소정부분은 힌지(93)와 상판연결지지대 고정대(94)에 의해 상판유니트에 고정되어 접었다 폈다를 할 수 있고, 하부 소정부분에 걸쇠를 거는 걸쇠걸이(41b)가 있는 4개의 상판연결지지대(31f)가 형성되며, 별도의 받침대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상판유니트 중에서 양측 끝에 위치한 2개의 상판유니트에 상판지지대(2a,또는2b)를 끼울 수 있는 2개씩의 상판지지대꽂이(17a,또는17b)가 형성되며, 상단 소정부분은 힌지(93)와 상판연결지지대 고정대(94)에 의해 상판유니트에 고정되어 접었다 폈다를 할 수 있고 하부 소정부분 2곳에 걸쇠걸이(41c)가 형성된 4개의 상판연결지지대 (31f)와 걸쇠걸이(41c)에 삽입되어 상판연결지지대(31f)를 지지해 주는 ㄷ 자형의 4개의 걸쇠(40c)가 형성되며, 별도의 받침대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20-2002-0031393U 2002-10-21 2002-10-21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200310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393U KR200310103Y1 (ko) 2002-10-21 2002-10-21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393U KR200310103Y1 (ko) 2002-10-21 2002-10-21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103Y1 true KR200310103Y1 (ko) 2003-04-08

Family

ID=4940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393U KR200310103Y1 (ko) 2002-10-21 2002-10-21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103Y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697B1 (ko) * 2011-05-06 2011-11-15 박성일 야외용 접이식 테이블
KR101133773B1 (ko) * 2011-07-11 2012-04-09 이보연 의자의 좌판 지지대
KR101162964B1 (ko) 2010-04-16 2012-07-09 이종호 다용도 받침대
KR101397361B1 (ko) 2012-11-23 2014-05-20 정용선 캠핑용 테이블
KR101433116B1 (ko) 2012-08-31 2014-08-25 이동학 절첩식 평상
KR101755304B1 (ko) * 2016-05-16 2017-07-11 주식회사 녹스기어 휴대용 다용도 접이식 거치대
KR101768931B1 (ko) * 2016-04-08 2017-08-18 박만길 접이식 테이블
KR20200081263A (ko) * 2018-12-27 2020-07-07 하태호 조립식 가구
KR20210001216U (ko) 2019-11-22 2021-06-01 이선주 접이식 다용도 휴대용 테이블
KR102336575B1 (ko) 2021-06-15 2021-12-06 이동주 조립용 테이블
KR102453968B1 (ko) 2021-04-29 2022-10-11 이동주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
KR20240000468U (ko) 2022-09-01 2024-03-08 주식회사 카라신 테이블 상판용 고정부재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964B1 (ko) 2010-04-16 2012-07-09 이종호 다용도 받침대
KR101082697B1 (ko) * 2011-05-06 2011-11-15 박성일 야외용 접이식 테이블
KR101133773B1 (ko) * 2011-07-11 2012-04-09 이보연 의자의 좌판 지지대
KR101433116B1 (ko) 2012-08-31 2014-08-25 이동학 절첩식 평상
KR101397361B1 (ko) 2012-11-23 2014-05-20 정용선 캠핑용 테이블
KR101768931B1 (ko) * 2016-04-08 2017-08-18 박만길 접이식 테이블
KR101755304B1 (ko) * 2016-05-16 2017-07-11 주식회사 녹스기어 휴대용 다용도 접이식 거치대
KR20200081263A (ko) * 2018-12-27 2020-07-07 하태호 조립식 가구
KR102339257B1 (ko) * 2018-12-27 2021-12-14 하태호 조립식 가구
KR20210001216U (ko) 2019-11-22 2021-06-01 이선주 접이식 다용도 휴대용 테이블
KR102453968B1 (ko) 2021-04-29 2022-10-11 이동주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
KR102336575B1 (ko) 2021-06-15 2021-12-06 이동주 조립용 테이블
KR20220168124A (ko) 2021-06-15 2022-12-22 이동주 조립용 테이블
KR20240000468U (ko) 2022-09-01 2024-03-08 주식회사 카라신 테이블 상판용 고정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0103Y1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US3973800A (en) Modular furniture units
CN107028521B (zh) 平底锅收纳架
US7040995B2 (en) Hanging chair stand
US6547197B2 (en) Bracket for attaching a hanging rod to a post at variable heights
US6308837B1 (en) Rack for holding pillows
US20030192840A1 (en) Free-standing, mountable or portable rotatable jewel tree
US20090020047A1 (en) Portable table top mountable onto a rail
US20070051858A1 (en) Hanging chair stand
US5971172A (en) Folding artificial Christmas tree frame
KR101255583B1 (ko) 낚시용 의자에 착탈 가능한 받침틀 지지구
CN110731638A (zh) 一种可拆卸吊椅
US5607130A (en) Support apparatus for arts and crafts project
US20050199771A1 (en) Ornament base
KR200249100Y1 (ko) 벽걸이용 장식가구
JP3232924U (ja) 多機能三角ハンガーラック
KR100855721B1 (ko) 의자걸이대가 부착된 급식용 탁자
KR101742202B1 (ko) 개선된 트레이 결합구조를 갖는 다용도 접이식 거치대
US20220167759A1 (en) Jewellery board
US5152230A (en) Joining means for securing articles together
CN219556700U (zh) 一种置物架
US5697304A (en) Cruciform display
KR200413274Y1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100753111B1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US20140196635A1 (en) Ready to assemble adjustable table and method for packag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