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968B1 -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968B1
KR102453968B1 KR1020210056055A KR20210056055A KR102453968B1 KR 102453968 B1 KR102453968 B1 KR 102453968B1 KR 1020210056055 A KR1020210056055 A KR 1020210056055A KR 20210056055 A KR20210056055 A KR 20210056055A KR 102453968 B1 KR102453968 B1 KR 102453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member
support bar
support bars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주
Original Assignee
이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주 filed Critical 이동주
Priority to KR1020210056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4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lexible roll-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6Extensible tables with flexible roll-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01Tops
    • A47B2200/001Manufacture of table top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에 따르면,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고정부재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 상기 고정부재를 부착하는 부착단계; 상기 지지판의 타측면에 폭방향으로 절삭하여 상기 지지판을 다수의 지지바로 분할시키되,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바의 일측면과 타측면 폭길이가 일정하게 길어지는 지지바로 분할시키는 지지바 분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 분할단계에서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바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일측면이 부착된 상태이고, 상기 고정부재를 펼치면, 상기 고정부재를 상면으로 하는 테이블용 상판으로 이용 가능하고, 인접한 지지바의 절삭면이 서로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접으면, 다수개의 지지바들이 중첩되게 접히며 말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able top plate}
본 발명은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판을 지지체로부터 분리하거나 지지체와 상판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 접이식 테이블이 실내와 실외에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 레저문화가 발달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야외에서 간편하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술한 접이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다리로 이루어진다. 이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1010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736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78305, 일본 공개특허 12135120에 기재된 상판은, 다수의 판재가 끈으로 연결되고,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접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술한 종래의 테이블용 상판은, 판재가 서로 이격되어 틈이 형성된다.
여기서, 판재가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식기류와 같은 물품이 틈을 통해서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틈에 음식물이 끼이거나 뭍게 되는 경우 빼거나 닦는데에 용이하지 않아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나, 음식물이 뭍은 상태에서 접어 보관하면 곰팡이 등의 발생으로 위생상 불리한 단점이 발생하였다.
이때, 상판의 상부에 테이블보를 덮어서 사용하는데, 테이블보가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물품이 틈을 통해 빠지게 되는 문제점은 계속적으로 발생하였다.
또한, 판재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말게 되면 원형의 형태로 말아지는데, 중첩되는 판재가 서로 밀첩하게 말아지지 못하고 상당히 이격된 상태로 말아지기 때문에 말아도 부피가 큰 단점이 있었으며, 적재할 때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판재에 끈을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판재에 타공하여 끈을 관통시키거나, 볼트, 피스 등을 이용하여 판재의 일측면에 끈을 고정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때, 판재에 타공을 할 때는, 타공위치가 모두 동일해야 하며, 끈을 관통시킨 후, 끈의 양단을 매듭 짓는 등의 작업이 다수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볼트, 피스를 이용해 끈을 고정시킬 때는, 볼트 또는 피스의 위치를 모든 판재에 동일하게 해야 하며, 별도의 부품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두루마리와 같이 말아둘 때 볼트에 의해 부피가 커지게 말아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1010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7361 등록실용신안 20-0278305 일본 공개특허 12135120 A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판재 일측면에 고정부재를 부착 고정시킨 다음, 판재의 타측면을 절삭하여 다수의 지지바를 형성시킴에 따라, 다수의 지지바가 고정부재에 일체로 부착된 상태의 상판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바를 형성시킬 때, 판재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지지바의 폭길이를 일정하게 길게 하여 형성시킴으로써, 중첩되는 지지바와의 틈을 최소로 하여 다수의 지지바를 두루마리와 같이 말되, 부피를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각기둥으로 말아짐에 따라 또 다른 물품과 용이하게 적재 및 보관할 수 있는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한 지지바 사이에 절삭으로 절삭면이 형성되되, 지지바의 상측면 절삭끝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지지바가 분할 형성됨으로써, 지지바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고, 고정부재를 상면이 되게 다수의 지지바를 펼쳤을 때 하나의 평면과 같이 이루어진 테이블용 상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수의 지지바를 접으면 다각기둥으로 말아 놓을 수 있는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에 따르면,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고정부재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 상기 고정부재를 부착하는 부착단계; 상기 지지판의 타측면에 폭방향으로 절삭하여 상기 지지판을 다수의 지지바로 분할시키되,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바의 일측면과 타측면 폭길이가 일정하게 길어지는 지지바로 분할시키는 지지바 분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 분할단계에서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바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일측면이 부착된 상태이고, 상기 고정부재를 펼치면, 상기 고정부재를 상면으로 하는 테이블용 상판으로 이용 가능하고, 인접한 지지바의 절삭면이 서로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접으면, 다수개의 지지바들이 중첩되게 접히며 말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바 분할단계는, 인접하는 지지바의 절삭면이 서로 대칭되게 절삭하고, 상기 다수개의 지지바는, 상기 절삭면이 서로 맞닿게 상기 고정부재를 접음에 따라, 중첩되는 제1지지바의 일측면과 제2지지바의 타측면이 마주하는 형태로 접히며 말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바 분할단계는, 상기 고정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 인접하는 절삭면의 각도를 일정각도가 되도록 절삭하고, 상기 다수개의 지지바는, 상기 일정각도에 따라, 3각 내지 n각 중 어느 하나이상의 각을 갖는 각기둥으로 접히며 말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바의 일측면 폭길이가 상기 제2지지바의 타측면 폭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접혀 말린 상기 다수개의 지지바는, 상기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다수개의 지지바가 접히며 말릴 때, 상기 이격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고정부재의 두께보다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바 분할단계는, 분할되는 다수개의 지지바가 접혀져 적재의 용이함과 부피의 최소화를 위한 정사각기둥의 형태로 말릴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의 일단부터 분할되는 지지바 2개씩, 일측면과 타측면 폭길이를 동일하게 분할하되, 타단에 분할되는 지지바 3개는 일측면과 타측면 폭길이가 동일하게 분할하고, 타단에 마지막으로 분할되는 타단지지바의 끝단을 일단에 처음으로 분할되는 일단지지바의 일측면과 타측면 폭길이와 동일한 끝단지지바가 더 형성되게 더 분할하고, 상기 다수개의 지지바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일단지지지바와 끝단지지바만 절삭면이 지지되도록 접으면, 지면에 기 세워진 받침부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테이블용 상판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하나의 판재 일측면에 고정부재를 부착 고정시킨 다음, 판재의 타측면을 절삭하여 다수의 지지바를 형성시킴에 따라, 다수의 지지바가 고정부재에 일체로 부착된 상태의 상판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지지바를 형성시킬 때, 판재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지지바의 폭길이를 일정하게 길게 하여 형성시킴으로써, 중첩되는 지지바와의 틈을 최소로 하여 다수의 지지바를 두루마리와 같이 말되, 부피를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각기둥으로 말아짐에 따라 또 다른 물품과 용이하게 적재 및 보관할 수 있는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인접한 지지바 사이에 절삭으로 절삭면이 형성되되, 지지바의 상측면 절삭끝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지지바가 분할 형성됨으로써, 지지바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고, 고정부재를 상면이 되게 다수의 지지바를 펼쳤을 때 하나의 평면과 같이 이루어진 테이블용 상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수의 지지바를 접으면 다각기둥으로 말아 놓을 수 있는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을 나타낸 작업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에 제조된 테이블용 상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에 제조된 테이블용 상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에 제조된 테이블용 상판을 나타낸 정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에 제조된 테이블용 상판이 접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에 제조된 테이블용 상판이 접혀 사각기둥의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에 제조된 테이블용 상판이 접혀 사각기둥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에 제조된 테이블용 상판이 받침부에 꽂아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은, 준비단계, 부착단계 및 지지바(30) 분할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준비단계는, 지지판(10)과 지지판(1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고정부재(20)를 준비한다.
이때, 지지판(10)은 원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고정부재(20)는, 페브릭(fabric)으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는, 고정부재(20)를 비닐 등으로도 할 수 있으나, 후술할 지지바(30)들을 접고 펼치는 과정에 늘어날 수 있으며, 열에 약해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20)는 페브릭재를 이용함으로써, 지지바(30)를 접으면 접힘부분이 늘어날 수 있으며, 지지바(30)를 펼치면 원상태로 복원되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페브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부재(20)의 이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지지판(10)의 일측면에 부착된다. 또한, 고정부재(20)의 표면에는 다양한 디자인이 인쇄될 수 있어, 테이블용 상판(40)의 상측면을 다양하게 디자인화할 수 있다.
부착단계는, 지지판(10)의 일측면에 고정부재(20)를 부착한다. 이때, 페브릭 재의 고정부재(20)를 지지판(10)에 부착할 때는, 열을 가해 부착할 수도 있다.
지지바(30) 분할단계는, 지지판(10)의 타측면에 폭방향으로 절삭하여 절삭면(31)이 형성되도록 지지판(10)을 다수의 지지바(30)로 분할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때, 지지바(30) 분할단계는, 인접하는 지지바(30)의 절삭면(31)이 서로 대칭되게 절삭하여, 절삭면(31)이 서로 지지되어 인접한 지지바(30)가 서로 접히게 된다.
또한, 지지바(30) 분할단계는, 지지판(1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지지바(30)의 일측면과 타측면 폭길이가 일정하게 길어지는 지지바(30)로 분할시킨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20)가 부착된 다수개의 지지바(30)를 접어 말 수 있다.
즉, 지지바(30) 분할단계에서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바(30)는, 고정부재(20)에 의해 일측면이 부착된 상태이고, 고정부재(20)를 펼치면, 고정부재(20)를 상면으로 하는 테이블용 상판(40)으로 이용 가능하며, 인접한 지지바(30)의 절삭면(31)이 서로 지지되도록 고정부재(20)를 접으면, 다수개의 지지바(30)들이 중첩되게 접히며 말리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부재(20)에 이미 분할된 지지바(30)를 붙여서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분할된 지지바(30)를 나란하게 붙이기 어려운 작업상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지지판(10)에 고정부재(20)를 부착한 후에, 절삭하여 다수의 지지바(30)로 분할하는 것이며, 보다 신속하고 정밀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다수개의 지지바(30)는, 절삭면(31)이 서로 맞닿게 고정부재(20)를 접음에 따라, 중첩되는 제1지지바(32)의 일측면과 제2지지바(33)의 타측면이 마주하는 형태로 접히며 말린다.
여기서, 지지바(30) 분할단계는, 고정부재(20)가 펼쳐진 상태에서 인접하는 절삭면(31)의 각도를 일정각도가 되도록 절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지지바(30)는, 일정각도에 따라, 3각 내지 n각 중 어느 하나이상의 각을 갖는 각기둥으로 접히며 말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삭면(31)은 지지바(30)의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되며, 양측의 폭이 상부에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지지바(30)의 상측면과 절삭면(31)의 내각이 6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지지바(30)끼리 절삭면(31)이 맞닿게 접으면 직각으로 접히게 된다. 즉, 다수개의 지지바(30)가 접히면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말리게 된다.
그리고, 지지바(30)의 상측면과 절삭면(31)의 내각이 30°가 형성되도록 하면, 다수개의 지지바(30)는 삼각기둥의 형상으로 말 수 있다.
특히, 지지바(30) 분할단계는, 분할되는 다수개의 지지바(30)가 접혀져 적재의 용이함과 부피의 최소화를 위한 정사각기둥의 형태로 말릴 수 있도록 지지바(30)를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판(10)의 일단부터 분할되는 지지바(30) 2개씩, 일측면과 타측면 폭길이를 동일하게 분할하되, 타단에 분할되는 지지바(30) 3개는 일측면과 타측면 폭길이가 동일하게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바(3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타단에 마지막으로 분할되는 타단지지바(36)의 끝단을 일단에 처음으로 분할되는 일단지지바(35)의 일측면과 타측면 폭길이와 동일한 끝단지지바(37)가 더 형성되게 더 분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지지바(30)가 펼쳐진 상태에서, 일단지지지바(30)와 끝단지지바(37)만 절삭면(31)이 지지되도록 접으면, 지면에 기 세워진 받침부(50)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테이블용 상판(40)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지지바(32)의 일측면 폭길이가 제2지지바(33)의 타측면 폭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접혀 말린 다수개의 지지바(30)는, 제1지지바(32)와 제2지지바(33) 사이에 이격공간(34)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재(20)는, 다수개의 지지바(30)가 접히며 말릴 때, 이격공간(34)에 구비된다.
그리고, 이격공간(34)의 이격거리는, 고정부재(20)의 두께보다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부재(20)의 두께보다 작으면, 고정부재(20)가 이격공간(34)에 끼기 때문에 접히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지지판
20 : 고정부재
30 : 지지바
31 : 절삭면
32 : 제1지지바
33 : 제2지지바
34 : 이격공간
35 : 일단지지바
36 : 타단지지바
37 : 끝단지지바
40 : 상판
50 : 받침부

Claims (6)

  1.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고정부재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 상기 고정부재를 부착하는 부착단계;
    상기 지지판의 타측면에 폭방향으로 절삭하여 상기 지지판을 다수의 지지바로 분할시키되,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바의 일측면과 타측면 폭길이가 일정하게 길어지는 지지바로 분할시키는 지지바 분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 분할단계에서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바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일측면이 부착된 상태이고,
    상기 고정부재를 펼치면, 상기 고정부재를 상면으로 하는 테이블용 상판으로 이용 가능하고, 인접한 지지바의 절삭면이 서로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접으면, 다수개의 지지바들이 중첩되게 접히며 말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 분할단계는, 인접하는 지지바의 절삭면이 서로 대칭되게 절삭하고,
    상기 다수개의 지지바는, 상기 절삭면이 서로 맞닿게 상기 고정부재를 접음에 따라, 중첩되는 제1지지바의 일측면과 제2지지바의 타측면이 마주하는 형태로 접히며 말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 분할단계는, 상기 고정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 인접하는 절삭면의 각도를 일정각도가 되도록 절삭하고,
    상기 다수개의 지지바는, 상기 일정각도에 따라, 3각 내지 n각 중 어느 하나이상의 각을 갖는 각기둥으로 접히며 말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바의 일측면 폭길이가 상기 제2지지바의 타측면 폭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접혀 말린 상기 다수개의 지지바는, 상기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다수개의 지지바가 접히며 말릴 때, 상기 이격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고정부재의 두께보다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 분할단계는, 분할되는 다수개의 지지바가 접혀져 적재의 용이함과 부피의 최소화를 위한 정사각기둥의 형태로 말릴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의 일단부터 분할되는 지지바 2개씩, 일측면과 타측면 폭길이를 동일하게 분할하되, 타단에 분할되는 지지바 3개는 일측면과 타측면 폭길이가 동일하게 분할하고, 타단에 마지막으로 분할되는 타단지지바의 끝단을 일단에 처음으로 분할되는 일단지지바의 일측면과 타측면 폭길이와 동일한 끝단지지바가 더 형성되게 더 분할하고,
    상기 다수개의 지지바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일단지지바와 끝단지지바만 절삭면이 지지되도록 접으면, 지면에 기 세워진 받침부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테이블용 상판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



KR1020210056055A 2021-04-29 2021-04-29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 KR102453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055A KR102453968B1 (ko) 2021-04-29 2021-04-29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055A KR102453968B1 (ko) 2021-04-29 2021-04-29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968B1 true KR102453968B1 (ko) 2022-10-11

Family

ID=8359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055A KR102453968B1 (ko) 2021-04-29 2021-04-29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96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5927U (ko) * 1985-09-26 1987-04-07
JPH0537138U (ja) * 1991-10-24 1993-05-21 鹿島建設株式会社 可搬型デスク
JPH10262738A (ja) * 1997-03-27 1998-10-06 Jinun Japan:Kk 携帯用折り畳みテーブル
JP2000184914A (ja) * 1998-12-24 2000-07-04 National House Industrial Co Ltd 簡易テーブル
KR200278305Y1 (ko) 2001-07-19 2002-06-20 유기설 휴대용 접이식 야외 테이블 (접이식)
KR200310103Y1 (ko) 2002-10-21 2003-04-08 박선우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JP2012135120A (ja) 2010-12-22 2012-07-12 Honda Motor Co Ltd 圧延部材の加工方法
KR20120127809A (ko) * 2011-05-16 2012-11-26 김경임 가구용 패널
KR101397361B1 (ko) 2012-11-23 2014-05-20 정용선 캠핑용 테이블
KR20170003038U (ko) * 2016-02-21 2017-08-30 최우진 두루마리처럼 돌돌 말리는 휴대용 야외 테이블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5927U (ko) * 1985-09-26 1987-04-07
JPH0537138U (ja) * 1991-10-24 1993-05-21 鹿島建設株式会社 可搬型デスク
JPH10262738A (ja) * 1997-03-27 1998-10-06 Jinun Japan:Kk 携帯用折り畳みテーブル
JP2000184914A (ja) * 1998-12-24 2000-07-04 National House Industrial Co Ltd 簡易テーブル
KR200278305Y1 (ko) 2001-07-19 2002-06-20 유기설 휴대용 접이식 야외 테이블 (접이식)
KR200310103Y1 (ko) 2002-10-21 2003-04-08 박선우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JP2012135120A (ja) 2010-12-22 2012-07-12 Honda Motor Co Ltd 圧延部材の加工方法
KR20120127809A (ko) * 2011-05-16 2012-11-26 김경임 가구용 패널
KR101397361B1 (ko) 2012-11-23 2014-05-20 정용선 캠핑용 테이블
KR20170003038U (ko) * 2016-02-21 2017-08-30 최우진 두루마리처럼 돌돌 말리는 휴대용 야외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3418B2 (en) Folding display unit with central member
DK177390B1 (da) Udgangsemne til en reol
US4279087A (en) Box frame for fabric prints and the like
US20170236452A1 (en) Foldable information display unit
US20160138627A1 (en) System for connecting flat structural elements
KR102453968B1 (ko) 테이블용 상판 제조방법
MX2014009072A (es) Sistema de estanteria de forma en planta variable.
US2860439A (en) Foldable display piece
KR20100005544U (ko) 접이식 종이액자
US3322382A (en) Elongated, upright supporting element
US4080907A (en) Shelf fabricated from a single sheet of thermally deformable material
US2191007A (en) Collapsible table
KR200481630Y1 (ko) 상품 지지부를 구비한 접이식 상품 진열대
KR102503473B1 (ko) 조립용 테이블
EP1919785A1 (en) Complex tray with reusable parts
US2455288A (en) Umbrella
CN112369893A (zh) 衣架的改进
KR20160065626A (ko) 사단 접이식 테이블
US96237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apsing and interlocking canvas on a frame
US1174558A (en) Building-strip for toy structures.
KR200181458Y1 (ko) 조립식 입간판
US3841540A (en) Hanger
US2926441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it
CN216660712U (zh) 可即时组装瓦楞纸托盘
CN217365018U (zh) 一种新型置物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